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337A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위한 ecae 재료 - Google Patents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위한 ecae 재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3337A KR20190083337A KR1020197015140A KR20197015140A KR20190083337A KR 20190083337 A KR20190083337 A KR 20190083337A KR 1020197015140 A KR1020197015140 A KR 1020197015140A KR 20197015140 A KR20197015140 A KR 20197015140A KR 20190083337 A KR20190083337 A KR 201900833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cae
- aluminum alloy
- aluminum
- temperature
- mp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53—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0—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02—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by rapid cooling or quenching; cooling agents used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43—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47—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57—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01—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to improve the material properties, e.g. lateral extr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02—Extrud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extruding methods of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 본 방법은 0.1 중량% 이상의 농도의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재료를 등통로각 압출(ECAE) 공정을 거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평균 입도가 약 0.2 μm 내지 약 0.8 μm이고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5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생성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1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824,149호, 및 또한 2016년 12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29,201호 및 2017년 5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03,11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높은 항복 강도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높은 항복 강도를 가지며 전자 장치를 위한 케이스 또는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및 휴대용 전자 장치를 위한 고강도 알루미늄 케이스 또는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방법이 또한 기술된다.
랩톱 컴퓨터, 휴대 전화, 및 휴대용 음악 장치와 같은 소정 휴대용 전자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의 일반적인 경향이 있다. 장치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 또는 인클로저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상응하는 요구가 있다. 일례로서, 소정 휴대 전화 제조자는 전화 케이스의 두께를, 예를 들어, 약 8 mm에서 약 6 mm로 감소시켰다. 장치 케이스의 크기, 예를 들어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특히 장치 케이스의 휨(deflection)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용 동안 그리고 미사용시 보관 동안 둘 모두에 장치를 구조적 손상의 증가된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정상적인 사용 동안 그리고 미사용시 보관 동안 장치에 기계적 응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를 취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바지 뒷주머니에 휴대 전화를 넣고 앉으면 전화에 기계적 응력이 가해져 장치가 균열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또는 소성 휨, 덴트(dent), 및 임의의 다른 유형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치 케이스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본 방법은, 0.1 중량% 이상의 농도의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재료를 약 400℃ 내지 약 550℃의 온도에 처하게 하여 가열된 알루미늄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용체화된(solutionized) 알루미늄 재료를 대략 실온 미만으로 담금질하여 냉각된 알루미늄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냉각된 알루미늄 재료를 약 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알루미늄 합금을 등통로각 압출(equal channel angular extrusion, ECAE) 공정을 거치게 하여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은 평균 입도(average grain size)가 직경 약 0.2 μm 내지 약 0.8 μm이고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초과이다.
0.1 중량% 이상의 농도의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재료를 포함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재료가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재료는 평균 입도가 직경 약 0.2 μm 내지 약 0.8 μm이고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초과이다.
다수의 실시 형태가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 아닌 사실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도 1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고강도 금속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샘플 등통로각 압출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열처리를 겪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예시적인 재료 변화의 흐름 경로의 개략도.
도 7은 알루미늄 합금에서 브리넬 경도(Brinell hardness) 대 항복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8은 알루미늄 합금에서 자연 시효 시간 대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9는 열기계적 가공을 위해 제조된 샘플 재료의 다양한 배향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이미지.
도 12a 및 도 1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에서 재료 온도 대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에서 가공 온도 대 인장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6은 압출 통과 횟수 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얻어진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7은 압출 통과 횟수 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얻어진 인장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8은 다양한 가공 경로 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얻어진 인장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사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사진.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에서 어닐링 온도 대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2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고강도 금속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샘플 등통로각 압출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열처리를 겪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예시적인 재료 변화의 흐름 경로의 개략도.
도 7은 알루미늄 합금에서 브리넬 경도(Brinell hardness) 대 항복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8은 알루미늄 합금에서 자연 시효 시간 대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9는 열기계적 가공을 위해 제조된 샘플 재료의 다양한 배향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이미지.
도 12a 및 도 1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에서 재료 온도 대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에서 가공 온도 대 인장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6은 압출 통과 횟수 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얻어진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7은 압출 통과 횟수 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얻어진 인장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8은 다양한 가공 경로 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얻어진 인장 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사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의 사진.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합금에서 어닐링 온도 대 브리넬 경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높은 항복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Al)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50 MPa인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적어도 하나의 부성분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0.1 중량% 이상의 농도의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Mg), 망간(Mn), 규소(Si), 구리(Cu), 및/또는 아연(Zn)과 잔부의 알루미늄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알루미늄은 약 70 중량% 초과, 약 80 중량% 초과, 또는 약 90 중량% 초과의 중량 백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등통로각 압출(ECAE)에 의한 것을 포함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소정 열처리 공정과 조합된 등통로각 압출(ECAE)에 의한 것을 포함하는,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5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장식용으로 매력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에는 황색 또는 누르스름한 색이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아연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2.0 중량% 내지 7.5 중량%, 약 3.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약 4.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범위의 아연; 및 0.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약 1.0 중량% 내지 3.0 중량%, 약 1.3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의 마그네슘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Al 7xxx 시리즈의 합금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아연-대-마그네슘 중량 비가 약 3:1 내지 약 7:1 약 4:1 내지 약 6:1 또는 약 5:1인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고 제한된 농도의 구리(Cu)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는 약 1.0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2 중량% 미만, 0.1 중량% 미만, 또는 0.05 중량% 미만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항복 강도가 약 400 MPa 내지 약 650 MPa, 약 420 MPa 내지 약 600 MPa, 또는 약 440 MPa 내지 약 580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Al 7xxx 시리즈의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으며, 직경이 약 1 μm 미만인 서브-마이크로미터(submicron) 입도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도는 약 0.2 μm 내지 약 0.8 μm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규소를 함유하는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마그네슘의 농도가 1.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마그네슘의 농도가 약 0.3 중량% 내지 약 3.0 중량%, 0.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범위일 수 있으며 규소의 농도가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또는 0.4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Al 6xxx 시리즈 합금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00 MPa, 약 350 MPa 내지 약 600 MPa, 또는 약 400 MPa 내지 약 550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구리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약 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6.5 중량%의 범위의 농도의 구리를 함유하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Al 2xxx 시리즈 합금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50 MPa, 약 350 MPa 내지 약 600 MPa, 또는 약 350 MPa 내지 약 550 MPa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망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약 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약 1.0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또는 약 4.0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의 범위의 농도의 마그네슘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또는 약 0.2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범위의 농도의 망간을 함유하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Al 3xxx 시리즈 또는 Al 5xxx 시리즈 합금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550 MPa, 약 350 MPa 내지 약 500 MPa, 또는 약 400 MPa 내지 약 500 MPa일 수 있다.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100)이 도 1에 나타나 있다. 방법(100)은 단계(110)에서 시재료(starting material)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료가 빌렛(billet) 형태로 주조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료는, 방법(100) 동안 알루미늄과 합금되어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할 첨가제, 예를 들어 다른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알루미늄-아연 합금과 같은,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표준 주조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또는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표준 주조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형성 후에,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선택적으로 단계(112)에서 균질화 열처리를 거칠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는 이후의 단계에서 알루미늄의 열간 가공성(hot workability)을 개선하기 위해 적합한 시간 동안 실온보다 높은 적합한 온도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을 유지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의 온도 및 시간은 특정 합금에 특별히 맞추어질 수 있다. 온도 및 시간은, 부성분이 알루미늄 재료 전체에 걸쳐 분산되어 용체화된 알루미늄 재료를 형성하도록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성분은 용체화된 알루미늄 재료가 실질적으로 균질하도록 알루미늄 재료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균질화 열처리에 적합한 온도는 약 3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는, 보통 미세 및 거대편석(micro and macro segregation)을 갖는 수지상(dendritic)인 주조된 그대로의 미세구조의 크기 및 균질성을 개선할 수 있다. 빌렛의 구조적 균일성 및 후속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소정 균질화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균질화 열처리는 침전이 균질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속 가공 동안 더 높은 달성가능한 강도 및 더 우수한 침전물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균질화 열처리 후에,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단계(114)에서 용체화를 거칠 수 있다. 용체화의 목적은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또는 아연과 같은 첨가제 원소를 알루미늄 재료 내에 용해시켜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것이다. 적합한 용체화 온도는 약 400℃ 내지 약 550℃, 약 420℃ 내지 약 500℃, 또는 약 450℃ 내지 약 480℃일 수 있다. 용체화는 빌렛의 크기, 예를 들어 단면적에 기초하여 적합한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체화는 빌렛의 단면에 따라 약 30분 내지 약 8시간, 1시간 내지 약 6시간, 또는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용체화는 450℃ 내지 약 480℃에서 최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용체화 후에는 단계(116)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담금질이 이어질 수 있다. 표준 금속 주조의 경우, 주조편(cast piece)의 열처리는 종종 주조편의 고상선 온도(solidus temperature) 부근에서 수행(즉, 용체화)되며, 그 후에 주조편을 대략 실온 이하로 담금질함으로써 주조편을 신속하게 냉각시킨다. 이러한 신속한 냉각은 주조편 내에 용해된 임의의 원소를 실온에서 알루미늄 합금 내의 그 원소의 평형 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로 유지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단계(1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 빌렛이 담금질된 후에 그리고 ECAE 공정 전에 시효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시효는 1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1단계 열처리는 약 8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0.25시간 내지 약 4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효는 2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처리 단계는 약 80℃ 내지 약 100℃,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8℃ 내지 약 92℃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약 50시간, 약 8시간 내지 약 40시간, 또는 약 10시간 내지 약 2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열처리 단계는 약 100℃ 내지 약 170℃, 약 100℃ 내지 약 160℃, 또는 약 11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약 100시간, 약 35시간 내지 약 60시간, 또는 약 40시간 내지 약 45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는 약 90℃에서 약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단계는 약 115℃에서 약 40시간 이하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시효 열처리 단계는 제2 인공 시효 열처리 단계가 수행되는 온도 및 지속 기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그리고 더 적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시효 열처리 단계는 알루미늄 합금을 피크 경도로 시효(즉, 피크 시효)시키는 데 적합한 조건 이하인 온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 빌렛은 단계(1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등통로각 압출(ECAE)과 같은 강소성 변형(severe plastic deformation)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빌렛을 ECAE 장치에 통과시켜 알루미늄 합금을 정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빌렛으로서 압출할 수 있다. ECAE 공정은 압출되는 특정 알루미늄 합금의 용체화 온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의 ECAE는 약 0℃ 내지 약 200℃, 약 20℃ 내지 약 150℃, 또는 약 20℃ 내지 약 125℃, 또는 대략 실온,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압출 동안, 압출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및 압출 다이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전체에 걸쳐 일관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압출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압출 공정 동안 알루미늄 합금 재료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다이가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 공정은 ECAE 장치를 통한 1회의 통과, 2회 이상의 통과, 또는 4회 이상의 압출 통과를 포함할 수 있다.
