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870A - 약제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870A
KR20190000870A KR1020180168712A KR20180168712A KR20190000870A KR 20190000870 A KR20190000870 A KR 20190000870A KR 1020180168712 A KR1020180168712 A KR 1020180168712A KR 20180168712 A KR20180168712 A KR 20180168712A KR 20190000870 A KR20190000870 A KR 2019000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unit
disposed
compartm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8016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870A/ko
Publication of KR2019000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65B37/1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of centrifug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N 개의 구획 공간 (이때, N≥2 인 자연수)을 구비하는 약제 인출 장치로서, 약제를 투입하는 투입부; 투입된 약제를 검사하는 검사부; 투입된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N 개의 구획 공간 중 어느 한 구획 공간에 모두 함께 배치되거나, 상기 투입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나머지가 배치된 구획 공간이 아닌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되는 약제 인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제 인출 장치{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제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약제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유닛을 구비하는 약제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 자동 포장기는 정형화된 정제와 반알과 같은 비정형화된 정제 그리고 분말형태의 가루약제를 각각 수용 및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수용되어 약제를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씩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약제 불출 장치는 정형화된 약제를 불출하는 카세트와 비정형화된 약제를 불출하는 정제 트레이 또 가루약을 불출하는 산제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는 약제 불출 장치 내에 다량으로 보관되어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분배될 수 있으나, 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약제는 필요할 때마다 약제를 분배한 트레이를 별도로 준비한 후 약제 자동 포장 장치 내에 장착시켜 자동적으로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를 담은 여러 개의 카세트 및 트레이가 본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처방전에 따라 약제의 종류, 수량을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하면, 카세트 및 트레이는 1회 복용분에 해당하는 약제를 배출한다.
배출된 약제는 호퍼에 떨어져 모아지게 되고, 모아진 약제는 1회 복용분씩 포장지로 포장되며, 입력기로 입력된 복용 횟수에 따라 카세트 및 트레이에서의 약제의 배출 및 배출된 약제의 포장 작동이 반복되어 약제의 포장이 연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약제 자동 포장기는 1회 복용될 약제의 종류와 수량이 입력된 바에 따라 정확히 포장 배출되게 하는 등 작동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제품이므로, 1회 복용분씩 포장되는 포장지에 포장되는 약제는 파손 여부, 이물질 부착 여부 및 처방전에 따른 약제의 갯수 등에 관하여 면밀한 검사 과정이 요구된다.
즉, 약제 자동 포장기는 카세트 또는 약제 트레이로부터 정확하지 않은 약제가 배출되어 포장될 경우 약화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배출된 약제가 처방전에 맞는지 포장 전에 반드시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포장된 약제의 정상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약제에 대한 정보가 인쇄된 약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정상 포장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는 비젼(vision) 검사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7943호에서 공개된 것처럼, 약제의 공급 및 검사를 위하여 원형의 약제수집부를 구비하는 위치가변부와 약제촬영부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원형의 위치가변부는 약제수집부가 일정한 형상이어서 위치가변부가 회전하면 약제가 약제수집부의 한쪽 구석으로 몰리기 때문에 약제촬영부가 정확한 촬영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약제촬영부가 배치되는 공간의 제약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씩 약제를 포장하기 전에 약제의 포장 및 검사의 정확성, 신속성 및 편의성을 구비하는 약제 회전 유닛을 구비하는 약제 인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약제 인출 장치는, 회전 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N 개의 구획 공간 (이때, N≥2 인 자연수)을 구비하는 약제 인출 장치로서, 약제를 투입하는 투입부; 투입된 약제를 검사하는 검사부; 투입된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N 개의 구획 공간 중 어느 한 구획 공간에 모두 함께 배치되거나, 상기 투입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나머지가 배치된 구획 공간이 아닌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검사된 약제가 상기 약제 목록에 일치하지 않는 것은, 약제의 전부 누락, 약제의 일부 누락, 약제의 과투입, 약제의 오투입 및 약제의 파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부는, 약제 불출 장치로부터 약제를 수집하여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제 불출 장치는, 정제 수납부, 비정형 정제 수납부, 산제 수납부 및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정제 수납부, 상기 비정형 정제 수납부, 상기 산제 수납부 및 상기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집된 약제를 투입하는 제1 투입부; 및 상기 제1 투입부에 약제를 제공하는 수납부를 제외한 나머지 수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집된 약제를 투입하는 제2 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투입부 및 상기 제2 투입부는, 동일한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투입부 및 상기 제2 투입부는, 서로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서 검사된 약제가 상기 약제 목록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약제 목록과의 일치를 위해 약제를 재투입시키는 재투입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투입부는, 상기 검사부의 검사결과 상기 약제 목록에 일치하지 않는 약제가 투입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투입부는, 검사정보 내역이 있는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는, 투입된 약제를 포장 장치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1 배출부; 및 투입된 약제를 약제 폐기함을 향해 이송시키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배출부는, 동일한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배출부는, 서로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N 개의 구획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 공간에서, 상기 N 개의 구획 공간이 이송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N 개의 구획 공간은, 상기 회전 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N 개의 칸막이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입된 약제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부는, 상기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투입된 약제가 구획 공간의 경계면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부는, 구획 공간에 수용된 약제를 정렬시키는 정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부는,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에 수용된 약제를 정렬시키는 정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변의 폭과 하변의 폭이 상이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 부재는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하는 바람직하다.
