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705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705A
KR20190047705A KR1020197008557A KR20197008557A KR20190047705A KR 20190047705 A KR20190047705 A KR 20190047705A KR 1020197008557 A KR1020197008557 A KR 1020197008557A KR 20197008557 A KR20197008557 A KR 20197008557A KR 20190047705 A KR20190047705 A KR 2019004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mass
layer made
resin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170B1 (ko
Inventor
료타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9J1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09J123/082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cyclic 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system;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9D153/025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06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6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9J153/025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 금속박을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A)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 (B)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05∼5 질량부, 및 (C) 유기과산화물 0.01∼3 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A) 열가소성 수지는, (a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10∼90 질량%와, (a2)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90∼10 질량%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성분 (a1)과 상기 성분 (a2)의 합계는 100 질량%이고, 상기 성분 (a2)로부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제외하는 것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환상(環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 첨가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해당 조성물을 이용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적층체는, 강도, 투명성, 가스 배리어성 및 내(耐)약품성이 뛰어난 점에서, 포장 필름이나 용기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산소나 습기에 극히 약한 내용물의 포장 필름이나 용기로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과의 적층체가, 매우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강도 및 내약품성도 뛰어난 점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은 접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양자 사이에,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나 그 산 변성물을 접착 성분으로서 개재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접착 강도는 충분한 것이 아니며, 더욱 접착 강도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11-07062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3-191380호 공보
본 발명의 하나의 과제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제 1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
(B)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05∼5 질량부, 및
(C) 유기과산화물 0.01∼3 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A) 열가소성 수지는,
(a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10∼90 질량%와,
(a2)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90∼10 질량%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성분 (a1)과 상기 성분 (a2)의 합계는 100 질량%이고,
상기 성분 (a2)로부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제외하는 것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제 2 발명은, 상기 성분 (a1)이 환상 올레핀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제 1 발명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제 3 발명은, 상기 성분 (a2)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인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제 4 발명은, 상기 성분 (a2)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인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제 5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성 도료이다.
제 6 발명은, 상기 성분 (a1)이 환상 올레핀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제 5 발명에 기재한 도료이다.
제 7 발명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제 8 발명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제 9 발명은, 상기 극성기를 갖는 수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인 제 7 발명 또는 제 8 발명에 기재한 적층체이다.
제 10 발명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제 11 발명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제 12 발명은,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지는 층인 제 10 발명 또는 제 11 발명에 기재한 적층체이다.
제 13 발명은,
(A)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
(B)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05∼5 질량부, 및
(C) 유기과산화물 0.01∼3 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A) 열가소성 수지는,
(a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10∼90 질량%와,
(a2)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90∼10 질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용융 혼련(混練)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성분 (a1)과 상기 성분 (a2)의 합계는 100 질량%이고,
상기 성분 (a2)로부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제외하는 것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제 14 발명은, 상기 성분 (a1)이 환상 올레핀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제 13 발명에 기재한 방법이다.
제 15 발명은, 제 13 발명 또는 제 14 발명에 기재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생산하는 공정 (1), 및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공정 (2)를 포함하는, 접착성 도료의 제조 방법이다.
제 16 발명은, 제 7 발명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프레스 스루 팩 제품이다.