ECAE에 의한 강소성 변형 후에, 추가로 알루미늄 합금 특성을 맞추고/맞추거나 알루미늄 합금의 형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은 선택적으로 단계(122)에서 압연과 같은 추가의 소성 변형을 겪을 수 있다. 냉간 가공(예를 들어, 신장(stretching))은 특정 형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합금 빌렛을 응력 완화(stress relief) 또는 스트레이트닝(straightening)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이 플레이트인 플레이트 응용의 경우, 알루미늄 합금을 형상화하기 위해 압연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방법(200)은 단계(210)에서 시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10)는 도 1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계(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시재료는 알루미늄-아연 합금과 같은,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재료에 대한 표준 주조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알루미늄 재료 빌렛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또는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표준 주조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시재료는 선택적으로 단계(212)에서 균질화 열처리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균질화 열처리는 알루미늄의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실온보다 높은 적합한 온도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을 유지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 온도는 300℃ 내지 약 500℃의 범위일 수 있으며, 특정 알루미늄 합금에 특별히 맞추어질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 후에,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선택적으로 단계(214)에서 제1 용체화를 거칠 수 있다. 용체화의 목적은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또는 아연, 아연마그네슘과 같은 첨가제 원소를 용해시켜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것이다. 적합한 제1 용체화 온도는 약 400℃ 내지 약 550℃, 약 420℃ 내지 약 500℃, 또는 약 450℃ 내지 약 480℃일 수 있다. 용체화는 빌렛의 크기, 예를 들어 단면적에 기초하여 적합한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체화는 빌렛의 단면에 따라 약 30분 내지 약 8시간, 1시간 내지 약 6시간, 또는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용체화는 450℃ 내지 약 480℃에서 최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제1 용체화 후에는 단계(216)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담금질이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신속한 냉각은 주조편 내에 용해된 임의의 원소를 실온에서 알루미늄 합금 내의 그 원소의 평형 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로 유지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 빌렛이 담금질된 후에, 단계(218)에서 시효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시효는 1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1단계 열처리는 약 8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0.25시간 내지 약 4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시효는 2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열처리 단계는 약 80℃ 내지 약 100℃,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8℃ 내지 약 92℃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약 50시간, 약 8시간 내지 약 40시간, 또는 약 8시간 내지 약 2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열처리 단계는 약 100℃ 내지 약 170℃, 약 100℃ 내지 약 160℃, 또는 약 11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약 100시간, 약 35시간 내지 약 60시간, 또는 약 40시간 내지 약 45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는 약 90℃에서 약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단계는 약 115℃에서 약 40시간 이하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시효 열처리 단계는 제2 인공 시효 열처리 단계가 수행되는 온도 및 지속 기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그리고 더 적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시효 열처리 단계는 알루미늄 합금을 인공 시효시키는 데 적합한 조건 이하인 온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16)에서 담금질 후에, 또는 단계(218)에서 선택적인 시효 후에, 알루미늄 합금은 단계(220)에서 ECAE 공정과 같은 제1 강소성 변형 공정을 거칠 수 있다. ECAE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빌렛과 같은 특정 형상으로 ECAE 장치를 통해 알루미늄 합금 빌렛을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러한 제1 ECAE 공정은 균질화 열처리보다 낮지만 알루미늄 합금의 인공 시효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러한 제1 ECAE 공정은 약 100℃ 내지 약 400℃, 또는 약 150℃ 내지 약 300℃, 또는 약 200℃ 내지 약 2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ECAE 공정은 합금의 미세구조를 미세화하고 균질화할 수 있으며, 용질 및 미세편석(microsegregation)의 더 양호하고 더욱 균일한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러한 제1 ECAE 공정은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300℃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약 300℃보다 높은 온도에서 알루미늄 합금을 가공하는 것은 주조 결함의 치유 및 침전물의 재분포에 대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 굵은 입도를 또한 야기할 수 있으며, 가공 조건에서 구현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압출 공정 동안, 압출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및 압출 다이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전체에 걸쳐 일관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압출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압출 공정 동안 알루미늄 합금 재료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다이가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ECAE 공정은 1회, 2회 이상, 또는 4회 이상의 압출 통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강소성 변형 후에, 알루미늄 합금은 선택적으로 단계(222)에서 제2 용체화를 거칠 수 있다. 제2 용체화는 제1 용체화와 유사한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용체화는 제1 용체화와 상이한 온도 및/또는 지속 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적합한 제2 용체화 온도는 약 400℃ 내지 약 550℃, 약 420℃ 내지 약 500℃, 또는 약 450℃ 내지 약 480℃일 수 있다. 제2 용체화는 빌렛의 크기, 예를 들어 단면적에 기초하여 적합한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용체화는 빌렛의 단면에 따라 약 30분 내지 약 8시간, 1시간 내지 약 6시간, 또는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용체화는 약 450℃ 내지 약 480℃에서 최대 8시간 동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제2 용체화 후에는 담금질이 이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용체화 및/또는 담금질 후에, 단계(226)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선택적으로 ECAE 공정과 같은 제2 강소성 변형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ECAE 공정은 단계(220)의 제1 ECAE 공정에서 사용되는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ECAE 공정은 0℃ 초과 및 200℃ 미만, 또는 약 20℃ 내지 약 125℃, 또는 약 20℃ 내지 약 100℃, 또는 대략 실온,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압출 동안, 압출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및 압출 다이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전체에 걸쳐 일관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압출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압출 공정 동안 알루미늄 합금 재료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다이가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ECAE 공정은 ECAE 장치를 통한 1회의 통과, 2회 이상의 통과, 또는 4회 이상의 압출 통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이 ECAE 와 같은 제2 강소성 변형 단계를 거친 후에, 선택적으로 제2 시효 공정이 단계(228)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시효는 1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1단계 열처리는 약 8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0.25시간 내지 약 4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시효는 2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열처리 단계는 약 80℃ 내지 약 100℃,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8℃ 내지 약 92℃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약 50시간, 약 8시간 내지 약 40시간, 또는 약 8시간 내지 약 2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열처리 단계는 약 100℃ 내지 약 170℃, 약 100℃ 내지 약 160℃, 또는 약 11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약 100시간, 약 35시간 내지 약 60시간, 또는 약 40시간 내지 약 45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효 단계는 약 90℃에서 약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시효는 약 115℃에서 약 40시간 이하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단계는 알루미늄 합금을 피크 경도로 인공 시효(즉, 피크 경도)시키는 데 적합한 조건 이하인 온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200) 후에, 알루미늄 합금의 형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은 압연과 같은 추가의 소성 변형을 선택적으로 겪을 수 있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300)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300)은 단계(310)에서 시재료를 주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료가 빌렛 형태로 주조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료는, 방법(310) 동안 알루미늄과 합금되어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할 첨가제, 예를 들어 다른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알루미늄-아연 합금과 같은,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예를 들어 Al 7xxx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표준 주조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예를 들어 Al 2xxx, Al 3xxx, Al 5xxx, 또는 Al 6xxx 시리즈 합금과 같은, 마그네슘, 망간, 구리, 및/또는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표준 주조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형성 후에,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단계(312)에서 균질화 열처리를 거칠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는 이후의 단계에서 알루미늄의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실온보다 높은 적합한 온도에서 알루미늄 재료 빌렛을 유지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는 특정 알루미늄 합금에 특별히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는 알루미늄 합금의 조성에 따라 또는 어떠한 일련의 합금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균질화 열처리에 적합한 온도는 약 3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 후에, 알루미늄 재료 빌렛은 단계(314)에서 제1 용체화를 거쳐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용체화는 단계(114) 및 단계(214)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적합한 제1 용체화 온도는 약 400℃ 내지 약 550℃, 약 420℃ 내지 약 500℃, 또는 약 450℃ 내지 약 480℃일 수 있다. 제1 용체화는 빌렛의 크기, 예를 들어 단면적에 기초하여 적합한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체화는 빌렛의 단면에 따라 약 30분 내지 약 8시간, 1시간 내지 약 6시간, 또는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용체화는 450℃ 내지 약 480℃에서 최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용체화 후에는 담금질이 이어질 수 있다. 담금질 동안, 알루미늄 합금 빌렛은 알루미늄 합금 빌렛을 담금질함으로써 대략 실온 이하로 신속하게 냉각된다. 이러한 신속한 냉각은 알루미늄 합금 내에 용해된 임의의 원소를 실온에서 알루미늄 합금 내의 그 원소의 평형 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로 유지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담금질은 제1 용체화의 24시간 이내에 일어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이 담금질된 후에, 단계(316)에서 시효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시효는 1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1단계 열처리는 약 8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0.25시간 내지 약 4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시효는 인공 시효 단계를 형성하는 2가지 열처리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열처리 단계는 약 80℃ 내지 약 100℃,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8℃ 내지 약 92℃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약 50시간, 약 8시간 내지 약 40시간, 또는 약 8시간 내지 약 2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열처리 단계는 약 100℃ 내지 약 170℃, 약 100℃ 내지 약 160℃, 또는 약 11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약 100시간, 약 35시간 내지 약 60시간, 또는 약 40시간 내지 약 45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는 약 90℃에서 약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단계는 약 115℃에서 약 40시간 이하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시효 열처리 단계는 제2 시효 열처리 단계가 수행되는 온도 및 지속 기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그리고 더 적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시효 열처리 단계는 알루미늄 합금을 피크 경도로 시효(즉, 피크 시효)시키는 데 적합한 조건 이하인 온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시효 후에, 알루미늄 합금 빌렛은 단계(318)에서 제1 ECAE 공정과 같은 강소성 변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빌렛을 ECAE 장치에 통과시켜 알루미늄 합금을 정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빌렛으로서 압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ECAE 공정은 승온에서, 예를 들어 균질화 열처리보다 낮지만 특정 알루미늄-아연 합금의 시효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ECAE 공정은 약 100℃ 내지 약 400℃, 또는 약 200℃ 내지 약 300℃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ECAE 공정은 300℃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지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수준의 온도는 주조 결함의 치유 및 침전물의 재분포와 같은 소정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 굵은 입도를 또한 야기할 수 있으며 가공 조건에서 구현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압출 동안, 압출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및 압출 다이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전체에 걸쳐 일관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압출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압출 공정 동안 알루미늄 합금 재료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다이가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ECAE 공정은 ECAE 장치를 통한 1회의 통과, 2회 이상의 통과, 또는 4회 이상의 압출 통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강소성 변형 후에, 알루미늄 합금은 단계(320)에서 제2 용체화를 거칠 수 있다. 적합한 제2 용체화 온도는 약 400℃ 내지 약 550℃, 약 420℃ 내지 약 500℃, 또는 약 450℃ 내지 약 480℃일 수 있다. 제2 용체화는 빌렛의 크기, 예를 들어 단면적에 기초하여 적합한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용체화는 빌렛의 단면에 따라 약 30분 내지 약 8시간, 1시간 내지 약 6시간, 또는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용체화는 약 450℃ 내지 약 480℃에서 최대 8시간 동안일 수 있다. 제2 용체화 후에는 담금질이 이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용체화 및/또는 담금질 후에, 단계(322)에서 제2 시효 열처리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시효는 1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1단계 열처리는 약 8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0.25시간 내지 약 4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시효는 2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열처리 단계는 약 80℃ 내지 약 100℃,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8℃ 내지 약 92℃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약 50시간, 약 8시간 내지 약 40시간, 또는 약 8시간 내지 약 2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열처리 단계는 약 100℃ 내지 약 170℃, 약 100℃ 내지 약 160℃, 또는 약 11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약 100시간, 약 35시간 내지 약 60시간, 또는 약 40시간 내지 약 45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효 단계는 약 90℃에서 약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시효는 약 115℃에서 약 40시간 이하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단계는 알루미늄 합금을 피크 경도로 시효(즉, 피크 경도)시키는 데 적합한 조건 이하인 온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시효 공정 후에, 단계(324)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제2 ECAE 공정과 같은 제2 강소성 변형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ECAE 공정은 제1 ECAE 공정에서 사용되는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ECAE 공정은 0℃ 초과 및 200℃ 미만, 또는 약 20℃ 내지 약 125℃, 또는 대략 실온,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압출 동안, 압출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및 압출 다이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 전체에 걸쳐 일관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압출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압출 공정 동안 알루미늄 합금 재료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다이가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ECAE 공정은 ECAE 장치를 통한 1회의 통과, 2회 이상의 통과, 또는 4회 이상의 압출 통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강소성 변형 후에, 알루미늄 합금의 형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은 압연과 같은, 단계(326)에서의 추가의 소성 변형을 선택적으로 겪을 수 있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방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400)은 단계(410)에서 시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10)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계(110) 또는 단계(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시재료는 마그네슘, 망간, 구리 및/또는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재료에 대한 표준 주조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알루미늄 재료 빌렛일 수 있다. 시재료가 주조된 후에, 균질화 열처리가 단계(412)에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단계(412)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계(112) 또는 단계(212)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균질화 열처리 후에, 알루미늄 재료는 단계(414)에서 제1 용체화를 거쳐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제1 용체화 온도는 약 400℃ 내지 약 550℃, 약 420℃ 내지 약 500℃, 또는 약 450℃ 내지 약 480℃일 수 있다. 제1 용체화는 빌렛의 크기, 예를 들어 단면적에 기초하여 적합한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체화는 빌렛의 단면에 따라 약 30분 내지 약 8시간, 1시간 내지 약 6시간, 또는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용체화는 450℃ 내지 약 480℃에서 최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용체화 후에는 단계(416)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담금질이 이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용체화 및/또는 담금질 후에, 알루미늄 합금 빌렛은 단계(418)에서 강소성 변형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강소성 변형 공정은 ECA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빌렛은 정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ECAE 장치에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CAE 공정은 1회 이상의 ECAE 통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 공정은 0℃ 초과 및 160℃ 미만, 또는 약 20℃ 내지 약 125℃, 또는 대략 실온,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알루미늄 합금 빌렛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 동안, 압출되는 알루미늄 합금 빌렛 및 압출 다이는 알루미늄 합금 빌렛 전체에 걸쳐 일관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압출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압출 공정 동안 알루미늄 합금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다이가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 공정은 ECAE 장치를 통한 1회의 통과, 2회 이상의 통과, 또는 4회 이상의 압출 통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이 단계(418)에서 강소성 변형을 거친 후에, 시효가 단계(4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시효는 1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1단계 열처리는 약 8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0.25시간 내지 약 4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시효는 2단계 열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열처리 단계는 약 80℃ 내지 약 100℃,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8℃ 내지 약 92℃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약 50시간, 약 8시간 내지 약 40시간, 또는 약 8시간 내지 약 20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열처리 단계는 약 100℃ 내지 약 170℃, 약 100℃ 내지 약 160℃, 또는 약 11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약 100시간, 약 35시간 내지 약 60시간, 또는 약 40시간 내지 약 45시간의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효 단계는 약 90℃에서 약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시효는 약 115℃에서 약 40시간 이하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단계는 알루미늄 합금을 피크 경도로 시효(즉, 피크 경도)시키는 데 적합한 조건 이하인 온도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시효 후에, 알루미늄 합금 빌렛의 형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은 압연과 같은, 단계(422)에서의 추가의 소성 변형을 선택적으로 겪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방법은 높은 항복 강도(즉, 300 MPa 내지 650 MPa의 항복 강도), 낮은 중량 밀도(즉, 약 2.8 g/㎤), 및 복잡한 형상에 대한 상대적인 제조 용이성으로 인해 휴대용 전자 장치 케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알루미늄 합금에 적용될 수 있다.
기계적 강도 요건에 더하여, 원하는 색상 또는 색조(shade)와 같은 특정 미관 요건을 충족시키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요구가 또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 분야에서, 페인트 또는 다른 코팅의 사용 없이 특정 색상 또는 색조를 갖는 외부 합금 케이스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응용에 사용되는 특정 합금은 원하는 특징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함유 알루미늄 합금은 종종 양극산화된 후에 누르스름한 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누르스름한 색이 바람직하지 않은 다른 예에서, 더 낮은 구리 농도로 인해 알루미늄-아연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아연 합금에서 원하는 착색 특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구리의 농도는 비교적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에서, 구리의 농도는 약 0.5 중량% 미만일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내의 아연 및 마그네슘의 중량 백분율 및 중량 비가 또한 주의 깊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연 및 마그네슘은 침전 경화(precipitation hardening)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MgZn2와 같은 아연-마그네슘 침전물을 형성함으로써 강도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높은 농도의 아연 및 마그네슘은, 일부 실시 형태에서, 양극산화와 같은 특정 제조 단계 동안 응력 부식에 대한 합금의 저항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주조된 그대로의 항복 강도는 약 50 MPa 내지 450 MPa인 것으로 밝혀졌다. 구리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주조된 그대로의 항복 강도는 약 50 MPa 내지 400 MPa인 것으로 밝혀졌다. 마그네슘 및 망간을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주조된 그대로의 항복 강도는 약 50 MPa 내지 350 Mpa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생성된 합금은 전자 장치 케이스에 사용하기에 매력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300 MPa 내지 650 MPa, 300 MPa 내지 500 MPa, 350 MPa 내지 600 MPa, 및 420 MPa 내지 500 MPa의 항복 강도가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달성되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들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은 합금을 강소성 변형(SPD)을 거치게 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강소성 변형은 재료의 벌크 조각(bulk piece)의 극한 변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료에 적용될 때 적합한 수준의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제공한다.
ECAE는 압출 기술이며, 이는 사실상 90° 내지 140°로 구성된 소정 각도로 만나는 대략 동일한 단면의 2개의 채널로 이루어진다. ECAE 장치(500)의 예시적인 ECAE 개략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ECAE 장치(500)는 한 쌍의 교차 채널(504, 506)을 형성하는 주형 조립체(502)를 포함한다. 교차 채널(504, 506)들은 단면이 동일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용어 "실질적으로 동일한"은 채널들이 ECAE 장치의 허용가능한 크기 공차 내에서 동일함을 나타낸다. 작동 시, 재료(508)는 채널(504, 506)들을 통해 압출된다. 그러한 압출은, 채널의 교차 평면에 위치된 얇은 구역에서 단순 전단에 의해 층층이 재료(508)의 소성 변형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채널(504, 506)들은 약 90°의 각도로 교차하여 충분한 변형(즉, 진 전단 변형률(true shear strain))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90°의 공구 각도는 각각의 ECAE 통과당 약 1.17인 진 변형률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공구 각도, 예를 들어 90° 초과의 각도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도시되지 않음).
ECAE는 1회 통과당 높은 변형을 제공하며, ECAE의 다수회 통과는 각각의 통과 후에 빌렛의 형상 및 부피를 변화시키지 않고서 극한 수준의 변형에 도달하도록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통과들 사이에서의 빌렛의 회전 또는 반전(flipping)은 다양한 변형 경로가 달성될 수 있게 한다. 이는 합금 결정립의 결정학적 텍스처(texture)의 형성 및 결정립, 입자, 상, 주조 결함 또는 침전물과 같은 다양한 구조적 특징부의 형상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하기 3가지 주요 요인을 제어함으로써 ECAE에 의해 결정립 미세화(grain refinement)가 가능하다: (i) 단순 전단, (ii) 강한 변형 및 (iii) ECAE의 다수회 통과를 사용하여 가능한 다양한 변형 경로의 이점을 취하는 것. ECAE는 규모 가변(scalable) 방법, 균일한 최종 제품, 및 최종 제품으로서의 모놀리식 재료편을 형성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ECAE는 규모 가변 공정이기 때문에, 대형 빌렛 섹션 및 크기가 ECAE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ECAE는 또한 전체 빌렛 단면에 걸쳐 균일한 변형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단면의 형상 또는 크기의 변화를 방지하도록 빌렛의 단면이 가공 동안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 전단이 2개의 채널들 사이의 교차 평면에서 활성이다.
