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111A -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111A
KR20190035111A KR1020170123955A KR20170123955A KR20190035111A KR 20190035111 A KR20190035111 A KR 20190035111A KR 1020170123955 A KR1020170123955 A KR 1020170123955A KR 20170123955 A KR20170123955 A KR 20170123955A KR 20190035111 A KR20190035111 A KR 20190035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late
seat belt
buckle
vehicl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희
유정근
김영식
곽민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111A/ko
Publication of KR2019003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용 안전 벨트(Seat Belt) 장치는 차량 내 좌석에 앉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벨트(belt), 벨트에 체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 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벨트에 고정된 상기 텅 플레이트가 결속되는 버클(buckle), 및 텅 플레이트 및 버클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알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AT BELT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착용할 때 안전 벨트의 착용에 관한 알림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주행 중에 접촉이나 충돌사고로 인한 갑작스런 충격이 가해질 때, 탑승자의 신체를 탄력적으로 구속함으로써 큰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한 예이다. 차량용 안전벨트는 그 착용의 중요성으로 인해 착용된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안전벨트 알림 장치와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안전벨트 알림 장치는 안전벨트의 버클부위로 내장된 접촉센서의 신호를 차량 제어기(ECU)가 전달받고, 차량 제어기(ECU)가 이를 이용해 클러스터에 구비된 벨트디스플레이를 점등해주거나 또는 벨트디스플레이 대신 부저를 이용해 경고음을 지속적으로 울려줌으로써, 운전자에게 안전벨트의 착용 상태를 인식시켜 줄 수 있다.
종래에는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에 따른 피드백만을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었다.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조작하는 데 다양한 피드백을 전달해 줄 수 있다면, 주행 안전을 개선할 수 있다.
KR 10-1305648 B1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량에 장착된 안전 벨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시각, 청각, 촉각적인 알림을 주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의 체결 여부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고 안전 벨트의 미착용 여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인지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탑승 후 안전 벨트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시각, 청각, 촉각적인 알림을 지속적으로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의 착용을 습관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벨트의 체결감(예, 촉각을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벨트(Seat Belt) 장치는 차량 내 좌석에 앉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벨트(belt); 상기 벨트에 체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 상기 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벨트에 고정된 상기 텅 플레이트가 결속되는 버클(buckle); 및 상기 텅 플레이트 및 상기 버클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알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안전 벨트(Seat Belt) 장치는 상기 벨트를 감는 리트랙터(retractor); 및 상기 벨트의 지지축인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는 상기 탑승자의 어깨를 구속하는 어깨벨트; 및 상기 탑승자의 허리를 구속하는 허리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상기 텅 플레이트가 상기 버클에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탑재된 좌석 센서를 통해 상기 탑승자가 상기 좌석에 앉아 있음이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출력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텅 플레이트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출력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상기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악, 상기 경고음, 상기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데시벨(dB, decibel)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데시벨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데시벨은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텅 플레이트에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감지하는 센서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텅 플레이트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vibra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기에서 출력하는 상기 진동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텅 플레이트 및 상기 버클 각각에 무선 충전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가 포함되고,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텅 플레이트 내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진동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의 상기 사이 거리를 산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알람의 크기 또는 세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는 상기 텅 플레이트 및 상기 버클의 위치 및 체결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은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세기 또는 크기가 변경되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상기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상기 텅 플레이트에서의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 거리가 작을수록 상기 세기 또는 상기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 거리가 작을수록 상기 세기 또는 상기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은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이 체결되면, 상기 알림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은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이 결합되면, 상기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센서 및 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전술한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 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의 체결 여부를 명확히 인식하거나 안전 벨트의 미착용 여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스스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흥미,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발할 수 있어, 차량 안전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안전 벨트의 체결 여부에 대한 느낌(예, 체결감 혹은 촉각을 느낄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의 체결 여부를 명확히 자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안전 벨트 착용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어,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사고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차량용 안전 벨트에 포함된 텅 플레이트와 버클을 설명한다.
도3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착용 과정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기기를 설명한다.
도4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착용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5는 진동 알림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를 설명한다.