제 17 발명은, 제 13 발명 또는 제 14 발명에 기재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생산하는 공정 (1),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층체를 생산하는 공정 (3),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이용하여 프레스 스루 팩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4)를 포함하는, 프레스 스루 팩 제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다. 또 내충격성이 뛰어나,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가 갖는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접착 성분으로 하여 양자 사이에, 공압출법(共押出法), 또는 접착성 도료로서 도포하는 등의 방법으로 개재시킴으로써, 양자의 적층체를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로서의 생산성도 뛰어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다. 또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이 갖는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접착 성분으로 하여 양자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양자의 적층체를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이라는 용어는, 시트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한다. 「수지」라는 용어는, 2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이나, 수지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한다. 「어떤 층과 다른 층을 적층하는 것」은, 그들 층을 직접 적층하는 것, 및 그들 층 사이에 앵커코트 등의 다른 층을 1층 이상 개재시켜 적층하는 것의 양쪽을 포함한다. 수치 범위에 관한 「이상」이라는 용어는, 어떤 수치 또는 어떤 수치 초과의 의미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20% 이상은, 20% 또는 20% 초과를 의미한다. 수치 범위에 관한 「이하」라는 용어는, 어떤 수치 또는 어떤 수치 미만의 의미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20% 이하는, 20% 또는 20% 미만을 의미한다. 또한 수치 범위에 관한 「∼」 기호는, 어떤 수치, 어떤 수치 초과 또한 다른 어떤 수치 미만, 또는 다른 어떤 수치의 의미로 사용한다. 여기에서, 다른 어떤 수치는, 어떤 수치보다도 큰 수치로 한다. 예를 들면, 10∼90%는, 10%, 10% 초과 또한 90% 미만, 또는 90%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와, (B)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05∼5 질량부와, (C) 유기과산화물 0.01∼3 질량부를 포함한다.
(A) 열가소성 수지:
상기 성분 (A)는, (a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10∼90 질량%와, (a2)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90∼10 질량%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a1) 40∼80 질량%와, 상기 성분 (a2) 60∼20 질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성분 (a1)과 상기 성분 (a2)의 합계는 100 질량%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 (a2)로부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성분 (a1)이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상기 성분 (a2)가 9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임으로써, 접착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 (a1)이 9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상기 성분 (a2)가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임으로써, 내충격성이 양호해진다.
(a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상기 성분 (a1)은, 환상 올레핀(탄소 원자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를 갖고, 해당 환(環) 내에 에틸렌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로 포함하는(통상,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중합체이다.
상기 환상 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펜타디엔, 노르보르넨(비시클로[2.2.1]헵타-2-엔), 디시클로펜타디엔(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 테트라시클로도데센(테트라시클로[4.4.0.12,5.17,10]데카-3-엔),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는, 상기 환상 올레핀의 1종 이상을 이용하여, 공지의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때, 환상 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기타 모노머를 1종 이상 이용해도 된다.
상기 기타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2-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및 1-에이코센 등의 α-올레핀; 1,4-헥사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및 1,7-옥타디엔 등의 비공역 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a1)으로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환상 올레핀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및 1-옥텐 등)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노르보르넨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a1)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0∼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140℃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임으로써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160℃ 이하임으로써 조성물로서의 생산성이 양호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7121-1987에 따라, 가부시키가이샤 퍼킨엘머 재팬의 Diamond DSC형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며, 350℃에서 5분간 홀딩하고, 10℃/분으로 30℃까지 냉각하여, 30℃에서 3분간 홀딩하고, 10℃/분으로 350℃까지 승온(昇溫)하는 프로그램으로 측정되는 마지막 승온 과정의 곡선으로부터 산출한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이다.
상기 성분 (a1)의 JIS K 7210-1999에 준거하여, 260℃, 21.18N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이라고 약칭한다.)는, 바람직하게는 0.1∼50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g/10분이다. MFR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성형 가공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 (a1)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플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의 「TOPAS 8007」, 「TOPAS 6013」, 「TOPAS 6015」, 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의 「APEL APL6013T」, 「APEL APL6015T」, 니폰제온 가부시키가이샤의 「ZEONOR 1020R」, 「ZEONOR 1060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a1)으로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a2)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그 수소 첨가물:
상기 성분 (a2)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단,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상기 성분 (a2)로부터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이란, 당해 중합체 블록 중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통상 90 질량%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또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이란, 통상, 유의(有意)한 양의 공역 디엔 화합물과 유의한 양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을 의미하고, 전형적으로는, 공역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10∼97 질량%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90∼3 질량%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이다. 여기에서 공역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은 100 질량%이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나 그 수소 첨가물로는,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과 방향환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이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1,1-디페닐스티렌, N,N-디에틸-p-아미노에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p-제3부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역 디엔은, 2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개의 탄소-탄소 단결합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이다. 공역 디엔으로는, 예를 들면, 1,3-부타디엔, 이소프렌(2-메틸-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및 클로로프렌(2-클로로-1,3-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3-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역 디엔으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의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과, 공역 디엔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의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A-B, A-B-A, B-A-B-A, A-B-A-B-A 등의 구조를 갖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통상 5∼60 질량%, 바람직하게는 20∼50 질량% 포함하는 것이면 좋다.