ECAE는 변형되는 재료의 중간 접합 또는 절단을 수반하지 않는다. 따라서, 빌렛은 재료의 본체 내에 접합된 계면을 갖지 않는다. 즉, 생성된 재료는 이전에 별개인 2개 이상의 재료편이 함께 결합된 접합선 또는 계면을 갖지 않는 모놀리식 재료편이다. 계면은, 종종 해로운, 산화에 선호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선은 균열 또는 탈층에 대한 근원일 수 있다. 더욱이, 접합선 또는 계면은 불균질 입도 및 침전의 원인이 되며 특성들의 이방성을 초래한다.
일부 경우에, 알루미늄 합금 빌렛은 ECAE 동안 균열될 수 있다. 소정 알루미늄 합금에서, 알루미늄 합금 내의 성분들의 높은 확산 속도가 가공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증가된 온도에서 ECAE를 수행하여, ECAE 동안 알루미늄 합금 빌렛의 균열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빌렛이 압출 동안 유지되는 온도를 증가시켜, 알루미늄 합금의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고 알루미늄 합금 빌렛을 압출하기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정립 성장을 초래하며, 열처리 가능한 알루미늄 합금에서, 더 높은 온도는 침전물의 크기 및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변경된 침전물 크기 및 분포는 가공 후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ECAE 동안 사용되는 온도 및 시간이 가공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피크 경도에 상응하는 온도 및 시간을 초과하는, 즉 피크 시효에 상응하는 온도 및 시간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의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의 피크 시효 온도에 너무 가까운 온도에서 합금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ECAE를 수행하는 것은, 빌렛 표면 상태를 개선할(즉, 생성되는 결함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정 알루미늄 합금의 최종 강도를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기술이 아닐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이 초기 용체화 및 담금질 후에 대략 실온에서 유지되는 ECAE를 통해 알루미늄 합금을 가공하는 것은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를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초기 용체화 및 담금질 처리 거의 직후에(즉, 1 시간 이내에) 1회 ECAE 통과가 수행될 때 매우 성공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소정 합금 조성에 대해, 또는 ECAE의 다수회 통과가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성공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Al 7xxx 시리즈(즉, 각각 약 6.0 중량% 및 4.0 중량%의 아연 및 마그네슘 값)에 대한 상한 수준에 가까운 중량 농도의 아연 및 마그네슘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1회 통과 ECAE는 합금 강도를 충분히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거나 충분히 미세한 서브-마이크로미터 구조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합금을 냉간 가공하기 전에 그리고 합금이 초기 용체화 및 담금질을 거친 경우,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시효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합금의 일례는 마그네슘 및 아연 그리고 낮은 농도의 Cu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용체화 후, 예를 들어 Al 7xxx 시리즈의 것들과 같은 소정 알루미늄 합금을 냉간 가공하는 것의 영향이 Al 2xxx 시리즈 합금과 같은 일부 다른 열처리 가능한 알루미늄 합금의 반대이기 때문에, 시효는 소정 실시 형태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간 가공은 알루미늄 합금의 과시효된 템퍼(temper)에서 최대 달성가능한 강도 및 강인성(toughne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정 알루미늄 합금을 시효시키기 전의 냉간 가공의 부정적인 영향은 전위(dislocation)에서 굵은 침전물의 핵형성(nucleation)에 기인한다. 따라서, 용체화 및 담금질 직후에 그리고 시효 전에 ECAE를 사용하는 접근법은 특정 파라미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나타나 있다.
상기 고려사항을 염두하여, 특정 가공 파라미터가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또는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ECAE 공정의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파라미터는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약술되어 있다.
ECAE에 대한 공정 파라미터
사전-ECAE 열처리
ECAE를 수행하기 전에 안정한 기니어 프레스턴(Guinier Preston, GP) 구역을 생성하고 알루미늄 합금 내에 열적으로 안정한 침전물을 확립하면 가공성이 개선되어, 예를 들어 ECAE 동안 빌렛 균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는 ECAE를 수행하기 전에 인공 시효와 같은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인공 시효는 실온에서의 불안정한 침전(자연 시효로도 지칭됨)의 영향을 제한하는 2단계 열처리를 포함한다. 마그네슘 및 아연 합금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의 ECAE 가공의 경우 침전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이들 합금이 상당히 불안정한 침전 순서(sequence)를 가지며, 가공 조건 및 열처리 순서가 주의 깊게 제어되지 않는다면 ECAE 동안의 높은 변형이 합금을 훨씬 더 불안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침전에 대한 열 및 시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침전 순서는 복잡하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 먼저, 용체화와 같은 고온 열처리를 사용하여, 마그네슘 및/또는 아연과 같은 용질을 알루미늄 합금 전체에 걸쳐 분포시킴으로써 용액 중에 넣는다. 고온 열처리 후에는 종종 용액 중에 용질을 유지하기 위해, 담금질로도 알려진, 물 또는 오일에서의 신속한 냉각이 뒤따른다. 장기간 동안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그리고 중간 정도로 상승된 온도에서 인공 시효의 초기 기간 동안, 주된 변화는, 고용체 격자 내에 용질 원자가 재분포되어, 용질이 상당히 풍부화된 기니어 프레스턴(GP) 구역으로 불리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용질 원자의 이러한 국부적인 편석은 합금 격자의 왜곡을 생성한다. 구역의 강화 효과는 GP 구역을 절단할 때의 전위의 움직임과의 추가적인 간섭의 결과이다. (자연 시효로서 정의되는) 실온에서의 시효 시간에 따른 점진적 강도 증가는 GP 구역의 크기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시효 시간 또는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GP 구역은, 고용체의 결정 구조와는 구별되며 평형상(equilibrium phase)의 구조와는 또한 상이한 결정 구조를 갖는 입자로 전환되거나 또는 대체된다. 이들은 "전이"(transition) 침전물로서 지칭된다. 다수의 합금에서, 이들 침전물은 고용체와 특정 결정학적 배향 관계를 가져, 두 상이 국부적인 탄성 변형을 통한 매트릭스의 적응에 의해 소정 평면 상에서 정합성(coherent)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전위가 침전물을 계속 절단하는 한, 이들 "전이" 침전물의 크기 및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계속 증가한다. 침전 반응의 추가의 진행은 "전이" 상 입자를 성장시키며, 계면 결합의 강도가 초과되고 정합(coherency)이 사라질 때까지 정합 변형(coherency strain)의 증가를 동반한다. 이는 보통 "전이" 형태로부터 "평형" 형태로의 침전물의 구조의 변화와 일치하며, 최대 강도를 얻기 위한 최적의 조건인 피크 시효에 상응한다. 정합의 손실과 함께, 강화 효과는, 전위가 침전물을 절단하기보다는 오히려 루프를 형성하게 하는 데 필요한 응력에 의해 야기된다. 강도는 평형상 입자의 성장 및 입자간 간격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마지막 상은 과시효에 상응하며, 일부 실시 형태에서, 주요 목적이 최대 강도를 달성하는 것일 때에는 적합하지 않다.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GP 구역은 크기가 매우 작고(즉, 10 nm 미만), 실온에서 매우 불안정하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높은 수준의 경화는 합금이 담금질 후 수 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지된 후에, 즉 자연 시효로 불리는 현상 후에 일어난다.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이러한 경화에 대한 한 가지 이유는 알루미늄에서 가장 높은 확산 속도를 갖는 원소인 아연의 빠른 확산 속도이다. 다른 요인은 담금질 후의 고농도의 비-평형 빈격자점(vacancy)의 유지에 크게 영향을 주는 마그네슘의 존재이다. 마그네슘은, 마그네슘-빈격자점 복합체를 형성하게 하고 담금질 동안 그의 보유를 더 용이하게 하는 큰 원자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빈격자점은 아연이 마그네슘 원자 주위로 확산하여 GP 구역을 형성하는 데 이용가능하다. 긴 시효 시간 및 실온 초과의 온도(즉, 인공 시효)는 GP 구역을 η' 또는 M'으로 불리는 전이 침전물, 즉 η 또는 M으로 불리는 평형 MgZn2 상의 전구체로 변환시킨다. 더 높은 마그네슘 함량(예를 들어, 2.0 중량% 초과)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침전 순서는 긴 시효 시간 및 온도에서 T로 불리는 평형 Mg3Zn3Al2 침전물이 되는 T'로 불리는 전이 침전물로 변환되는 GP 구역을 포함한다. Al 7xxx에서의 침전 순서가 도 6에 도시된 개략 흐름도에 요약될 수 있다.
도 6의 개략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 구역은 격자 내에서 균질하게 핵형성되며, 다양한 침전물이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결정립계(grain boundary), 아결정립계(subgrain boundary), 전위 및 격자 왜곡의 존재는 구역 및 침전물 형성의 자유 에너지를 변화시키며 상당한 불균질 핵형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2가지 결과를 갖는다. 첫째, GP 구역 및 침전물의 불균질 분포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으며, 어느 것이든 냉간 또는 열간 가공 동안 결함에 대한 근원이 될 수 있다. 둘째, 경계 또는 전위에서 불균질하게 핵형성된 침전물은 보통 더 크며, 전체 강도에 크게 기여하지 않고, 따라서 최대 달성가능한 강도를 잠재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들 영향은, 적어도 하기의 이유로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직후에, 예를 들어 ECAE 동안, 극한 수준의 소성 변형이 도입될 때 향상될 수 있다.
첫째, ECAE는 불균질 핵형성 및 침전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침전물의 불균질 분포로 이어질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아결정립계, 결정립계 및 전위를 도입한다. 둘째, GP 구역 또는 침전물은 전위를 데코레이팅(decorating)할 수 있고, 국부적인 연성의 감소로 이어지는 그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셋째, 실온 가공에서조차, ECAE 동안 약간 수준의 단열 가열이 일어나며, 이는 더 빠른 핵형성 및 침전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들 상호작용은 각각의 ECAE 통과 동안 동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는 ECAE 동안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용체화 및 담금질된 알루미늄 합금의 가공에 잠재적으로 유해한 결과를 야기한다.
잠재적으로 유해한 결과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국부적인 연성 및 불균질 침전물 분포의 손실로 인한 빌렛의 표면 균열 경향. 이러한 영향은 상부 빌렛 표면에서 가장 심각하다. 사용될 수 있는 ECAE 통과 횟수의 제한. 통과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영향이 더 심각해지며 균열이 더 쉽게 일어난다. 최대 수준의 입도 미세화에 영향을 주는, 부분적으로는 불균질 핵형성 효과로 인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ECAE 통과 횟수의 제한으로 인한, ECAE 동안의 최대 달성가능한 강도의 감소. 심지어 실온에서도(즉, 자연 시효 동안에도) 빠른 침전 동역학으로 인해, Al 7xxx 시리즈 합금과 같은, 용체화 및 담금질된 알루미늄-아연 합금의 가공에 의해 추가적인 복잡한 문제가 발생한다.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와 ECAE 사이의 시간이 제어에 중요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는 담금질 단계 후 비교적 빨리, 예를 들어 1시간 이내에 수행될 수 있다.
