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348A -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348A
KR20230002348A KR1020227033941A KR20227033941A KR20230002348A KR 20230002348 A KR20230002348 A KR 20230002348A KR 1020227033941 A KR1020227033941 A KR 1020227033941A KR 20227033941 A KR20227033941 A KR 20227033941A KR 20230002348 A KR20230002348 A KR 20230002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oncave portion
dispensing device
manual
dr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0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wrapping materials,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6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stop, or to control the speed of, the machin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2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to be made while the machine is 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convey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30/00Aspects of the final package
    • B65B2230/02Containers having separate compartments isolated from one anot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수동 산포 장치에 약제를 산포하여 넣을 때의 번잡함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고형상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20)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15)와, 상기 오목부(20)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배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약제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임의의 상기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약제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 명 또는 한 명의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약제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20)에 할당하며, 상기 배출 수단은, 소정의 순번으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 배출 장치.

Description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수동 산포 장치라고 칭해지는 것이며, 고형상의 약제를 하류 측의 포장 장치 등으로 배출하는 약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제나 캡슐 등의 고형상의 약제를 1포씩 포장하는 약제 포장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반적으로 약제 포장 장치는, 복수의 약제 피더를 구비한 약제 저류부와 약제를 포장하는 약제 포장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약제 피더에 정제 등이 충전된 약제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약제 피더에 의하여 약제 카세트에 저류된 정제를 1개씩 취출하고, 당해 정제를 약제 포장부로 보내, 포장지 등에 의하여 1회 복용분씩 포장한다.
또 약제 포장 장치에는, 하기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당업자의 사이에서 "수동 산포"라고 칭해지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여기에서 "수동 산포"란, 약제 피더를 통하지 않고, 손가락이나 로봇 등에 의하여 소정의 정제 등을 1포분씩 투입하여, 약제 포장부로 보내 포장하는 것이다.
도 28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약제 포장 장치에서 채용된 수동 산포 장치의 사시도이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수동 산포 장치(100)는, 수동 산포 부재(102) 및 분할 칸 유닛(103)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분할 칸 유닛(103)은 도시하지 않은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동 산포 부재(102)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에 대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수동 산포 부재(102)는, 오목부가 종횡의 행렬상으로 마련된 판상체이다.
또 분할 칸 유닛(103)에는, 칸부가 종횡의 행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분할 칸 유닛(103)의 칸부의 배열은, 수동 산포 부재(102)의 오목부의 배열에 대응하고 있다.
수동 산포 부재(102)는, 인출 프레임(10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수동 산포 부재(102)를 인출 프레임(101)째로 본체로부터 인출한다.
그리고 당해 수동 산포 부재(102)의 오목부에 손가락으로 정제를 투입한다.
그 후, 수동 산포 부재(102)를 약제 포장 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본체 내에 삽입한다.
수동 산포 부재(102)는, 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분할 칸 유닛(103)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수동 산포 부재(102)의 각 오목부의 바닥부가 개방되고, 각 오목부 내의 정제가 분할 칸 유닛(103)의 칸부에 투입된다.
그 후, 분할 칸 유닛(103)의 바닥부가 순차 개방되며, 하부에 마련된 약제 포장부(105)에 정제가 1포분씩 보내져, 포장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69621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35002호
종래기술의 수동 산포 장치에서는, 분할 칸 유닛(103)의 칸부를 여는 순번이 정해져 있으며, 분할 칸 유닛(103)의 칸부는, 단부(端部)부터 1개씩 차례로 개방되어 간다.
예를 들면 한 명의 환자(예를 들면 환자 a)의 처방이, 아침에 약제 A를 복용하고, 점심에 약제 B를 복용하며, 저녁에 약제 C를 복용하는 것이라면, 약제사는, 수동 산포 부재(102)의 1행 1열째의 오목부에 아침용의 약제 A를 넣고, 이어지는 1행 2열째의 오목부에 점심용의 약제 B를 넣으며, 이어지는 1행 3열째의 오목부에 저녁용의 약제 C를 넣고, 이후, 이 작업을 반복한다.
수동 산포 장치로부터, 약제가 투입 순서대로 하류 측의 포장부로 배출되며, 1복용분씩 순차 포장되어 간다.
그 결과, 약제 배출 장치로부터는, 환자 a가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아침, 점심, 저녁 등의 복용 시기순으로 배출되어 간다.
종래기술의 수동 산포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약제를 포장해야 할 순번대로, 수동 산포 부재(102)의 오목부에 넣을 필요가 있어, 신중을 요하는 작업이었다. 그 때문에, 약제사의 정신적 부담이 컸었다.
또 최근, 약국이 간호 시설 등에 약제를 제공할 때에, 약국 측에서,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해 달라는 간호 시설 측의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환자가 환자 a, 환자 b, 환자 c의 3명이라고 하면, 환자 3명이 아침에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아침용 집합을 만들고, 환자 3명이 점심에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점심용 집합을 만들며, 환자 3명이 저녁에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저녁용 집합을 만들어, 간호 시설에 반입한다.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환자 a, 환자 b, 환자 c 각각이 아침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分包)띠, 환자 a, 환자 b, 환자 c 각각이 점심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 환자 a, 환자 b, 환자 c 각각이 저녁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를 만들어, 간호 시설에 반입한다.
혹은, 투약 캘린더라고 칭해지는 시트에 약제를 배치하여 간호 시설에 반입한다.
그 때문에, 복수의 환자에 대한 약제 포장을 한 번에 실시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환자 a, 환자 b, 환자 c에게 처방된 약제를 하나의 수동 산포 부재(102)에 투입하여, 개별적으로 배출한다.
이 경우, 약제사는, 예를 들면 수동 산포 부재(102)의 1행 1열째의 오목부에 아침용의 환자 a용의 약제 A를 넣고, 이어지는 1행 2열째의 오목부에 아침용의 환자 b용의 약제 B를 넣으며, 이어지는 1행 3열째의 오목부에 아침용의 환자 c용의 약제 C를 넣고, 이어지는 1행 4열째의 오목부에 점심용의 환자 a용의 약제 D를 넣는 것 같은 번잡한 작업을 강요받아, 약제사의 부담이 매우 컸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수동 산포 장치에 약제를 산포하여 넣을 때의 번잡함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태는,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배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약제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임의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약제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 명 또는 한 명의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약제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에 할당하고, 상기 배출 수단은, 소정의 순번으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 배출 장치이다.
경험칙상, 개인이 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 등과 같이, 복수 회로 나누어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 복용하는 약제에 중복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 복수의 환자에게 처방된 약제에는, 동일한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노인 간호 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환자에게는, 혈압을 안정화시키는 약제나, 중성 지방을 저하시키는 약제가 처방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들 약제가 동일한 것인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 사실에 주목한 것이며, 복수 명 또는 한 명의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약제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오목부에 할당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수동 산포 부재의 통합된 영역에, 동일한 약제를 집중적으로 산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단하여, 약제사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 본 양태에 의하면, 배출 수단은, 임의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약제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정의 순번으로 약제를 배출하여, 원하는 약제 집합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 3명이 아침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은 아침용 집합을 만들고, 환자 3명이 점심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점심용 집합을 만들며, 환자 3명이 저녁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저녁용 집합을 만들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1복용분이며, 1 또는 복수 개의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지고, 상기 1복용분의 약제는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약제이며, 약제의 종류와 개수가 동일한 것이,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에 의하면, 수동 산포 부재의 통합된 영역에, 수와 종류가 동일한 약제를 집중적으로 산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단하여, 약제사의 부담이 경감된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표시 수단을 갖고, 당해 표시 수단은, 상기 오목부의 배열을 모방한 모의 도표를 표시 가능하며, 상기 모의 도표 및/또는 상기 모의 도표와 동일한 화면에, 산포하여 넣어야 할 약제에 관련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사 등의 작업자는, 표시 장치를 참조하면서, 소정의 오목부에 약제를 넣을 수 있다.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의 도표의, 동일한 약제를 넣어야 할 오목부에 통일된 마크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크로는, 예를 들면 착색이나, 도형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약제가 넣어지는 영역마다 색으로 구분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상기한 각 양태에 있어서, 수동 산포 부재는, 약제를 넣어야 할 오목부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에 의하면, 약제를 넣어야 할 오목부가 지시되므로, 잘못 넣는 실수가 적다.
상기한 각 양태에 있어서, 수동 산포 부재의 하부에 분할기가 배치되고, 상기 분할기는, 일시 수용 부재와, 바닥 구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일시 수용 부재는 칸부를 갖고, 상기 칸부는, 상기 수동 산포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것이며 바닥 측이 개구되고,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특정 부분을 개폐하여 낙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일시 수용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일시 수용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특정 상기 칸부를 상기 바닥 구성 부재의 상기 낙하 개구가 형성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는, 수동 산포 부재의 하부에 분할기가 배치되고, 분할기의 일시 수용부는, 수동 산포 부재의 오목부에 대응한 칸부를 갖고 있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에서는, 수동 산포 부재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일단, 하부의 분할기로 옮기고, 그 후, 분할기의 칸부를 하나하나 개방하여, 약제를 배출한다.
