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188A -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188A
KR20190042188A KR1020170133828A KR20170133828A KR20190042188A KR 20190042188 A KR20190042188 A KR 20190042188A KR 1020170133828 A KR1020170133828 A KR 1020170133828A KR 20170133828 A KR20170133828 A KR 20170133828A KR 20190042188 A KR20190042188 A KR 20190042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hift
vehicle
grip por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035B1 (ko
Inventor
안대윤
우승현
홍기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35B1/ko
Priority to US15/833,269 priority patent/US10612646B2/en
Publication of KR2019004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21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modes, i.e. inpu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변속레버의 표면 형상이 변형하여 사용자가 촉각만으로 변속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변속레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 차량은 변속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고, 파지부를 포함하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부의 형상이 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VEHICLE COMPRISING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 중 시선 분산 없이 현재의 변속단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운전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란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운전석 주위의 콘솔면 또는 핸들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수동 변속기 또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을 자신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맞는 기어를 선택하면 케이블이나 로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움직이면 케이블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최근의 차량에는 SBW(Shift-by-Wire) 방식의 변속 레버가 사용되고 있다. SBW 방식의 변속 레버는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와는 다르게, 다양한 방식의 조작 방법을 통해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SBW 방식의 변속레버는 기계식 변속레버와 달리 기계적인 케이블 연결구조가 없고, 레버 조작력이나 조작감이 우수하여 그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SBW 방식의 변속레버의 종류로는 차량의 콘솔면 위에 돌출되어 있는 변속레버를 앞뒤로 조작하는 방식의 레버 타입 변속레버, 차량의 콘솔면 상에 장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변속레버를 좌우로 돌려서 조작하는 다이얼 타입 변속레버, 차량의 핸들 측면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상하로 조작하는 컬럼 타입 변속레버 및 차량의 변속단이 표시된 버튼을 눌러서 조작하는 버튼 타입 변속레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촉각만으로 현재 변속단을 확인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기어 변속에 따라 변속 레버의 형상이 변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운전 중 시선 분산 없이 변속 레버를 파지하여 현재 변속단을 확인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은 변속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고, 파지부를 포함하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부의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부의 단면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가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 샤프트는 제1위치, 제2위치,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샤프트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는 상기 이동 샤프트를 커버하여 상기 이동 샤프트와 함께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는 탄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고정된 회전축(axis)에 대해 회전하는 고정 기어와, 상기 고정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샤프트와 함께 이동하는 회전축(axis)에 대해 회전하는 이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P 변속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변속레버와는 분리된 변속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변속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고, 파지부를 포함하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부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P 변속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변속레버와는 분리된 변속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촉각만으로 현재 변속단을 확인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기어 변속에 따라 변속 레버의 형상이 변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운전 중 시선 분산 없이 변속 레버를 파지하여 현재 변속단을 확인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른 파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른 파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른 파지부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부(70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차량은 시야 확보 내지는 주행 경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램프(30)가 전면 및/또는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210)와, 기어 박스(220), 센터페시아(230) 및 조향 휠(2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 250) 를 포함할 수 있다.
대시보드(250)에 마련된 조향 휠(240)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24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2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24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242a, 242b)가 형성될 수 있다.
클러스터(243)는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게이지와 차량의 RPM을 나타내는 RPM 게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한 눈에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243)는 차량(1)에 관한 정보, 특히 차량(1)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243)는 잔여 연료량에 기초한 주행 가능 거리나, 내비게이션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 중에 시선을 전방으로부터 과도하게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243)는 대시보드(250)의 영역 중 조향 휠(240)과 대면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대시보드(250)에는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정보가 전면 유리(17)에 표시되도록 하는 HUD(Head Up Display)가 마련될 수도 있다.
