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351A - 약제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351A
KR20190077351A KR1020197011711A KR20197011711A KR20190077351A KR 20190077351 A KR20190077351 A KR 20190077351A KR 1020197011711 A KR1020197011711 A KR 1020197011711A KR 20197011711 A KR20197011711 A KR 20197011711A KR 20190077351 A KR20190077351 A KR 20190077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dispensing
accommodating
medicines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373B1 (ko
Inventor
게이스케 요코야마
히데노리 즈지
다카마 야마모토
마사나오 니시오
유키노리 고이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7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G07F13/02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wherein the volume is determined during deliv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제 포장 장치(10)는 불출부(20)와 포장부(60)를 갖는다. 불출부(20)는 약제 카세트(26)를 복수 구비한 제1 불출부(22)와, 제1 불출부(22)에 보관되어 있는 약제와는 별도로 준비된 약제를 받아들이고, 불출 가능한 제2 불출부(24)를 갖는다. 제2 불출부(24)는 제1 수용 불출부(32)와 제2 수용 불출부(34)를 갖는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한데 모아서 뿌려 넣어진 복수의 약제로부터 포장에 필요한 만큼의 약을 불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수용 불출부(32) 및 제2 수용 불출부(34)는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약제 포장 장치
본 발명은 약제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약제 포장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약제 포장 장치는 대략 원통형의 드럼의 외면에 마련한 복수의 카세트 유닛이나, 손 뿌리기 유닛을 갖고, 이들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포장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6183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의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는, 조립 작업성의 개선이나, 사이즈 변경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근년에 있어서는, 손 뿌리기 유닛과 같이 복수 마련된 각 매스(약제 수용 트레이)에 1포분씩 약제를 뿌려 넣어 불출 가능한 것뿐만 아니라, 복수의 약제를 한데 모아서 뿌려 넣어 준비해 둠으로써 처방 정보에 따라 포장에 필요한 만큼의 약제를 순차 불출 가능한 불출부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불출부를 마련하면서, 작업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정연한 구성으로 하고 싶다는 요망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약제를 한데 모아서 뿌려 넣어 준비해 둠으로써 처방 정보에 따라 포장에 필요한 만큼의 약제를 순차 불출 가능한 불출부를 마련하면서, 작업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정연한 구성의 약제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약제를 보관함과 함께, 보관되어 있는 약제를 처방 정보에 따라 개별로 불출 가능한 약제 카세트를 복수 구비한 제1 불출부와, 상기 제1 불출부에 보관되어 있는 약제와는 별도로 약제를 받아들였다가, 처방 정보에 따라 불출 가능한 제2 불출부와, 상기 제1 불출부 및 상기 제2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를 포장부를 향해 이동하는 약제의 이동 경로에 마련된 전달부를 갖고, 상기 제2 불출부가, 복수의 약제 수용 트레이를 종횡으로 정렬시켜 배치하고, 처방 정보에 따라 각 약제 수용 트레이에 약제를 수용하여 불출에 대비하여 준비하고, 각 약제 수용 트레이마다 약제를 불출 가능한 제1 수용 불출부와, 복수의 동일 종류의 약제를 한데 모아서 수용하고 포장에 필요한 만큼의 약제를 처방 정보에 따라 불출 가능한 제2 수용 불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수용 불출부 및 상기 제2 수용 불출부가, 상하로 배치된 것이고, 상기 전달부가, 상기 제1 불출부 및 상기 제2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되어 낙하하는 약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낙하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합시키고, 상기 포장부를 향해 불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불출부로서, 약제 카세트를 복수 구비한 제1 불출부에 더하여, 제2 불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불출부는, 제1 수용 불출부를 마련하여 복수 마련된 각 수용부마다 약제를 준비하여 불출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제2 수용 불출부를 마련하여, 복수 한데 모아서 수용하고 준비해 둔 약제를 포장을 위해 순차 불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예를 들어 제1 불출부에 탑재되지 않은 약제에 있어서, 제2 수용 불출부에 약제를 한데 모아서 준비해 두는 것만으로 포장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약제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제1 수용 불출부 및 제2 수용 불출부를 적절히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한층 더 약제의 특성을 고려한 포장 작업이나, 포장 작업의 효율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전달부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불출부나, 제2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되어 낙하하는 약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낙하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예를 들어 본체 중심 방향 등, 가능한 한 특정한 방향을 향해 집합시키고, 포장부를 향해 불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장치 내에 있어서의 약제의 이동 경로의 설정 자유도가 높고, 그만큼 제1 불출부나 제2 불출부 등의 복수의 구성의 약제 불출부가 장치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그것들 중 어느 불출부가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비어져 나오거나 하는 일 없이 정연하게 배치된 깔끔한 구성의 약제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제1 수용 불출부 및 제2 수용 불출부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이동하거나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1 수용 불출부 및 제2 수용 불출부에 대한 약제의 준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 불출부 및 제2 수용 불출부를 좌우로 배치하거나 한 경우에는 약제 포장 장치가 폭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등의 우려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수용 불출부 및 제2 수용 불출부를 상하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정연한 구성의 약제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전달부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를 모아, 상기 전달부에 공급하는 상방측 호퍼를 갖고, 상기 상방측 호퍼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오므라지도록 둘레면이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의 하방측의 영역에, 상기 제2 불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침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방측 호퍼의 경사부의 하방측에 생기는 영역을 무효 공간으로 하지 않고, 제2 불출부의 설치 스페이스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약제 포장 장치의 구성을 한층 더 정연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불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낙하시켜서 수집하여 포장하고자 하는 경우, 약제의 튐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약제의 수집 속도의 향상이나, 약제의 분실에 의한 포장 불량 등의 문제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는, 불출부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의 튐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원과 같이 복수의 약제 준비 불출 기구가 탑재된 장치에 있어서는, 수집 속도의 향상이 곤란해지기 쉽고, 각각의 약제 준비 불출 기구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약제의 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전달부가, 상기 포장부를 향해 이동하는 약제의 이동 경로에, 분포용으로서 준비되는 약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단 받아들였다가 상기 포장부를 향해 배출 가능한 저류부를 갖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가 예기치 않은 곳으로 튀어 버리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제2 수용 불출부가, 약제 포장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약제를 공급 가능하게 되고, 상기 장치 본체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약제를 불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로부터 제2 수용 불출부를 앞으로 인출하여 약제를 공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유저는 제2 수용 불출부에 대한 약제의 공급 작업을 행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제2 수용 불출부를 장치 본체 내에 밀어 넣은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제2 수용 불출부가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불출부를 장치 본체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약제가 불출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제2 수용 불출부로부터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작동하는 개소에 잘못하여 작업자가 접촉해 버리거나, 제2 수용 불출부 내에 분진 등이 섞여드는 등, 제2 수용 불출부가 장치 본체 밖으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상정할 수 있는 문제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전달부가, 개폐 가능하게 된 제1 개폐체를 구비한 제1 개폐 기구부를 갖고, 낙하해 온 약제를 상기 제1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일단 받아들였다가 하방으로 배출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1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클리어런스를 두고 판체를 나란히 배치한 다층 구조로 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불출부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층 구조로 함으로써, 약제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약제의 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전달부가, 개폐 가능하게 된 제2 개폐체를 구비한 제2 개폐 기구부를 갖고, 낙하해 온 약제를 상기 제2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일단 받아들였다가 하방으로 배출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2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것보다도 얇게 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불출부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것보다도 얇게 함으로써, 약제의 충돌에 의한 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전달부가, 상기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되어 낙하해 온 약제를, 상기 낙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불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낙하 방향뿐만 아니라, 낙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약제의 통과 경로의 설정 자유도가 향상되어, 약제 포장 장치의 콤팩트화 등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서는, 본원과 같이 복수의 약제 준비 불출 기구가 탑재된 장치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수집 속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류측으로부터 약제를 모아 하류측으로 보내는 호퍼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호퍼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오므라지는 호퍼 본체와, 상기 호퍼 본체의 하방으로 연통된 통형부와, 상기 호퍼 본체와 상기 통형부 사이에 마련된 헤드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본체와 상기 통형부가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만곡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방의 부위가, 상방의 부위보다도 연질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호퍼의 헤드부에 있어서 호퍼 본체와 통형부가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만곡시킴과 함께, 헤드부로부터 하방의 부위를 상방의 부위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호퍼에 도입된 약제의 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제2 수용 불출부가, 약제의 수용 및 불출이 가능한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에 대하여 약제의 불출에 요하는 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카세트가,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둘레벽을 구성하는 둘레벽 구성체와, 상기 둘레벽 구성체의 바닥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둘레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1 회전체와, 상기 둘레벽 구성체의 상단측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를 구비하고,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체에 이동 탑재시킴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이송시키고,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약제 수용부 내에 약제를 준비해 두면,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2 수용 불출부로부터 약제를 1정씩, 순차적으로 적절하고 또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수용 불출부의 사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제1 수용 불출부의 각 수용부(약제 수용 트레이)에 손 뿌리기 작업에 의해 약제를 공급하기 위해 요하는 유저의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약제 포장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 조작 가능한 인출부를 갖고, 상기 인출부를 인출함으로써, 상기 카세트가, 상기 인출부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인출부를 상기 장치 본체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카세트가, 상기 장치 본체측으로 복귀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상태로 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출부를 인출 조작함으로써, 카세트를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각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를 장치 본체로 복귀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카세트를 베이스부에 연결하여, 약제를 불출 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약제의 외장 상자에 붙어 있는 약제의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식별 정보 판독부와, 상기 제2 수용 불출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표시 가능한 특정 정보 표시부와, 상기 특정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약제와,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약제를 대조하는 대조부를 갖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를 제2 수용 불출부에 보충할 때, 외장 상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제2 수용 불출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특정하기 위해 특정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특정 정보와 식별 정보가 합치하는지 여부를 대조부에 의해 대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수용 불출부에 보충해야 할 약제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일수마다나 소정 요일 등, 소정의 주기마다 복용해야 할 약제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복용하는 특수한 처방에 대하여 약제를 포장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약제의 포장에 앞서, 약사 등이, 처방에 필요한 약제의 수량을 산출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약사 등의 작업 경감이나, 조제 오류의 억제 등의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번잡한 작업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포장 방법은, 처방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하기 위한 방법이며, 소정의 복용 주기로 복용하도록 약제가 처방되었을 때, 상기 복용 주기, 및 복용 개시일부터 복용 종료일까지의 복용 기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복용 기간 중에 