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278A -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278A
KR20190070278A KR1020180155766A KR20180155766A KR20190070278A KR 20190070278 A KR20190070278 A KR 20190070278A KR 1020180155766 A KR1020180155766 A KR 1020180155766A KR 20180155766 A KR20180155766 A KR 20180155766A KR 20190070278 A KR20190070278 A KR 20190070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dth direction
nozzle
defroster nozzle
vehicl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도카 도이
게이스케 야마기시
노보루 아사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7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는, 차량 전방부에 마련되며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부(14R)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이면측에 배설된 공조 장치(11)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18R)가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되고, 또한, 타단부(18R)에 윈드쉴드 글라스(34)를 향해 개구된 프론트측 분출구(40)가 형성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과,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분출구(40)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선단부에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를 향해 개구된 사이드측 분출구(50)가 형성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을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VEHICLE AIR CONDITIONING DUCT STRUCTURE}
명세서,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하는 2017년 12월 1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7-238056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윈드쉴드 글라스의 흐림을 제거하기(맑게 하기) 위한 디프로스터 장치에 있어서,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31043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분출구가 배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31043에서는,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을 프론트 필러에 접속하고, 플론트 필러 가니쉬로부터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를 따라 차량 후방측으로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바람을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분출구가 배치된 구조로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233721 및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4-66353에 개시된 구조가 있다.
그런데, 최근, 차실 내의 의장성 향상을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박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31043,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233721, 일본공개특허 특개평4-6635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이 마련된 구조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분출구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대형화된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윈드쉴드 글라스 및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의 흐림을 맑게 할 수 있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는, 차량 전방부에 마련되며,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이면측에 배설(配設)된 공조 장치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프론트 필러 내에 배치되고, 또한, 당해 타단부에 윈드쉴드 글라스를 향해 개구된 프론트측 분출구가 형성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과, 상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에 있어서의 상기 프론트측 분출구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선단부에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를 향해 개구된 사이드측 분출구가 형성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을 가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서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이 차량 전방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일단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이면측에 배설된 공조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타단부는, 프론트 필러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타단부에는 윈드쉴드 글라스를 향해 개구된 프론트측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조 장치로부터의 바람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을 통해 프론트 필러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로 송풍된다. 이 결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프론트측 분출구를 배치하지 않아도 윈드쉴드 글라스의 흐림을 제거할(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프론트측 분출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분출구보다 상류측으로부터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이 분기되어 있으며, 이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의 선단부에는,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를 향해 개구된 사이드측 분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을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로부터 분기시킴으로써,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일부를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과 공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하류측」이란, 공조 장치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을 가리키는 것이며, 「프론트측 분출구보다 하류측」이란, 프론트측 분출구보다 공조 장치에 가까운 측과 동일한 의미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프론트 필러 내에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서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프론트측 분출구와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의 사이드측 분출구의 양방이 프론트 필러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분출구를 프론트 필러에 집약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에는, 상기 프론트측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의 일부를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의 하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서는, 프론트측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가이드부에 의해 윈드쉴드 글라스의 하부측으로 분출된다. 여기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적인 표시 영역은, 윈드쉴드 글라스의 하부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의 하부측으로 공기가 분출됨으로써, 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의 흐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는,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필러의 차실 내측이 필러 가니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러 가니쉬는,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횡벽부와, 상기 횡벽부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와 대향하는 전(前)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벽부에는, 상기 프론트측 분출구와 연통하는 전측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서는, 프론트 필러의 차실 내측을 구성하는 필러 가니쉬 전벽부에 전측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측 개구부와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프론트측 분출구가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필러 가니쉬 전벽부는,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횡벽부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윈드쉴드 글라스와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탑승자로부터 프론트측 분출구(전측 개구부)를 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는,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은,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따라 당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후방측을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폭 방향 연장부와, 상기 폭 방향 연장부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서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은, 평면에서 볼 때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폭 방향 연장부와, 이 폭 방향 연장부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후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 연장부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 연장부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이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을 배설한 경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이 배치되는 것이 되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 폭 방향으로 확장한 경우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과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을 배설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 폭 방향으로 확장한 경우에도,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윈드쉴드 글라스 및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의 흐림을 맑게 할 수 있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분출구가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필러의 각각에 배치된 구성과 비교해 차실 내의 의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표시 영역이 윈드쉴드 