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426B1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5426B1 KR102315426B1 KR1020210054372A KR20210054372A KR102315426B1 KR 102315426 B1 KR102315426 B1 KR 102315426B1 KR 1020210054372 A KR1020210054372 A KR 1020210054372A KR 20210054372 A KR20210054372 A KR 20210054372A KR 102315426 B1 KR102315426 B1 KR 102315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extract
- cosmetic
- ski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피부 미백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를 화장 패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각질 제거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피부 미백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를 화장 패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각질 제거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피부 상재 유해균은 많은 피부 질환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피부 유해균의 종류에는 여드름균, 비듬균 등이 대표적이다. 여드름균은 일반적으로 호르몬과 외부적 영향에 의해 피지가 모낭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피부 모공이 막힌 경우 증식하여 여드름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피부는 항상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자연 노화 외에도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와 세균, 공해 등의 환경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는 직접적인 질병에 노출되어 있어 얼굴 외의 피부보다 노화가 쉽게 진행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거나 개선하고자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적이고 자연 지향적인 추세에 따라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성분들도 식물 유래의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천연 소재 개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천연 물질들의 항균, 항산화, 미백, 보습 및 피부노화 억제 효과 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며, 약모빌, 삼백초라고도 불린다. 어성초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생약재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Korean J. Food Preserv., 16(1): 122-127). 어성초의 활성과 관련하여, 어성초 헥산 추출물의 암세포 억제 효과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며, 항돌연변이 효과 (J Korean Soc. Food Nutr. 23: 916-921, 1994), 고지방, 고콜레스테롤혈증 쥐의 혈청 지질 및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30-1235, 1998) 등에 대하여 연구된 바 있으나, 실크 피브로인 성분 및 상백피, 당근 추출물 등의 다른 천연물과의 혼합 조건에 따른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피부 미백 활성이 우수하며, 상기 조성물을 화장 패드에 적용하여 사용 편의성 및 피부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패드"는 기초화장, 메이크업 또는 피부 클렌징에 이용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피부에 유수분을 전달할 수 있는 토너 등의 화장료, 또는 화장을 지우거나 노폐물, 각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 조성물 등이 흡수되거나 함침되어 있다. 상기 화장용 패드는 섬유 직포 또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화장료 조성물이 흡수 또는 함침되어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면 그 형태 또는 소재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화장품에 포함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화장용 패드에 함침시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패드에 흡수 또는 함침될 수 있는 리퀴드 형태의 제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면, 추출 방법이나 유효성분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원료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80 내지 9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 약초로써 약모밀 혹은 삼백초라고도 불리며,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이다. 어성초는 잎에서 특유의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생약재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어성초는 선행연구에 의해 항산화 작용, 해독 작용, 항염증 활성 등의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실제로 화장품 제조 등의 산업에서 원료로써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실크 피브로인 성분 및/또는 상백피, 당근 추출물 등의 다른 천연물과의 혼합 조건에 따른 피부 관련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상백피(mulberry root bark)는 뽕나무(Morus alba)의 뿌리껍질로 주피를 제거한 것을 말하며, 예로부터 항산화, 항염증 및 폐 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생약 중에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침, 천식 등의 병증을 다스리는 기능이 있고, 이뇨작용이 있어 초기 급성 신염, 허약성 부종, 유행성 간염 등에도 효과적이라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당근(Daucus Carota L.)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이며, 황적색의 다육질로서 국내에서는 전국 대비 생산량의 50% 이상이 제주도에서 생산되고 있다. 수분이 89% 정도이고, fructose, sucrose, glucose 등의 당질이 함유되어 있어 단맛을 낸다. 