있어서의 약제의 복용 일수를 도출하고, 당해 복용 일수분의 약제를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 방법에 의하면, 소정 일수마다(예를 들어, 하루 걸러나 이틀 걸러 등)나 소정 요일 등, 소정의 주기마다 복용해야 할 약제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복용하는 특수한 처방으로 약제를 포장해야 하는 경우라도, 약제의 복용 일수를 산출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약사 등이 행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주기마다 복용해야 할 약제가 처방되었다고 해도, 복용 기간 중의 매일 약제를 복용해야 하는 경우(연속 복용의 경우)의 합계 일수뿐만 아니라, 약제를 복용해야 하는 날로서 지정된 날이나 요일의 합계 일수 등을 고려하여, 복용 기간으로서 지정된 기간 내에 있어서 약제를 복용해야 하는 날의 총합을 복용 일수로서 도출하여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의 포장 방법에 의하면, 복용 일수를 약사 등이 스스로 도출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약사 등의 작업 경감이나, 조제 오류의 억제 등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처방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하는 약제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며, 소정의 복용 주기로 복용하도록 약제가 처방되었을 때, 상기 복용 주기, 및 복용 개시일부터 복용 종료일까지의 복용 기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복용 기간 중에 있어서의 약제의 복용 일수를 산출하는 처리를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 실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의하면, 소정의 주기로 복용하는 특수한 처방으로 약제를 포장해야 하는 경우라도, 약제의 복용 일수의 도출을 약제 포장 장치에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의하면, 복용 일수를 약사 등이 스스로 도출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약사 등의 작업 경감이나, 조제 오류의 억제 등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약제를 처방 정보에 따라 개별로 불출 가능한 불출부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부와, 제어 장치를 갖고, 처방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 장치가, 소정의 복용 주기로 복용하도록 약제가 처방되었을 때, 상기 복용 주기, 및 복용 개시일부터 복용 종료일까지의 복용 기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복용 기간 중에 있어서의 약제의 복용 일수를 도출하고, 당해 복용 일수분의 약제를 상기 불출부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고, 상기 포장부에 있어서 포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주기로 복용하는 특수한 처방으로 약제를 포장해야 하는 경우에, 약사 등의 사람 손에 의하지 않고 약제의 복용 일수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 의하면, 복용 일수의 도출에 요하는 약사 등의 부담을 경감시켜, 조제 오류의 억제 등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종의 약제를 그 용도, 및 또는 관리에 대응하여 복수종의 불출부에 수용하고, 처방 정보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약제를 각종 불출부로부터 순차 불출 가능한 약제 포장 장치이며, 특히, 한데 모아서 약제를 공급하고, 포장에 필요한 만큼의 약제를 1정씩 순차 불출 가능한 불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정연한 구성의 약제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포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포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제 포장 장치의 장치 본체를 도어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불출부, 제2 불출부, 전달부 및 포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전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전달부 및 포장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수용 불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수용 불출부에 있어서 카세트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수용 불출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수용 불출부에 있어서 인출 부재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전달부에 있어서의 각종 호퍼, 셔터 기구부, 제1 이동 기구 및 제2 이동 기구 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의 전달부 근방을 확대하여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제1 수집 호퍼의 측면도, (b)는 제1 수집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4에 도시한 제1 수집 호퍼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b), (c)는 약제와 제1 수집 호퍼의 접촉 개소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4의 (b)의 A-A 단면도, (b)는 제1 수집 호퍼의 통형부 및 헤드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1 수집 호퍼와 제2 수용 불출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8의 (a)는 셔터 기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셔터 기구부의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제1 이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후퇴 상태인 제1 이동 기구를 측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c)는 전진 상태인 제1 이동 기구를 측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의 (a)는 제2 이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후퇴 상태인 제2 이동 기구를 측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c)는 전진 상태인 제2 이동 기구를 측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부 불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부 불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특정 정보 표시부나 대조부를 마련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4는 각 부로부터 불출된 약제의 수량 관리 방법의 일례인 장표를 도시한 화상도이다.
도 25는 재확인 정보 통지 기능에 의해, 분포 중에 약제의 오낙하가 발생한 것을 방치하기 위한 방치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6의 (a)는 호퍼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a)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호퍼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표시 형성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의 (a)는 표시 형성 장치의 사시도, (b)는 표시 형성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펜 홀더 및 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화상도이다.
도 31은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화상도이다.
도 32는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화상도이다.
도 33은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화상도이다.
도 34는 변형예에 관한 셔터 기구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포장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10)는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불출부(20)나, 전달부(40), 포장부(60), 부 불출부(80) 등을 마련한 것이다.
장치 본체(12)는 세로로 긴 입방체 혹은 직방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방면 상부와 하부에 도어(12a, 12b)를 갖는다. 또한, 장치 본체(12)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불출부(20)의 제2 불출부(24)를 구성하는 제1 수용 불출부(32)나 제2 수용 불출부(34)에 더하여, 카세트 배치부(14)가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장치 본체(12)는 상부의 도어(12a)에, 조작 패널(12c)과, 제1 수용 불출부(32)를 사용할 때의 약제의 데이터 등을 인쇄하는 저널 프린터(12d)를 갖는다. 하부의 도어(12b)에는 포장부(60)로 형성된 약 포대를 배출하는 배출구(12e)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의 도어(12a)에는 바코드 리더(12f)가 더 마련되고, 이 바코드 리더(12f)에 약제의 외장 상자의 바코드를 대면, 그 약제의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26)가 도어(12a)의 정면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 배치부(14)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약제 카세트(26)를 배치하는 부분이다. 카세트 배치부(14)는 약제 카세트(26)를 배치하여 작업하기 위한 작업대로서 기능한다. 카세트 배치부(14)는 필요에 따라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하거나, 장치 본체(12)측에 압입하여 수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카세트 배치부(14)에는 약제 카세트(26)를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한 오목부를 갖는다. 이 오목부에 약제 카세트(26)를 꽂아 넣으면, 약제 카세트(26)의 저면에 마련된 태그(도시하지 않음)와 대향하는 위치에, 카세트 배치부(14)측에 마련된 리더라이터(도시하지 않음)가 도래한다. 리더라이터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라고 칭해지는 통신 형식에 대응한 것이고, 약제 카세트(26)의 태그와의 사이에서 통신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 기입할 수 있다.
불출부(20)는 약제가 불출 가능하게 준비한 것이다.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출부(20)는 제1 불출부(22)와, 제2 불출부(24)를 갖는다.
제1 불출부(22)는 약제 카세트(26)를 복수 구비하고 있고, 각 약제 카세트(26)에 있어서 약제를 보관함과 함께, 보관되어 있는 약제를 개별로 불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불출부(22)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불출부(2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이 장치 본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28)을 갖는다. 드럼(28)의 외면에는 약제 카세트(26)가 장착되는 지지대(30)가 둘레 방향으로 배치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26)는 내부에 약제가 수납되고, 로터의 회전에 의해 약제를 하나씩 배출 가능한 공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약제 카세트(26)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는 드럼(28)의 내면에 마련된 통로를 통해 후술하는 제1 약제 수집 호퍼(42)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제2 불출부(24)는 제1 불출부(22)에 보관되어 있는 약제와는 별도로 준비된 약제를 받아들였다가, 불출 가능한 것이다. 제2 불출부(24)는 제1 수용 불출부(32)와 제2 수용 불출부(34)를 갖는다. 제1 수용 불출부(32) 및 제2 수용 불출부(34)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측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용 불출부(34)는 제1 수용 불출부(32)에 대하여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 불출부(32)는 복수 준비된 수용부(32a)를 갖고, 처방 정보에 기초하는 복용 시기마다 각 수용부(32a)에 약제를 뿌려 넣어 둠으로써, 각 수용부(32a)마다 약제를 불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즉, 제1 수용 불출부(32)(저류부)는, 분포용으로서 뿌려 넣어 준비되는 약제를 일단 받아들였다가 포장부(60)를 향해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수용 불출부(32)는 격자형으로 형성된 수용부(32a)에, 반정의 약제나 사용 빈도가 낮은 약제 등을 손 뿌리기로 세트해 두고, 포장부(60)에서 포장하는 등의 용도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제1 수용 불출부(32)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측에 있어서,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약제를 손 뿌리기 가능한 상태로 된다. 약제를 손 뿌리기로 제1 수용 불출부(32)에 준비한 후, 장치 본체(12) 내로 복귀시킴으로써, 손 뿌리기에 의해 준비한 약제를 처방에 맞추어 순차 불출할 수 있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동일종의 약제를 한데 모아서 복수 공급하여 준비해 둠으로써, 분포에 필요한 만큼의 약제를 순차 불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용 불출부(34)는 카세트(34x)와 모터 베이스(34y)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카세트(34x)를 모터 베이스(34y)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34x)는 둘레벽 구성체(34a)와, 제1 회전체(34b)와, 제2 회전체(34c)와, 약제 불출부(34d)를 갖는다. 둘레벽 구성체(34a)는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34e)의 둘레벽을 구성하는 것이다. 제1 회전체(34b)는 둘레벽 구성체(34a)의 바닥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체(34b)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받고, 둘레벽 구성체(34a)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34f)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회전체(34c)는 둘레벽 구성체(34a)의 상단측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회전체(34c)는 모터 베이스(34y)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받고, 제2 회전축(34g)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약제 불출부(34d)는 제2 수용 불출부(34)로부터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제1 회전체(34b)를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수용부(34e) 내에 준비된 약제를 긁어 올려, 제2 회전체(34c)에 이동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불출부(34)는 제2 회전체(34c)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1 회전체(34b)로부터 이동 탑재된 약제를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이송시켜, 약제 불출부(34d)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의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회전체(34b)나 제2 회전체(34c)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약제 수용부(34e)에 준비된 약제를 하나씩, 약제 불출부(34d)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제1 수용 불출부(32)에 대하여 상하로 배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용 불출부(34)는 제1 수용 불출부(32)에 대하여 상방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수용 불출부(34)는, 수평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기) 배열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장치 본체(12)로부터 개별로 인출함으로써 약제를 공급 가능해지고, 장치 본체(12)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약제를 불출 가능해진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기) 한데 모아 일체적으로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인출하거나, 압입하거나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용 불출부(34)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측에 있어서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삽입 발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인출 부재(34h)를 갖는다. 인출 부재(34h)는 판형의 인출 본체(34i)와, 파지부(34j)와 작동편(34k)을 갖는다. 인출 본체(34i)는 장치 본체(12)의 깊이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모터 베이스(34y)의 하방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파지부(34j)는 인출 부재(34h)의 슬라이드 조작을 행할 때 유저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34j)는 인출 본체(34i)로부터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파지부(34j)는 모터 베이스(34y)의 정면측에 마련된 절결부(34m) 내에 수렴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파지부(34j)는 카세트(34x)의 정면측에 있어서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카세트(34x)가 파지부(34j)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유저가 파지부(34j)를 갖고 인출 부재(34h)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모터 베이스(34y)에 대하여 카세트(34x)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편(34k)은 파지부(34j)에 대하여 상술한 슬라이드 방향 안측[장치 본체(12)의 배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작동편(34k)은 인출 부재(34h)의 슬라이드 조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작동편(34k)은 인출 본체(34i)를 장치 본체(12) 내에 퇴입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쓰러져, 장치 본체(12) 내에 마련된 공동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인출 부재(34h)를 장치 본체(12) 내에 퇴입시킬 때, 작동편(34k)은 모터 베이스(34y)와 간섭하지 않는다.
