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274B1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5274B1 KR101395274B1 KR1020120107325A KR20120107325A KR101395274B1 KR 101395274 B1 KR101395274 B1 KR 101395274B1 KR 1020120107325 A KR1020120107325 A KR 1020120107325A KR 20120107325 A KR20120107325 A KR 20120107325A KR 101395274 B1 KR101395274 B1 KR 101395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id
- resin
- ethylene
- adhesive
- polyolefin res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부여제 및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공기 및 수분 차단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는 다층 필름에 적용되어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있고,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및 수분 차단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는 다층 필름에 적용되어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있고,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있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층 필름은 고분자 수지 필름의 다기능화를 목적으로 하여 종류가 다른 필름을 적층한 복합 필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셀로판의 인쇄 미려성을 조합한 다층 필름이나, 나일론과 비닐알코올-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조합한 다층 필름 등이 포장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에 적용되는 다양한 고분자 수지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층을 결합하기 위하여 다양한 접착 성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다층 필름용 접착 성분들은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거나, 공기 및 수분 차단성 또는 기계적 물성을 떨어뜨리거나, 유연성 또는 탄성이 낮아서 반복되는 변형에 의하여 접착력이 낮아져 다층 필름의 각 층이 박리 현상을 초래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층 필름이 공압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는데, 접착 성분이 유연성이나 탄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공압출 과정에서 균일한 접착층을 형성하지 못하거나, 다층 필름 제조 후에 충분한 접착력이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등록특허 제5250349호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카르복실산 변성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와 금속에 대하여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며, 특히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도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다만, 상기 미국특허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다층 필름에 적용 되어 충분한 유연성이나 탄성을 갖거나 제조 과정에서 높은 성형성을 발휘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1-0071037호에는 카르복실산으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과 폴리아민간의 반응물을 포함한 접착 증진제와 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한 접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접착 조성물을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극성 기재에 대하여 높은 반응성을 보이는 제한이 있어서, 다양한 고분자 수지 또는 금속층이 적층되는 다층 필름에 적용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며, 다층 필름 제조를 위한 공압출 단계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이나 탄성을 확보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따라, 다층 필름에 적용되어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있고, 보다 높은 성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접착 재료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기 및 수분 차단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는 다층 필름에 적용되어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있고,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있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방향족 석유수지, 지방족 석유수지, 공중합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로진산,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및 폴리 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성 부여제; 및 에틸렌-옥텐 고무(Ethylene-Octene Rubber), 에틸렌 부타디엔 고무(ethylene 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및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방향족 석유수지, 지방족 석유수지, 공중합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로진산,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및 폴리 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성 부여제; 및 에틸렌-옥텐 고무(Ethylene-Octene Rubber), 에틸렌 부타디엔 고무(ethylene 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및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층 필름에 적용될 수 있는 접착 재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에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상기 특정의 접착성 부여제 및 상기 특정의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지 조성물이, 다층 필름에 적용되어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있고, 특히 향상된 탄성 및 유연성을 가져서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서도 높은 성형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부여제 및 엘라스토머를 단순 혼합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높은 접착력 및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 향상된 탄성 및 유연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부여제 및 엘라스토머 간의 반응 압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압출물은 상기 성분들을 개시제 존재 하에 반응시킴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압출물은 과산화물(Peroxide)계 개시제의 존재 하에 180 내지 260℃ 온도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부여제 및 엘라스토머를 용융 압출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압출은 2축 압출기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180 내지 260℃ 온도 범위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및 엘라스토머를 main feeder를 통해서 함께 투입하고, 분자량이 낮은 석유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성 부여제는 side feeder를 통하여 투입할 수 있다.