글라스의 하부에 설정된 차량에 있어서, 이 표시 영역의 흐림을 효과적으로 맑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의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와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를 구성하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선단부 및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가 적용된 차량 전측부를 차실 내측에서 본 도 1에 대응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며, 운전석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를 차량 후방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를 구성하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로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며, 차량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를 구성하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로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며,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하게 나타나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UP은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RH는 차량 폭 방향 우측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차량 폭 방향)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과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을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 10R이라고 표기하고, 좌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을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 10L이라고 표기한다. 또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측의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을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 12R이라고 표기하고,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측의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을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 12L이라고 표기한다.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은, 차량의 폭 방향 중앙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노즐 근원부(14R)와, 노즐 본체부(16R)와, 노즐 선단부(18R)를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은, 전체적으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기의 유로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노즐 근원부(14R)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단부(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일단부)가 공조 장치(11)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 근원부(14R)의 상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노즐 본체부(16R)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노즐 본체부(16R)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부(16R)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보다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오프셋된 위치에는, 만곡부(20R)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 본체부(16R)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이 만곡부(20R)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차량 전방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도 1 참조) 내에 있어서의 차량 우측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가 배설되어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는, 프론트 글라스 또는 컴바이너(반사판)로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운전자의 시계(視界) 내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장치이다. 그리고, 노즐 본체부(16R)의 만곡부(20R)보다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후방측을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폭 방향 연장부(24)로 되어 있다. 또한, 노즐 본체부(16R)의 만곡부(20R)보다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방향 연장부(26)로 되어 있다. 즉, 노즐 본체부(16R)(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는,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즐 본체부(16R)의 선단부(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노즐 선단부(18R)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 선단부(18R)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노즐 선단부(18R)의 상단부(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타단부)가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필러(30)의 차실 내측이 필러 가니쉬(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필러 가니쉬(32)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폐단면 형상의 필러 본체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노즐 선단부(18R)의 상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즐 선단부(18R)의 상단부에 프론트측 분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측 분출구(40)는, 필러 가니쉬(32)를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윈드쉴드 글라스(34)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프론트측 분출구(40)의 하부측은, 필러 가니쉬(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차량 후방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측 분출구(40)의 하부는, 상부에 대하여 차량 상방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윈드쉴드 글라스(34)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투명 판재이며, 이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가 프론트 필러(30)에 지지되어 있다.
노즐 선단부(18R)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분출구(40)의 근방에는, 복수의 리브(4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4개의 리브(42A, 42B, 42C, 4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4개의 리브(42A, 42B, 42C, 42D)는 각각,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여 프론트측 분출구(40)의 구연(口緣)으로부터 노즐 선단부(18R)의 내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리브(42A, 42B, 42C, 42D)는, 노즐 선단부(18R)를 보강함과 함께,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정류판으로서 기능한다.
리브(42A)는, 복수의 리브(42) 중 가장 차량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조 장치(11)로부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을 흘러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기류)를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상부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 선단부(18)의 상부로 흐른 공기가 프론트측 분출구(40)에 있어서의 상부 가장자리(40A)와 리브(42A)와의 사이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상부측으로 분출된다.
한편, 리브(42D)는, 복수의 리브(42) 중 가장 차량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조 장치(11)로부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을 흘러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기류)를 윈드쉴드 글라스(34)의 하부(34A)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 선단부(18)의 하부로 흐른 공기가 프론트측 분출구(40)에 있어서의 하부 가장자리(40B)와 리브(42D)와의 사이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34)의 하부(34A)측으로 분출된다. 즉, 리브(42D)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이드부」에 상당한다.
리브(42A)와 리브(42D)의 사이에는, 리브(42B) 및 리브(42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선단부(18R)의 상하 방향 중앙부로 흐른 공기는, 프론트측 분출구(40)에 있어서의 리브(42A)와 리브(42B)의 사이, 리브(42B)와 리브(42C)의 사이, 및 리브(42C)와 리브(42D)의 사이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상하 방향 중앙부로 분출된다.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은,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분출구(40)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은,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노즐 선단부(18R)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의 하단부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부(16R)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의 상단부(선단부)는,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상단부(선단부)에는 사이드측 분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측 분출구(50)는, 필러 가니쉬(32)를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36)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측 분출구(50)는, 프론트측 분출구(40)보다 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 폭 방향에서 볼 때 필러 가니쉬(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볼록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측 분출구(50)의 상부는, 하부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36)는, 차량 전방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여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투명 판재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필러 가니쉬(32)는, 횡벽부(32A)와 전벽부(32B)와 후벽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상방측에서 본 단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횡벽부(32A)는,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으며,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차량 좌측의 프론트 필러를 구성하는 필러 가니쉬의 횡벽부와 대향하고 있다.