독특한 맛과 색을 지닌 당근은 식품학적으로 그 영양상의 특징에 대해서는 상당히 연구되었으나, 당근 추출물이 다른 화합물 또는 천연물과 혼합되어 피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어성초, 상백피, 및 당근은 직접 채취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은 누에에서 뽑아내는 실크의 주요 단백질 중 하나이다. 천연 누에의 실크 섬유는 중심부의 섬유상의 단백질 피브로인에 고무상 단백질 세리신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세리신을 완전히 제거하는 개선된 정제법이 보고되어, 누에 실크로부터 실크 피브로인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실크 피브로인은 인체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매우 유사하며, 체내의 면역 거부 반응 없이 창상 치유 효과를 보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실크 피브로인의 밀도 또는 결정화도에 따라 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 산소 및 수분 투과성, 염증 반응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화학 및 의학적 용도로의 응용이 활발하다. 그러나, 화장품 소재로서의 실크 피브로인의 활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며, 다른 천연 추출물과 함께 화장품학적인 응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크 피브로인 10 중량부를 기준으로, 어성초 잎 추출물 4 내지 7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0.1 내지 3 중량부, 및 당근 추출물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크 피브로인 10 중량부를 기준으로, 어성초 잎 추출물 5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 중량부, 및 당근 추출물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실크 피브로인 10 중량비를 기준으로, 어성초 잎 추출물 5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 중량부 및 당근 추출물 1 중량부로 혼합된 실시예의 조성물이, 상백피 추출물 또는 당근 추출물을 더 높은 중량부로 혼합한 비교예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 즉, 각 천연물의 함량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은 가장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는 각 구성의 함량비를 규명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익모초 추출물 및 창이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크 피브로인 1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익모초 추출물 1 중량부 및 창이자 추출물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익모초(Leonurus sibiricus)는 꿀풀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일본 등 각지에서 자생한다. 익모초의 전초는 한방에서 산후의 출혈, 월경불순에 사용하며, 종자는 월경불순, 시력 보호 목적으로 사용하는 등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민간 약재 중 하나이다. 익모초의 생리활성과 관련하여, 돌연변이 억제 효과, 간장 보호 효과, 항산화 효과 등에 대해서 연구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창이자(Xanthium sibir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인 도꼬마리의 열매로, 우리나라와 일본, 만주, 중국, 대만 등의 아시아와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되어 있다. 창이자의 약리 작용은 종양, 두통, 치통, 사지경련, 피부소양, 비염, 해열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익모초 및 창이자는 직접 채취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일정 중량부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익모초 추출물 및 창이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그 항균 활성은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미백 활성 및 각질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항균"은 세균 또는 진균의 생육 저해 작용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유해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는 혐기성 세균으로서, 그람 양성의 간균으로 크기는 0.3-1.3μm x 1-10μm이다. 모낭의 안쪽에서 성장하며,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호르몬의 작용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피지가 과다해지고, 그에 따라 모공의 각화를 유발하여 피지가 모공 밖으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피지 내에 존재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균주가 증식하면서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이 악화된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호기성균으로서, 외모낭이나 모낭의 중간에서 성장하며 비병원성으로 동물의 피부나 우유, cheese, 기타 양조물 등에서 분리된다. 원발성 피부질환 및 여드름 등을 속발성 악화시키는 원인균이다. 점액(slime) 생성능으로 인해 항생제로부터 균체를 보호하고, 숙주의 면역반응인 식균 작용을 막는다. 혈구 응집능을 억제하고 숙주의 면역계를 손상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적 항생제의 사용 없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균주와 같은 피부 유해균을 억제하여 여드름성 피부의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미백"은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는 멜라닌, 산화-환원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노이드 등 다양한 생체 분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완화시키고, 피부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켜 피부 밝기 및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피부 미백은 피부톤을 환하게 하여 명도를 높이는 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실험예 2),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용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용어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용 패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용 