도6은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7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8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차량 내 좌석마다 안전 벨트(seat belt)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탑승한 후 안전 벨트를 착용 하였는가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헤드 유닛에 표시될 수 있다. 차량이 시동 후, 텅 플레이트와 버클로 구성된 안전 벨트가 체결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전석의 경우에는 좌석 센서를 통해 운전석에 사람이 탑승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필요 없이, 시동 여부에 따라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운전석이 아닌 조수석(앞자리)의 경우에는 좌석 센서를 통해 조수석에 사람이 탑승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안전 벨트의 체결, 즉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결합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에 경고등을 표시(예: 붉은색 시트벨트 미체결 Icon)하고 경고음을 제공(예: BEEP 경고음)함으로써 주행 안전을 위해 운전자의 시트벨트 체결을 유도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에는 안전 벨트의 체결 유무에 대한 정보(Feedback)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텅 플레이트와 버클간의 거리 정보, 체결되는 느낌, 체결되는 재미를 위한 적용 기술이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안전 벨트 체결 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과 버클(buckle)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벨트를 체결하는 과정 중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 마다 다양한 형태를 보일 수 있다. 이 중에는 텅 플레이트를 손으로 잡고 버클에 체결하기 위해, 버클의 위치를 보지 않고 운전자 경험 및 감각에 의존하여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체결하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이 완전히 될 때까지 시행착오가 발생할 수 있어 체결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짜증 및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안전 벨트를 체결하는 과정 동안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또는 정보를 제공하면 보다 편리하게 안전 벨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의 체결 과정 동안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체결되는 느낌을 구현하기 위한 청각적, 촉각적 알림을 제공하면, 안전 벨트의 체결 용이성 향상, 체결감 제공, 및 체결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어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안전 벨트(seat belt) 장치는 차량 내 좌석에 앉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벨트(belt, 22, 24), 벨트(22, 24)에 체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 12), 및 벨트(22, 24)를 고정시키기 위해 벨트(22, 24)에 고정된 텅 플레이트(12)가 결속되는 버클(buckle, 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벨트 장치는 차량의 뒤 좌석에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안전 벨트 장치는 차량에 포함된 모든 좌석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22, 24)는 탑승자의 어깨를 구속하는 어깨벨트(22), 및 탑승자의 허리를 구속하는 허리벨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는 벨트(22, 24)를 감는 리트랙터(retractor) 및 벨트(22, 24)의 지지축인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리트랙터는 안전 벨트 장치의 상부인 어깨벨트(22)와 연결될 수 있고, 앵커는 안전 벨트 장치의 하부인 허리벨트(24)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전 벨트 장치는 텅 플레이트(12) 및 버클(14)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알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가 출력하는 알림은 텅 플레이트(12)가 버클(14)에 완전히 체결되면 중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탑재된 좌석 센서를 통해 탑승자가 상기 좌석에 앉아 있음이 감지되고 차량의 시동이 걸린 경우, 제어부는 알림의 출력을 시작할 수 있다. 안전 벨트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 알람의 시점은 차량의 좌석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 조수석, 뒤 좌석 모두 좌석 센서를 통해 탑승자가 탑승했는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안전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체결 과정이나 체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전석의 경우에는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제어부는 알림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알림의 출력을 시작할 수 있다.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좌석 센서 없이도 해당 좌석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임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 좌석 중 안전 벨트의 착용이 필수가 아닌 경우(예, 국도에서 뒤 좌석), 차량의 시동 및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바탕으로 알림을 전달하기 보다는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을 통해 알림의 시작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이 필수인 경우,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만으로 알림을 전달할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텅 플레이트(12)를 건드리지 않으면 알림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이 필수인 경우는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이 아니라 차량의 시동 또는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바탕으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알림은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텅 플레이트(12)를 움직여서 텅 플레이트(12)가 버클(14)에 결합이 될 때까지 음악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음악이 아닌 경고음(예, beep)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예, “안전 벨트를 착용해주세요.”)도 텅 플레이트(12)가 버클(14)에 결합이 될 때까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알림으로써 출력되는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데시벨(dB, decibel)이 변할 수 있다. 