대시보드(2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230)에는 공조 장치(231), 시계(232), 오디오 장치(233) 및 디스플레이(2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231)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231)는 센터페시아(2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30)에는 공조 장치(2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2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2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232)는 공조 장치(2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33)는 오디오 장치(2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33)는 스피커(26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스피커(260)가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스피커(260)가 마련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234)는 차량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4)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와 같은 직접 정보와, 차량 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간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2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어 박스(22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100)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2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변속레버(1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레버(100)와, 상기 변속레버(100)가 입력 받은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레버(100)는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변속레버(100)는 N 변속단에 위치하되, D 변속 명령과 R 변속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은 변속레버(100)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변속버튼(104)을 포함할 수 있다. 변속버튼(104)는 터치 또는 푸시 입력에 의해 P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변속레버(100)는 사용자가 변속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파지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101)와, 파지부(101)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 및 전달하는 구동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레버(100)는 샤프트부(103)를 포함하고, 샤프트부(103)는 변속 장치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변속레버(1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110)와, 구동 모터(110)와 연결되는 고정 기어(1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기어(111)는 고정된 회전축(axis)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된 회전축이란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미도시)를 의미한다.
변속레버(100)는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샤프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샤프트(120)의 일단에는 이동 기어(1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기어(121)는 고정 기어(111)와 치합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에 의해 고정 기어(111)가 회전하면, 고정 기어(111)와 치합된 이동 기어(121)가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기어(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 샤프트(120)가 이동하도록 이동 샤프트(120)는 보조 기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어(122)는 이동 기어(12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부(130)를 기준으로 가이드부(130)의 일면과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이동 샤프트(120)의 일측이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이동 샤프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131)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홈(131)은 이동 샤프트(1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샤프트(120) 및 가이드 홈(131)은 세 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부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제1가이드부(130)와 제2가이드부(134)라 표현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0)와 제2가이드부(13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0)와 제2가이드부(134)의 사이에는 제1가이드부(130)와 제2가이드부(134)를 연결하는 연결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33)가 마련됨으로써, 제2가이드부(134)가 공중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30)의 일면에는 고정 기어(111) 및 이동 기어(12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가이드부(130)의 타면에는 톱니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132)과 보조 기어(122)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2)과 보조 기어(122)는 서로 치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2)과 보조 기어(122)가 마련됨으로써, 이동 기어(121)가 제자리에서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홈(1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변속레버(100)는 파지부(101)의 형상이 변하므로, 파지부(101)와 샤프트부(103)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부(103)는 제1절곡부(103a)와 제2절곡부(103b)를 포함하여 제1가이드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0)와 샤프트부(10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속레버(100)는 파지부(101)의 외관을 형성하는 탄성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커버(140)는 이동 샤프트(120) 및 제1, 2가이드부(130, 134)를 커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른 파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형상이 변하는 파지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100)의 파지부(101)는 변속레버(100)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제1형상과 제2형상 및 제3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30)에는 제1, 2, 3가이드 홈(131a, 131b, 131c)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2, 3가이드 홈(131a, 131b, 131c) 각각에는 제1, 2, 3이동 샤프트(120a, 120b, 120c)들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파지부(101)의 단면을 제1형상, 도 7에 도시된 파지부(101)의 단면을 제2형상, 도 8에 도시된 파지부(101)의 단면을 제3형상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형상은 변속레버(100)가 N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고, 제2형상은 변속레버(100)가 D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다. 제3형상은 변속레버(100)가 R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각 형상과 변속단과의 조합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차량(1)의 시동이 켜지기 전에는 파지부(101)의 단면 형상이 제1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차량(1)의 시동이 켜진 후, 변속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제1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을 전진시키기 위해 변속레버(100)를 D 변속단에 위치시키면, 파지부(101)의 단면 형상은 제2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구동 모터(110)로부터 고정 기어(111) 및 이동 기어(121)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 기어(121)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기어(121)와 결합된 이동 샤프트(12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부(101)의 단면이 제2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제1방향은 도 6 내지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을 후진시키기 위해 변속레버(100)를 R 변속단에 위치시키면, 파지부(101)의 단면 형상은 제3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구동 모터(110)로부터 고정 기어(111) 및 이동 기어(121)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 기어(121)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기어(121)와 결합된 이동 샤프트(12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부(101)의 단면이 제3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제2방향은 도 6 내지 도 8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100)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파지부(101)의 