안정한 침전물은 알루미늄 합금이 그의 주어진 조성에 대한 인공 피크 시효에 실질적으로 가까운 온도 및 시간에 있을 때에도 알루미늄 합금에서 열적으로 안정한 침전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안정한 침전물은 실온에서 자연 시효 동안 변화하지 않을 침전물이다. 이들 침전물은 GP 구역이 아니며 대신에 전이 및/또는 평형 침전물(예를 들어, 알루미늄-아연 합금에 대한 η' 또는 M' 또는 T')를 포함함에 유의한다. 가열(즉, 인공 시효)의 목적은 ECAE 동안 빌렛 균열을 야기할 수 있는 불안정한 GP 구역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이를 안정한 전이 및 평형 침전물일 수 있는 안정한 침전물로 대체하는 것이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 최종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개 성장하여 너무 커진 평형 침전물을 생성할 수 있는 피크 시효를 초과하는 조건(즉, 과시효 조건)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가열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제1 ECAE 통과를 수행하기 전에 불안정한 GP 구역의 대부분을 안정한 전이 및/또는 평형 침전물로 변환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후에 또는 직후에, 그러나 ECAE 공정 전에 저온 열처리(인공 시효)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는 침전 순서의 대부분이 균질하게 일어나게 하여, ECAE 가공을 위한 침전물의 더 높은 달성가능한 강도 및 더 우수한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열처리는 80℃ 내지 100℃의 저온에서 약 40시간 이하 동안 재료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단계, 및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주어진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피크 시효 조건 이하의 온도 및 시간으로 재료를 유지하는 것, 예를 들어 100℃ 내지 150℃에서 약 80시간 이하 동안 재료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저온 열처리 단계는, 제2 열처리 단계 동안 온도가 상승될 때 안정한 GP 구역의 분포를 제공한다. 제2 열처리 단계는 안정한 전이 및 평형 침전물의 원하는 최종 분포를 달성하였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저온에서 최종 ECAE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합금 미세구조의 균일성을 증가시키고 미리 결정된 입도를 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는 감소된 양의 균열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ECAE 동안 합금 재료의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은 큰 입도 및 다량의 거대 및 미세 편석을 갖는 불균질 미세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초기 주조 미세구조는 제2 상 입자 또는 공융상(eutectic phase)의 수지상정간(interdendritic) 분포로 중심으로부터 에지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용질 함량을 갖는 수지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빌렛의 구조적 균일성 및 후속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전에 소정 균질화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냉간 가공(예를 들어, 신장) 또는 열간 가공이 또한 특정 빌렛 형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제품을 응력 완화 또는 스트레이트닝하는 데 종종 사용될 수 있다. 전화기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플레이트 응용의 경우, 압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체화, 담금질 및 피크 시효와 같은 열처리 후에도 최종 제품에서 미세구조 및 특성의 이방성을 초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결정립은 압연 방향을 따라 연신되지만, 압연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뿐만 아니라 두께를 따라 평탄화된다. 이러한 이방성은 또한 특히 결정립계를 따른 침전물 분포에서 반영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예를 들어 T651과 같은 임의의 템퍼를 갖는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의 미세구조는 450℃ 미만과 같은 승온에서 적어도 1회의 ECAE 통과를 포함하는 가공 순서를 적용함으로써 부서지고, 미세화되고, 더 균일해질 수 있다. 이 단계 후에는 용체화 및 담금질이 이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빌렛은 제1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후에, 150℃ 내지 250℃의 중간 정도로 상승된 온도에서 1회 통과 또는 다수회 통과 ECAE 후에, 제2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전술된 열기계적 경로들 중 어느 하나 후에, 알루미늄 합금은 인공 시효 전 또는 후 중 어느 하나에, 저온에서의 ECAE를 추가로 거칠 수 있다. 특히, 승온에서의 초기 ECAE 공정은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용체화 및 담금질된 알루미늄 합금의 저온에서의 후속 ECAE 공정 동안 균열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는 강소성 변형을 부여하고 알루미늄-아연 합금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는 용체화, 담금질 및 인공 시효가 수행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재료가 승온에 있는 동안 수행되는 초기 ECAE 공정은 저온에서의 제2 또는 최종 ECAE 공정 전에 더 미세하고 더 균일하고 더 등방성인 초기 미세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ECAE에 의한 강화를 위한 2가지 주요 메커니즘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서브-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결정립(nanograined) 수준에서의 재료 셀, 아결정립 및 결정립과 같은 구조 단위의 미세화이다. 이는 입도 또는 홀 페치 강화(Hall Petch strengthening)로 또한 지칭되며, 식 1을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
[식 1]
상기 식에서, σ y 는 항복 응력이고, σ o 는 시작 응력 또는 전위 이동(또는 전위 움직임에 대한 격자의 저항)에 대한 재료 상수이고, k y 는 강화 계수(각각의 재료에 특이적인 상수)이고, d는 평균 결정립 직경이다. 이 식에 기초하면, 강화는 d가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때 특히 효과적이다. ECAE를 강화시키기 위한 제2 메커니즘은 전위 경화인데, 이는 ECAE 공정 동안의 높은 변형률로 인한 재료의 셀, 아결정립, 또는 결정립 내의 전위의 배가이다. 이러한 2가지 강화 메커니즘은 ECAE에 의해 활성화되며, 특히 이전에 용체화 및 담금질을 거친 알루미늄-아연 합금을 압출할 때, 소정 ECAE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알루미늄 합금에서 특정 최종 강도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로, ECAE에 사용되는 온도 및 시간은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주어진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피크 시효의 조건에 상응하는 것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다수회 통과를 포함하는 ECAE 공정이 수행될 때, ECAE 동안의 다이 온도 및 각각의 ECAE 통과 사이에 중간 열처리를 잠재적으로 이용하는 것 둘 모두를 제어하여, 압출되는 재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압출되는 재료는 각각의 압출 통과 사이에 약 2시간 동안 약 200℃의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압출되는 재료는 각각의 압출 통과 사이에 약 2시간 동안 약 120℃의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둘째로,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압출되는 재료의 온도를 ECAE 동안 가능한 한 낮은 온도로 유지하여 최고 강도를 얻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출되는 재료는 대략 실온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형성된 전위의 개수가 증가되게 하여 더 효율적인 결정립 미세화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로, 다수회 ECAE 통과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 공정 동안 2회 이상의 통과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3회 이상, 또는 4회 이상의 통과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많은 횟수의 ECAE 통과는 압출된 재료의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을 야기하는 더 많은 등축 고각 경계(equiaxed high angle boundaries) 및 전위를 갖는 더 균일하고 미세화된 미세구조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는 적어도 하기 방식으로 결정립 미세화 및 침전에 영향을 준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는, 결정립계의 증가된 부피 및 서브-마이크로미터 ECAE 가공된 재료에 저장된 더 높은 기계적 에너지로 인해, 압출 동안 더 빠른 침전을 야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침전물 핵형성 및 성장과 관련된 확산 공정이 향상된다. 이는 나머지 GP 구역 또는 전이 침전물 중 일부가 ECAE 동안 평형 침전물로 동적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ECAE는 더 균일하고 더 미세한 침전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고각 경계로 인해 ECAE 서브-마이크로미터 구조에서는 매우 미세한 침전물의 더 균일한 분포가 달성될 수 있다. 침전물은 전위 및 결정립계를 데코레이팅 및 피닝(pinning)시킴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의 최종 강도에 기여할 수 있다. 더 미세하고 더 균일한 침전물은 압출된 알루미늄 합금 최종 강도의 전반적인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성공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될 수 있는 ECAE 공정의 추가 파라미터가 있다. 예를 들어, 압출되는 재료에서 균열이 형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압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둘째, 적합한 다이 설계 및 빌렛 형상이 또한 재료의 균열 형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을 그의 최종 제조 형상으로 기계가공하기 전에 알루미늄 합금이 ECAE를 거쳐 알루미늄 합금이 최종 빌렛 형상에 더 가깝게 된 후에, 추가적인 압연 및/또는 단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추가적인 압연 또는 단조 단계는 합금 재료의 미세구조 내에 더 많은 전위를 도입함으로써 추가의 강도를 부가할 수 있다.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초기 시험으로서 브리넬 경도를 사용하였다. 하기에 포함된 실시예의 경우, 브리넬 경도 시험기(미국 매사추세츠주 노우드 소재의 인스트론(Instron)(등록상표)으로부터 입수가능함)를 사용하였다. 시험기는 고정된 직경(10 mm)의 카바이드 볼에 미리 결정된 하중(500 kgf)을 가하는데, 이는 ASTM E10 표준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미리 결정된 기간(10 내지 15초) 동안 유지된다. 브리넬 경도 측정은 비교적 간단한 시험 방법이며, 인장 시험보다 더 빠르다. 이는 추가의 시험을 위해 이후 분리될 수 있는 적합한 재료를 식별하기 위한 초기 평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재료의 경도는 표준 시험 조건 하에서의 표면 압입(surface indentation)에 대한 그의 저항성이다. 이는 국부적인 소성 변형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의 척도이다. 재료 내로 경도 압입기(indentor)를 가압함으로써 압입기가 압인되는 위치에서 재료의 소성 변형(이동)이 수반된다. 재료의 소성 변형은 압입기에 가해지는 힘의 양이 시험 재료의 강도를 초과한 결과이다. 따라서, 재료가 경도 시험 압입기 하에서 소성 변형되는 것이 적을수록, 재료의 강도가 더 높다. 동시에, 더 적은 소성 변형은 더 얕은 경도 압인을 초래하고; 따라서, 결과적인 경도 수치가 더 높다. 이는 재료의 경도가 높을수록 예상 강도가 더 높은 전반적인 관계를 제공한다. 즉, 경도 및 항복 강도 둘 모두는 소성 변형에 대한 금속의 저항성의 지표이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인장 강도는 보통 2개의 파라미터, 즉 항복 강도(YS) 및 최대 인장 강도(UTS)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최대 인장 강도는 인장 시험 동안의 최대 측정 강도이며, 이는 명확한 지점에서 발생한다. 항복 강도는 인장 시험 하에서 소성 변형이 눈에 띄고 현저해지는 응력의 양이다. 탄성 변형이 끝나고 소성 변형이 시작되는 엔지니어링 응력-변형률 곡선 상의 명확한 지점이 보통 없기 때문에, 항복 강도는 뚜렷한 양의 소성 변형이 발생한 경우의 그 강도로 선택된다. 일반적인 엔지니어링 구조 설계의 경우, 항복 강도는 0.2% 소성 변형률이 발생했을 때 선택된다. 샘플의 원래 단면적으로부터 0.2% 오프셋(offset)에서 0.2% 항복 강도 또는 0.2% 오프셋 항복 강도를 계산한다. 사용할 수 있는 식은 s=P/A이며, 여기서 s는 항복 응력 또는 항복 강도이고, P는 하중이고, A는 하중이 적용되는 면적이다.
항복 강도는 결정립 및 상 크기 및 분포와 같은 다른 미세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최대 인장 강도보다 민감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특정 재료에 대한 항복 강도와 브리넬 경도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고 경험적으로 도표화하고, 이어서 얻어진 도표를 사용하여 방법의 결과의 초기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관계를 하기 재료 및 실시예에 대해 평가하였다.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결과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된 재료에 대해, 약 111 HB 초과의 브리넬 경도는 350 MPa 초과의 YS에 상응하고 약 122 HB 초과의 브리넬 경도는 400 MPa 초과의 YS에 상응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특성을 예시하며,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자연 시효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자연 시효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초기 분석을 위해, Al 7020을 그의 낮은 Cu 중량 백분율 및 약 3:1 내지 4:1의 아연 대 마그네슘 비 때문에 선택하였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이들 요인은 장치 케이싱과 같은 응용에 있어서 미관에 영향을 미친다. 샘플 합금의 조성이 표 1에 나타나 있으며, 잔부는 알루미늄이다. (4.8 중량%의) 아연 및 (1.3 중량%의) 마그네슘이 최고 농도로 존재하는 2가지 합금화 원소이며 Cu 함량은 낮음(0.13 중량%)에 유의하여야 한다.
[표 1]
입수한 그대로의 Al 7020 재료를, 450℃에서 2시간 동안 재료를 유지함으로써 용체화 열처리하고 이어서 냉수 중에 담금질하였다. 이어서, 샘플 재료를 실온(25℃)에서 수일 동안 유지하였다. 브리넬 경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일 동안 보관(소위 자연 시효)한 후, 샘플 재료의 기계적 특성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경도 데이터가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온에서 단지 1일 후에, 이미 경도가 60.5 HB에서 약 76.8 HB로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약 30% 증가였다. 실온에서 약 5일 후에, 경도는 96.3 HB에 도달하였고, 상당히 안정하게 유지되어, 20일에 걸쳐 측정할 때 최소한의 변화를 보였다. 경도의 증가 속도는 Al 7020에 대한 불안정한 과포화 용액 및 침전 순서를 나타낸다. 이러한 불안정한 과포화 용액 및 침전 순서는 많은 Al 7xxx 시리즈 합금의 특징이다.
실시예 2: 초기 합금 재료에서의 미세구조의 이방성의 실시예
실시예 1에서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을 열간 압연을 거치게 하여 합금 재료를 빌렛으로 형성한 후에, 용체화, 담금질, 출발 길이보다 2.2% 더 큰 증가로의 신장에 의한 응력 완화 및 인공 피크 시효를 포함하는 T651 템퍼로의 열기계적 가공을 거치게 하였다. 생성된 재료의 측정된 기계적 특성이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Al 7020 재료의 항복 강도, 최대 인장 강도 및 브리넬 경도는 각각 347.8 MPa, 396.5 MPa 및 108 HB이다. 나삿니-형성된 단부를 갖는 둥근 인장 바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예시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인장 바의 직경은 0.250 인치였고, 게이지는 1.000 인치 길이였다. 둥근 인장 시험 시편의 기하학적 구조는 ASTM 표준 E8에 기재되어 있다.
[표 2]
도 9는 예시적인 빌렛(602)의 평면들을 예시하여 빌렛(602)의 상부면(604)의 배향을 보여준다. 화살표(606)는 압연 및 신장 방향을 나타낸다. 제1 측면(608)은 압연 방향에 평행하고 상부면(604)에 수직인 평면에 있다. 제2 측면(610)은 화살표(606)의 압연 방향 및 상부면(604)에 수직인 평면에 있다. 화살표(612)는 제1 측면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614)는 제2 측면(610)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실시예 2로부터의 Al 7020 재료의 결정립 구조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가 도 10a 내지 도 10c에 나타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3개의 평면을 가로질러 T651 템퍼를 갖는 Al 7020의 미세구조를 나타낸다. 광학 현미경을 입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도 10a는 ×100 배율에서의 도 9에 도시된 상부면(604)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0b는 x100 배율에서의 도 9에 도시된 제1 측면(608)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0c는 ×100 배율에서의 도 9에 도시된 제2 측면(610)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결정립으로 이루어진 이방성 섬유질 미세구조가 검출된다. 원래의 결정립은 압연방향에 수직인 방향인 빌렛 두께를 통해 압축되고, 열기계적 가공 동안 압연 방향을 따라 연신된다. 상부 면을 가로질러 측정되는 바와 같은 입도는 7:1 내지 10:1의 범위의 평균 결정립 길이 대 두께의 큰 종횡비로 직경이 대략 400 내지 600 μm이며 크고 불균일하다. 결정립계는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2개의 다른 면을 따라 해상(resolve)하는 것이 어렵지만, 얇은 평행 띠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고도의 연신 및 압축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크고 불균일한 미세구조는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고 T651과 같은 표준 템퍼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특징적이다.
실시예 3: 용체화 및 담금질된 그대로의 Al 7020 재료의 ECAE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성 및 T651 템퍼를 갖는 Al 7020 재료의 빌렛을 45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용체화하고 즉시 냉수 중에 담금질하였다. 이 공정은 알루미늄 재료 매트릭스 내의 고용체 중에, 아연 및 마그네슘과 같은 용질로서 첨가된 원소의 최대 개수를 유지하도록 수행되었다. 이 단계는 또한 알루미늄 재료에 존재하는 (ZnMg) 침전물을 다시 고용체로 용해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Al 7020 재료의 생성된 미세구조는 템퍼 T651을 갖는 알루미늄 재료에 대해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매우 유사하였고, 초기 압연 방향에 평행한 크고 긴 결정립으로 이루어졌다. 유일한 차이는 미세 용해성 침전물의 부재이다. 용해성 침전물은 1 마이크로미터의 해상도 한계 미만이기 때문에 광학 현미경에 의해 보이지 않으며; 단지 큰(즉, 직경이 1 마이크로미터 초과인) 비용해성 침전물만 보인다. 따라서, 실시예 3의 결과는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후에 초기 T651 미세구조의 입도 및 이방성이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었음을 예시한다.
이어서, Al 7020 재료를 정사각형 단면 및 단면보다 큰 길이를 갖는 3개의 빌렛, 즉 바로 형상화하고, 이어서 빌렛에 대해 ECAE를 수행하였다. 용체화 및 담금질 후 30분 이내에 제1 통과를 수행하여 자연 시효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더욱이, 침전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ECAE를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도 11은 1회 통과를 거친 후의 Al 7020의 제1 빌렛(620), 2회 통과를 거친 제2 빌렛(622), 및 3회 통과를 거친 제3 빌렛(624)의 사진을 나타낸다. ECAE 공정은 1회 통과 후의 제1 빌렛(620)에 대해 성공적이었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빌렛은 1회 ECAE 통과 후에 균열되지 않았다. 그러나, 2회 통과를 거친 제2 빌렛(622)에서는 빌렛의 상부면에서 심한 국부적인 균열이 발생하였다. 도 11은 2회 통과 후에 발생하는 제2 빌렛(622)에서의 균열(628)을 나타낸다. 도 11에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3회 통과를 거친 제3 빌렛(624)이 또한 균열(628)을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열은, 하나의 거대-균열(630)이 제3 빌렛(624)의 전체 두께를 통해 진행되어 빌렛을 두 조각으로 분할하는 정도로 강해졌다.
3개의 샘플 빌렛을, 샘플을 90℃에서 8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1 열처리 단계 후에, 샘플을 115℃에서 40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2 열처리 단계로 이루어진 2단계 피크 시효 처리로 추가로 처리하였다. 표 3은 제1 빌렛(620)에 대한 인장 데이터뿐만 아니라 브리넬 경도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2 빌렛(622) 및 제3 빌렛(624)은 너무 깊은 균열을 가졌으며, 이들 샘플에 대해서는 기계 인장 시험을 수행할 수 없었다. 모든 측정은 실온에서 샘플 재료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표 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AE 통과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약 127에서 138로의 꾸준한 경도 증가가 기록되었다.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통과 후의 재료 경도는 T651 템퍼 조건만을 갖는 재료에 대한 경도 값보다 높았다. T651 템퍼만을 갖는 재료와 비교할 때 1회 통과 후 제1 샘플에 대한 항복 강도 데이터가 또한 항복 강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항복 강도는 347.8 MPa에서 382 MPa로 증가하였다.
이 실시예는 ECAE가 알루미늄-아연 합금에서 강도를 개선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ECAE 가공 동안의 빌렛 균열로 인한 소정 제한을 입증하였다. 다음 실시예는, 저온에서 Al 합금에 ECAE를 적용할 때 전반적인 가공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재료를 균열시키지 않고서 Al 합금 재료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예시한다.
