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95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3995B1 KR101973995B1 KR1020170162203A KR20170162203A KR101973995B1 KR 101973995 B1 KR101973995 B1 KR 101973995B1 KR 1020170162203 A KR1020170162203 A KR 1020170162203A KR 20170162203 A KR20170162203 A KR 20170162203A KR 101973995 B1 KR101973995 B1 KR 1019739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vehicle
- information
- light
- ang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297 night 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WZREIFADZCYQD-NSHGMRRFSA-N deltamethrin Chemical compound CC1(C)[C@@H](C=C(Br)Br)[C@H]1C(=O)O[C@H](C#N)C1=CC=CC(OC=2C=CC=CC=2)=C1 OWZREIFADZCYQD-NSHGMRRF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 B60K2350/1028—
-
- B60K2350/2056—
-
- B60K2350/35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3—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ref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7—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semi-transparent optic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1—Virtual im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3—Illumination of matrix displays
- B60K2360/344—Illumination of matrix displays for additionally illuminating mechanical elements, e.g. pointers or control kno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7—Optical elements for super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mechanical means other than scan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whole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1광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 제2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2광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광과 상기 제2디스플레에서 출력되는 제2광 중 어느 하나는 투과하고, 다른 하나는 반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광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상기 제2광 중 일부를 제1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 및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상기 제1광 중 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 및 오토바이를 들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차량에는 각종 센서와 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차량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있다.
차량의 기능은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편의 기능, 그리고 운전자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 기능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편의 기능은 차량에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 + entertainment) 기능을 부여하고, 부분적인 자율 주행 기능을 지원하거나, 야간 시야나 사각 지대와 같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등의 운전자 편의와 관련된 개발 동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적응 순향 제어(active cruise control, ACC), 스마트주자시스템(smart parking assist system, SPAS), 나이트비전(night vision, NV),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어라운드 뷰 모니터(around view monitor, AVM), 적응형 상향등 제어(adaptive headlight system, AHS) 기능 등이 있다.
안전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자동 긴급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기능 등이 있다.
이처럼, 차량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주행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차량의 기능은 편의 기능과 안전 기능으로 분류되는데, 안전 기능에 대한 주행 정보는 편의 기능에 대한 주행 정보에 비해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행 정보를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다양한 주행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표시하는 주행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깊이감을 생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하드웨어적 특성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의한 착시 효과를 이용하여 주행 정보를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1광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 제2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2광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광과 상기 제2디스플레에서 출력되는 제2광 중 어느 하나는 투과하고, 다른 하나는 반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광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상기 제2광 중 일부를 제1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 및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상기 제1광 중 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광 중 일부에 대응하는 제3시각정보가 형성되는 제1스크린으로 정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방향으로 반사된 광에 대응하는 제4시각정보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서 제1사이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서 제2사이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사이각도 및 상기 제2사이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1사이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2사이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1사이각도가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광 중 일부는 상기 제1반사부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사이각도가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광 중 일부는 상기 제1반사부를 통과하여 상기 광합성부를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사이각도에 따라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하 반전시키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합성부의 사이에서 틸팅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사이각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일부에 소정 색을 가지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사이각도 및 상기 제2사이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서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제1사이각도가 가변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서 제3사이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사이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과 상기 제2반사부는 상호 마주보는 제1상태 및 상호 평행한 제2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상호 반대반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반사부로 광을 출력하는 제1부분과 상기 광합성부로 광을 출력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방향이 정의되며, 상기 제2부분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반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합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광 중 일부가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합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광 중 일부가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합성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반사부의 일 면은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및/또는 차량 제어 방법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사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크기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는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충돌가능성이 있는 물체가 있는 경우 상기 충돌가능성에 따라 상기 물체를 알리는 알림정보가 제1 그래픽 객체를 통해 2차원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제2 그래픽 객체를 통해 3차원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충돌가능성에 따라 상기 광합성부의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가변되기 때문에, 상기 알림정보가 보다 효과적으로 탑승객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3개의 서로 다른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크린의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에는 서로 다른 깊이감이 형성되고, 입체적인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b는 도 8a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측면도와 정면도
도 8c는 광합성부의 틸팅에 따른 3차원 깊이감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제어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들
도 13a는 2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이격된 3개의 스크린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b는 도 13a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3개의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는 제공 가능한 3개의 스크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도 15의 제1 및 제2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서 설명한 제2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8은 도 15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설명한 제3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0은 도 15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b는 도 8a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측면도와 정면도
도 8c는 광합성부의 틸팅에 따른 3차원 깊이감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제어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들
도 13a는 2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이격된 3개의 스크린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b는 도 13a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3개의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는 제공 가능한 3개의 스크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도 15의 제1 및 제2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서 설명한 제2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8은 도 15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설명한 제3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0은 도 15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여기서, 자율 주행은 가속, 감속,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 운전 조작 장치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운전 조작 장치가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0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무선 통신부’로 호칭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차량(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독립된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차량(10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차량(100)의 일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271)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상기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271)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동작 및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100)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프로세서(86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 및/또는 제어방법은, 차량(100)의 제어부(17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가 운전석에 배치되어 운전자에게 각종 차량 주행 정보를 제공하는 클러스터(cluster)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차량(100) 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대한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통신부(850), 제1 디스플레이(810), 제2 디스플레이(820), 광합성부(830), 프로세서(860) 그리고 구동부(8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50)는, 도 7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통신부(850)는 CAN(controller are network)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통신부(850)는, 차량, 이동 단말기와 서버, 다른 차량과 같이 통신 가능한 모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으로 명명될 수 있다. V2X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기술로 정의될 수 있다.