전벽부(32B)는, 횡벽부(32A)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윈드쉴드 글라스(34)와 대향하고 있으며, 이 전벽부(32B)에는 전측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 개구부(52)는, 노즐 선단부(18)(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의 프론트측 분출구(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프론트측 분출구(40)과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전측 개구부(52)를 통하여 윈드쉴드 글라스(34)로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후벽부(32C)는, 횡벽부(32A)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차량 후방측을 향하고 있으며, 이 후벽부(32C)에는 후측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후측 개구부(54)는,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의 사이드측 분출구(5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이드측 분출구(50)와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측 분출구(5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후측 개구부(54)를 통하여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36)로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은, 차량의 폭 방향 중앙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노즐 근원부(14L)와, 노즐 본체부(16L)와, 노즐 선단부(18L)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은,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과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노즐 근원부(14L)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조 장치(11)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노즐 근원부(14L)의 상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노즐 본체부(16L)가 연장되어 있다.
노즐 본체부(16L)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보다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오프셋된 위치에는, 만곡부(20L)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 본체부(16L)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이 만곡부(20L)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차량 전방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본체부(16L)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노즐 선단부(18L)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노즐 선단부(18L)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노즐 선단부(18L)의 상단부가 차량 좌측의 프론트 필러(도시 생략)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즐 선단부(18L)의 상단부에 프론트측 분출구(40)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론트측 분출구(40)는,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측과 마찬가지로 윈드쉴드 글라스(34)(도 1 참조)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L)은, 우측의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과 마찬가지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분출구(40)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L)의 상단부는, 차량 좌측의 프론트 필러(도시 생략)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상단부에는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36)(도 1 참조)를 향해 개구된 사이드측 분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의 일단부(노즐 근원부(14))가 공조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의 타단부(노즐 선단부(18)의 상단부)는,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타단부에는 윈드쉴드 글라스(34)를 향해 개구된 프론트측 분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조 장치(11)로부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을 통해, 프론트 필러(30)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34)로 송풍할 수 있어, 윈드쉴드 글라스(34)의 흐림을 제거할(맑게 할) 수 있다.
상기 효과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34)로 분출된 공기는, 윈드쉴드 글라스(34)를 따라 차량 폭 방향 내측(차량 좌측)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차량 우측 절반의 흐림이 제거된다.
한편,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의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34)로 분출된 공기는, 윈드쉴드 글라스(34)를 따라 차량 폭 방향 내측(차량 우측)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차량 좌측 절반의 흐림이 제거된다. 이 결과, 인스트루먼트 패널(38) 내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분출구를 배치하지 않아도 윈드쉴드 글라스(34)의 흐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38) 내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의 프론트측 분출구(40)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인스트루먼트 패널(38)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분출구(40)보다 상류측으로부터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이 분기되어 있으며, 이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의 선단부에 사이드측 분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을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로부터 분기시킴으로써,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의 일부를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과 공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38)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선단부인 노즐 선단부(18R)에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을 분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의 유로를 짧게 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에 형성된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윈드쉴드 글라스(34)로 송풍함으로써,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서 기류가 서로 부딪친다. 그리고, 부딪친 기류는, 차량 폭 방향 중앙부를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 결과, 차량 폭 방향 일방측에 운전석이 배치되고, 차량 폭 방향 타단측에 조수석이 배치된 일반적인 레이아웃의 차량에 있어서, 운전석과 조수석과의 사이를 기류가 흐르게 되어, 운전자나 조수석에 착좌한 탑승자에게 부주의하게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의 프론트측 분출구(40) 및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의 사이드측 분출구(50)의 양방이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론트측 분출구(40) 및 사이드측 분출구(50)를 프론트 필러(30)에 집약할 수 있어, 차실 내의 의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인스트루먼트 패널(38) 내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의 상면 등에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의 분출구가 형성된 구성에서는, 탑승자의 시계에 분출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 단차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 대하여 의장상의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로부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의 분출구를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차실 내의 의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측 분출구(40)에 있어서의 리브(42D)와 하부 가장자리(40B)와의 사이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리브(42D)에 가이드되어 윈드쉴드 글라스(34)의 하부(34A)측으로 분출된다. 