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500B1 -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00B1
KR101010500B1 KR1020077029201A KR20077029201A KR101010500B1 KR 101010500 B1 KR101010500 B1 KR 101010500B1 KR 1020077029201 A KR1020077029201 A KR 1020077029201A KR 20077029201 A KR20077029201 A KR 20077029201A KR 101010500 B1 KR101010500 B1 KR 10101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 field
rotary
cylinder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756A (ko
Inventor
다니엘 호스트만
누 느구이엔 티엔
Original Assignee
지멘스 파우데오 오토모티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파우데오 오토모티브 아게 filed Critical 지멘스 파우데오 오토모티브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0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1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using a programmable display, e.g. LED or LC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8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adapted for operation by left- and right-han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8Different operating parts on a bigger 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18Mounting on appliance rotatably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어 링(18)으로서 그 제어 링(18)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유지 실린더(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어 링(18)을 구비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유지 실린더(6)는 단부에서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14)를 구비하며, 제어 링(18)과 유지 실린더(6)는 스위칭 부재를 작동시키는 절환 위치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회전축(7)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14)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회전 트랜스미터 링은 제어 링(18)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유지 실린더(6)에 견고하게 연결된 회전 트랜스미터(17)를 따라 동축으로 배치되며, 이때 회전 트랜스미터(17)에 대한 회전 트랜스미터 링의 상대 회전 위치는 기록가능하다.
Figure R1020077029201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Description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ROTARY/PUSH-BUTTON CONTROLLER}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조작자 제어 링으로서 그 조작자 제어 링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 유지 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자 제어 링과, 조작자 제어 링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 트랜스미터 링으로서 유지 실린더에 고정되게 연결된 회전 트랜스미터에 이웃하게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 트랜스미터 링을 포함하며, 유지 실린더는 일단부에서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를 구비하고, 조작자 제어 링 및/또는 유지 실린더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절환 위치(switched position)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회전 트랜스미터에 대한 회전 트랜스미터 링의 상대 회전 위치가 감지될 수 있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에서는, 단지 조작자 제어 링만이 회전가능하고 유지 실린더와 회전축은 회전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는 특히 일례로 멀티미디어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과 같은 차량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차량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일례로 조작자 제어 링을 회전시켜 메뉴 항목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어서 조작자 제어 링 및/또는 유지 실린더 및/또는 입력 및 표시 필드(field)를 눌러 스위칭 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숫자, 글자 또는 부호가 조작자 제어 링과 관계없이 입력 및 표시 필드 상에 표시되어 그리고/또는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및 표시 필드를 감지식으로 형성시켜 메뉴 프람프팅(menu prompting) 및/또는 데이터 입력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및 표시 필드 상에서 손가락을 이동시켜 선, 부호, 숫자 또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차량의 입력 및 표시 필드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위치는 좌측 운전 차량의 오른손잡이 운전자에게 최적화되어 있다. 만일 운전자가 왼손잡이인 경우나, 앞좌석 탑승자도 또한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는 상당한 어려움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조작자 위치에 대해서 그리고 다양한 조작자 위치들로부터 다른 배치를 가지고서 만족스럽게 작동될 수 있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조작자에 적합한 조작자 위치로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를 회전시킬 수 있어, 만족스러운 입력 기능과 만족스러운 판독 기능이 달성된다.
따라서, 이제는 앞좌석 탑승자가 오른손으로 기록을 하는 탑승자인 경우에도, 탑승자가 기록면에 정확하게 닿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더 이상 그의 팔과 어깨를 과도하게 뻗고 그의 손목을 비틀지 않아도 된다.
이는 왼손잡이 운전자에게도 적용된다.
이러한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는 재구성 없이 좌측 운전 차량과 우측 운전 차량 모두에 적합하다.
운전자와 앞좌석 탑승자 모두가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에 쉽게 닿아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는 일례로 중앙 암레스트(armrest)나 중앙 콘솔(console) 영역에 배치된다.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가 유지 실린더에 고정되게 배치됨으로써 설치시 양호한 안내가 이루어지며, 유지 실린더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회전축을 따라 변위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자 제어 링의 작동시 유지 실린더의 소망하지 않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립 위치에서 유지 실린더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으며, 절환 위치 또는 중립 위치와 절환 위치 간의 중간 위치에서 유지 실린더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지 실린더가 관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관 통로의 내측 측표면에 의해서 고정 안내 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면, 안내 직경이 작고 안내 길이가 긴 경우에, 유지 실린더의 틸팅 모멘트(tilting moment)를 작게 유지시킬 수 있어, 유지 실린더의 회전시 유지 실린더는 고착되거나 정지되지 않게 된다.