이전에 알려진 다층 필름용 접착 재료들은 주로 Solution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접착 재료들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거나 성형성 또는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서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특정의 성분을 포함하고, 이들은 반응 압출하여 복합체로 형성함으로서,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 등 다양한 제조 공정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압출물은 필름 등의 형태로 성형이 용이한 펠렛(pellet)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터폴리머(ter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890g/㎤ 내지 0.940 g/㎤의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분지쇄가 많고 결정성이 낮은 특징을 갖는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940 g/㎤ 내지 0.980 g/㎤의 밀도를 가지며, 분지쇄가 적고 결정성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수지 성형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 고분자를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30 내지 100 g/10분(ASTM D1238, 230℃)의 용융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반복 단위 및 프로필렌 반복 단위가 블록을 형성한 블록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상기 반복 단위 들이 무작위로 배열된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30,000 내지 8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터폴리머(terpolymer)는 100,000~3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올레핀 주쇄에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래프트되어 분지쇄를 이루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부여제 및 엘라스토머 간의 상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접착성 조성물이 균질한 조성 및 분포를 갖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말레인산, 프탈산, 이타콘산, 씨트라콘산, 알케닐숙신산, 씨스-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4-메틸-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이무수물은 상술한 예의 디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일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중 그라프트된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의 함량은 0.1중량%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폴리올레핀 수지에 0.1중량%미만으로 그라프트되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 간의 상용성이나 조성물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폴리올레핀 수지에 30중량% 초과로 그라프트 되면, 상기 접착 조성물의 접착력, 기계적 물성 또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의 그라프트화 비율은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산-염기 적정하여 얻어진 결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약 1g을 물로 포화된 150㎖의 크실렌에 넣고 2시간정도 환류한 다음, 1중량% 티몰블루-디메틸포름아미드용액을 소량 가하고, 0.05N 수산화나트륨-에틸알콜용액으로 약간 초과 적정하여 군청색의 용액을 얻은 후, 이러한 용액을 다시 0.05N의 염산-이소프로필알콜용액으로 노란빛을 나타낼 때까지 역적정하여 산가를 구하고, 이로부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그라프트된 디카르복실산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800,000일 수 있다.
상기 접착성 부여제는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보다 높은 접착성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높은 유연성과 탄성을 갖게 하여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도 높은 성형성을 확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접착성 부여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방향족 석유수지, 지방족 석유수지, 공중합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로진산,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 부텐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석유 수지는 나프타 등의 고온열분해유 속에 있는 고급불포화탄화수소를 원료로 하여 산성 촉매로 중합시켜 얻는 분자량 2000 이하의 연한 황색 또는 흑갈색 열가소성수지이다.
상기 방향족 석유 수지는 나프타분해공정 중 올레핀 공정에서 생산되는 유분 가운데 C9을 주 원료로 하여 생산되는 수지로서, 연화점은 약 80 내지 150℃, 분자량은 약 600 내지 1500이다. 상기 방향족 석유 수지의 주요 성분은 스티렌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인덴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나프타분해공정 중 올레핀 공정에서 생산되는 유분 가운데 C5유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수지로서, 연화점은 약 70 내지 100℃, 분자량은 약 800 내지 2000이다.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의 주요 성분은 이소프렌 또는 피페리렌2-메틸부텐-1 등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지방족 석유 수지는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된 석유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석유 수지는 상기 방향족 석유 수지와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를 공중합하여 형성된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수소 첨가 석유 수지는 상기 방향족 석유 수지와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에 수소를 첨가하여 형성된 수지로서, 성상은 무색투명해지고 자외선안정성 등 전반적인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수소 첨가 석유 수지는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되고 수소가 첨가된 석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엘라스토머는 상기 접착성 부여제와 일정한 반응을 하여 접착성 부여제가 갖는 물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초기 점착 성능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엘라스토머의 구체적인 성분은 에틸렌-옥텐 고무(Ethylene-Octene Rubber), 에틸렌 부타디엔 고무(ethylene 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Ethylene-Octene Rubber), 에틸렌 부타디엔 고무(ethylene butadiene rubbe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각각은 50,000 내지 150,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며, 0.840 내지 0.890 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Ethylene) 및 1-부텐(1-butene) 각각으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상술한 접착성 부여제와 보다 높은 상용성을 나타내고 접착 성능 발현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에틸렌(Ethylene) 유래 반복 단위 70 내지 90 mol% 및 1-부텐 유래 반복 단위 10 내지 30 mol%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에틸렌(Ethylene) 유래 반복 단위 70 내지 90 mol% 및 1-부텐 유래 반복 단위 10 내지 30 mol%를 포함하는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또는 수소 첨가 Dicyclopentadiene계 석유수지와 보다 높은 상용성을 가지며 접착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30 내지 95 중량%;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50중량%; 상기 접착성 부여제 1 내지 50중량%; 및 상기 엘라스토머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조성물은 ASTM D882를 기준으로 300mm/min의 Peel 속도 적용시 1.2 kgf/15mm 이상의 박리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및 수분 차단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는 다층 필름에 적용되어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있고,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있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1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단면의 광학현미경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실시예2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단면의 광학현미경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3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단면의 광학현미경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실시예2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단면의 광학현미경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3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단면의 광학현미경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3: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다층 필름의 제조]
1.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3의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과산화물 개시제 존재하에 40mm Twin Screw Extruder로 20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다층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사용하여, Multi Layer Film 성형기로 Line Speed = 5m/min의 조건하에,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수지/접착층/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LLDPE)의 3층 필름을 성형하였다.
