KR20190104004A -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004A
KR20190104004A KR1020190046381A KR20190046381A KR20190104004A KR 20190104004 A KR20190104004 A KR 20190104004A KR 1020190046381 A KR1020190046381 A KR 1020190046381A KR 20190046381 A KR20190046381 A KR 20190046381A KR 20190104004 A KR20190104004 A KR 2019010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accident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문
이탁열
함주희
정명준
Original Assignee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4004A/ko
Publication of KR2019010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자동차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하는 중계모듈과, 상기 중계모듈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사고 상황의 유무와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고 상황의 유무 및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응급상황을 판단하여 응급 상황시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사고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cognizing a car driver's condition and following up at the car acciden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자동차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하는 중계모듈과, 상기 중계모듈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사고 상황의 유무와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고 상황의 유무 및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응급상황을 판단하여 응급 상황시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사고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경미한 교통사고를 당했을 때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경찰서나 보험사에 사고 상황을 연락하여 줄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중대한 교통사고를 당했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충격을 받아서 의식이 없는 경우가 발생하며, 경찰서나 보험사로 연락을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중대 교통사고를 당했을 때 의식이 없는 상태의 운전자가 외부로 연락을 원활하게 취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04-43327 호의 교통사고 정보 송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기술은 차량사고 유무를 이동통신단말기가 확인하고 전송하는 기술인데,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고를 인지하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5-71352 호의 자동차 차량 실내에 장착된 블랙박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사고를 인지하고 서버에 전달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기술들은 차량에서 에어백이 발화되는 것과 같은 차량 고유의 안전설비의 활용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블랙박스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고 상황을 외부에 전달할 수는 있으나 사고를 당한 운전자의 상태를 인지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의 고유의 안전설비의 활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순한 사고 상황 전파 뿐만 아니라 사고를 당한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은,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자동차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하는 중계모듈; 상기 중계모듈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사고 상황의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고 상황의 유무 및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응급상황을 판단하여 응급 상황시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사고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교통사고시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의 고유의 안전설비의 활용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의식이 없을 경우 외부의 서버로 응급구조를 요청함으로써, 중대 사고 상황에서 운전자의 구호조치를 최대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현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약칭한다)은 자동차(C)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자동차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하는 중계모듈(10); 상기 중계모듈(10)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사고 상황의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고 상황의 유무 및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응급상황을 판단하여 응급 상황시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사고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단말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계모듈(10)은 자동차 내부통신회선(L)를 통하여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한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0)에는 사고 상황에서의 자동차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기기(11)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0)은 자동차의 전방이나 측방 또는 후방의 외부를 카메라등의 촬영수단(미도시)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30)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중계모듈(10)은 바람직하게는 중앙처리유닛(CPU)과 그 주변부 회로를 가진 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처리유닛(CPU) 및 그것의 작동을 위한 주변부 회로는 공지된 소자와 회로를 채용한다.
상기 중계모듈(10)는 통상의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소자의 메모리 소자를 가지며, 이러한 메모리 소자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hard disk) 장비 또는 대용량의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계모듈(10)에 의하여 수집되는 자동차의 식별정보로는 자동차의 등록번호나 차종과 같은 자동차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성명, 주소와 같은 운전자의 인적정보도 저장가능하다.
상기 중계모듈(10)은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돌력을 감지하여 충돌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충돌센서(40)와 연동되고, 충돌센서(40)에 연결된 에어백(air-bag)모듈(50)과 연동된다.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자동차(C) 외부에 위치한 서버(100)에 자동차의 사고 상황 및 운전자의 의식 유무의 자동차 사고상황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방식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기기로서, 휴대폰, PDA, 태블릿PC 등의 공지된 모든 방식의 이동통신기기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킬 수 있는 소위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외부의 경찰서, 병원, 보험사와 같은 사고처리기관의 서버(100)와 연결된다.
상기 중계모듈(10)과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 사이의 통신은 무선통식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좋으며, 예를 들어, 직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H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iance),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Network) 등의 공지된 모든 무선통신방식이 채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인터넷 방식이다.
상기 GPS기기(11)는 통상의 위성위치 확인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채용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자동차의 충돌이 일어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부설된다.
이때, 상기 중계모듈(10)은 상기 충돌센서(40)에 의하여 자동차에 외부로부터의 충돌력이 감지되어 에어백모듈(50)이 전개되었을 경우, 이러한 에어백모듈(50)의 전개 유무를 자동차내부통신회선(L)을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10)은 자동차의 시동계가 제공하는 자동차 시동의 ON/OFF 여부의 정보, 자동차의 엔진회전계가 제공하는 엔진회전수(rpm) 정보, 자동차의 속도계가 제공하는 자동차의 속도 정보 등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중계모듈(10)은 공지된 모든 방식의 자동차 내부통신회선(L)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내부통신회선 방식중의 하나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방식으로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I(ECU) 및 온보드진단기(On-Board Diagnostics, OBD)로부터 자동차의 제어정보를 전달받는다.