부착을 위해서, 안내 실린더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는 캐리어 부재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유지 실린더를 눌러 회전축을 따라 절환 위치로 선형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그 유지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칭 부재는 캐리어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유지 실린더에 그의 중립 위치 방향으로 탄성 방식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가 캐리어 부재에 배치됨으로써, 중립 위치로의 복귀가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 트랜스미터와 조작자 제어 링도 필연적으로 탄성 방식으로 작동된다.
유지 실린더가 캐리어 부재와 대면한 단부 영역에서 작동 부재를 구비하되, 이러한 작동 부재가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원주 방향으로 작동 부재보다 큰 크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서 안내 실린더 내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면, 간단한 구성과 함께 전체 크기가 작아지게 되며, 이때 안내 실린더 내부에서 캐리어 부재에 배치되는 스위칭 부재는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작동 부재는 유지 실린더의 중립 위치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성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작동 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웹(web)이거나, 다수의 웹들로 형성된 웹 교차부(web intersection)일 수 있다.
안내 실린더의 개구 혹은 개구들의 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정지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정지부에 의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유지 실린더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캐리어 부재로부터 이격된 안내 실린더의 개구의 단부가 스위칭 부재로부터의 유지 실린더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부를 형성하면,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를 적은 수의 부재들로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캐리어 부재로부터 이격된 안내 실린더의 개구의 단부가 개구의 반경 방향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래칭 홈(latching depression)을 구비하고, 이러한 래칭 홈 내로 스위칭 부재 또는 스위칭 부재의 일부가 축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어, 유지 실린더는 쉽게 여러 가지 회전 위치들에서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 캐리어 부재에 근접한 개구 혹은 개구들의 단부에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축방향 래칭 홈을 구비하는 래칭 부재가 배치되어, 이러한 래칭 홈 내로 스위칭 부재 또는 스위칭 부재의 일부가 탄성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스위칭 부재가 안내 실린더의 중앙에 배치되면, 전체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스프링 부재가 스위칭 부재를 둘러싸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 부재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나 탄성체 부재일 수 있다.
조작자 제어 링이나 회전 트랜스미터 링이 일정 힘의 초과시 극복될 수 있는 연결부를 통해 회전 트랜스미터에 연결되면, 회전 트랜스미터에 고정되게 연결된 유지 실린더가 다른 작동 위치로 회전될 때, 조작자 제어 링이 동시에 조절된다.
이때, 상기한 연결부는 마찰 고정 연결부일 수 있다.
상기한 연결부가 래치형 연결부이면, 설정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촉각식으로 만족스럽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는 누름 버튼 키이 배열체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는 접촉 감지식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일 수도 있으며, 일례로 접촉 감지식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 상에서 손가락을 이동시켜 필기 인식 방식에 의해 숫자나 글자를 입력시킬 수 있다.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는 발광 혹은 배면 발광(backlight)될 수 있으며, 촉각 진동 피드백(haptic vibration feedback)을 구비할 수 있다.
오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위칭 부재로부터 이격된 유지 실린더의 단부는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가 그의 작동 위치로 신뢰성 있게 조절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스위치로부터 이격된 유지 실린더의 단부나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는 축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부재(driver element)를 구비하며, 이러한 다수의 드라이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입력 및/또는 표시 필드나 유지 실린더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Ⅱ-Ⅱ를 따라 도시한 유지 실린더와 안내 실린더의 도면이다.
도3은 도1에 따른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의 안내 실린더에 있는 개구 영역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4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의 안내 실린더에 있는 개구 영역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는 캐리어 부재를 형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1)을 구비하며, 이러한 인쇄 회로 기판에 관형 안내 실린더(2)의 전단부가 부착된다.
인쇄 회로 기판(1)에 부착된 스위칭 부재(3)가 안내 실린더(2) 내에 동심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스위칭 부재는 인쇄 회로 기판(1)에 대향되게 위치된 작동 표면(4)에 작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3)는 환형 탄성체 부재(5)로 둘러싸인다.
