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156A -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156A
KR20190088156A KR1020180006334A KR20180006334A KR20190088156A KR 20190088156 A KR20190088156 A KR 20190088156A KR 1020180006334 A KR1020180006334 A KR 1020180006334A KR 20180006334 A KR20180006334 A KR 20180006334A KR 20190088156 A KR20190088156 A KR 2019008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pearl shell
wrinkle
inflammatory
mu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477B1 (ko
Inventor
이현기
김유성
양지혜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이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기 filed Critical 이현기
Priority to KR1020180006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4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증식률, 활성산소 소거활성, NO저해율이 있어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관련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진주조개를 껍데기와 조개살을 분리하는 제1과정; 분리한 상기 조개살을 물로 1차 세척 및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2차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과정; 10-50㎛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 및 2차로 세척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는 제3과정; 및 1-10㎛ 필터로 상기 추출된 점액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그리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Pearl shell mucus filtrate showing anti-aging,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wrink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포증식률, 활성산소 소거활성, NO저해율이 있어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관련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의 이상과 급작스런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한 피부의 방어 기제를 능가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나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최근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은 효능·효과를 강조한 제품으로서, 화장품과 의약품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 제품이며, 시장에서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 Cosmetic + Pharmaceutical)이라고도 불린다. 기능성 화장품은 단순한 피부보습, 피부보호 차원에서 한층 더 발전해서 피부의 주름, 기미·주근깨, 죽은 각질, 멜라닌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성분들 중 화학물질은 피부관리에 즉각적인 영향을 주지만 이는 일시적인 미용효과로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그 부작용의 사례가 자주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 친화적이고 자연지향적인 추세에 따라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성분들도 천연물의 유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피부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재료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천연재료는 여러 가지 형태로 화장품에 배합되어 이용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달팽이 점액을 이용한 화장품과 같이 자연적인 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특성이 우수한 천연물 유래의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개발이 시급히 요망된다.
KR 10-1720680 B1 (2017.03.22.) KR 10-1677546 B1 (2016.11.14.) KR 10-2017-0010499 A (2017.02.01.) KR 10-2013-0107386 A (2013.10.02.) KR 10-1326346 B1 (2013.10.3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달팽이 점액을 이용한 화장품에 국한되어 있던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특히 세포증식률, 활성산소 소거활성, NO저해율이 있어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관련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세포증식률, 활성산소 소거활성, NO저해율이 있어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관련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은, 진주조개에서 조개살을 분리한 다음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은, 상기 진주조개에서 추출된 점액을 사카로미세스속 세르비제 11201(Saccharomyces cervisiae 11201),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cillus plantarum)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균주로 발효시켜 생성된 발효산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은, 상기 진주조개에서 추출된 점액을 동결건조장치로 20-40시간 건조 및 분쇄하여 파우더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제조방법은, 진주조개를 껍데기와 조개살을 분리하는 제1과정; 분리한 상기 조개살을 물로 1차 세척 및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2차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과정; 10-50㎛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 및 2차로 세척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는 제3과정; 및 1-10㎛ 필터로 상기 추출된 점액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제조방법은, 상기 제4과정 이후에, 사카로미세스속 세르비제 11201(Saccharomyces cervisiae 11201),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cillus plantarum)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제조방법은, 상기 제4과정 이후에, 동결건조장치로 20-40시간 건조 및 분쇄하여 파우더로 만드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진주조개에서 조개살을 분리한 다음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여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2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및 마스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진주조개에서 추출된 점액을 사카로미세스속 세르비제 11201(Saccharomyces cervisiae 11201),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cillus plantarum)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포증식률, 활성산소 소거활성, NO저해율이 있어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관련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및 마스크 등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이라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원료를 개발함으로써 한층 더 다양한 제품군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산업분야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NO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세포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세포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후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제조>
진주조개 점액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 진주조개는 사새목 키조개과의 키조개이나, 해당 진주조개를 키조개로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진주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연체동물 및 패류로 그 범위를 정할 수 있다.
먼저, 진주조개를 껍데기와 조개살을 분리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소금물을 이용하여 분리한 조개살을 1차 세척 및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2차 세척을 진행하였다.
1차 및 2차로 세척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기 위해 10-50㎛ 필터를 이용하여 점액을 추출하고, 추출된 점액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1-10㎛ 필터로 여과 작업을 진행하여 최종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은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발효액 제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수득한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이용하여 발효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 발효 균주는 해당 균주로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진주조개 점액을 발효할 수 있는 모든 발효산물로 그 범위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발효에 사용되는 균주로서, 효모의 일종인 사카로미세스속 세르비제 11201(Saccharomyces cervisiae 11201),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cillus plantarum) 중에서 단일 또는 혼합 균주를 사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한 후 120℃에서 15분간 살균하였다.
