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291A -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291A
KR20110048291A KR1020090105033A KR20090105033A KR20110048291A KR 20110048291 A KR20110048291 A KR 20110048291A KR 1020090105033 A KR1020090105033 A KR 1020090105033A KR 20090105033 A KR20090105033 A KR 20090105033A KR 20110048291 A KR20110048291 A KR 2011004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message
unit
wireles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215B1 (ko
Inventor
성기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2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동작 상태를 센싱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범위 내의 다른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차량의 고장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고장으로 인한 사고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동작, 고장, 판단, 메시지, 전송

Description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A malfunction notifica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고장 정보를 주변 차량에 알릴 수 있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8-S-007-02, 과제명:차량 전장용 통합제어 SW플랫폼 개발].
차량에는 운행을 위한 많은 전장품이 장착(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의 주변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정보들을 분석하여 엔진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연료분사 제어장치, 차체에 설치된 도어 센서 등의 정보에 의해 차체 새시의 엑츄에이터 등을 제어하는 보디 제어 장치, 충격감지센서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全開)하는 에어백제어장치 등등 많은 종류의 전자 제어 유니트(Electronic Control Unit: ECU)들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자제어유니트에는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정보 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모듈의 고장 여부를 진단(diagnosis)하는 기능을 갖는다.
고장이 검출될 때 해당 고장내용을 경고(warning)하는 고장표시램프 (malfunction indicate lamp: 이하 'MIL'이라 칭함)를 미리 설정된 표시(혹은 점멸) 패턴으로 구동하는 기능을 아울러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표시패턴은 고장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진단고장코드(diagnostic trouble code)(이하 'DTC'라 칭함)이며, 이는 펄스형태의 신호이다.
상기와 같은 자기진단기능을 가지는 ECU는 점화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초기화되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듈을 테스트하여 고장여부를 검출하고, 고장검출시에 고장표시램프(MIL)를 DTC에 따라 점멸 구동하여 해당 모듈의 고장상태를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기진단기능을 가지는 대다수의 차량은 자기진단에 의해 고장부분을 검출하여도 MIL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보만 하였을 뿐, 고장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에 고장 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고속도로나 일반 국도에서 운전하는 동안 브레이크 파열 등의 치명적인 고장이 생긴 차량이 근처에 있다면 위험한 상황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비상등을 켜고 주위에게 알리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문제가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고장 차량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고장을 감지하여 주변 차량의 운전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 차량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차량 운전자에게 고장 차량의 구체적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혹은 음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고장 내용을 주변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미리 통지하여 고장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탑재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정보 분석부,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무선 메시지 수신 장치로 차량 고장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무선 메시지가 차량의 번호, 차량의 종류, 고장 내용을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메시지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가,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 차량 생산업체에서 정의하고 있는 차량의 동작 진단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고장 정보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된 고장 정보에 따라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메시지 전송 결정부 및 상기 메시지 전송 결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는 이동 통신 장비에 탑재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블루투스 모듈, RFID 모듈,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방식에 따라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가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메시지 전송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고장 정보와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메시지를 작성하는 무선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무선 메시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무선 메시지를 현재 위치의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제 5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 또는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무선 메시지는 사용자의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중인 상대의 통신 단말장치로만 전송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가 ISO 14229 및 ISO 15031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보에 따른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는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로부터 차량 진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무선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의 형태 또는 차량의 번호, 차량의 종류 및 고장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로 전송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은 차량의 각 구성요소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차량의 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고장 정보에 따라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 전송 여부 결정에 따라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 차량의 고장 정보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무선 메시지를 해당 지역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는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망, RFID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사용자의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중인 상대의 통신 단말장치로만 전송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차량의 고장 정보를 미리 감지하여 주변 운전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차량 주변의 보행자에게 사고 차량의 정보를 상세하게 통지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 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서 수집된 고장 진단 정보에 대하여 고장 내용이 주변 차량 및 보행자에게 치명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일 경우, 이를 주변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술이다. 