즉,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등은 점점 커질 수도 작아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텅 플레이트(12)를 잡고 당기는 과정 동안 음악은 크게 들리다가 점점 작아질 수 있고, 탑승자가 텅 플레이트(12)를 버클(14)에 결합시키면 점점 작아지던 음악은 중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데시벨은 커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텅 플레이트(12)를 잡고 당기는 과정 동안 경보음 또는 소리는 작게 들리다가 점점 커질 수 있고, 탑승자가 텅 플레이트(12)를 버클(14)에 결합시키면 가장 큰 볼륨으로 경보음 또는 소리가 출력된 후 곧 바로 중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안전 벨트 장치의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움직이고 완전히 체결되는 과정 동안 소리, 음악, 메시지 등의 형태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달하고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안전 벨트 장치를 착용할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2는 차량용 안전 벨트에 포함된 텅 플레이트와 버클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의지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외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내부에는 소형 소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실시예들을 위해, 안전 벨트 장치에 포함된 텅 플레이트(12)에는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3축 자이로 센서와 텅 플레이트(12)가 버클(14)에 체결되는 느낌 구현을 위한 진동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텅 플레이트(12) 내 3축 자이로 센서와의 거리 정보 산출을 위한 자이로 센서 리더기는 텅 플레이트(12)에 대응하는 버클(14)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텅 플레이트(12) 내 자이로 센서와 버클(14)의 센서 리더기로부터 전달되는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사이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자이로 센서, 진동기, 센서 리더기 등은 크기, 부피가 매우 작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예,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각 부품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위 간단한 구성 요소들을 텅 플레이트(12) 및 버클(14)에 추가하더라도 텅 플레이트(12) 및 버클(14)의 전체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텅 플레이트(12) 및 버클(14)의 형태를 크게 변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와 텅 플레이트(12) 내 자이로 센서와 버클(14)의 센서 리더기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텅 플레이트(12)는 벨트(22, 24)로 고정되어 있어 벨트(22, 24)를 통한 유선 데이터 통신 연결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와이파이(Wi-Fi, 802.11b/g/n) 방식, 지그비(ZIGBEE), Z-웨이브(Z-wave),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3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착용 과정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기기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벨트 장치의 착용 과정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기기에는 헤드 유닛 혹은 계기판(18), 멀티미디어 장치 혹은 스크린(26) 및 스피커(1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유닛 혹은 계기판(18)에는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아이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6)는 안전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는 소리, 알림음, 경보음,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 혹은 스크린(26)은 음성 또는 텍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알림 메시지(예, “안전벨트를 착용해주세요”)를 출력할 수 있다. 헤드 유닛 혹은 계기판(18), 멀티미디어 장치 혹은 스크린(26) 및 스피커(16) 등의 차량용 기기들은 사용자 또는 제조사의 설정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기기들을 통해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4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착용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탑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내지 (c)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화면의 예이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는 텅 플레이트 및 버클의 위치 및 체결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좌석의 형태, 즉 등받이 영역(74)과 엉덩이 영역(72)를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고,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a)는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b)는 텅 플레이트(12)가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c)는 텅 플레이트(12)가 버클(14)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텅 플레이트(12)를 조작하여 버클(14)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a) 내지 (c)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보여줄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거리 정보, 텅 플레이트(12)의 위치 정보, 텅 플레이트(12)의 회전 정보를 제공을 위하여 버클(14)과 텅 플레이트(12)에 대한 이미지를 좌석 이미지(74, 72)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체결하기에 쉽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일정 거리 이상일 경우, 좌석과 함께 전체적인 이미지를 제공하고(예, (a) 및 (b)),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일정 거리 이하로 근접할 경우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확대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예, (c)), 안전 벨트 장치의 체결 상황에 대한 맞춤형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5는 진동 알림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안전 벨트의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체결과 분리되는 과정에서 텅 플레이트(12)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텅 플레이트(12)의 내부에는 무선 3축 자이로(gyro) 센서가 탑재되어 텅 플레이트(12)의 3차원상 위치 정보 및 회전 정보를 산출하고, 무선 초소형 진동기(vibrator)가 탑재되어 텅 플레이트(12)가 버클(14)에 근접할수록 체결되는 느낌의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12)에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예, 체결 시작 시), 텅 플레이트(12)에 포함된 진동기를 통해 강한(조금 거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이 지속되지만 버클(14)과 원거리 위치 시에는 텅 플레이트(12)에 포함된 진동기를 통해 중간(부드러운)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이 감소하고 버클(14)과 근거리 위치 시에는 텅 플레이트(12)에 포함된 진동기를 통해 약한(매우 부드러운)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진동의 형태(간격, 크기)는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사이 위치에 대응하여 반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6는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은 물리적으로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텅 플레이트(12)는 자이로 센서(36)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클(14)은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감지하는 센서 리더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6)와 센서 리더기(44)는 유선이 아닌 무선 통신 방식으로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차량 내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36)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텅 플레이트(12)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사이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텅 플레이트(12)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vibrator, 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기(38)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 탑재될 수 있는 초소형 선형 진동기일 수 있다. 