한편,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은,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렬 부재를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약제 인출 장치는, 회전 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N 개의 구획 공간 (이때, N≥2 인 자연수)을 구비하는 약제 인출 장치로서, 약제를 투입하는 제1 기능 수행부; 투입된 약제를 검사하는 제2 기능 수행부; 투입된 약제를 배출하는 제3 기능 수행부; 및 상기 제3 기능 수행부에 의해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 수행부, 상기 제2 기능 수행부 및 제3 기능 수행부는 상기 N 개의 구획 공간 중 어느 한 구획 공간에 모두 함께 배치되거나, 상기 제1 기능 수행부, 상기 제2 기능 수행부 및 상기 제3 기능 수행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기능 수행부는 다른 기능 수행부가 배치된 구획 공간이 아닌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능 수행부는 약제 불출 장치로부터 약제를 수집하여 투입하는 투입부이고, 상기 제2 기능 수행부는 배치된 구획 공간을 촬영하여 약제 영상을 획득하는 검사부이고, 상기 제3 기능 수행부는 투입된 약제를 포장 장치를 향해 이송시키거나, 투입된 약제를 약제 폐기함을 향해 이송시키는 배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인출 장치에 의하면,
첫째, 검사부는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을 촬영하고, 제어부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처방전 기준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촬영과 판단은 개별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되어 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에 구애됨 없이 구획 공간의 연속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재투입부를 통해 약제를 재투입시켜 처방전과 일치시키므로 포장되는 약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재투입부의 위치를 약제 투입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누락된 약제를 신속하게 재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재투입부는 구획 공간들이 배치되는 평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재투입 약제는 낙하하여 투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재투입 약제의 이송 및 투입이 가능하다.
다섯째, 표시부는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 약제 기준에 일치 여부 및 불일치 내역을 표시하므로 검사자는 표시 내역에 상응하는 약제 인출 장치의 조작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여섯째, 투입된 약제를 정렬시키는 정렬부에 의해 투입된 약제가 구획 공간의 경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므로, 검사부에 의한 약제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인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인출 장치를 구비하는 약재 자동 포장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인출 장치와 약제 인출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약재 자동 포장기의 일부 구성을 함께 도시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에서 약제 인출 장치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자동 회전 유닛과 하부 베이스의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약제 폐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약제 폐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획 공간을 상면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인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인출 장치를 구비하는 약재 자동 포장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인출 장치와 약제 인출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약재 자동 포장기의 일부 구성을 함께 도시한의 사시도이다.
약제 인출 장치(ADM)는 도 2에 도시된 약재 자동 포장기(1)의 하부 몸체(20)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약제 불출 장치(10)로부터 약제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약제의 처방전 일치 여부를 검사하여 한 포 분씩 포장 장치(미도시)로 인출하는 장치이다.
약제 불출 장치(10)는 정제 수납부, 비정형 정제 수납부, 산제 수납부 및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정제 수납부는 정형화된 정제를 수납한다. 정제 수납부는 정제를 종류별로 수납하는 카세트(3)를 다수 포함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비정형 정제 수납부는 비정형화된 정제를 수납한다. 여기서 비정형화된 정제는 1/2 조각 정제와 같이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정제를 수납하는 수납부이다. 비정형 정제 수납부는 비정형정제를 종류별로 수납하는 비정형 정제 자동공급 카세트를 복수 개 포함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산제 수납부는 분말 형태의 약제를 수납한다.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는 정제, 또는 비정형 정제를 수납하는 수납부로서, 약제의 취급 및 관리상의 이유로 정제 수납부 또는 비정형 정제 수납부에 수납할 수 없는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부이다.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는 트레이(4)를 포함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약제 인출 장치(ADM)에서는 약제 투입, 약제 검사, 약제 재투입 및 약제 배출이 수행되며, 이러한 동작 수행을 위해 약제 인출 장치(ADM)는 적어도 두 개의 구획 공간, 투입부, 검사부, 제어부, 재투입부, 표시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입부, 검사부 및 배출부는 회전 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구획 공간 중 어느 한 구획 공간에 모두 함께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고, 투입부, 검사부 및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나머지가 배치된 구획 공간이 아닌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입부와 검사부가 같은 구획 공간에 배치되고, 배출부는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투입부는 구획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 공간에 하나 이상의 약제를 투입한다. 투입부는 정제 수납부, 비정형 정제 수납부, 산제 수납부 및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구획 공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가이드 하는 호퍼 내지 약제 이동 통로일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투입부는 제1 투입부와 제2 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투입부는 정제 수납부, 비정형 정제 수납부, 산제 수납부 및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집된 약제를 구획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 공간에 투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투입부는 제1 투입부에 약제를 제공하는 수납부를 제외한 나머지 수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집된 약제를 구획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 공간에 투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투입부와 제2 투입부는 각각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투입부와 제2 투입부가 동일한 구획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한 포 분의 약제가 한번에 제1 투입부 및 제2 투입부가 배치된 구획 공간에 투입될 수 있다.