상기 온보드진단기(On-Board Diagnostics)는 약칭하여 'OBD'라고도 불리우며,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자동변속계통,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 자동차의 부착된 모든 계통의 센서들로부터 상기 전자제어유닛(ECU)으로 전달된 정보나 고장등의 정보를 자동차의 콘솔이나 외부장치를 통하여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표준화된 진단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충돌센서(40)에 의하여 자동차에 외부로부터의 충돌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중계모듈(10)이 충돌센서(40)로부터 충돌신호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충돌에 의한 에어백모듈(50)의 전개 여부의 정보, GPS기기(11)가 생성하는 자동차의 위치정보, 자동차 시동의 ON/OFF 여부의 정보, 자동차 엔진회전계가 제공하는 엔진회전수(rpm) 정보, 자동차의 속도계가 제공하는 자동차의 속도 정보, 충돌시간정보를 가지는 자동차 제어정보와 자동차의 식별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20)로 전달한다.
그러면, 무선통신단말기(20)는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사고 상황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실내에 차량내 운전자의 심박수를 체크하는 심박수확인기기(60)를 부설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상기 심박수확인기기(60)로부터 충돌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심박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 이하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차량에 장착된 음향수집기기(70)를 통하여 운전자의 음성,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로 인한 소리, 자동차 도어의 개폐 소리,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른 마찰음 소리를 전달받아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 및 충돌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사고 상황의 유무 및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통신망(200)을 통하여 외부의 소방서, 경찰서, 병원, 보험사와 같은 사고처리기관의 서버(100)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응급상황임을 알려줄 경우 오부의 사고처리기관으로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메세지서비스)를 발송하여 알려준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상기 중계장치(10)를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으로 자동차의 비상등을 점멸하게 하거나 경적 알람을 수행하여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동차 비상 작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사고 상황이나 운전자가 의식이 있으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사용되어 신고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비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서버(100)로 자동차의 제어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자동차의 블랙박스(30)와 연동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의 사고 상황을 명확하게 판별하기 위한 영상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량 운전자 상태 인지 및 후속 조치 방법은, 무선통신단말기(20)가 중계모듈(10)로부터 수집되는 자동차 식별정보 및 자동차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하는 자동차사고 모니터링단계(S1); 상기 모니터링단계(S1) 실시중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무선통신단말기(20)가 자동차 사고발생 유무 및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사고발생 유무 및 운전자 의식유무 확인단계(S2); 상기 운전자의식유무확인단계(S3)에서 운전자가 의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운전자를 응급 구호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단말기(20)가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사고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사고상황정보 전송단계(S3);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중계모듈(10)를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에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주변 차량에 알려주는 자동차사고 알림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고발생유무 및 운전자의식유무 확인단계(S2)는, 자동차에 외부로부터의 충돌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중계모듈(10)이 충돌센서로부터 충돌신호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충돌에 의한 에어백모듈의 전개 여부의 정보, GPS기기가 생성하는 자동차의 위치정보, 자동차 시동의 ON/OFF 여부의 정보, 자동차 엔진회전계가 제공하는 엔진회전수(rpm) 정보, 자동차의 속도계가 제공하는 자동차의 속도 정보, 충돌시간정보를 가지는 자동차 제어정보와 자동차의 식별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20)로 전달하고, 무선통신단말기(20)는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사고 상황의 유무를 판단하고, 자동차 실내에 차량내 부설되어 운전자의 심박수를 체크하는 심박수확인기기로부터 자동차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심박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 이하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차량에 장착된 음향수집기기를 통하여 운전자의 음성,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로 인한 소리, 자동차 도어의 개폐 소리,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른 마찰음 소리를 전달받도록 하여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 및 자동차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고상황정보 전송단계(S3)는,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사고 상황의 유무 및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사고 상황이면서 운전자의 의식이 없을 경우에는 이를 운전자의 긴급 구호가 필요한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응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통신망(200)을 통하여 외부의 소방서, 경찰서, 병원, 보험사와 같은 사고처리기관의 서버(100)에 자동차의 운전자가 응급상황임을 전달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응급상황임을 알려줄 경우 오부의 사고처리기관으로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메세지서비스)를 발송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사고 알림단계(S4)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상기 중계장치(10)를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으로 자동차의 비상등을 점멸하게 하거나 경적 알람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주변차량에게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동차 비상 작동 제어를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중계모듈
11; GPS기기
20; 무선통신단말기
30; 블랙박스
40; 충돌센서
50; 에어백모듈
60; 심박수확인기기
70; 음향수집기기
100; 서버
200; 통신망

Claims (13)

  1.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자동차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인식하는 중계모듈(10);
    상기 중계모듈(10)로부터 자동차의 식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사고 상황의 유무와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고 상황의 유무 및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응급상황을 판단하여 응급 상황시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사고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단말기(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상황의 유무의 판단은,
