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102B1 -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102B1
KR102193102B1 KR1020200101333A KR20200101333A KR102193102B1 KR 102193102 B1 KR102193102 B1 KR 102193102B1 KR 1020200101333 A KR1020200101333 A KR 1020200101333A KR 20200101333 A KR20200101333 A KR 20200101333A KR 102193102 B1 KR102193102 B1 KR 10219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ulberry leaf
silk fibroin
cosmetic composition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국
Original Assignee
(주)메이커스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커스뷰 filed Critical (주)메이커스뷰
Priority to KR102020010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뛰어난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ound healing and accelerating skin cell regeneration containing silk fibroin and mulberry leaf extracts}
본 발명은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자극이나 병원체의 칩입을 막고, 화학물질이나 햇볕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며 몸의 수분, 온도 등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이러한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 신체에서는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이 일어나며, 이는 지혈, 염증, 증식, 성숙의 4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증식 단계의 경우, 선유아세포 또는 섬유세포라고도 하는 섬유성 결합조직의 고유세포로서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섬유아세포가 관여하게 된다. 섬유아세포는 교원질 세포라고 불리는 콜라겐과 탄력섬유인 엘라스틴, 진피층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히알루론산 등 거의 모든 세포 사이 물질을 만들어 내며 상처 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피부 상처 치유 및 피부 세포 재생을 촉진하기 위해 종래에는 호르몬제 또는 화합물 제제를 이용한 치료법이 있었으나 이는 신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부작용이 적고 피부 상처 치유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7570호(등록일자: 2020.06.22)는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앱솔루트는 피부세포 수준에서 세포 증식과 이동 및 콜라겐 합성 유도효과를 통하여 우수한 피부 재생, 피부 탄력 증진 및 상처 치유 효과를 제공함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효과가 뛰어난 천연물의 추출물들을 발굴하고, 이들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은, 바람직하게 실크 피브로인 1,000 중량부 기준으로 뽕잎 추출물을 2~20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뽕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뛰어난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의 섬유아세포 이동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개선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A)는 군내 비교, B)는 군간 비교 결과이다. 도 2의 B)에서 변화율(%)는 (after-before)/before*100으로 계산한 값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손상 진정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A)는 군내 비교, B)는 군간 비교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결 개선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누에 고치에서 주로 뽑아내는 실크는 두 가지 주요 단백질인 피브로인(fibroin, 70~80%)과 당 단백질 세리신(sericin, 20~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크는 2가닥의 피브로인이 평행하게 배열하며, 이를 세리신이 피복하고 있는 구조로, 세리신을 제거하여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을 분리할 수 있다.
뽕잎은 뽕나무의 잎으로 콩 다음으로 단백질이 많은 재료로 엽채류에 속한다. 뽕잎은 단백질의 함량이 많고 59종의 유기성분으로 인해 항산화 기능, 모세혈관 강화와 혈전을 녹여주는 효능이 있고, 중풍 예방에도 좋으며 고혈압, 항균, 소염, 당뇨 등의 효능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은, 바람직하게 실크 피브로인 1,000 중량부 기준으로 뽕잎 추출물을 2~20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실크 피브로인 1,000중량부 기준으로 뽕잎 추출물을 20~20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뽕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용매추출법; 또는 초고압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일 예로,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뽕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올 또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은, 바람직하게 실크 피브로인과 상기 뽕잎 추출물을 정제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교반한 후 얻은 물질을 균질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하기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은 인간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능을 탁월하게 증진시킬 수 있고, 섬유아세포의 이동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상처 치유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에 뛰어난 효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능, 피부 손상 진정능 및 피부결 개선능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초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색조화장료 제형;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제조예 1 및 2 :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 제조]
뽕잎을 구입하여 분쇄한 후 분쇄물 200g을 70% 에탄올(Ethanol : D-H20 = 70 : 30(v/v)) 4L에 각각 넣고, 순환 추출기에서 6시간 동안 순환 추출하였다. 이후, 100 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물을 얻었다(제조예 1).