패드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화장용 패드의 외피층은 100 내지 300 mesh의 어성초 잎 분말이 침투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패드는 항균 활성 및 피부 미백 활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직접 손으로 도포하는 것에 비하여 화장용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각질 제거 및 피부 흡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사용 편의성 또한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성초 잎 추출물, 실크 피브로인, 상백피 추출물, 및 당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피부 미백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를 화장 패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각질 제거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의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잎, 상백피(mulberry root bark), 당근(Daucus Carota), 익모초(Leonurus sibiricus), 및 창이자(Xanthium strumarium)를 건조 후 100 내지 300 mesh로 분쇄하여 각 분말을 수득한 후, 80 내지 9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최적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혼합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크 피브로인 10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표 1의 중량비와 같이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어성초 잎 추출물 | 5 | 5 | 1 | 1 |
실크 피브로인 | 10 | 10 | 10 | 10 |
상백피 추출물 | 1 | 1 | 5 | 1 |
당근 추출물 | 1 | 1 | 1 | 5 |
익모초 추출물 | - | 1 | - | - |
창이자 추출물 | - | 1 | - | - |
실험예 1. 항균 활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항균 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균주로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은 300mg/L의 농도로 DMSO에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액체 배양된 2개 균주를 100μL씩 아가(agar) 플레이트 위에 균일하게 도말하고 멸균한 paper disk (diameter of 8mm)를 아가 플레이트 위에 놓는다. 각 조성물을 paper disk에 주입하여 확산 시킨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paper disk 주위에 clear zone의 크기(mm)를 활성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Clear zone (mm)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P. acnes | 14.8 | 16.4 | 10.5 | 12.6 |
S. epidermis | 18.1 | 19.7 | 11.9 | 15.4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실시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순으로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어성초 잎 추출물 또는 당근 추출물을 높은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 여드름 또는 피부염 유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으며, 익모초 추출물 및 창이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그 항균 활성은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성 피부의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험예 2. 미백 활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미백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0 melanoma 세포를 6-well cell culture plate에 8Х104 cells/well 농도로 10% FBS, 1% P/S가 첨가된 DMEM 배양액으로 24시간 배양하였다. 100μM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을 DMEM/Modified 배지에 희석하여 100nM α-MSH를 함유하는 DMEM/Modified 배지를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을 상기 DMEM/Modified 배지 (100nM α-MSH)에 25μg/ml, 및 50μg/ml로 희석하여 준비하여, 각 시료를 3mL씩 처리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48 내지 72시간 배양 후, 상층액은 96-well plate에 100μL씩 분주한 다음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외 멜라닌 유리량을 측정하였다. 남은 상층액은 제거 후 40℃에서 건조시킨 세포에 1N NaOH (10% DMSO)를 120μL를 첨가한 후 세포를 용해시키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96-well plate에 100μL씩 분주한 다음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멜라닌 양은 BCA법 (Bicinchronic acid assay)으로 구한 총 단백질 양과 합성 melanin standard curve로 보정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 (%) = 100 - [(시료 첨가군의 멜라닌 생성량/α-MSH 처리 대조군의 멜라닌 생성량) x 100]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순으로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크 피브로인 10 중량비를 기준으로, 어성초 잎 추출물 5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 중량부 및 당근 추출물 1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미백 활성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조예 2. 화장용 패드의 제조
하기 표 3에 따라 제조한 리퀴드 제형의 화장용 패드액을 제조하였다.
구분 | 함량 (중량%) |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 2 조성물 | 5.0 |
글리세린 | 2.0 |
부틸렌글라이콜 | 2.0 |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 0.05 |
정제수 | 잔량 |
합 | 100 |
각 패드액을 화장용 패드에 함침하여 화장용 패드를 제작하였다. 상기 화장용 패드는 외피층을 포함하며, 외피층에는 100 내지 300 mesh로 분쇄된 어성초 잎 분말이 포함되었다.