통신부(850)는 차량(100)에 구비된 대부분의 장치들로부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로 전송되는 정보를 ‘차량 주행 정보’로 호칭한다.
차량 주행 정보는 차량 정보 및 차량의 주변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100)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차량 내부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정보,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주변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 자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방향, 가속도, 각속도, 위치(GPS),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각 바퀴의 공기압,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정보는 차량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다른 물체에 관한 정보 및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정보는,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 정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 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충돌 가능성,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는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구비된 프로세서(86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는 제1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1광을 출력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제2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2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시각정보는 상술한 차량 주행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소정 범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였을 때 상기 운전자의 눈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소정 제1 사이 각도를 가지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방향은 중력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에 탑승하였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는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가지만,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상기 시야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광 및 상기 제2광 각각의 진행경로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와 제1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와 제2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예각과 상기 제2예각은 동일한 각도이거나 서로 다른 각도 일 수 있다.
상기 광합성부(830)의 일 단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82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합성부(830)의 일 단에서 상기 광합성부(830)의 타 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820)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8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광과 상기 제2광이 동일 경로로 진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의 사이에서 상기 제1광은 투과하고, 상기 제2광은 반사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광 및 상기 제2광이 동일한 광 경로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 및 상기 제2광을 합성한다.
상기 광합성부(830)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반투명 필터(Translucent Filter), 및/또는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와 같은 미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발생된 제2광은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상기 제1광과 합성되어 합성광을 이루고, 상기 합성광은 상기 제1방향을 향하여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는 제1 그래픽 객체(872)가 출력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는 제2 그래픽 객체(874)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에 대응하는 제1광은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반사되지 않고 상기 광합성부(830)를 그대로 통과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직감 또는 인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합성부(830)는 투명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에 대응하는 제2광은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반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제2시각정보가 광합성부(830)에서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직감 또는 인지하게 된다.
도 8b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는 광합성부(830)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들(872,874) 사이에는 상기 광합성부(830)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사이의 거리(d)만큼의 거리감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 위에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가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들(872, 874)을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 보다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가 자기에게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가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보다 자기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들(872, 874)을 인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광합성부(830)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의 위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3차원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제1시각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제2시각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에는 3차원 깊이감(depth)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깊이감’ 또는 ‘깊이값’은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표시되는 객체에 대하여 가상의 일 지점과의 거리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의해 표시된 객체가 소정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객체의 깊이 값은 “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지점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보이는 객체의 깊이 값은 음수로 정의되고, 내부로 들어간 형태로 보이는 객체의 깊이 값은 양수로 정의될 수 있다. 깊이 값의 절대 값이 클수록, 해당 객체는 상기 소정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깊이값은 제1 디스플레이와 광합성부의 거리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기준면으로 하였을 때,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광합성부까지의 수직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동일한 그래픽 객체가 동일한 크기로 표시되더라도,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의 어느 위치에서 표시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합성부(830)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8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광합성부(830)의 일 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와 소정 제1 사이 각도(θ)를 가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상기 광합성부(830)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사이의 각도를 ‘제1 사이 각도’로 정의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어떠한 정보도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는 정보를 2차원 형태로 제공받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 820)에 표시되는 모든 정보는 3차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합성부(830)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사이의 위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정보는 표시 위치에 따라 다른 깊이 값을 가지게 된다.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 8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60)는 상기 통신부(85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조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족되는 조건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 820)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과 관련하여, 프로세서(860)는 차량(100)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860)는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차량(100)에서 구동 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방 추돌 방지(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사각 지대 감지(Blind Spot Detection, BSD),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보행자 감지(Pedestrian Detection, PD), 커브 속도 경고(Curve Speed Warning, CSW) 및 턴 바이 턴 길안내(turn by turn navigation, T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은,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시동 온(start on), 시동 오프(start off), 자율 주행 온/오프,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벤트 발생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서 설정한 경고 발생, ADAS에서 설정한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충돌 경고(forward collision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후측방 경고(blind spot detection)가 발생하는 경우, 차선 이탈 경보(lane departure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주행 조향 보조 경보(lane keeping assist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제동 기능(autonomous emergency braking)이 수행되는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진 기어에서 후진 기어로 변경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가속이 발생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감속이 발생되는 경우, 동력장치가 내연기관에서 모터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모터에서 내연기관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차량(100)에 구비된 다양한 ECU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발생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프로세서(860)는 만족되는 조건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및/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를 제어한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가 차량(100)의 탑승객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는 정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정보는 구분된다.
