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056A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4056A KR20190044056A KR1020197003392A KR20197003392A KR20190044056A KR 20190044056 A KR20190044056 A KR 20190044056A KR 1020197003392 A KR1020197003392 A KR 1020197003392A KR 20197003392 A KR20197003392 A KR 20197003392A KR 20190044056 A KR20190044056 A KR 201900440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nent
- mass
- content
- dentin
- oral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에 따라 잇몸이 퇴축(退縮)하여 노출된 치근면 상아질의 착색이 공론화되어 있다. 구강 내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치근면 상아질을 비롯한 치면이 착색된다. 그 원인 중 하나로서 입 안에 있어서의 펠리클이나 타액 등으로부터 유래되는 단백질과 당류의 비효소적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메일라아드 반응을 들 수 있다.
종래부터 메일라아드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에나멜질 표면의 착색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구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치면·설면의 오염 제거를 목적으로서 수용성 폴리인산염을 배합해도 좋은 구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수용성 폴리인산염은 페녹시에탄올, 페녹시프로판올 및/또는 페녹시이소프로판올이 나타내는 화학적 청소 효과를 더 높일 목적으로 배합되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구강용 조성물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습윤 효과 및 그 지속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구강 내에 자극을 주지 않고 온감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제제 안정성도 우수하고, 높은 항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서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사용성이 우수하고, 치구 부착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서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어느 문헌에 있어서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은 착색 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메일라아드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치아의 착색 물질의 결합은 거의 무기질로 구성되는 에나멜질보다 무기질과 콜라겐 등의 유기질의 복합체로 구성되는 상아질 쪽이 현저히 강고하다. 또한, 메일라아드 반응을 야기하는 치아의 착색 원인 물질은 상아질 조직의 내부에까지 침투하여 착색을 야기한다. 따라서, 종래의 에나멜질에 대한 착색 억제 기술에서는 상아질에 대하여 충분한 착색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특허문헌 6에는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에 의해 치근면 상아질 표면상의 폴리페놀(약효 성분)의 착색을 억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6에 개시된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단백질이나 당류와 상아질을 구성하는 콜라겐 등의 유기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색 물질이 강고하게 치근면에 결합하므로 상아질 조직의 메일라아드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착색에 대한 억제 효과는 충분하지는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아질의 표면과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1]~[11]을 제공한다.
[1]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A)성분의 함유량이 0.1~10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B)성분의 함유량이 0.01~5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가 0.1~300인 구강용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성분: 불소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6] 상기 [5]에 있어서, (C)성분의 함유량이 불소 함유율로서 0.01~0.5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성분: 크실리톨, 환원 파라티노스,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당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8] 상기 [7]에 있어서, (D)성분의 함유량이 0.5~50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9] 상기 [7] 또는 [8]에 있어서, 크실리톨의 함유량이 0.5~10질량%, 환원 파라티노스의 함유량이 2~50질량%, 환원 파라티노스의 함유량이 2~50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치마제 또는 구강 세정제인 구강용 조성물.
[11]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상아질 착색 억제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상아질의 표면과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형태에 입각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자들은 종래 구강용 조성물에 비해 상아질의 표면과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했다. 그 결과,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합한 구강용 조성물에 강고한 상아질 표면의 착색의 억제에 추가하여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피로인산나트륨은 스테인 제거 성분으로서 공지이다(일본특허공개 평 10-182389호 공보). 그러나 피로인산나트륨의 효과는 치면의 부착·침착된 오염에 대한 효과밖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에 대하여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일실시형태는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한다.
<(A)성분>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A)성분은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은 해초, 소맥분, 사탕수수로부터 추출된 글루탐산을 탈수함으로써 생성되며, 하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기 염기염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해초, 사탕수수 등의 생물로부터, 또는 소맥분 등의 가공품으로부터 추출된 글루탐산을 탈수해서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을 얻고, 이것에 금속 이온(예를 들면, 나트륨 이온)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의 무기 염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의 1~3가의 무기 염기염을 들 수 있다. 1~3가의 무기 염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1~3가의 금속염이 있다. 1~3가의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구리염, 아연염, 알루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알루미늄염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염, 칼륨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이나 그 무기 염기염은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의 시판품으로서는 AJINOMOTO HEALTHY SUPPLY CO., INC.제의 「AJIDEW A-100(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의 시판품으로서는 「AJIDEW-N-50(등록상표); PCA소다(AI=50% 수용액)」를 들 수 있다.
