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656B1 -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656B1
KR101657656B1 KR1020160099372A KR20160099372A KR101657656B1 KR 101657656 B1 KR101657656 B1 KR 101657656B1 KR 1020160099372 A KR1020160099372 A KR 1020160099372A KR 20160099372 A KR20160099372 A KR 20160099372A KR 101657656 B1 KR101657656 B1 KR 10165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ain display
center panel
vehic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580A (ko
Inventor
김동욱
박현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6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K2350/3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차량에 장착되어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센터페시아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너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센터 패널을 포함하고, 센터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의 경로에 대한 정보나, 현재의 차량의 위치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 날씨나 뉴스 등과 같은 같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종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페시아에 단일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정보가 다양해 지고,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해지면서 보다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페시아의 상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는 영상 및 음악 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구조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차량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서로 분리된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기 때문에 대화면에 정보를 표기하는 데 부족하다.
한편, 센터페시아 영역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장치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주행 중 내비게이션을 표시할 때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내비게이션이 표시되어 주행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센터페시아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외한 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들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예를 들어, 비상등 스위치나 공조기 스위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데 제약이 크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인테리어를 조악하게 하여 미적 감각을 훼손시킨다.
따라서, 대화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면서도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28호에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28호(2013. 06. 07. 공개)
본 발명은 센터페시아에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를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정차 시와 운행 시에 탄력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센터페시아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너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센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페시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센터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패널이 하강하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센터 패널에 의해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하부 디스플레이부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패널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클러스터와, 조수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조수석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 보다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더 크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페시아의 상단부 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하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상승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패널에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가 마련되고, 상기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센터 패널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크기를 조절하거나,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정지 중인 상태에서는 보다 큰 화면을 제공하고, 차량이 운행 중인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전방 시선 방향에 가까운 방향에 내비게이션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분할하거나 보다 큰 화면에 내비게이션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에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이나 콘트롤을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의 이동과 함께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이동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면서도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할 수 있고,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다른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센터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9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우징이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 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차체의 전방 측 내부는 전방에 마련되는 전면 윈도우 글래스(50)와, 양 측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 윈도우 글래스(51)와, 전면 윈도우 글래스(50)와 측면 윈도우 글래스(51)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필러(1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하, 차량의 후방 측 내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차체의 내장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0)와, 대시보드(20)와, 대시보드(20) 상에 배치되는 클러스터(21)와,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24)과, 오디오 장치 또는 공조 장치의 조절판이 배치될 수 있는 센터페시아(30)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는 기어 박스(40)와, 기어 박스(40) 후방에 위치하고 운전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는 암 레스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종류에 따라 조수석과 뒷자석의 유무 유무 및 뒷자석의 배치와 열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클러스터(21)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시선의 이동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상태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24)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클러스터(21)에는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및/또는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21)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스티어링휠(24)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는 대시보드(20)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고, 오디오 장치, 공조 장치, 및 시트의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터페시아(30)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25)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장치와 내비게이션 장치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로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에 형성된 버튼들은 라디오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미디어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두 모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들로 나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다수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통해 위성들로부터 위치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현재 차량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를 지도에 맵 매칭(Map Matching)시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된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수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고, 경로를 따라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장치로, 차량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대시보드(22)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로, 차량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는 공조된 바람을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40)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에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 장치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어 박스에는 차량의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와, 차량의 각종 장치들을 실행하거나, 차량의 제어모듈 또는 제어장치들의 실행여부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입력장치는 버튼, 노브, 또는 터치 인식부 등의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 명령을 전자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제스처 인식부(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부(61, 62)는 센터페시아(30)와 조수석 측 대시보드(20)에 위치하지만, 이와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위에 설명한 장치들 이외에도 차량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안정장치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실내/외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전후좌우 휠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요 레이트를 감지하는 요레이트 센서, 차량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등의 검출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공조장치, 조명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시트의 히터(즉, 열선), 핸즈프리 장치, GPS, 오디오 장치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외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또는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선루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선루프 개폐 장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 장치, 또는 윈도우 글래스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개폐 장치 등의 전자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또한, 차량은 내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장치, 실내의 조명 장치, 시동 모터, 및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운전석(10) 전방에 마련되는 클러스터(21)와, 조수석 전방에 마련되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 사이에 마련되는 센터 패널(23)과, 센터페시아(30)에 마련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을 실행하거나 메뉴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주변에는 각종 조작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조작장치는 버튼, 노브, 터치패드, 또는 제스처 입력센서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버튼을 누르거나, 노브를 돌리거나, 터치패드에 터치 신호를 입력하거나, 손을 휘젓는 등의 제스처를 입력하는 등으로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클러스터(21)에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확인할 필요가 있는 사항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또는 각종 경고등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21)에는 지도 및 내비게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목적지를 향하는 예상 주행 경로를 방향 표시기호를 통해 간략하게 표시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스터가 아날로그 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21)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운행 정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코미터의 바늘 및 게이지와 각종 경고등 아이콘은 디지털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영상을 표현하거나,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연결되어 음악을 재생하거나,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21) 및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영상 및 오디오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차량의 ECU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상태 및 주행에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차량의 기능을 실행하거나 정지하며,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각종 세팅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조장치를 실행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타이어의 공기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공기압을 표시하거나, 현가장치의 세팅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조수석 시트 전방에 위치하는 대시보드(20)에 매립되는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동일한 영상을 확인하고,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조작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차량의 공조장치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에는 영상 또는 음악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 정보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클러스터(21)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 사이에는 센터 패널(23)이 마련될 수 있다. 센터 패널(23)은 센터페시아(30)의 전방에 설치되고,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너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 패널(23)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가리는 영역을 줄이기 위해 상하 폭이 좁은 띠 모양일 수 있다.