Multi Layer Film 성형기의 운전 조건은 하기 표1과 같았다.
℃ | CY1 | CY2 | CY3 | AD1 | |
EXTRUDER 1. TEMP | 170 | 240 | 250 | 250 | |
EXTRUDER 2. TEMP | 170 | 240 | 250 | 250 | |
EXTRUDER 3. TEMP | 170 | 240 | 250 | 250 | |
℃ | FD1 | FD2 | DE1 | DE2 | DE3 |
FEED&DIES TEMP | 250 | 250 | 250 | 250 | 250 |
1) EXTRUDER 1. TEMP, EXTRUDER 2. TEMP, EXTRUDER 3. TEMP는 상기 3개의 필름 각각을 이용하여 3층 필름을을 형성하는데 적용된 3개의 압출기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각 압출기에서 적용된 교반속도 및 압력은 하기 표2와 같다.
구분 | EVOH | 접착층 | LLDPE |
교반속도(RPM) | 15 | 15 | 50 |
압력(bar) | 78 | 74 | 95 |
2) CY1/CY2/CY3/AD1 는 압출기 내부 실린더의 파트별 온도를 의미한다. 도입부인 CY1에서는 수지 투입시 입구에서 녹아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를 170℃로 중앙부(CY3)의 온도인 250℃보다 아래로 설정하였다.
3) FD1/FD2/DE1/DE2/DE3는 압출기 Feed와 Die부분의 온도 구간으로, 압출기 내부 온도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
실험예
]
1. 다층 필름의 성형성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다층 필름의 성형성을 1) 압출기로의 Feeding 원활성, 2) Melt index에 따른 퍼짐성, 3) Roll Winding Speed에 따른 필름의 두께 및 표면 상태, 4) Gel 발생 정도 등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3층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는 압출기로 원료의 공급이 원활 할 수 있었으며, Melt index에 따른 퍼짐성도 양호하였다.
그리고, 도 1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된 3층 필름에서 각 층의 두께나 표면의 상태는 균일하고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3층 필름에서 Gel이 발생한 지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접착성 조성물은 향상된 유연성 및 탄성 등을 가지며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 공정에서도 높은 성형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2. 다층 필름의 박리 강도 평가
ASTM D882를 기준으로 300mm/min의 Peel 속도 적용 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다층 필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 실시예 | ||
1 | 2 | 3 | |
LLDPE(중량%) | 59.95 | 54.95 | 49.95 |
PE-g-MAH (중량%) | 20 | 20 | 20 |
EOR(중량%) | 10 | 10 | 10 |
석유수지(중량%) [수소 첨가 DCPD 수지 (Dicyclopentadiene)] |
10 | 15 | 20 |
산화방지제(중량%)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
0.05 | 0.05 | 0.05 |
박리강도(kgf/15mm) | 1.5 | 1.9 | 2.5 |
1) PE-g-MAH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말레인산 무수물이 0.7 내지 1.2wt% 그라프트된 중량평균분자량 140,000 정도의 폴리에틸렌 수지
2) EOR:에틸렌-옥텐 고무(중량평균분자량 약 140,000, 밀도 0.857 g/㎤, 유리전이온도 -58℃, 녹는점 38℃)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ASTM D882를 기준으로 300mm/min의 Peel 속도 적용시 1.5 내지 2.5 kgf/15mm 박리 강도를 갖는 접착층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된 석유수지 또는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되고 수소가 첨가된 석유 수지; 및
에틸렌-옥텐 고무(Ethylene-Octene Rubber), 에틸렌 부타디엔 고무(ethylene 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및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터폴리머(ter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중 그라프트된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의 함량이 0.1중량%이상인,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말레인산, 프탈산, 이타콘산, 씨트라콘산, 알케닐숙신산, 씨스-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및 4-메틸-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800,000인,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30 내지 95 중량%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50중량%;
상기 접착성 부여제 1 내지 50중량%; 및
상기 엘라스토머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180℃ 내지 260℃ 온도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부여제 및 엘라스토머를 용융 압출함으로서 형성된 반응 압출물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충격보강제,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ASTM D882를 기준으로 300mm/min의 Peel 속도 적용시 1.2 kgf/15mm 이상의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325A KR101395274B1 (ko) | 2012-09-26 | 2012-09-26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325A KR101395274B1 (ko) | 2012-09-26 | 2012-09-26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520A KR20140040520A (ko) | 2014-04-03 |
KR101395274B1 true KR101395274B1 (ko) | 2014-05-15 |
Family
ID=5065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7325A KR101395274B1 (ko) | 2012-09-26 | 2012-09-26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52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1452A (ko) * | 2020-07-30 | 2022-06-30 | 한보일렉트(주) | 파이프 코팅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에 의한 파이프 코팅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9485B1 (ko) * | 2014-11-06 | 2016-07-13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식품 포장용 다층 필름에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