본 양태에서는, 칸부로부터 약제를 배출하는 방책으로서, 분할기에, 칸부를 구성하는 일시 수용 부재와, 바닥 구성 부재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에서는, 칸부의 바닥 측이 개구되어 있지만, 각 칸부의 바닥 측은, 바닥 구성 부재로 봉쇄되어 있다.
또 바닥 구성 부재는, 특정 부분을 개폐하여 낙하 개구를 여는 것이 가능하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에서는, 일시 수용부와, 바닥 구성 부재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고, 일시 수용부와 바닥 구성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특정 상기 칸부를 상기 바닥 구성 부재의 상기 낙하 개구가 형성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특정 칸부의 바닥을 개방하여, 특정 칸부로부터 약제를 배출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수동 산포 부재의 상기 오목부는 바닥 측이 개구되고, 상기 수동 산포 부재의 하부에 바닥 구성 부재가 있으며,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특정 부분을 개폐하여 낙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특정 상기 오목부를 상기 바닥 구성 부재의 상기 낙하 개구가 형성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양태도 생각된다.
상기한 각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전체면 폐쇄 영역과, 개구 가능 영역이 있으며, 상기 개구 가능 영역은, 폭이 좁은 평면을 갖는 이동 마루 부재가 나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동 마루 부재는, 개별적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 마루 부재를 평행 이동시켜, 상기 전체면 폐쇄 영역과 상기 이동 마루 부재의 사이에 상기 낙하 개구를 형성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를 채용한 분할기는, 간단한 구조이며, 또한 전체 형상이 작다.
동일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일 양태는,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갖는 약제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1복용분이며, 1 또는 복수 개의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지고, 약제의 종류에 근거하여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를 결정하는 오목부 결정 수단과, 결정한 오목부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 약제 배출 장치이다.
여기에서, "안내 수단"에는,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오목부의 배열을 모방한 모의 도표나, 수동 산포 부재에 마련되며, 약제를 넣어야 할 오목부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이 포함된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에서는, 오목부 결정 수단에 의하여, 약제를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가 결정된다.
약제사 등의 작업자는, 안내 수단을 참조하면서, 소정의 오목부에 약제를 넣을 수 있다.
동일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일 양태는, 복수의 약제 피더와,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약제 피더에는 복수의 약제를 충전 가능한 약제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피더는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배출하는 것인 약제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1복용분이고, 1 또는 복수 개의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지며, 상기 약제 피더로부터 배출 가능한 약제와, 배출 불가능한 약제를 구별하여, 상기 배출 불가능한 약제를 상기 수동 산포 부재를 통하여 배출하는 데 있어서, 약제의 종류에 근거하여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를 결정하는 오목부 결정 수단을 구비한 약제 배출 장치이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는, 복수의 약제 피더와, 수동 산포 부재를 갖고, 약제는, 주로 약제 피더를 사용하여 배출된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에서는, 약제 피더로부터 배출 불가능한 약제가 수동 산포 부재를 통하여 배출되지만, 그때에, 약제의 종류에 근거하여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가 결정된다.
상기한 어느 하나의 약제 배출 장치와, 당해 약제 배출 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에 의하여, 약제 포장 장치가 구성된다.
방법에 관한 양태는,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갖는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환자의 처방에 대응하여, 복수의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제 중, 동일한 약제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에 투입하고, 복용 시기의 순서대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본 양태의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통합된 영역에, 동일한 약제를 집중적으로 산포시킬 수 있으므로, 약제사의 정신적 부담이 경감된다.
본 발명의 약제 배출 장치에 의하면, 통합된 영역에, 동일한 약제를 집중적으로 산포시킬 수 있으므로, 수동 산포 장치에 약제를 산포하여 넣을 때의 번잡함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약제 배출 장치에 의하면,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오목부를 알기 쉬워, 실수를 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삽입구와, 수동 산포 부재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약제 포장 장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도이며,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1정씩 복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할당 상황을 나타낸다.
도 5는 환자의 처방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수동 산포 부재의 평면도이며, (a)는, 준비 단계를 나타내고, (b)는, 약제 A를 산포하여 넣을 때의 수동 산포 부재의 평면도이며, (c)는, 약제 B를 산포하여 넣을 때의 수동 산포 부재의 평면도이고, (d)는, 오목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동 산포 장치의 사시도이며, 수동 산포 부재와 분할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는, 도 7의 분할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b)는, 일시 수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수동 산포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의 수동 산포 장치의 평면도이며, (b)는 그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시 수용 부재의 번호 1의 칸부에 있는 약제를 배출할 때의 동작의 1단계를 나타내고, (a)는, 그때의, 수동 산포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의 수동 산포 장치의 평면도이며, (b)는 그 A-A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시 수용 부재의 번호 1의 칸부에 있는 약제를 배출할 때의 동작이며 도 11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고, (a)는, 그때의, 수동 산포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의 수동 산포 장치의 평면도이며, (b)는, 그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시 수용 부재의 번호 33의 칸부에 있는 약제를 배출할 때의 동작의 1단계를 나타내고, (a)는, 그때의, 수동 산포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의 수동 산포 장치의 평면도이며, (b)는, 그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시 수용 부재의 번호 33의 칸부에 있는 약제를 배출할 때의 동작이며 도 13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고, (a)는, 그때의, 수동 산포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의 수동 산포 장치의 평면도이며, (b)는, 그 A-A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약제 포장 장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도이며, 한 명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1정씩 복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할당 상황을 나타낸다.
도 16은 도 1의 약제 포장 장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도이며, 한 명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복수 개,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할당 상황을 나타낸다.
도 17은 도 1의 약제 포장 장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도이며,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복수 개,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할당 상황을 나타낸다.
도 18은 도 1의 약제 포장 장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도이며, 한 명 또는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복수 종류의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할당 상황을 나타낸다.
도 19는 감사 장치의 표시 화면이며, (a)는, 통상 표시이고, (b)는, 환자별로 소팅한 환자별 표시이며, (c)는, 특정 개소의 전후를 표시하는 확인 표시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수동 산포 부재의 분할기를 나타내며, (a)는, 개폐 기구부의 평면도이고, (b)는, 개폐 기구부의 사시도이며 클러치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c)는, 개폐 기구부의 사시도이며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분할기의 일시 수용 부재의 칸부와, 개폐 기구부의 관계를 나타내고, (a)는, 칸부의 바닥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칸부의 바닥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수동 산포 부재의 분할기를 나타내며, (a)는, 개폐 기구부의 사시도이고, (b), (c), (d)는, 개폐 기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수동 산포 부재의 분할기를 나타내며, (a)는, 그 분해 사시도이고, (b), (c)는, 개폐 기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수동 산포 부재의 분할기의 일시 수용 부재이며, (a)는, 본체부에 폐쇄판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본체부에 폐쇄판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는 약제 배출 장치의 약제 포장 배출구의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a)는, 소터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 (c), (d)는, 소터를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은 약제 배출 장치의 포장부의 기구도이다.
도 27의 (a)는, 투약 캘린더 및 약제 수용부의 확대도이며, (b)는, 청소 도구 및 약제 수용부의 사시도이며 청소 도구를 약제 수용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청소 도구 및 약제 수용부의 사시도이며 청소 도구를 약제 수용부에 삽입하여 청소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8은 종래기술의 약제 포장 장치에서 채용하는 수동 산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복용 시기별로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약제 포장 장치(1)는, 크게 나누어 정제 공급부(2), 수동 산포부(3), 산제 공급부(5) 및 약제 포장부(6)로 나누어져 있다. 수동 산포부(3)에는,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정제 공급부(2)는, 약제 포장 장치(1)의 상측 절반분을 차지한다. 정제 공급부(2)는, 캡슐이나 정제 등의 고형상의 약제(이하, 간단히 정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가 다종류 또한 다량의 정제가 수납된 약제 선반부(8)와, 정제 수송로부(9)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약제 선반부(8)에는, 내부에 다수의 약제 피더(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약제 피더에는 약제 카세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에는, 다수의 정제가 수납되어 있으며, 약제 카세트로부터 1개씩 정제가 배출된다. 배출된 정제는, 약제 포장부(6)로 보내져, 1회 복용분씩 작은 봉투에 포장된다.
산제 공급부(5) 및 약제 포장부(6)는, 약제 포장 장치(1)의 하측 절반분을 차지하며, 양자는 당해 부분에 내장되어 있다.
산제 공급부(5)로부터 긁어내진 산약에 대해서도, 정제 등과 동일하게 포장된다.
약제 포장 장치(1)에는, 표시 장치(11)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 장치(안내 수단)(11)는, 공지의 터치 패널 등이며, 표시 화면(12)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인 수동 산포 장치(10)에 대하여, 그 개요를 설명한다.
수동 산포 장치(10)는, 도 7과 같이, 수동 산포 부재(15)와, 분할기(1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동 산포 부재(15)는, 전체 형상이 판상인 부재이며, 오목부(20)가 행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오목부(20)에는, 도시하지 않은 바닥이 있다. 당해 바닥은, 개폐 가능하고, 하기하는 바와 같이, 바닥을 개방하여 오목부(20) 내의 약제를 하방의 분할기(16)로 옮길 수 있다.