탑승자가 바라보는 방향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영역은 센터 패널(23)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도록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센터 패널(23)에 의해 가져지면서 발생하는 분할을 의미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 패널(2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센터 패널(2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는 서로 다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오디오, 비디오, 또는 차량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운전자가 운전 중 전방을 바라보는 시야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운행 중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대시보드(20)의 상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및 각종 경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 보다 큰 화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관한 정보,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지도에 관한 정보, 차량이 위치하는 주변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상태는 정지 또는 주차 중, 정차 중, 및/또는 주행 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차량이 정지 또는 주차 중인 경우에는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는 현재 위치 주변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경로 안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차량이 정지 또는 주차 중인 경우에는 차량의 설정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는 현재 위치 주변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공조 장치 및 미디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센터 패널(23)은 센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패널(23)은 센터페시아(30)의 상부에 위치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하여 전방(운전석(10) 방향, 차량에 대하여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센터 패널(23)은 우선 순위가 높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터 패널(23)은 운전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긴급한 상황에 사용해야 하는 기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시계, 비상등, 공조 장치, 또는 현재 재생중인 미디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센터 패널(23)에는 주행 중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TbT(Turn by Turn)의 변화, 안전주행 내용, 또는 내비게이션의 경고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센터 패널(23)은 중앙에 비상등을 배치하였다. 비상등은 정차 중 및 운행 중에 모두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시인성과 접근성이 우수한 센터 패널(23)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비상등은 센터 패널(23)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23)에 표시되는 기능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의 위치 설정을 달리 할 수도 있다.
도 6은 센터 패널(2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센터 패널(23)에는 디지털 시계, 아날로그 시계, 및/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위들의 정보는 동시에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번갈아 가며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센터 패널(23)은 스톱 워치 기능을 제공하거나 오일 온도 또는 냉각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센터 패널(23) 주변에는 하드키 또는 물리키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센터 패널(23)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마련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연결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센터 패널(23)은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패널(23)과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을 탑승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는 센터 패널(23)은 센터 패널(23)과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센터 패널(23)과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센터 패널(23)은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의 사이에 배치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 일 수 있다. 또는 클러스터(21)와 센터 패널(23) 또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클러스터(21)와 센터 패널(23)과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가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일체로 형성된다는 의미는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고 패널 위에 각각의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것과,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위치와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클러스터(21)와 센터 패널(23)과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페시아(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페시아(30)와 리프트 구조, 암 구조, 또는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그 밖에 관련 기술 분야에서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센터 패널(23)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센터 패널(23)을 생략하거나 센터 패널(23)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가리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도 1, 도 3, 및 도 4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때, 제1동작은 메인 디스플레이가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1동작 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분할되지 않고 센터 패널(23)의 하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 패널(23)에 가려지는 영역이 없을 정도로 하부로 이동하거나, 센터 패널(23)에 가려지지만 센터 패널(23)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없을 정도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이 센터 패널(23)에 가려질 정도로만 하향 이동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센터 패널(23)의 상측으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탑승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 일부가 센터 패널(23)의 상측에 노출되어 일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색상이나 깜빡임 등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또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센터 패널(23)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에는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오프 상태와 마찬가지의 검은 화면이 나타나기 때문에 탑승자의 시선이 분산되지 않는다.