이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에 의해 윈드쉴드 글라스(34)의 하부(34A)의 영역에 표시를 행하는 차량에서는, 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에서 표시하는 영역의 흐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맑게 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측 분출구(40)에 있어서의 리브(42A)와 상부 가장자리(40A)와의 사이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리브(42A)에 가이드되어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상부측으로 분출된다. 마찬가지로, 프론트측 분출구(40)에 있어서의 리브(42A)와 리브(42B)와의 사이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리브(42B)와 리브(42C)와의 사이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및 리브(42C)와 리브(42D)와의 사이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각각,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차량 상하 방향 중앙 부분으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전체 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흐림을 제거할(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필러 가니쉬(32)에 있어서의 전벽부(32B)에 전측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전측 개구부(52)를 통해 공기가 분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로부터 프론트측 분출구(40)(전측 개구부(52))를 보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프론트 필러(3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노즐 본체부(16R)가 폭 방향 연장부(24)와 전후 방향 연장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은,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차량 폭 방향으로 확장한 경우에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와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효과에 대해, 도 8에 나타나는 비교예의 구조와 비교해 설명한다. 도 8의 비교예에서는,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0R)과 좌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0L)을 구비하고 있으며,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0R)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0R)은, 노즐 근원부(102R)와 노즐 본체부(104R)와 노즐 선단부(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0L)은, 노즐 근원부(102L)와 노즐 본체부(104L)와 노즐 선단부(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 본체부(104R)는, 노즐 근원부(102R)로부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전후 방향 연장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 연장부(106)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폭 방향 연장부(108)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폭 방향 연장부(108)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비교예의 구조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0R)이 배설되어 있다. 이 결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확장한 경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가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0R)의 전후 방향 연장부(106)나 폭 방향 연장부(108)와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연장부(24)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 연장부(26)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차량 폭 방향으로 확장한 경우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차량 전방측으로 확장한 경우라도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 10R)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 10R)의 노즐 선단부(18L, 18R)에 형성된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바람을 분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좌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L)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우측의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의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만 윈드쉴드 글라스(34)로 송풍되지만, 프론트측 분출구(40)의 형상이나 공조 장치(11)의 출력을 조정하는 등 하여, 윈드쉴드 글라스(34)의 전체 면의 흐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 선단부(18R)의 상단부와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의 상단부의 양방을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을 프론트 필러(30)의 필러 가니쉬(32)보다 차량 후방측에 배치해도 되고,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의 상단부의 내부에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R)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선단부(18R)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분출구(40)의 하부의 근방에 배치된 리브(42D)를 가이드부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브(42D) 대신에 노즐 선단부(18R)의 내부를 전후로 구분하는 구분 부재를 마련하고, 이 구분 부재를 가이드부로 해도 된다. 즉, 구분 부재를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노즐 선단부(18R)의 근원 부분(노즐 본체부(16R)와의 경계 부분)까지 형성함으로써, 노즐 선단부(18R)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도록 해도 된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이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설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나는 비교예의 구조와 같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R)을 배설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에 윈드쉴드 글라스를 향해 개구된 프론트측 분출구를 형성하고, 또한, 프론트측 분출구보다 상류측으로부터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을 분기시킴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은, 청구항 5와 관련된 발명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청구항 1과 관련된 발명에는 포함된다.