안내 실린더(2)의 외측 실린더형 측표면에는 관형 유지 실린더(6)가 그의 실린더형 내벽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그리고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도2에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안내 실린더(2)는 인쇄 회로 기판(1)과 대면하는 단부에서 3개의 개구(8)들을 구비하며, 이러한 개구들은 안내 실린더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로 각각 연장된다.
물론, 90°와는 다른 연장 길이가 선정될 수도 있다.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3개의 웹(9)들은 회전축(7)에 대해 반경 방향 으로 유지 실린더(6)로부터 개구(8)를 통하여 안내 실린더(2) 내로 돌출되어 웹 교차부를 형성하며, 웹들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들은 안내 실린더(2)의 중심에서 실린더형 스위칭 핀(1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개구(8)의 단부는 유지 실린더(6)의 회전시 웹(9)이 접하게 되는 정지부(12)를 형성한다.
웹(9)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유지 실린더(6)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스위칭 핀(10)은 탄성체 부재(5)의 실린더형 동축 개구(11) 내로 동축으로 돌출되어, 도시한 중립 위치에서 스위칭 부재(3)의 작동 표면(4)과 접한다.
인쇄 회로 기판(1)과 대면한 웹(9)의 면은 웹과 대면한 탄성체 부재(5)의 단부와 접하여, 탄성체 부재(5)의 예비 가압에 의해서, 인쇄 회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된 정지부(13)를 형성하는 개구(8)의 축방향 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된 웹의 면과 접하게 된다.
안내 실린더(2)의 해당 단부를 넘어 돌출되고 인쇄 회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된 유지 실린더(6)의 단부에서, 입력 및 표시 필드(14)를 구비한 디스크형 밀폐부(15)가 유지 실린더(6)의 관통구 내로 고정되게 삽입되어 유지 실린더를 밀폐시킨다.
또한,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는 다수의 노브형(knob-like) 드라이버 부재(16)가 인쇄 회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된 유지 실린더(1)의 전면측 환형 표면에 구비되며, 이러한 드라이버 부재(16)는 유지 실린더(6)를 회전축(7)을 중심으로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에 비교적 근접한 단부 영역에서, 유지 실린더(6)는 그 유 지 실린더(6)에 고정되게 연결된 환형 회전 트랜스미터(17)에 의해 둘러싸인다.
인쇄 회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된 유지 실린더(6)의 단부 영역에는, 조작자 제어 링(18)이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조작자 제어 링(18)은 그 조작자 제어 링이 회전 트랜스미터(17)에 축방향으로 접할 수 있게 하는 동축 회전 트랜스미터 링을 구비하며, 회전 트랜스미터(17)에 대한 회전 트랜스미터 링 및 조작자 제어 링(18)의 상대 회전 위치는 회전 트랜스미터(17)에 의해 감지되어, 이러한 회전 트랜스미터는 해당 신호를 분석 유닛(미도시)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일례로 일정 메뉴 항목을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여러 가지 메뉴 항목들에 해당하는 상대 위치로서 회전 트랜스미터(17)에 대한 회전 트랜스미터 링의 상대 위치는, 회전 트랜스미터 링과 회전 트랜스미터(17) 사이의 래치형 연결부(latched connection)(미도시)의 해당 체결 위치에 의해서 정해진다.
도시한 중립 위치, 즉 유지 실린더가 인쇄 회로 기판의 탄성체 부재(5)로부터 이동되어 있는 위치에서 유지 실린더(6)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도3의 인쇄 회로 기판(1)에 래칭 부재(latching element)(19)가 배치되며, 이러한 래칭 부재(19)는 개구(8)를 따라 연장되고 단부에서 개구(8)의 원주 방향으로 래칭 홈(latching depression)(20)을 구비하며, 이때 래칭 홈(20)의 폭은 웹(9)의 폭보다 약간 크다.
웹(9)은 또한 래칭 홈(20) 내로 축방향으로 작은 범위만큼 돌출된다. 유지 실린더(6)에 대한 체결 위치는 2개의 래칭 홈(20)에 의해 정해진다.
