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904B1 -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904B1
KR102125904B1 KR1020200000461A KR20200000461A KR102125904B1 KR 102125904 B1 KR102125904 B1 KR 102125904B1 KR 1020200000461 A KR1020200000461 A KR 1020200000461A KR 20200000461 A KR20200000461 A KR 20200000461A KR 102125904 B1 KR102125904 B1 KR 10212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arts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곤
Original Assignee
김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곤 filed Critical 김명곤
Priority to KR102020000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니파야자 발효 추출물은 니파야자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제공하고, 항염증 효과 및 피부톤 개선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부작용 없이 가려움증을 억제할 수 있어 염증성 피부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ISEASE COMPRISING NIPA FRUTICANS EXTRACT}
본 발명은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자극이 없고, 염증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제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피부는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며, 유전, 염증, 양성 및 악성 종양, 호르몬, 외상 및 퇴행변성 등의 병적 변화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피부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가려움증이란 여러 피부질환의 두드러진 증상으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피부질환에는 옴, 이, 벌레물림, 두드러기, 염증성 피부질환, 건선, 피부 건조증, 노인 가려움증, 피부의 악성 림프종인 균상식육종 등을 들 수있다.
이 중 염증성 피부질환이란 피부 상피 내에 일련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자극 요인들로 인해 가려움, 부종, 홍반, 벗겨짐 등과 같은 일련의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며, 아토피성 피부염(atopic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유발원인이 아직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한 유전적 질환으로서, 그 발증과 악화에는 환경인자가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외에도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바이러스·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장 큰 고민사항은 가려움증, 염증 그리고 만성적 재발(Chronic relapsingdermatitis)이다. 가려움증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긁는다(scratch)'는 행위에 의해 가려움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재발되는 경향이 높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으로는 주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IgE, mast cells, eosinophils, lymphocytes에 의해 유도되는 알레르기성 염증) 및 피부의 방어기능의 저하(barrier dysfunction)를 들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염증성 피부질환에서 비롯된 가려움증은 신경섬유의 직접적 자극에 의한 것이거나, 히스타민을 제외한 화학적 매개체(TNF-α, ECP, MBP, IL-1, IL-2, IL-5 등)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에는 항히스타민제, 비타민 연고 또는 부신피질호르몬제와 같은 치료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약물은 그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부작용이 심한 경우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제공하고, 항염증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가려움증 및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KR 10-1847128 B1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자극이 없고, 가려움증을 완화하면서도 우수한 항염증효과, 보습 효과 및 피부톤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니파야자 발효 추출물은 니파야자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은, 상기 곰보배추와 고수 각각에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10~20중량배 가한 후, 이를 2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가열하여 여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근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당근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은, 상기 당근과 파슬리 각각에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10~20중량배 가한 후, 이를 2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가열하여 여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은, 커피생두의 추출물과 카카오콩 껍질 추출물 각각에 청국장을 혼합하고 발효하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 10~30중량부, 고수 추출물 10~3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30중량부, 파슬리 추출물 10~30중량부,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10~30중량부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제공하고, 항염증 효과 및 피부톤 개선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부작용 없이 가려움증을 억제할 수 있어 염증성 피부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피부톤 개선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또는 여드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염증성 피부질환 이외에도 건선, 습진 등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니파야자의 추출물은 종래 항염증,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니파야자 추출물의 단독 사용만으로는 충분한 항염증 효과를 부여할 수 없어 염증성 피부질환의 개선에 한계가 있으며, 피부톤의 개선 효과가 없어 질환 개선의 시각적 효과가 적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니파야자의 추출물을 발효한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항염증 효과를 현저히 높이는 것은 물론, 보습, 피부톤 개선의 효과 역시 현저히 높이는 것이다.
먼저,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에 대해 설명한다.
니파야자(학명 : NIPA FRUTICANS WURMB)는 인도,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및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이며, 맹그로브 지대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땅속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며, 잎은 지면에서 뭉쳐나고 광택이 있는 녹색을 띤다. 그리고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지면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데, 보통 10월에서 이듬해 6월 사이에 꽃대가 올라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니파야자의 꽃대 또는 꽃봉오리를 사용하여 추출 및 발효하는 것인데, 상기 꽃대 및 꽃봉오리에는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성분과 셀레늄, 그리고 각종 영양성분 및 항염증 성분이 다량 포함된다.