진동기(38)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발생시키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 내 제어부는 산술된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진동기(38)에서 출력하는 진동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텅 플레이트(12)는 차량과 유선으로 연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자이로 센서(36) 및 진동기(3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4)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4)는 텅 플레이트(12)에 포함된 전력 수신부(32)와 버클(14)에 포함된 전력 송신부(42)를 통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체결되면,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근접한 상태가 되고, 전력 송신부(42)에서 전달한 전력 신호가 전력 수신부(32)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효율적인 충전을 위해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체결된 동안만 무선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텅 플레이트(12)와 버클(14)이 연결된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충전을 수행하는 것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기의 흐름이 노출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클(14)에는 텅 플레이트(12)가 결합되는 동안 텅 플레이트(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송신부(42)와 텅 플레이트(12) 내 자이로 센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자이로 센서 리더기(44)가 포함될 수 있다.
도7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은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50),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52), 및 산출된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세기 또는 크기가 변경되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은 상기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은 텅 플레이트에서의 발생하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50)는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은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지할 수 있다.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제어기(예, 차량 제어기(ECU) 등)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 제어기는 차량의 스펙과 관련된 텅 플레이트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 버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텅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기는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가 작을수록 알림의 세기 또는 알림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실시예에 따라,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가 작을수록 알림의 세기 또는 알림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는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알림의 세기 또는 알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은, 텅 플레이트와 버클이 체결되면, 알림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은 안전 벨트를 체결하는 과정 동안 출력되어 사용자(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즐거움이나 안전 벨트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므로, 텅 플레이트와 버클이 체결되면 더 이상 알림을 출력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은, 텅 플레이트와 버클이 결합되면,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센서 및 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과정은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센서 및 진동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이 아닌 텅 플레이트의 일측에 초소형 배터리를 탑재하여 센서 및 진동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초소형 배터리는 시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로, 사용자가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8은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60)는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62), 입력부(62)를 통해 수신된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를 산출하는 분석부(64), 및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알람의 크기 또는 세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생성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치(60)는 제어 신호를 차량 내 탑재된 기기에 전달하는 출력부(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장치(60)는 차량 내 제어기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제어 모듈 등의 방식으로 차량에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에서 움직임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면(즉, 안전 벨트의 체결이 시작되면), 시각적 알림으로서 전체 이미지(시트, 텅, 버클)를 제공할 수 있고, 청각적 알림으로서 빠른(조금 불편한) 비트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촉각적 알림으로서 강한(조금 거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안전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이 지속되고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가 먼 경우(원 거리), 시각적 알림으로서 전체 이미지(시트, 텅, 버클)를 제공할 수 있고, 청각적 알림으로서 중간(듣기 좋은) 비트를 가지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촉각적 알림으로서 중간(부드러운)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이 감소하고 버클과 근거리에 위치하면, 시각적 알림으로서 확대 이미지(텅, 버클)를 제공할 수 있고, 청각적 알림으로서 느린(매우 듣기 좋은) 비트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촉각적 알림으로서 약한(매우 부드러운)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 또는 텅 플레이트와 버클 사이의 거리 등을 기초로 다양한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의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림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조작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고 체결과정에서의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 체결 시 체결 진동을 제공받음으로써 안전 벨트가 체결된다는 과정을 손으로 느낄 수 있도록 체결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 벨트 체결 시 촉각적 알림을 제공 받음으로써 안전 벨트를 체결하는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 안전 벨트의 체결감에 따른 디테일한 재미 요소를 제공할 수 있어 차량용 시트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2: 텅 플레이트 14: 버클
36: 자이로 센서 38: 진동기
44: 센서 리더기 60: 제어 장치
26: 스크린 16: 스피커

Claims (25)

  1. 차량 내 좌석에 앉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벨트(belt);
    상기 벨트에 체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