즉, 자동차 전장 기술 중 진단 메커니즘 기술과 이동통신 기술을 융합한 응용 기술 분야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내부에 탑재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정보 분석부(120),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140),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12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무선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출력을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130),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무선 메시지 수신 장치로 차량 고장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메시지 송신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냉각수온도센서, 공기센서, 유량센 서, 오일압력센서, 스로틀 위치센서, RPM센서, 크랭크 각센서 등 많은 센서의 출력을 읽어 들어 해당 부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는 ISO 14229 및 ISO 15031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보이거나 실제 자동차 업체에서 내부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진단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자동차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메커니즘도 모두 소프트웨어로 작동되며 실제로 자동차 서비스 센터 등에서는 이러한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자동차를 진단한다. 이러한 진단 메커니즘은 ISO 14229, 15031 등에서 표준화되어 있으며, 차량 전장용 표준 플랫폼을 표준화하고 있는 AUTOSAR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진단 서비스는 자동차를 개발하고 제조하고 서비스하는 곳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를 응용하면 이러한 고장 정보를 자동차의 최종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치명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주변 차량에 영향을 미칠 경우 인근의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들에게 고장난 차량의 간단한 정보 및 고장 내용을 문자 메시지로 알려줄 수 있다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장 차주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12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121), 차량 생산업체에서 정의하고 있는 차량의 동작 진단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122),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한 값을 상기 메모리(122)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위험도의 경중을 구분한 후 고장 정보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123), 상기 데이터 분석부(123)의 분석 결과에 따라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메시지 전송 결정부(124), 상기 메시지 전송 결정부(124)의 출력 신호에 따라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120)는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로부터 차량 진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거나 subscription/notification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차량 진단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120)가 어디에 탑재되느냐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21)의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120)가 차량 내에 탑재된 경우라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121)는 CAN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만일,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120)가 기타 차량 주변 장치 및 이동 통신 장비에 탑재된 경우라면,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는 블루투스 모듈, RFID 모듈,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방식에 따라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110)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1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부(123)로부터 메시지 전송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131), 상기 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140)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132), 상기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고장 정보와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132)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메시지를 작성하는 무선 메시지 생성부(133), 상기 무선 메시지 생성부(133)에 의해 생성된 무선 메시지를 현재 위치의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제 5 통신 인터페이스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131) 또는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132)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상기 무선 메시지 생성부(133)에 의해 생성되는 무선 메시지는 차량의 번호, 차량의 종류, 고장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의 형태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Multi Mdeia service)의 형태로 전송된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차량의 번호, 차량의 종류 및 고장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로 전송되는 것이 주변 차량의 운전자가 문자를 확인하지 않고 쉽게 주변의 고장 차량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각 구성요소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정보 분석부의 위치가 차량 내부에 탑재된 경우라면, CAN 등과 같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검출한다. 만일, 차량 정보 분석부의 위치가 기타 주변 장치나 이동통신 장비에 탑재된 경우라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인터페이싱 동작으로 수신한다. 차량 진단 정보란 차량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진단 소프트웨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차량의 고장 진단 정보를 말한다(S401).
차량 정보 분석부(120)과 메시지 전송 제어부(130)는 진단 데이터의 경중 구분, 메시지 전송 여부 결정, 이동통신 시스템들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차량 정보 분석부(120)는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의 동작에 따른 각 장치의 동작 값을 메모리부터 읽어들인다 (S402).
각 센서로부터 수신된 값을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값과 비교한다. 그 값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면 차량 고장으로 판단하고, 무선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한다(S403).
차량 정보 분석부(120)에서 차량의 현재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거나 치명적인 결함을 야기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라고 판단을 하면, 메시지 전송 제어부(130)는 이러한 결정에 따라 차량위치 정보 수신부(14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때,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는 GPS 장치 등을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 등의 이동통신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한다(S404).
메시지 전송 제어부(140)는 고장 차량의 정보와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무선 메시지에는 상기 차량위치 정보 수신부(130) 를 이용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S405).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진 반경 내의 모든 운전중인 차량에게 고장난 차량의 넘버, 차종, 고장 내용을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무선 메시지는 사용자의 프레젠스(presence)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중인 상대의 통신 단말장치로만 전송될 수도 있다.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데, 고장 차량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위치와 고장 정보를 기반으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한 후에, 정해진 반경 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 중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사용자들에게 진단 데이터를 가공한 위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Cell broadcasting)을 사용한다(S406).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차량 정보 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메시지 전송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 120:차량 정보 분석부
121:제1통신 인터페이스 122:메모리
123:데이터 분석부 124:메시지 전송 결정부
125:제2통신 인터페이스부 130:메시지 전송 제어부
131:제3통신 인터페이스부 132:제4통신 인터페이스부
133:무선 메시지 생성부 134:제5통신 인터페이스부
140: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 150:무선 메시지 송신부