한편, 인출 본체(34i)를 장치 본체(12)로부터 퇴출하도록 이동시키면, 인출 본체(34i)의 천장면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작동편(34k)이 상방을 향해 밀려 돌출되고, 곧바로 세워 설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작동편(34k)은 카세트(34x)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출 본체(34i)를 인출하고, 카세트(34x)가 모터 베이스(34y)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되어도, 카세트(34x)의 안측[장치 본체(12)의 배면측]의 부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불출부(34)는 전달부(40)보다도 상방[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불출부(22)]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를 모아 전달부(40)에 공급하기 위한 호퍼(상방측 호퍼)의 하방에 생기는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여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측 호퍼로서, 전달부(40)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제1 불출부(22)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모으기 위한 제1 약제 수집 호퍼(4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호퍼 본체(42a)와, 통형부(42b)와, 헤드부(42c)를 갖는다. 호퍼 본체(42a)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오므라지도록 경사진 경사부(42d)를 갖는다. 경사부(42d)는 호퍼 본체(42a)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된 외주면(42e)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용 불출부(34)는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밀어 넣은 상태로 하면, 경사부(42d)의 하방측에 있는 스페이스에 적어도 일부가 침입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수용 불출부(34)를 배치함으로써, 제1 약제 수집 호퍼(42)의 하방에 형성되는 스페이스가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전달부(40)는 상술한 불출부(20)에 있어서 불출되고, 포장부(60)를 향해 이동하는 약제의 이동 경로의 중도에 마련되어 있다. 전달부(40)는 불출부(20)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를 일단 받아들인 후, 포장부(60)를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전달부(40)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달부(40)는 제1 약제 수집 호퍼(42), 제2 약제 수집 호퍼(44), 제3 약제 수집 호퍼(46a) 및 제4 약제 수집 호퍼(46b), 제5 약제 수집 호퍼(48)로 이루어지는 5개의 호퍼를 갖고, 이들 호퍼에 의해 제1 불출부(22), 제2 불출부(24) 및 후술하는 부 불출부(80)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40)는 셔터 기구부(50)(제1 개폐 기구부)나, 제1 및 제2 이동 기구(52, 54)(제2 개폐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전술한 각 호퍼에 의해 모아진 약제를 타이밍을 도모하면서 전달부(40)의 하방에 마련된 집합 호퍼(56)를 향해 불출할 수 있다.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제1 불출부(22)의 하방에 배치된 호퍼이다.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제1 불출부(22)를 이루는 각 약제 카세트(26)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를 수집한다. 제1 약제 수집 호퍼(42)의 하단부는 셔터 기구부(50)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약제 카세트(26)에서 배출된 약제를 모아, 셔터 기구부(5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호퍼 본체(42a)와, 통형부(42b)와, 헤드부(42c)를 갖는다. 호퍼 본체(4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42e)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호퍼 본체(42a)의 직경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내주면(42f)이 마련되어 있다. 내주면(42f)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의 영역은,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측에 있어서 폐색되어 있다.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외주면(42e)과 내주면(42f) 사이에 형성된 공간(42g)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공간(42g)은 하단측에 있어서 헤드부(42c)에 연통되어 있고, 내부를 약제가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간(42g)은 외주면(42e)과 내주면(42f)에 걸쳐서 마련된 구획(42h)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도 15의 (a)나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42h)은 근원측의 부위[외주면(42e)에 연속하는 부위]에 있어서 크게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42h)의 근원을 만곡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비해, 공간(42g)을 통과하는 약제(도면 중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와의 접촉점[도 15의 (b), (c) 중에 있어서 흑색 동그라미로 표시]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15의 (b)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약제가 흑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2개소에 있어서 접촉하면서 공간(42g) 내를 낙하하는 케이스가 상정된다. 이에 비해, 도 15의 (c)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약제가 외주면(42e)에 접촉하면서 낙하하는 경우라도, 접촉 개소가 흑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1개소만으로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약제가 다른 부재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면, 정전기 등의 영향으로 약제가 다른 부재에 달라붙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도 15의 (c)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공간(42g)을 통과하는 약제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약제가 제1 약제 수집 호퍼(42) 내에 달라붙는 일 없이, 원활하게 낙하 가능해진다.
제1 약제 수집 호퍼(42)의 통형부(42b)는 호퍼 본체(42a)의 하방에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42c)는 호퍼 본체(42a)와 통형부(42b)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헤드부(42c)에 있어서, 호퍼 본체(42a)와 통형부(42b)가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1 약제 수집 호퍼(42)는 헤드부(42c)로부터 하방의 부위[통형부(42b) 및 헤드부(42c)]가, 상방의 부위[호퍼 본체(42a)]보다도 연질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56a)는 두께 1.5㎜의 ABS 수지로 형성되고, 헤드부(42c)는 두께 0.3㎜의 PET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약제 수집 호퍼(42)의 내측에는, 헤드부(42c)로부터 통형부(42b)에 걸쳐서 1 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둘)의 리브(42i)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42i)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리브(42i)를 마련함으로써, 통형부(42b)의 내주면을 따라 약제가 선회하여, 잘 낙하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약제 수집 호퍼(44)는 제2 불출부(24)의 제1 수용 불출부(32)의 하방에 배치된 호퍼이다. 제2 약제 수집 호퍼(44)는 제1 수용 불출부(32)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집하고, 하방에 마련된 집합 호퍼(56)를 향해 불출할 수 있다.
제3 약제 수집 호퍼(46a) 및 제4 약제 수집 호퍼(46b)는 제2 불출부(24)의 제2 수용 불출부(34)로부터 불출된 약제가 통과하는 호퍼이다. 제3 약제 수집 호퍼(46a)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측에서 보아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및 두 번째에 있는 제2 수용 불출부(34)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제4 약제 수집 호퍼(46b)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측에서 보아 우측으로부터 첫 번째 및 두 번째에 있는 제2 수용 불출부(34)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집하는 것이다. 제3 약제 수집 호퍼(46a) 및 제4 약제 수집 호퍼(46b)는 각각 하단부가 제1 및 제2 이동 기구(52, 54)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5 약제 수집 호퍼(48)는 부 불출부(80)로부터 불출된 약제가 통과하는 호퍼이다. 제5 약제 수집 호퍼(48)는 하단부가 제2 이동 기구(54)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1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기구부(50)(제1 개폐 기구부/저류부)는 셔터 기구 본체(50a)와, 배출부(50b)를 갖는다. 셔터 기구부(50)는 불출부(20)를 이루는 제1 불출부(22)에 있어서 불출되고, 분포용으로서 준비되는 약제를 일단 받아들였다가 포장부(60)를 향해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셔터 기구 본체(50a)는 셔터 케이스(50c)와, 셔터(50d)(제1 개폐체)와, 구동 기구(50e)를 갖는다. 셔터 케이스(50c)는 제1 약제 수집 호퍼(42)로부터 약제를 받아들였다가,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고,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통형인 케이스로 되어 있다.
또한, 셔터(50d)(제1 개폐체)는 셔터 케이스(50c) 내에 형성된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된 것이다. 셔터(50d)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기단부에 있어서 회전축(50f)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선단부가 셔터 케이스(50c)의 내면에 맞닿아 약제를 받아 멈추는 폐쇄 상태와, 선단부가 셔터 케이스(50c)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약제의 낙하를 허용하는 개방 상태로 적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셔터(50d)를 폐쇄 상태로 해 둠으로써 제1 약제 수집 호퍼(42)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를 일단 받아 멈추고, 그 후 셔터(50d)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약제를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동 기구(50e)는 셔터(50d)의 회전축(50f)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 기구(50e)의 동작 제어를 행함으로써, 셔터(50d)의 개폐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50d) 상에 약제가 낙하해 온 경우에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약제가 튀는 등, 상정을 초과하는 높이까지 약제가 튀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셔터(50d)를 비롯한 각 부의 구성을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50d)를 고무제로 한 경우,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 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반면, 셔터(50d)가 곡면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되거나 하여 셔터(50d) 상에 낙하해 온 약제의 튐 방향을 안정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셔터 케이스(50c)가 상방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확대되는 단면 형상인 경우에는, 셔터(50d)에 낙하해 온 약제의 튀어 오름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셔터(50d)의 회전축(50f)의 축심이 셔터 케이스(50c) 내의 중간 부분에 있으면, 낙하해 온 약제가 회전축(50f)에 충돌하여,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약제가 비산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우려 사항을 상정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우선 첫 번째 구성으로서, 셔터(50d)는, 셔터 케이스(50c) 및 셔터(50d)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층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 케이스(50c) 및 셔터(50d)가 각각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두고 금속판이 배열되도록 형성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금속판의 클리어런스는 실험이나 이론 계산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 케이스(50c) 및 셔터(50d)를 이루는 금속판끼리의 클리어런스가 0.1 내지 0.2㎜ 정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면측(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측)에 있는 금속판이 스프링재의 역할을 하여, 충돌한 약제가 상정 이상으로 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구성으로서, 셔터(50d)를 평판에 의해 형성하고, 회전축(50f)의 축심이 셔터 케이스(50c)의 내주벽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50d)를 소정의 각도로 배치함으로써, 셔터(50d) 상에 낙하해 온 약제의 튐 방향을 안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5도 이상 90도 미만의 범위에서 경사진 상태로 셔터(50d)가 폐쇄 상태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약제의 튐 방향이 수평 방향보다도 하방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회전축(50f)을 셔터 케이스(50c)의 내주벽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낙하해 온 약제가 회전축(50f)에 충돌하여,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약제가 비산될 가능성을 대폭으로 저감시키고 있다.
또한, 셔터 케이스(50c)에 있어서 세워 설치된 면에 대하여, 연직 혹은 하방(배출측)을 향함에 따라 테이퍼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약제의 튐 방향을 수평보다도 하방측이 되도록 튐 방향을 유도하고 있다.
