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76Y1 -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76Y1
KR910001676Y1 KR2019880019218U KR880019218U KR910001676Y1 KR 910001676 Y1 KR910001676 Y1 KR 910001676Y1 KR 2019880019218 U KR2019880019218 U KR 2019880019218U KR 880019218 U KR880019218 U KR 880019218U KR 910001676 Y1 KR910001676 Y1 KR 91000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enter key
shaft
steering shaft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016U (ko
Inventor
장달식
Original Assignee
장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달식 filed Critical 장달식
Priority to KR2019880019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76Y1/ko
Publication of KR900010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operating on the steering wheel, e.g. bars locked to the steering wheel r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중심키이의 사시도
제4도는 중심키의 여러가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4 : 핸들축
5 : 조향축 8, 9 : 홈
10 : 중심키이 12,14,16,17 : 인식구멍
l3 : LED 15 : 센서
18 : 레버 20 : 커버판
본 고안은 자동차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의 회전력을 중심키이에 의해서 조향축에 전달함으로서 핸들의 회전을 단속하여 핸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것이다.
현재 자동차 도난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이같은 도난은 또다른 사회악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는 여러가지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핸들을 뽑아내어 가지고 다니다가 필요할때 핸들을 끼워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은 도난방지를 확실하게 할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핸들을 가지고 다녀야 되는 불편함이 따르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키이를 사용하여야만이 핸들축과 조향축을 연결할수 있도록하여 핸들의 회전력을 조향축에 전달할수 있도록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케이스내에 핸들축과 조향축을 설치하되 상호별도로 회전될수 있도록 하며, 핸들축과 조향축에 동일한 모양의 홈을 형성하여 그 홈에 동일한 모양의 중심키이를 설치하여 핸들축과 조향축이 연결되도록 하며, 케이스 일축에는 수개의 인식구멍을 형성하여 LED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이와 대응되게 수개의 인식구멍을 형성하여 센서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인식구멍과 대응되도록 핸들축과 조향축에 인식구멍을 형성하고, 중심키이에도 인식구멍을 형성하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핸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래버를 설치하며, 중심키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핸들에 커버판을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될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도난방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에 베어링(2)에 의해서 핸들축(4)과 조향축(5)이 회전할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핸들축(4)의 하단부(6)와 조향축(5)의 상단부(7)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 회전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핸들축(4)과 조향축(5) 내에는 원형이 아닌 동일한 모양의 홈(8),(9)을 형성하여 상기홈(8), (9)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중심키이(10)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홈(8)(9)의 형상은 중심키이(10)를 끼워서 핸들(3)의 회전력이 중심키이(10)에 의해서 조향축(5)에 충분히 전달하기만하면 만족하게 될것이다. 만약 홈(8), (9)을 원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핸들축(4), 조향축(5) 및 중심키이(10)가 서로 공회전되어 핸들(3)의 회전력을 조향축(5)에 전달할수 없다. 또한 핸들축(4)의 홈(8)과 조향축(5)의 홈(9)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중심키이(10)의 형상을 상기 홈(8), (9)의 형상과 동일하게 하여도 그 목적은 달성될수 있지만 설계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될것이다. 중심키이(10)의 상부에는 평판상의 헤드부(11)를 형성하여 핸들축(4)과 조향축(5)의 홈(8), (9)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낼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의 일측에는 수개의 구멍(12)을 형성하여 LED(13)를 설치하고 타축에는 이와 대응되게 수개의 인식구멍(14)을 형성하여 센서(15)를 설치하여 LED(13)의 신호를 감지할수 있도록 한다. 센서(15)는 제어부(도시 되어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엔진을 시동시키는데 영향을 주도록 되어있다. 핸들축(4)과 조향축(5)에도 상기 인식구멍(14)과 서로 대응되도록 인식구멍(16)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키이(10)에는 일반적인 키이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도록 인식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의 일축 상부에는 레버(18)를 설치하여 핸들(3)의 접속부재(3')에 접촉되게 함으로서 핸들(3)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중심키이(10)를 핸들축(4)과 조향축(5)의 홈(8), (9)에 끼우기 위해서는 홈(8). (9)이 일치되도록 해야되며 이때 레버(18)가 핸들(3)의 회전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중심키이(10)를 핸들(3)에 고정시키는 것을 설명하면 핸들축(4)의 일측에 고리(19)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에 커버판(20)을 핀(21)으로 피봇트 시키며 커버판(20)의 단부에는 탄성편(22)을 형성하여 고리(19)에 걸어지도록 한다.
제4도에는 여러가지 형상의 중심키이(1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핸들축(4)과 조향축(5)의 홈(8). (9)의 형상은 중심키이(10)의 형상에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3)을 조작하고자 할때에는 레버(18)를 세우고 핸들(3)을 회전시켜 접속부재(3')가 접촉되게 함으로서 핸들축(4)과 조향축(5)의 홈(8), (9)을 일치시킨다.