일 예로, 탑승객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정보가 메인 정보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고, 상기 메인 정보를 강조하기 위한 서브 정보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는 상술한 차량 주행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860)는 소정 시각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하다가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시각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소정 시각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표시되다가 사라지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는 정보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가 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란, 예를 들어, 형상, 길이, 색상 등이 다른 이미지를 의미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의 종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차량 주행 정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 상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표시 위치는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상황은 차량(100)의 위치, 가속도, 주행 속도, 주행 방향, 외부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차량은 이동을 전제로 하므로, 차량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고유의 위치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길 안내 정보의 경우 길 안내를 제공해야 하는 지점의 위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충돌 가능성이 있는 물체 정보의 경우, 물체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탑승객에게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지점을 효과적으로 알리는 것이 중요한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대하여 소정 제1 사이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광합성부(830)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프로세서(860)는 상기 지점이 차량(100)으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가지게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동일한 정보라도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의 어느 지점에 표시되는지에 따라 다른 깊이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점이 제1거리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점을 안내하는 정보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의 일단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표시되고, 상기 지점이 제2거리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가지게 되므로, 탑승객은 상기 지점이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860)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를 이용하여 3차원 깊이감을 가지는 정보를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이하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며 후술한다.
한편, 도 8c는 광합성부의 틸팅에 따른 3차원 깊이감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와 제1 사이 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40)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 820) 사이에서 틸팅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6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소정 각도로 가변되도록, 상기 구동부(840)를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통신부(85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지 경우, 그에 따라 상기 구동부(8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40)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광합성부(830)는 회전 이동을 하게 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사이에서의 제1 사이 각도가 가변되게 된다.
한편, 동일한 그래픽 객체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경우라도, 상기 제1 사이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하는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 및 표기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되게 된다.
여기서, 출력 위치 및 출력 크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표시되는 위치 및 크기를 의미한다. 이와 달리, 표시 위치 및 표시 크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상에 표시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는데,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상에서의 위치 및 크기를 의미한다.
즉, 출력 위치 및 출력 크기가 동일한 경우라도, 상기 제1 사이 각도에 따라 표시 위치 및 표시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각도(θ1)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들(872, 874)이 오버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의 표시 크기를 제1 크기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는 제1 깊이 값(d1)을 가지게 된다.
이와 달리, 제2 각도(θ2)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들(872, 874)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의 표시 크기는 제2 크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는 제2 깊이 값(d2)을 가지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 사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크기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는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각도(θ2)에서 상기 제1 각도(θ1)로 상기 광합성부(830)가 틸팅되는 경우,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72)로 점점 이동하는 효과가 발생하며,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의 깊이 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입체적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 사이 각도를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의 표시 위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상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의 3차원 깊이 값만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이 각도에 따라,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의 출력 위치 및 출력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이 각도를 변경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그래픽 객체(874)의 출력 위치 및 출력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상기 프로세서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출력되는 정보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사이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874)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의 표시 크기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 각도를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874)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의 출력 크기 및 출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 각도를 가변시킴과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874)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의 출력 크기 및 출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860)의 동작에 의하여 각종 정보가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가지는 3차원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3차원의 차량 주행 정보를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구조를 바탕으로, 상기 프로세서(86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차량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는 제1시각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시각정보는, 속도계, 주행 기록계, 주행 거리계, 회전 속도계, 각종 경고등, 방향전환 지시등, 연료계, 상기 차량(10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안내하는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82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가 켜져 있는 경우라도 선택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에서 입체 표시 모드가 오프 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오프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입체 표시 모드가 온 된 경우라도, 탑승객에게 제공할 3차원 방식으로 제공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 표시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가 동시에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광합성부(830)를 통해 상기 서로 다른 정보가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가지며 3차원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태로 정의된다.
상기 광합성부(830)는 틸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지만, 상기 입체 표시 모드가 온 또는 오프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체 표시 모드가 온 된 경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광합성부(830)는 틸팅되지만, 상기 입체 표시 모드가 오프 되었다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라도 상기 광합성부(830)는 틸팅되지 않는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차량(100)에서 상기 입체 표시 모드가 오프 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더라도 상기 광합성부(830)가 틸팅되지 않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초기 설정값을 가지도록 상기 광합성부(830)는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는 상기 제1시각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강조하기 위한 정보 및/또는 상기 제1시각정보와 관계없이 탑승객에게 3차원 방식으로 안내해야 할 소정 정보를 제2시각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시각정보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에 표시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그래픽 객체가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고, 제2 그래픽 객체가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프로세서(8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810,82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860)는 제1 디스플레이(810)에 제1 그래픽 객체를 표시한다(S910).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방향 안내 정보(1010)가 턴 바이 턴(turn by turn, TBT) 방식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출력될 수 있는데, 상기 방향 안내 정보(1010)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안내하는 제한 속도 정보(1110)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가능성이 있는 물체를 안내하는 물체 정보(1210)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860)는 상기 차량(100)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제2 그래픽 객체를 표시한다(S930).