여기서, 발효시간은 1시간-30일 또는 2-15일이 될 수도 있고, 발효온도 또한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25-60℃ 또는 32-42℃가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상기 발효시간이나 발효온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3: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파우더 제조>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파우더는 실시예 1과 같이 수득된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동결건조장치(예로서, Operon사의 진공농축기)로 20-40시간 건조를 진행한 후 건조된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분쇄하여 분말을 채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을 통하여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에 대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새로운 원료로 사용 가능한 지 하기의 실험들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세포독성 실험(MTT assay)>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항산화, 항노화, 항염증 실험에 앞서, 먼저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독성실험의 목적은 앞으로 진행할 실험(항산화, 항노화, 항염증)에 적용할 시료의 적정 농도를 설정하는데 있다.
실험방법은 먼저, 사람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를 96 well-plate에 1 × 104cells/well이 되게 200ul 분주하고, 37℃, 5% CO2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에 대한 각각의 최종농도를 설정하여 세포에 처리하였으며,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이때, 각 시료당 농도별로 3개의 웰(Well)을 사용하였다.
이어, 3개의 웰에 MTT Assay Kit 10ul를 첨가하여 2시간 배양한 후 ELISA 판독기(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측정은 시료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세포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최종농도 5mg/ml에서는 83%의 독성을 보였으나 0.5-2.5mg/ml에서는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하기의 표 1에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항산화, 항노화, 항염증 실험을 위한 시료의 적정 농도(mg/ml) 결과를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2: 항노화 실험(세포 증식률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피부세포 재생촉진 및 활력강화 등 세포 활성촉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항노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 증식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방법은, 먼저, CO2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HDF를 10%FBS, 5%P/S(penicillin/Streptomycin)의 둘베코수정이글배지(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를 이용하여 웰(well)당 200ul씩 96well-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다음으로,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웰을 1회 세정(washing)한 후, FBS(Fetal Bovine Serum)가 1% 함유된 DMEM를 웰당 198ul씩 첨가하였다.
이어, 웰당 198ul의 배양액에서 자라고 있는 세포에 농도에 맞춰 시료를 2ul씩 처리하기 위해 시료원액(Stock solution)을 만든다.
예로서, 처리하고자 하는 시료의 농도가 10ug/ml일 경우, DMSO 용매를 이용하여 시료의 원액농도를 1mg/ml으로 만들면, 시료원액 2ul를 198ul 배양액에 처리할 경우 배양액 내에서 희석된 시료의 농도는 10ug/ml가 된다.
따라서 실험하고자 하는 각각의 농도에 맞게 시료원액을 만든 후 세포에 시료를 2ul씩 처리한다.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시료와 동량의 DMSO 2ul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48시간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1mM를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대조군과 시료가 처리된 배양액에 MTT Assay ki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10ul를 첨가하여 2시간 배양한 후 면역반응측정기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세포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흡광도 측정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농도의 시료 모두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보다 높은 세포증식률을 보였으며, 특히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 보다는 2배이상의 높은 세포증식률을 보였다. 따라서 세포 증식률 측정 결과 활성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피부세포 재생촉진 및 활력강화 등 세포 활성촉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이 높은 항노화 특성을 갖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기의 표 2에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시료의 농도별 세포 증식률을 수치로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2
<실험예 3: 항산화 실험(DPPH assay)>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은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프리 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수용성 물질로 515nm-520nm 부근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며, 특히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전자를 내어주면서 라디칼(DPPH)이 소멸되면서 탈색되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실험예 2는 DPPH 용액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시료가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될 시 제공할 수 있는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먼저, 시료를 농도별 DMSO에 녹여 준비한다.
다음으로, 180ul 1mM DPPH 용액과 농도별 시료를 20ul씩 섞은 200ul를 96well-plate에 옳긴 후 실온(25℃)에 10분동안 배양하였다.
블랭크(Blank)는 1mM DPPH 180ul에 메탄올(Methanol) 20ul를 혼합하였고,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은 아스코르브산(1mM, about 90% inhibition)을 처리하였다.
PPH 라디컬 소거능을 평가하는 흡광도 측정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로 520nm(또는 565nm)에서 측정하였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항산화 저해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시료 1-2.5mg/ml에서 55%의 항산화 효능을 보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은 항산화 활성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의 표 3에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시료의 농도별 항산화 활성도를 수치로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3
<실험예 4: 항염증 실험(NO assay)>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 중 하나로서 많은 병리 생리학적인 조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증이 진행되는 동안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과도하게 일어나게 되면 염증매개물질의 분비를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죽상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패혈증과 같은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는 대식세포의 감염초기에 반응하고 숙주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나, 과도한 LPS자극은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을 분비시킨다.