핸들축(4)과 조향축(5)의 홈(8), (9)이 일치되면 중심키이(10)를 홈(8). (9)에 끼워넣어 핸들축(4)과 조향축(5)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핸들축(4)의 회전은 중심키이(10)에 전달되고 중심키이(10)의 회전은 조향축(5)에 전달되어 핸들(3)의 조작에 의한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중심키이(10)가 끼워질때 케이스(1), 핸들축(4), 조향축(5) 및 중심키이(10)에 형성된 고유의 인식구멍(12), (14), (16), (17)과, 케이스(1)의 인식 구멍(12), (14)에 설치된 LED (13) 및 센서(15)에 의해서 고유의 중심키이(l0)를 인식하게되어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걸수 있게 된다.
만약 다른종류의 중심키이(10)가 끼워질때에는 센서(15)가 작동되지 않아 시동을 걸수 없게된다. 즉, 고유의 중심키이(10)에 의해서만 시동을 걸수 있게 된다, 중심키이(10)의 설정은 수개의 LED(13) 및 센서(15)와 그위치, 그리고 중심키이(10)의 인식구멍(17)의 조합으로 무한대의 경우의 수를 만들어 고유의 중심키이(10)를 만들수 있게된다. 고유의 중심키이(10)가 끼워져서 시동이 걸리게 되면 레버(18)를 내려서 핸들(3)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고 주행중에 중심키이(10)가 빠지지 않도록 커버판(20)의 탄성편(22)를 고리(19)에 끼운다. 주행이 끝난후 차량을 주차시키고자 할때에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커버판(20)의 록크를 해제시키고 중심키이(10)를 핸들축(4)과 조향축(5)의 홈(8). (9)에서 뽑아내어 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심키이(10)가 뽑아지게 되면 핸들축(4)과 조향축(5)의 연결이 풀어지기 때문에 핸들(3)의 회전력은 조향축(5)에 전혀 전달되지 않고 공회전만 하게된다.
따라서 중심키이(10)가 없게되면 엔진의 시동을 걸수 없을 뿐아니라 핸들(3)의 조작은 불가능하게 되므로 차량에서 떠날때 중심키이(10)만 뽑아버리면 전혀 도난의 염려가 없게된다. 또한 중심키이(10)는 소형의 제작 될수 있으므로 보관하기 용이하고 소지하기도 편리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마다 고유의 중심키이를 형성함으로서 고유의 중심키이 없이는 엔진의 시동을 걸수 없을뿐 아니라 또한 핸들의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자동차의 도난방지에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케이스(1)내에 핸들축(4)과 조향축(5)이 서로 분리되어 회전할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핸들축과 조향축에 길이 방향으로 원형이 아닌 홈(8), (9)을 형성하여 이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중심키이(10)가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의 케이스, 핸들축 및 조향축에는 고유의 중심키이(10)를 인식할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중심키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케이스에 커버판(20)을 부착하고, 케이스에 레버(18)를 설치하여 핸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케이스에 설치된 LED 및 센서와 핸들축, 조향측 및 중심키이에 형성된 인식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2019880019218U 1988-11-28 1988-11-28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KR910001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218U KR910001676Y1 (ko) 1988-11-28 1988-11-28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218U KR910001676Y1 (ko) 1988-11-28 1988-11-28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016U KR900010016U (ko) 1990-06-01
KR910001676Y1 true KR910001676Y1 (ko) 1991-03-18

Family

ID=1928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218U KR910001676Y1 (ko) 1988-11-28 1988-11-28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6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016U (ko) 199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363B2 (en) Electric steering locking apparatus
US8272239B2 (en) Anti-theft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US2874562A (en) Motor vehicle steering wheel lock
JPH0211440A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KR910001676Y1 (ko)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KR200199618Y1 (ko)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JP2000234464A (ja) ロック装置
JPS6048369B2 (ja) ステアリングシヤフトのロック装置
JP4305835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473345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0276565A1 (en) Anti-theft device
CN201023554Y (zh) 带锁定装置的电动车毂刹总成
JP462949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900006278Y1 (ko) 자동차의 기어레버 록크장치
JPH0724537Y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付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WO1996007564A1 (en) Ignition rack and sector gear for a steering column
JPH0544212Y2 (ko)
CN2339466Y (zh) 可设置于车轴部位的车锁
KR88000366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핸들 괘.해정장치
JP4348105B2 (ja) シリンダ錠のキー検出装置
EP3369647B1 (en) An anti-theft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0410761B1 (ko)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스위치
JP2002211359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H0412843Y2 (ko)
KR200178399Y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