KR101649414B1 (ko) * | 2014-11-12 | 2016-08-18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KR101672649B1 (ko) * | 2015-09-04 | 2016-11-03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KR101715925B1 (ko) * | 2015-09-24 | 2017-03-13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열가소성 다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 |
EP3415581B8 (en) * | 2016-02-12 | 2022-04-13 | Toyobo Co., Ltd. | Adhesive composition for base with low-energy surface |
ES2833848T3 (es) * | 2017-11-10 | 2021-06-15 | Trioplast France Sas | Película de barrera a base de polietileno útil en la producción de ensilado |
KR102421868B1 (ko) | 2021-06-02 | 2022-07-15 | 문병철 | 다용도 거치대 |
KR102705426B1 (ko) * | 2022-10-11 | 2024-09-12 | 아주스틸 주식회사 | 복합 패널 및 강판 부착용 극성 다층접착필름의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40001600B1 (ko) * | 1981-02-27 | 1984-10-11 | 다께다 야꾸힝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 홋트-멜트형 접착제 조성물 |
KR920000013B1 (ko) * | 1988-11-22 | 1992-01-06 |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
WO2007013185A1 (ja) | 2005-07-29 | 2007-02-01 | Matsumura Oil Research Corp. | 接着剤組成物 |
-
2012
- 2012-09-26 KR KR1020120107325A patent/KR1013952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40001600B1 (ko) * | 1981-02-27 | 1984-10-11 | 다께다 야꾸힝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 홋트-멜트형 접착제 조성물 |
KR920000013B1 (ko) * | 1988-11-22 | 1992-01-06 |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
WO2007013185A1 (ja) | 2005-07-29 | 2007-02-01 | Matsumura Oil Research Corp. | 接着剤組成物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1452A (ko) * | 2020-07-30 | 2022-06-30 | 한보일렉트(주) | 파이프 코팅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에 의한 파이프 코팅 방법 |
KR102642529B1 (ko) * | 2020-07-30 | 2024-02-29 | 한보일렉트(주) | 파이프 코팅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에 의한 파이프 코팅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520A (ko) | 2014-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5274B1 (ko)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
JP6581668B2 (ja) |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90718B1 (ko) | 다층 필름 | |
KR101649414B1 (ko)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
KR101200658B1 (ko) | 접착제 및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 |
CN107921759B (zh) | 包含官能化聚丙烯的粘合剂组合物和多层结构 | |
KR101540740B1 (ko) |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 | |
EP1867692B1 (en) | Propylenic polymer composition for adhesives and laminates made by using the same | |
JP5261196B2 (ja) | 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 |
JP2009522137A (ja) | 延伸後に改良された接着性を有する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及びチューブ | |
KR101639485B1 (ko) | 식품 포장용 다층 필름에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 |
US9074088B2 (en) |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using the same | |
JPS6225139A (ja) | 変性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 |
TW202402925A (zh) | 樹脂組成物、成形體、積層體及積層管 | |
TWI805712B (zh) | 用作多層結構中之黏結層之樹脂及包括其的多層結構 | |
WO2018155448A1 (ja) |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共押出シート | |
KR102180461B1 (ko) | 폴리올레핀카보네이트계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포장재용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JP7153080B2 (ja) |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を有する多層構造体における結合層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樹脂 | |
KR101878066B1 (ko) | Pvc/폴리프로필렌 다층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 |
CA2949368A1 (en) | Tie-layer adhesives having improved adhesion and melt strength | |
KR101672649B1 (ko) |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 |
KR102536135B1 (ko) | 폴리케톤계 3중 블렌드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포장재용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JP2024111724A (ja) | 接着性重合体組成物及び積層体 | |
JP2022114677A (ja) | 押出ラミネートフィルム | |
JPH01282278A (ja) | 接着剤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