실시예 4: 용체화 및 담금질된 그대로의 샘플의 다단계 ECAE ― 초기 입도 및 이방성의 영향
가공 결과에 대한 초기 미세구조의 잠재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T651 템퍼를 갖는 Al7020 재료를 실시예 3에서보다 더 복잡한 열기계적 가공 경로로 처리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ECAE는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이후에 하나 그리고 이전에 하나인 2단계로 수행되었으며, 각각의 단계는 다수회 통과를 갖는 ECAE 사이클을 포함한다. 제1 ECAE 사이클은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전 및 후에 미세구조를 미세화 및 균질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 제2 ECAE 사이클은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최종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저온에서 수행하였다.
하기의 공정 파라미터를 제1 ECAE 사이클에 사용하였다. 4회 ECAE 통과를 사용하였으며, 변형의 균일성 및 그 결과 미세구조의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각각의 통과 사이에 빌렛을 90도 회전시켰다. 이는 다수회 통과 ECAE 동안 활성 전단 평면의 3차원 네트워크를 따라 단순 전단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빌렛을 형성한 Al 7020 재료를 ECAE 전체에 걸쳐 175℃의 가공 온도에서 유지하였다. ECAE 후에 서브-마이크로미터 결정립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낮지만 피크 시효 온도를 초과하며 따라서 ECAE 공정에 유리한 전반적인 더 낮은 강도 및 더 높은 연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를 선택하였다. Al 7020 재료 빌렛은 이러한 제1 ECAE 사이클 동안 어떠한 균열도 겪지 않았다.
제1 ECAE 공정 후에, 실시예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조건을 사용하여 용체화 및 담금질을 수행하였다(즉, 빌렛을 450℃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냉수 중에 즉시 담금질하였다). 생성된 Al 7020 재료의 미세구조를 광학 현미경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이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나 있다. 도 12a는 ×100 배율에서의 생성된 재료이고, 도 12b는 ×400 배율에서의 동일한 재료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재료는 재료 전체에 걸쳐 모든 방향으로 10 내지 15 μm의 미세 등방성 입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세구조는 ECAE에 의해 초기에 형성된 서브-마이크로미터 결정립의 재결정화 및 성장에 의한 고온 용체화 열처리 동안 형성되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재료는 훨씬 더 미세한 결정립을 함유하며, 재료는 실시예 3의 용체화 및 담금질된 초기 미세구조보다 모든 방향에서 더 우수한 등방성을 갖는다.
용체화 및 담금질 후에, ECAE의 다른 공정을 통해, 이번에는 제1 ECAE 공정에 사용된 것보다 낮은 온도에서 샘플을 다시 변형시켰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3에서 사용된 동일한 공정 파라미터를 이러한 제2 ECAE 공정에서 사용하였다. 제2 ECAE 공정은 담금질 단계 후에 가능한 한 빨리(즉, 담금질 30분 이내에) 2회 통과로 실온에서 수행되었다. 더 낮은 온도의 ECAE 공정으로서 제2 ECAE 공정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ECAE 가공이 개선된 결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실시예 3에서와 달리, 실시예 4의 빌렛은 더 낮은 온도에서 빌렛 재료로 수행된 2회 ECAE 통과 후에 균열되지 않았다. 표 4는 샘플 재료가 2회 ECAE 통과를 거친 후에 수집된 인장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재료는 또한 T651 템퍼 조건만을 갖는 재료에 비해 상당한 개선을 가졌다. 즉, 2단계 ECAE 공정을 거친 Al 7020 재료는 항복 강도가 416 MPa이었고, 최대 인장 강도가 440 MPa이었다.
실시예 4는 ECAE 전의 재료의 입도 및 등방성이 가공 결과 및 최종 달성가능한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비교적 온건한 온도(약 175℃)에서의 ECAE는 Al 7xxx 합금 재료의 구조를 파괴, 미세화 및 균일화하고, 재료를 추가의 가공을 위해 더 우수하게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ECAE를 사용하여 Al 7xxx를 가공하기 위한 다른 중요한 요인은 ECAE 가공 전 GP 구역 및 침전물의 안정화이다. 이는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 5: 오직 T651 템퍼만 갖는 인공 시효된 Al 7020 샘플의 ECAE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Al 7020 합금 재료를, 용체화, 담금질, 출발 길이보다 2.2% 더 큰 것으로의 신장에 의한 응력 완화 및 인공 피크 시효를 포함하는 초기 가공으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Al 7020 재료의 인공 피크 시효는 90℃에서 8시간 동안의 제1 열처리 후에 115℃에서 40시간 동안의 제2 열처리를 포함하는 2단계 절차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이 재료에 대한 T651 템퍼와 유사하다. 담금질 단계 후 수 시간 이내에 피크 시효를 시작하였다. 생성된 재료의 브리넬 경도는 108 HB에서 측정되었고 항복 강도는 347 MPa이었다(즉, 실시예 2의 재료와 유사함). 제1 열처리 단계는 제2 열처리 전에 GP 구역의 분포를 안정화시키고 자연 시효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절차는 균질한 침전을 촉진하고 침전에 의한 강화를 최적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인공 피크 시효 후에 저온 ECAE를 수행하였다. 2가지 ECAE 공정 파라미터를 평가하였다. 먼저, ECAE 통과 횟수를 변화시켰다. 1회, 2회, 3회 및 4회 통과를 시험하였다. 모든 ECAE 사이클에 대해, 재료 빌렛을 각각의 통과 사이에 90도만큼 회전시켰다. 둘째, ECAE 동안의 재료 온도의 영향을 변화시켰다. 평가한 ECAE 다이 및 빌렛 온도는 25℃, 110℃, 130℃, 150℃, 175℃, 200℃, 및 250℃였다. 강화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정 가공 조건 후에 실온에서 샘플 재료를 사용하여 브리넬 경도 및 인장 데이터 둘 모두를 취하였다. 생성된 재료의 샘플의 이미지를,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생성하였으며, 이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나 있다.
초기 관찰로서, 어떠한 샘플 빌렛의 재료에서도, 심지어 실온에서 ECAE 가공을 거친 빌렛에 대해서도 균열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 실시예는, ECAE가 불안정한 용체화 및 담금질된 상태 직후에 수행되었고, 제2 샘플 및 제3 샘플에서 균열이 발생한 실시예 3과는 대조적이다. 이 결과는 Al 7xxx 시리즈 합금 재료의 가공에 대한 GP 구역 및 침전물의 안정화의 영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은 2개의 주요 구성 원소, 아연 및 마그네슘의 속성 및 빠른 확산으로 인해 Al 7xxx 합금에 특이적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광학 현미경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은 ECAE를 거친 후의 Al 7020 합금 재료의 전형적인 미세구조를 나타낸다. 도 13a는 실온에서 4회 ECAE 통과를 거친 후 그리고 약 250℃에서 1시간 동안 유지된 후의 실온에서의 재료를 나타낸다. 도 13b는 실온에서 4회 ECAE 통과를 거친 후 그리고 325℃에서 1시간 동안 유지된 후의 실온에서의 재료를 나타낸다. 이들 이미지로부터, 서브-마이크로미터 입도가 최대 약 250℃에서 안정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약 25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한 후, 측정된 평균 입도는 서브-마이크로미터(직경 1 μm 미만)였다. 측정된 평균 입도는 직경 약 0.1 μm 내지 약 0.8 μm이었다. 약 300℃ 내지 약 325℃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완전한 재결정화가 일어났고, 서브-마이크로미터 입도는 약 5 내지 10 μm의 입도를 갖는 균일하고 미세한 재결정화된 미세구조로 성장하였다. 용체화를 위한 전형적인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약 450℃의 온도에서 열처리 후, 입도는 약 10 내지 15 μm까지 약간 증가하였다(실시예 4 참조). 이러한 구조적 연구는, ECAE가 약 250℃ 내지 275℃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때, 즉 입도가 서브-마이크로미터일 때 ECAE에 의한 입도 미세화로 인한 경화가 가장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표 5는 ECAE 동안 Al 7020 합금 재료의 온도를 변화시킨 결과로서 브리넬 경도 및 인장 강도의 측정된 결과를 포함한다.
[표 5]
도 14 및 도 15는 실시예 5에서 형성된 재료의 측정된 결과를, 최종 브리넬 경도 및 인장 강도에 대한 ECAE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모든 샘플은 30분 내지 1시간 지속되는 짧은 기간 동안 주어진 온도에서 중간 어닐링과 함께 총 4회 ECAE 통과를 거쳤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료가 ECAE를 거치면서 압출 동안의 재료 온도가 약 150℃ 이하인 경우, T651 템퍼만을 갖는 재료보다 경도가 더 컸다. 더욱이, 빌렛 재료 가공 온도가 감소됨에 따라 강도 및 경도가 더 높아졌으며, 최대 증가는 150℃로부터 약 110℃까지에서 나타났다. 최대 최종 강도를 갖는 샘플은 실온에서 빌렛 재료로 ECAE를 거친 샘플이었다. 도 15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샘플은 생성된 브리넬 경도가 대략 140 HB이었고 YS 및 UTS가 각각 488 MPa 및 493 MPa이었다. 이는 표준 T651 템퍼만을 갖는 재료보다 거의 40%의 항복 강도 증가를 나타낸다. 이 재료에 대한 피크 시효 온도 부근인 110℃에서도, YS 및 UTS는 각각 447 MPa 및 483 MPa이다. 이들 결과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Al 7020 합금 재료를 약 115℃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은, 피크 강도를 제공하는 피크 시효의 조건 동안보다 더 크게 침전물이 성장한 때의 Al 7xxx 합금에서의 과시효 처리에 상응한다. 약 115℃ 내지 약 150℃의 온도에서, ECAE 압출된 재료는 T651 템퍼만을 거친 재료보다 여전히 더 강한데, 그 이유는 과시효로 인한 강도 손실이 ECAE로 인한 입도 경화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이다. 과시효로 인한 강도 손실은 신속하며,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가 110℃에서 약 150℃로 증가하는 온도에서 유지될 때 낮아진 최종 강도를 설명한다. 약 200℃ 내지 약 225℃ 초과에서, 강도 손실은 과시효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서브-마이크로미터 입도의 성장에 의해서도 야기된다. 이러한 영향은 재결정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250℃ 초과의 온도에서 또한 관찰된다.
약 110℃ 내지 약 115℃의 온도는 Al 7xxx(즉, T651 템퍼)의 피크 시효를 위한 조건 부근이며, T651 템퍼만을 갖는 재료의 강도를 초과하는 증가된 강도는 주로 입도 및 ECAE에 의한 전위 경화로 인한 것이다. Al 7020 합금 재료가 약 110℃ 내지 약 115℃ 미만의 온도에 있을 때, 침전물은 안정하며, 피크 시효 조건에 있다. 재료가 실온 부근의 온도로 낮춰짐에 따라, 더 많은 전위 및 더 미세한 서브-마이크로미터 입도가 생성되기 때문에 ECAE 경화가 더 효과적이게 된다. 약 110℃ 내지 150℃의 온도와 비교하여 재료가 실온 주위에서 가공될 때의 강도 증가 속도가 더 점진적이다.
도 16 및 도 17과 표 6은 Al 7020 합금의 달성가능한 강도에 대한 ECAE 통과 횟수의 영향을 나타낸다.
[표 6]
도 16 및 도 17의 그래프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 샘플은 실온에서 샘플 재료를 사용하여 압출하였으며, 각각의 통과 사이에서 빌렛을 90도만큼 회전시켰다. ECAE 통과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 및 경도의 점진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재료가 1회 통과 내지 2회 통과를 거친 후에 강도 및 경도의 최대 증가가 일어났다. 모든 경우에, 최종 항복 강도는 각각 1회, 2회, 3회 및 4회 통과 후에 400 MPa, 구체적으로 408 MPa, 469 MPa, 475 MPa 및 488 MPa 초과였다. 이 실시예는, 전위 발생 및 상호작용 및 새로운 결정립계의 생성을 포함하는 서브-마이크로미터 입도로의 미세화의 메커니즘이, ECAE 동안 단순 전단에 의해 변형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더 효과적이게 됨을 보여준다. ECAE 동안의 더 낮은 빌렛 재료 온도는 또한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증가된 강도를 야기할 수 있다.
실시예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 구역 및 침전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2단계 시효 절차를 사용하는 인공 시효 후에 ECAE를 수행함으로써 재료를 균열시키지 않고서 강도의 개선을 달성하였다. 빌렛의 균열을 피하는 것은 더 낮은 ECAE 가공 온도를 가능하게 하고, 더 많은 ECAE 통과 횟수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Al 7020 합금 재료에서 더 높은 강도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 다양한 가공 경로의 비교
표 7 및 도 18은 실시예 3,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 기재된 다양한 가공 경로를 비교하는 강도 데이터를 나타낸다. 실온에서 ECAE를 거친 샘플만을 비교하여, 1회 통과 및 2회 통과를 나타내었다.
[표 7]
도 18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AE를 용체화 및 시효된 Al 7020 합금 재료 샘플(즉,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적용하는 것은 동일한 주어진 통과 횟수에 대해 ECAE를 인공 시효된 샘플(즉, 실시예 5)에 적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최종 강도가 높지 않다. 즉, 1회 ECAE 통과에 대해 382 MPa(실시예 3)와 408 MPa(실시예 5)를 비교하고 2회 통과에 대해 416 MPa(실시예 4)와 469 MPa(실시예 5)를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는 용체화 및 담금질된 Al 7xxx의 표준 냉간 가공이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Al 2xxx 시리즈 합금에서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음을 보여준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위에서의 더 굵은 침전에 기인한다. 이러한 경향은 적어도 처음 2회 통과 동안 Al 7xxx 시리즈 합금에 대한 극한 소성 변형에 또한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비교는, ECAE를 적용하기 전에 인공 시효에 의한 침전의 안정화를 수반하는 가공 경로가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직후에 ECAE를 사용하는 경로보다 더 많은 이점을 가짐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점은 압출되는 재료에 대해 더 우수한 표면 상태, 예를 들어 더 적은 균열을 야기하고, 주어진 변형 수준에 대해 재료가 더 높은 강도에 도달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Al 7020 플레이트에 대해 ECAE를 수행한 결과
실시예 5에 기재된 절차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가 아니라 플레이트로 형성된 재료에 적용하였다. 도 19는 길이(652), 폭(654), 및 길이(652) 또는 폭(654)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예시적인 플레이트(650)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플레이트가 길이(652) 및 폭(654)에 평행한 평면에서 정사각형이 되도록, 길이(652) 및 폭(654)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종종, 길이(652) 및 폭(654)은 두께보다, 예를 들어 3배만큼 실질적으로 더 크다. 이러한 형상은 휴대용 전자 장치 케이싱과 같은 응용에 더 유리할 수 있는데, 준정형(near net shape)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5에 사용된 동일한 초기 열기계적 특성 처리: 용체화, 담금질, 2.2%로의 신장에 의한 응력 완화, 및 90℃에서 8시간 동안의 제1 열처리 후에, 115℃에서의 40시간 동안의 제2 열처리를 포함하는 2단계 피크 시효 후에 ECAE를 수행하였다. 도 19의 플레이트(650)는 재료가 ECAE를 거친 후에 도시된 Al 7020 합금의 플레이트이다.