실크 피브로인은 일본 수입품(수입사 : Adan, 제품명 : Adan Hydrolysis silk fibroin)을 이용하였다(제조예 2).
[실시예 1 내지 3: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 제조]
뽕잎 추출물(제조예 1) 0.001~0.100g, 실크 피브로인(제조예 2) 50g, 정제수 949.9~949.999g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교반한 혼합액을 이용해서 4,000 rpm에서 30분 1차 균질화시키고, 고압유화기를 이용하여 1,000 bar의 압력으로 2차 균질화하여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안정하게 얻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하되,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을 다른 배합비로 배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은 표 1과 같았다.
구성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크 피브로인 - 5.01% 5.00% 5.00% 5.00%
뽕잎추출물 5.01% - 0.01% 0.10% 1.00%
정제수 rest rest rest rest rest
[실험예 1 :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의 세포 독성 및 증식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의 세포 독성 및 증식능을 MTT assay를 통해 평가하였다.
MTT assay란 노란색의 수용성 MTT 테트라졸륨(tetrazolium)을 세포에 처리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탈수소효소에 의해 테트라졸륨의 고리(ring) 구조가 끊어지면서 청자색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비수용성의 MTT 포르마잔(formazan) 결정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세포 독성 및 증식능 평가에 널리 사용하는 시험으로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Sigma, M5455)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 현탁액을 준비하고, 혈구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계수하였다. 세포는 페니실린 (100 IU/㎖), 스트렙토마이신 (100 ㎍/㎖), 10 % FBS를 함유하는 IMDM 배지를 첨가하여 1×104 cell/well 비율로 희석하였고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기존 배지를 제거한 후에 시험물질 검액 또는 양성대조군(hEGF, Sigma E9644) 100 ng/ml 함유한 배지를 처리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기존 배지를 제거한 후에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함유한 배지를 100 ㎕/well 처리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독성 및 증식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함유한 배지를 제거하고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은 DMSO로 용출시킨 후에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O.D. ; Optical density)값을 바탕으로 세포생존력(Cell viability)를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Student's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유의성 인정은 p<0.05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Figure 112020084989150-pat00001
상기와 같은 실험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에 각각을 0, 0.07, 0.15, 0.31, 0.63%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0.63% 이하 처리군에서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 모두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 특히, 비교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 0.31% 및 0.63% 처리군에서도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Group 처리농도 평균값 오차
음성대조군(무처리군) 0% 100.00 2.10
비교예 1 0.07% 94.54 6.23
0.15% 93.15 7.42
0.31% 92.96 9.02
0.63% 99.53 11.95
비교예 2 0.07% 99.93 1.25
0.15% 98.14 2.15
0.31% 100.93 3.26
0.63% 112.53 0.13
실시예 1 0.07% 92.23 7.44
0.15% 94.67 9.87
0.31% 96.30 10.02
0.63% 101.22 5.51
실시예 2 0.07% 101.93 2.55
0.15% 113.63 2.14
0.31% 121.85 4.06
0.63% 129.71 2.21
실시예 3 0.07% 115.14 3.24
0.15% 116.39 1.32
0.31% 120.46 4.59
0.63% 118.76 2.23
양성대조군(hEGF) 100 ng/ml 130.45 1.82
또한,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뽕잎 추출물(비교예 1) 또는 실크 피브로인(비교예 2)을 단독 처리할 때와 비교하여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을 첨가한 실시예 2 및 3의 경우, 세포 증식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 0.31%~5.00% 전 농도에서 세포증식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120% 이상 증가(p<0.01) 하였으며, 특히 0.63% 처리군에서는 양성대조군인 hEGF(100 ng/ml)와 유사한 수준인 130% 가량의 높은 세포 증식능을 나타내었다. 이에 하기에서는 세포 생존율 및 세포 증식능이 우수했던 실시예 2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Group 처리농도 평균값 오차
음성대조군(무처리군) 0% 100.00 2.10
비교예 1
0.31% 92.96 9.02
0.63% 99.53 11.95
1.25% 102.94 8.58
2.50% 121.12 7.00
5.00% 121.54 0.41
비교예 2
0.31% 100.93 3.26
0.63% 112.53 0.13
1.25% 106.40 4.88
2.50% 113.35 7.38
5.00% 78.37 9.53
실시예 1
0.31% 96.30 10.02
0.63% 101.22 5.51
1.25% 91.10 7.63
2.50% 78.95 4.81
5.00% 74.27 8.83
실시예 2
0.31% 121.85 4.06
0.63% 129.71 2.21
1.25% 125.62 3.20
2.50% 125.52 0.75
5.00% 121.58 0.70
실시예 3 0.31% 120.46 4.59
0.63% 118.76 2.23
1.25% 115.24 10.86
2.50% 113.84 6.93
5.00% 111.01 10.83
양성대조군(hEGF) 100 ng/ml 130.45 1.82
[실험예 2 :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의 상처 치유 효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의 상처 치유 효력을 평가하였다.