하나의 래칭 홈(20) 내에 체결된 유지 실린더(6)가 다른 하나의 래칭 홈(20) 내에 체결될 때까지 그의 웹(9)에 의해서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웹(9)은 래칭 부재(19)에 의해 이동되어 다시 제2 래칭 홈(20) 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와 동일한 기능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 개구(8)의 원주 방향으로 단부에 위치된 2개의 래칭 홈(20')은, 인쇄 회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된 개구(8) 단부로서 정지부(13)를 형성하는 개구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래칭 홈은, 도시한 중립 위치에서 웹이 탄성체 부재(5)에 의해 래칭 홈(20')에 체결되도록 웹(9)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다.
유지 실린더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유지 실린더(6)는 래치형 연결부의 해제를 위해 인쇄 회로 기판(1)의 방향으로 래칭 홈(20')의 깊이만큼 이동되어야 한다.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는 특히 멀티미디어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작동을 위해 차량에 사용될 수 있게 제공된다. 이와 관련해서, 조작자 제어 링(18)을 회전시켜 일례로 메뉴 항목을 선정하여서, 유지 실린더(6), 조작자 제어 링(18), 또는 입력 및 표시 필드(14)를 누르거나 유지 실린더(6) 혹은 조작자 제어 링(18)을 도시한 중립 위치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1)에 비교적 근접한 절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스위칭 핀(10)에 의해 스위칭 부재(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입력 및 표시 필드(14)에 표시되는 숫자, 글자 혹은 기능 부호를 또한 선정할 수 있어, 일례로 전화 번호, 도시명 혹은 도로명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및 표시 필드(14)가 접촉 감지식이면, 입력 및 표시 필드는 필기 인식 방식에 의해 숫자, 글자 혹은 여타 다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손가락을 입력 및 표시 필드(14)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3)는 입력 문자를 확인할 수 있게 작동될 수 있다.

Claims (28)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조작자 제어 링으로서, 상기 조작자 제어 링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 유지 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자 제어 링과;
    상기 조작자 제어 링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 트랜스미터 링으로서, 상기 유지 실린더에 고정되게 연결된 회전 트랜스미터에 이웃하게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 트랜스미터 링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실린더는 일단부에서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자 제어 링과 유지 실린더 중 최소한 하나는 스위칭 부재를 작동시키는 절환 위치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트랜스미터에 대한 회전 트랜스미터 링의 상대 회전 위치가 감지될 수 있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14)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14)는 유지 실린더(6)에 고정되게 배치되며, 상기 유지 실린더(6)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위치에서 유지 실린더(6)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으며, 상기 절환 위치 또는 중립 위치와 절환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유지 실린더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실린더(6)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지 실린더는 그의 관 통로의 내측 측표면에 의해서 고정 안내 실린더(2)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실린더(2)는 캐리어 부재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는 인쇄 회로 기판(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위치에서 유지 실린더(6)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칭 부재(3)는 캐리어 부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실린더(6)에 그의 중립 위치 방향으로 탄성 방식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가 캐리어 부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실린더(6)는 캐리어 부재와 대면한 단부 영역에서 작동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회전축(7)에 대해 반경 방향 원주 방향으로 작동 부재보다 큰 크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개구(8)를 통해서 안내 실린더(2) 내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안내 실린더(2) 내부에서 캐리어 부재에 배치되는 스위칭 부재(3)는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유지 실린더(6)의 중립 위치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성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웹이거나, 다수의 웹(9)들로 형성된 웹 교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실린더(2)의 개구 혹은 개구(8)들의 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정지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정지부에 의해서 회전축(7)을 중심으로 하는 유지 실린더(6)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로부터 이격된 안내 실린더(2)의 개구(8)의 단부는 스위칭 부재로부터의 유지 실린더(6)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부(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로부터 이격된 안내 실린더(2)의 개구(8)의 단부는 개구(8)의 반경 방향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래칭 홈(20')을 구비하며, 상기 래칭 홈 내로 스위칭 부재 또는 스위칭 부재의 일부가 축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에 근접한 개구 혹은 개구(8)들의 단부에는, 개구(8)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축방향 래칭 홈(20)을 구비하는 래칭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래칭 홈 내로 스위칭 부재 또는 스위칭 부재의 일부가 탄성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는 안내 실린더(2)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스위칭 부재(3)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나 탄성체 부재(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1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제어 링(18)이나 회전 트랜스미터 링은 일정 힘의 초과시 극복될 수 있는 연결부를 통해 회전 트랜스미터(1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마찰 고정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래치형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는 누름 버튼 키이 배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14)는 접촉 감지식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는 발광 혹은 배면 발광(backlight)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는 촉각 진동 피드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6. 