(A)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A)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A)성분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을 용해하여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음과 아울러, 제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A)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성분의 함유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1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A)성분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질량% 초과인 경우에는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가 뒤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을 조제할 때의 각 성분의 주입량을 기준으로 하는 값이다.
<(B)성분>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B)성분은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특히, 수용성 피로인산염은 화학식 M4·P2O7(식 중, M은 수소 이온, 또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임)으로 나타내어지고, 인산이 탈수 축합한 화합물이다.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는 피로인산; 피로인산 4나트륨, 피로인산 2수소 2나트륨, 피로인산 2나트륨 2칼륨, 피로인산 4칼륨 등의 피로인산의 알칼리 금속염 등이 있다. 적합한 구체예로서 피로인산,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피로인산 2수소 2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TAIHEI CHEMICAL INDUSTRIAL CO., LTD.제의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B)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B)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B)성분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B)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의 함유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B)성분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질량% 초과인 경우에는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의 하한값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의 상한값은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는 0.1~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질량비가 300 초과인 경우에는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가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다른 실시형태는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C)성분: 불소 화합물을 함유한다. (A)성분과 (B)성분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C)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다.
<(C)성분>
불소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불화암모늄, 불화주석, 아민불화물,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칼륨, 불화규소나트륨, 불화규소칼슘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이다.
불소 화합물은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불화나트륨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STELLACHEMIFA CORPORATION으로부터 시판되어 있는 「불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Rhodia Nicca, Ltd.로부터 시판되어 있는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또한, (C)성분은 불소 화합물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의 불소 화합물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C)성분의 효과는 (C)성분 중의 불소가 담당하고 있다. 그 때문에 (C)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중의 불소 함유율로 환산해서 규정하는 편이 유용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C)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중의 불소 함유율로 대체해서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C)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불소 함유율로서 0.01질량%(100ppm) 이상이 바람직하고, 0.02질량%(200pp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C)성분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질량%(5000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0.4질량%(4000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제제 중의 불소 화합물의 안정성이 양호해져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향상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C)성분의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불소 함유율로서 0.01~0.5질량%(100~5000ppm)가 바람직하고, 0.02~0.4질량%(200~4000ppm)가 보다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율로서 0.01질량%(100ppm) 미만인 경우에는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0.5질량%(5000ppm) 초과인 경우에는 구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제제 중의 불소 화합물의 안정성 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향상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A)성분과 (C)성분의 질량비((A)/(C))의 하한값은 0.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향상 효과가 현저해진다. 또한, (A)성분과 (C)성분의 질량비((A)/(C))의 상한값은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향상 효과가 현저해진다.
(A)성분과 (C)성분의 질량비((A)/(C))는 0.8~250이 바람직하고, 1~250이 보다 바람직하고, 8~150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D)성분: 크실리톨, 환원 파라티노스,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당 알코올을 함유한다. (A)성분과 (B)성분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D)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축합 인산 특유의 구강 점막으로의 자극이 완화되므로 사용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강용 조성물은 (C)성분을 함유해도 좋고, 함유하지 않아도 좋다. 단, 구강용 조성물이 (C)성분을 함유하는 효과와 구강용 조성물이 (D)성분을 함유하는 효과는 상쇄되지 않으므로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강용 조성물은 (C)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C)성분에 관한 내용은 상기 <(C)성분>에서 기재한 내용과 같은 것을 말할 수가 있다.