섬유아세포는 상처 부위로 이동하여 콜라겐 등의 육아조직 생산을 유도하여 상처를 치유하므로 섬유아세포의 이동능 평가를 통해 상처치유 효력을 확인하였다. 아래의 시험방법에 따라 안정화된 섬유아세포에 “긁힘-손상”을 유도한 후에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 현탁액을 준비하고, 혈구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계수하였다. 세포는 페니실린 (100 IU/㎖), 스트렙토마이신 (100 ㎍/㎖), 10 % FBS를 함유하는 IMDM 배지를 첨가하여 5×104 cell/well 비율로 희석하였고 24 well plate에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기존 배지를 제거한 후에 각각의 well에 P200 피펫 끝으로 “긁힘-손상”을 유도한 후, 탈락한 세포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였다. 시험물질 검액 또는 양성대조군(hEGF, Sigma E9644) 100 ng/ml 함유한 배지를 처리하였다.
세포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해 0시간대에 세포층의 이미지를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세포 이동능(Migration Area)은 사진상의 “긁힘-손상” 부위의 면적을 ImageJ software으로 분석하여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Student's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유의성 인정은 p<0.05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Figure 112020084989150-pat00002
상기와 같은 실험방법을 사용하여 우수한 세포 증식능이 확인된 실시예 2를 인간 섬유아세포에 0, 0.31, 0.63, 1.25%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세포가 이동한 면적을 분석하여 상처치유효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4 및 도 1과 같이 무처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0.63% 및 1.25% 농도 처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각각 약 250% 및 약 302%의 이동능이 증가하였다(p<0.01). 특히, 1.25% 농도 처리군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hEGF(100 ng/ml)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은 섬유아세포의 이동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처 치유 효력이 탁월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oup 처리농도 평균값 오차
Migration area average % of control
음성대조군(무처리군) 119865 100 11.83
실시예 2 0.31% 111264 92.82 27.25
0.62% 299098 249.53 3.58
1.25% 362243 302.21 5.54
양성대조군(hEGF) 100 ng/ml 352494 294.08 24.62
[실시예 4: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크림 제형)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일 예로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총 50가지 성분)은 하기 표 5 및 6과 같았다.