    자동차에 내장된 충돌센서(40)에 의하여 자동차에 외부로부터의 충돌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에어백모듈(50)의 전개 여부에 따라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상황의 유무의 판단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상기 중계모듈(10)로부터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로부터 자동차 시동의 ON/OFF 여부의 정보, 자동차 엔진회전계가 제공하는 엔진회전수(rpm) 정보, 자동차의 속도계가 제공하는 자동차의 속도 정보, 충돌시간 정보를 전달받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상기 중계단말기(10)에 내장된 GPS기기(11)로부터 자동차 사고 위치를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자동차에 부설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체크하는 심박수확인기기(60)로부터 충돌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심박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 이하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차량에 장착된 음향수집기기(70)를 통하여 운전자의 음성,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로 인한 소리, 자동차 도어의 개폐 소리,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른 마찰음 소리중 어느 하나를 전달받아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 및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에 따라서 운전자가 응급 상황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상기 중계장치(10)를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으로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동차 비상 작동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자동차의 블랙박스(30)와 연동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의 사고 상황을 명확하게 판별하기 위한 영상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8. 무선통신단말기(20)가 중계모듈(10)로부터 수집되는 자동차 식별정보 및 자동차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하는 자동차사고 모니터링단계(S1);
    상기 모니터링단계(S1) 실시중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무선통신단말기(20)가 자동차 사고발생 유무 및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사고발생 유무 및 운전자 의식유무 확인단계(S2);
    상기 운전자의식유무확인단계(S3)에서 운전자가 의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운전자를 응급 구호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단말기(20)가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사고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사고상황정보 전송단계(S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 유무 및 운전자 의식유무의 확인단계(S2)는,
    자동차에 내장된 충돌센서(40)에 의하여 자동차에 외부로부터의 충돌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에어백모듈(50)의 전개 여부에 따라서 사고발생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 유무 및 운전자 의식유무의 확인단계(S2)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상기 중계모듈(10)로부터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로부터 자동차 시동의 ON/OFF 여부의 정보, 자동차 엔진회전계가 제공하는 엔진회전수(rpm) 정보, 자동차의 속도계가 제공하는 자동차의 속도 정보, 충돌시간 정보를 전달받아 사고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 유무 및 운전자 의식유무의 확인단계(S2)는,
    상기 중계단말기(10)에 내장된 GPS기기(11)로부터 자동차 사고 위치를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는 자동차에 부설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체크하는 심박수확인기기(60)로부터 충돌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심박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 이하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차량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 유무 및 운전자 의식유무의 확인단계(S2)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차량에 장착된 음향수집기기(70)를 통하여 운전자의 음성,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로 인한 소리, 자동차 도어의 개폐 소리,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른 마찰음 소리중 어느 하나를 전달받아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 및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상황정보 전송단계(S3) 이후,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0)가 중계모듈(10)를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CU)에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주변 차량에 알려주는 자동차사고 알림단계(S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방법.
KR1020190046381A 2019-04-19 2019-04-19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4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81A KR20190104004A (ko) 2019-04-19 2019-04-19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81A KR20190104004A (ko) 2019-04-19 2019-04-19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75 Division 2018-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004A true KR20190104004A (ko) 2019-09-05

Family

ID=6794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381A KR20190104004A (ko) 2019-04-19 2019-04-19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40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04B1 (ko) * 2020-01-20 2020-11-05 임승환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31218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모듈링크 사고 전조와 사고의 발생 감지 및 사고 피해 분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04B1 (ko) * 2020-01-20 2020-11-05 임승환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31218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모듈링크 사고 전조와 사고의 발생 감지 및 사고 피해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7812B2 (ja) 歩行者衝突検知システム及び歩行者衝突通報システム
US201503714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tely Assessing Vehicle Incidents and Dispatching Assistance
KR101071914B1 (ko) 자동차 충돌사고 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792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568945B (zh) 车辆碰撞事故通报系统及方法
CN108604414B (zh) 提供关于危险情况的信息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US101212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accident detail reporting
JP2015500530A (ja) 複数車両監視システム
KR10077561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JP2018533515A (ja) オープンな道路車両の事故状況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
CN111231891B (zh) 集成的无声车辆报警器
US20170171733A1 (en) Vehicle head unit,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emergency state of vehicle
JP2008225777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WO2019163980A1 (ja) 危険行為解消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04004A (ko)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030481A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及び車両事故通報システム
KR20090022038A (ko)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JP2002185647A (ja) 緊急通報装置
JP2020126664A (ja) 自動車用の運転者支援システム
KR102077763B1 (ko)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283398B1 (ko) Ai 기반 복합 adas 룸미러
EP1988523A1 (en) Emergency notifying device
US20110291825A1 (en) Car collision global positioning system
KR20110048291A (ko)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KR20040092090A (ko) 차량 원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