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618Y1 -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618Y1
KR200199618Y1 KR2019960066880U KR19960066880U KR200199618Y1 KR 200199618 Y1 KR200199618 Y1 KR 200199618Y1 KR 2019960066880 U KR2019960066880 U KR 2019960066880U KR 19960066880 U KR19960066880 U KR 19960066880U KR 200199618 Y1 KR200199618 Y1 KR 200199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actuator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pos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691U (ko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6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61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사용상 편리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레인지로 변환하기 위한 시프트레버와, 상기한 시프트레버의 일측에 장착되어 시프트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레버 포지션 센서와, 상기한 시프트레버 포지션 센서와 연결되어 시프트레버 포지션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제어 유닛과, 상기한 전자제어 유닛과 연결되어 전자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며 시프트 레버의 노브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시프트레버의 선단부에 변속 레인지에 따라 돌출인식부재가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부재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본 고안은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야간에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촉감으로 확인함으로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엔진과 드라이브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의 구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변속기는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시프트 레버를 조작함으로서 엔진의 구동력이 변환되는 수동변속기와, 각종 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의 구동력이 변환되는 자동변속기로 나누어진다. 상기한 자동변속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비용이 높게 드는 단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편리함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자동변속기라 하더라도 P, R, N, D,2,L 등의 다수의 변속 레인지가 배치되고 차량의 안전한 주행 및 차량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시프트 레버를 직접 조작해야만 한다.
상기한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는 각 변속단에 시프트 레버가 선택한 변속 레인지를 야간에도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가 점등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한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는, 운전중에 육안으로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직접 확인할 필요가 발생하여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며 , 따라서 불편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상 편리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A-A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는,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레인지로 변환하기 위한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일측에 장착되어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레버 포지션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 포지션 센서와 연결되어 시프트 레버 포지션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 제어 유닛과; 상기 전자 제어 유닛과 연결되어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며 시프트 레버의 노브에 장착되며, 스텝 모터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시프트 레버의 선단부에 변속 레인지에 따라 돌출 인식부재가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홈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 되며 시프트 레버의 노브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개재되는 돌출 인식부재로 구비된 회동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프트 레버(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프트 레버(1)는 상단부에 외관을 이루는 노브 케이스(3)가 이루어지며 이 노브 케이스(3)의 상단에는 돌출 인식부재(5)가 배치되고 있다.
상기한 돌출 인식부재(5)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돌출 인식부재(5)의 접촉만으로 시프트 레버(1)의 레인지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외측에는 노브 케이스(3)로 둘러싸이고 그 내부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7), 상기 액츄에이터(7)의 회동축 상에 고정되는 회동부재 어셈블리(9)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액쥬에이터(7)는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텝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 어셈블리(9)는 외주상에 다수의 돌출 인식부재(11)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돌출 인식부재(11)는,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축에 고정 결합되는 인너 케이스(13), 상기 인너 케이스(13)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아웃터 케이스(15)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15)의 외주에는 등간격으로 돌출 인식부재(11)가 탄성부재(17)에 의하여 탄지되어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 인식부재(11)는 인너 및 아읏터 케이스(13)(15)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홈이 형성되지 않는 노브 케이스(3)를 지날 때 아웃터 케이스(15) 내측으로 돌출 인식부재(11)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돌출 인식부재(11)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돌출부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는,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를 이동시키면 이 시프트 레버(1)와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레버 포지션 센서(19)가 시프트 레버(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 제어 유닛(E. C.U )에 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시프트 레버(1)의 노브 케이스(3) 속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7)를 제어하여 회동부재 어셈블리(9)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는 돌줄 인식부재(11)가 노브 케이스(3) 상단으로 돌출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육안으로 시프트 레버(1)의 위치를 식별하지 않고도 단지 손으로 시프트 레버(1)의 상단부를 접촉하여 변속 레인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는,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시프트 레버의 상단에 돌출 되어 있는 돌출인식부재에 의하여 확인이 가능하여 운전이 편리하며 전후방 주시를 충실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레인지로 변환하기 위한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의 일측에 장착되어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레버 포지션 센서와; 상기 시프트 레버 포지션 센서와 연결되어 시프트 레버 포지션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 제어 유닛과; 상기 전자 제어 유닛과 연결되어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며 시프트 레버의 노브에 장착되며, 스텝 모터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시프트 레버의 선단부에 변속 레인지에 따라 돌출 인식부재가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홈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 되며 시프트 레버의 노브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개재되는 돌출 인식부재로 구비된 회동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인식부재는 회전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어 노브 케이스의 홈이 없는 부위를 통과할 때는 아웃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인식부재는 아웃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모양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KR2019960066880U 1996-12-31 1996-12-31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KR200199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880U KR200199618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880U KR200199618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691U KR19980053691U (ko) 1998-10-07
KR200199618Y1 true KR200199618Y1 (ko) 2000-12-01

Family

ID=1948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880U KR200199618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6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185A (ko) * 2017-06-14 2018-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2188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0507B2 (ja) * 2000-08-18 2007-09-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バイワイヤ方式の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601293B1 (ko) * 2010-06-30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조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185A (ko) * 2017-06-14 2018-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54137B1 (ko) * 2017-06-14 2022-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2188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25035B1 (ko) * 2017-10-16 2022-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691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500B1 (ko)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KR940002590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US4789342A (en) Neutral position indicator for electrically conductive cable in steering wheel
MXPA00012131A (es) Unidad de palanca de inversion.
EP1013537B1 (en) Electric vehicle power steering system with a position calibrating device
EP1657475B1 (en) Rotatable selector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KR200199618Y1 (ko)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JPH07167268A (ja) 電気的トランスミッション制御機構
US6978510B2 (en) Wiper system with overload protection
US5861800A (en) Ignition interlock and PRNDL indicator powering switch
ES2229618T3 (es) Dispositivo para la seleccion de la velocidad en una transmision de un vehiculo automovil.
KR100220708B1 (ko) 자동차 전조등의 회전장치
JPH0216246Y2 (ko)
KR100764144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향위치 검출장치와 표시장치
KR19980031072U (ko) 조향 기준점이 표시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커버
KR910001676Y1 (ko)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JP2963597B2 (ja) 自動変速機用セレクトポジション検出機構
KR970002205Y1 (ko) 주차브레이크의 안전표시장치
KR101198833B1 (ko) 자동차용 통합조작스위치
JPS6114831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H0216255Y2 (ko)
JP2007309393A (ja) シフトバイワイヤのフェールセーフ構造
KR100232882B1 (ko) 자동차 전조등의 회동장치
JP4937861B2 (ja) コラムシフトスイッチ装置
KR0136327Y1 (ko) 차량용 전동 컬럼 작동 스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