형상이 제1형상 내지 제3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속레버(100)의 파지부(101)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현재의 변속단을 인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변속단 마다 다른 형상을 갖는 파지부(101)를 파지함으로써, 촉각에 의해 시선 분산 없이 현재의 변속단을 인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시선 분산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100a)는 1개의 이동 샤프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속레버(100a)는 고정 샤프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샤프트(136)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동 샤프트(120)가 1개인 경우, 이동 샤프트(120)의 이동 범위가 커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홈(131a)의 양 단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른 파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형상이 변하는 파지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100)의 파지부(101)는 변속레버(100)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제1형상과 제2형상 및 제3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30a)에는 가이드 홈(131)이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 홈(131)에는 이동 샤프트(1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파지부(101)의 단면을 제1형상, 도 11에 도시된 파지부(101)의 단면을 제2형상, 도 12에 도시된 파지부(101)의 단면을 제3형상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형상은 변속레버(100a)가 N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고, 제2형상은 변속레버(100a)가 D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다. 제3형상은 변속레버(100a)가 R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각 형상과 변속단과의 조합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차량(1)의 시동이 켜지기 전에는 파지부(101)의 단면 형상이 제1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차량(1)의 시동이 켜진 후, 변속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제1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을 전진시키기 위해 변속레버(100a)를 D 변속단에 위치시키면, 파지부(101)의 단면 형상은 제2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구동 모터(110)로부터 고정 기어(111) 및 이동 기어(121)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 기어(121)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기어(121)와 결합된 이동 샤프트(12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부(101)의 단면이 제2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제1방향은 도 10 내지 도 1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을 후진시키기 위해 변속레버(100)를 R 변속단에 위치시키면, 파지부(101)의 단면 형상은 제3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구동 모터(110)로부터 고정 기어(111) 및 이동 기어(121)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 기어(121)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기어(121)와 결합된 이동 샤프트(12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부(101)의 단면이 제3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제2방향은 도 10 내지 도 1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파지부(101)의 단면 형상이 변하여 사용자는 현재의 변속단을 촉각만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선 분산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는 구동 모터(201)와, 구동 모터(20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 받는 제1동력 전달부(202)와, 구동 모터(201)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203)와, 제1동력 전달부(202)로부터 전달 받은 구동력을 이동부(203)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미도시)가 설치되는 설치 홈(205)과, 설치 홈(205)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204)을 포함할 수 있다. 변속레버는 가이드 블록(204)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동부(203)의 일단이 연결되는 서포트 블록(2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블록(206)에는 이동부(203)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이동부(203)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07)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모터(201)가 동작하면, 구동 모터(201)의 구동력이 제1동력 전달부(202)와, 제2동력 전달부(미도시)를 거쳐 이동부(203)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201)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모터(201)가 제공하는 구동력의 방향에 따라, 이동부(203)는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다.
변속레버는 이동부(203)를 커버하는 탄성 커버(도번 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부(203)의 이동에 따라 변속레버의 상면 형상은 변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가 위치한 변속단의 위치에 따른 파지부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파지부의 상면 형상을 제1형상, 도 15에 도시된 파지부 상면 형상을 제2형상, 도 16에 도시된 파지부의 상면 형상을 제3형상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형상은 변속레버가 N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고, 제2형상은 변속레버가 D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다. 제3형상은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할 때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각 형상과 변속단과의 조합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차량(1)의 시동이 켜지기 전에는 파지부의 상면 형상이 제1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차량(1)의 시동이 켜진 후, 변속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제1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을 전진시키기 위해 변속레버를 D 변속단에 위치시키면, 파지부의 상면 형상은 제2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구동 모터(201)로부터 제1동력 전달부(202)를 거쳐 이동부(203)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부(203)가 전진하여 파지부의 상면 형상이 제2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을 후진시키기 위해 변속레버를 R 변속단에 위치시키면, 파지부의 상면 형상은 제3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구동 모터(201)로부터 제1동력 전달부(202)를 거쳐 이동부(203)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201)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부(203)가 후진하여 파지부의 상면 형상이 제3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의 단면 형상이 바뀌지 않고, 상면 형상이 바뀌더라도 이를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 설명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촉각만으로 현재의 변속단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운전 시, 시선의 분산 없이 변속단을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변속레버
110 : 구동 모터
111 : 고정 기어
120 : 이동 샤프트
121 : 이동 기어
122 : 보조 기어
130 : 가이드부
131 : 가이드 홈
132 : 가이드 레일
140 : 탄성 커버

Claims (13)

  1. 변속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고, 파지부를 포함하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부의 형상이 변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부의 단면 형상이 변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포함하는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가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 샤프트는 제1위치, 제2위치,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샤프트는 복수로 마련되는 차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는 상기 이동 샤프트를 커버하여 상기 이동 샤프트와 함께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는 탄성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고정된 회전축(axis)에 대해 회전하는 고정 기어와,
    상기 고정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샤프트와 함께 이동하는 회전축(axis)에 대해 회전하는 이동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P 변속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변속레버와는 분리된 변속버튼을 더 포함하는 차량.