배출부(50b)는 셔터 케이스(50c)의 하단측에 연통하도록 마련된 통형의 것이다. 배출부(50b)는 셔터(50d)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셔터 케이스(50c)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를 집합 호퍼(56)를 향해 배출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기구(52)(제2 개폐 기구부/저류부)는 가이드 레일(52a)과, 슬라이드 용기(52b)와, 링크 기구(52c)와, 모터(52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이동 기구(52)는 제2 수용 불출부(34)에 있어서 불출되고, 분포용으로서 준비된 약제를 일단 받아 멈추고 나서 포장부(60)를 향해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52a)은 베이스(52e)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마련한 홈형 단면의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 용기(52b)는 가이드 레일(5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한 직사각형 용기이다. 슬라이드 용기(52b)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에 개구(52f)가 형성된 것이다. 슬라이드 용기(52b)의 상방에는, 제3 약제 수집 호퍼(46a)의 하단 개구가 걸림 결합하는 프레임(52g)이 가이드 레일(52a)에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52c)는 슬라이드 용기(52b)를 가이드 레일(52a)을 따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 링크 기구(52c)는 모터(52d)로부터 입력된 동력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기구(52)는 슬라이드 용기(52b)가 후퇴되어 있을 때, 약제를 슬라이드 용기(52b)에 수용할 수 있다. 모터(52d)를 구동하여 링크 기구(52c)를 통해 슬라이드 용기(52b)를 전진시켜, 슬라이드 용기(52b)의 개구(52f)가 가이드 레일(52a)로부터 이격된 상태(이하, 「전진 상태」라고도 함)로 되면, 슬라이드 용기(52b) 내의 약제가 개구(52f)로부터 낙하하여, 집합 호퍼(56)에 수집된다. 또한, 전진 상태에 있어서는, 프레임(52g)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슬라이드 용기(52b)에 의해 폐색된 상태(이하, 「폐색 상태」라고도 험)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3 약제 수집 호퍼(46a)의 하단부가, 프레임(52g)에 둘러싸인 영역에 있어서 슬라이드 용기(52b)의 천장면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된다. 또한, 전진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용기(52b)가 후퇴한 상태(이하, 「후퇴 상태」라고도 함)로 되면, 슬라이드 용기(52b)의 천장면에 의해 폐색되어 있던 제3 약제 수집 호퍼(46a)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제3 약제 수집 호퍼(46a)로부터 개구(52f)에 약제를 투입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제1 이동 기구(52)는, 슬라이드 용기(52b)가 제3 약제 수집 호퍼(46a)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제2 개폐 기구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1 이동 기구(52)는, 불출되어 낙하해 온 약제를, 낙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 기구로서의 기능도 발휘한다.
제2 이동 기구(54)(제2 개폐 기구부/저류부)는 제2 수용 불출부(34)에 있어서 불출되고, 분포용으로서 준비된 약제를 일단 받아들인 후에 포장부(60)를 향해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이동 기구(54)는 상술한 제1 이동 기구(52)와 동일한 작동 원리로 작동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이동 기구(54)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동 기구(54)는 가이드 레일(54a)과, 슬라이드 용기(54b)와, 링크 기구(54c)와, 모터(54d)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54a)은 베이스(54e)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마련한 홈형 단면의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 용기(54b)는 가이드 레일(54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한 직사각형의 용기이다. 슬라이드 용기(54b)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에 개구(54f)가 형성된 것이다. 슬라이드 용기(54b)의 상방에는, 제4 약제 수집 호퍼(46b) 및 제5 약제 수집 호퍼(48)의 하단 개구가 걸림 결합하는 프레임(54g, 54h)이 가이드 레일(54a)에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54c)는 슬라이드 용기(54b)를 가이드 레일(54a)을 따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 링크 기구(54c)는 모터(54d)로부터 입력된 동력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동 기구(54)는 슬라이드 용기(54b)가 후퇴하고 있을 때, 약제를 슬라이드 용기(54b)에 수용할 수 있다. 모터(54d)를 구동하여, 링크 기구(54c)를 통해 슬라이드 용기(54b)를 전진시켜, 슬라이드 용기(54b)의 개구(54f)가 가이드 레일(54a)로부터 이격된 상태(이하, 「전진 상태」라고도 함)로 되면, 슬라이드 용기(54b) 내의 약제가 개구(54f)로부터 낙하하여, 집합 호퍼(56)에 수집된다. 또한, 전진 상태에 있어서는, 프레임(54g, 54h)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슬라이드 용기(54b)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4 약제 수집 호퍼(46b) 및 제5 약제 수집 호퍼(48)의 하단부가, 프레임(54g, 54h)에 둘러싸인 영역에 있어서 슬라이드 용기(54b)의 천장면에 의해 폐색된 상태(이하, 「폐색 상태」라고도 함)로 된다. 또한, 전진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용기(54b)가 후퇴한 상태(이하, 「후퇴 상태」라고도 함)로 되면, 슬라이드 용기(54b)의 천장면에 의해 폐색되어 있던 제4 약제 수집 호퍼(46b) 및 제5 약제 수집 호퍼(48)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약제를 투입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제2 이동 기구(54)는, 슬라이드 용기(54b)가 제4 약제 수집 호퍼(46b) 및 제5 약제 수집 호퍼(48)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제2 개폐 기구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슬라이드 용기(54b)가 제2 개폐체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2 이동 기구(54)는, 불출되어 낙하해 온 약제를, 낙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 기구로서의 기능도 발휘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전달부(40)와 포장부(60) 사이에는, 집합 호퍼(56)(호퍼) 및 포장 호퍼(58)가 마련되어 있다. 집합 호퍼(56)는 전달부(40)측으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부(60)측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포장 호퍼(58)는, 집합 호퍼(56)의 하방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포장 호퍼(58)는 집합 호퍼(56)로부터 낙하하는 약제를 후술하는 분포지에 도입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부(60)는 상술한 전달부(40)의 더욱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포장부(60)에 있어서는, 2단 절첩의 상태로 롤형으로 하여 준비되어 있는 분포지를 조출하면서 공급된다. 분포지는 가이드(6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향으로 개구된 상태로 공급되고, 포장 호퍼(58)로부터 약제를 받아들인다. 약제를 받아들인 분포지는 히터 롤러(64)로 유도된다. 분포지는 히터 롤러(64)에 있어서 처방 정보에 따라 1복용마다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시일되어, 받아들인 약제를 순차 포장한다. 이에 의해, 약제를 분포한 분포 주머니가, 예를 들어 환자 단위나 복용 시기 단위, 약종 단위 등으로 이어진 포장대가 형성되어, 비스듬히 하방으로 조출된다. 포장대는 도시하지 않은 컨베이어에 의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반송되어, 도어에 마련한 배출구(12e)로부터 배출된다.
도 21이나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불출부(80)는 본체(82)와, 인출체(8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82)는 장치 본체(12)와 동일 정도의 높이 및 깊이를 갖는 한편, 횡폭이 장치 본체(12)보다도 좁은 세로로 긴 직육면체형의 외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82)가 장치 본체(12)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좌측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체(82)의 정면 상반부에는 도어(82a)가 마련되어 있다.
인출체(84)는 인출 방향에 평행한 제1 지지판(84a)과, 제1 지지판(84a)에 직행하는 제2 지지판(84b)을 갖는다. 인출체(84)에 있어서는, 제1 지지판(84a)의 좌측면에 약제 카세트(26)가 장착되는 지지대(30)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지판(84b)의 전방면에도, 약제 카세트(26)가 장착되는 지지대(30)가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26)는 제1 불출부(22)의 약제 카세트(26)와 동일한 구조의 것이다. 약제 카세트(26)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는 제1 지지판(84a) 및 제2 지지판(84b)의 이면에 마련된 통로를 통해 셔터 기구부(86)(도 12 참조)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셔터 기구부(86)(저류부)는 불출부(20)를 이루는 부 불출부(80)에 있어서 분포용으로서 불출된 약제를 일단 받아 멈추었다가 포장부(60)를 향해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셔터 기구부(86)는 상술한 셔터 기구부(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셔터 기구부(86)의 배출측(하방측)에는 제5 약제 수집 호퍼(48)가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부 불출부(80)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제5 약제 수집 호퍼(48)를 통해 장치 본체(12)측의 전달부(40)로 전달되고, 그 후 포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0)는, 불출부(20)로서, 약제 카세트(26)를 복수 구비한 제1 불출부(22)에 더하여, 제2 불출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불출부(24)는 제1 수용 불출부(32)뿐만 아니라, 제2 수용 불출부(34)를 마련함으로써, 제2 수용 불출부(34)에 복수 한데 모아서 공급하여 준비해 둔 약제를 포장하기 위해 순차 불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약제 포장 장치(10)에 의하면, 유저는 제2 수용 불출부(34)에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약제를 한데 모아서 준비해 두기만 하면 포장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약제 포장 장치(10)에 의하면, 유저는 제1 수용 불출부(32) 및 제2 수용 불출부(34)를 적절히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한층 더 약제의 특성을 고려한 포장 작업이나, 포장 작업의 효율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는, 제1 수용 불출부(32) 및 제2 수용 불출부(34)가 상하로 근접하여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제1 수용 불출부(32) 및 제2 수용 불출부(34)에 대한 약제의 공급 작업을 이동하거나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 불출부(32) 및 제2 수용 불출부(34)를 상하에 근접하여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약제 포장 장치(10)의 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0)는 콤팩트하고 또한 정연한 것이다. 이에 의해, 유저는 약국 등의 한정된 스페이스라도 약제 포장 장치(10)를 설치하여, 조제 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수용 불출부(32) 및 제2 수용 불출부(34)를 상하로 배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폭 방향 등 수평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용 불출부(34)를 복수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대만 마련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용 불출부(34)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것이어도 된다.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는 장치 본체(12)로부터 제2 수용 불출부(34)를 앞으로 인출하면 약제를 공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포장 장치(10)에서는, 유저는 제2 수용 불출부(34)로의 약제의 공급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약제 포장 장치(10)에서는, 제2 수용 불출부(34)를 장치 본체(12) 내로 밀어 넣은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수용 불출부(34)가 장치 본체(12)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불출부(34)를 장치 본체(12)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제2 수용 불출부(34)에 준비된 약제의 불출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제2 수용 불출부(34)로부터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작동하는 개소에 잘못하여 작업자가 접촉해 버리거나, 제2 수용 불출부(34) 내에 분진 등이 섞여드는 등, 제2 수용 불출부(34)가 장치 본체(12) 밖으로 노출됨으로써 상정할 수 있는 문제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제2 수용 불출부(34)를 출입 가능한 것으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2 수용 불출부(34)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장치 본체(12)에 수용되는 일 없이, 노출된 상태 그대로 사용되는 것 등 이어도 된다.