프로세서(860)는 제1 그래픽 객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는 중에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를 제어한다.
기 설정된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는 기 설정된 조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차량(1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표시할 제2 그래픽 객체의 종류와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통신부(85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100)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할 제2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0)이 방향 전환을 해야하는 지점(또는, 운전자가 주의를 해야하는 지점)이 제1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1 그래픽 객체(1010)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차량(10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점이 제2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1 그래픽 객체(1010)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1020)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래픽 객체(1020)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1010)와 오버랩 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탑승객은 상기 지점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이 제한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도로에 진입하거나, 제한 속도를 단속하는 단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한 속도를 안내하는 제1 그래픽 객체(1110)가 상기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량(100)의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현재 속도를 안내하거나 감속을 안내하는 제2 그래픽 객체(1120)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래픽 객체(1120)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표시되던 상기 제1 그래픽 객체(111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사라짐으로써, 상기 제1 그래픽 객체(1110)가 뒤에서 앞으로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1110,1120)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에 각각 동시에 표시되어 특정 정보를 강조하기 위한 중첩효과도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주행 상태(또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합성부(830)를 틸팅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가변하도록 상기 구동부(8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합성부(830)가 틸팅 함에 따라, 상기 광합성부(830)의 일 지점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고, 그만큼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표시되는 제2 그래픽 객체의 깊이 값이 달라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구동부(84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한 깊이 값을 조절할 수 있다. 탑승객은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제2 그래픽 객체가 자신에게 가까이 다가오거나 자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그래픽 객체(1020)가 표시되기 전에,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최소 각도가 되도록 상기 광합성부(830)는 틸팅 할 수 있다. 상기 제2 그래픽 객체(1020)가 표시된 후부터 상기 차량(100)이 이동함에 따라(또는, 방향 전환을 해야하는 지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최소 각도로부터 최대 각도까지 변화되도록, 상기 광합성부(830)는 틸팅 될 수 있다. 최소 각도인 지점에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1020)는 최소 깊이 값을 가지고, 최대 각도인 지점에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1020)는 최대 깊이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객은 방향 전환을 해야 하는 지점이 점차 다가오고 있음을 직감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점을 상기 차량(100)이 지나고 나면, 상기 제2 그래픽 객체(102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사라지고,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기본 설정값을 가지도록 상기 광합성부(830)는 틸팅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광합성부(830)는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틸팅되며, 상기 소정 각도는 상기 차량(100)의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현재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제1 사이 각도는 최대 각도에 가까워지고, 현재 속도가 느릴수록 상기 제1 사이 각도는 최소 각도에 가까워질 수 있다. 현재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제2 그래픽 객체(1120)는 깊은 깊이 값을 가지기 때문에 탑승객은 상기 현재 속도에 대한 속도감을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840)는 상기 차량(100)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외부 물체가 있는 경우, 상기 외부 물체를 안내하는 물체 정보를 제1 그래픽 객체(1210)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돌가능성이 제1레벨이거나 상기 외부 물체와의 거리가 제1 기준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차량(100)을 나타내는 차량 객체(1230)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1210)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차량 객체(1230)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1210)는 상기 차량(100)과 상기 외부 물체간의 거리(d1-d4)에 비례하여 상호 이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충돌가능성이 제2레벨이 되거나 상기 외부 물체와의 거리가 제2 기준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860)는 제2 그래픽 객체(1220)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외부 물체와의 거리 또는 상기 외부 물체와의 충돌가능성에 따라,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달라지도록 상기 구동부(840)를 제어할 수 있다.
충돌가능성이 있는 물체가 있는 경우 상기 충돌가능성에 따라 상기 물체를 알리는 알림정보가 제1 그래픽 객체를 통해 2차원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제2 그래픽 객체를 통해 3차원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충돌가능성에 따라 상기 광합성부의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가변되기 때문에, 상기 알림정보가 보다 효과적으로 탑승객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충돌가능성이 기준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1210,1220)가 사라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이 각도가 초기 설정값을 가지도록 상기 구동부(8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810)는 제1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1광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820)는 제2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2광을 출력한다. 상기 제1광은 상기 광합성부(830)를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제1시각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광은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반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제2시각정보가 상기 광합성부(830)에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한다. 상기 광합성부(830)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상기 제2시각정보는 상기 제1시각정보 위에 표시되는 것처럼 인지되며, 상기 제1시각정보와 상기 제2시각정보에는 3차원 깊이감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하는 3개의 스크린을 만들어낼 수 있다.
도 13a는 2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이격된 3개의 스크린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하나의 메인 스크린, 그리고 두 개의 서브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스크린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제1 시각정보,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어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반사되는 제2 시각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시각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시각정보는 상기 광합성부(830)에 표시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시각정보는 상기 메인 스크린으로 정의되는 영역에서 중첩되어 표시된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 스크린은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되는 제1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2 시각정보가 표시되는 제2 메인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제1 메인 스크린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 해당하고, 상기 제2 메인 스크린은 상기 광합성부(83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1광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어 상기 광합성부(830)를 통과한다. 상기 제2 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2광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어 상기 광합성부(830)에서 반사된다.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상기 제1광 및 상기 제2광은 동일한 경로로 향하게 되며, 사용자에게 도달된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메인 스크린에서 각종 정보가 2차원 방식 또는 3차원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2차원 방식으로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는 상기 제1시각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오프 되거나, 소정 색을 가지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색은 검정색일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가 상기 광합성부(8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인지하지 못하며, 상기 제1시각정보가 2차원 방식으로 전달된다.