  10. 변속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고, 파지부를 포함하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R, N,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부가 이동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변속레버가 위치한 상기 변속단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13. 제10항에 있어서,
    P 변속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변속레버와는 분리된 변속버튼을 더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133828A 2017-10-16 2017-10-16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2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828A KR102425035B1 (ko) 2017-10-16 2017-10-16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US15/833,269 US10612646B2 (en) 2017-10-16 2017-12-06 Vehicle including transmis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828A KR102425035B1 (ko) 2017-10-16 2017-10-16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188A true KR20190042188A (ko) 2019-04-24
KR102425035B1 KR102425035B1 (ko) 2022-07-27

Family

ID=6609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828A KR102425035B1 (ko) 2017-10-16 2017-10-16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12646B2 (ko)
KR (1) KR102425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191B1 (ko) * 2017-06-14 2021-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618Y1 (ko) * 1996-12-31 2000-12-01 정몽규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KR20150002106A (ko) * 2013-06-28 2015-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JP2016060376A (ja) * 2014-09-18 2016-04-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フ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1178B (it) * 1990-02-16 1993-12-29 Fiat Auto Spa Sistema per il controllo di un cambio automatico per un autoveicolo del tipo comprendente un dispositivo variatore continuo.
DE19548714C1 (de) * 1995-12-23 1996-12-19 Daimler Benz Ag Funktionsteil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DE19821403B4 (de) * 1998-05-13 2005-07-28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Wäh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US6053071A (en) * 1998-06-30 2000-04-25 Vazquez, Jr.; Michael Cover for transmission lever's handle
EP2339213B1 (en) * 2001-03-02 2014-09-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 shift device for vehicle
KR100412828B1 (ko) 2001-06-20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프트레버 노브
JP2003005851A (ja) 2001-06-25 2003-01-08 Honda Motor Co Ltd 運転操作子及び運転操作子用の把持部
KR100412855B1 (ko) 2001-08-2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프트레버 노브
DE10247068A1 (de) * 2002-10-09 2004-04-22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Fahrstufen-Eingabeeinheit
US7895917B2 (en) * 2004-06-04 2011-03-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nformal grasp handle
JP6278594B2 (ja) 2012-12-07 2018-0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9476501B2 (en) * 2013-05-21 2016-10-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ear shifter
US10459475B2 (en) * 2017-05-03 2019-10-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mechanisms to use phase change material to improve occupant comfort in automobi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618Y1 (ko) * 1996-12-31 2000-12-01 정몽규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KR20150002106A (ko) * 2013-06-28 2015-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JP2016060376A (ja) * 2014-09-18 2016-04-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フ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035B1 (ko) 2022-07-27
US10612646B2 (en) 2020-04-07
US20190113130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1984B (zh) 一种车辆用显示设备以及一种车辆
US9021913B2 (en) Shift device for a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JP4009405B2 (ja) 選択装置を備えた自動車
JP5624632B2 (ja) 自動車のディスプレイおよび操作システム
JP4452349B2 (ja) 車両用の加速・減速意思入力装置
US20130220055A1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20160083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US10288172B2 (en) Motion demonstration electronic gear shif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57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US10563754B2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vehicle
CN107795685B (zh) 用于车辆的线控换挡模块照明策略
KR102406658B1 (ko)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N109296742B (zh) 具有变速器装置的车辆
KR20190042188A (ko)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JP2005087580A (ja) ゲーム兼用自動車
JPH11158923A (ja) モータグレーダ
JP2021062735A (ja) 車両
JP2006044374A (ja) シフト装置
WO2016203716A1 (ja) 表示装置
US1098275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6269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20189519A (ja) 車両の操作装置
KR2019004220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6185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06194399A (ja) 車両の変速機用入力装置および車両の変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