상술한 제2 수용 불출부(34)와 같이, 약제 수용부(34e) 내에 준비된 약제를, 제1 회전체(34b)의 회전에 의해 제2 회전체(34c)에 이동 탑재시킴과 함께, 제2 회전체(34c)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이송시켜, 약제 불출부(34d)로부터 배출 가능한 것으로 하면, 약제 수용부(34e) 내에 약제를 준비해 두면, 제1 회전체(34b) 및 제2 회전체(34c)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2 수용 불출부(34)로부터 약제를 처방 정보에 따라 1정씩, 순차 적절하고 또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수용 불출부(32)의 사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제1 수용 불출부(32)의 각 수용부(32a)(약제 수용 트레이)에 손 뿌리기 작업에 의해 약제를 공급하기 위해 요하는 유저의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용 불출부(34)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을 예시했지만,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의 것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는 전달부(40)를 구비하고 있고, 불출부(20)에 있어서 불출되고, 포장부(60)를 향해 이동하는 약제를 일단 받아 멈춘 후, 포장부(60)를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출부(20)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가 예기치 않은 곳으로 튀어 버리거나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포장 장치(10)에 전달부(40)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달부(40)에 상당하는 것을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약제 포장 장치(10)는, 상술한 전달부(40)는 불출부(20)의 각 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전달부(40)에 집합시키고, 포장용으로서 불출 가능한 것으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불출부(20)의 각 부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포장용으로서 전달하는 전달부(40)에 상당하는 것을 따로따로 마련한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0)는 전달부(40)에 마련된 셔터 기구부(50)나 셔터 기구부(86)에 있어서 불출부(20)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이,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두고 판체를 나란히 배치한 다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약제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약제의 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 기구부(50)나 셔터 기구부(86)를 다층 구조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셔터 기구부(50) 및 셔터 기구부(86)의 한쪽 또는 양쪽을 상이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는, 낙하해 온 약제를 제2 개폐 기구부를 이루는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에 있어서 일단 받아 멈춘 후, 하방으로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가 폐색 상태인 상황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것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가 폐색 상태인 상황에 있어서 약제가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면, 슬라이드 용기(52b, 54b)의 천장면이며 프레임(52g)이나 프레임(54g, 54h)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등에 약제가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약제의 낙하 충격을 완화하여 약제의 튐을 억제하기 위해, 슬라이드 용기(52b, 54b)에 있어서 약제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 얇게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부 불출부(80)로부터 약제가 불출되고 있을 때는,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동 기구(54)의 프레임(54h)에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수납구가 개구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프레임(54g)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구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수용 불출부(34)로부터 약제의 불출이 있는 경우, 슬라이드 용기(54b)의 천장면에 약제가 충돌한다. 이때에 낙하 충격에 의한 약제의 튐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 용기(54b)의 천장면을 얇게 하고 있다. 또한, 제2 이동 기구(54)의 프레임(54h)을 통해 슬라이드 용기(54b)에 받아들여진 약제가 튀어서 튕겨 나오지 않도록, 슬라이드 용기(54b)의 저면도 얇게 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하고 있다. 제1 이동 기구(52)에 대해서도, 제2 이동 기구(5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에 있어서, 약제의 충돌에 의한 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에 있어서 약제의 튐 대책으로서 슬라이드 용기(52b, 54b)의 천장면의 일부를 얇게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용기(52b, 54b)의 천장면에 얇은 부분을 마련하는 대신에 다른 튐 대책을 실시하거나, 튐 대책을 실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10)에서는, 전달부(40)에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를 마련함으로써, 약제를 낙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포장 장치(10)는 약제의 통과 경로의 설정 자유도가 높아, 장치 구성을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마련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이동 기구(52) 및 제2 이동 기구(54)는 약제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다른 구성에 의해 약제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불출부(20)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를 모아서 포장부(60)측을 향해 보내는 집합 호퍼(56)는 헤드부(42c)에 있어서 호퍼 본체(42a)와 통형부(42b)가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집합 호퍼(56)는 헤드부(42c)로부터 하방의 부위가 상방의 부위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집합 호퍼(56)에 도입된 약제의 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원활하게 포장 호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집합 호퍼(56)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약제의 튐을 방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호퍼 본체(42a)와 통형부(42b)를 연결하는 헤드부(42c)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하거나, 헤드부(42c)로부터 하방의 부위를 상방의 부위와 동등한 경도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집합 호퍼(56) 대신에, 혹은 집합 호퍼(56)에 더하여 다른 호퍼에 대하여, 동일한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카세트 배치부(14)는 중량을 계측 가능한 천칭 등의 중량 계측기를 내장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약제 카세트(26)나, 제2 수용 불출부(34)의 카세트(34x)를 카세트 배치부(14)에 배치함으로써, 이들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수량을 연산 처리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 배치부(14)에 있어서 도출된 중량으로부터 약제 카세트(26)나 카세트(34x)의 중량을 뺀 무게를, 이들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 1개당의 중량으로 나눔으로써 약제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중량 계측기에 더하여, 약제 카세트(26)나 카세트(34x)에 RF-ID 등의 기록 매체를 마련함과 함께, 기록 매체에 적어도 정보의 기입을 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카세트 배치부(14)에 마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연산 처리에서 도출된 약제의 수량을 기록 매체에 기입하여, 재고 관리 등에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량 계측기에 더하여 표시 장치를 마련하고, 중량 계측기에 의해 도출된 약제의 수량을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10)는 약제의 외장 상자에 부여되어 있는 바코드 등의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식별 정보 판독부로서 바코드 리더(12f)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 포장 장치(10)는,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용 불출부(34)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인 바코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특정 정보 표시부(100)를 더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용 불출부(34)를 이루는 각 카세트(34x)마다 액정 패널이나 전자 페이퍼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에 바코드 등의 식별 정보를 표시시키거나 하여 특정 정보 표시부(100)로서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약제를 제2 수용 불출부(34)의 카세트(34x)에 보충할 때, 외장 상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보충하고자 하는 약제를 특정함과 함께, 약제를 보충하고자 하는 카세트(34x)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 표시부(100)로부터 특정 정보를 판독하여 카세트(34x)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카세트(34x)에 대한 약제의 보충 오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상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특정된 약제와, 특정 정보를 판독하여 특정된 약제가 합치하는지 여부를 대조 가능한 대조부(110)를 약제 포장 장치의 제어 장치 등에 마련함으로써, 대조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고, 카세트(34x)에 대한 약제의 보충 오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수용 불출부(34)는 복수 마련된 카세트(34x)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결정된 특정한 약제의 준비 및 불출을 위해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2 수용 불출부(34)는, 예를 들어 처방마다 상이한 약제를 투입하여 사용하는 사용 방법이 아니라, 약제 카세트(26)와 마찬가지로 규정된 특정한 약제를 상비하여, 적절히 불출 가능하도록 장치 본체(12)에 실장된 것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복수 마련된 카세트(34x)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준비 및 불출할 약제를 적절히 변경하는 유동적인 사용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34x)의 일부 또는 전부를 특정한 약제용으로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카세트(34x)로의 약제의 충전 작업이 정확하게 행해졌는지 여부를 대조하기 위한 대조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카세트(26)에는 RF-ID 등의 매체가 마련되어 있고, 이와 같은 매체를 통해 카세트가 인식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RF-ID의 번호와, 조작자가 되는 약사 등을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자 식별 코드와, 약제를 외장 상자 등에 기재된 약제 식별 코드(소위 JAN 코드나 GS1 코드 등)를 각각 나누어 인식하여 약품 충전 시의 대조 조작을 실행하고 있다.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카세트(34x)에도 마찬가지로 RF-ID를 탑재해도 되지만, 약제 카세트(26)와 같이 상시 고정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예상된다. 그 경우에 있어서는,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카세트(34x)에 탑재되는 전자 페이퍼의 액정 화면에,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카세트(34x)로서의 유니크한 바코드를 표시하고, 이들 코드 번호의 자릿수(길이)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판독한 코드가, 약제 카세트(26)의 식별 코드, 조작자 식별 코드, 혹은 약제 식별 코드의 어느 것인지를 자릿수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카세트(34x)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카세트(34x)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의 자릿수(길이)를 다른 것의 자릿수와 상이하게 함으로써 카세트(34x)에 관한 코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34x)의 전자 페이퍼에는 전술한 유니크한 바코드 이외에, 약품명, 환자명, 투입할 약제의 정수, 카세트(34x)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기호 등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약제 포장 장치(10)는 제1 불출부(22)나, 제2 불출부(24)를 이루는 제1 수용 불출부(32), 제2 수용 불출부(34) 등의 각 부로부터 불출된 약제의 수량을,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표 등의 형식에 의해 화면 표시 혹은 인쇄물로서 출력하거나 하여 종류마다 약제의 불출 상황을 관리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약제의 불출 경로나 수량의 관점뿐만 아니라, 불출 형태의 관점에서 분류하여 불출 상황의 관리를 가능하게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수용 불출부(32)로부터 약제를 1정의 절반(반정)의 형태로 불출 가능하게 한 경우에, 제1 수용 불출부(32)로부터 1정씩 불출된 약제의 수량과, 반정의 상태로 불출된 약제의 수량을 따로따로 관리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수용 불출부(34)에 복수 마련된 카세트(34x) 중 일부를 특정한 약제를 위해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것[고정 카세트(34x)라고도 칭함], 나머지에 대하여 유저의 요망에 따라 약제의 종류 등을 변경 가능한 유동적인 사용 형태로 사용하는 카세트(34x)[비고정 카세트(34x)]로 하는 경우는, 고정 카세트(34x) 혹은 비고정 카세트(34x)의 어느 것으로부터 약제가 불출되었는지를 집계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수용 불출부(34)에 복수 마련된 카세트(34x) 중 일부 또는 전부 특정한 약제를 위해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것[고정 카세트(34x)]으로 한 경우에, 제1 수용 불출부(32)에 마련된 약제 카세트(26) 중 어느 것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약제와 동일종의 약제가, 고정 카세트(34x)에 준비하는 것으로서 중복 설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는 반대로, 고정 카세트(34x)에 준비하는 것으로서 이미 할당되어 있는 약제와 동일종의 약제가, 약제 카세트(26)에 준비하는 것으로서 중복 설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유저의 의도에 반하여 이와 같은 중복 설정이 행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중복 설정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 경고 표시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경고음, 음성 등에 의해 중복 설정의 우려가 있는 것을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수용 불출부(32)에 마련된 약제 카세트(26) 혹은 고정 카세트(34x) 중 한쪽에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서 데이터베이스 등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등록 정보를 변경하여 약제 카세트(26) 혹은 고정 카세트(34x)의 타측에 등록 변경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는 불출부(20)를 이루는 제1 불출부(22)나 제2 불출부(24)에 있어서 약제가 오낙하한 경우에, 오낙하가 발생한 것을 조작자가 명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인식 가능하며, 오낙하에 의한 분포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 가능한 기능(이하 「재확인 정보 통지 기능」이라고도 칭함)을 구비한 것이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10)는 분포 중에 약제의 오낙하가 발생한 경우에, 그 처방이 완료된 시점에서 조작 패널(12c)에 오낙하의 발생을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오낙하의 발생을 나타내는 표시를 지우기 위한 조작(도시예에서는, 「닫기」 버튼을 누름)을 행한 후, 오낙하한 약제의 명칭이나 포수 등의 상세를 나타내는 저널을 저널 프린터(12d)로 출력 가능하게 해도 된다.