전성분 함량(%)
1 정제수 rest
2 실시예 2의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 복합물
10.00
3 글리세린 5.00
4 부틸렌글라이콜 4.00
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3.00
6 메틸글루세스-20 2.50
7 판테놀 2.00
8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9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0
1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2.00
11 마카다미아씨오일 1.50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00
13 세테아릴알코올 1.00
14 베타인 1.00
15 세라마이드엔피 0.30
16 시어버터 0.80
17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 0.50
18 돌콩단백질 0.50
19 수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 0.50
20 자일리톨 1.00
21 밀리타리스동충하초추출물 0.50
22 폴리글루타믹애씨드 0.50
23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00
24 접시꽃추출물 1.00
25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0
26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 0.10
27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0
28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10
29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10
3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0.10
31 메틸프로판다이올 1.00
3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0
33 C12-16알코올 0.60
34 팔미틱애씨드 0.10
35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80
36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10
37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0.50
38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10
39 카프릴릴글라이콜 0.10
전성분 함량
40 잔탄검 0.30
41 알란토인 0.10
42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0
43 트로메타민 0.10
44 에틸헥실글리세린 0.03
45 아데노신 0.04
46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10
47 1,2-헥산다이올 1.00
48 펜틸렌글라이콜 1.00
49 구주소나무잎오일 0.10
50 센티드제라늄꽃오일 0.10
[실험예 3 :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개선 효능, 피부 손상 진정 효능 및 피부결 개선 효능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개선능, 피부 손상 진정능 및 피부결 개선능을 확인하고자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1) 연구목적 및 평가기준
만 20~55세의 여성을 대상(표 7)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의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 및 손상 진정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제품 사용 전과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사용 1일 후, 사용 2주 후에 각 시험 항목을 측정하였고, 피부결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제품 사용 전과 사용 직후, 사용 2주 후에 시험 항목을 측정하였다. 시험 종료 후 유효성 및 기호도 설문조사를 완료하였다.
시험대상자 연령(n=21)
만 연령(세) 인원 수(명) %
20-29 1 4.545
30-39 2 9.091
40-49 11 50.000
50-55 7 31.818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의 1차 유효성 평가 변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 전후의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 및 손상 진정, 피부결 개선에 대한 측정값을 근거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의 2차 유효성 평가 변수는 시험제품 사용 후에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유효성 평가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평가하였다.
2) 1차 유효성 평가
2-1) 피부 장벽 개선 측정 결과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경표피 수분손실량) 측정은 Vapometer(Delfin Technologies Ltd., Finland)를 이용하였으며, 시험대상자의 왼쪽 전박부에 시험 부위 'T', 무도포 부위 'C'를 구획하여 SLS 자극 유발 전,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시험제품 사용 후에 동일한 전박부 부위를 측정하였다. 피부의 수분 보유능을 예측하고 피부 수분장벽기능(skin water barSBer function)의 지표가 되는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량(g/m2h)을 나타내며, 측정을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장벽(경표피 수분손실량)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피부 수분손실량(g/m2h) 값이 낮을수록 피부 장벽(경표피 수분손실량)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경표피 수분손실량)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표피 수분손실량(g/m2h)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8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부위와 무도포 부위 모두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와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유의하게 감소(p<0.025)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무도포 부위와 비교하여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대비 사용 2주 후에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
(Mean±SD)
구분 g/m2h
시험제품 무도포
SLS 자극 유발 전 8.713 ± 1.579 8.627 ± 1.831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24.635 ± 11.447 23.567 ± 9.749
사용 1일 후 22.475 ± 11.365 24.111 ± 13.081
사용 2주 후 7.695 ± 1.816 9.606 ± 1.809
개체 내 효과 검정 0.000## 0.000##
군내
비교
유의 확률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1일 후
0.076 0.639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2주 후
0.000## 0.000##
군간
비교
유의 확률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1일 후
0.105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2주 후
0.014