Claims (5)

  1.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로서,
    차량 전방부에 마련되며,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이면측에 배설된 공조 장치(11)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되고, 또한, 당해 타단부에 윈드쉴드 글라스(34)를 향해 개구된 프론트측 분출구(40)가 형성된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 및
    상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에 있어서의 상기 프론트측 분출구(40)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선단부에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36)를 향해 개구된 사이드측 분출구(50)가 형성된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디프로스터 노즐(12)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프론트 필러(3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에는, 상기 프론트측 분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의 일부를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34)의 하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2)가 마련되어 있는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필러(30)의 차실 내측이 필러 가니쉬(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러 가니쉬(32)는,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횡벽부(32A)와, 상기 횡벽부(32A)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34)와 대향하는 전벽부(3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벽부(32B)에는, 상기 프론트측 분출구(40)와 연통하는 전방측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디프로스터 노즐(10)은, 평면에서 볼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를 따라 당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후방측을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폭 방향 연장부(24)와, 상기 폭 방향 연장부(2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방향 연장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KR1020180155766A 2017-12-12 2018-12-06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KR20190070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8056 2017-12-12
JP2017238056A JP6947620B2 (ja) 2017-12-12 2017-12-12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78A true KR20190070278A (ko) 2019-06-20

Family

ID=6466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766A KR20190070278A (ko) 2017-12-12 2018-12-06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76761A1 (ko)
EP (1) EP3498505B1 (ko)
JP (1) JP6947620B2 (ko)
KR (1) KR20190070278A (ko)
CN (1) CN109969133A (ko)
BR (1) BR102018075167A2 (ko)
RU (1) RU2702371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6388A1 (de) * 2019-06-28 2020-12-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ahrzeugkabinenaufbau
CN113978416A (zh) * 2021-11-05 2022-01-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除霜风口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18097A1 (de) * 1973-04-11 1974-10-31 Volkswagenwerk Ag Ausstroemeranordnung fuer die beschlagentfernung auf einer seitenscheibe eines fahrzeugs
SU1504149A1 (ru) * 1988-01-20 1989-08-30 Запорож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завод "Коммунар"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 воздуха в автомобиле
JPH0224249A (ja) * 1988-07-12 1990-01-26 Suzuki Motor Co Ltd 自動車のデフロスターノズル
JPH0466353A (ja) 1990-07-06 1992-03-02 Honda Motor Co Ltd フロントガラスデフロスタ
KR100233605B1 (ko) * 1996-12-05 1999-12-01 정몽규 필러 설치의 디프로스터
JPH10272922A (ja) * 1997-03-28 1998-10-13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ピラーモジュール
JP3251892B2 (ja) * 1997-10-31 2002-01-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デフロスタダクト構造
JPH11245650A (ja) * 1998-02-28 1999-09-14 Inoac Corporation:Kk 車両用内装部材
JP2000233721A (ja) * 1999-02-17 2000-08-29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デフロスタ装置
JP2000326721A (ja) * 1999-05-20 2000-11-28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368157B1 (ko) * 2000-12-04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드 쉴드 글래스의 습기방지장치
RU24151U1 (ru) * 2002-01-28 2002-07-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Система обогрева и вентиля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8049794A (ja) * 2006-08-23 2008-03-0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9196606A (ja) * 2008-02-25 2009-09-03 Calsonic Kansei Corp フロントデフロスタ部構造
JP5849891B2 (ja) 2012-08-01 2016-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デフロスタ構造
US20150353052A1 (en) * 2014-06-04 2015-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froster nozzle with net over outlet
JP6417188B2 (ja) * 2014-10-31 2018-10-3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のデフロスタ構造
JP2017144800A (ja) * 2016-02-15 2017-08-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デフロスタダ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8505B1 (en) 2021-11-17
RU2702371C1 (ru) 2019-10-08
BR102018075167A2 (pt) 2019-07-30
EP3498505A1 (en) 2019-06-19
JP2019104379A (ja) 2019-06-27
JP6947620B2 (ja) 2021-10-13
CN109969133A (zh) 2019-07-05
US20190176761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2207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US10737638B2 (en) Vehicular pillar structure
RU2484997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у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шным потоком в пограничном сло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90070278A (ko) 차량용 공조 덕트 구조
CA2853406C (en) Hood structure for uneven terrain traveling vehicle
WO2017073382A1 (ja) 車両のトリム構造
JP5141239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配設構造
JP2008126973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部構造
JP2009196606A (ja) フロントデフロスタ部構造
US10214084B2 (en) Vehicle rear structure
JP6232330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US10632826B2 (en) Vehicle rear structure
JP7073761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JP2005007968A (ja) サイドデフロスタ
JP2009056893A (ja) 車両のバックドア
JPH1191512A (ja) 自動車のサイドデフロスタ構造
CN111516492B (zh) 车辆用仪表板结构
US20230158935A1 (en) Seat partition
US11766994B2 (en) Defroster structure
JP2007118871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側方に窓を配置した車両の室内構造
JP6447059B2 (ja) 車両用デフロスタ装置
JP2016101909A (ja) 窓曇防止用エア吹出部構造
JP201415170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15703U (ko) 차량용 글래스 디프로스터
JP2015089727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0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08

Effective date: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