실험예 3. 관능평가
본 발명 화장용 패드액 또는 화장용 패드에 대한 관능평가는 3주간 20~50대의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상기 화장용 패드액 또는 화장용 패드를 1일 2회 안면 피부에 도포한 후, 3주 후 향, 각질 제거 효과, 피부 흡수 효과 및 전체적인 만족감에 대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의 화장용 패드액을 시험한 군의 경우, 리퀴드 제형의 화장용 패드액 자체를 손으로 도포하였으며, 화장용 패드 시험군은 화장용 패드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평점은 10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시험 제품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선호도 또는 만족감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실시예 1 화장용 패드액 |
실시예 1 화장용 패드 |
비교예 1 화장용 패드 |
비교예 2 화장용 패드 |
|
향 | 7.3 | 7.2 | 7.8 | 5.7 |
각질 제거 | 4.5 | 8.5 | 6.2 | 8.3 |
피부 흡수 | 6.1 | 8.8 | 8.4 | 7.2 |
전체 만족도 | 6.0 | 8.1 | 7.5 | 6.9 |
본 발명의 화장용 패드의 관능평가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화장용 패드를 이용한 시험군이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화장용 패드 시험군은 각질 제거 및 피부 흡수 효과에 대하여 우수한 평가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 화장용 패드의 경우, 각질 제거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 화장용 패드의 경우, 각질 제거 효과는 우수하나, 향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떨어진 바, 화장품으로서 향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화장용 패드액을 직접 손으로 도포한 시험군의 경우, 각질 제거 및 피부 흡수 효과가 화장용 패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고려하면, 실시예 1 조성물이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미백 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화장용 패드에 함침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실제 사용감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 또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 어성초 잎 추출물 4 내지 7 중량부, 실크 피브로인 10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0.1 내지 3 중량부, 당근 추출물 0.1 내지 3 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 중량부, 및 창이자 추출물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용 패드에 함침시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미백 활성 및 각질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용 패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4372A KR102315426B1 (ko) | 2021-04-27 | 2021-04-27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4372A KR102315426B1 (ko) | 2021-04-27 | 2021-04-27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5426B1 true KR102315426B1 (ko) | 2021-10-20 |
Family
ID=7826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4372A KR102315426B1 (ko) | 2021-04-27 | 2021-04-27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542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440B1 (ko) * | 2008-05-02 | 2015-01-19 | (주)아모레퍼시픽 |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
KR20180035794A (ko) * | 2015-07-30 | 2018-04-06 |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 액체 화장료 보유·공급용 패드 |
KR102125904B1 (ko) * | 2020-01-02 | 2020-06-23 | 김명곤 |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133268B1 (ko) * | 2020-04-10 | 2020-07-13 | (주)세림바이오테크 |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2193102B1 (ko) * | 2020-08-12 | 2020-12-18 | (주)메이커스뷰 |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214505B1 (ko) * | 2020-09-08 | 2021-02-10 |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 덜꿩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
-
2021
- 2021-04-27 KR KR1020210054372A patent/KR1023154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440B1 (ko) * | 2008-05-02 | 2015-01-19 | (주)아모레퍼시픽 |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
KR20180035794A (ko) * | 2015-07-30 | 2018-04-06 |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 액체 화장료 보유·공급용 패드 |
KR102125904B1 (ko) * | 2020-01-02 | 2020-06-23 | 김명곤 |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133268B1 (ko) * | 2020-04-10 | 2020-07-13 | (주)세림바이오테크 |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2193102B1 (ko) * | 2020-08-12 | 2020-12-18 | (주)메이커스뷰 |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214505B1 (ko) * | 2020-09-08 | 2021-02-10 |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 덜꿩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9786B1 (ko) |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16489B1 (ko) | 상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200134929A (ko) |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1184427B1 (ko) |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00581B1 (ko) |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20080101419A (ko) |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 |
KR102087976B1 (ko) |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80399B1 (ko) |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101415996B1 (ko) |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54446B1 (ko) |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09966191A (zh) | 一种金露梅花提取物及其新应用 | |
KR101954275B1 (ko) |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974502B1 (ko) |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15426B1 (ko)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56263B1 (ko) |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03918A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72990B1 (ko) | 골드키위 껍질 및 바나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71517B1 (ko) |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30004499A (ko) |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 |
KR101720741B1 (ko) | 떡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71577B1 (ko) |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03916A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25091B1 (ko) |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42460B1 (ko) | 타라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90911B1 (ko) | Lac 색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