<(D)성분>
(D)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당 알코올은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환원 파라티노스이다. (D)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한 (D)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총량으로서 0.5~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 크실리톨을 사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크실리톨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 크실리톨을 사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0.5~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7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 환원 파라티노스를 사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환원 파라티노스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 환원 파라티노스를 사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2~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 에리스리톨을 사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리스리톨의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 에리스리톨을 사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2~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각,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성의 개선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의 향상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한, (D)성분으로서 2종 이상을 병용할 경우, 구강용 조성물 전체에 대한 (D)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에서 50질량% 초과인 경우에는 구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제제 중의 (D)성분의 안정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한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연마제, 점결제, 점조제, 감미제, 방부제, 향료, 약용 성분, 물이 있다. 임의 성분은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이하에 임의 성분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임의 성분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로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N-아실아미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N-아실술폰산염, 알킬황산염,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올아미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가 있다. 구강용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경우, 구강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통상 0~10질량%이며, 0.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범용성의 점에서 N-아실아미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킬황산염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발포성·내경수성의 점에서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알킬쇄의 탄소쇄장으로서 탄소수가 10~16개인 α-올레핀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이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범용성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올아미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알킬쇄의 탄소쇄장으로서 탄소수가 14~18개,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몰수가 15~30개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몰수가 40~100개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쇄의 탄소쇄장으로서 탄소수가 12~14개인 알킬올아미드, 지방산의 탄소수가 12~18개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탄소수가 16~18개이며,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몰수가 10~40개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킬베타인계,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계, 알킬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의 양성 계면활성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의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알킬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양성 계면활성제는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 바람직하다.
연마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규산, 결정성 실리카, 비결정성 실리카, 실리카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제올라이트, 인산수소칼슘 무수화물, 인산수소칼슘 2수화물,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마그네슘, 제3인산마그네슘, 규산지르코늄, 제3인산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4인산칼슘 등의 합성 수지계 연마제가 있다. 구강용 조성물에 연마제를 배합할 경우, 치마제에 있어서는 조성물 전체의 0~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강 세정제 등의 액체 제제에 있어서는 조성물 전체의 0~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결제로서는, 예를 들면 풀루란,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증점성 실리카가 있다. 구강용 조성물이 점결제를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은 통상 구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제제 전체에 대하여 0.01~10질량% 배합한다.
점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있다. 구강용 조성물이 점조제를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은 통상 구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제제 전체에 대하여 1~50질량% 배합한다.