제1동작 상태는 전원이 켜졌지만 엔진 시동이 켜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차량이 주차 중인 상태, 일 예로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P(Parking, 주차)에 놓은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차량이 정차 중인 상태, 일 예로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N(Neutral, 중립)에 놓거나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D(Driving, 운전)에 놓은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일정 시간 이상으로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해야 할 주의 정도가 낮다. 따라서 운전자의 집중을 요하는 상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동작 상태에서 센터 패널(23)의 아래에 위치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영역에는 차량의 설정에 관한 정보, 오디오 및 비디오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디어 설정에 관한 정보, 지도 정보, 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탑승자의 휴대 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시할 수 있다.
도 2와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때, 제2동작은 메인 디스플레이가 상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동작 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센터 패널(23)에 의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영역 중 센터 패널(23)의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라 하고, 센터 패널(23)의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라 함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센터 패널(23)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 각각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23)의 높이만큼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가 떨어져서 위치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분리 효과가 탁월하다.
제2동작 상태는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 일 예로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D에 놓고 악셀레이터를 작동시키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D에 놓고 브레이크를 일정 시간 미만으로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해야 할 주의 정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운행에 필요한 정보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운전자의 전방 시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안전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는 운전자가 아주 짧은 시선 이동만으로 스캔할 수 있는 간략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심플하고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주행 중 알림 표지나 경고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시선 이동 거리가 길다. 그러나 상부 디스플레이부(111) 보다 큰 화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동작 상태에서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가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공조장치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분기점에 근접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경로 표시로는 운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는 분기점의 확대도와 목표 경로가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정확한 경로 정보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데 안전상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운전자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보통 체형의 운전자는 등을 운전석(10) 등받이에 붙인 상태에서 손을 뻗어도 센터페시아(30)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터치 입력을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운행 중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조작하기 위해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해야 하는데, 이는 안전 운행을 하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제스처를 이용하여 동작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등을 운전석(10) 등받이에 붙인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을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운행 중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터치 목표가 되는 아이콘을 접촉할 때까지 주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시간을 길게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제스처를 이용하여 동작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도 신호 입력이 가능해 진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부(61)는 센터페시아(30)의 하부 또는 기어 박스(40)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의 하부 또는 기어 박스(40)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손동작으로 제스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위치이다. 한편,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동작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부(62)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부(61)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노출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터치 입력만으로도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는 데 충분하다. 그러나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이기 때문에 제스처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스처 인식부(61)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만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노출되는 영역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수납 공간이 마련되거나, 모바일 기기가 연결되는 슬롯이 마련되거나, SD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 또는 CD 등의 미디어 매체가 삽입되는 슬롯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도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동작 시와 제2동작 시에 시야 각이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직 방향에 대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의 각도가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시야 각은 운전 자가 바라보는 시선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시야 각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질의 선명도 및 밝기, 즉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평면 방향은 허용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야 각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수직으로 마련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오히려 시인성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어느 정도 범위의 시야 각이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동작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 각도보다 제2동작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 각도가 더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동작 상태에서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더 누운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선이 아래를 향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 각도가 작은 경우(바닥에 누운 정도의 상태)에도 운전자의 시야 각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고개를 숙이지 않고 시선만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를 주시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 각도가 크게 마련되어야(수직에 가깝게 선 상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의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 상부 디스플레이부(111)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오히려 시인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터치 입력을 하는 빈도가 많게 된다. 따라서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는 각도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누운 상태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의 손목에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누운 상태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사용자가 시야 각을 맞추기 위하여 고개를 숙이는 정도가 크게 되어 목 근육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손목과 목의 부담을 모두 줄일 수 있는 각도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동작 상태와 비교할 때 제1동작 상태에서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운전자에게 가깝게 위치할 수 있어 운전자의 리치존 확보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지, 정차, 또는 주차 중인 경우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용이하면서도 목을 가볍게 숙인 상태에서도 시인성이 좋은 정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운행 중인 경우에 사용자의 전방 시선 방향에서도 시야 각 범위가 벗어나지 않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상황에 맞도록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9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후방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하우징(141)과, 하우징(14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30)와, 하우징(141)과 구동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도시하였지만, 센터페시아(30)의 형상에 따라 너비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 입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화면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모서리와 하우징(141)의 모서리 사이의 베젤(Bezel)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면과 달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외곽에 버튼 또는 노브 등의 조작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 장치를 누르거나 돌려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화면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7인치 내지 8인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141)은 센터페시아(30)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41)의 뒷면이 센터페시아(3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41)과 센터페시아(30)가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우징(141)의 뒷면은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페시아(30)는 하우징(141)의 뒷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41)의 뒷면에 형성되는 곡면은 곡률이 일정한 원호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41)은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센터페시아(30)의 일 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도면에는 하우징(141)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점차 작아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각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1동작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동작 상태의 각도를 유지하다가 어느 순간 제2동작 상태의 각도로 변하여 제2동작 상태에 이르는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제1동작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2동작 상태의 각도로 변한 후 각도를 유지한 채 상향 이동하여 제2동작 상태에 이르는 것을 포함한다.