상기 중합체 블록 A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또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블록이다. 중합체 블록 A가 공중합체 블록인 경우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A 중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통상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면 좋다. 상기 중합체 블록 A 중의 공역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분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상기 중합체 블록 A가 2개 이상 있을 때, 이들은 동일 구조여도 되고, 서로 다른 구조여도 된다.
상기 중합체 블록 B는, 공역 디엔 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또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블록이다. 상기 중합체 블록 B가 공중합체 블록인 경우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B 중의 공역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통상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상기 중합체 블록 B 중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분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결합 양식(이하, 미크로 구조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상기 중합체 블록 B가 2개 이상 있을 때, 이들은 동일 구조여도 되고, 서로 다른 구조여도 된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數)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1,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5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400,000이면 좋다. 분자량 분포(질량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쇄 구조는, 직쇄상, 분기상, 방사상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질량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임의의 공역 디엔을, 일본국 특공소40-02379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공중합하여 얻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 중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수소를 첨가하여 탄소-탄소 단결합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수소 첨가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불활성 용매 중에서 수소 첨가 촉매를 이용하여 수소 처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의 수소 첨가율(수소 첨가 전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 중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수에 대한 수소 첨가에 의해 탄소-탄소 단결합으로 된 결합의 수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블리드성의 관점에서, 통상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의 공역 디엔 중합체 블록이, 부타디엔 중합체 블록인 경우, 그 미크로 구조는, 1,2-결합이,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45 질량%이면 좋다. 또 내열노화성 및 내후성의 관점에서, 1,2-결합을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한 것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의 공역 디엔 중합체 블록이,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 블록인 경우, 그 미크로 구조는, 1,2-결합이, 내열노화성 및 내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의 공역 디엔 중합체 블록이, 이소프렌 중합체 블록인 경우, 그 미크로 구조는, 1,4-결합이,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0∼100 질량%이면 좋다. 수소 첨가율은, 내블리드성의 관점에서, 9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중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기계 물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7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 질량%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내블리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이면 좋다. 상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5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0 이하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SEB),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SEP),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EP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부분 수소 첨가물: SB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의 부분 수소 첨가물, 및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부분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는,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공역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면 좋다. 한편,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공역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면 좋다. 여기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공역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합은 100 질량%이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0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000∼4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350,000이면 좋다. 분자량 분포(질량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SB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 처리하여 제조된다. 수소 첨가율(수소 첨가 전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중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수에 대한 수소 첨가에 의해 탄소-탄소 단결합으로 된 결합의 수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면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HSBR)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a2)로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a2)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 첨가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도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상기 공역 디엔 화합물 이외의 중합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등의 α-올레핀; 이소부틸렌 등의 비공역 디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및 메타크릴산 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무수말레인산 등을 들 수 있다.
(B) 불포화 카르본산,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
상기 성분 (B)는,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성분 (B)는 상기 성분 (A)와 그래프트 중합하여,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극성기를 갖는 수지나 금속과의 접착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불포화 카르본산으로는, 예를 들면,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는, 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말레인산 디에스테르, 무수말레인산, 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이타콘산 디에스테르, 무수이타콘산, 푸마르산 모노에스테르, 푸마르산 디에스테르, 무수 푸마르산, 아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B)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B)로는, 상기 성분 (A)와의 반응성이나 조성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무수말레인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B)의 배합량은, 상기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5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0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이다. 또 변성 시(그래프트 중합 시)에 상기 성분 (B)가 반응하지 않고 조성물 중에 잔존하여,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물품의 색조 변화(황변)나 겔 등의 외관 불량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5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이다.