도 3은 제1 투입부와 제2 투입부는 각각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된 경우로서 식별부호 210A 및 210B로 표시된 부분이 제1 투입부 및 제2 투입부에 해당한다.
검사부는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약제를 검사하는 기기로서,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을 촬영하여 투입된 약제를 검사한다.
제어부는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검사 결과가 약제의 전부 누락, 약제의 일부 누락, 약제의 과투입, 약제의 오투입 및 약제의 파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때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재투입부는 제어부에서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방전과의 일치를 위해 약제를 재투입시킨다. 이를 위해 재투입부는 검사부의 검사결과 약제 목록에 일치하지 않는 약제가 투입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재투입부는 검사정보 내역이 있는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재투입부는 검사가 수행된 구획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처방전 기준으로 불일치하는 약제가 수용되어 있는 구획 공간에 처방전과의 일치를 위해 약제를 재투입한다.
재투입부는 약제 불출 장치(10)에 지정된 재투입 약제 보관함으로부터 재투입되는 약제를 공급받을 수 있다. 재투입부는 재투입 약제 보관함으로부터 제공되는 약제를 구획 공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가이드 하는 호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재투입 약제 보관함은 정제 수납부에 구비되는 카세트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이거나, 비정형 정제 수납부에 구비되는 비정형 정제 자동공급 카세트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이거나, 특별취급 약제 수납부에 구비되는 트레이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재투입부는 외부 투입구(221)를 통해 재투입되는 약제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재투입부는 외부 투입구(221)로부터 투입되는 약제를 구획 공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가이드 하는 약제 이동 통로 형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외부 투입구(221)를 통해 재투입되는 약제를 공급받는 경우로서, 식별부호 220으로 표시된 부분이 재투입부에 해당한다. 이때, 외부 투입구(221)는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불일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배출부는 투입된 약제를 배출한다. 배출부는 투입된 약제를 포장 장치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1 배출부 및 투입된 약제를 약제 폐기함을 향해 이송시키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배출부 및 제2 배출부는 동일한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식별부호 310으로 표시된 부분이 제1 배출부에 해당한다. 제1 배출부는 검사 결과 처방전과 일치하는 약제를 포장 장치로 배출한다. 간결한 도시를 위해 제2 배출부는 도시 생략하였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인출 장치(ADM)에서 이루어지는 약제 투입 동작, 약제 검사 동작, 약제 재투입 동작, 및 약제 배출 동작이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약제 인출 장치(ADM)는 약제 회전유닛(100)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구획 공간(C1, C2, ... Cn)을 포함한다. 약제 회전유닛(100)은 구동부에 의해 이송되는 회전부재(110) 및 회전부재(110)에 연결되어 구획 공간(C1, C2, ... Cn)을 형성하는 칸막이 칸막이부재(120)를 포함한다.
도시에 의하면 구획 공간(C1, C2, ... Cn)은 여섯 개로 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상의 편의에 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 인출 장치(ADM)는 2개의 구획 공간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약제 투입 동작, 약제 검사 동작, 약제 재투입 동작 및 약제 배출의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다. 사용되는 구획 공간의 개수는 투입부, 재투입부, 검사부 및 배출부의 배치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약제 인출 장치(ADM)는 N개의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데(이때, N≥2 인 자연수), 투입부, 검사부 및 배출부는 구획 공간 중 어느 한 구획 공간에 모두 함께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고, 투입부, 검사부 및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나머지가 배치된 구획 공간이 아닌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입부와 검사부가 같은 구획 공간에 배치되고, 배출부는 다른 구획 공간에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때, 구획 공간(C1)에 투입부가 배치되면, 재투입부는 같은 구획 공간(C1)에 배치될 수도 있고 구획 공간(C1)을 제외한 나머지 구획 공간(C2, ...CN)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재투입부는 N 개의 구획 공간이 이송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재투입부(220)은 약제 인출 장치(ADM)에서 구획 공간이 이루는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약제를 중력에 의해 낙하 투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재투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검사부는 투입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되거나, 구획 공간이 이송되는 방향에 있는 구획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검사부는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의 약제가 모두 취합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되거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의 약제가 모두 취합되는 구획 공간이 이송되는 방향에 있는 나머지 구획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검사부는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을 촬영하여 투입된 약제를 검사하므로, 검사부는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의 약제가 모두 수용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가 A약제, B약제 및 C약제로 이루어지고 투입부가 A약제를 투입하는 A약제 투입부, B약제를 투입하는 B약제 투입부 및 C약제를 투입하는 C약제 투입부를 포함하여 각 투입부가 3개의 구획 공간에 나누어 배치된다면, 검사부는 마지막 C약제 투입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되거나, 마지막 C약제 투입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의 다음번 구획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재투입부는 처방전과의 일치를 위해 누락된 약제를 재투입시키는 투입부이므로, 약제 검사가 수행된 구획 공간, 즉,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 또는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의 다음번 구획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의 약제가 하나의 투입부를 통해 모두 투입되는 경우, 투입부, 검사부 및 재투입부를 하나의 구획 공간에 모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구획 공간(C1)에 투입부, 검사부 및 재투입부가 모두 배치되고 구획 공간(C2)에 배출부가 배치되어 약제 인출 장치(ADM)가 두 개의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약제 검사 및 인출 동작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약제 인출 장치(ADM)가 구획 공간을 두 개만 구비하는 경우, 투입부, 검사부, 재투입부 및 배출부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획 공간(C1)에 투입부를 통해 한 포 분의 약제(즉,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의 약제가)가 모두 투입된다. 처방전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한 포 분의 약제는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트레이에 수용되는 약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카세트 및 트레이에 수용된 약제를 모두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투입부는 카세트로부터 낙하하는 약제와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약제가 하나의 구획 공간으로 이어지도록 연결하는 호퍼일 수 있다.