구동부(130)는 하우징(141)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구동부(130)는 모터(131)와, 모터(13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4)과, 회전축(134)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모터(131)의 회전속도와 회전축(134)의 회전속도의 비를 조절할 수 있는 감속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큰 힘을 가지지만(토크가 크지만) 회전속도가 낮은 모터(131)를 사용하는 경우 감속비가 작은 감속부(132)를 사용하여 너트부재(135)가 병진 운동하는 속도를 빠르게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변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작은 힘을 가지지만(토크가 작지만) 회전속도가 큰 모터(131)를 사용하는 경우 감속비가 큰 감속부(132)를 사용하여 너트부재(135)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가 커지면서 동시에 무게가 증가함에도 불과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상하 이동 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감속부(132)의 감속비를 변경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130)의 모터(131) 또는 감속부(132)와 회전축(134) 사이에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커플러(133)가 개재될 수 있다. 커플러(133)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제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락하도록 한다.
회전축(134)과 너트부재(135)는 볼스크류 결합할 수 있다. 즉, 회전축(13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재(135)의 내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4)과 너트부재(135) 사이에는 다수의 볼이 개재되어 마찰을 줄임으로써 힘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부재(135)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어 회전축(134)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지지부(137: 137a, 137b, 137c)에 의해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 패널(7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37: 137a, 137b, 137c)는 일 측이 고정 패널(70)에 고정되고, 타 측이 구동부(1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로, 모터(131)와 감속부(132)는 제1지지부(137a)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축(134)의 양 단은 제2 및 제3지지부(137b, 137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커플러(133)는 제1지지부(137a)와 제2지지부(137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연결부(142)와 결합되는 연결블럭(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2)의 일 측은 하우징(141)과 결합하고 타 측은 연결블럭(136)과 결합할 수 있다. 즉, 하우징(141)은 연결부(142)와 연결블럭(136)을 매개로 구동부(130)에 결합하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블럭(136)은 너트부재(135)의 외측에 고정되어 너트부재(13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블럭(136)은 너트부재(135)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 면이 고정 패널(70)과 마주보는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부재(135)가 회전축(134)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너트부재(135)가 상하 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너트부재(135)와 연결블럭(13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42)가 너트부재(135)에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회전축(134)과 너트부재(135)가 볼 스크류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141)을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웜과 웜기어를 이용하거나 스플라인을 이용하여 하우징(141)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 역시 하우징(141)을 상하 이동 시키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자력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구동 방법에 의해 하우징(14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하우징(141)의 뒷면에는 돌기 또는 홈으로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센터페시아(30)의 일 면에는 가이드 레일(144)과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4)은 하우징(14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하우징(14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동부(130)와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4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동부(130)와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41)의 뒷면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41)이 센터페시아(30)의 일 면을 이동하면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과 구동부(130)가 이루는 각이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일 예로, 연결부(142)의 일 측은 하우징(141)에 고정되고, 연결부(142)의 타 측은 연결블럭(136)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42) 자체가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연결부(142)에 관절이 구비되어 틸팅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연결부(142)의 타 측이 연결블럭(136)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연결부(142)의 일 측이 하우징(141)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2는 하우징(141)이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과 12를 참고하면, 연결부(142)는 하우징(141)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42a)와, 플레이트(142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바(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플레이트(142a)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142a)는 하우징(141)과 결합되는 면적을 넓게 하여 하우징(14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42a)는 두께가 얇게 마련되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슬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42b)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바(142b)는 하우징(141)의 연결부 삽입홀(143)을 통해 하우징(14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42b)는 너트부재(135)를 사이에 두고 연결블럭(136)과 결합할 수 있다. 연결바(142b)는 연결블럭(136)에 형성되는 홀(136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연결블럭(136)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141)과 구동부(1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바(142b)는 연결블럭(136)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바(142b)의 외경보다 연결블럭(136)에 형성되는 홀(136a)의 내경이 더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연결블럭(136)에 형성되는 홀(136a)은 장공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에 전방(운전석(10) 방향, 차량에 대하여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챙(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챙(120)은 하우징(141)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14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챙(120)은 하우징(1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과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 패널(25)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에 마련되는 레일(21a, 22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터 패널(25)의 구동 모습을 도시하였다.이와 달리, 센터 패널(25)은 클러스터(21) 또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센터 패널(25)은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레일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양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센터 패널(25)은 슬라이딩 이동 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암 부재 또는 링크 부재에 지지되어 암 부재 또는 링크 부재의 변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센터 패널(25)은 접히거나 뒤집히는 방법을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달리 조절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구조에 의해 센터 패널(25)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센터 패널(25)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위로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 의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모터(131) 등의 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센터 패널(25)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동작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아래로 이동하고 센터 패널(25)은 위로 이동함으로써 센터 패널(25)의 하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를 참고하면, 센터 패널(25)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동작 상태에 있는 경우에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위로 이동하고 센터 패널(25)은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센터 패널(25)의 상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 즉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차량의 운행 또는 정지 상태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센터 패널(25)만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센터페시아(3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센터 패널(25)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은 차량이 정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패널(25)의 하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은 차량이 운행 중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패널(25)의 상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 즉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등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내비게이션을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공조 장치 등 차량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25)이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센터 패널(25)에 의해 분할되는 경우에도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내비게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센터 패널(25)에는 센터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디스플레이부는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표시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디스플레이부는 비상등과 시계 등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25)에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가 제공될 수 있다.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특징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비상등을 온/오프 하거나 공조 장치를 작동 시킬 수 있다.