(C) 유기과산화물
본 발명의 성분 (C)는 유기과산화물이며,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B)의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촉매하는 기능을 한다.
유기과산화물로는, 예를 들면, 디큐밀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 헥신-3,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4-비스(ter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및 ter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C)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C)로는, 조성물의 제조성이나 접착성의 관점에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C)의 배합량은, 상기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1∼3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필름 제막 시의 겔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001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3 질량부 이상이다. 또 변성 시의 색조 변화(황변)나 용융 점도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3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성분 (C)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니혼유시 가부시키가이샤의 「퍼헥사 25B(상품명)」 및 「퍼헥산 25B(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도에 서, 소망에 따라, 상기 성분 (A)∼(C) 이외의 성분, 예를 들면, 상기 성분 (A)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안료, 무기 필러, 유기 필러, 수지 필러; 활제(滑劑),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 (A)∼(C) 및 소망에 따라 이용하는 임의 성분을, 임의의 용융 혼련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A)∼(C) 및 소망에 따라 이용하는 임의 성분을, 임의의 용융 혼련기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C)의 1분간 반감기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1분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C)의 1분간 반감기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2분간 이상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1분간 반감기 온도란, 반감기가 1분간이 되는 온도이며, 이 온도에서 성분 (C) 중의 -O-O-결합을 분해시켰을 때, 해당 결합의 현재 농도가 초기 농도의 절반이 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 1분간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융 혼련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단축(單軸) 압출기, 2축 압출기, 반바리 믹서, 각종 니더, 및 이들을 2 이상 조합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230℃, 21.18N의 조건에서 측정한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는, 나중의 용융 혼련 공정에서의 제조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0.5g/10분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층체를 성형할 때의 성형성이나 조성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15g/10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환상 폴리올레핀계의 무극성 재료에, 카르복실기 등의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어, 다양한 재료와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무극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및 환상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재료로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나일론,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극성기를 갖는 수지; 및 철, 알루미늄, 동, 은, 금 및 주석 등의 금속; 알루미늄, 주석, 아연, 인듐, 게르마늄, 안티몬 및 세륨 등의 금속 중 1종 이상의 산화물, 질화물, 불화물 및 황화물 등의 금속 화합물(무기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과 다량의 수산기를 갖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중 어느 것에도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은 놀랄만한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접착성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접착성 도료
본 발명의 접착성 도료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용매에, 임의의 방법으로 용해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클로로포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용해성 및 저장 안정성의 관점에서 톨루엔 및 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로는, 이들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접착성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도막의 두께에도 따르지만, 통상의 도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100∼20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300∼18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1500 질량부이면 좋다.
본 발명의 접착성 도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도에서, 소망에 따라, 상기 성분 (A)∼(C) 및 상기 용매 이외의 성분, 예를 들면, 상기 성분 (A)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안료, 무기 필러, 유기 필러, 수지 필러; 활제,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적층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바람직한 물품으로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통상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면 좋다. 또 경제성의 관점에서, 통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면 좋다.
또 상기 적층체의 전체 두께는, 적층체의 제조성, 기계적 강도 및 웹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통상 10∼1000㎛, 바람직하게는 20∼500㎛이면 좋다.