NO는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유도형NO생성효소(inducible NO synthase, iNOS)로부터 생산되며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하는 역할도 하지만, 과도한 생성은 염증을 유발시켜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및 신경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예 3은 NO assay kit을 이용하여 시료가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먼저, RAW cells을 5x105 cells/ml의 용량으로 24well-plate에서 24시간 배양하고, PBS 세정 후 새 배양액에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시료를 처리한다.
30분후, LPS를 20ng/ml의 용량으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는데, 이때, LPS는 음성대조군을 제외한 양성대조군 및 시료에만 처리한다.
이어, 배양액을 모은 후, 1/10으로 희석 후 키트 프로토콜(kit protocol)에 따라 실험을 진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의 NO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항염증 실험 결과, LPS에 의한 과도한 NO의 생성에 대하여 1-2.5mg/ml 농도에서 20%의 저해율이 있음을 보이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이 항염증에 대한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하기의 표 4에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시료의 농도별 항염증 활성도를 수치로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4
<실험예 5: 주름 및 피부 개선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추출된 진주조개 점액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실제적으로 인체의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하기의 응용예 4인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을 선정하여 한 달간 크림을 도포하여 사용 전과 후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중 하나의 응용예인 진주조개점액 크림의 사용 전 후의 사진으로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및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은 세포증식률, 활성산소 소거활성, NO저해율이 있어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관련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의 응용 예로서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및 마스크를 제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응용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용용예 1: 스킨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킨형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80-90중량%, 진주조개점액여과물 0.01-20중량%, 메칠글루세스-20 0.5-2중량%, 베타인 0.5-2중량%, 카보머 0.05-2중량%,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2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01-2중량%, 글리세린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5-5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케스터 오일 0.01-2중량%, 향료 0.01-1중량%, 페녹시에탄올 0.05-1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1-1중량%가 포함된다.
<용용예 2: 에센스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에센스형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70-85중량%, 진주조개점액여과물 0.01-20중량%, 카보머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1중량%, 잔탄검 0.1-0.5중량%, 피지지 32 0.5-5중량%, 글리세린 5-10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5중량%, 에탄올 1-5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1-1중량%, 페닐트리메치콘 0.1-1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0.5중량%, 페녹시에탄올 0.1-0.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5중량%가 포함된다.
<용용예 3: 로션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로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80-85중량%, 진주조개점액여과물 0.01-20중량%, 카보머 0.05-0.5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1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05-0.5중량%, 글리세린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중량%, 유동파라핀 5-1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1-3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1-3중량%, 폴리소베이트 80 0.1-3중량%, 스테아릭애씨드 0.1-3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1-1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1-1중량%가 포함된다.
<용용예 4: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70-75중량%, 진주조개점액여과물 0.01-20중량%, 카보머 0.05-0.5중량%, 글리세린 1-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1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05-0.5중량%, 스테아릭애씨드 0.5-1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5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5중량%, 폴리소베이트 60 0.5-1중량%,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5-10중량%, 유동파라핀 1-10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0.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5-0.5중량%, 향료 0.01-0.1중량%가 포함된다.
<용용예 5: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80-90중량%, 진주조개점액여과물 0.01-20중량%, 메칠글루세스-20 0.5-5중량%, 베타인 0.1-0.5중량%, 카보머 0.5-5중량%,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01-0.5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1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0.5중량%, 글리세린 1-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케스터 오일 0.1-0.5중량%, 향료 0.01-0.1중량%, 페녹시에탄올 0.1-0.5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1-0.1중량%가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및 마스크 등 다양한 제형으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진주조개에서 조개살을 분리한 다음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여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조개에서 추출된 점액을 사카로미세스속 세르비제 11201(Saccharomyces cervisiae 11201),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cillus plantarum)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조개에서 추출된 점액을 동결건조장치로 20-40시간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4. 진주조개를 껍데기와 조개살을 분리하는 제1과정;
    분리한 상기 조개살을 물로 1차 세척 및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2차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과정;
    10-50㎛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 및 2차로 세척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는 제3과정; 및
    1-10㎛ 필터로 상기 추출된 점액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 이후에,
    사카로미세스속 세르비제 11201(Saccharomyces cervisiae 11201),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cillus plantarum)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하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 이후에,
    동결건조장치로 20-40시간 건조 및 분쇄하여 파우더로 만드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하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제조방법.