특히, 이러한 니파야자를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후, 발효할 경우 항염증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은, 니파야자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된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은 니파야자에 10~20중량배의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가한 후, 20~100℃에서 5~20시간 추출하여 제조한다. 또한,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니파야자를 절단하고, 절단된 니파야자를 자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여 함수율 10~20%가 되도록 한 후, 이를 100~20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이러한 분말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절단된 니파야자를 100℃의 끓는 물에 10~20분간 데친 후, 상기 데친 니파야자를 탈수하고, 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니파야자 추출물에 유산균을 105~108cfu/g의 농도로 접종하여 20~40℃, 습도 60~80%에서 1~4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 농축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건조한다. 이때, 여과, 농축,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종에 속하는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curvatus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종의 혼합균주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은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과 함께 사용할 경우 항염증 효과를 현저히 높이는 것은 물론, 특히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염증성 피부질환을 빠르게 개선하도록 돕는다.
상기 고수 추출물 역시 항염증 효과를 높여주며, 우수한 피부톤 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를 부여하여 염증성 피부질환을 빠르게 개선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은, 곰보배추와 고수 각각에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 10~20중량배를 가한 후, 이를 2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농축 또는 농축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은,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 10~30중량부, 고수 추출물 10~30중량부의 비로 사용 가능하나, 그 사용량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러한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곰보배추 추출물, 고수 추출물의 혼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10중량%만큼 포함될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곰보배추 추출물, 고수 추출물 이외에 당근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항염증, 가려움증 개선 및 피부톤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당근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은, 앞선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당근과 파슬리 각각에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10~20중량배 가한 후, 이를 2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가열하여 여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또는 농축 후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당근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은,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0~30중량부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항염, 각질 개선, 피부톤 개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피생두 발효추출물은, 커피생두에 10~2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20~100℃에서 5~20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커피생두 추출물에 청국장을 100:1~5 중량비 정도로 혼합하고, 온도 30~40℃, 습도 60~80%에서 1~4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 농축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건조한다. 여기서, 여과, 농축 또는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또한,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은, 카카오콩 껍질에 10~20중량배의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20~100℃에서 5~20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카카오콩 껍질 추출물에 청국장을 100:1~5 중량비 정도로 혼합하고, 온도 30~40℃, 습도 60~80%에서 1~4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 농축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건조한다. 여기서, 여과, 농축 또는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이때, 상기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은,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0~30중량부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 에멀젼, 가용화젤 제형일 수 있고, 예컨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보습크림, 영양크림, 팩, 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샴푸, 바디클렌저 또는 피부점착 타입 화장료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또는 pH 조절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유분, 계면활성제, 알코올,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또는 왁스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니파야자 꽃대를 채취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10cm 길이로 절단하였다. 5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함수율이 15%가 되도록 하고, 이를 100mesh 정도로 분쇄한 후, 이에 1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추출물에 유산균을 106cfu/g의 농도로 접종하여 25℃, 습도 60~80%에서 48시간 발효시킨 후,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하고,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종에 속하는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curvatus 종의 혼합균주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곰보배추의 전초에 1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고수의 전초에 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에 곰보배추 추출물 20중량부 및 고수 추출물 2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조된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에 당근 추출물 20중량부 및 파슬리 추출물 20중량부를 더 혼합하였다.