감미제로서는, 예를 들면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히드로칼콘, 글리시리진, 페릴라르틴, p-메톡시신나믹알데히드, 타우마틴, 말티톨이 있다. 감미제를 사용할 경우,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정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염, 염화벤잘코늄이 있다. 방부제를 사용할 경우,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정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등의 정유; 레몬, 스트로베리 등의 프루트계의 에센스; 1-멘톨, 카르본, 오이게놀, 아네톨, 리날롤, 리모넨, 오시멘, 시네올, n-데실알코올, 시트로넬롤, 바닐린, α-테르피네올, 살리실산메틸, 티몰, 로즈메리 오일, 세이지 오일, 자소유,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등의 향료 소재가 있다. 구강용 조성물이 향료 소재를 함유할 경우, 구강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00001~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용 성분으로서 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글루콘산아연, 시트르산아연 등의 살균 또는 항균제; 에탄히드록시디포스포네이트 등의 치석 예방제; 트라넥삼산, 글리시리진 2칼륨염, ε-아미노카프론산 등의 항염증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코팅제; 덱스트라나아제, 무타나제 등의 효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형으로서는 유효성 및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치마제나 구강 세정제 등이 바람직하고, 용제로서 물, 에탄올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임의 성분의 배합률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나타내는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의 상용량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pH는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5~9가 바람직하고, 6 또는 7~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를 사용해서 pH를 조정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인산 또는 그 염(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등), 시트르산 또는 그 염(시트르산나트륨 등), 말산 또는 그 염, 글루콘산 또는 그 염, 말레산 또는 그 염, 숙신산 또는 그 염, 글루탐산 또는 그 염, 락트산, 염산, 아세트산, 질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나타내는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상아질 착색 억제제
상기 (A)성분 및 (B)성분을 병용하면, 상아질, 상세하게는 상아질의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아질 착색 억제제, 특히 상아질 조직인 상아질 콜라겐으로부터 유래되는 메일라아드 반응에 의한 상아질 착색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아질 착색 억제제의 투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강 세정제, 구강 청량제, 또는 치마제(액체 치마제, 겔상 치마제, 연치마제 등)로 하여 투여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아질 착색 억제제의 사용 대상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상아질의 착색을 방지한다는 점으로부터 고령자나 잇몸의 퇴축이 관측되는 대상자 등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적합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는 별도의 명시가 없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36 및 비교예 1~3의 구강용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의 상세를 하기에 기재한다.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Ajinomoto Co., Inc.제, 상품명「AJIDEW N-50(등록상표))」
<(B)성분>
피로인산나트륨
TAIHEI CHEMICAL INDUSTRIAL CO., LTD.제
<(C)성분>
불화나트륨
STELLACHEMIFA CORPORATION제(정제 불화나트륨(S))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ICL Japan Ltd.제
<(D)성분>
크실리톨
Roquette Japan K.K.제
환원 파라티노스
Mitsui Sugar Co.,Ltd.제
에리스리톨
MITSUBISHI-CHEMICAL FOODS CORPORATION제
<기타 첨가 성분>
라우릴황산나트륨(계면활성제), 소르비톨(점조제), 프로필렌글리콜(점조제), 사카린나트륨(감미제), 잔탄검(점결제), 무수 규산(연마제), 향료, 정제수(용제)
상기 첨가 성분으로서는 화장품 원료 기준규격품을 사용했다.
실시예 1~36 및 비교예 1~3
상기 성분을 사용하여 표 1~표 6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에 따라 하기 조제 방법에 의해 실시예 1~36 및 비교예 1~3의 치마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치마제 조성물의 조제 방법)
정제수에 (A 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B 성분) 피로인산나트륨, (C 성분) 불소 화합물, (D 성분) 당 알코올, 100질량% 소르비톨, 사카린나트륨을 용해시킨 후, 별도로 프로필렌글리콜, 잔탄검을 분산시킨 액을 첨가하여 교반했다. 그 후, 라우릴황산나트륨, 향료, 연마제를 첨가하고, 감압하(압력 4㎪)에서 더 교반하여 치마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제조에는 1.5L 니더(이시야마 세이사쿠쇼제)를 사용했다. 조제한 치마제 조성물에 대해서 하기 순서에 따라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의 평가 및 사용성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표 6에 함께 기재한다.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의 평가)
1. 메일라아드 반응액의 조제
1% 글리신, 1% 글루코오스를 110℃에서 1시간,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여 메일라아드 반응액을 조제했다.
2. 착색 모델의 형성
소 치근을 블록형상으로 절단하고, 표면 연마에 의해 세멘트질을 제거했다. 세멘트질을 제거한 부분 중, 약 3.5㎜×3.5㎜를 탈회 윈도우용으로 하고, 그 이외의 부분을 매니큐어 피복했다. 매니큐어를 실온에서 건조 후, 수용액 0.1몰/L의 아세트산 수용액(pH 4.5) 중에 50시간 침지해서 윈도우부에 콜라겐을 노출시킨 치근면 상아질 샘플을 조제했다.
최초에 초기값으로서 분광 측색계(KONICA MINOLTA, INC.제, CM-2022)를 사용하여 색차(L*0, a*0, b*0)를 측정했다. 토출 타액을 원심분리(10000g, 20분, 20℃) 하고, 얻어진 상청액에 치근면 상아질 샘플을 30분간, 37℃에서 교반 침지한 후, 표 1~표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36 및 비교예 1~3의 치마제 조성물의 3배 물 희석액에 3분간, 실온에서 침지했다. 그 후, 스테인드 펠리클을 형성하기 위해서 1% 소혈청 알부민, 1% 염화리소자임, 메일라아드 반응액, 1% 돼지위 뮤신, 1% 락토페린(pH 7.0)에 순서대로 37℃, 10분간씩 침지했다. 상기 타액 상청액의 처치로부터 펠리클 형성 조작까지의 공정을 1일 4회, 합계 5일간 반복했다.