플레이트(650)의 가공성은 실온을 포함하는 모든 온도에서 심각한 균열이 없이 양호하였다. 플레이트(650)의 경도 및 강도 시험의 결과가 표 8에 포함되어 있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도 및 강도 시험은 1회, 2회 및 4회 ECAE 통과 후에 취하였고 인장 데이터는 2회 및 4회 ECAE 통과 후에 취하였다. 표 8은 ECAE를 플레이트에 적용한 결과가 ECAE 바에 대한 것과 유사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플레이트로서 압출된 재료에서의 항복 강도(YS)는 400 MPa보다 훨씬 더 컸다.
[표 8]
실시예 8: ECAE 후 압연의 영향
도 20a 및 도 20b는 플레이트(660)로서 형성된 재료로 ECAE를 거친 Al 7020 합금 재료를 나타낸다. ECAE 후에, 플레이트(660)를 압연하였다. 압연은 플레이트의 두께를 최대 50%로 감소시켰다. 두께를 최종 두께로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압연 통과를 사용하는 경우, 실온에 가까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압연이 수행되는 한, 플레이트(660)가 ECAE를 거친 후의 초기 압연 통과에 비하여 최종 압연 단계 동안 기계적 특성이 종종 약간 더 우수하다. 이 실시예는, ECAE를 거친 마그네슘 및 아연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이, 필요하다면, 최종의 바람직한 준정형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적인 열기계적 가공에 의해 추가로 가공될 가능성이 있음을 입증한다. 일부 예시적인 열기계적 가공 단계는, 예를 들어, 압연, 단조, 스탬핑(stamping) 또는 표준 압출뿐만 아니라, 표준 기계가공, 마무리(finishing) 및 세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9: Al 6xxx 시리즈 합금 재료에 대한 ECAE의 영향
ECAE 가공을 다른 유형의 열처리 가능한 합금에서 시험하였다. 열처리 가능한 Al 6xxx 시리즈 합금인 Al 6061에 대한 ECAE 가공의 예를 먼저 설명한다. 시재료는 입수한 그대로의 Al 6061 빌렛이었고, 주조된 그대로의 균질화된 상태였다.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규소를 함유하는 Al 6061 시재료의 조성이 표 9에 포함되어 있다.
[표 9]
초기 열처리를 수행하여, Al 6061 시재료의 경도, 침전 및 미세구조에 대한 온도 및 시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열처리 1(HT 1)은 시재료를 530℃에서 3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 처리는 침전물을 용액 중에 용해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HT1 후 측정된 경도는 60.5 HB이었다.
열처리 2(HT 2)는 시재료를 530℃에서 3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이어서 175℃에서 8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피크 시효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 공정은 직경이 약 0.05 내지 0.1 μm인 다수의 작고 균일하게 이격된 침전물 입자를 함유하는 평형 고용체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가공 온도 및 시간의 이러한 범위는 Al 6061 합금에서 T6 템퍼를 생성하기 위한 열처리에 필적한다. HT 2 후 측정된 경도는 92.6 HB이었다. 이러한 경도 값은 T6 템퍼에 대한 95 HB의 ASTM 표준 값에 필적한다. 최종 측정 강도는 310 MPa의 UTS 및 275 MPa의 YS이었으며, 이는 T6 템퍼 조건을 갖는 표준 Al 6061에 필적한다. 이들 값은 하기 표 10에 포함되어 있다.
열처리 3(HT 3)은 시재료를 530℃에서 3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이어서 400℃에서 8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인공 과시효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 공정은 작은 용해성 침전물이 평균적으로 약 1 내지 5 μm의 직경을 갖는 큰 침전물로 성장 및 합체되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큰 침전물은 최소한의 강화 효과를 제공한다. HT 3 후의 재료의 측정된 경도는 낮으며, 약 30 HB이다. 사용된 열처리 공정 및 생성된 경도 값은 O 템퍼를 거친 재료와 유사하다. 최종 측정 강도는 또한 O 템퍼를 갖는 표준 Al 6061 합금에 필적하였다. UTS는 125 MPa이었고, YS는 55 MPa이었다. 이들 값은 하기 표 10에 포함되어 있다.
열처리 4(HT 4)는 시재료를 530℃에서 3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실온에서 자연 시효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는 과포화된 고용체로부터 매우 미세한 침전물 입자를 생성하였다. 1개월 후에, 이 재료의 경도는 60.5 HB에서 71.5 HB로 서서히 증가하였고 이 경도 값에서 변동이 없었다. 초기 1개월 후, 경도의 추가 변화가 관찰되기 전에 수 일의 지속기간이 경과하였다.
HT 4를 거친 Al 6061 재료의 측정된 결과는, Al 7020과 비교하여, 침전이 Al 7020에 비해 Al 6061에서 더 느린 속도로 진행됨을 보여준다. 그 결과, ECAE 가공 동안, Al 6061 합금은, 특히 용체화 및 담금질 단계 후에, 균열에 덜 민감하였다. 이들 측정으로부터, 적어도 2가지 초기 조건 중 하나를 거친 Al 6061 합금에 대해, 용체화 및 담금질 직후에, 또는 용체화, 담금질 및 시효를 포함하는 공정 후에, 다수회 통과 ECAE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Al 6061 합금 재료에 대한 ECAE 가공의 영향
열처리와 조합된 ECAE의 2가지 실시예를 연구하였다. 용체화, 담금질, 피크 시효 및 ECAE를 포함하는 ECAE 공정 A에서는, Al 6061 재료의 빌렛을 상기에 기재된 HT 2를 거치게 하고, 이어서 175℃ 미만의 온도에서 다이를 사용하여 4회 ECAE에 통과시켰다. Al 6061 합금 재료의 강도의 증가를 달성하였다. 재료의 최종 UTS는 430.25 MPa이었고, YS는 403.3 MPa이었다. 결과가 표 10에 포함되어 있다.
ECAE 공정 B에서는, 용체화, 담금질 및 ECAE를 사용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Al 6061 재료의 빌렛을 먼저 HT 1을 거치게 하였다. 이어서, 각각 4회 및 6회 통과를 갖는 2가지 ECAE 공정을 175℃ 미만의 온도로 유지된 다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ECAE 공정 동안 Al 6061 재료의 빌렛 및 다이를 약 100℃ 내지 약 14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즉, 다이를 ECAE 공정 동안 가열하였고, 각각의 통과 사이에 약 5 분 내지 1시간 동안 Al 6061 합금 재료의 빌렛을 다이의 온도에 가까운 온도(다이의 온도의 50℃ 이내)로 가열하였다. 각각의 ECAE 통과 사이에 다이 및 빌렛을 가열하는 것은 압출 공정 전체에 걸쳐 더 균일한 온도로 빌렛을 유지하였다. 각각의 통과 사이의 이러한 중간 가열 단계는 또한 각각의 통과 사이에 Al 6061 재료의 약간의 어닐링을 제공할 수 있다. Al 6061 재료가 ECAE를 거친 후에 133 HB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각각 T6 템퍼 및 O 템퍼와 비교하여, 1.25 내지 1.4배 및 4 내지 4.3배만큼 경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경도 증가는 변형 동안 야기되는 동적 침전과 ECAE의 조합된 영향 및 각각의 ECAE 통과 사이에 적용된 중간 어닐링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최종 재료 강도 및 경도의 측정치가 표 10에 포함되어 있다. ECAE 공정 B를 거친 후의 Al 6061 재료의 456.5 MPa의 최종 UTS 및 443 MPa의 YS는, T6 템퍼를 갖는 표준 Al 6061보다 46% 높은 UTS 및 60% 높은 YS의 증가, 그리고 O 템퍼를 갖는 표준 Al 6061보다 262% 높은 UTS 및 700% 높은 YS의 증가를 나타낸다. Al 6061 재료의 강도가 증가하였지만, 퍼센트 연신율(약 13%)은 표준 Al 6061 T6(12%)에 필적하였다.
[표 10]
ECAE 후 저온에서 유지되는 Al 6061 합금 재료에 대한 어닐링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 Al 6061 합금 재료에서의 ECAE에 의한 강도 증가를 추가로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21은 전술된 ECAE 공정 B를 먼저 거친 샘플에서 측정된 최종 브리넬 경도에 대한 1시간의 총 열처리 시간 동안의 100℃ 내지 400℃의 어닐링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00℃ 내지 175℃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수행되는 열처리의 경우, 재료가 ECAE 공정 B를 거친 직후에 측정된 133 HB의 초기 값과 비교하여 약 143 HB의 값으로 브리넬 경도가 증가하였다.
실시예 10: Al 2xxx 시리즈 합금 재료에 대한 ECAE의 영향
다른 열처리 가능한 Al 합금에 대한 ECAE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Al 2xxx 시리즈 합금인 Al 2618을 사용하였다.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구리를 함유하는 Al 2618 시재료의 조성이 표 11에 포함되어 있다. Al 2618 시재료를 빌렛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이는 주조된 그대로의 균질화된 상태였다.
[표 11]
초기 열처리 시험을 수행하여 Al 2618 합금의 침전 역학에 대한 온도 및 시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Al 2618 합금은 CuMgAl2, FeNiAl9 및 (Cu, Fe)Al6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침전물을 함유한다. 용체화 및 시효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요 용해성 제2 상은 CuMgAl2이다.
열처리 A(HT A)는 530℃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열처리는 용해성 침전물을 용액으로 다시 용해시켰다. HT A 후 측정된 경도는 72.6 내지 76 HB이었다.
열처리 B(HT B)는 530℃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끓는 물에 수담금질하고, 200℃에서 20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인공 피크 시효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는 직경이 약 0.05 내지 0.1 μm인 다수의 작고 균일하게 이격된 침전물 입자, 주로 CuMgAl2를 함유하는 평형 고용체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온도 및 시간의 이러한 범위는 표준 T6 템퍼를 얻기 위해 Al 2618에 사용된다. HT B 후 재료의 측정된 경도는 114 내지 119 HB이었으며, 이는 표준 T61 템퍼에 대한 115 HB의 ASTM 표준 값에 가까웠다.
열처리 C(HT C)는 530℃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385℃에서 4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어닐링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열처리는 침전물이 큰 크기로 성장 및 합체되게 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CuMgAl2와 같은 대부분의 용해성 침전물은 직경이 1 마이크로미터 초과였고 그의 강화 능력의 대부분을 상실하였다. 최종 재료의 측정된 경도는 대략 47.5 HB이었다. 여기에 사용된 열처리 공정 및 생성된 경도 값은 표준 O 템퍼와 유사하였다.
열처리 D(HT D)는 530℃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자연 시효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열처리를 사용하여 고용체로부터 침전이 얼마나 빨리 일어나는지 측정하였다. 2주 후에는, 경도가 72.6 HB에서 82 HB로 증가하였고, 3 내지 4주 후에는, 경도가 100 HB까지 추가로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9와 비교하면, Al 2618의 경우, Al6061에서보다는 더 빨리 그러나 Al 7020에서보다는 더 느리게 침전이 일어난다.
Al 2618 합금 재료에 대한 ECAE 가공의 영향
열처리 후 Al 2618 합금 재료에 대한 ECA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시험을 위해, 열처리 A를 거친 Al 2618 재료를 사용하였다. ECAE 동안의 Al 2618 재료의 온도, 사용된 ECAE 통과 횟수, 및 ECAE-후 어닐링의 시간 및 온도를 변화시켜 Al 2618 재료의 최종 강도에 대한 각각의 파라미터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150℃ 초과 및 230℃ 미만의 온도에서 Al 2618 재료를 유지하면서 ECAE를 수행하는 것은 재료 강도와 양호한 빌렛 표면 상태 사이의 균형을 제공하였다. Al 2618 재료에 대한 ECAE에 사용되는 더 높은 가공 온도는, 많은 다른 합금에서보다 Al 2618 합금에서 더 많은 양의 Ni 및 Fe가 존재한 결과인, 침전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더 높은 범위의 온도 및 시간 및 열 안정성으로 인해 사용되었다.
1회 또는 2회 통과를 사용하는 경우, 4회 통과와 같은 더 많은 횟수의 통과에 비해 최상의 강도 결과가 달성되었다. 측정된 결과가 하기 표 12에 포함되어 있다. ECAE는 결정립 미세화뿐만 아니라 침전 정도 및 역학에 영향을 준다. 침전은 ECAE 동안 동적으로 일어나며, 침전물은 새로 생성된 전위 및 더 미세한 입도와 상호작용한다. 측정된 결과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영향은 1회 또는 2회 통과와 같이 단지 적은 횟수의 통과가 사용될 때 가장 강하다. 추가적인 통과가 사용될 때, 추가적인 통과는 침전물의 용해 속도 및 크기를 증가시켜 Al 2618 합금에서의 전반적인 강도에 대한 그의 기여를 감소시킬 수 있다.
100℃ 내지 400℃의 온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1시간의 총 지속 시간 동안의 ECAE-후 어닐링의 영향을 또한 측정하였다. 약 200℃ 미만의 온도의 경우, 어닐링은 임의의 통과 횟수로 ECAE를 거친 용체화된 합금 재료의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킨다. 측정된 결과가 표 12에 나타나 있다. ECAE-후 어닐링의 영향은 100℃ 내지 150℃의 어닐링 온도에 대해 가장 두드러진다.
표 12의 측정된 값에 나타난 바와 같이, 1회 및 2회 통과의 ECAE를 사용하여 가장 안정한 최고 경도를 얻었다. 2회 통과를 사용하여, 200℃에서 1시간 동안 어닐링한 후에도, 158 내지 160 HB만큼 높은 최종 경도를 달성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표준 T6 템퍼를 갖는 Al 2618 재료로부터의 경도의 증가는 1회 통과 후 32.7%이고, 2회 통과 후 42.8%이고, 4회 통과 후 23.5%이다. T6 템퍼로부터의 YS의 증가는 1회 통과에 대해 37%였고, 2회 통과에 대해 53%였고, 4 회 통과에 대해 10%였다. 이러한 추가적인 증가에 대한 한 가지 원인은 ECAE 후에 고용체로 남아있는 제2 상 재료의 추가의 침전, 분포 및 성장, 그리고 기계적 변형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결정립계 및 전위 라인과 이들 미립자의 상호작용인 것으로 여겨진다.
[표 12]
실시예 11: Al 2xxx 시리즈 합금 재료의 ECAE
Al 2xxx 시리즈로부터의 다른 열처리 가능한 Al 합금, 이 경우에 Al 2219를 ECAE 후에 시험하였다.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구리를 함유하는 시재료의 조성이 표 13에 주어져 있다. Al 2219 합금 시재료는 임의의 열처리 전의 주조된 그대로의 균질화된 상태였다. 초기 열처리 시험을 수행하여 Al 2219 내의 용해성 상의 침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열처리 AA(HT AA)는 537℃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 후에 수담금질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열처리는 모든 용해성 침전물을 용액으로 다시 용해시켰다. HT AA 후 측정된 경도는 74.1 HB이었다.
열처리 BB(HT BB)는 537℃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190℃에서 29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인공 피크 시효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는 다수의 작고 균일하게 이격된 Al-Cu-Fe-Mn 침전물을 함유하는 평형 고용체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HT BB 후 재료의 측정된 경도는 115 HB이었으며, 이는 T6 템퍼를 갖는 이러한 재료에 대한 115 HB의 ASTM 표준 값에 가까웠다.