구획 공간(C1)에 한 포 분의 약제 투입이 완료되면, 검사부가 구획 공간(C1)을 촬영한다. 제어부는 검사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투입된 약제를 인식하고, 인식된 약제가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투입된 약제가 구획 공간(C1)의 경계면에 인접하거나 밀착된 경우, 경계면에 약제가 가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투입된 약제를 경계면으로부터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인출 장치(ADM)는 투입된 약제를 경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사부는 투입된 약제를 촬영하므로 정렬부는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부는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의 바닥면을 움직이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을 이루는 칸막이 부재를 움직이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획 공간의 바닥면을 움직이는 형태의 경우, 바닥면에 진동을 가하여 약제를 분산시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부재가 정렬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구획 공간을 이루는 칸막이 부재를 움직이는 형태의 경우, 칸막이 부재를 구획 공간의 이송 방향에 대해 전후로 일정 거리(예를 들어 ㅁ10mm)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칸막이 부재를 구동하는 회전 부재가 정렬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구획 공간(C1)의 경계면에 밀착된 약제를 이격시키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투입부 또는 검사부는 구획 공간(C1)에 수용된 약제를 정렬시키는 정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부재는 구획 공간(C1)을 수직 방향(즉, 상면에서 내려다본 방향)에서 봤을 때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 이동시킨다. 정렬 부재는 칸막이 부재를 움직이도록 실시될 수도 있고, 구획 공간(C1)의 바닥 면을 움직이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정렬 부재는 약제를 칸막이 부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켜 칸막이 부재가 약제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정렬 부재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칸막이 부재에 끼워지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정렬 부재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는 영상 분석을 통해 구획 공간(C1)에 투입된 약제가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과 비교하여 전부 누락되었는지, 일부 누락되었는지, 과투입 되었는지, 오투입 되었는지, 투입된 약제가 파손되었는지 또는 영상 분석에서 약제를 인식하지 못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는 약제의 전부 누락, 약제의 일부 누락, 약제의 과투입, 약제의 오투입, 약제의 파손 및 인식 불가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약제 인출 장치(ADM)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투입된 약제가 배출되도록 배출부를 제어한다.
배출부는 투입된 약제를 포장 장치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1 배출부 및 투입된 약제를 약제 폐기함을 향해 이송시키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처방전의 약제 목록과 일치하는 한 포 분의 약제가 제1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일예로, 제어부는 검사 결과 구획 공간(C1)에 투입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전부 누락된 경우 투입부를 제어하여 한 포 분의 약제가 다시 검사 결과 구획 공간(C1)에 투입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카세트(3) 및 트레이(4)로부터 약제가 낙하여 구획 공간(C1)에 다시 투입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검사 결과 구획 공간(C1)에 투입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일부 누락된 경우 재투입부를 제어하여 누락된 약제만 구획 공간(C1)에 투입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보조 트레이 또는 외부 투입구(221)를 통해 누락된 약제를 공급받아 구획 공간(C1)에 투입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검사부가 구획 공간(C1)을 촬영하고, 제어부는 검사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투입된 약제를 인식하고, 인식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검사 결과 구획 공간(C1)에 투입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약제의 과투입, 약제의 오투입 또는 약제의 파손된 경우에는 제어부는 제2 배출부를 제어하여 구획 공간(C1)에 투입된 약제가 폐기시킬 수 있다.