상기 적층체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로는,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그리고,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적층체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로는,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직접 적층된 적층체; 그리고,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직접 적층된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적층체 중의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장치를 사용하여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각각의 층의 구성 재료를 각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멀티 매니폴드법, 또는 스택 플레이트법, 또는 피드 블록법에 의해 T 다이 공압출하는 방법; 적어도 1개의 수지 필름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은 후, 해당 필름 상에 다른 수지층을 용융 압출하는 압출 라미네이트 방법; 각각의 층의 수지 필름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은 후,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일체화하는 방법;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의 필름과 극성기를 갖는 수지의 필름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은 후, 본 발명의 접착성 도료를 이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상술의 양태의 것은, 고강도, 고가스 배리어성 및 내약품성 등을 겸비하는 적층체로서, 예를 들면, 식품이나 의료 기구 등의 포장 필름이나 수납 용기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로는,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그리고,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적층체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로는,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직접 적층된 적층체; 그리고,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직접 적층된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적층체 중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장치를 사용하여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박을 이용하고,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를, 상기 박 위에,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상기 박측이 되도록 용융 압출하는 압출 라미네이트 방법;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를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은 후, 상기 박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상기 박측이 되도록 하여 열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의 필름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은 후, 상기 박과, 본 발명의 접착성 도료를 이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를,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 적층체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 위에,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측이 되도록 용융 압출하는 압출 라미네이트 방법;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를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얻은 후,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 적층체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측이 되도록 하여 열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 적층체로는, 예를 들면, 임의의 필름상 기재(基材)와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박을 드라이 라미네이트 및 열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에 의해 라미네이트한 적층체; 임의의 필름상 기재 위에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임의의 방법으로 증착한 적층체;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박 위에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압출한 적층체; 및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박 위에 임의의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막을 형성한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상술의 양태의 것은, 매우 고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적층체로서, 예를 들면, 식품이나 의료 기구, 및 의약품 등의 산소나 습기에 약한 내용물의 포장 필름이나 수납 용기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를 포장 필름이나 수납 용기로서 이용한 제품으로는, 예를 들면, 프레스 스루 팩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1) 접착성:
(1-1) 대(對) 환상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40mm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얻은 접착성 조성물을, 25mm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환상 올레핀계 공중합체(폴리플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의 「TOPAS 8007F-04(상품명)」)를, 2색 성형 다이로부터 다이스 온도 240℃의 조건에서 압출하고, 머신 방향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이며, 또한 동(同) 형상이 두께 1mm인 장방형의 접착성 조성물의 층 위에, 동 형상이 두께 0.1mm인 장방형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층을 갖는 2색 성형품을 성형했다. 상기에서 얻은 2색 성형품의 폭 방향의 중심 부근에서 폭 15mm로 커트한 샘플을 채취하고, JIS Z0237:2009의 10.4를 참고로 하여, 접착성 조성물의 층을 시험판으로, 환상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층을 점착 테이프로 간주하여, 접착성 조성물의 층에 대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층의 180도 박리 접착력을, 시험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또, 접착성이 매우 높아, 박리의 개시점을 작성할 수 없었던 경우는, 표에 「>>」라고 기재했다.
(1-2) 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40mm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얻은 접착성 조성물을, 25mm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의 「에발 L-171B(상품명)」)를, 2색 성형 다이로부터 다이스 온도 200℃의 조건에서 압출하고, 머신 방향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이며, 또한 동 형상이 두께 1mm인 장방형의 접착성 조성물의 층 위에, 동 형상이 두께 0.1mm인 장방형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층을 갖는 2색 성형품을 성형했다. 상기에서 얻은 2색 성형품의 폭 방향의 중심 부근에서 폭 15mm로 커트한 샘플을 채취하고, JIS Z0237:2009의 10.4를 참고로 하여, 접착성 조성물의 층을 시험판으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층을 점착 테이프로 간주하여, 접착성 조성물의 층에 대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층의 180도 박리 접착력을, 시험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1-3) 대 금속박:
25㎛의 알루미늄 박(가부시키가이샤 UACJ의 미처리 알루미늄 박)에, 하기에서 얻은 접착성 조성물을, 40mm 단축 압출기를 사용해 다이스 온도 200℃의 조건에서 두께 1mm로 압출하여 라미네이트를 행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라미네이트품의 폭 방향의 중심 부근에서 폭 15mm로 커트한 샘플을 채취하고, JIS Z0237:2009의 10.4를 참고로 하여, 접착성 조성물의 층을 시험판으로, 금속박의 층을 점착 테이프로 간주하여, 접착성 조성물의 층에 대한 금속박의 층의 180도 박리 접착력을, 시험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2) 내충격성(아이조드 충격 강도):
형체압(mold clamping pressure) 125톤의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고, 실린더 온도 260∼280℃, 금형 온도 30℃의 조건에서 성형한 1/4 인치 두께의 인젝션 시트를 시험편으로 하여, ASTM D256에 준거해 아이조드 충격 강도(노치 설치)를 측정했다. 또, 시험편이 깨지지 않은 것을 NB라고 기재했다.