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는, 오낙하가 발생한 시점에서 분포 동작을 정지해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오낙하의 발생 통지 중이라도 분포를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의 제1 변형예에 대하여≫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는 각 처에 호퍼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약제 수집 호퍼(42)나 제2 약제 수집 호퍼(44), 제3 약제 수집 호퍼(46a), 제4 약제 수집 호퍼(46b), 제5 약제 수집 호퍼(48), 집합 호퍼(56), 포장 호퍼(58) 등, 다양한 호퍼가 약제 포장 장치(10)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약제 포장 장치(10)에 대하여, 약제 카세트(26) 등에 있어서 약제를 작게(예를 들어, 절반) 절단하여 불출 가능하게 한 경우, 약제의 절단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가루(이하, 「절단분」이라고도 칭함)가 포장부(60)에 있어서의 포장 등의 지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약제 포장 장치(10)에 사용되는 호퍼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절단분에 의한 영향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방책을 강구한 것이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26에 도시하는 호퍼(100)와 같이, 약제는 통과할 수 없지만, 약제의 절단분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02)을 마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멍(102)은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형의 것이나, 약제 포장 장치(10)에서의 취급이 예상되는 약제보다도 개구 직경이 작은 개구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호퍼(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멍(102)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절단분 등을 받거나 하여 회수하기 위한 회수 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가루 등의 회수 부재로서, 트레이 등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호퍼(100)와 같이, 절단분 등을 회수하기 위한 구멍(102)을 둘레면(104)에 마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포장부(60)에 있어서의 포장 등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멍(102)을 통해 호퍼(100)로부터 배제된 절단분 등을 회수하는 회수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호퍼(100)로부터 배제된 절단분 등이 약제 포장 장치(10) 내의 예기치 않은 장소에 날려 흩어져, 이차적인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호퍼의 제2 변형예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10)는 각 처에 다양한 호퍼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호퍼에 있어서는, 정전기의 영향에 의해 약제가 부착되어 버려, 약제의 낙하에 폐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약제 포장 장치(10)에 사용되는 호퍼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정전기의 영향 등에 의한 호퍼로의 약제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방책을 강구한 것이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27에 도시하는 호퍼(110)와 같이, 낙하해 온 약제가 미끄러지는 경사면(112)에 통기 구멍(114)을 마련함과 함께, 통기 구멍(114)에 공기 등의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116)를 마련한 것을, 상술한 각종 호퍼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통기 구멍(114)은 약제의 크기보다도 작은 개구이고, 경사면(112)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기체 공급 장치(116)를 작동시키면,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통기 구멍(114)으로부터 기체가 유출되고, 경사면(112)의 표면에 호퍼(110)의 내측을 향해 완만한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의 영향에 의해, 경사면(112)을 향해 낙하해 온 약제는 경사면(112)으로부터 약간 뜬 상태로 되거나 하여, 경사면(112)에 부착되지 않고, 원활하게 낙하해 온다. 그 때문에, 호퍼(110)를 사용하면, 정전기 등의 영향에 의해 약제가 호퍼(110)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표시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변형예≫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는 약제를 분포한 분포 주머니에, 이용자의 요구에 따른 적절한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를 붙이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약제 포장 장치(10)는 환자용으로 복용 시기를 판별하기 위한 표시나, 약사용으로 약제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 등을 붙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포장 장치(10)는 상술한 표시를 붙이기 위한 장치로서,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형성 장치(120)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표시 형성 장치(120)는 어느 장소에 설정되어 있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부(60)에 있어서 히터 롤러(64)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형성 장치(120)는 색이 상이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펜(122)을 홀더(124)에 세트해 둘 수 있다. 표시 형성 장치(120)는 홀더(124)에 세트된 펜(122)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장부(60)를 통과하는 분포지에 대하여 누름으로써, 분포지에 라인을 긋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124)의 구성은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29의 (b)에 도시한 홀더(124)는 리볼버형으로 되어 있고, 펜(122)을 둘레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배열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시 형성 장치(120)는 홀더(124)를 회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형성 장치(120)는 표시를 붙이는 데 사용하는 펜(122)을 소정 위치까지 회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색의 표시를 분포지에 붙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형성 장치(120)를 마련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에 따른 적절한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를 붙이는 기능을 약제 포장 장치(10)에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형성 장치(120)를 마련하는 경우, 대기 중에 펜(122)이 마르거나 하여 표시를 붙여야 할 때 잘 붙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표시 형성 장치(120)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펜(122)의 펜 끝이 말라, 라인 등의 표시가 긁히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방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처방에 있어서 사용이 상정되는 펜(122)을, 직전의 처방분의 포장 시에 발생하는 손실 주머니나, 다음 처방분의 약제의 포장 전에 형성되는 검약포에 시험 기입하거나 하여, 잉크를 예비적으로 토출시키거나 하는 동작(예비 토출)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펜(122)에 의해 표시를 붙이는 타이밍보다도 앞서, 손실 주머니나 검약포에 시험 기입을 행하는 경우에는, 복수 마련한 펜(122)으로부터 사용 상황이나 사용 예측, 각 펜(122)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시험 기입을 행하는 펜(122)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처방이 정해져 있고, 또한 금회의 처방에 사용하지 않은 펜(122)이 있는 경우에는, 그 펜(122)에 대한 시험 기입을 우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처방째가 아침용 분포 주머니에 적색, 낮용 분포 주머니에 청색, 저녁용 분포 주머니에 녹색의 표시를 붙이는 것이고, 2처방째가 수면 전용 분포 주머니에 흑색의 표시를 붙이는 것인 경우는, 1처방째의 분포 후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손실 주머니에, 2처방째에서 사용되는 검은 펜(122)에 의해 라인을 긋는 등의 시험 기입을 행한다. 다음 처방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는, 금회의 처방에서 사용하지 않은 펜(122)을 시험 기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규정에 기초하여 펜(122)의 시험 기입을 행하는 것으로부터, 펜(122)의 펜 끝이 마르는 것에 의한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 마련된 펜(122) 중, 예를 들어 특정한 색의 펜(122)의 펜 끝이 마르기 쉽다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펜 끝이 마르기 쉬운 펜(122)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시험 기입하거나 하여 잉크를 예비 토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 형성 장치(120)에 마련된 각 펜(122)의 특성까지 고려한 후, 최적의 타이밍에 예비 토출을 행할 수 있다.
≪제1 수용 불출부(32)나 제2 수용 불출부(34)에 준비할 약제에 관한 정보 등록≫
상술한 제1 수용 불출부(32)나 제2 수용 불출부(34)는, 제1 불출부(22)에 마련되어 있는 약제 카세트(26)와 같이, 처방에 의하지 않고 상시 소정의 약제가 준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처방에 따라 선택된 약제가 투입, 충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처방된 약제와 환자 정보의 연결에 의한 추적성의 확보가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그 때문에,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 제1 수용 불출부(32)나 제2 수용 불출부(34)에 준비하는 약제에 대하여,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시키고, 이들을 통해 약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 등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0은, 제1 수용 불출부(32)에 준비할 약제에 관하여,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정보의 등록용으로 마련된 인터페이스(130)이다. 도 3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본 정보 표시부(132)에, 제1 수용 불출부(32)에 준비할 약제에 대한 약품명 등, 약제의 제조 로트 등에 관계없이 변화되지 않는 일반 정보나, 제1 수용 불출부(32)에 준비해야 할 약제의 수(포 수)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인터페이스(130)에는 고유 정보 표시부(134)가 마련되어 있다. 고유 정보 표시부(134)에는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과 같이, 제조 로트 등에 기초하는 약제에 고유의 정보(고유 정보)나, 약제가 준비되는 매스의 번호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고유 정보 등의 정보가 미등록인 경우에는, 도 30의 (a)와 같이 고유 정보 표시부(134)는 고유 정보 등이 블랭크의 상태로 표시된다. 도 30의 (a)의 상태에서 고유 정보 표시부(134)를 선택하면(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경우에는 터치하면), 도 30의 (b)와 같은 팝업 화면 등의 입력 화면(136)이 표시되어,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고유 정보, 약제가 준비되는 매스의 번호 등의 정보가 입력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 화면(136)이 표시되어 있을 때 약품의 바코드를 읽어들이면, 약품의 대조를 행한 후에 바코드에 들어 있는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정보를 반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코드에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바코드가 틀린 약품의 경우는, 정보는 입력되지 않는다. 도 30의 (b)의 입력 화면(136)에 의한 정보의 입력 후, 등록 버튼(138)을 선택하면, 입력한 값이 데이터베이스 등에 등록된다. 이에 수반하여, 입력된 정보가 도 30의 (c)와 같이 고유 정보 표시부(134)에 반영된다.
또한, 도 31은 제2 수용 불출부(34)에 준비할 약제에 관하여,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정보의 등록용으로 마련된 인터페이스(140)이다. 도 31의 인터페이스(140)는 도 30의 인터페이스(130)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대략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인터페이스(140)는 인터페이스(130)에 있어서의 기본 정보 표시부(132), 고유 정보 표시부(134)와 마찬가지로, 기본 정보 표시부(142), 고유 정보 표시부(14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유 정보 표시부(144)를 선택하면, 도 30의 (b)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입력 화면(136)이 표시되어,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고유 정보 등이 입력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 화면(136)에 의한 정보의 입력 후, 등록 버튼(138)을 선택하면, 입력한 값이 데이터베이스 등에 등록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수용 불출부(32)나 제2 수용 불출부(34)와 같이 처방에 따라 선택된 약제가 투입, 충전되는 것이라도, 처방 시마다, 로트 번호(제조 번호)나 사용 기한 등의 고유 정보 등을 등록함으로써 처방된 약제와 환자 정보의 연결에 의해 추적성을 확보 가능해진다.