제2 배출부는 N 개의 구획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 공간에서, N 개의 구획 공간이 회전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약제 인출 장치(ADM)가 두 개의 구획 공간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구획 공간(C1)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검사 결과 구획 공간(C1)에 투입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약제의 과투입, 약제의 오투입 또는 약제의 파손된 경우(다시 말해, 재투입만으로는 처방전과의 일치가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는 제2 배출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구획 공간(C1)을 비우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제2 배출부를 닫고 구획 공간(C1)에 투입부를 통해 한 포 분의 약제가 투입되도록 제어한다.
검사 결과 구획 공간(C1)에 투입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회전부재(110)를 회전시켜 구획 공간(C1)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구획 공간(C2)으로 이동시키고, 배출부를 개방하여 검사 완료된 약제를 포장 장치로 배출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획 공간(C1)에 한 포 분의 약제가 모두 투입 완료된 후 검사부가 구획 공간(C1)을 촬영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구획 공간(C1)에 일부 약제만 투입된 상황에서 검사를 미리 수행할 수도 있다.
트레이(4)에 준비되는 약제는 비정형화된 약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오투입 가능성이 카세트(3)에 준비되는 약제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구획 공간(C1)에 트레이(4)에 준비된 약제를 먼저 투입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결과 투입된 약제에 오류가 있을 경우 이를 폐기시킬 수 있다. 즉, 트레이(4)로부터 투입된 약제만을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오투입 발생시 한 포 분의 약제가 전부 폐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투입부, 검사부, 재투입부 및 배출부의 배치 위치는 약제 인출 장치(ADM)가 구획 공간을 2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제 인출 장치(ADM)가 구획 공간을 2개 이상 다수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시 말해, 투입부, 검사부, 재투입부 및 배출의 배치 위치는 상술한 구획 공간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 포 분의 약제를 이루는 약제 군의 구성 및 위에서 설명한 배치 관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적절히 변형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검사부는 한 포 분의 약제(즉,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목록)를 이루는 약제 군의 마지막 약제가 투입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되거나 구획 공간의 이송 방향 기준으로 다음 구획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재투입부는 검사부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에 배치되거나 구획 공간의 이송 방향 기준으로 다음 구획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약제 인출 장치(ADM)는 검사 내역을 표시하는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사 내역은 검사된 약제가 처방전 기준으로 불일치하는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표시부(500)는 약제 불출 장치(1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표시부(5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부(500)는 하부 몸체(2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약제 자동 포장기(1)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테이블 또는 스탠드에 지지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표시부(500)는 검사 내역으로서, 약제의 전부 누락, 약제의 일부 누락, 약제의 과투입, 약제의 오투입 및 약제의 파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불일치 내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00)는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투입된 약제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인식 불가 내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되는 내역은 텍스트 형식으로만 표시될 수도 있고 촬영된 영상이 병기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약제 인출 장치(ADM)는 검사 내역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제의 전부 누락, 약제의 일부 누락, 약제의 과투입, 약제의 오투입, 약제의 파손 및 인식 불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600)는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0)와 일체로 구비되는 터치입력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입력부(600)를 통해 검사자는 표시부(500)에 표되는 내역에 상응하는 약제 인출 장치의 조작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약제의 재투입으로 처방전과의 일치가 가능한 경우, 제어부는 외부 투입구(221)를 개방하고 표시부(500)에 누락된 약제를 표시할 수 있다. 검사자는 누락된 약제를 외부 투입구(221)에 투입하고 입력부(600)를 조작하여 투입된 약제가 약제 인출 장치(ADM)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인출 장치와 약제 인출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약재 자동 포장기의 일부 구성을 함께 도시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에서 약제 인출 장치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자동 회전 유닛과 하부 베이스의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약제 폐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약제 인출 장치(ADM)가 8개의 구획 공간을 포함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약제 인출 장치(ADM)는 약제 회전 유닛(100), 상측 케이스(200) 및 하측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약제 회전 유닛(100)은 직선부(130)와 곡선부(1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회전 유닛(1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되는 구획 공간(C)은 회전부재(110)의 형상 및 칸막이부재(120)의 개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약제 회전 유닛(100)은 직선부(130)와 곡선부(1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케이스(200) 및 하측 케이스(300)는 약제 회전 유닛(100)의 형태에 대응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측 케이스(200)는 약제가 투입되는 투입부(210A)(210B)가 상측에 형성된다. 투입부(210A)(210B)는 필요에 따라 한 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하, 투입부(210A)는 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이유로 필요할 때마다 사용되는 트레이(4)로부터 낙하하는 약제를 투입하는 용도이고, 투입부(210B)는 카세트에 수용될 수 있는 약제를 투입하는 용도라고 가정한다. 투입부(210A) 및 투입부(210B)는 각각 트레이 및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해당 배치되는 구획 공간으로 가이드 하는 호퍼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200)는 누락된 약제가 재투입되는 재투입부(220)가 상측에 배치된다. 재투입부(220)는 누락된 약제의 즉시 투입 가능한 외부 투입구(221)과 연결되는 통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측 케이스(300)는 약제가 배치된 구획 공간(C)의 바닥을 형성하며, 약제가 배출되는 제1 배출부(310) 및 제2 배출부(320)가 하측에 형성된다. 약제는 제1 배출부(310)를 통해 이송되어 약제 인출 장치(ADM) 하측에 위치하는 포장부로 이동하여 포장된다.