(3) 펠릿 생산성:
접착성 조성물의 스트랜드 커트법에 의해 얻은 펠릿을 육안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펠릿 형상은 양호하다.
×: 적어도 하기 중 어느 하나의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
   펠릿이 블로킹하고 있다.
   펠릿 형상이 고르지 않다.
   펠릿에 성분의 블리딩이 인정된다.
사용한 원재료
성분 (a1):
(a1-1) 폴리플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의 환상 올레핀·코폴리머 「TOPAS 8007F-04(상품명)」, 유리 전이 온도 79℃, MFR(260℃, 2.16kg) 32g/10분.
(a1-2) 폴리플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의 환상 올레핀·코폴리머 「TOPAS 6013F-04(상품명)」, 유리 전이 온도 139℃, MFR(260℃, 2.16kg) 14g/10분.
(a1-3) 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의 환상 올레핀·코폴리머 「APEL 6013T(상품명)」, 유리 전이 온도 125℃, MFR(260℃, 2.16kg) 14g/10분.
(a1-4) 니폰제온 가부시키가이샤의 시클로올레핀폴리머 「ZEONOR 1020R(상품명)」, 유리 전이 온도 102℃, MFR(280℃, 21.18N) 20g/10분.
성분 (a2):
(a2-1) 아사히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의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터프텍 H1052(상품명)」, 수소 첨가율 90 몰% 이상,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 20 질량%.
(a2-2)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의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셉톤 2002(상품명)」, 수소 첨가율 90 몰% 이상,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 30 질량%.
(a2-3) JSR 가부시키가이샤의 1,3-부타디엔과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DYNARON 1320P(상품명)」, 수소 첨가율 99 몰%,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 10 질량%.
성분 (B):
(B-1) 가부시키가이샤 닛폰쇼쿠바이의 무수말레인산.
성분 (C):
(C-1) 닛폰유시 가부시키가이샤의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퍼헥사 25B(상품명)」, 1분 반감기 온도 180℃.
예 1∼19
동(同)방향 회전 2축 압출기를 사용하고, 표 1∼3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배합(질량부)의 혼합물을 일괄 피드하며, 압출기 출구 수지 온도 190℃의 조건에서 용융 혼련함으로써, 접착성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접착성 조성물에 대해, 상기 평가 (1)∼(3)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3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접착성 조성물)은, 접착성 및 내충격성이 에 뛰어나다. 또 조성물로서의 생산성도 뛰어나며, 얻어진 펠릿의 형상은 양호하다.

Claims (17)

  1. (A)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
    (B)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05∼5 질량부, 및
    (C) 유기과산화물 0.01∼3 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A) 열가소성 수지는,
    (a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10∼90 질량%와,
    (a2)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90∼10 질량%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성분 (a1)과 상기 성분 (a2)의 합계는 100 질량%이고,
    상기 성분 (a2)로부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제외하는 것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1)이 환상 올레핀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2)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2)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성 도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1)이 환상 올레핀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도료.
  7.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8.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극성기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를 갖는 수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인, 적층체.
  10.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1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지는 층인, 적층체.
  13. (A)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
    (B)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05∼5 질량부, 및
    (C) 유기과산화물 0.01∼3 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A) 열가소성 수지는,
    (a1) 환상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10∼90 질량%와,
    (a2)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90∼10 질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용융 혼련(混練)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성분 (a1)과 상기 성분 (a2)의 합계는 100 질량%이고,
    상기 성분 (a2)로부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제외하는 것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1)이 환상 올레핀과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기재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1), 및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공정 (2)를 포함하는, 접착성 도료의 제조 방법.
  16.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프레스 스루 팩 제품.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기재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1),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층체를 생산하는 공정 (3),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이용하여 프레스 스루 팩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4)를 포함하는, 프레스 스루 팩 제품의 제조 방법.