상기 광합성부(83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시각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시각정보가 유일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제1시각정보를 2차원 방식으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2차원 방식이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가 출력하는 정보가 하나의 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면은 평면이거나 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시각정보는, 예를 들어, 계기판에 표시되어야 할 일반적인 정보로서 상기 차량(100)의 속도, 연료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3차원 방식으로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810)는 상기 제1시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820)는 상기 제2시각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2시각정보의 상은 상기 광합성부(830)에 맺히기 때문에, 상기 광합성부(830)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 사이의 거리 차에 의하여 3차원 깊이감이 생성된다.
여기서, 3차원 방식이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가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정보가 서로 다른 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술한 메인 스크린뿐만 아니라, 제1 서브 스크린과 제2 서브 스크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를 이용하여, 메인 스크린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디스플레이는 추가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는 제2광 중 일부에 대응하는 제3시각정보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광합성부(830)로 향하는 상기 제2광 중 일부를 제1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1310)를 구비하며,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제3시각정보가 형성되는 제1 서브 스크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와의 사이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와 상기 제1반사부(1310) 사이의 각도를 ‘제1 서브 각도’로 정의한다.
상기 제3시각정보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 서브 각도는 예각을 이룬다.
상기 제1반사부(1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는 상기 광합성부(830)로 광을 출력하는 제1부분(820A)과 상기 제1반사부(1310)로 광을 출력하는 제2부분(82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820A)은 메인 스크린에 출력되는 제2시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고, 상기 제2부분(820B)은 제1 서브 스크린에 출력되는 제3시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한다.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광합성부(830)처럼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하프 미러(half mirror)이거나, 빛을 모두 반사하는 풀 미러(full mirror)일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1310)가 하프 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제1광은 상기 제1반사부(1310)를 통과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광 중 일부는 상기 제1반사부(1310)에 반사된다. 이경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은, 상기 메인 스크린처럼 각종 정보를 2차원 방식 또는 3차원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1310)가 하프 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반사부(1310)는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1310)가 풀 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제1광은 상기 제1반사부(1310)에 의하여 차단된다. 이경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제2광 중 일부만 제공하기 때문에, 2차원 방식으로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1310)가 풀 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제1광이 상기 제1반사부(1310)의 일 면에 의하여 반사되어 외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의도치않게, 상기 제1광이 상기 제1반사부(1310)의 일 면에 반사되어 상기 광합성부(830)에 도달하게 되면, 여러가지 정보가 상기 광합성부(830)에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중첩은 사용자로 하여금 메인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만드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반사부(1310)가 풀 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반사부(1310)의 일 면, 즉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10)와 마주하는 면에는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 및 상기 광합성부(8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는 제2광의 일부가 상기 광합성부(830)로 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가 제공하는 스크린들 중 사용자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이러한 위치적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에서 제공되는 제3시각정보는, 차량의 주행 상태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항상 제공받아야 할 ‘기본 정보’ 및/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장 쉽고 빠르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항상 표시되는 정보로서, 현재 시간 정보, 기온 정보, 그리고 자율 주행 중인지 수동 주행 중인지를 알리는 주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제1광 중 일부에 대응하는 제4시각정보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광합성부(830)로 향하는 상기 제1광 중 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1320)를 구비한다.
상기 제2반사부(1320)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와의 사이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와 상기 제2반사부(1320) 사이의 각도를 ‘제2 서브 각도’로 정의한다.
상기 제2반사부(1320)에 의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반사된 광은 제4시각정보를 형성한다. 상기 제4시각정보의 상은 상기 차량(100)의 윈드실드에서 형성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구비되는 스크린(13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시각정보가 상기 차량(100)의 윈드실드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윈드실드가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4시각정보가 상기 스크린(133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1330)이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으로 정의된다.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은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가상 정보를 현실 세계와 중첩되도록 표시하며, 이러한 이유로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1330)은 사용자 전방의 시야에 위치하는 현실 세계가 상기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량(100)의 윈드실드가 아닌, 별도로 구비된 상기 스크린(1330)이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스크린(1330)은 상기 차량(100)의 윈드실드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부(1320)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 및 상기 광합성부(8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광 중 일부가 상기 광합성부(830)로 향하는 것을 차단한다. 차단된 광은 상기 제2반사부(1320)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스크린(1330)으로 향하며, 상기 스크린(1330)에서 상기 제4시각정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4시각정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 서브 각도는 예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330)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와의 사이에서 둔각 또는 18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부(13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는 상기 광합성부(830)로 광을 출력하는 제1부분(810A)과 상기 제2반사부(1320)로 광을 출력하는 제2부분(8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810A)은 메인 스크린에 출력되는 제1시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고, 상기 제2부분(810B)은 제2 서브 스크린에 출력되는 제4시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한다.