수동 산포 부재(15)의 각 오목부(20)에는, 도 6의 (d)와 같이 지시등(지시 수단 안내 수단)(22)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정 오목부(20)를 비추어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분할기(16)는, 상기한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와 동일하게 다수의 칸부(30)가 마련된 부재이다. 분할기(16)에 마련된 칸부(30)의 레이아웃, 즉, 개수 및 배치는, 상기한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의 레이아웃과 동일하며, 분할기(16)의 칸부(30)는,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분할기(16)는, 임의의 위치에 있는 칸부(30)를 순서 무관하게 개방할 수 있다. 분할기(16)는, 배출 수단이며, 임의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약제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과 같이, 분할기(배출 수단)(16)의 하부에는 집합 호퍼(28)가 마련되어 있다. 집합 호퍼(28)의 종단부는, 상기한 약제 포장부(6)에 이르는 통로에 연통되어 있다.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의 분할기(16)는, 약제 포장 장치(1)의 본체 부분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수동 산포 부재(15)는, 인출 형상의 구조이며, 약제 포장 장치(1)의 본체부로부터 출입한다.
수동 산포 부재(15)가 약제 포장 장치(1)의 본체부 내에 수용되면, 도 7과 같이 수동 산포 부재(15)는 분할기(16)의 바로 위의 위치에 이르고, 오목부(20)의 바닥을 모두 개방하여 오목부(20) 내의 약제를 분할기(16)의 칸부(30)로 옮긴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40)는, 복수 명 또는 한 명의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약제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오목부에 할당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 장치(40)는, 약제의 종류에 근거하여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20)를 결정하는 오목부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제어 장치(40)는, 약제 피더로부터 배출 가능한 약제와, 배출 불가능한 약제를 구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기능은, 분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현된다.
제어 장치(40)는, 공지의 CPU나 메모리 등을 갖는 것이며, 당해 메모리에, 분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또 제어 장치(40)는, 처방 정보 입력부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40)에는, 외부의 서버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서버로부터 처방 정보가 입력된다. 처방 정보에는, 요구되는 약제의 종류와 수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처방 정보에는, 이 외에 수량이나 복용 시기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 장치의 출력 측에는, 표시 장치(11)와, 분할기(16) 및, 수동 산포 부재(15)의 지시등(22)이 접속되어 있다.
분류 프로그램은, 복수의 환자의 처방 정보를 참조하여, 공통되는 약제가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통합하여 하나의 집합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에서 처방 정보에는, 약제의 종류, 약제의 양, 복용 시기, 복용 방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분류 프로그램은, 처방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약제 중, 수동 산포가 필요한 약제가 선별되며, 당해 약제의 정보가 참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수동 산포가 필요한 약제의 종류, 복용량, 복용 시기 등이 참조된다.
즉, 처방 정보에 포함되는 약제에는, 고형상의 약제나, 산약, 바르는 약 등이 있다. 또 고형의 약제에는, 정제 공급부(2)에 실제로 보관되어 있어 약제 피더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것과, 정제 공급부(2)에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다. 처방 정보의 개념에는, 조제용으로 가공된 조제 정보라고 칭해지는 것도 포함된다.
분류 프로그램은, 적어도, 실제로 정제 공급부(2)에 보관되어 있지 않고, 수동 산포 장치(10)를 사용하여 배출되어야 할 고형상의 약제의 정보를 참조하여, 공통되는 약제가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통합하여 하나의 집합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그 집합의 약제가 수용되어야 할 칸부(30)를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할당한다. 또한 분할기(16)의 칸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가 분할기(16)의 칸부(30)에 할당됨으로써, 실질적으로 각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지는 오목부(20)(수동 산포 부재(15))가 할당된다.
즉, 분류 프로그램은, 약제의 종류에 근거하여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20)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표시 장치(11)의 표시 화면(12)에, 수동 산포 부재(15)를 모방한 모의 도표(안내 수단)(18)가 표시되며, 할당된 결과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약제의 종류마다 색으로 구분 표시되며, 당해 영역에 산포하여 넣어야 할 약제가 예를 들면, A, B, C와 같이 표시된다.
또 수동 산포 부재(15)의 지시등(안내 수단)(22)을 점등하여, 특정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져야 할 오목부(20)를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필요한 약제를 배출시키고, 1복용분씩 포장하여, 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는, 1복용분씩 포장하는 패턴으로서, 이하의 3종류가 있다.
(1) 정제 공급부(2)에서 배출한 약제만을 1복용분씩 포장한다.
(2) 수동 산포 장치(10)에서 배출한 약제만을 1복용분씩 포장한다.
(3) 정제 공급부(2)와 수동 산포 장치(10)로부터, 각각 배출된 약제를 합하여 1복용분씩 포장한다.
또한, 이 외에, 산제 공급부(5)로부터 배출한 약제를, 단독 또는 정제 등과 함께 포장하는 패턴이 있지만, 산제 공급부(5)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취급은, 정제 공급부(2)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공급부(2)에 보관되어 있지 않은 약제가 처방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수동 산포 장치(10)로부터, 약제 포장부(6)로 보내져, 포장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에서는 약제 피더로부터 배출 가능한 약제와, 배출 불가능한 약제를 구별하고, 정제 공급부(2)에 보관되어 있지 않아, 약제 피더로부터 배출 불가능한 약제는, 수동 산포 장치(10)로부터 배출된다.
약제사 등의 작업자는, 표시 장치(11)에 표시된 모의 도표(18) 및, 수동 산포 부재(15)의 지시등(22)을 참조하여, 수동 산포 부재(15)의 소정의 영역에 속하는 오목부(20)에, 특정 약제를 넣는다.
그리고, 당해 특정 약제를 배출하는 시기가 도래하면, 당해 약제가 통합되어 있는 영역에 속하는 칸부(30) 중 어느 1개를 개방하여, 연 칸부(30)로부터 당해 약제를 배출한다.
이하, 도 5의 표와 같이, 환자 a 내지 j를 대상으로 하여, 약제 포장을 만드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도 4와 같이,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에 단(端)부터 번호를 붙인다.
마련된 예에 따르면, 환자 a 내지 j에 대하여, 각각, 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의 4회에 걸쳐 약제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공백란은, 정제 공급부(2)로부터 공급 가능한 약제가 복용될 때이며, 당해 공백란에 해당하는 약제는, 정제 공급부(2)로부터 자동 공급된다.
또한, 정제 공급부(2) 등과 수동 산포 부재(15)의 쌍방으로부터 약제 공급을 받아, 그것을 하나의 약제 포장에 함께 포장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환자 a가, 아침에 도 5의 표에 기재한 약제 A 외에, 도시하지 않은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로서, 당해 약제가, 정제 공급부(2)에 보관되어 있는 것인 경우는, 정제 공급부(2)와 수동 산포 부재(15)의 쌍방으로부터 약제 공급을 받아, 쌍방의 약제가, 동시에 약제 포장부(6)로 보내져, 포장된다.
마련된 예에 따르면, 약제 A는, 환자 a, c, f, g, i에 대하여 처방되어 있다. 약제 B는, 환자 b, d, g, i에 대하여 처방되어 있다. 약제 C는, 환자 e, h에 대하여 처방되어 있다. 약제 D는, 환자 j에 대하여 처방되어 있다.
만일, 5일분의 약제 포장을 만드는 경우, 약제 A는 25포 필요하고, 약제 B는 20포 필요하며, 약제 C는 10포 필요하고, 약제 D는 5포 필요하다.
예를 들면, 각 환자나 복용 시기마다 오목부(20)에 산포해야 할 약제 A가 동일 수인 경우, 만일 각 환자나 복용 시기마다 처방되어 있는 약제 A가 모두 1정인 경우,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25까지의 영역에 약제 A를 1정씩 할당한다. 다른 약제 B~D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할당한다. 구체적으로는, 만일 각 환자나 복용 시기마다 오목부(20)에 산포해야 할 약제 B~D가 모두 1정인 경우, 오목부(20)의 번호 26부터 45까지의 영역에, 약제 B가 1정씩 할당되고, 오목부(20)의 번호 46부터 55까지의 영역에 약제 C가 1정씩 할당되며, 오목부(20)의 번호 56부터 60까지의 영역에 약제 D가 1정씩 할당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처방 정보가 제어 장치(40)에 입력된 경우는,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25까지의 영역을 약제 A용 영역으로 한다. 또 오목부(20)의 번호 26부터 45까지의 영역을 약제 B용 영역으로 한다. 동일하게, 오목부(20)의 번호 46부터 55까지의 영역을 약제 C용 영역으로 하고, 오목부(20)의 번호 56부터 60까지의 영역을 약제 D용 영역으로 하는 할당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표시 장치(11)의 표시 화면(12)에, 모의 도표(18)가 표시되며, 할당된 결과가 나타난다. 모의 도표(18)는, 약제를 넣는 영역마다 색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 오목부(20)에 상당하는 프레임에, 약제의 종류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모의 도표(18)의, 동일한 약제를 넣어야 할 오목부(20)의 프레임에 통일된 마크가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약제사 등의 작업자는, 표시 장치(11)에 표시된 모의 도표(18) 및, 수동 산포 부재(15)의 지시등(22)을 참조하여, 수동 산포 부재(15)의 소정의 영역에 속하는 오목부(20)에, 특정 약제를 넣는다.