3.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의 평가
측정 윈도우를 증류수로 가볍게 헹구고, 여분인 수분을 여과지로 흡수했다. 건조시킨 후, 색차(L*1, a*1, b*1) 측정을 3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착색 억제 효과는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한 ΔE값을 사용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ΔE값=((L*1-L*0)2+(a*1-a*0)2+(b*1-b*0)2)1/2
[착색의 평가 기준]
A: ΔE<10
B: 10≤ΔE<15
C: 15≤ΔE<20
D: 20≤ΔE<25
E: 25≤ΔE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의 평가)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의 평가)에서 조제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치근면 상아질 샘플을 조제했다. 토출 타액 및 표 1~표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36 및 비교예 1~3의 치마제 조성물의 3배 물 희석액에 침지한 후, 스테인드 펠리클을 형성했다. 실체 현미경 관찰화상을 사용해서 형성한 스테인드 펠리클 윈도우부에 있어서의 콜라겐 표층으로부터의 표층 아래 착색의 깊이를 측정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표층 아래 착색의 평가 기준]
A: 표면으로부터의 표층 아래 착색<15㎛
B: 15㎛≤표면으로부터의 표층 아래 착색<20㎛
C: 20㎛≤표면으로부터의 표층 아래 착색<50㎛
D: 50㎛≤표면으로부터의 표층 아래 착색<100㎛
E: 100㎛≤표면으로부터의 표층 아래 착색
사용성(자극 없음)의 평가
각 실시예·비교예의 치마제 조성물을 증류수로 3배 희석한 처치액을 20명의 패널리스트에게 30초간 입에 머금게 하고, 토출 후의 구강 내의 아픔의 유무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
[평가 기준]
A: 아픔을 보인 사람이 1명 이하
B: 아픔을 보인 사람이 2명 이상 5명 이하
C: 아픔을 보인 사람이 6명 이상 10명 미만
D: 아픔을 보인 사람이 10명 이상
비교예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로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치근면 상아질 표면상의 폴리페놀(약효 성분)의 착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공지의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을 사용했을 경우이어도 상아질 조직의 메일라아드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착색에 대한 억제 효과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로인산나트륨과 마찬가지로 스테인 제거 성분으로서 공지의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을 사용해도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병용하면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생겼다.
실시예 14~18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생긴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치마제 조성물에 (C)불소 화합물을 배합하면 다른 효과를 잃는 일 없이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더욱 개선되었다.
실시예 19~2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생긴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치마제 조성물에 (D)당 알코올을 배합하면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가 더욱 개선되며, 또한 제제의 자극 없음이 우수하여 사용감도 개선되었다.
실시예 25~3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아질 표면 및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가 생긴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치마제 조성물에 (C)불소 화합물 및 (D)당 알코올을 배합하면 상아질로의 착색 억제 효과가 더 개선됨과 아울러, 사용감도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적용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서 구강 세정제(실시예 37), 구강 청량제(실시예 38), 및 겔상 치마제(실시예 39)를 제조하고, 상기 평가 시험을 행한 결과, 모두 상아질 표면의 착색 억제 효과, 상아질 표층 아래의 착색 억제 효과는 A이며, 사용성(자극 없음)의 평가는 A이었다. 이하에 각각의 조성을 나타낸다.