    상기 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벨트에 고정된 상기 텅 플레이트가 결속되는 버클(buckle); 및
    상기 텅 플레이트 및 상기 버클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알림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Seat Belt)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감는 리트랙터(retractor); 및
    상기 벨트의 지지축인 앵커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탑승자의 어깨를 구속하는 어깨벨트; 및
    상기 탑승자의 허리를 구속하는 허리벨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상기 텅 플레이트가 상기 버클에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출력을 중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된 좌석 센서를 통해 상기 탑승자가 상기 좌석에 앉아 있음이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출력을 시작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출력을 시작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상기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상기 경고음, 상기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데시벨(dB, decibel)이 변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데시벨은 작아지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데시벨은 커지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에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감지하는 센서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vibra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기에서 출력하는 상기 진동의 크기를 변경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 및 상기 버클 각각에 무선 충전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가 포함되고,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텅 플레이트 내 상기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진동기를 충전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의 상기 사이 거리를 산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알람의 크기 또는 세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 및 상기 버클의 위치 및 체결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 장치.
  17.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사이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세기 또는 크기가 변경되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상기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경고음, 안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상기 텅 플레이트에서의 진동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 거리가 작을수록 상기 세기 또는 상기 크기는 작아지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 거리가 작을수록 상기 세기 또는 상기 크기는 커지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이 체결되면, 상기 알림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버클이 결합되면, 상기 텅 플레이트에 포함된 센서 및 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25.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23955A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35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55A KR20190035111A (ko)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55A KR20190035111A (ko)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11A true KR20190035111A (ko) 2019-04-03

Family

ID=6616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55A KR20190035111A (ko)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1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72A (ko) * 2019-12-27 2021-07-07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운전자 보조 시스템
CN114194140A (zh) * 2021-12-06 2022-03-18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精确距离的工业车辆驾驶员安全带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48B1 (ko) 2011-10-21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 착용경고장치 및 안전벨트착용 경고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48B1 (ko) 2011-10-21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 착용경고장치 및 안전벨트착용 경고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72A (ko) * 2019-12-27 2021-07-07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운전자 보조 시스템
CN114194140A (zh) * 2021-12-06 2022-03-18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精确距离的工业车辆驾驶员安全带检测装置及方法
CN114194140B (zh) * 2021-12-06 2022-12-06 河南嘉晨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精确距离的工业车辆驾驶员安全带检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8154B2 (ja) 自動二輪車
JP5881596B2 (ja) 車載情報装置、通信端末、警告音出力制御装置、および警告音出力制御方法
US20170369075A1 (en) Wearable device, vehic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US20160358453A1 (en) System for Providing Alerts to Vehicle Occupants
US7511610B2 (en) Multiple passenger vehicle seat belt notification system with force feedback
US2009030975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 signal transmitting device
CN103569134A (zh) 用于车辆的警示系统和方法
CN201127025Y (zh) 防疲劳的蓝牙装置
CN103578211A (zh) 交通工具的警报系统和方法
KR20180068146A (ko)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EP2879271B1 (en) In-vehicle charging device, automobile and charging system
EP3825172B1 (en) Child safety seat with installation prompt function and installation prompt method therefor
JP2004196176A (ja) シートベルト着用促進装置
KR20190035111A (ko)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4243938A (ja) シートベルト着用促進装置
JP2005190082A (ja) 居眠り運転警告装置及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126485B2 (en) Sleep prevention device while driving
KR101940213B1 (ko) 차량용 헤드 서포트 장치
JP5927991B2 (ja) 車載機
KR20200066266A (ko)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TWI701568B (zh) 跨坐型車輛用資訊提示支援裝置、及跨坐型車輛用資訊提示系統
JP4089651B2 (ja) 信号生成装置及び機械装置
EP2839997B1 (en) Arrangement for control of vehicle seat belt alert arrangement, a seat, a vehicle, a method and use of the arrangement
CN111862533B (zh) 一种基于大数据的车辆联合导航设备及导航方法
JP4856486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