또한, 각 환자나 복용 시기마다 오목부(20)에 산포해야 할 약제의 수가 동일 수가 아닌 경우, 동일 수의 약제를 집합시키거나, 환자의 순번으로 약제를 집합시키거나 하여,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25까지 약제 A에 할당한다. 다른 약제 B~D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할당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의 (b)와 같이, 먼저 수동 산포 부재(15)의 약제 A용 영역의 지시등(22)이 점등한다. 약제 A용 영역에 대한 약제 A의 산포하여 넣기가 종료되면, 도시하지 않은 종료 스위치를 누른다.
그 결과, 수동 산포 부재(15)의 점등 영역이 변화하여, 도 6의 (c)와 같이, 수동 산포 부재(15)의 약제 B용 영역의 지시등이 점등한다. 이하, 동일하게, 수동 산포 부재(15)의 점등 영역이 변화해 간다.
종료 스위치 대신에, 카메라, 센서, 중량으로 산포하여 넣기의 종료를 자동 검지하여 점등 영역을 변화시켜도 된다.
수동 산포 부재(15)에 대한 약제의 산포하여 넣기가 종료되면, 소정의 종료 스위치를 누른다. 그 결과, 수동 산포 부재(15)는, 약제 포장 장치(1)의 본체부 내에 수용되고, 수동 산포 부재(15)는, 분할기(16)의 바로 위의 위치에 이르며, 오목부(20)의 바닥을 모두 개방하여 오목부(20) 내의 약제를 분할기(16)의 칸부(30)로 옮긴다. 또한, 수동 산포 부재(15)를 수동으로 본체부 내에 압입하여 수용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수동 산포 작업이 종료되고,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로부터 약제를 배출하는 시기가 도래하면, 당해 약제가 통합되어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분할기(16)의 칸부(30)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며, 당해 약제를 배출한다.
예를 들면 환자 a의 아침용의 약제를 포장하는 순번이 돌아왔을 때에는,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25까지의 약제 A용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약제 A를 배출한다. 예를 들면 환자 h의 점심용의 약제를 포장하는 순번이 돌아왔을 때에는, 오목부(20)의 번호 46부터 55까지의 약제 C용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약제 C를 배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동 산포 장치에 의하면, 약제를 임의의 순번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한 간호 시설에 약제를 납입하는 데 적합한 분류를 행할 수 있다.
즉 각 환자가 아침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아침용 집합을 만들고, 각 환자가 점심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점심용 집합을 만들며, 각 환자가 저녁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저녁용 집합을 만들고, 환자가 취침 전에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취침 전용 집합을 만들어, 간호 시설 등에 반입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투약 캘린더에 약제 포장을 세팅하여 간호 시설 등에 반입한다.
예를 들면, 각 환자가 아침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아침용 집합을 만드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도 5의 표에 따르면, 아침 복용하는 약제는, 환자 a는 약제 A, 환자 b 및 환자 c는 정제 공급부(2)로부터 배출되는 약제, 환자 d는 약제 B, 환자 e는 약제 C, 환자 f는 약제 A, 환자 g는 약제 B, 환자 h는 정제 공급부(2)로부터 배출되는 약제, 환자 i는 약제 A, 환자 j는 정제 공급부(2)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이다.
각 환자가 아침 복용하는 약제를 하나로 모아 아침용 집합을 만드는 경우는, 상기한 순번으로 약제를 배출해 간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약제 A용 영역에 속하는 번호 1의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환자 a용의 약제 A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정제 공급부(2)로부터 환자 b용의 약제와, 환자 c용의 약제를 순차 배출한다. 계속해서, 약제 B용 영역에 속하는 번호 26의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환자 d용의 약제 B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약제 C용 영역에 속하는 번호 46의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환자 e용의 약제 C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약제 A용 영역에 속하는 번호 2의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환자 f용의 약제 A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약제 B용 영역에 속하는 번호 27의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환자 g용의 약제 B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정제 공급부(2)로부터 환자 h용의 약제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약제 A용 영역에 속하는 번호 3의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칸부(30)를 개방하여, 환자 i용의 약제 A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정제 공급부(2)로부터 환자 j용의 약제를 배출한다.
이와 같이, 각 환자가 아침 복용하는 약제를 순차 배출하여, 아침용 집합을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권장되는 분할기(16)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동 산포 장치(10)는, 도 7과 같이, 수동 산포 부재(15)와, 분할기(16)를 갖고 있다.
또 분할기(16)는, 도 8, 도 9의 (a)와 같이, 일시 수용 부재(50)와, 바닥 구성 부재(51)를 갖고 있다.
일시 수용 부재(50)는, 복수의 칸부(30)를 갖고, 당해 칸부(30)의 배열은,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의 그것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도 9의 (b)와 같이, 일시 수용 부재(50)의 칸부(30)에는 바닥이 없어, 칸부(30) 자체는, 항상 개방 상태이다. 단, 일시 수용 부재(50)의 바닥 측에는 바닥 구성 부재(51)가 있으며, 칸부(30)의 바닥 측은 바닥 구성 부재(51)에 의하여 막혀 있다.
바닥 구성 부재(51)는, 전체면 폐쇄 영역(55)과, 개구 가능 영역(5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체면 폐쇄 영역(55)은, 1매의 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개구를 갖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개구 가능 영역(56)은, 6개의 이동 마루 부재(58)가 평면적으로 나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동 마루 부재(58)에는, 폭이 좁은 평면상의 직사각형상 부재(60)가 있다.
이동 마루 부재(58)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원(57)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1칸분만큼,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체면 폐쇄 영역(55)과, 개구 가능 영역(56)의 경계 부분에 낙하 개구(61)가 형성된다.
상기한 전체면 폐쇄 영역(55)은, 일시 수용 부재(50)의 바닥의 전역을 덮을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을 갖고 있다.
동일하게, 개구 가능 영역(56)은, 6매의 직사각형상 부재(60)를 직사각형으로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일시 수용 부재(50)의 바닥의 전역을 덮을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을 갖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분할기(16)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하여, 일시 수용 부재(50)가 평행 이동하며,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동 산포 장치(10)에 있어서도 수동 산포 부재(15)가 약제 포장 장치(1)의 본체부 내에 수용되면, 수동 산포 부재(15)는, 분할기(16)의 바로 위의 위치에 이르며, 오목부(20)의 바닥을 모두 개방하여 오목부(20) 내의 약제가 일시 수용 부재(50)의 칸부(30)로 옮겨진다.
본 실시형태의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는, 임의의 위치의 칸부(30)의 바닥을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당해 칸부(30)로부터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갖고 있다. 배출 수단은, 상기한 일시 수용 부재(50)와, 바닥 구성 부재(5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배출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번호 1의 오목부(20)에 상당하는 칸부(30)를 개방하는 경우는, 도 11과 같이, 일시 수용 부재(50)를 1칸분만큼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도 12와 같이, 1열째의 이동 마루 부재(58)를 1칸분 이동하여, 전체면 폐쇄 영역(55)과 개구 가능 영역(56)의 사이에 1칸분의 낙하 개구(61)를 형성시킨다. 그 결과, 번호 1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칸부(30)의 바닥이 개방되며, 번호 1의 오목부로부터 약제(62)가 방출된다.
다음으로, 중앙의 번호 28의 오목부(20)에 상당하는 칸부(30)를 개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번호 28에 상당하는 칸부(30)는, 우측으로부터 5행째이며, 아래로부터 4열째의 위치에 있다.
번호 28에 상당하는 칸부(30)를 개방하는 경우는, 도 13과 같이, 일시 수용 부재(50)를 5칸분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일시 수용 부재(50)는, 전체면 폐쇄 영역(55)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만, 개구 가능 영역(56)은, 일시 수용 부재(50)의 바닥부 전역을 덮을 만큼의 면적을 갖기 때문에, 각 칸부(30)의 바닥은 폐색된 상태가 유지된다.
계속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4열째의 이동 마루 부재(58)를 1칸분 이동하여, 전체면 폐쇄 영역(55)과 개구 가능 영역(56)의 사이이며, 4열째의 부분에 1칸분의 낙하 개구(61)를 형성시킨다. 그 결과, 번호 28의 오목부(20)에 상당하는 칸부(30)의 바닥이 개방되며, 번호 28의 오목부(20)로부터 약제(62)가 방출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이동 마루 부재(58)를 복수 마련하고, 각 이동 마루 부재(58)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낙하 개구(61)를 하나만 만드는 것이지만, 특정 위치에, 개폐 부재를 마련하여, 모터나, 솔레노이드로 개폐 부재를 개폐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체면 폐쇄 영역(55)과, 개구 가능 영역(56)의 경계 부분에 예를 들면 6개의 개구를 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하고, 각 개구에 개폐 가능한 힌지 등의 개폐 부재를 마련하여, 당해 힌지 등을 모터나, 솔레노이드로 개폐해도 된다.
수동 산포 부재(15)의 각 오목부(20)에 넣는 약제 수는 임의이며 1개여도 되고 복수 개여도 된다.
환자가 동일 약제를 동일 시기에 복수 개 복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오목부(20)에 1개씩 약제를 넣고, 칸부(30)로부터 약제를 배출하는 작업을 복수 회 행함으로써, 복수의 약제를 약제 포장부(6)에 공급해도 된다.
상이한 약제가 수용된 오목부(20)로부터, 복수의 칸부(30)로 약제를 옮기고, 당해 복수의 칸부(30)로부터, 하나의 약제 포장에 약제를 공급해도 된다.