[구강 세정제]
조성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제): 3%
B성분: 피로인산칼륨(TAIHEI CHEMICAL INDUSTRIAL CO., LTD.제): 1%
C성분: 불화나트륨(STELLACHEMIFA CORPORATION제) 0.04%(불소 함유율: 0.02%)
C성분: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ICL Japan Ltd.제) 0.23%(불소 함유율: 0.03%)
D성분: 크실리톨(Roquette Japan K.K.제): 5%
D성분: 환원 파라티노스(Mitsui Sugar Co.,Ltd.제): 15%
글리세린: 5%
에탄올: 8%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60E.O.): 0.8%
시트르산나트륨: 0.1%
시트르산: 0.3%
벤조산나트륨: 0.5%
향료: 0.2%
정제수: 잔부
[구강 청량제]
조성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제): 3%
B성분: 피로인산 칼륨(TAIHEI CHEMICAL INDUSTRIAL CO., LTD.제): 1%
C성분: 불화나트륨(STELLACHEMIFA CORPORATION제): 0.04%(불소 함유율: 0.02%)
D성분: 크실리톨(Roquette Japan K.K.제): 5%
D성분: 환원 파라티노스(Mitsui Sugar Co.,Ltd.제): 10%
D성분: 에리스리톨(MITSUBISHI-CHEMICAL FOODS CORPORATION제): 10%
글리세린: 13%
에탄올: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60E.O.): 3%
시트르산나트륨: 0.1%
시트르산: 0.03%
멘톨: 0.3%
향료: 0.4%
정제수: 잔부
[겔상 치마제]
조성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제): 3%
B성분: 피로인산칼륨(TAIHEI CHEMICAL INDUSTRIAL CO., LTD.제): 1%
C성분: 불화나트륨(STELLACHEMIFA CORPORATION제): 0.04%(불소 함유율: 0.02%)
D성분: 크실리톨(Roquette Japan K.K.제): 5%
D성분: 환원 파라티노스(Mitsui Sugar Co.,Ltd.제): 10%
D성분: 에리스리톨(MITSUBISHI-CHEMICAL FOODS CORPORATION제): 10%
증점성 실리카: 1.5%
프로필렌글리콜: 3%
소르비트액: 55%
카라기난: 0.3%
잔탄검: 0.3%
염화세틸피리디늄: 0.02%
사카린나트륨: 0.12%
질산칼륨: 5%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0.3%
향료: 0.4%
정제수: 잔부
Claims (11)
-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A)성분의 함유량이 0.1~10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성분의 함유량이 0.01~5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가 0.1~300인 구강용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성분: 불소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제 5 항에 있어서,
(C)성분의 함유량이 불소 함유율로서 0.01~0.5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성분: 크실리톨, 환원 파라티노스,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당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제 7 항에 있어서,
(D)성분의 함유량이 0.5~50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크실리톨의 함유량이 0.5~10질량%, 환원 파라티노스의 함유량이 2~50질량%, 환원 파라티노스의 함유량이 2~50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마제 또는 구강 세정제인 구강용 조성물. - (A)성분: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무기 염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B)성분: 수용성 피로인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상아질 착색 억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72117 | 2016-09-02 | ||
JP2016172117 | 2016-09-02 | ||
PCT/JP2017/031641 WO2018043717A1 (ja) | 2016-09-02 | 2017-09-01 | 口腔用組成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4056A true KR20190044056A (ko) | 2019-04-29 |
KR102579556B1 KR102579556B1 (ko) | 2023-09-18 |
Family
ID=6130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3392A KR102579556B1 (ko) | 2016-09-02 | 2017-09-01 | 구강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027315B2 (ko) |
KR (1) | KR102579556B1 (ko) |
CN (1) | CN109789077B (ko) |
MY (1) | MY200178A (ko) |
WO (1) | WO20180437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76334A (zh) * | 2021-10-12 | 2024-05-24 | 狮王株式会社 | 口腔用组合物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47161A (ja) | 2000-07-28 | 2002-02-12 | Lion Corp | 口腔用組成物 |
JP2004339180A (ja) * | 2003-05-19 | 2004-12-02 | Asahi Kasei Chemicals Corp | 口腔用組成物 |