≪특수 처방을 고려한 분포 처리에 대하여≫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 약제를 분포하는 경우, 매일 복용하는 약제뿐만 아니라, 소정 일수마다나 소정 요일에 복용해야 할 약제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복용하는 약제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X일에 걸쳐서 복용할 만큼의 약제를 분포하고자 하는 경우는, 매일 복용할 약제에 대해서는 X일분 준비하면 된다. 그러나, 소정의 주기로 복용해야 할 약제에 대해서는, 단순하게 X일분의 약제를 준비하는 것은 아니고, 주기에 준하여 약사 등의 작업자 자신이 처방에 필요한 약제의 수량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매우 번잡하여, 오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월요일을 개시일이라고 하고 2주 후의 월요일까지의 사이에 하루 걸러 복용할 약제를 처방하는 경우에는, 월, 수, 금, 일, 화, 목, 토, 월의 8일분의 약제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 예와 같이 하루 걸러 복용할 처방이라면 몰라도, 예를 들어 3일 복용한 후, 2일 복용하지 않는 등 복잡한 주기로 복용할 약제를 처방하는 경우에는, 당해 약제를 복용할 일수를 도출하고, 처방에 필요한 약제의 수량을 도출하는 작업이 극히 번잡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소정의 주기로 복용하도록 약제가 처방된 경우에, 그 복용 주기를 지정함과 함께, 복용 개시일부터 복용 종료일까지의 기간(복용 기간)을 지정함으로써, 복용 기간 중에 있어서 당해 약제를 복용할 일수를 도출하고, 필요한 약제의 수량을 도출하여 분포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2에 도시한 인터페이스(150)와 같이, 복용 주기를 입력하는 주기 입력부(152)와, 복용 기간을 입력하는 복용 기간 입력부(154)를 구비한 것을 준비하고, 내부 연산에 의해 복용 기간 중에 약제를 복용할 일수를 도출하고, 필요한 약제의 수량을 도출하고, 처방에 맞추어 분포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2의 예에서는, 주기 입력부(152)에, 주기 지정 버튼(152a, 152b, 152c)이 마련되어 있다. 주기 지정 버튼(152a)은 매일 복용할 약제인 경우에 선택하는 버튼이다. 주기 지정 버튼(152b)은 소정의 간격마다 복용할 약제인 경우에 선택하는 버튼이다. 또한, 주기 지정 버튼(152c)은 소정의 요일마다 복용할 약제인 경우에 선택하는 버튼이다. 또한, 주기 입력부(152)에는, 주기 지정 버튼(152b, 152c)이 선택된 경우에, 주기를 수치 입력하기 위한 수치 입력부(152d)가 마련되어 있다. 도 32에서는, 주기 지정 버튼(152b)이 선택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a일 걸러 b일 연속」으로 복용할 약제 등의 지정 방법에 의해, 주기를 지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복용 주기와 복용 기간을 지정하면, 약제를 분포해야 하는 포가 결정된다. 도 32의 예에서는, 3일 걸러 b일 연속으로 복용할 약제가, 복용 기간을 10일로 하여 분포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에서는, 굵은 프레임으로 둘러싼 영역 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용 기간으로서 설정된 10일간에 있어서 약제를 복용해야 하는 날이 ■로 나타나 있다. 약제 포장 장치(10)는 약제를 복용해야 하는 날로서 선정된 날만큼의 분포 주머니에 약제를 분포한다. 이에 의해, 약제 포장 장치(10)는 소정의 주기로 복용 가능하도록 약제를 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처방 정보의 설정, 입력은 환자마다 행할 수도 있지만, 특히 시설에 입주하는 복수의 환자(입주자)의 처방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더욱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어, 동일 시설 내의 복수의 환자(입주자)에 대하여, 소정일부터 10일간이라는 기간 내에 있어서의 전원의 처방을 일괄적으로 분포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환자(입주자)에 따라서는 매일 복용할 사람도 있는가 하면, 격일, 혹은 지정 요일에 복용하는 등의 특수 처방이 내려져 있는 사람도 몇 명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각각 환자(입주자)마다 복용일을 설정하거나, 복용되는 총 일수를 별도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를 입력하는 등의 작업을 한 후에, 전원분의 처방을 일괄적으로 분포하는 동작을 개시한다는 처리를 행해야만 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의 포장 방법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어 장치에 인스톨하거나 하여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 실현 가능하게 하면, 약사 등의 작업자는 특수 처방의 환자에게 특별히 주의하지 않고, 복수 환자(입주자)에 대하여 공통의 기간의 지정을 행하기만 하면, 환자(입주자)마다 미리 설정된 「격일」이나 「지정 요일」 등의 복용 간격(주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분포해야 할 일수의 총합을 자동적으로 계산하여, 분포할 수 있다.
≪결품 예측 기능≫
약제 포장 장치(10)는 다수의 약제를 취급하기 때문에, 약제의 결품을 약사 등이 축차 확인하는 것은 상당한 수고를 요한다. 그 때문에,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 약제의 결품을 예측하여, 준비를 재촉할 수 있으면, 조제 업무를 한층 더 효율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제 포장 장치(10)는 처방 발행 시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 실장되어 있는 약품의 결품 예측을 행할 수 있는 기능(결품 예측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바람직하다.
결품 예측 기능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처방 발행 시에 약제 포장 장치(10)의 제어 장치 등에 마련되어 있는 실장 약품 마스터 등을 참조하여 재고량을 도출하고, 처방 발행 후에 실장 약품이 결품이 되는지 여부를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처방 발행 시에 결품이 될 수 있는 약제, 또는 재고량이 충전 기준량을 하회할 약제가 존재한다는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 처방 발행 전에 결품이 될 약품의 명칭, 현 재고, 처방량(불출 개수), 부족 수, 카세트 번호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충전을 재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포장 장치(10)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제의 결품이 예측되는 약제 포장 장치(10)의 호기 번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를 분할하여 불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결품이 예측되고 있는 약제가 분할되어 불출되는 것인지 여부의 구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품 예측 기능은 처방 발행 시의 처방량과, 이미 발행되어 있지만 미분포의 처방의 처방량(대기 불출량)을 합산하여 예측함으로써, 한층 더 예측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약제를 분할하여 불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약제 카세트(26)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카세트 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되는 상정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포장 장치(10)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경우이며, 처방 발행 후임에도 호기(號機) 번호가 확정되지 않은 처방이 있는 경우에는, 모두 동일한 호기 번호의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 약제가 불출되었다고 가정하여, 예측한다.
≪직전의 처방 실적과 현 처방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에 대하여≫
약제 포장 장치(10)는 환자마다 약제의 처방 실적을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거나 해두고, 환자에 대한 처방 실적과 현 처방을 비교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약제의 수량을 복용 일수와 각 날에 있어서의 복용 횟수에 기초하여 약제의 처방수(이하, 「일 횟수」라고도 칭함)를 처방 실적으로서 축적해 두고, 약제의 처방 대상자에 대하여 직전의 처방에 관한 일 횟수와, 금회의 처방(현 처방)에 관한 일 횟수를 제어 장치에 있어서 비교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비교의 결과, 일 횟수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160)를 표시하고, 일 횟수의 변경뿐인지 여부를 약사 등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일 횟수의 비교 시에는, 동일 환자, 동일 진료과 내에 있어서 직전에 행해진 처방의 것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기구부(제1 개폐 기구부)의 변형예≫
상술한 셔터 기구부(50)와 같이, 셔터 기구 본체(50a)를 이루는 셔터 케이스(50c) 내에 있어서 셔터(50d)(제1 개폐체)가 가로지르도록 셔터(50d)의 자세를 변화시킴으로써 폐지 가능한 것에 있어서는, 약제의 통과를 저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셔터(50d)의 단부를 반드시 셔터 케이스(50c)에 대하여 맞닿게 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셔터 케이스(50c)와 셔터(50d)의 단부 사이에, 약제를 통과시킬 수 없을 정도의 간극이 개방된 상태로 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카세트(26) 등에 있어서 약제를 작게(예를 들어, 반정의 상태) 절단하여 불출 가능하게 한 경우, 약제의 절단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절단분에 대한 대책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셔터 케이스(50c)와 셔터(50d)의 단부 사이에 간극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간극을 통해 절단분이 누설되어, 포장부(60)에 있어서의 포장 등의 지장이 될 가능성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장부(60)에 있어서 약제를 일 복용분씩 포장하기 위해, 분포지에 시일을 형성하여 약제 봉입부를 형성할 때, 이 시일부에 절단분이 끼어들면, 포장 불량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포장부(60)가, 히터 롤러(64)를 사용하여 분포지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시일과, 이에 대해 교차하는 세로 시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시일의 형성 시에 절단분이 끼어들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셔터 기구부(50)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0d)에 대하여 맞닿음체(50g)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맞닿음체(50g)는 셔터(50d)의 선단으로부터 좀더 끝까지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셔터(50d)에 추종하여 동작한다. 맞닿음체(50g)는 셔터(50d)를 닫을 때, 셔터 기구 본체(50a)의 내주면에 맞닿고, 셔터(50d)를 이루는 판체의 선단과 셔터 기구 본체(50a)의 내주면 사이를 메운다. 이에 의해, 약제의 절단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절단분이, 예기치 않게 셔터 기구부(50)를 통과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기구부(50)에 맞닿음체(50g)를 마련한 경우에는, 셔터(50d)의 개폐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분포지에 시일을 형성할 때 절단분이 끼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분포지의 진행 방향으로 연속되는 포 사이에 세로 시일을 형성하면서 약제를 포장하는 경우에는, 분포지의 진행 방향 전방측의 약제 봉입부와, 후방측으로 연속되는 약제 봉입부의 경계를 이루는 세로 시일이 형성된 후, 후방측의 약제 봉입부의 형성이 개시되었을 때 셔터(50d)가 개방되도록 셔터 기구부(50)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셔터(50d)를 개방하는 타이밍은, 셔터 기구부(50)의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절단분이 낙하해 온다고 해도 세로 시일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이밍에 개방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부(60)가 히터 롤러(64)를 구비한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의 것에 의해 시일하는 것이라도 마찬가지로, 시일이 형성되는 부분에 절단분이 물려 들어가거나, 끼어들거나 하지 않는 타이밍에 셔터(50d)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닿음체(50g)를 마련함으로써, 절단분이 발생한 경우라도, 셔터 기구부(5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시일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최적의 타이밍에 절단분이 낙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 대하여,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약제 포장 장치 전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 약제 포장 장치
12 : 장치 본체
20 : 불출부
22 : 제1 불출부
24 : 제2 불출부
26 : 약제 카세트
32 : 제1 수용 불출부
32a : 수용부
34 : 제2 수용 불출부
34a : 둘레벽 구성체
34b : 제1 회전체
34c : 제2 회전체
34d : 약제 배출부
34e : 약제 수용부
34f : 제1 회전축
34g : 제2 회전축
40 : 전달부
50 : 셔터 기구부(제1 개폐 기구부)
50d : 셔터(제1 개폐체)
52 : 제1 이동 기구(제2 개폐 기구부)
52b : 슬라이드 용기(제2 개폐체)
54 : 제2 이동 기구(제2 개폐 기구부)
54b : 슬라이드 용기(제2 개폐체)
56 : 집합 호퍼(호퍼)
56a : 호퍼 본체
56b : 통형부
56c : 헤드부
60 : 포장부

Claims (13)

  1. 약제를 보관함과 함께, 보관되어 있는 약제를 처방 정보에 따라 개별로 불출 가능한 약제 카세트를 복수 구비한 제1 불출부와,
    상기 제1 불출부에 보관되어 있는 약제와는 별도로 약제를 받아들이고, 처방 정보에 따라 불출 가능한 제2 불출부와,
    상기 제1 불출부 및 상기 제2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를 포장부를 향해 이동하는 약제의 이동 경로에 마련된 전달부를 갖고,
    상기 제2 불출부가,
    복수의 약제 수용 트레이를 종횡으로 정렬시켜 배치하고, 처방 정보에 따라 각 약제 수용 트레이에 약제를 수용하여 불출에 대비하여 준비하고, 각 약제 수용 트레이마다 약제를 불출 가능한 제1 수용 불출부와,
    복수의 동일 종류의 약제를 한데 모아서 수용하고 포장에 필요한 만큼의 약제를 처방 정보에 따라 불출 가능한 제2 수용 불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수용 불출부 및 상기 제2 수용 불출부가, 상하로 배치된 것이고,
    상기 전달부가, 상기 제1 불출부 및 상기 제2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되어 낙하하는 약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낙하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합시키고, 상기 포장부를 향해 불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불출된 약제를 모아, 상기 전달부에 공급하는 상방측 호퍼를 갖고,