상기 당근 추출물은, 당근에 1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파슬리 추출물은, 파슬리 잎에 1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조된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에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20중량부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 2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 커피생두 발효추출물은, 커피생두에 1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이에 청국장을 10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온도 32℃, 습도 75%에서 48시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 및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발효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은 카카오콩 껍질에 1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이에 청국장을 10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온도 32℃, 습도 75%에서 48시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 및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발효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니파야자 꽃대를 채취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10cm 길이로 절단하였다. 5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함수율이 15%가 되도록 하고, 이를 100mesh 정도로 분쇄한 후, 이에 15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9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 및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발효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각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때, 염증성 인자로는 Nitrite(혹은 일산화 산소), IL-1β(인터루킨-1베타, interleukin-1beta), IL-6(인터루킨-6, interleukin-6), TNF-α(종양괴사인자-알파, 혹은 tumor necrosis factor-alpha)를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대식세포(macrophage)에 LPS(lipopolysaccharide)를 이용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여기에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의 일반적인 염증 지표들이 억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DEX(Dexamethasone)을 비교약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는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LPS로 염증 유도시 Nitrite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3의 처리로 인하여 증가했던 Nitrite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 2, 3,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LPS로 인한 염증 유도시 cytokine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3의 처리로 인하여 그 염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염증성 인자들의 억제효과가 우수하며, 항염증 성분으로 알려진 DEX보다 높은 수준의 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조예 1 내지 3)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로서,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의 배합비(중량%)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A상 정제수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EDTA.2Na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0 0.20 0.20
클로페네신 0.20 0.10 0.10
글리세린 5.00 5.00 5.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산탄검 1% 수용액 5.00 5.00 5.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934) 수용액 15.00 15.00 15.00
B상 LPL 4.00 4.00 4.00
스쿠알란 7.00 7.00 7.00
디메치콘 6cs 3.00 3.00 3.00
사이크로메치콘 3.00 3.00 3.00
폴리솔베이트60 2.00 2.00 2.00
솔비탄올레이트 0.50 0.50 0.50
Arlacel 165 1.00 1.00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0 1.00 1.00
스테아린산 1.00 1.00 1.00
프로필파라벤 0.10 0.10 0.10
C상
정제수 3.00 3.00 3.00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D상

실시예 1 5 - -
실시예 2 - 5 -
실시예 3 - - 5
향료 0.15 0.15 0.15
크림의 제조는 상기 표 1의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한 후, 상기 A상에 상기 B상을 투입, 유화시켰다(유화조건: 2000rpm, 10분). 다음으로, C상을 고르게 섞은 후, 이를 80℃에서 상기 A상과 B상의 유화물에 투입하여, 중화시켰다.(중화조건: 2000rpm, 10분) 그리고 상기 중화시킨 중화물을 냉각시켜 40℃에 도달하면 D상을 투입하여 고르게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켰다.
(비교제조예 1)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을 대신하여 비교예 1을 혼합하였다.
(대조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을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예 2)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시험을 위해 상기 제조예들에서 제형한 화장료 조성물을 불투명 초자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품의 변색 정도는 다음 6등급 (0 :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4: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들은 모두 변색 및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0등급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시험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20~30세 성인 30명을 5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 당 제조예 1 내지 3, 비교제조예 1, 대조군의 크림을 제공하였다. 각 크림은 하루 2회에 걸쳐 환부에 충분히 도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30일 후, 아토피성 피부염, 가려움증, 보습, 전체적인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9점 척도(1점은 매우 악화됨, 9점은 매우 개선됨)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아토피성 피부염 가려움증 보습 전체적인 만족도
제조예 1 7.8 7.5 7.6 7.7
제조예 2 8.0 8.1 8.0 8.0
제조예 3 8.2 8.4 8.3 8.3
비교제조예 1 5.6 6.0 6.1 5.9
대조군 3.1 3.5 3.2 3.4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 내지 3은 비교제조예 1 및 대조군에 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지루성 피부염에 대한 시험
시험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지루성 피부염이 있는 20-40대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시험예 4 결과
구분 지루성 피부염 가려움증 보습 전체적인 만족도
제조예 1 7.0 7.1 7.2 7.1
제조예 2 7.2 7.3 7.3 7.2
제조예 3 7.5 7.6 7.5 7.5
비교제조예 1 5.4 5.6 5.8 5.6
대조군 3.0 3.3 3.0 2.9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 내지 3은 비교제조예 1 및 대조군에 비하여 지루성 피부염에 대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시험
시험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접촉성 피부염이 있는 20-40대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시험예 5 결과
구분 접촉성 피부염 가려움증 보습 전체적인 만족도
제조예 1 8.2 7.5 7.7 7.8
제조예 2 8.4 7.6 7.9 8.0
제조예 3 8.5 7.9 8.2 8.4
비교제조예 1 5.5 5.6 5.5 5.5
대조군 3.0 3.4 3.1 3.0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 내지 3은 비교제조예 1 및 대조군에 비하여 접촉성 피부염에 대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6)
여드름에 대한 시험
시험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여드름이 있는 10대 청소년 15명 및 성인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시험예 6 결과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대조군
여드름 6.9 7.2 7.4 5.1 2.0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 내지 3은 비교제조예 1 및 대조군에 비하여 여드름에 대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7)
피부톤 개선 시험
20~40대의 건강한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4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제조예 1의 제형을 주고 안면 전체에 고르게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한 후, 4주 후 크로마미터(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L)를 측정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나타내었으며, 피부톤 개선 정도는 각 군의 평균치를 기재하였다.