KR1020197008557A 2016-08-31 2017-08-25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KR102340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8850 2016-08-31
JP2016168850 2016-08-31
PCT/JP2017/030603 WO2018043357A1 (ja) 2016-08-31 2017-08-25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705A true KR20190047705A (ko) 2019-05-08
KR102340170B1 KR102340170B1 (ko) 2021-12-17

Family

ID=6130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557A KR102340170B1 (ko) 2016-08-31 2017-08-25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39283B2 (ko)
EP (1) EP3508530A4 (ko)
JP (1) JP7083753B2 (ko)
KR (1) KR102340170B1 (ko)
CN (1) CN109642070A (ko)
TW (1) TWI811194B (ko)
WO (1) WO201804335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380A (ja) 2001-12-28 2003-07-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共押出複合フィルム
JP2007182467A (ja) * 2006-01-04 2007-07-19 Samsung Electro Mech Co Ltd 反応性押出法を利用した環状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改質方法
KR20070110525A (ko) * 2005-03-07 2007-11-19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환상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기판
JP2016112883A (ja) * 2014-12-15 2016-06-2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1376B2 (ja) 1997-08-28 2007-08-01 東洋製罐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を含む積層体
JP3890738B2 (ja) * 1998-04-09 2007-03-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軟質重合体配合樹脂組成物
JP4184759B2 (ja) * 2001-11-16 2008-11-19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100848079B1 (ko) * 2004-08-30 2008-07-2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14234417A (ja) * 2013-05-31 2014-12-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架橋環状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架橋環状オレフィン樹脂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6276211B2 (ja) 2014-05-30 2018-02-07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透明樹脂積層体
CN107548403B (zh) * 2015-03-25 2019-08-16 理研科技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粘结性涂料以及使用其的层叠体
CN106750864B (zh) * 2016-12-19 2019-03-01 宁波泰甬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熔体状态可调的动态硫化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380A (ja) 2001-12-28 2003-07-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共押出複合フィルム
KR20070110525A (ko) * 2005-03-07 2007-11-19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환상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기판
JP2007182467A (ja) * 2006-01-04 2007-07-19 Samsung Electro Mech Co Ltd 反応性押出法を利用した環状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改質方法
JP2016112883A (ja) * 2014-12-15 2016-06-2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1194B (zh) 2023-08-11
JPWO2018043357A1 (ja) 2019-06-24
KR102340170B1 (ko) 2021-12-17
EP3508530A4 (en) 2020-04-22
CN109642070A (zh) 2019-04-16
US11339283B2 (en) 2022-05-24
WO2018043357A1 (ja) 2018-03-08
US20190241731A1 (en) 2019-08-08
TW201819199A (zh) 2018-06-01
EP3508530A1 (en) 2019-07-10
JP7083753B2 (ja)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3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접착성 도료,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KR101200658B1 (ko) 접착제 및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CN111333795A (zh) 氢化嵌段共聚物、树脂组合物以及使用它们得到的制品
CN103201111A (zh) 嵌件成型用层叠粘接膜
KR100509634B1 (ko) 폴리에틸렌계다층적층제,용기및수지조성물
JPWO2009104372A1 (ja) 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その積層体を用いた成形体
KR101540740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
EP1676884A1 (fr) Composition polyolefinique destinee a realiser un capot pour logement d'un coussin d'air de securite d'un vehicule automobile
KR101649414B1 (ko)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1395274B1 (ko)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2603770B1 (ko)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JP6871014B2 (ja) 脂肪族ポリケトン共押出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延伸フィルム、これらを用いた転写フィルム、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脂肪族ポリケトン接着用の接着性樹脂組成物
JP2018135488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20111745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708375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2022191689A (ja) 接着フィルムおよび接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0114889A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TWI694003B (zh) 熱塑性樹脂組成物、接著性塗料及使用其之層合體
JP2017218478A (ja) グラフト変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の製造方法
KR20210154987A (ko)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
JP2020111709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01316546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0086841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形成された積層体
JPH11293067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