또 1회 복용분의 약제를 복수의 약제 포장에 나누어 수용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는,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분할기(16)를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지만,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를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수동 산포 부재(15)로부터 직접 약제를 배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로서, 바닥이 없이 바닥부가 개구되어 있는 구조로 한다. 그리고 수동 산포 부재(15)의 하부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 구성 부재(51)를 배치하고, 수동 산포 부재(15)와, 바닥 구성 부재(51)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수동 산포 부재(15)와 바닥 구성 부재(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특정 오목부(20)를 바닥 구성 부재(51)의 낙하 개구(61)가 형성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산포 장치(10)를 사용하여,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했다. 상기한 사용 형태는,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에 산포하여 넣어야 할 약제가 1정씩인 경우의 예이다.
상기한 사용 형태에 의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일 시기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를 만들 수 있다.
다른 사용 형태로서, 다음과 같은 사용예를 들 수 있다. 어쨌든, 하나의 오목부(20)에는,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로부터 공급되어야 할 약제로서, 1회에 복용되는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진다. 또 어느 경우에서도, 약제의 종류와 개수가 동일한 것이,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에 할당된다.
(1) 한 명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1정씩 복용하는 경우.
(2) 한 명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복수 개,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
(3)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복수 개,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
(4) 한 명 또는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복수 종류의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
이하, 설명한다.
(1) 한 명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1정씩 복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환자 a는, 아침과 저녁에 약제 A를 복용하고, 점심에 약제 B를 복용하는 것으로 한다.
만일, 4일분의 약제 포장을 만드는 경우, 약제 A는 8포 필요하고, 약제 B는 4포 필요하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8까지 약제 A를 1정씩 할당한다. 이어지는 오목부(20)의 번호 9부터 12까지 약제 B를 1정씩 할당한다.
(2) 한 명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복수 개,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환자 a는, 아침에 약제 A를 1정 복용하고, 점심에 약제 B를 1정 복용하며, 저녁에 약제 A를 2정 복용하는 것으로 한다.
만일, 4일분의 약제 포장을 만드는 경우, 약제 A가 1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4포 필요하고, 약제 A가 2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4포 필요하며, 약제 B가 1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4포 필요하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4까지를 약제 A를 1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이어지는 오목부(20)의 번호 5부터 8까지를 약제 A를 2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이어지는 오목부(20)의 번호 9부터 12까지를 약제 B를 1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3)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고형상의 약제를 복수 개,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환자 a는, 아침에 약제 A를 1정 복용하고, 점심에 약제 B를 1정 복용하며, 저녁에 약제 A를 2정 복용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환자 b는, 아침에 약제 A를 1정 복용하고, 점심에 약제 B를 1정 복용하며, 저녁에 약제 A를 2정 복용하는 것으로 한다.
만일, 4일분의 약제 포장을 만드는 경우, 약제 A가 1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8포 필요하고, 약제 A가 2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8포 필요하며, 약제 B가 1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8포 필요하다.
이 경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8까지를 약제 A를 1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이어지는 오목부(20)의 번호 9부터 16까지를 약제 A를 2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이어지는 오목부(20)의 번호 17부터 24까지를 약제 B를 1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4) 한 명 또는 복수 환자용의 약제 포장을 복용 시기별로 분류하는 경우로서, 각 복용 시기에 복수 종류의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환자 a는, 아침에 약제 A를 1정, 약제 B를 1정 복용하고, 점심에 약제 B를 1정 복용하며, 저녁에 약제 A를 2정 복용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환자 b는, 아침에 약제 A를 2정 복용하고, 점심에 약제 B를 1정 복용하며, 저녁에 약제 A를 1정, 약제 B를 1정 복용하는 것으로 한다.
만일, 4일분의 약제 포장을 만드는 경우, 약제 A가 1정, 약제 B가 1정, 한 봉투에포장된 약제 포장이 8포 필요하고, 약제 A가 2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8포 필요하며, 약제 B가 1정 포장된 약제 포장이 8포 필요하다.
이 경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0)의 번호 1부터 8까지를 약제 A를 1정, 약제 B를 1정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이어지는 오목부(20)의 번호 9부터 16까지를 약제 A를 2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이어지는 오목부(20)의 번호 17부터 24까지를 약제 B를 1정씩 넣는 영역으로서 할당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도 15 내지 도 18과 같이, 도면의 오른쪽부터 채우며, 또한 종렬을 따른 상태로 하여,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오목부에 할당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왼쪽부터 채워서 나열해도 되고, 횡렬을 따른 상태로 수집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수동 산포 부재(15)는, 오목부(20)가 도 4와 같이, 10행, 6열로 배열되어 있지만, 수동 산포 부재(15)의 행수나 열수는 임의이다.
권장되는 열수는, 7열이다. 예를 들면, 환자 a의 1일째~7일째를 1열째~7열째로 하고, 1행째~4행째를 복용 시기의 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으로 하면, 산포하기 쉽다. 또한, 5행째를 비우고, 6행째~9행째를 환자 b의 복용 시기의 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으로 하여 계속해 가면, 환자 간의 수동 산포의 오류를 회피하면서 산포하기 쉽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는, 정제 공급부(2), 수동 산포부(3), 산제 공급부(5) 및 약제 포장부(6)를 갖고 있으며, 수동 산포부(3)에 특징적인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가 채용되어 있다.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정제 공급부(2)나 산제 공급부(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제 공급부(2) 등을 갖지 않는 약제 포장 장치에, 본 발명의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10)를 채용해도 된다.
즉, 약제 포장 장치에 입력된 처방 정보(처방 정보를 조제용으로 가공한 조제 정보를 포함한다)에 포함되는 약품 모두를 약제 배출 장치(수동 산포 부재)로부터 배출하는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람직한 감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감사 장치는, 약제 포장 장치(1)에 내장된 것이어도 되고, 별도로 독립적인 것이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환자가, 각각 아침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 복수의 환자가, 각각 점심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 복수의 환자가, 각각 저녁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 복수의 환자가, 각각 취침 전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속된 분포띠를 만들 수 있다.
약제 포장 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약제 포장은, 환자 a, 환자 b, 환자 c…, 환자 i, 환자 j가, 아침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결되어 배출되며, 계속해서 이들 환자가, 점심에 복용하는 약제 포장이 연결되어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감사 장치는, 카메라를 갖고, 약제 포장 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약제 포장이 배출되는 순서대로 촬영하며, 약제의 각인이나, 형상 등으로부터 포장되어 있는 약제를 특정한다. 촬영된 영상은, 화상 처리되고, 형상, 크기, 색 등이 근사(近似)한 약제가 검색된다. 그리고, 약제 포장 내의 약제가, 검색된 약제로 추인(推認)된다.
그리고, 처방 정보를 참조하여, 약제 포장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가, 당해 환자에게 투여되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 약제사는, 도 19의 (a)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 등에 재생하여, 육안에 의해서도 감사를 행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감사 장치는, 화상을 재정렬하는 소팅 기능을 갖고, 도 19의 (b)와 같이, 환자마다 약제 포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의 (b)와 같이, 환자 a를 선택하면, 당해 환자 a가 복용하는 약제만이, 복용 일과, 복용 시기(아침, 점심, 저녁)를 알 수 있는 상태로 표시된다.
만일 처방이 2주간분이라면, 2주간분의 약제 포장이 표시된다.
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 19의 (a)와 같은 촬영 순서의 표시로 되돌릴 수도 있다. 즉, 약제 포장 장치(1)로부터 배출된 순서대로 약제 포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환자의, 특정 약제 포장을 지정하여, 당해 약제 포장의 전후에 배출된 약제 포장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 a의 10월 7일의 점심에 복용 예정인 약제는, 처방 정보에 의하면, 3정이지만, 실제의 포장 중에는 2정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1정 부족하다.
이 원인으로서, 타인의 약제 포장에, 환자 a가 복용해야 할 약제가, 섞여 들어가 버렸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감사 장치는, 도 19의 (c)와 같이, 환자 a의 10월 7일 복용 예정인 약제가 봉입된 약제 포장의, 전후에 배출된 약제 포장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가 정확하게 포장되지 않았던 이유를 조사할 수 있다.
또 감사 장치의 판정에 의하여, 약제 포장 중의 약제가 상이하거나, 수가 다르다는 것 같은 트러블이 있었던 경우에, 자동적으로, 화면이 도 19의 (c)의 상태로 전환되어도 된다.
또, 동일 시기에 약제 포장 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에, 형상이나 크기가 유사한 것이 있는 경우, 주의를 환기하는 표시가 모니터 등에 나타난다. 또, 소리에 의한 경고가 이루어져도 된다.
형상이나 크기가 유사한 약제는, 화상 처리에 의한 판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어, 약제사는, 보다 신중하게 육안 확인을 행해야 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9의 화면 중 어느 하나에 주의를 촉구하는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기의 변형예 1)
다음으로, 분할기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20,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분할기(63)는, 도 21과 같이, 일시 수용 부재(64)를 갖고 있다. 일시 수용 부재(64)는, 상기한 분할기(16)와 동일하게, 행렬상으로 배열된 칸부(30)를 갖고 있다. 칸부(30)는, 수동 산포 부재(15)의 오목부(20)의 그것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과 같이, 각 칸부(30)의 바닥에, 개폐 부재(65)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 부재(65)는, 판상이며, 중간부가 칸부(30)의 일부에 축지지(軸支持)되어 있다. 개폐 부재(65)는 판상이며, 축지지부(66)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개폐 부재(65)는, 축지지부(66)를 경계로 하여 일방 측이 덮개 부재(67)로서 기능하고, 타방 측이 힘점부(68)로서 기능한다.