상기 제2반사부(1320)는 상기 광합성부(830)처럼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하프 미러(half mirror)이거나, 빛을 모두 반사하는 풀 미러(full mirror)일 수 있다.
상기 제2반사부(1320)가 풀 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광합성부(830)와 마주하는 상기 제2반사부(1320)의 일 면은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제2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된 일부 광이 상기 광합성부(830)를 통과하여 상기 제2반사부(1320)로 향하는 경우, 상기 제2반사부(1320)에 의하여 반사되어 외란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2반사부(1320)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1부분(810A)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4시각정보가 상기 스크린(1330)의 크기에 맞게 확대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제4시각정보는 상기 제1부분(810A)에서 제1크기로 출력되지만, 상기 제2반사부(1320)에 의하여 반사되면서 제2크기로 확대되어 상기 스크린(13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3개의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각종 정보가 3개의 서로 다른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는 제1부분(810A)과 제2부분(81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도 제1부분(820A)과 제2부분(82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1부분(810A)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의 제1부분(820A)는 상기 메인 스크린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상기 제1부분(810A)은 상기 메인 스크린의 배경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의 제1부분(820A)은 상기 배경 이미지 상에서 3차원 깊이감을 가지는 그래픽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은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20B)은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3개의 스크린에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4시각정보는 상기 제2반사부(1320)에 의하여 상하 반전되기 때문에,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4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4시각정보의 상하가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를 제어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1부분(810A)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방향이 정의된다. 기준 방향이란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1부분(810A)에서 텍스트가 출력되는 경우, 텍스트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반전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알림이 발생하는 경우, 알림 아이콘이 상기 제4시각정보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에 출력되도록,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20B)에 출력된다. 상기 알림 아이콘의 상하는 상기 제2반사부(1320)에 반사되면서 다시 반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하가 반전되지 않은 올바른 상태의 알림 아이콘을 제공받게 된다.
이처럼,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3개의 서로 다른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스크린의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에는 서로 다른 깊이감이 형성되고, 입체적인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두 개의 서브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태에서는 메인 스크린, 그리고 두 개의 서브 스크린들이 모두 제공되지만, 제2상태에서는 메인 스크린만 제공될 수 있다. 제2상태에서 두 개의 서브 스크린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사라질 수 있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장치(800)가 제공 가능한 3개의 스크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제1 및 제2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제1 서브 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부(1320)는 상기 제2 서브 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크린(1330)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와의 사이에서 소정 각도(이하, ‘스크린 각도’로 호칭)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 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1330)과 상기 제2반사부(1320)는 상호 마주보는 제1상태 및 상호 평행한 제2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상호 반대반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1310), 상기 제2반사부(1320), 그리고 상기 스크린(1330) 각각은 틸팅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 및 상기 광합성부(830) 사이에서 틸팅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반사부(1320)는 상기 제1디스플레(810) 및 상기 광합성부(830) 사이에서 틸팅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서브 각도, 상기 제2 서브 각도, 그리고 상기 스크린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6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각도, 상기 제2 서브 각도, 그리고 상기 스크린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도록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차량(1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서브 각도, 상기 제2 서브 각도, 그리고 상기 스크린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차량(100)의 속도와 관련될 수 있다. 3개의 스크린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속도에 따라, 사용자가 정보를 제공받기에 최적인 스크린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00)는 상기 차량(100)의 속도에 따라 상기 3개의 스크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스크린을 활성화 하고 선택되지 않은 스크린은 비활성화 할 수 있다.
활성화는 해당 스크린을 통해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고, 비활성화는 해당 스크린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사라지거나 해당 스크린을 통해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태에서는 메인 스크린, 그리고 두 개의 서브 스크린들이 모두 제공되지만, 제2상태에서는 메인 스크린만 제공될 수 있다. 제2상태에서 두 개의 서브 스크린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각도가 제1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1상태에서,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제2광 중 일부가 상기 제1반사부(1310)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제1방향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서브 각도가 제2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2상태에서, 상기 제1반사부(1310)는 상기 제2광 중 일부가 상기 제1반사부(1310)를 통과하여 상기 광합성부(830)를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의 제2부분(820B)에서 출력된 제3시각정보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에 표시되지만,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메인 스크린에 표시된다.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3시각정보는 상기 광합성부(830)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1범위의 깊이값을 가진다.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3시각정보는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에 표시되지만,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3시각정보는 상기 제1반사부(1310)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스크린에 표시된다. 상기 제3시각정보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상단에 인접하게 표시되지만,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하단에 인접하게 표시된다. 즉, 상기 제3시각정보는 동일한 위치에서 출력되지만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표시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에서 출력된 제4시각정보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 서브 스크린에 표시되지만,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메인 스크린에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4시각정보는 상기 광합성부(830)를 통과하여 제2범위의 깊이값을 가진다.