WO2013047826A1 (ja) | 2011-09-28 | 2013-04-04 | ライオン株式会社 | 口腔用組成物 |
JP2014040408A (ja) | 2012-07-26 | 2014-03-06 | Lion Corp | 口腔用組成物 |
WO2014157547A1 (ja) | 2013-03-27 | 2014-10-02 | ライオン株式会社 | 口腔用組成物 |
JP2014189524A (ja) | 2013-03-27 | 2014-10-06 | Lion Corp | 口腔用組成物 |
JP2015042625A (ja) | 2013-08-26 | 2015-03-05 | ライオン株式会社 | 口腔用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2389A (ja) * | 1996-12-27 | 1998-07-07 | Lion Corp | 歯磨組成物 |
JP2000256155A (ja) | 1999-03-09 | 2000-09-19 | Sunstar Inc | 口腔用組成物 |
JP2001072562A (ja) | 1999-09-07 | 2001-03-21 | Sunstar Inc | 口腔用組成物 |
JP2003095904A (ja) | 2001-09-26 | 2003-04-03 | Asahi Kasei Corp | セルロース含有口腔用組成物の製造方法 |
KR101821627B1 (ko) * | 2012-05-28 | 2018-01-24 |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 액체 구강용 조성물 |
CN105007987B (zh) * | 2013-03-15 | 2017-11-10 | 高露洁-棕榄公司 | 口腔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2017
- 2017-09-01 MY MYPI2019001089A patent/MY200178A/en unknown
- 2017-09-01 CN CN201780053921.6A patent/CN109789077B/zh active Active
- 2017-09-01 JP JP2018537569A patent/JP7027315B2/ja active Active
- 2017-09-01 WO PCT/JP2017/031641 patent/WO201804371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9-01 KR KR1020197003392A patent/KR1025795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47161A (ja) | 2000-07-28 | 2002-02-12 | Lion Corp | 口腔用組成物 |
JP2004339180A (ja) * | 2003-05-19 | 2004-12-02 | Asahi Kasei Chemicals Corp | 口腔用組成物 |
WO2013047826A1 (ja) | 2011-09-28 | 2013-04-04 | ライオン株式会社 | 口腔用組成物 |
JP2014040408A (ja) | 2012-07-26 | 2014-03-06 | Lion Corp | 口腔用組成物 |
WO2014157547A1 (ja) | 2013-03-27 | 2014-10-02 | ライオン株式会社 | 口腔用組成物 |
JP2014189524A (ja) | 2013-03-27 | 2014-10-06 | Lion Corp | 口腔用組成物 |
JP2015042625A (ja) | 2013-08-26 | 2015-03-05 | ライオン株式会社 | 口腔用組成物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제목 "Anti-Bacterial Treatment Toothpaste", 2011.01. 1부.*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43717A1 (ja) | 2018-03-08 |
JP7027315B2 (ja) | 2022-03-01 |
MY200178A (en) | 2023-12-12 |
KR102579556B1 (ko) | 2023-09-18 |
CN109789077A (zh) | 2019-05-21 |
CN109789077B (zh) | 2022-10-21 |
JPWO2018043717A1 (ja) | 2019-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13990B2 (ja) | 歯牙の象牙細管封鎖剤及び口腔用組成物 | |
WO2016114137A1 (ja) | 歯磨用組成物 | |
KR101293893B1 (ko) | 가수분해 실크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
KR20200093439A (ko) | 구강용 스테인 제거제, 구강용 스테인 형성 억제제 및 구강용 조성물 | |
JP5720546B2 (ja) | 歯磨剤組成物及び歯牙の再石灰化促進剤 | |
KR101624764B1 (ko) | 치아 연마제 조성물 | |
KR20190044056A (ko) | 구강용 조성물 | |
JP2012232937A (ja) | 口腔用組成物 | |
JP6038567B2 (ja) | 口腔用組成物 | |
TWI832898B (zh) | 口腔用組合物 | |
JPH05320032A (ja) | 口腔用組成物 | |
CN115484923B (zh) | 口腔用组合物 | |
KR20200094723A (ko) | 구강용 조성물 | |
JP6307314B2 (ja) | 口腔用ステイン形成阻害剤および口腔用組成物 | |
JPWO2018221617A1 (ja) | 歯磨剤組成物 | |
JPH01139524A (ja) | 口腔用組成物 | |
JP7073402B2 (ja) | 口腔用組成物 | |
JP2019206486A (ja) | 口腔用組成物 | |
KR102550067B1 (ko) | 폴리크레줄렌 및 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 |
JPH05163126A (ja) | 口腔用組成物 | |
WO2024207174A1 (en) |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 |
JP2022151394A (ja) | 口腔用組成物 | |
JP2005170867A (ja) | 口腔用組成物 | |
JPH11322555A (ja) | 口腔用組成物 | |
JP2000281547A (ja) | 口腔用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