한편, 센터 패널(25)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수행 기능이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패널(25)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패널(25)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비상등을 온/오프 하거나 공조 장치를 작동 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운전석, 20: 대시보드,
21: 클러스터, 22: 조수석 디스플레이부,
23: 센터 패널, 24: 스티어링 휠,
30: 센터페시아, 40: 기어 박스,
41: 암 레스트, 50: 전면 윈도우 글래스,
51: 측면 윈도우 글래스, 52: 필러,
61, 62: 제스처 인식부, 70: 고정 패널,
100: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 110: 메인 디스플레이부,
111: 상부 디스플레이부, 112: 하부 디스플레이부,
120: 챙, 130: 구동부,
131: 모터, 132: 감속부,
133: 커플러, 134: 회전축,
135: 너트부재, 136: 연결블럭,
137: 지지부, 141: 하우징,
142: 연결부, 143: 연결부 삽입홀,
144: 가이드 레일.

Claims (10)

  1. 차량의 센터페시아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너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센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페시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센터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패널이 하강하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센터 패널에 의해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하부 디스플레이부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패널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클러스터와, 조수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조수석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 보다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더 크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페시아의 상단부 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하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상승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패널에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가 마련되고,
    상기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099372A 2016-08-04 2016-08-04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5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72A KR101657656B1 (ko) 2016-08-04 2016-08-04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72A KR101657656B1 (ko) 2016-08-04 2016-08-04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191A Division KR20160083721A (ko) 2015-01-02 2015-01-0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80A KR20160096580A (ko) 2016-08-16
KR101657656B1 true KR101657656B1 (ko) 2016-09-19

Family

ID=5685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372A KR101657656B1 (ko) 2016-08-04 2016-08-04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92A (ko) 2017-12-12 2019-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플레이 기반 센터페시아용 조작 장치
KR102035341B1 (ko) * 2018-09-03 2019-10-22 최문규 자율 주행 차량의 핸들 전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972B1 (ko) * 2018-11-27 2020-12-31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스마트 차량의 승객용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10082026A (ko)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5360B1 (ko) * 2021-02-24 2023-05-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센터페시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0736A (ja) 2012-04-17 2013-10-28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操作表示装置
US20140320382A1 (en) 2011-11-28 2014-10-30 Delphi Technologies, Inc. Head-up display device with retractable comb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905Y1 (ko) * 1997-12-09 2000-04-01 정몽규 차량용 모니터 장착 구조물
DE102010045974A1 (de) 2010-09-18 2012-03-22 Volkswagen Ag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0382A1 (en) 2011-11-28 2014-10-30 Delphi Technologies, Inc. Head-up display device with retractable combiner
JP2013220736A (ja) 2012-04-17 2013-10-28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操作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92A (ko) 2017-12-12 2019-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플레이 기반 센터페시아용 조작 장치
KR102035341B1 (ko) * 2018-09-03 2019-10-22 최문규 자율 주행 차량의 핸들 전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80A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05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60083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57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US11040620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387613B1 (ko) 차량용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230941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9126483B2 (en) Vehicular display system
US20160159218A1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739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60266782A1 (en) Positionable User Interface for Vehicular Use
KR20190072235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4725259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EP3453589A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KR201900465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220064361A (ko)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JP4682760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2008107238A (ja) 車両の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076383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US20230401025A1 (en) Vehicle infotainment system
JP2005271902A (ja) 車載用表示制御装置
KR10228942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1351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