상기 제2상태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한 ‘기본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기본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 820) 그리고 광합성부(830)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기본 모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는, 출력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깊이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차량(100)의 속도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된 차량 주행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반사부(1310) 및 상기 제2반사부(1320) 중 적어도 하나가 틸팅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를 제어한다(S1510).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술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상기 제1반사부(1310) 및 상기 제2반사부(132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반사부(1310)가 이루는 상기 제1 서브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를 제어한다(S1530).
상기 제1 서브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서 설명한 제2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1 서브 각도는 상기 제1상태에서 제1범위 내에 위치하지만, 상기 제2상태에서 제2범위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범위와 상기 제2범위는 서로 다른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제1범위는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이 활성화 되는 소정 범위를 의미하고,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 서브 스크린이 비활성화 되는 소정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와 상기 제1반사부(1310)가 평행한 ‘0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태가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의 제2부분(820B)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3시각정보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위치가 달라지거나,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반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서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제1사이각도가 가변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의 제2부분(820B)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가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에서는 사라지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에서는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810,8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그래픽 객체가 상기 제2디스플레이(820)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픽 객체는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에서 그대로 표시되지만, 상기 기본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반전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반사부(1320)에 의한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광합성부(1310)를 통과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 상에 표시되기 때문이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2 서브 각도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에서 출력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하 반전시킨다.
도 18은 도 15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설명한 제3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서브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1 서브 스크린만 남아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서브 각도 및 상기 스크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상태를 '제3상태' 또는 '제3 실시 예'로 정의한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에 적절한 환경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환경에서는 상기 제3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100)이 태양이 떠있는 위치로 주행하는 경우,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의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60)는 조도 센서와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에 근거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환경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3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에서 표시되는 제4시각정보는 상기 제1반사부(1310)에 의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제4시각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정보가 불필요하게 출력되어 배터리를 소모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로세서(86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에 검정색과 같이 소정 색을 가지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810)의 제2부분(810B)에서 출력되는 광이 외란으로 작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도 20은 도 15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860)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서브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2 서브 스크린만 남아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상태를 '제4상태' 또는 '제4 실시 예'로 정의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상태 내지 상기 제4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0)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방법은 메모리 등에 저장된 코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제1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1광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
제2시각정보를 형성하는 제2광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광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제2광 중 어느 하나는 투과하고, 다른 하나는 반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광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상기 제2광 중 일부를 제1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 및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상기 제1광 중 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반사부로 광을 출력하는 제1부분과 상기 광합성부로 광을 출력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방향이 정의되며, 상기 제2부분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반전되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광 중 일부에 대응하는 제3시각정보가 형성되는 제1스크린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방향으로 반사된 광에 대응하는 제4시각정보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은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서 제1사이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서 제2사이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각도 및 상기 제2사이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1사이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2사이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1사이각도가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광 중 일부는 상기 제1반사부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사이각도가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광 중 일부는 상기 제1반사부를 통과하여 상기 광합성부를 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합성부의 사이에서 틸팅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사이각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일부에 소정 색을 가지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각도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하 반전시키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사이각도 및 상기 제2사이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서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제1사이각도가 가변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이동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서 제3사이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사이각도가 가변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과 상기 제2반사부는 상호 마주보는 제1상태 및 상호 평행한 제2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상호 반대반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합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광 중 일부가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합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광 중 일부가 상기 광합성부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합성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반사부의 일 면은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203A KR101973995B1 (ko) | 2017-11-29 | 2017-11-29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US16/114,647 US10665144B2 (en) | 2017-11-29 | 2018-08-28 |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CN201811100304.XA CN109835257B (zh) | 2017-11-29 | 2018-09-20 | 显示装置及具有该显示装置的车辆 |