제1항, 제2항, 제3항,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로부터 이격된 유지 실린더(6)의 단부는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14)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7. 제1항, 제2항, 제3항,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로부터 이격된 유지 실린더(6)의 단부나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는 축방향과 반경 방향 중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부재(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드라이버 부재(16)는 입력 및 표시 필드나 입력 또는 표시 필드나 유지 실린더(6)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KR1020077029201A 2006-04-04 2007-03-05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KR101010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5684A DE102006015684B3 (de) 2006-04-04 2006-04-04 Dreh-/Drücksteller
DE102006015684.6 200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756A KR20080009756A (ko) 2008-01-29
KR101010500B1 true KR101010500B1 (ko) 2011-01-21

Family

ID=3809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201A KR101010500B1 (ko) 2006-04-04 2007-03-05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41571B2 (ko)
EP (1) EP1880400B1 (ko)
JP (1) JP4705679B2 (ko)
KR (1) KR101010500B1 (ko)
CN (1) CN101326603B (ko)
DE (2) DE102006015684B3 (ko)
TW (1) TWI342579B (ko)
WO (1) WO2007115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7335B2 (ja) * 2007-12-27 2013-01-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DE102008007930A1 (de) * 2008-02-07 200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Lichtschalter für Kraftfahrzeuge
US8469054B2 (en) * 2008-02-20 2013-06-25 Oblamatik Ag Control device for plumbing appliances
US20100315349A1 (en) * 2009-06-12 2010-12-16 Dave Choi Vehicle commander control switch, system and method
DE102009056186B4 (de) * 2009-11-27 2012-04-19 Audi Ag Bedien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S8918219B2 (en) * 2010-11-19 2014-12-23 Google Inc. User friendly interface for control unit
US9104211B2 (en) 2010-11-19 2015-08-11 Google Inc. Temperature controller with model-based time to target calculation and display
US11334034B2 (en) 2010-11-19 2022-05-17 Google Llc Energy efficiency promoting schedule learning algorithms for intelligent thermostat
US9513642B2 (en) * 2010-11-19 2016-12-06 Google Inc. Flexible functionality partitioning within intelligent-thermostat-controlled HVAC systems
DE102010063995A1 (de) * 2010-12-22 2012-06-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mit einer Bedienblende
CN102856110B (zh) * 2011-06-30 2015-03-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旋按组合钮
JP5819130B2 (ja) * 2011-08-05 2015-11-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DE102011114051B4 (de) 2011-09-22 2016-1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CA2853033C (en) 2011-10-21 2019-07-16 Nest Labs, Inc. User-friendly, network connected learning thermosta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6457268B2 (ja) * 2011-10-21 2019-01-23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インテリジェントサーモスタット用エネルギー効率助長スケジュール学習アルゴリズム
US8901443B2 (en) * 2012-08-10 2014-12-02 Honda Motor Co., Ltd. Multi-positio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screen
DE102012020539B4 (de) 2012-10-19 2020-07-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sströmer für eine Klimaanlage und Kraftfahrzeug mit einer Klimaanlage
CN103050303A (zh) * 2012-12-13 2013-04-17 芜湖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汽车空调控制器旋钮集成按键机构
US10452243B2 (en) * 2013-01-31 2019-10-22 Bombardier Inc.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ystem incorpo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side ledge of a vehicle cabin
US11021269B2 (en) 2013-01-31 2021-06-01 Bombardier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a location of a fault in an aircraft cabin
US10222766B2 (en) 2013-01-31 2019-03-05 Bombardier Inc.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ystem incorpo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for a member of a flight crew in a vehicle cabin