시험예 7 결과
구분 피부톤 개선 정도(△L)
제조예 1 3.6
제조예 2 4.0
제조예 3 4.2
비교제조예 1 2.2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제조예 1이 가장 낮은 피부톤 개선 효과를 보였고, 제조예 1 내지 3은 비교제조예 1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곰보배추 추출물, 고수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니파야자 발효 추출물은 니파야자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당근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은,
    상기 당근과 파슬리 각각에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10~20중량배 가한 후, 이를 2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가열하여 여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 및 고수 추출물은,
    상기 곰보배추와 고수 각각에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10~20중량배 가한 후, 이를 2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가열하여 여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은,
    커피생두의 추출물과 카카오콩 껍질 추출물 각각에 청국장을 혼합하고 발효하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파야자 발효추출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 10~30중량부, 고수 추출물 10~3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30중량부, 파슬리 추출물 10~30중량부, 커피생두 발효추출물 10~30중량부 및 카카오콩 껍질 발효추출물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00461A 2020-01-02 2020-01-02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61A KR102125904B1 (ko) 2020-01-02 2020-01-02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61A KR102125904B1 (ko) 2020-01-02 2020-01-02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904B1 true KR102125904B1 (ko) 2020-06-23

Family

ID=7113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461A KR102125904B1 (ko) 2020-01-02 2020-01-02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26B1 (ko) * 2021-04-27 2021-10-20 주식회사 알앤티컴퍼니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6031A (ja) * 1995-12-28 1997-07-08 Shiseido Co Ltd コエンドロ抽出物の使用
KR20010103847A (ko) * 2000-04-26 2001-11-24 한수길 항산화 활성을 갖는 카카오 콩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10078672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8984A (ko) * 2010-06-22 2011-12-28 배승강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4284A (ko) * 2013-04-13 2013-05-02 김기선 청국장을이용한기능성커피발효제조방법
KR20160121293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194B1 (ko) * 2016-07-12 2017-02-27 주식회사 토디팜코리아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음료첨가물용 조성물
KR101749690B1 (ko) * 2016-11-18 2017-06-23 (주)유알지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847128B1 (ko) 2016-11-16 2018-04-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3567A (ko) * 2016-10-20 2018-04-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605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버디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5585B1 (ko) * 2017-06-20 2018-12-05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커피생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6031A (ja) * 1995-12-28 1997-07-08 Shiseido Co Ltd コエンドロ抽出物の使用
KR20010103847A (ko) * 2000-04-26 2001-11-24 한수길 항산화 활성을 갖는 카카오 콩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10078672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8984A (ko) * 2010-06-22 2011-12-28 배승강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4284A (ko) * 2013-04-13 2013-05-02 김기선 청국장을이용한기능성커피발효제조방법
KR20160121293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194B1 (ko) * 2016-07-12 2017-02-27 주식회사 토디팜코리아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음료첨가물용 조성물
KR20180043567A (ko) * 2016-10-20 2018-04-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605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버디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7128B1 (ko) 2016-11-16 2018-04-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0B1 (ko) * 2016-11-18 2017-06-23 (주)유알지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25585B1 (ko) * 2017-06-20 2018-12-05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커피생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26B1 (ko) * 2021-04-27 2021-10-20 주식회사 알앤티컴퍼니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43B1 (ko) 호호바씨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101000695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의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5904B1 (ko)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7071B1 (ko)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60810B1 (ko) 블랙커런트 열매와 아로니아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010235B1 (ko)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0628B1 (ko) 블랙베리 및 크랜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47128B1 (ko)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050014947A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4291B1 (ko) 흑미, 검정콩, 검정참깨, 익모초, 창포, 도엽 및 마치현의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