약제 회전 유닛(100)은 상측 케이스(200) 및 하측 케이스(300)의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부재(110) 및 복수의 칸막이부재(12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1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주기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칸막이부재(120)는 단속적으로 회전하여 약제가 배치된 구획 공간(C)이 가변되도록 회전부재(110)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회전부재(110)는 약제의 흩어짐을 위해 칸막이부재(120)가 약제를 회전력에 의해 이송시키고, 약제의 검사를 위한 시간을 가지기 위하여 상기 인접한 구획 공간의 이송전에 휴지기를 각각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10)는, 단속적 이송을 수행하고 단속적인 구동에 의해 투입된 약제를 드리블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드리블에 의해 약제가 칸막이부재(120) 표면에 밀집되지 않고 구획 공간(C)에 고르게 분산 시킬 수 있다.
칸막이부재(12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약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가 신축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칸막이부재(120)는 약제와 접촉하는 하부(121)와 약제와 접촉하는 단부(122)가 신축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10)는 칸막이 부재(12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체인 형상이고, 칸막이부재(120)는 고정된 일단이 회전부재(120)와 힌지(H) 결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부재(110)의 형상 및 칸막이부재(120)의 배치에 따라 구획 공간(C)의 가변이 가능하므로 약제 회전 유닛(100)의 다양한 구획 공간 설정이 용이하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를 참조하면, 상측 케이스(200) 및 약제 회전 유닛(100)은 하측 케이스(300)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하측 케이스(300)의 상면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약제 회전 유닛(100)은 돌기가 구비된 탈착용 샤프트(S) 등에 의해 하측 케이스(300)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약제 회전 유닛(110)은 평면상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직선부(130)와 직선부(130)의 양단을 연결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곡선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약제 회전 유닛(100)은 평면상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직선부(130A)(130B)와 직선부(130A)(130B)의 양단을 연결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곡선부(140A)(140B)를 구비하고, 상측 케이스(200) 및 하측 케이스(300)는 약제 회전 유닛(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직선부(130A)(130B)에 배치된 구획 공간(C)은 복수로 형성되며, 곡선부(140A)(140B)에 배치된 구획 공간(C)은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 공간(C)은 도 9에서 130A1, 130A2, 130A3, 130A4, 130B1, 130B2, 130B3, 130B4, 140A, 14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직선부(130A)(130B)에 배치된 구획 공간(C)인 130A1, 130A2, 130A3, 130A4, 130B1, 130B2, 130B3, 130B4는 약제의 투입, 대기, 검사, 배출 및 폐기 중의 하나 이상의 역할을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입, 대기, 검사, 배출 및 폐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곡선부(140A)(140B)에도 배치될 수도 있다.
구획 공간(C)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130A1에는 약제의 1차 투입의 역할을 하는 투입부(210A)가 배치된다.
또한, 배치된 구획 공간(C) 중 구획 공간(130B1)에는 약제의 2차 투입의 역할을 하는 투입부(210B)가 배치될 수 있다.
구획 공간(130B1)에는 검사부(400)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약제의 2차 투입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130B1)에서 바로 약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약제는 낙하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흩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흩어진 약제가 구획 공간(130B1)의 경계면, 즉, 칸막이 부재(120)에 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약제 인식률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칸막이 부재(120)로부터 약제를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인출 장치(ADM)는 투입된 약제를 경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정렬부는 구획 공간(130B1)의 바닥면을 움직이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구획 공간(130B1)을 이루는 칸막이 부재(120)를 움직이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획 공간(130B1)의 바닥면을 움직이는 형태의 경우, 바닥면에 진동을 가하여 약제를 분산시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부재가 정렬부의 역할을 한다.
칸막이 부재(120)를 움직이는 형태로 정렬부를 구현하는의 경우, 칸막이 부재(120)를 구획 공간(130B1)의 이송 방향에 대해 전후로 일정 거리(예를 들어 ㅁ10mm)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칸막이 부재를 구동하는 회전 부재(110)가 정렬부의 역할을 한다.
정렬부에 의한 약제 정렬 과정에 의해 약제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구획 공간(130B1)의 인접한 다음 구획 공간(130B2)에는, 약제의 폐기 역할을 하도록 하측에 개폐 가능한 제2 배출부(320)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곡선부(140A)(140B) 중 회전 방향 기준으로 폐기의 역할을 하는 구획 공간의 다음 곡선부 구획 공간(140B)에는 제1 배출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출부(310)를 통해 약제가 포장부로 이송되어 포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약제 인출 장치의 약제 폐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획 공간을 상면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투입된 약제가 검사부(400)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130B1)을 이루는 칸막이 부재(120a, 120b)에 밀착된 경우, 칸막이 부재(120a, 120b)에 약제가 가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밀착된 약제를 이격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검사부(400)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130B1)에는 정렬 부재(R)가 배치될 수 있다.