열처리 CC(HT CC)는 537℃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시킨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400℃에서 2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어닐링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열처리는 침전물이 수 마이크로미터의 큰 크기로 성장 및 합체되게 하여, 침전 강화로 인한 효과가 낮았다. HT CC 후 재료의 측정된 경도는 약 45 HB이었다. 이러한 열처리는 Al 2219에 대한 저강도 O 템퍼에 사용되는 것에 상응한다.
열처리 D(HT D)는 537℃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한 직후에, 수담금질하고 실온에서 자연 시효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 공정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고용체로부터의 침전의 역학을 평가하였다. 3주 후, 재료의 경도는 74.1 HB에서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Al 7xxx 시리즈의 Al 합금과 비교할 때, Al 2219가 느린 침전 속도를 가짐을 나타내었다.
Al 2219 합금 재료에 대한 ECAE 가공의 영향
HT AA 열처리를 거친 Al 2219 합금 재료에 대해 ECAE를 수행하였다. ECAE 통과들 전에 그리고 그 사이에 Al 2219 재료의 빌렛 및 다이를 150℃ 내지 275℃, 더욱 특히 175℃ 내지 250℃의 온도로 열처리하였다. ECAE 조건에서의 최고 강도 수준은 이러한 유형의 열처리 순서에 대해 1회 및 2회 ECAE 통과 후에 나타났다. 1회 및 2회 ECAE 통과 후의 인장 강도 및 브리넬 경도에 대한 최종 결과가 표 20에 포함되어 있다. 비교를 위해, 표준 열기계적 가공(TMP)을 거친 O 템퍼 및 T6 템퍼를 갖는 Al 2219 재료의 강도 및 경도에 대한 데이터가 또한 나타나 있다.
경도는 각각 1회 및 2회 ECAE 통과 후에 130 및 139 HB로 증가하였다. 이는 각각 표준 T6 및 O 템퍼 조건에 비해 1.13 내지 1.21배 및 2.9 내지 3.1배만큼의 증가이다. 인장 시험이 또한 강도의 증가를 확인시켜 주었다. 최대 증가는 1회 통과에 대한 415 MPa 및 2회 통과에 대한 365 MPa의 항복 강도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T6 템퍼보다 약 26%(2회 통과) 내지 43%(1회 통과) 더 높고, O 템퍼보다 420%(2회 통과) 내지 490%(1회 통과) 더 높다. 재료의 연성 수준은 공정 단계 전체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며 T6 조건과 유사하였다.
최종 강도에 대한 영향을 시험하기 위하여 ECAE 후에 저온 열처리(어닐링)를 시험하였다. ECAE-후 어닐링의 최적 온도 및 시간 범위는 각각 100℃ 내지 200℃ 및 0.5시간 내지 최대 50시간이었다. 150℃에서 6시간 동안 수행되는 열처리에 대한 데이터가 1회 및 2회 통과에 대해 표 20에 나타나 있다. YS 및 UTS의 약 8 내지 9%의 최대 강도 개선이 2회 ECAE 통과 후에 관찰되었다. 추가적인 강도 증가는 ECAE 후에 고용체에 남아 있는 추가적인 제2 상의 침전에 기인하였다.
[표 13]
[표 14]
실시예 12: 열처리 불가능한 합금(Al 5xxx 시리즈 합금)에 대한 ECAE의 영향
Al 5xxx 시리즈의 Al 합금인 Al 5083에 대한 ECAE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표 15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망간을 함유하는 Al 5083 합금 재료의 조성을 나타낸다. 5xxx 계열의 대부분의 가공 Al 합금과 마찬가지로, Al 5083은 주로 Al-Mg 2원 시스템에 기초하며, 7 중량% 미만의 농도로 마그네슘을 갖는 Al 합금에 대해 예상되는 상당한 침전 경화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Al 5083은 열처리 불가능한 Al 합금으로 지칭되며, 여기서, 용체화, 담금질 및 시효 경화와 같은 열처리는 일반적으로 미세 용해성 침전물을 생성하지 않는다. Al 5083의 일반적인 제2 상은, 예를 들어, Mg2Al 또는 MnAl6이다. 이들 제2 상은 비용해성이며, 초기 주조 및 냉각 단계 동안 생성되고, 후속 열처리 동안 크기 및 개수가 대부분 안정하게 유지된다.
열처리 불가능한 Al 합금에서, 침전 경화는 일반적으로 매우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강도를 증가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전위 경화에 의한 것이다. 전위 경화에서는, 압연, 단조 또는 인발(drawing)과 같은 TMP 기술을 사용하는 열간 또는 냉간 가공 중에 다량의 전위가 재료 결정립 내로 도입된다. 이들 TMP 기술은, 예를 들어, 다른 치수가 증가하는 동안 샘플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가공된 재료 내로 변형을 도입한다. 생성된 재료 내의 전위의 양 및 밀도는 재료 내로 도입되는 변형의 양과 직접 관련되며, 따라서 또한 재료의 기계적 변형의 양과 관련된다. 실제로, 종종 재료의 달성가능한 기계적 변형은, 예를 들어, 상당히 두꺼운 플레이트, 예를 들어 0.5 내지 1 인치 초과의 두께의 경우 제한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재료의 최종 강도는, 주조 공정에 의해 종종 설정되는, TMP 기술을 적용하기 전의 재료에서의 초기 입도가 얼마나 미세한지에 따라 좌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ECAE는 2개의 강화 메커니즘, 즉 입도(홀 페치) 경화 및 전위 경화를 제공한다. 이는 ECAE가 표준 TMP 방법에 비해 추가적인 강화 메커니즘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즉, ECAE는 홀 페치 경화에 더하여 강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ECAE는 또한 빌렛 두께 또는 형상 치수를 변화시키지 않아서, 큰 빌렛이 빌렛의 두께 전체에 걸쳐 강화될 수 있으면서 또한 매우 높은 수준의 변형률을 도입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이 주성분으로서 존재하는, 표 15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주조된 그대로의 균질화된 Al 5083 재료를 가공하였다. ECAE 동안 Al 5083 빌렛의 표면 균열을 제한하기 위해, 압출 동안 ECAE 다이 및 압출되고 있는 Al 5083 재료의 빌렛을 가열하였다. ECAE 동안 Al 5083 재료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온도 범위는 150℃ 내지 275℃, 약 175℃ 내지 약 250℃인 것으로 밝혀졌다. ECAE의 다수회 통과를 시험하였고, 4 내지 6회의 총 통과 횟수 후에 Al 5083 재료를 측정하였다. 표 14는 O 템퍼(완전히 어닐링됨) 또는 H116 템퍼(냉간 압연됨)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표준 Al 5083 대비 4회 통과를 거친 Al 5083에 대해 얻어지는 인장 강도 데이터를 나타낸다. 재료가 ECAE를 거친 후에 강도 및 경도의 증가를 측정하였는데, 항복 강도(H116 템퍼에 비해 77% 증가인 399 MPa) 및 최대 인장 강도(H116 템퍼에 비해 37.8% 증가인 421 MPa) 둘 모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ECAE 공정 후에 Al 5083 재료의 압연 또는 단조와 같은 TMP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강화를 도입할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나타났다. 표 14는 ECAE 후에 수행된 35% 높이 감소로의 Al 5083 재료의 추가적인 냉간 압연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최종 YS 및 UTS는 각각 418 MPa 및 441 MPa이었다. 이 실시예에서, ECAE 후의 그러나 냉간 압연 전의 Al 5083 합금의 미세구조는 비교적 미세한 서브-마이크로미터 입도를 가졌고, 추가적인 전위가 압연 단계 동안 부여되어 최종 강도에 추가로 기여하였다. 냉간 압연 동안 재료에서의 결함 형성을 감소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는 요소에는 1회 통과당 재료의 퍼센트 높이 감소, 사용되는 롤러의 직경, 날카로운 에지 및 모서리의 트리밍, 및 롤러 온도가 포함된다.
[표 15]
[표 16]
실시예 13: 열처리 불가능한 합금 (Al 5xxx 및 Al 3xxx 시리즈 합금)에 대한 ECAE의 영향
이 실시예에서는, 2가지 열처리 불가능한 Al 합금, 즉 Al 5xxx 시리즈로부터의 Al 5456 및 Al 3xxx 시리즈로부터의 Al 3004를, 약간의 변경을 가지고, 상기 실시예 12에서 사용된 유사한 공정에 따라 ECAE를 사용하여 가공하였다.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망간을 함유하는 출발 Al 합금의 조성이 표 17 및 표 18에 주어져 있다. 표 17에서, "기타 각각"은 열거된 것들 이외의 임의의 단일 원소의 최대 중량 백분율이고, "기타 총계"는 열거된 것들 이외의 모든 원소의 최대 합계 중량 백분율이다.
사용된 총 ECAE 통과 횟수는 4 내지 6회 통과였다. 적합한 공정 온도는 100℃ 내지 275℃, 약 150℃ 내지 약 22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빌렛에 양호한 표면 상태를 제공하였다.
최종 측정된 인장 특성이 표 19 및 표 20에 주어져 있다. 상업적 템퍼를 갖는 Al 3004 및 Al 5456에 대한 측정치가 또한, 완전히 어닐링된 상태(O 템퍼)에 대해 또는 다양한 정도의 변형 가공(strain working), 예를 들어 Al 5456에 대한 H116 템퍼 및 Al 3004에 대한 H38 템퍼에 대한 비교를 위해 주어져 있다. 표 19 및 표 20에 포함된 측정된 값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ECAE는 YS 및 UTS 값을, 표준 변형 가공된 템퍼 H116 또는 H38보다 YTS에 대해 약 1.5 내지 8배 그리고 UTS에 대해 약 1.3 내지 1.4배로 개선하였다. O 템퍼와 비교할 때 강도 증가가 더 컸다.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Al 합금의 최종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ECAE를 수행한 후에 재료를 냉간 압연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빌렛 높이의 40% 감소로 냉간 압연을 사용하였다. 얻어지는 기계적 특성이 표 19의 하부 행에 나타나 있다.
전형적으로 Al 2xxx 및 Al 7xxx 시리즈로부터의 것보다 더 약한 Al 3xxx 및 Al 5xxx 시리즈로부터의 Al 합금에 대해 350 MPa 초과의 YS는 비교적 높은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공정에 의해 부여되는 Al 3xxx 및 Al 5xxx 시리즈 합금의 얻어지는 강도 증가는, 사용자가 특정 값을 초과하는 강도를 갖는 Al 합금에 대해 결정할 때, 더 넓은 범위의 합금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단지 Al 2xxx 및 Al 7xxx 시리즈 이외의 시리즈의 합금으로부터 원하는 강도를 갖는 더 넓은 범위의 Al 합금이 형성될 수 있다. 외관상 매력과 같은 특정 특징 때문에 더 적합할 수 있지만, 이전에는 예를 들어 더 낮은 강도 때문에 적합하지 않았던 합금을, 상기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가공하여, 이전보다 원하는 특성이 더 많은 재료를 얻을 수 있다.