## : p<0.025(=5%/2) by Friedman test, post hoc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 p<0.05 by Independent t-test
2-2) 피부 손상 진정 측정 결과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손상 진정 측정은 Antera 3D CS(Miravex Ltd., Ireland)를 이용하여, 시험대상자의 왼쪽 전박부에 시험 부위 'T', 무도포 부위 'C'를 구획하여 SLS 자극 유발 전,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시험제품 사용 후에 동일한 전박부 부위를 Hemoglobin모드에서 촬영하였고, 촬영한 이미지를 Image-pro® plus(Media Cybernetic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미지의 각 구획한 부위에 특정 영역을 지정한 다음, 그 영역의 RGB값을 구한 후 CIELab값으로 변환시켰으며, 그 영역의 피부 붉은기(a*)를 평가하였다. 피부 붉은기(a*) 값이 감소할수록 피부 붉은기가 사라져 피부 진정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 붉은기(a*)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9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부위와 무도포 부위 모두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와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유의하게 감소(p<0.05)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무도포 부위와 비교하여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대비 사용 2주 후에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
(Mean±SD)
구분 a*
시험제품 무도포
SLS 자극 유발 전 5.544 ± 4.763 6.677 ± 5.189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23.218 ± 10.372 20.398 ± 9.882
사용 1일 후 19.956 ± 9.042 20.616 ± 11.371
사용 2주 후 7.746 ± 5.862 10.234 ± 5.328
개체 내 효과 검정 0.000** 0.000**
군내
비교
유의 확률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1일 후
0.470 1.000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2주 후
0.000** 0.000**
군간
비교
유의 확률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1일 후
0.481
SLS 자극 유발 24시간 후
- 사용 2주 후
0.015
** : p<0.05 by repeated measures ANOVA, post hoc Bonferroni correction
: p<0.05 by Independent t-test
2-3) 피부결 변화 측정 결과
피부결은 Antera 3D CS(Miravex Ltd., Irelan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 전후에 동일한 왼쪽 볼 부위를 촬영하였다. 저장된 이미지에서 볼 부위의 특정영역을 지정하여 피부결(texture)을 나타내는 모드에서 범위 내 피부의 평균 거칠기(Average roughness, Ra(A.U.))를 분석하였다.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피부결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 평균 거칠기(Ra)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10 및 도 4와 같이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사용 2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p<0.05)하였다.
(Mean±SD)
구분 Ra
사용 전 6.716 ± 1.451
사용 직후 6.398 ± 1.253
사용 2주 후 6.058 ± 1.121
개체 내 효과 검정 0.000**
군내
비교
유의
확률
사용전-사용 직후 0.001**
사용전-사용 2주 후 0.000**
** : p<0.05 by repeated measures ANOVA, post hoc Bonferroni correction
3) 2차 유효성 평가
3-1) 유효성 설문조사(Global Assessment of Efficacy)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 후 측정항목에 대하여 아주 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 나쁨(0)의 5단계로 직접 설문자료에 답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각 답변에 대한 시험대상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의 효능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1과 같이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에 도움,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손상 진정에 도움, 피부결 개선에 도움 항목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100.000%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4* 3* 2* 1* 0* 평균 표준
편차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에 도움 인원수 3 16 2 0 0 3.048 0.498
% 14.286 76.190 9.524 0.000 0.000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손상 진정에 도움 인원수 2 16 3 0 0 2.952 0.498
% 9.524 76.190 14.286 0.000 0.000
피부결 개선에 도움 인원수 6 13 2 0 0 3.190 0.602
% 28.571 61.905 9.524 0.000 0.000
*4: 아주 좋음, 3: 좋음, 2: 보통, 1: 나쁨, 0: 아주 나쁨
3-2) 제품 기호도 설문 조사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 후 제품 사용감에 대하여 시험대상자가 직접 설문자료에 답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피부 촉촉함, 매끄러움, 발림성, 흡수성, 향, 전반적 사용감에 대하여 아주 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 나쁨(0)의 5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2와 같이 피부 촉촉함, 매끄러움, 전반적 사용감 항목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100.000%가, 발림성, 흡수성 항목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95.238%가, 향 항목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90.476%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4* 3* 2* 1* 0* 평균 표준
편차
피부 촉촉함 인원수 8 11 2 0 0 3.286 0.644
% 38.095 52.381 9.524 0.000 0.000
매끄러움 인원수 8 11 2 0 0 3.286 0.644
% 38.095 52.381 9.524 0.000 0.000
발림성 인원수 8 9 3 1 0 3.143 0.854
% 38.095 42.857 14.286 4.762 0.000
흡수성 인원수 5 9 6 1 0 2.857 0.854
% 23.810 42.857 28.571 4.762 0.000
인원수 3 5 11 2 0 2.429 0.870
% 14.286 23.810 52.381 9.524 0.000
전반적 사용감 인원수 4 15 2 0 0 3.095 0.539
% 19.048 71.429 9.524 0.000 0.000
*4: 아주 좋음, 3: 좋음, 2: 보통, 1: 나쁨, 0: 아주 나쁨