정렬 부재(R)는 구획 공간(130B1)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구동 부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부재가 정렬 부재(R)에 단락적 진동을 가하면 약제는 분산되므로 칸막이 부재(120a, 120b)에 밀착된 약제를 이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렬 부재(R)는 구동 부재에 의해 구획 공간(140A) 및 구획 공간(130B) 방향으로 약제를 이격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정렬 부재(R)가 이동할 때 구획 공간(130B1)의 약제는 칸막이 부재(120a, 120b)에 의해 정렬되며, 따라서 정렬 부재(R)가 원위치하면 약제는 칸막이 부재(120a, 120b)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된다.
한편, 회전 부재(110)를 구획 공간(140A) 및 구획 공간(130B)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방식(예를 들어, 회전방향에 대해 ㅁ10mm 이동)으로 칸막이 부재(120a, 120b)에 밀착된 약제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10)의 힌지(H)를 이루는 벽(HS)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힌지 벽(HS)에 밀착된 약제를 이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칸막이 부재(120)는 상변의 폭과 하변의 폭이 다른 형태, 즉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변의 폭이 하변의 폭보다 긴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칸막이 부재(120)의 상측을 구획 공간(130B2)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게 하여 검사부(400)가 구획 공간(130B2)을 촬영할 때 칸막이 부재(120)에 조명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제에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검사부(400)가 배치되는 구획 공간(130B1)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은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 공간(130B1)의 바닥을 이루는 면을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칸막이 부재(120)를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구획 공간(130B1)의 바닥을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하여 구획 공간(130B1)을 이루는 하측면(즉, 정렬 부재(R))에 촬영을 위한 조명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칸막이 부재(120)는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할 경우 조명이 비춰지지 않는 곳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촬영하고자 하는 약제에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약제 자동 포장기 10 : 약제 불출 장치
20 : 하부 몸체 3 : 카세트
4 : 트레이 9 : 도어
100 : 약제 회전 유닛 110 : 회전부재
120 : 칸막이부재 200 : 상측 케이스
210 : 투입부 210a : 제1 투입부
210b : 제2 투입부 220 : 재투입부
300 : 하측 케이스 310 : 배출부
320 : 폐기부 400 : 검사부
500 : 표시부 600 : 입력부
ADM : 약제 인출 장치

Claims (1)

  1. 처방전에 기초하여 약제 불출 장치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수집한 후 수집한 약제가 포장 장치에 의해 한 포 분씩 포장되도록 하는 약제 인출 장치.
KR1020180168712A 2018-12-24 2018-12-24 약제 인출 장치 KR20190000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712A KR20190000870A (ko) 2018-12-24 2018-12-24 약제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712A KR20190000870A (ko) 2018-12-24 2018-12-24 약제 인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904A Division KR20180006343A (ko) 2017-08-23 2017-08-23 약제 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70A true KR20190000870A (ko) 2019-01-03

Family

ID=6502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712A KR20190000870A (ko) 2018-12-24 2018-12-24 약제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870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311B1 (ko) * 2005-03-29 2007-04-06 주식회사 코안 정전기 방지용 고무매트와 그 제조방법
KR100705295B1 (ko) * 2005-06-15 2007-04-09 오은미 전열 카페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1915B1 (ko) * 2002-01-07 2007-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145kV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용 전동스프링 구동장치
KR100712826B1 (ko) * 2006-07-28 2007-05-07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0718819B1 (ko) * 2000-06-30 2007-05-17 홍희재 적외선 발생소자를 가진 전자렌지
KR100718543B1 (ko) * 2006-09-23 2007-05-18 김병래 통기성이 우수한 신발 깔창
KR100720829B1 (ko) * 2006-07-20 2007-05-23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등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전기공사 공법
KR100722510B1 (ko) * 2006-08-01 2007-05-29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KR100726125B1 (ko) * 2005-12-19 2007-06-12 김영준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
KR100737402B1 (ko) * 2005-11-02 2007-07-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변 저항기를 사용한 전압변성기용 부담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
KR100741826B1 (ko) * 2006-03-08 2007-07-24 주식회사 한국이미지 차량 차단장치의 케이스
KR100743298B1 (ko) * 2005-12-22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0744504B1 (ko) * 2004-12-02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시스템
KR100746217B1 (ko) * 2006-09-02 2007-08-03 송진달 트리코트 코듀로이직물의 제조방법
KR100746353B1 (ko) * 2007-05-21 2007-08-03 (주)맥스미디어 방습스피커 어셈블리
KR100748951B1 (ko) * 2004-06-21 2007-08-13 송재성 파열방지 구조를 갖는 농산물 재배용 포장재의 제조방법
KR100752228B1 (ko) * 2004-03-24 2007-08-28 이정대 초가 원두막