Claims (20)

  1. 차량 내부에 탑재된 다수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정보 분석부;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무선 메시지 수신 장치로 차량 고장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메시지 송신부를 구비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메시지는, 차량의 번호, 차량의 종류, 및 고장 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 메시지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는,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
    차량 생산업체에서 정의하고 있는 차량의 동작 진단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고장 정보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된 고장 정보에 따라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메시지 전송 결정부; 및
    상기 메시지 전송 결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분석부는 이동 통신 장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블루투스 모듈, RFID 모듈,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방식에 따라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메시지 전송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 위치 정보 수신부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고장 정보와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메시지를 작성하는 무선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무선 메시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무선 메시지를 현재 위치의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제 5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메시지는, 사용자의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중인 상대의 통신 단말장치로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검출부는 ISO 14229 및 ISO 15031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보에 따른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의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 Mdeia Service)의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무선 메시지는 차량의 번호, 차량의 종류 및 고장 내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16. 차량의 각 구성요소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차량의 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고장 정보에 따라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전송 여부 결정에 따라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차량의 고장 정보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메시지를 해당 지역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는,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망, RFID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무선 메시지 전송 단계는,
    사용자의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중인 상대의 통신 단말장치로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정보 출력 방법.
KR1020090105033A 2009-11-02 2009-11-02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KR10127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033A KR101271215B1 (ko) 2009-11-02 2009-11-02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033A KR101271215B1 (ko) 2009-11-02 2009-11-02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291A true KR20110048291A (ko) 2011-05-11
KR101271215B1 KR101271215B1 (ko) 2013-06-07

Family

ID=4423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033A KR101271215B1 (ko) 2009-11-02 2009-11-02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2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512A (ko) * 2012-02-02 2013-08-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용 자기진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고정보 처리방법과 기록매체
KR101587644B1 (ko) * 2014-10-30 2016-01-2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차량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1260A (ko) * 2014-12-11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sar 기반 차량 ecu 상태 관리 방법
WO2017217608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복합 정보를 이용한 차량의 고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913A (ko) * 1995-07-31 1997-02-19 배순훈 자동차의 이상상태 송신/수신제어장치
KR20030069520A (ko) * 2002-02-21 2003-08-27 모음기술 주식회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진단방법
KR100786169B1 (ko) * 2004-05-11 2007-12-21 (주)엘스윈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차량용 게이트웨이시스템
JP2006327551A (ja) 2005-05-30 2006-12-07 Tmp:Kk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および軌道異常診断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512A (ko) * 2012-02-02 2013-08-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용 자기진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고정보 처리방법과 기록매체
KR101587644B1 (ko) * 2014-10-30 2016-01-2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차량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1260A (ko) * 2014-12-11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sar 기반 차량 ecu 상태 관리 방법
WO2017217608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복합 정보를 이용한 차량의 고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215B1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102B1 (ko)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10300686B (zh) 数据分析装置及存储介质
CN109204189B (zh) 自动驾驶系统、故障报警方法及装置
JP3721089B2 (ja) 車両診断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自動車
EP2481037B1 (en)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accident
CN109466488B (zh) 一种车辆碰撞自动救援报警系统
KR101433307B1 (ko) 차량 관리 및 진단 장치
US94897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driver to a condition of a vehicle
WO2017067151A1 (zh) 用于交通工具的故障预警方法及系统
CN109196566B (zh) 传输有关交通工具的事故或故障的数据的辅助系统及方法
KR20090049492A (ko) 차량 고장진단기기
KR20150117561A (ko) 자동차 충돌 감지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271215B1 (ko) 차량 고장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고장 정보 출력 방법
US20190066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inspection
JP4107238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3217361U (ja) 車載情報提供装置
KR20060106425A (ko) 운전 성향 분석 제공시스템
KR101382498B1 (ko) 자동차 에어백 동작 감지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297024B1 (ko) 캔통신을이용한 자동차 고장진단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556B1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42058A1 (en) Post vehicle crash diagnostics to expedite aid
KR20040092090A (ko) 차량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40011230A (ko) 자동진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의 자동진단 방법
KR100499944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자가진단 시스템
EP4206041A1 (en) Vehicle impact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