개폐 부재(65)의 덮개 부재(67)는, 칸부(30)의 하부의 개구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개폐 부재(65)의 힘점부(68)는, 칸부(3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개폐 부재(65)는, 부세(付勢) 수단(70)에 의하여, 덮개 부재(67)가, 칸부(30)의 바닥을 봉쇄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분할기(63)는, 구동 기구(71)와, 작용 부재(72)와, 클러치 기구(73)를 갖고 있다.
작용 부재(72)는, 개폐 부재(65)를 부세하여, 개폐 부재(65)를 요동시키는 것이다.
구동 기구(71)는, 작용 부재(72)를 구동하는 것이다. 클러치 기구(73)는, 구동 기구(71)와 작용 부재(72)의 사이에 있으며, 양자를 단속(斷續)하는 것이다.
구동 기구(71)는, 도면의 가로 방향으로 뻗는 랙(77a~f)이, 세로 방향으로 6열로 나열된 것이다. 각 랙(77a~f)에는, 모터(76)로 구동하는 피니언(79)이 계합하고 있으며, 모터(76)를 구동함으로써, 랙(77a~f)이 직선 이동한다.
작용 부재(72)는, 캠이다. 작용 부재(72)의 일부에는, 기어의 톱니(74)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73)는, 연결봉(73a~j)과, 솔레노이드(75)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작용 부재(72)가 연결봉(73a~j)으로 연결되어 있다. 작용 부재(72)는, 연결봉(73a~j)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다. 그 한편, 작용 부재(72)는, 연결봉(73a~j)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는 일체이다.
각 연결봉(73a~j)에는 각각 솔레노이드(75)가 장착되어 있으며, 당해 솔레노이드(75)를 구동함으로써, 각 연결봉(73a~j)이 개별적으로 직선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봉(73a~j)은, 도면의 세로 방향으로 뻗고, 가로 방향으로 10열, 배치되어 있다.
각 작용 부재(72)는, 평상시에 있어서는, 도 20의 (b)와 같이, 랙(77a~f)의 옆에 있으며, 각 작용 부재(72)의 기어의 톱니(74)는, 랙(77a~f)과는 계합하고 있지 않다.
도 20의 (a)에 있어서의 도면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75)에 통전하여, 연결봉(73a)을 이동시키면, 도 20의 (c)와 같이, 당해 연결봉(73a)에 장착된 모든 작용 부재(72)의 기어의 톱니(74)가, 랙(77a~f)과 계합한다.
본 실시형태의 분할기(63)에 대해서도, 임의의 위치에 있는 칸부(30)를 순서 무관하게 개방할 수 있다. 분할기(63)에 대해서도, 임의의 상기 오목부(20)에 대응하는 약제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개방하고자 하는 칸부(30)가 속하는 종렬의 연결봉(73a~j)을 솔레노이드(75)로 구동하고, 개방하고자 하는 칸부(30)가 속하는 종렬의 모든 작용 부재(72)를 랙(77a~f)과 계합시킨다.
그리고, 개방하고자 하는 칸부(30)가 속하는 횡렬의 랙(77a~f)만을 구동시킨다. 그 결과, 특정 작용 부재(72)만이 회동하며, 작용 부재(72)가, 개폐 부재(65)의 힘점부(68)를 밀어 올려, 개폐 부재(65)를 회동시키고, 덮개 부재(67)를 내려 칸부(30)의 바닥을 개방한다.
이상 설명한 분할기(63)에서는, 랙(77a~f)을 모터로 구동하고, 연결봉(73a~j)을 솔레노이드로 구동했다. 랙(77a~f)이나 연결봉(73a~j)을 구동하는 구동원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랙(77a~f)을 솔레노이드로 구동해도 된다. 또 연결봉(73a~j)을 모터로 구동해도 된다.
(분할기의 변형예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동력원으로 연결봉(73a~j)을 구동하고 있지만, 원웨이 클러치 등을 이용함으로써, 동력원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분할기(80)에서는, 모든 연결봉(73a~j)을 하나의 스테핑 모터(89)로 구동하는 것이다.
분할기(80)는 회동축(81)을 갖고, 회동축(81)에 구동 측 부재(82)가, 연결봉(73a~j)에 상당하는 수만큼 장착되어 있다. 회동축(81)은, 스테핑 모터(89)에 의하여 회전된다.
구동 측 부재(82)는, 일부에 계단 형상 계합부(84)가 마련된 원판이다. 계단 형상 계합부(84)의 한 변은, 원주에 대하여 예각상으로 되어 있으며, 타방의 변은, 원주에 대하여 완만하게 연속하고 있다. 구동 측 부재(82)는, 계단 형상 계합부(84)의 위치를 약간씩 시프트시킨 상태에서, 회동축(81)에 고정되어 있다.
각 연결봉(73a~j)에는, 종동(從動) 측 부재(83)가 장착되어 있다. 종동 측 부재(83)는, 선단에 계합부(85)가 마련된 부재이다. 계합부(85)는, 예각으로 구부러진 갈고리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종동 측 부재(83)의 계합부(85)는, 구동 측 부재(82)와 접하고 있다.
도 22의 (b)와 같이, 구동 측 부재(82)를 파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구동 측 부재(82)의 계단 형상 계합부(84)는, 계합부(85)와 계합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도 22의 (c)와 같이, 구동 측 부재(82)를 실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22의 (d)와 같이, 구동 측 부재(82)의 계단 형상 계합부(84)가 계합부(85)와 계합하여, 연결봉(73a~j)이 끌어 당겨져 이동한다.
여기에서, 구동 측 부재(82)는, 계단 형상 계합부(84)의 위치를 약간씩 시프트시킨 상태에서, 회동축(8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구동 측 부재(82)의 계단 형상 계합부(84)가 동시에 종동 측 부재(83)와 계합하는 경우는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방하고자 하는 칸부(30)가 속하는 종렬의 종동 측 부재(83)를 구동 측 부재(82)와 계합시키고, 특정 연결봉(73a~j)을 이동시켜 개방하고자 하는 칸부(30)가 속하는 종렬의 모든 작용 부재(72)를 랙(77a~f)과 계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의 (b)와 같이, 구동 측 부재(82)를 파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특정 연결봉(73a~j)에 연결되어 있는 계합부(85)를 대응하는 구동 측 부재(82)의 계단 형상 계합부(84)에 끼워 넣는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구동 측 부재(82)는, 계단 형상 계합부(84)의 위치를 약간씩 시프트시킨 상태에서, 회동축(8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 측 부재(82)의 계단 형상 계합부(84)에 끼워 넣는 계합부(85)는, 특정 연결봉(73a~j)에 연결되어 있는 것에 한정된다.
계속해서 도 22의 (c), (d)와 같이, 구동 측 부재(82)를 실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구동 측 부재(82)의 계단 형상 계합부(84)가 계합부(85)와 계합하여, 연결봉(73a~j)이 끌어 당겨져 이동한다. 그 결과, 특정 연결봉(73a~j)만이 이동하여, 당해 연결봉(73a~j)에 장착된 모든 작용 부재(72)의 기어의 톱니(74)가, 랙(77a~f)과 계합한다.
그 외의 동작은, 상기 분할기(63)와 동일하다.
(분할기의 변형예 3)
도 23에 나타내는 분할기(87)는, 일시 수용 부재(50)와, 개구 형성 장치(9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일시 수용 부재(50)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조이며, 칸부(30)에는 바닥이 없어, 칸부(30) 자체는, 항상 개방 상태이다.
개구 형성 장치(90)는, 개구 특정부(91)와, 개폐부(92) 및 개폐 기구부(94)를 갖고 있다.
개구 특정부(91)는, 인출 측 부재(93)와 권취 측 부재(95) 및 벨트(96)를 각각 6개씩 갖고 있다.
인출 측 부재(93)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에 인출 풀리(121)가 복수 개, 직렬로 배치된 것이다. 인출 풀리(121)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권취 측 부재(95)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에 권취 풀리(122)가 복수 개, 직렬로 배치된 것이다. 권취 풀리(122)에는 태엽이 내장되어 있으며, 항상, 권취 측으로 회전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권취 풀리(122)에는, 벨트(96)가 권회되어 있으며, 당해 벨트(96)의 일단이 인출 풀리(121)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출 풀리(121)를 회전시키면, 권취 풀리(122)에 권취되어 있는 벨트(96)가 조출된다.
각 벨트(96)에는, 각각 1개소에 개구(97)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출 풀리(121)의 회전수에 따라, 개구(97)의 위치가 바뀐다.
개폐부(92)는, 일시 수용 부재(50)의 칸부(30)의 종렬에 대응하여 11개의 요동문(98)을 갖고 있다. 각 요동문(98)에는, 조작편(110)이 돌출되어 있다.
개폐 기구부(94)는, 가이드 부재(111)와, 당해 가이드 부재(11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규제된 승강 부재(112)를 갖고 있다.