KR100755454B1 (ko) * 2001-12-22 2007-09-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복사 튜브 점화시 폭발 발생 저감 방법
KR100759957B1 (ko) *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KR100762009B1 (ko) * 2006-03-15 2007-09-28 주식회사 코아스웰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KR100768169B1 (ko) * 2006-08-30 2007-10-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응축기 방진구조
KR100780314B1 (ko) * 2007-04-17 2007-11-28 이을용 폐생리대 수거장치
KR100782548B1 (ko) * 2006-08-01 2007-12-10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된 선풍기의 과열방지 장치
KR100786013B1 (ko) * 2006-09-26 2007-12-14 삼원테크 주식회사 유압관 이음쇠의 오링홈 절삭공구
KR100786273B1 (ko) * 2006-05-22 2007-12-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서셉터 접지용 스트립 클램프 및 그를 구비한 화학 기상증착장치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819B1 (ko) * 2000-06-30 2007-05-17 홍희재 적외선 발생소자를 가진 전자렌지
KR100755454B1 (ko) * 2001-12-22 2007-09-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복사 튜브 점화시 폭발 발생 저감 방법
KR100711915B1 (ko) * 2002-01-07 2007-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145kV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용 전동스프링 구동장치
KR100752228B1 (ko) * 2004-03-24 2007-08-28 이정대 초가 원두막
KR100748951B1 (ko) * 2004-06-21 2007-08-13 송재성 파열방지 구조를 갖는 농산물 재배용 포장재의 제조방법
KR100744504B1 (ko) * 2004-12-02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시스템
KR100701311B1 (ko) * 2005-03-29 2007-04-06 주식회사 코안 정전기 방지용 고무매트와 그 제조방법
KR100705295B1 (ko) * 2005-06-15 2007-04-09 오은미 전열 카페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7402B1 (ko) * 2005-11-02 2007-07-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변 저항기를 사용한 전압변성기용 부담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
KR100726125B1 (ko) * 2005-12-19 2007-06-12 김영준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
KR100743298B1 (ko) * 2005-12-22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0741826B1 (ko) * 2006-03-08 2007-07-24 주식회사 한국이미지 차량 차단장치의 케이스
KR100762009B1 (ko) * 2006-03-15 2007-09-28 주식회사 코아스웰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KR100786273B1 (ko) * 2006-05-22 2007-12-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서셉터 접지용 스트립 클램프 및 그를 구비한 화학 기상증착장치
KR100720829B1 (ko) * 2006-07-20 2007-05-23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등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전기공사 공법
KR100712826B1 (ko) * 2006-07-28 2007-05-07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0722510B1 (ko) * 2006-08-01 2007-05-29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KR100782548B1 (ko) * 2006-08-01 2007-12-10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된 선풍기의 과열방지 장치
KR100768169B1 (ko) * 2006-08-30 2007-10-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응축기 방진구조
KR100746217B1 (ko) * 2006-09-02 2007-08-03 송진달 트리코트 코듀로이직물의 제조방법
KR100718543B1 (ko) * 2006-09-23 2007-05-18 김병래 통기성이 우수한 신발 깔창
KR100786013B1 (ko) * 2006-09-26 2007-12-14 삼원테크 주식회사 유압관 이음쇠의 오링홈 절삭공구
KR100759957B1 (ko) *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KR100780314B1 (ko) * 2007-04-17 2007-11-28 이을용 폐생리대 수거장치
KR100746353B1 (ko) * 2007-05-21 2007-08-03 (주)맥스미디어 방습스피커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70A (ko) 약제 인출 장치
JP7264105B2 (ja) 薬剤仕分装置
CN107499544B (zh) 药物包装设备
US10772804B2 (en) Method for reliably filling a transport box hav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compartments by using an output/input station that sequentially provides medicament packs from an automated storage system, and output/input station therefor
CN106232083A (zh) 用于接受和检验药物的个体化剂的装置和方法
KR20200074109A (ko) 고형 의약품의 투여량을 포장하는 장치
KR20170028896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1970960B1 (ko) 약제 인출 장치
KR20140057945A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101774698B1 (ko) 약제 인출 장치
JP6720206B2 (ja) 管状ブリスタ包装体の製造用装置
KR20180016086A (ko) 약제 인출 장치
KR20180006343A (ko) 약제 인출 장치
KR101774695B1 (ko) 약제 인출 장치
KR10187724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90000869A (ko) 약제 인출 장치
KR20180085709A (ko) 약제 인출 장치
KR20230002348A (ko) 약제 배출 장치 및 약제 배출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57943A (ko) 약제 자동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102013660B1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102014198B1 (ko) 약제포장장치
KR20180128007A (ko) 약제 회전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 인출 장치
JP7311875B2 (ja) 薬剤分包装置
KR102162359B1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101896911B1 (ko) 약제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