    상기 상방측 호퍼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오므라지도록 둘레면이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의 하방측 영역에, 상기 제2 불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침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가, 상기 포장부를 향해 이동하는 약제의 이동 경로에, 분포용으로서 준비되는 약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단 받아 멈추었다가 상기 포장부를 향해 배출 가능한 저류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가, 개폐 가능하게 된 제1 개폐체를 구비한 제1 개폐 기구부를 갖고, 낙하해 온 약제를 상기 제1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일단 받아 멈추었다가 하방으로 배출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1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클리어런스를 두고 판체를 나란히 배치한 다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가, 개폐 가능하게 된 제2 개폐체를 구비한 제2 개폐 기구부를 갖고, 낙하해 온 약제를 상기 제2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일단 받아 멈추었다가 하방으로 배출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2 개폐 기구부에 있어서 낙하해 온 약제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것보다도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가, 상기 불출부에 있어서 불출되어 낙하해 온 약제를, 상기 낙하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불출부가,
    약제 포장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약제를 불출에 대비하여 준비 가능해지고,
    상기 장치 본체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약제를 불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약제를 모아서 하류측으로 보내는 호퍼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호퍼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오므라지는 호퍼 본체와,
    상기 호퍼 본체의 하방으로 연통된 통형부와,
    상기 호퍼 본체와 상기 통형부 사이에 마련된 헤드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본체와 상기 통형부가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만곡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방의 부위가, 상방의 부위보다도 연질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불출부가,
    약제의 수용 및 불출이 가능한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에 대하여 약제의 불출에 요하는 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카세트가,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둘레벽을 구성하는 둘레벽 구성체와,
    상기 둘레벽 구성체의 바닥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둘레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1 회전체와,
    상기 둘레벽 구성체의 상단측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를 구비하고,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체에 이동 탑재시킴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이송시켜,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약제 포장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 조작 가능한 인출부를 갖고,
    상기 인출부를 인출함으로써, 상기 카세트가, 상기 인출부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인출부를 상기 장치 본체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카세트가, 상기 장치 본체측으로 복귀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의 외장 상자에 붙어 있는 약제의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식별 정보 판독부와,
    상기 제2 수용 불출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표시 가능한 특정 정보 표시부와,
    상기 특정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약제와,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약제를 대조하는 대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12. 처방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하는 약제의 포장 방법이며,
    소정의 복용 주기로 복용하도록 약제가 처방되었을 때, 상기 복용 주기, 및 복용 개시일부터 복용 종료일까지의 복용 기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복용 기간 중에 있어서의 약제의 복용 일수를 도출하고, 당해 복용 일수분의 약제를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포장 방법.
  13. 약제를 처방 정보에 따라 개별로 불출 가능한 불출부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부와,
    제어 장치를 갖고,
    처방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 장치가, 소정의 복용 주기로 복용하도록 약제가 처방되었을 때, 상기 복용 주기, 및 복용 개시일부터 복용 종료일까지의 복용 기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복용 기간 중에 있어서의 약제의 복용 일수를 도출하고, 당해 복용 일수분의 약제를 상기 불출부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고, 상기 포장부에 있어서 포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1020197011711A 2016-11-15 2017-11-14 약제 포장 장치 KR10250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2408 2016-11-15
JP2016222408 2016-11-15
JP2017217711 2017-11-10
JPJP-P-2017-217711 2017-11-10
PCT/JP2017/040932 WO2018092771A1 (ja) 2016-11-15 2017-11-14 薬剤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351A true KR20190077351A (ko) 2019-07-03
KR102509373B1 KR102509373B1 (ko) 2023-03-13

Family

ID=6214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711A KR102509373B1 (ko) 2016-11-15 2017-11-14 약제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08219B2 (ko)
EP (1) EP3542773A4 (ko)
JP (4) JPWO2018092771A1 (ko)
KR (1) KR102509373B1 (ko)
CN (1) CN109922775B (ko)
AU (1) AU2017361650B2 (ko)
WO (1) WO20180927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87A1 (ko) * 2022-02-09 2023-08-17 알고케어 주식회사 카트리지 모듈 관리를 위한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317A1 (ja) * 2018-03-09 2019-09-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分包装置
JP7243083B2 (ja) * 2018-08-09 2023-03-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払出プログラム
JP6992775B2 (ja) * 2019-02-14 2022-01-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払出システム、錠剤払出制御プログラム
CN110949698B (zh) * 2019-12-10 2021-09-28 江西仟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散装药分拣包装装置
CN111627156B (zh) * 2020-06-11 2021-10-29 张勇 一种酒店用无人售卖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83A (ja) 2000-03-28 2001-10-09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払出装置
JP2005500099A (ja) * 2001-06-22 2005-01-06 ロナルド・ディ・セクラ 服薬遵守デバイスおよびデバイスの使用方法
KR20160057386A (ko) * 2013-09-18 2016-05-2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세트 및 약제 포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836B (en) * 2002-02-20 2005-01-01 Sanyo Electric Co Medicine supply apparatus
KR100498727B1 (ko) * 2003-03-19 2005-07-01 (주)제이브이엠 개별호퍼를 구비한 자동약제 포장장치
US7747345B2 (en) * 2004-01-05 2010-06-29 Tosho Inc. Automatic drug dispenser and drug feeder
CN100479293C (zh) * 2004-05-04 2009-04-15 美国凹凸微系有限公司 拥有受保护薄弱环节元件的无线电动工具
KR101183013B1 (ko) 2004-10-08 2012-09-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KR101312737B1 (ko) * 2007-10-23 2013-09-2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시스템 및 약제 불출 장치
JP2009119246A (ja) * 2007-10-23 2009-06-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払出装置、並びに、薬剤払出システム
TWI585017B (zh) * 2009-08-28 2017-06-01 Yuyama Manufacturing Co Ltd A medicine discharge device, a hopp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89007B2 (ja) 2010-12-24 2014-01-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
CN103501752B (zh) * 2011-01-20 2015-11-25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供给装置及使用药剂供给装置的药剂计数装置
KR101899269B1 (ko) * 2011-04-28 2018-10-29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감사 장치 및 약제 분포 장치
AU2012319871B2 (en) * 2011-10-05 2016-11-10 Tosho, Inc.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JP5921025B2 (ja) * 2011-11-09 2016-05-24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分包装置
WO2013105198A1 (ja) * 2012-01-11 2013-07-18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JP6213459B2 (ja) * 2012-03-21 2017-10-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供給装置及び薬剤計数装置
JP5915583B2 (ja) * 2012-03-30 2016-05-1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分包システム、錠剤取出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9377668A (zh) * 2012-04-18 2019-02-22 Jvm有限公司 药物配发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50106820A (ko) * 2013-01-18 2015-09-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방법, 약품 불출 프로그램, 기록 매체
US9365315B2 (en) * 2014-01-28 2016-06-14 Omnicell, Inc. Versatile lighting system for dispensing cabinets
WO2016136523A1 (ja) * 2015-02-23 2016-09-0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US10383438B2 (en) * 2015-03-16 2019-08-20 Cubex Llc Devices for controlled dispensing
KR101880924B1 (ko) * 2017-09-26 2018-07-23 (주)제이브이엠 약제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83A (ja) 2000-03-28 2001-10-09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払出装置
JP2005500099A (ja) * 2001-06-22 2005-01-06 ロナルド・ディ・セクラ 服薬遵守デバイスおよびデバイスの使用方法
KR20160057386A (ko) * 2013-09-18 2016-05-2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세트 및 약제 포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87A1 (ko) * 2022-02-09 2023-08-17 알고케어 주식회사 카트리지 모듈 관리를 위한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22775A (zh) 2019-06-21
KR102509373B1 (ko) 2023-03-13
WO2018092771A1 (ja) 2018-05-24
JP2023133482A (ja) 2023-09-22
JP2022059035A (ja) 2022-04-12
US20190337647A1 (en) 2019-11-07
JPWO2018092771A1 (ja) 2019-10-17
AU2017361650A1 (en) 2019-05-23
AU2017361650B2 (en) 2022-12-01
JP2023133481A (ja) 2023-09-22
EP3542773A1 (en) 2019-09-25
US11208219B2 (en) 2021-12-28
EP3542773A4 (en) 2020-12-09
CN109922775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7351A (ko) 약제 포장 장치
KR101728993B1 (ko) 약제 포장 장치
EP1147047B1 (en) Medication collecting system
KR100852493B1 (ko) 약제 공급 장치
EP2855281B1 (en) Pharmacy packaging system
JP2023080279A (ja) 薬品払出装置、薬品払出プログラム
JP2022000165A (ja) 秤量装置
KR20130023201A (ko) 약제 분배 장치 및 장착 카세트 관리 방법
JP2014087545A (ja) 薬剤包装装置、錠剤供給装置、制御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9118657A (ja) 薬剤分包機
KR20230002348A (ko)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7724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
JP2024019144A (ja) 薬剤払出し装置
JP6979194B2 (ja) 秤量装置
JP2022169438A (ja)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払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