승강 부재(112)는, 긴 구멍(113)을 갖고, 당해 긴 구멍(113)에, 요동문(98)의 조작편(110)이 계합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15)을 갖고, 당해 회전판(115)에 마련된 계합편(116)도, 승강 부재(112)의 긴 구멍(113)과 계합하고 있다.
회전판(115)은, 항상, 계합편(116)이 상부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 결과, 승강 부재(112)는, 상부의 위치에 있으며, 모든 개폐부(92)는, 칸부(30)의 바닥을 봉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회전판(115)을 회전시켜, 계합편(116)을 하부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승강 부재(112)가 하부 측으로 이동하며, 모든 개폐부(92)가 개방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분할기(87)에서는, 어느 하나의 인출 풀리(121)를 구동하여, 개방하고자 하는 칸부(30)의 하부에 벨트(96)의 개구(97)를 이동시킨다.
그 후, 도 23의 (c)와 같이, 회전판(115)을 회전시켜, 모든 개폐부(92)를 개방 상태로 한다. 그 결과, 하부에 벨트(96)의 개구(97)가 이동하고 있는 칸부(30)만이, 실질적으로 개방 상태가 되고, 당해 칸부(30) 내의 약제가 낙하한다.
(분할기의 변형예 4)
분할기의 구조는 임의이며, 도 24에 나타내는 공지의 일시 수용 부재(117)와 같이, 각 칸부(30)의 각각의 하부에, 개폐문(123)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 구조의 일시 수용 부재(117)는, 청소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약제 포장 장치로부터 분리되며, 재차 약제 포장 장치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각 칸부(30)의 하부에, 개폐문(123)을 갖는 일시 수용 부재(117)는, 약제 포장 장치에 장착할 때에, 개폐문(123)이 개방되지 않도록, 눌러 두어야 하여, 장착하는 데 숙련을 요한다.
본 양태의 일시 수용 부재(117)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양태의 일시 수용 부재(117)는, 본체부의 바닥면에 폐쇄판 삽입 가이드(118)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바닥면에 폐쇄판(120)이 장착되어 있다.
폐쇄판(120)은, 폐쇄판 삽입 가이드(118)를 따라 삽입되며, 각 칸부(30)의 하부의 개폐문(123)을 눌러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일시 수용 부재(117)는, 폐쇄판(120)을 장착한 상태에서, 약제 포장 장치에 장착된다.
일시 수용 부재(117)는, 수동 산포 부재(102)로부터 각 칸부(30)에 약제가 투입된 후, 집합 호퍼 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일시 수용 부재(117)의 이동 경로상에, 폐쇄판(120)의 이동을 저지하는 부재가 있어, 일시 수용 부재(117)의 본체 부분만이, 집합 호퍼 측으로 이동하고, 폐쇄판(120)은, 그 자리에 남는다.
(분포띠의 소터 장치)
약제 포장 장치로부터 약제 포장이 띠 형상으로 연결되어 배출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각 환자의 약제 포장이나, 각 시설에 반송해야 할 약제 포장이, 분포띠상으로 연결되어 배출된다. 예를 들면, 환자 a가 21일간에 복용하는 약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출되고, 이것에 계속해서 환자 b가 21일간에 복용하는 약제가 연결된 상태로 배출된다.
대부분의 경우, 약제 포장 장치의 배출부 아래에 바스켓이 놓이며, 당해 바스켓에 분포띠가 떨어뜨려진다.
종래기술의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환자 a용의 분포띠와, 이어지는 환자 b용의 분포띠가 계속해서 배출부로부터 배출된다. 실제로는 보다 다인수의 분포띠가 배출되며, 다수의 분포띠가 동일한 바스켓에 들어가 섞인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분포띠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분포띠를 정리하는 작업은 번거로우며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도 25와 같은, 소터 장치(130)를 마련하는 것이 권장된다.
소터 장치(130)는, 복수의 가이드부(132, 133)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132, 133)가 2개 있지만, 가이드부(132, 133)의 수는 임의이다. 또 각 가이드부(132, 133)에는, 도시하지 않은 포장체 지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포장체 지지 수단은, 포장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것이다.
소터 장치(130)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의 약제 포장 배출구(131)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승강 수단에 의하여 승강한다.
소터 장치(130)에 의하여, 포장띠를 분류할 때에는, 도 25의 (b)와 같이, 하부 측의 제1 가이드부(132)를 약제 포장 배출구(131)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환자 a용의 약제 포장이, 약제 포장 배출구(131)로부터 배출되면, 당해 환자 a용의 포장띠(138)가 제1 가이드부(132)와 접촉한 상태로 늘어뜨려진다.
환자 a용의 약제가 모두 포장되면, 약제 포장 장치 내에서 포장띠(138)가 절단되며, 포장체 지지 수단에 의하여 포장띠(138)의 단부가, 제1 가이드부(132)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도 25의 (c)와 같이, 소터 장치(130)를 하강시켜, 상부 측의 제2 가이드부(133)를 약제 포장 배출구(131)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환자 b용의 약제 포장이, 약제 포장 배출구(131)로부터 배출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환자 b용의 포장띠(139)가 제2 가이드부(133)와 접촉한 상태로 늘어뜨려지고, 포장띠(139)가 절단되며, 포장체 지지 수단에 의하여 포장띠(139)의 단부가, 제2 가이드부(133)에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132, 133)가 2개이기 때문에, 이어지는 환자 c용의 포장띠는, 그 상태로 약제 포장 배출구(131)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포장지의 로스 대책)
예를 들면 도 26과 같은 레이아웃의 약제 포장부(6)를 채용하는 경우, 포장띠가 전환될 때에, 포장지(143)의 일부에 폐기해야 하는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약제 포장부(6)는, 호퍼(135)의 상류 측에, 프린터(136)가 있으며, 호퍼(135)의 하류 측에, 히터 롤러(137)가 있다.
약제 포장부(6)에서는, 프린터(136)로 포장지(143)에 필요한 인자를 한 후, 호퍼(135)로부터 약제가 포장지(143)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포장지(143)가 하류 측으로 이동하며, 히터 롤러(137)로 개별의 봉투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환자 a의 21일간에 복용하는 약제가, 연속적으로 배출되고, 이것에 계속해서 환자 b가 21일간에 복용하는 약제가 배출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호퍼(135)로부터 환자 a용의 마지막의 약제가 포장지(143)에 공급되며, 계속해서 환자 b용의 최초의 약제가 포장지(143)에 공급되므로, 포장지(143)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약제가 공급되어, 포장지(143)의 낭비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환자 a의 21일간에 복용하는 약제가, 연속적으로 배출된 후, 호퍼(135)로부터의 약제 공급이 끊어지면, 포장지(143)의 낭비가 발생한다.
즉, 환자 a용의 약제가 포장지(143)에 공급되면, 당해 포장지(143)를 히터 롤러(137)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봉투 형상으로 성형되지만, 포장지(143)를 히터 롤러(137)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 후속의 포장지(143)가 끌어 당겨져 호퍼(135)의 하부나, 프린터(136)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나, 호퍼(135)에 도달한 포장지(143)에는, 약제가 공급되지 않는다. 또 프린터(136)의 위치에 도달한 포장지(143)에는, 아무것도 인자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프린터(136)부터 히터 롤러(137)까지의 영역의 포장지(143)가 낭비되어 버린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일련의 약제 포장이 종료되고, 다음의 약제 포장을 행하는 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마지막 또는 그 근방의 약제 포장을 정지하며, 일정 시간, 다음의 처방이 약제 포장 장치로 보내져 오는 것을 기다린다.
일정 시간 내에, 다음의 처리해야 할 처방이 보내져 온 경우에는, 약제 포장을 재개한다. 예를 들면, 환자 a용의 처방에 이어, 환자 b용의 처방을 처리해야 할 사태가 된 경우에는, 남아 있던 환자 a용의 약제 포장을 재개하고, 이것에 계속해서 환자 b용의 약제 포장을 실시한다.
일정 시간 내에, 다음의 처리해야 할 처방이 보내져 오지 않은 경우에는, 남아 있던 환자 a용의 약제 포장을 재개하고, 환자 a용의 약제 포장을 완결시킨다.
상기한 투약 캘린더는, 캘린더에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수용부(141)를 마련한 것이다.
대표적인 투약 캘린더(140)는, 도 27의 (a)와 같이, 날짜의 하방에, 각각 4개의 약제 수용부(141)가 나열되어 있다. 4개의 약제 수용부(141)는, 각각 복용의 타이밍(용법)에 대응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투약 캘린더(약 캘린더)(140)의 약제 수용부(141)에, 복용의 타이밍에 대응한 약제를 수용해 둔다. 복용의 타이밍이 도래하면, 해당하는 약제 수용부(141)로부터 약제를 취출하여 복용한다.
일반적으로, 약제 수용부(141)는, 포켓상이다. 그 때문에, 약제 수용부(141)의 바닥에 먼지(145)가 쌓이는 경우가 있다. 또 약제 수용부(141)의 바닥은, 각이 져 있는 경우가 많아, 구석 부분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도 27의 (b)와 같은 청소 도구(150)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청소 도구(150)는, 진공 청소기의 선단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이다. 청소 도구(150)는, 외관 형상이 직육면체이다. 청소 도구(150)의 정면벽 및 이면벽은, 폭이 넓고, 측면벽은, 폭이 좁다.