[표 17]
[표 18]
[표 19]
[표 20]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논의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 형태가 특정 특징을 언급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또한 특징들의 상이한 조합을 갖는 실시 형태 및 전술된 특징들 모두를 포함하지는 않는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Claims (10)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으로서,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0.1 중량% 이상의 농도의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재료를 약 400℃ 내지 약 55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알루미늄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냉각된 알루미늄 재료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열된 알루미늄 재료를 실온으로 담금질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재료를 약 2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재료를 등통로각 압출(equal channel angular extrusion, ECAE) 공정을 거치게 하여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은 평균 입도(average grain size)가 직경 약 0.2 μm 내지 약 0.8 μm이고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5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AE 공정은 상기 담금질하는 단계의 24시간 이내에 완료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재료를 상기 ECAE 공정 전에 시효(aging) 단계를 거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아연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상기 알루미늄 재료는 항복 강도가 약 400 MPa 내지 약 65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규소를 함유하는 상기 알루미늄 재료는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0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구리를 함유하는 상기 알루미늄 재료는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0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및 망간을 함유하는 상기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은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50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형성 방법.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서,
0.1 중량% 이상의 농도의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재료는 평균 입도가 직경 약 0.2 μm 내지 약 0.8 μm이고,
평균 항복 강도가 약 300 MPa 내지 약 650 MPa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재료.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재료는 주성분으로서의 알루미늄 및 부성분으로서의 마그네슘, 망간, 규소, 구리,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은 장치 케이스로서 형성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662429201P | 2016-12-02 | 2016-12-02 | |
US62/429,201 | 2016-12-02 | ||
US201762503111P | 2017-05-08 | 2017-05-08 | |
US62/503,111 | 2017-05-08 | ||
US15/824,149 | 2017-11-28 | ||
US15/824,149 US20180155811A1 (en) | 2016-12-02 | 2017-11-28 | Ecae materials for high strength aluminum alloys |
PCT/US2017/063562 WO2018102328A1 (en) | 2016-12-02 | 2017-11-29 | Ecae materials for high strength aluminum alloy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337A true KR20190083337A (ko) | 2019-07-11 |
Family
ID=6224034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5140A KR20190083337A (ko) | 2016-12-02 | 2017-11-29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위한 ecae 재료 |
KR1020237014556A KR20230064633A (ko) | 2016-12-02 | 2017-11-29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위한 ecae 재료 |
KR1020197015713A KR20190083346A (ko) | 2016-12-02 | 2017-11-29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위한 ecae 재료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14556A KR20230064633A (ko) | 2016-12-02 | 2017-11-29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위한 ecae 재료 |
KR1020197015713A KR20190083346A (ko) | 2016-12-02 | 2017-11-29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위한 ecae 재료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4) | US10851447B2 (ko) |
EP (2) | EP3548644A4 (ko) |
JP (2) | JP2020501016A (ko) |
KR (3) | KR20190083337A (ko) |
CN (2) | CN110023527A (ko) |
TW (2) | TWI744431B (ko) |
WO (2) | WO20181023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51447B2 (en) | 2016-12-02 | 2020-12-01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ECAE materials for high strength aluminum alloys |
CN108998709A (zh) * | 2018-08-21 | 2018-12-14 | 南京理工大学 | 一种铝合金的制备方法 |
US11649535B2 (en) * | 2018-10-25 | 2023-05-16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ECAE processing for high strength and high hardness aluminum alloys |
JP7167642B2 (ja) * | 2018-11-08 | 2022-11-09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接合体、ヒートシンク付絶縁回路基板、及び、ヒートシンク |
US11068755B2 (en) * | 2019-08-30 | 2021-07-20 | Primetals Technologies Germany Gmbh | Locating method and a locator system for locating a billet in a stack of billets |
CN111057978B (zh) * | 2020-01-11 | 2022-06-07 | 甘肃西北之光电缆有限公司 | 一种超细晶、高强韧耐热铝合金导线的制备方法 |
CN114574737B (zh) * | 2020-12-01 | 2022-11-22 |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 一种高强高塑性抗应力腐蚀纳米结构铝合金及其制备方法 |
CN113430426A (zh) * | 2021-06-07 | 2021-09-24 | 江苏大学 | 一种高强低镁Al-Mg铝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
CN115505805B (zh) * | 2022-10-13 | 2023-04-28 | 吉林大学 | 一种高强变形Al-Zn-Mg-Cu合金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751125A (en) | 1953-03-02 | 1956-06-27 | Burkon G M B H |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metal cases |
JPS62175702A (ja) | 1986-01-29 | 1987-08-01 | Takashi Mori | 光ラジエ−タ |
US4770848A (en) * | 1987-08-17 | 1988-09-13 |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 Grain refinement and superplastic forming of an aluminum base alloy |
US5513512A (en) | 1994-06-17 | 1996-05-07 | Segal; Vladimir | Plastic deformation of crystalline materials |
US5620537A (en) | 1995-04-28 | 1997-04-15 |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 Method of superplastic extrusion |
JP3654466B2 (ja) | 1995-09-14 | 2005-06-02 | 健司 東 | アルミニウム合金の押出加工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高強度、高靭性の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 |
JPH10258334A (ja) | 1997-03-17 | 1998-09-29 | Ykk Corp | アルミニウム合金成形品の製造方法 |
JP3556445B2 (ja) | 1997-10-09 | 2004-08-18 | Ykk株式会社 | 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の製造方法 |
JP2000271695A (ja) * | 1999-03-26 | 2000-10-03 | Ykk Corp | 成形品の製造方法 |
JP2000271631A (ja) * | 1999-03-26 | 2000-10-03 | Kenji Azuma | 押出成形材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
US6878250B1 (en) | 1999-12-16 | 2005-04-12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puttering targets formed from cast materials |
US20020017344A1 (en) | 1999-12-17 | 2002-02-14 | Gupta Alok Kumar | Method of quenching alloy sheet to minimize distortion |
US20010047838A1 (en) | 2000-03-28 | 2001-12-06 | Segal Vladimir M. | Methods of forming aluminum-comprising physical vapor deposition targets; sputtered films; and target constructions |
CN1233866C (zh) | 2002-05-20 | 2005-12-28 | 曾梅光 | 亚微晶超高强铝合金制备方法 |
JP2004176134A (ja) * | 2002-11-27 | 2004-06-24 | Chiba Inst Of Technology | 超微細結晶粒を有するアルミニウム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製造方法 |
RU2235799C1 (ru) | 2003-03-12 | 2004-09-1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иа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олуфабрикатов и изделие из сплава на основе алюминия |
KR20050042657A (ko) | 2003-11-04 | 2005-05-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결상면 조절부를 구비하는 광학계 및 경사광학계. |
KR100623662B1 (ko) | 2004-01-09 | 2006-09-18 | 김우진 | 강소성가공과 저온 에이징 처리를 통해 시효경화능이 있는 소재의 강도를 대폭 증가시키는 방법 |
DE102004007704A1 (de) | 2004-02-16 | 2005-08-25 | Mahle Gmbh | Werkstoff auf der Basis einer Aluminium-Legierung,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hierfür |
WO2005094280A2 (en) | 2004-03-31 | 2005-10-13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High-strength backing plates, target assemblies, and methods of forming high-strength backing plates and target assemblies |
KR20050105825A (ko) | 2004-05-03 | 2005-11-08 | 김우진 | Ecap 방법을 이용하여 높은 변형률 속도로 초소성가공하는 방법 |
WO2006036033A1 (ja) | 2004-09-30 | 2006-04-06 | Yoshihito Kawamura | 高強度高靭性金属及びその製造方法 |
JP4616638B2 (ja) | 2004-12-24 | 2011-01-19 | 古河スカイ株式会社 | 小型電子筐体及びその製造方法 |
US8137755B2 (en) * | 2005-04-20 | 2012-03-20 | The Boeing Company | Method for preparing pre-coated, ultra-fine, submicron grain high-temperature aluminum and aluminum-alloy components and components prepared thereby |
US7699946B2 (en) | 2005-09-07 | 2010-04-20 |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 Preparation of nanostructured materials having improved ductility |
JP4753240B2 (ja) | 2005-10-04 | 2011-08-24 |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 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材ならびに該合金材の製造方法 |
US20070084527A1 (en) | 2005-10-19 | 2007-04-19 | Stephane Ferrasse | High-strength mechanical and structural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high-strength components |
US7296453B1 (en) | 2005-11-22 | 2007-11-20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 of forming a structural component having a nano sized/sub-micron homogeneous grain structure |
KR100778763B1 (ko) | 2006-11-13 | 2007-11-27 | 한국과학기술원 | 한 개의 공전롤을 갖는 인발형 연속 전단변형장치 |
JP5082483B2 (ja) * | 2007-02-13 | 2012-11-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製造方法 |
JP4920455B2 (ja) | 2007-03-05 | 2012-04-18 | 日本金属株式会社 | 異形断面長尺薄板コイル及びこれを使用した成形体 |
CN101325849B (zh) | 2007-06-14 | 2011-07-27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金属壳体及其成型方法 |
US8028558B2 (en) | 2007-10-31 | 2011-10-04 | Segal Vladimir M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of panels and similar parts |
JP5202038B2 (ja) | 2008-03-03 | 2013-06-05 | 学校法人同志社 | 高靭性軽合金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090115471A (ko) | 2008-05-02 | 2009-11-05 | 한국과학기술원 | Ecae 공정을 이용한 튜브형 소재의 결정립 미세화 장치및 방법 |
KR20090118404A (ko) | 2008-05-13 | 2009-11-18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동적 변형 특성이 개선된 알루미늄 합금의 제조방법 |
DE102008033027B4 (de) | 2008-07-14 | 2010-06-10 |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 Verfahren zur Erhöhung von Festigkeit und Verformbarkeit von ausscheidungshärtbaren Werkstoffen |
RU2396368C2 (ru) | 2008-07-24 | 2010-08-10 |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заказчик-Федеральное агентство по науке и инновациям | СПОСОБ ТЕРМО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СПЛАВОВ СИСТЕМЫ Mg-Al-Zn |
JP2010172909A (ja) | 2009-01-27 | 2010-08-12 | Sumitomo Electric Ind Ltd | 圧延板、および圧延板の製造方法 |
CN101883477A (zh) | 2009-05-04 | 2010-11-10 |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壳体及其制造方法 |
CN101690957B (zh) | 2009-10-19 | 2012-03-28 | 江苏大学 | 提高7000系铸态铝合金组织和性能的等通道转角挤压加工方法 |
US9194028B2 (en) | 2010-09-08 | 2015-11-24 | Alcoa Inc. | 2xxx aluminum alloy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
US9469892B2 (en) * | 2010-10-11 | 2016-10-18 | Engineered Performance Materials Company, Llc | Hot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heat-treatable aluminum alloys |
RU2468114C1 (ru) | 2011-11-30 | 2012-11-27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верхпластичного листа из алюминиевого сплава системы алюминий-литий-магний |
WO2013133976A1 (en) | 2012-03-07 | 2013-09-12 | Alcoa Inc. | Improved 6xxx aluminum alloy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
WO2014010678A1 (ja) | 2012-07-12 | 2014-01-16 | 昭和電工株式会社 |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ケースボディ用素形材の製造方法およびケースボディ用素形材 |
KR20140041285A (ko) | 2012-09-27 | 2014-04-04 | 현대제철 주식회사 | 고강도 Al-Mg-Si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
CN102925827B (zh) | 2012-11-27 | 2014-08-06 | 东北大学 | 一种铝合金导线的制备及在线形变热处理方法 |
CN103909690A (zh) * | 2013-01-07 | 2014-07-09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壳体及应用该壳体的电子装置 |
CN103060730A (zh) | 2013-01-17 | 2013-04-24 | 中国石油大学(华东) | 具有优良综合性能的铝合金制备方法 |
WO2014130452A1 (en) | 2013-02-19 | 2014-08-28 | Alumiplate, Inc. | Hard aluminum films formed using high current density plating |
KR101455524B1 (ko) | 2013-03-28 | 2014-10-2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Al-Mg-Si계 합금의 전위밀도 저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Al-Mg-Si계 합금 제조 방법 |
KR20150001463A (ko) | 2013-06-27 | 2015-01-06 | 현대제철 주식회사 | Al-Mg-Si계 합금 제조 방법 |
AU2014324473B2 (en) | 2013-09-30 | 2017-09-07 | Apple Inc. | Aluminum alloys with high strength and cosmetic appeal |
WO2015057755A1 (en) | 2013-10-15 | 2015-04-23 | Schlumberger Canada Limited | Material processing for components |
US20150354045A1 (en) | 2014-06-10 | 2015-12-10 | Apple Inc. | 7XXX Series Alloy with Cu Having High Yield Strength and Improved Extrudability |
RU2571993C1 (ru) | 2014-10-02 | 2015-12-27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фи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виацио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Способ деформационно-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объемных полуфабрикатов из al-cu-mg сплавов |
ES2793021T3 (es) | 2014-10-28 | 2020-11-12 | Novelis Inc | Productos de aleación de aluminio y método de preparación |
ES2576791B1 (es) | 2014-12-10 | 2017-04-24 |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material metálico mediante procesado por extrusión en canal angular de material metálico en estado semisólido, dispositivo asociado y material metálico obtenible |
WO2016126870A1 (en) | 2015-02-04 | 2016-08-11 | Conde Systems, Inc. | Thermal transfer printed polymeric phone case insert |
US20180202039A1 (en) | 2015-07-17 | 2018-07-19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Heat treatment methods for metal and metal alloy preparation |
CN105077941B (zh) | 2015-07-20 | 2016-08-3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移动设备保护套、移动设备 |
KR102208870B1 (ko) | 2015-10-08 | 2021-01-27 | 노벨리스 인크. | 알루미늄 열간 가공의 최적화 |
CN105331858A (zh) | 2015-11-20 | 2016-02-17 | 江苏大学 | 高强高韧超细晶铝合金的制备方法 |
CN108474066A (zh) | 2015-12-18 | 2018-08-31 | 诺维尔里斯公司 | 高强度6xxx铝合金和其制造方法 |
US11313019B2 (en) | 2015-12-23 | 2022-04-26 | Norsk Hydro Asa | Method for producing a heat treatable aluminum alloy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
CN205556754U (zh) | 2016-03-25 | 2016-09-07 | 贵阳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SiC颗粒增强铝基复合材料组织细化装置 |
JP7082974B2 (ja) | 2016-10-27 | 2022-06-09 | ノベリ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高強度6xxxシリーズ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その作製方法 |
US10851447B2 (en) | 2016-12-02 | 2020-12-01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ECAE materials for high strength aluminum alloys |
CN107502841B (zh) | 2017-08-18 | 2020-05-26 | 江苏大学 | 一种提高锆和锶复合微合金化铝合金耐腐蚀性的方法 |
CN108468005A (zh) | 2018-02-09 | 2018-08-31 | 江苏广川线缆股份有限公司 | 一种6000系铝合金大变形挤压棒材生产工艺 |
US11649535B2 (en) | 2018-10-25 | 2023-05-16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ECAE processing for high strength and high hardness aluminum alloys |
-
2017
- 2017-11-28 US US15/824,283 patent/US10851447B2/en active Active
- 2017-11-28 US US15/824,149 patent/US2018015581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1-29 KR KR1020197015140A patent/KR201900833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11-29 EP EP17876204.3A patent/EP354864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11-29 WO PCT/US2017/063550 patent/WO2018102324A1/en unknown
- 2017-11-29 CN CN201780073224.7A patent/CN110023527A/zh active Pending
- 2017-11-29 KR KR1020237014556A patent/KR2023006463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11-29 CN CN201780074710.0A patent/CN110036132A/zh active Pending
- 2017-11-29 JP JP2019528501A patent/JP2020501016A/ja active Pending
- 2017-11-29 EP EP17877338.8A patent/EP354864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11-29 KR KR1020197015713A patent/KR201900833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11-29 WO PCT/US2017/063562 patent/WO2018102328A1/en unknown
- 2017-11-29 JP JP2019529628A patent/JP2020501021A/ja active Pending
- 2017-12-01 TW TW106142163A patent/TWI744431B/zh active
- 2017-12-01 TW TW106142162A patent/TW201833342A/zh unknown
-
2020
- 2020-03-16 US US16/820,261 patent/US11248286B2/en active Active
- 2020-11-05 US US17/090,312 patent/US11421311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55811A1 (en) | 2018-06-07 |
TW201833342A (zh) | 2018-09-16 |
EP3548644A1 (en) | 2019-10-09 |
KR20230064633A (ko) | 2023-05-10 |
CN110036132A (zh) | 2019-07-19 |
US10851447B2 (en) | 2020-12-01 |
CN110023527A (zh) | 2019-07-16 |
EP3548643A4 (en) | 2020-05-13 |
EP3548644A4 (en) | 2020-05-13 |
US11248286B2 (en) | 2022-02-15 |
US11421311B2 (en) | 2022-08-23 |
US20210054490A1 (en) | 2021-02-25 |
WO2018102324A1 (en) | 2018-06-07 |
KR20190083346A (ko) | 2019-07-11 |
JP2020501021A (ja) | 2020-01-16 |
US20200270730A1 (en) | 2020-08-27 |
WO2018102328A1 (en) | 2018-06-07 |
JP2020501016A (ja) | 2020-01-16 |
EP3548643A1 (en) | 2019-10-09 |
TW201827615A (zh) | 2018-08-01 |
US20180155812A1 (en) | 2018-06-07 |
TWI744431B (zh) | 2021-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48286B2 (en) | ECAE materials for high strength aluminum alloys | |
Jae-Ho et al. | Effect of solution treatment and artificial aging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Cu alloy | |
Panigrahi et al. | Development of ultrafine grained high strength age hardenable Al 7075 alloy by cryorolling | |
Binesh et al. | Microstructure and texture characterization of 7075 Al alloy during the SIMA process | |
JP5343333B2 (ja) | 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製造方法 | |
WO2013115490A1 (ko) | 고연성 및 고인성의 마그네슘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Bakhshi et al. | Strengthening of aluminium alloy 7005 through imposition of severe plastic deformation supplemented by different ageing treatments | |
US20230243027A1 (en) | Ecae processing for high strength and high hardness aluminum alloys | |
Zimina et al. | The study of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win-roll cast AZ31 magnesium alloy after constrained groove pressing | |
Dorward | Work Hardening and Annealing of Aluminum Alloys | |
Hirsch | Annealing of Aluminum and Its Alloys | |
Uddin et al. |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Partially Recrystallized Aluminium Alloy having Varying Cu/Mg Ratio | |
Kazeem et al. | Effect of Heat Treatment Modification on the Tensile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X7475 Al-Alloy Fabricated from Recycled Beverage Cans (RBCs) for Bumper Beam Applications | |
US20190368009A1 (en) | High Strength, Better Fatigue Crack Deviation Performance, and High Anisotropic Ductility 7xxx Aluminum Alloy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Such Products | |
Al-Sultani et al. | Effect of Quenching by 30% Polyethylene Glycol on Properties of Al-4.3% Cu-0.7% Fe-0.6% Mg Alloy | |
Rosso et al. | Influence of Heat Treatment Parameters on the Metallurgical Quality of EN AW 7068 Extruded Bars | |
Nosova et al. | Effect Of Quenching Temperature On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uminum Alloy With High Magnesium Content Al-10% Mg | |
Sarkar | Recovery and recrystallization kinetics of continuous and ingot cast AA5754 | |
Goswami et al. | Emerging trends in plasticity and precipitation of Al-Li-X alloys | |
Li | The effects of thermal process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A2024, 2014 and 2618 aluminum alloy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