  7. 진주조개에서 조개살을 분리한 다음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조개살로부터 점액을 추출하여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및 마스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조개에서 추출된 점액을 사카로미세스속 세르비제 11201(Saccharomyces cervisiae 11201),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cillus plantarum)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된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06334A 2018-01-18 2018-01-18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34A KR102039477B1 (ko) 2018-01-18 2018-01-18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34A KR102039477B1 (ko) 2018-01-18 2018-01-18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56A true KR20190088156A (ko) 2019-07-26
KR102039477B1 KR102039477B1 (ko) 2019-11-01

Family

ID=6746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334A KR102039477B1 (ko) 2018-01-18 2018-01-18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4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0162A (zh) * 2019-08-05 2019-11-08 广东荣辉珍珠养殖有限公司 一种珍珠贝母液蛋白活性成分的冷冻干燥保存方法
CN115364036A (zh) * 2022-08-31 2022-11-22 韩佛化妆品(湖州)有限公司 一种含有蜗牛发酵滤液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607485A (zh) * 2022-06-28 2023-01-17 银谷芳香科技有限公司 一种珍珠贝母粉玫瑰复合发酵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615332B1 (ko) 2023-09-13 2023-12-20 (주)케이에이치케미칼 피버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942A (ja) * 1997-02-21 1998-09-08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JP2001097845A (ja) * 1999-09-29 2001-04-10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アコヤ貝由来の化粧料原料
JP2004083451A (ja) * 2002-08-26 2004-03-18 Mikimo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KR20130107386A (ko) 2012-03-22 2013-10-02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달팽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326346B1 (ko) 2011-06-15 2013-11-12 인타글리오주식회사 달팽이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706567A (zh) * 2015-03-31 2015-06-17 广西还珠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从珍珠母贝的珍珠胎囊中提取珍珠胎囊液的方法及产品
KR20160020344A (ko) * 2014-08-13 2016-02-23 이경삼 달팽이 점액 여과물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677546B1 (ko) 2015-03-31 2016-11-18 신도바이오주식회사 Msm 및 달팽이 점액여과물을 포함하는 도포 타입의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0499A (ko)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942A (ja) * 1997-02-21 1998-09-08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JP2001097845A (ja) * 1999-09-29 2001-04-10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アコヤ貝由来の化粧料原料
JP2004083451A (ja) * 2002-08-26 2004-03-18 Mikimo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KR101326346B1 (ko) 2011-06-15 2013-11-12 인타글리오주식회사 달팽이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7386A (ko) 2012-03-22 2013-10-02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달팽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60020344A (ko) * 2014-08-13 2016-02-23 이경삼 달팽이 점액 여과물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720680B1 (ko) 2014-08-13 2017-03-28 이경삼 달팽이 점액 여과물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04706567A (zh) * 2015-03-31 2015-06-17 广西还珠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从珍珠母贝的珍珠胎囊中提取珍珠胎囊液的方法及产品
KR101677546B1 (ko) 2015-03-31 2016-11-18 신도바이오주식회사 Msm 및 달팽이 점액여과물을 포함하는 도포 타입의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0499A (ko)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0162A (zh) * 2019-08-05 2019-11-08 广东荣辉珍珠养殖有限公司 一种珍珠贝母液蛋白活性成分的冷冻干燥保存方法
CN115607485A (zh) * 2022-06-28 2023-01-17 银谷芳香科技有限公司 一种珍珠贝母粉玫瑰复合发酵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364036A (zh) * 2022-08-31 2022-11-22 韩佛化妆品(湖州)有限公司 一种含有蜗牛发酵滤液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364036B (zh) * 2022-08-31 2024-03-29 韩佛化妆品(湖州)有限公司 一种含有蜗牛发酵滤液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615332B1 (ko) 2023-09-13 2023-12-20 (주)케이에이치케미칼 피버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477B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477B1 (ko)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진주조개 점액 여과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7166B1 (ko) 헴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여드름 흉터개선,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재생, 피지억제용 조성물
KR101842700B1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0288A (ko) 흑효모로 발효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245A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US20240024224A1 (en) Anti-aging and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roccoli exosomes as active ingredient and functional cosmetics comprising same
KR101860352B1 (ko) 청호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5369B1 (ko) 식물 분말로 구성된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101578908B1 (ko)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활성을 갖는 대추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향장 원료
KR101825377B1 (ko) 드럼스틱나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1802B1 (ko) 갈근탕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43B1 (ko) 블루 로터스 및 아이슬란드 이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0747B1 (ko)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5005A (ko) 벼 발효물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6616B1 (ko) 쑥 발효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쑥 발효물의 유효성분 함량을 향상시키는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과 항노화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발효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KR10231542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9723B1 (ko) 황금연꽃바나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8868B1 (ko) 마이크로바이옴 병풀 발효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KR102465293B1 (ko) 술지게미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0480B1 (ko) 홍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KR102122475B1 (ko) 강황 잎,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