3-3) 안정성 평가 결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부위에 대한 연구자 육안평가 결과와 시험대상자 설문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자가 평가한 결과, 시험대상자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홍반, 부종, 인설생성)에 대한 보고는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상에도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시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안정성 설문조사 결과에도, 피부 이상반응(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4) 결론
본 발명의 실크 피브로인과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1회 사용으로 피부결 개선에 도움되고, 2주 사용으로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의 피부 장벽 개선, 피부 손상 진정 및 피부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3)

  1.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은 실크 피브로인 1,000 중량부 기준으로 뽕잎 추출물을 20~20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며,
    피부 장벽 개선 효과, 피부 손상 진정 효과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개선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뽕잎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개선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01333A 2020-08-12 2020-08-12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33A KR102193102B1 (ko) 2020-08-12 2020-08-12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33A KR102193102B1 (ko) 2020-08-12 2020-08-12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102B1 true KR102193102B1 (ko) 2020-12-18

Family

ID=7404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333A KR102193102B1 (ko) 2020-08-12 2020-08-12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26B1 (ko) * 2021-04-27 2021-10-20 주식회사 알앤티컴퍼니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5336B1 (ko) * 2022-11-22 2023-10-06 변영미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한약재 발효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707A (ko) * 1997-07-18 1999-02-18 서경배 정제 상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의약품 조성물
KR20020065521A (ko) * 1999-12-09 2002-08-13 독립행정법인농업생물자원연구소 기능성 실크 피브로인의 제조법과 그 이용
KR20070114953A (ko) * 2006-05-30 2007-12-05 김수산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문제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35571A (ko) * 2014-06-12 2016-03-31 아단 씨오., 엘티디 가수분해 피브로인을 포함하는 연고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570B1 (ko) 2018-10-19 2020-06-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707A (ko) * 1997-07-18 1999-02-18 서경배 정제 상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의약품 조성물
KR20020065521A (ko) * 1999-12-09 2002-08-13 독립행정법인농업생물자원연구소 기능성 실크 피브로인의 제조법과 그 이용
KR20070114953A (ko) * 2006-05-30 2007-12-05 김수산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문제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35571A (ko) * 2014-06-12 2016-03-31 아단 씨오., 엘티디 가수분해 피브로인을 포함하는 연고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570B1 (ko) 2018-10-19 2020-06-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권세창 외 4명, "피브로인 미세구 첨가에 의한 3T3 섬유아 세포의 이동 촉진",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Vol. 33, No. 1, pp 7-13, 2018. *
권오준, "상엽(桑葉) 추출물의 미백활성 및 피부섬유구조 형성에 미치는 효과", Kor. J. Herbol.(대한본초학회지), Vol.31, no. 5, pp. 41-46, sep 2016.* *
김정숙, "상엽과 상지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자외선에 손상된 피부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9년 8월.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26B1 (ko) * 2021-04-27 2021-10-20 주식회사 알앤티컴퍼니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5336B1 (ko) * 2022-11-22 2023-10-06 변영미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한약재 발효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3641B (zh) 去头屑组合物和其使用方法
JP7275103B2 (ja)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KR101781556B1 (ko) 홍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3102B1 (ko)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8815081A (zh) 一种丝胶蛋白美白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102160980B1 (ko) 피부 피지 조절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426B1 (ko) 피부 미백 개선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0166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05485A (ko)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998085B2 (ja) ヒアルロン酸量増加促進剤
KR20170010499A (ko)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KR20100030453A (ko)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135551B1 (ko) 포름오노네틴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레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JP5855949B2 (ja) ケラチン産生促進剤、染毛用剤及びマニキュア用剤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1590A (ko) 황칠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958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8155B1 (ko) 천연 식물을 활용한 복합 기능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607476B (zh) 一种具有保湿抗氧化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