청소 도구(150)의 내부는, 중공(中空)이며, 선단 측의 모서리의 부분에 개구(152)가 있다.
또 청소 도구(150)의 정면벽과 이면벽 및 바닥면벽에는, 브러시(151)가 장착되어 있다. 브러시(151)는, 면 형상이며 얇고, 도시하지 않은 접착 수단에 의하여, 청소 도구(150)의 본체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청소 도구(150)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 청소기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 27의 (c)와 같이, 청소 도구(150)를 투약 캘린더(140)의 약제 수용부(141)에 삽입하고, 약제 수용부(141) 내에서, 청소 도구(150)를 출입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 결과, 브러시(151)로 약제 수용부(141)의 내면이 문질러져, 약제 수용부(141)의 내면에 부착된 먼지나 티끌이 제거된다. 또 제거된 먼지나 티끌은, 개구(152)로부터 흡인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도구(150)의 선단 측의 모서리의 부분에 개구(152)가 있으므로, 먼지가 쌓이기 쉬운 약제 수용부(141)의 구석 부분도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다.
브러시(151)는,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1: 약제 포장 장치
6: 약제 포장부
10: 수동 산포 장치(약제 배출 장치)
11: 표시 장치
12: 표시 화면
15: 수동 산포 부재
16: 분할기(배출 수단)
18: 모의 도표(안내 수단)
20: 오목부
22: 지시등(지시 수단 안내 수단)
30: 칸부
40: 제어 장치
50: 일시 수용 부재
51: 바닥 구성 부재
55: 전체면 폐쇄 영역
56: 개구 가능 영역
58: 이동 마루 부재
61: 낙하 개구
62: 약제

Claims (12)

  1.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배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약제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임의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약제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 명 또는 한 명의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약제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에 할당하며,
    상기 배출 수단은, 소정의 순번으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 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1복용분이며, 1 또는 복수 개의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지고,
    상기 1복용분의 약제는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약제이며,
    약제의 종류와 개수가 동일한 것이,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에 할당되는, 약제 배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표시 수단을 갖고, 당해 표시 수단은, 상기 오목부의 배열을 모방한 모의 도표를 표시 가능하며, 상기 모의 도표 및/또는 상기 모의 도표와 동일한 화면에, 산포하여 넣어야 할 약제에 관련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약제 배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의 도표의, 동일한 약제를 넣어야 할 오목부에 통일된 마크가 표시되는, 약제 배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동 산포 부재는, 약제를 넣어야 할 오목부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갖는, 약제 배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동 산포 부재의 하부에 분할기가 배치되고,
    상기 분할기는, 일시 수용 부재와, 바닥 구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일시 수용 부재는 칸부를 갖고, 상기 칸부는, 상기 수동 산포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것이며 바닥 측이 개구되고,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특정 부분을 개폐하여 낙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일시 수용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일시 수용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특정 상기 칸부를 상기 바닥 구성 부재의 상기 낙하 개구가 형성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약제 배출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산포 부재의 상기 오목부는 바닥 측이 개구되고, 상기 수동 산포 부재의 하부에 바닥 구성 부재가 있으며,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특정 부분을 개폐하여 낙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바닥 구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하여, 특정 상기 오목부를 상기 바닥 구성 부재의 상기 낙하 개구가 형성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약제 배출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성 부재는, 전체면 폐쇄 영역과, 개구 가능 영역이 있으며,
    상기 개구 가능 영역은, 폭이 좁은 평면을 갖는 이동 마루 부재가 나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동 마루 부재는, 개별적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 마루 부재를 평행 이동시켜, 상기 전체면 폐쇄 영역과 상기 이동 마루 부재의 사이에 상기 낙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약제 배출 장치.
  9.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갖는 약제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1복용분이며, 1 또는 복수 개의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지고,
    약제의 종류에 근거하여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를 결정하는 오목부 결정 수단과, 결정한 오목부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 약제 배출 장치.
  10. 복수의 약제 피더와,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약제 피더에는 복수의 약제를 충전 가능한 약제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피더는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배출하는 것인 약제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1복용분이고, 1 또는 복수 개의 약제가 산포하여 넣어지며,
    상기 약제 피더로부터 배출 가능한 약제와, 배출 불가능한 약제를 구별하여, 상기 배출 불가능한 약제를 상기 수동 산포 부재를 통하여 배출하는 데 있어서, 약제의 종류에 근거하여 산포하여 넣어야 할 오목부를 결정하는 오목부 결정 수단을 구비한 약제 배출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배출 장치와, 당해 약제 배출 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를 갖는 약제 포장 장치.
  12. 고형상의 약제를 산포하여 넣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수동 산포 부재와, 상기 오목부에 산포하여 넣어진 약제를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하류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갖는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환자의 처방에 대응하여, 복수의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제 중, 동일한 약제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동일한 약제를 근접한 영역의 상기 오목부에 투입하고,
    복용 시기의 순서대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7033941A 2020-04-17 2021-04-09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002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3984 2020-04-17
JP2020073984 2020-04-17
PCT/JP2021/015095 WO2021210516A1 (ja) 2020-04-17 2021-04-09 薬剤排出装置及び薬剤排出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348A true KR20230002348A (ko) 2023-01-05

Family

ID=7808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941A KR20230002348A (ko) 2020-04-17 2021-04-09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92333A1 (ko)
EP (1) EP4137416A4 (ko)
JP (1) JPWO2021210516A1 (ko)
KR (1) KR20230002348A (ko)
CN (1) CN115361933A (ko)
TW (1) TW202142446A (ko)
WO (1) WO2021210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95386A (ja) * 2021-12-24 2023-07-06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手撒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621A (ja) 1989-04-03 1990-11-05 Tokyo Shokai:Kk 錠剤分包機のフィーダ指示装置
JP2001335002A (ja) 2000-05-25 2001-12-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1505B2 (ja) * 1996-10-24 2007-03-14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包装機
CA2191900A1 (en) * 1996-12-03 1998-06-03 Cal Loveless Automatic prescription pill dispensing system
CA2217220C (en) * 1996-12-03 2001-05-01 Cal Loveless Automatic prescription pill dispensing system
JP4189052B2 (ja) * 1997-03-25 2008-12-0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US6581356B2 (en) * 2001-09-24 2003-06-24 Jun H. Kim Tablet dispensing and packaging system
KR100998145B1 (ko) * 2002-02-20 2010-12-0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 장치
WO2007091375A1 (ja) * 2006-02-10 2007-08-16 Tosho Inc. 薬剤手撒き装置
JP4253357B1 (ja) * 2007-09-27 2009-04-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手撒き薬剤供給装置、薬剤の手撒き方法、及び、薬剤分包装置
WO2012070643A1 (ja) * 2010-11-26 2012-05-3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分包装置
US9886554B2 (en) * 2013-09-04 2018-02-06 Meditab Software Inc. Medical pill dispensing system
WO2016136523A1 (ja) * 2015-02-23 2016-09-0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CN107613942B (zh) * 2016-01-06 2021-08-03 株式会社汤山制作所 检查辅助系统、片剂分包装置、分包控制程序
CA2933860C (fr) * 2016-06-23 2017-08-29 Matthieu Grosfils Systemes et equipements permettant de controler le contenu d'un ou des compartiment(s) d'un distributeur de medicaments, methode de fabrication des systemes et equipements et methode d'utilisation correspondan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621A (ja) 1989-04-03 1990-11-05 Tokyo Shokai:Kk 錠剤分包機のフィーダ指示装置
JP2001335002A (ja) 2000-05-25 2001-12-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516A1 (ja) 2021-10-21
EP4137416A4 (en) 2024-05-01
EP4137416A1 (en) 2023-02-22
TW202142446A (zh) 2021-11-16
CN115361933A (zh) 2022-11-18
JPWO2021210516A1 (ko) 2021-10-21
US20230192333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5130B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KR20190000870A (ko) 약제 인출 장치
JP4189052B2 (ja) 薬剤包装装置
KR102509373B1 (ko) 약제 포장 장치
JP2509822B2 (ja) 薬剤分包機
JP7470911B2 (ja) 薬剤分包ユニット
KR20230002348A (ko)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181914A1 (ja) 固形剤小分け装置及び固形剤小分け方法
JP4886301B2 (ja) 薬剤包装装置
JPH05242169A (ja) 調剤作業別処方箋処理装置
JP6914488B2 (ja) 薬剤分包機
JPS62156773A (ja) 処方箋処理装置
JP4163852B2 (ja) 薬剤包装方法及び装置
JP2866543B2 (ja) 薬剤手撒き装置
JPH04307062A (ja) 調剤業務用処理装置
JP3619675B2 (ja) 薬剤供給装置
JPH0710103A (ja) 自動錠剤分包装置
JP7311875B2 (ja) 薬剤分包装置
JPS5922003Y2 (ja) 全自動錠剤分包機
KR101774698B1 (ko) 약제 인출 장치
JPH068901A (ja) 薬剤分包機
KR20180016086A (ko) 약제 인출 장치
KR20220135101A (ko) 블리스터 팩용 약제 분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의 블리스터 팩킹 장치
JP2023143826A (ja) 薬剤払出し装置
KR20180006343A (ko) 약제 인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