EP18206973.2A EP3492296B1 (en) | 2017-11-29 | 2018-11-19 |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DE202018005509.3U DE202018005509U1 (de) | 2017-11-29 | 2018-11-28 | Anzeigevorrichtung und damit ausgestattetes Fahrzeu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203A KR101973995B1 (ko) | 2017-11-29 | 2017-11-29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3995B1 true KR101973995B1 (ko) | 2019-08-23 |
Family
ID=6436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2203A KR101973995B1 (ko) | 2017-11-29 | 2017-11-29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665144B2 (ko) |
EP (1) | EP3492296B1 (ko) |
KR (1) | KR101973995B1 (ko) |
CN (1) | CN109835257B (ko) |
DE (1) | DE202018005509U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4138A (ko) * | 2020-10-23 | 2022-05-02 |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 캔 통신을 통해 운송수단과 연동되어 작동상태 및 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외장형 클러스터 |
US11945308B2 (en) | 2019-11-01 | 2024-04-02 | Lg Electronics Inc. | Spatial image cluster for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95291B2 (ja) | 2018-01-30 | 2022-07-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表示装置 |
CN108508607A (zh) * | 2018-03-30 | 2018-09-0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车载显示设备 |
JP7448361B2 (ja) * | 2020-01-27 | 2024-03-12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画像表示装置 |
TWI736475B (zh) * | 2020-11-19 | 2021-08-11 |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 儀表裝置 |
CN113276676A (zh) * | 2021-06-29 | 2021-08-20 |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汽车涉水警示信号留置显示装置及方法 |
CN113858948B (zh) * | 2021-08-17 | 2023-02-03 | 黑龙江天有为电子有限责任公司 | 一种裸眼3d汽车仪表盘及汽车 |
US20240001761A1 (en) * | 2022-07-01 | 2024-01-04 | Brelyon Inc. | In-vehicle display with stereoscopic and monocular depth programming |
FR3146628A1 (fr) * | 2023-03-17 | 2024-09-20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Elément de garnissage comprenant une zone d’affichage réfléchissant la lumière d’un dispositif d’affichag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92434A (ja) * | 2008-02-15 | 2009-08-27 | Denso Corp | 表示装置 |
KR20140134184A (ko) * | 2013-05-13 | 2014-11-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US20150379773A1 (en) * | 2014-06-27 | 2015-12-31 | Honda Motor Co., Ltd. | Display device for vehicle |
JP2016159779A (ja) * | 2015-03-02 | 2016-09-05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 |
KR20170091083A (ko) * | 2014-07-22 | 2017-08-08 | 나브디, 인크. | 컴팩트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
JP2017149354A (ja) * | 2016-02-26 | 2017-08-31 | 日本精機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2411A (ja) * | 1999-05-10 | 2001-09-07 | Asahi Glass Co Ltd | ホログラム表示装置 |
US5639151A (en) | 1996-02-16 | 1997-06-17 | Mcnelley; Steve H. | Pass-through reflective projection display |
CN102314315B (zh) * | 2010-07-09 | 2013-12-11 | 株式会社东芝 | 显示装置、图像数据生成装置、图像数据生成程序及显示方法 |
US8277055B2 (en) | 2010-07-21 | 2012-10-02 | Delphi Technologies, Inc. | Multiple view display system using a single proje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JP6027878B2 (ja) | 2012-12-12 | 2016-11-16 | 矢崎総業株式会社 | 複合表示装置 |
KR102071693B1 (ko) * | 2014-02-07 | 2020-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631963B1 (ko) * | 2014-04-30 | 2016-06-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
KR102309316B1 (ko) * | 2015-06-02 | 2021-10-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
EP3415394B1 (en) * | 2016-02-12 | 2023-03-01 | LG Electronics Inc. |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
US9919600B2 (en) | 2016-02-27 | 2018-03-20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s |
EP3428033B1 (en) * | 2016-03-07 | 2023-03-08 | LG Electronics Inc. |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
JP2017207607A (ja) | 2016-05-18 | 2017-11-24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多層画像表示装置 |
-
2017
- 2017-11-29 KR KR1020170162203A patent/KR101973995B1/ko active
-
2018
- 2018-08-28 US US16/114,647 patent/US10665144B2/en active Active
- 2018-09-20 CN CN201811100304.XA patent/CN109835257B/zh active Active
- 2018-11-19 EP EP18206973.2A patent/EP3492296B1/en active Active
- 2018-11-28 DE DE202018005509.3U patent/DE202018005509U1/de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92434A (ja) * | 2008-02-15 | 2009-08-27 | Denso Corp | 表示装置 |
KR20140134184A (ko) * | 2013-05-13 | 2014-11-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US20150379773A1 (en) * | 2014-06-27 | 2015-12-31 | Honda Motor Co., Ltd. | Display device for vehicle |
KR20170091083A (ko) * | 2014-07-22 | 2017-08-08 | 나브디, 인크. | 컴팩트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
JP2016159779A (ja) * | 2015-03-02 | 2016-09-05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 |
JP2017149354A (ja) * | 2016-02-26 | 2017-08-31 | 日本精機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45308B2 (en) | 2019-11-01 | 2024-04-02 | Lg Electronics Inc. | Spatial image cluster for vehicle |
KR20220054138A (ko) * | 2020-10-23 | 2022-05-02 |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 캔 통신을 통해 운송수단과 연동되어 작동상태 및 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외장형 클러스터 |
KR102443046B1 (ko) * | 2020-10-23 | 2022-09-14 |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 캔 통신을 통해 운송수단과 연동되어 작동상태 및 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외장형 클러스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92296A1 (en) | 2019-06-05 |
US20190164463A1 (en) | 2019-05-30 |
DE202018005509U1 (de) | 2019-05-13 |
EP3492296B1 (en) | 2020-02-26 |
CN109835257B (zh) | 2022-05-17 |
US10665144B2 (en) | 2020-05-26 |
CN109835257A (zh) | 2019-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399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197896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2130800B1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1922009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201549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1969805B1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2018554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2056377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1977092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20200013138A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2480702B1 (ko) |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EP3450240B1 (en) |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
KR102017801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2212777B1 (ko) | 영상 출력 장치 | |
KR102391664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191988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2064420B1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1982534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 |
KR101929817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1859042B1 (ko) |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 |
KR101870726B1 (ko) |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20190105176A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