JP6414794B2 (ja) * 2014-11-28 2018-10-31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ダイヤル構造、及びこのダイヤル構造を用い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SE538924C2 (en) * 2015-06-25 2017-02-21 Scania Cv Ab Start / stop switch system, primarily intended for a vehicle
CA3005944C (en) * 2015-11-23 2023-08-15 Bombardier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s in a vehicle cabin
GB2553630A (en) * 2016-06-23 2018-03-14 Twistar Ltd Customer feedback device
DE102016214692B4 (de) * 2016-08-08 2018-02-15 Audi Ag Verfahren und Benutzerschnittstelle, betreffend eine haptische Rückmeldung für einen Bildschirm
US10649556B2 (en) * 2016-12-09 2020-05-12 Dongguan Chen Da Appliance Co. Ltd. Control knob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achine
NZ745719A (en) * 2018-08-27 2019-12-20 Holder Industries Ltd A brake bias control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CN109626157A (zh) * 2018-12-24 2019-04-16 重庆红方机电有限公司 一种新型召唤盒
CN110853949B (zh) * 2019-11-01 2021-10-2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刀闸分合状态检测装置
CN117352328B (zh) * 2023-11-07 2024-04-02 浙江乾泰电气有限公司 一种负荷隔离开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4244A1 (de) * 2002-12-27 2004-06-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dienelement,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komponent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7837A1 (de) 1998-12-15 2000-06-21 Mannesmann Vdo Ag Bedienvorrichtung
DE19941952A1 (de) * 1999-09-03 2001-03-08 Volkswagen Ag Bedien- oder Anzeigeeinrichtung
DE10120691A1 (de) * 2001-04-27 2002-11-21 Siemens Ag Bedieneinheit,insbesondere für die Bedienung eines Multimediasystems in einem Kraftfahrzeug
JP2003045293A (ja) * 2001-05-21 2003-02-14 Sony Corp 操作装置
US20030044000A1 (en) * 2001-08-29 2003-03-06 Kfoury Tony 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keypad and display
JP4057862B2 (ja) * 2002-08-27 2008-03-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04185927A (ja) 2002-12-02 2004-07-02 Denso Corp ダイアルプッシュ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ダイアルスイッチユニット
US20040118664A1 (en) * 2002-12-19 2004-06-24 Lear Corporation Multifunction switch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40207607A1 (en) * 2003-04-15 2004-10-21 Will Specks Operating element having an integrated display element, and a method for command output using an operating element
DE10341016B4 (de) * 2003-09-03 2016-11-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Multimediasystem eines Kraftfahrzeugs
JP4636545B2 (ja) * 2005-08-02 2011-02-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の空調スイッチ装置
US7342186B2 (en) * 2006-07-11 2008-03-11 Delphi Technologies, Inc. Knob force transfer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4244A1 (de) * 2002-12-27 2004-06-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dienelement,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kompon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6603A (zh) 2008-12-17
TW200802468A (en) 2008-01-01
JP4705679B2 (ja) 2011-06-22
EP1880400B1 (de) 2010-11-03
DE102006015684B3 (de) 2007-09-20
US7741571B2 (en) 2010-06-22
TWI342579B (en) 2011-05-21
CN101326603B (zh) 2011-12-07
US20090127078A1 (en) 2009-05-21
DE502007005527D1 (de) 2010-12-16
JP2008544447A (ja) 2008-12-04
EP1880400A1 (de) 2008-01-23
KR20080009756A (ko) 2008-01-29
WO2007115869A1 (de)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500B1 (ko) 회전 및 누름식 버튼 컨트롤러
US20070159452A1 (en) Operating element for a multi-media system in a motor vehicle
US7579559B2 (en) Control knob having integrated functionality
US9212740B2 (en) Shift device
US7141748B2 (en) Multifunctional switch with indicator
JP5756628B2 (ja) 自動変速機用変速操作装置
US6300939B1 (en) Input device
US9410615B2 (en) Activation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US10352440B2 (en) Shift-by-wire activ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driving positions
EP3317563B1 (en) Shift-by-wire shift unit for shifting a transmission of a vehicle
JP2004511864A (ja) 作動装置
EP2000705B1 (en) Shift apparatus
CN109307061B (zh) 电子变速器系统
WO2017125200A1 (en) Apparatus for shifting in an automobile
US8274407B2 (en) Device for selection of symbols, such as characters, icons and/or multiple choices
EP3059751B1 (en) Operating panel device
US20040012361A1 (en) Operating unit
US7605802B2 (en) Operator device with haptic feedback
CN112524230A (zh) 一种换挡器
KR101198833B1 (ko) 자동차용 통합조작스위치
JP4954847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CN117980871A (zh) 控制交通工具中的功能和/或应用的操作装置
JP2008147038A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