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849A - 워크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워크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849A
KR20190039849A KR1020180092285A KR20180092285A KR20190039849A KR 20190039849 A KR20190039849 A KR 20190039849A KR 1020180092285 A KR1020180092285 A KR 1020180092285A KR 20180092285 A KR20180092285 A KR 20180092285A KR 20190039849 A KR20190039849 A KR 2019003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work
traveling wave
linea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유키 기무라
미네타카 마에다
다카노부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18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04Driving mean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308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84Troughs, tubes or the like
    • B65G2812/0388Troughs, tub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리니어 피더와 볼 피더를 갖는 것에 있어서 양 피더 사이의 워크 수수를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송 트랙인 나선 트랙(10x)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반송부(10a)와, 이 반송부(10a)에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진행파 발생 수단(3)을 구비하고, 진행파 발생 수단(3)이 발생시킨 진행파에 의하여, 나선 트랙(10x)을 따라 반송한 워크 W를 워크 배출부(10z)로부터 배출하는 볼 피더(1)를 구비하는 파트 피더 PF에 있어서, 이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는, 진행파의 진행 방향(근사적으로 접선 T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배출 방향 F0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워크 반송 장치{APPARATUS FOR CONVEYING WORK}
본 발명은, 진행파에 의하여 워크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니어 피더와 볼 피더를 갖는 것에 있어서 양 피더 사이의 워크 수수를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한 워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칩 부품 등의 소형 워크를 진동에 의하여 반송하면서 정렬시켜 다음 공정에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에는, 직선상으로 뻗어 있는 반송로를 따라 워크를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와, 그 상류측에, 워크를 많이 저류할 수 있는 볼 피더를 접속한 것이 자주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를 접속한 장치에서는 양 피더의 진동 방향, 진동 주파수, 진폭이 상이하기 때문에, 볼 피더의 반송로로부터 리니어 피더의 반송로에의 워크 수수부에서 반송로 사이에 간극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데, 이 간극에 워크가 쌓이거나 걸리거나 하기 쉽다. 따라서 통상은, 워크 수수부에서 볼 피더의 반송로보다도 리니어 피더의 반송로를 낮게 하여 워크가 원활히 옮겨 타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71826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워크 수수부의 반송로 사이에 단차를 마련한 경우에는, 볼 피더에서 워크를 정렬시키고 있더라도 일부 워크는, 리니어 피더로 옮겨 탄 때 그 충격으로 자세를 변화시키거나 워크끼리 중첩되거나 해 버린다. 이들 소정의 자세가 아니게 된 워크는 반송로의 도중에서 배제되기 때문에, 공급 능력 부족으로 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니어 피더에서 배제된 부품을 볼 피더로 복귀시킬 필요도 있어,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접속부는 구조·기구가 복잡해져 여분의 가공이나 추가 부품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래서, 변위를 작게 할 수 있는 진행파 반송 장치를 적용하여, 도 21과 같이 리니어 피더(2p)와 볼 피더(1p)의 반송 트랙(2px, 1px)를 동일 높이로 하여 양자를 접근시키는 것이 하나의 유효한 수단으로서 생각된다.
그러나 도시와 같이 배치하는 경우, 볼 피더(2p) 및 리니어 피더(1p)의 일부를 도려 내어 끼워맞출 필요가 있어 가공 공정 수가 증대될 뿐 아니라, 볼 피더(2p) 및 리니어 피더(1p)의 각각에 있어서, 결국 반송부의 구조의 대칭성이 무너져 진행파비가 악화되어 버린다. 또한 동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2p)의 진행파 D'과 볼 피더(1p)의 진행파의 진행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개소 주변에 워크 수수부(접속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접속면 외 방향으로 수평 진동(이 경우, 볼. 타원 진동의 수평 성분으로 수 ㎛ 정도)이 발생하여 리니어 피더(2p)와 볼 피더(1p)를 완전히 접속할 수는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착안하여, 볼 피더의 배출 방향을 고안하여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워크 반송 장치는, 나선상의 반송 트랙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진행파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행파 발생 수단이 발생시킨 진행파에 의하여, 상기 반송 트랙을 따라 반송한 워크를 워크 배출부로부터 배출하는 볼 피더를 구비하는 워크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피더의 워크 배출부는,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배출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워크 배출부의 배출 방향 중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이 커질수록 워크 배출부는 진행파에 의한 수평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인접 배치되는 요소 부품과의 사이를 더 근접시킨 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볼 피더의 반송부를 거의 절삭하지 않아도 되고, 배출부를 접선 방향으로 연장 돌출시킬 필요도 없기 때문에, 볼 피더의 대칭성을 담보하여 진행파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출 방향은, 나선의 방향을 근사적으로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동일시한 경우의 배출 방향을 포함한다. 즉, 이 경우,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란, 나선 궤도로부터 일탈하는 방향, 즉, 규칙적으로 개방되는 나선 궤도에 있어서 그 나선의 규칙성이 도중에서 무너지고 그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되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니어 피더를 더 구비하고, 이 리니어 피더는, 직선상의 반송 트랙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포함하여 주회하는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진행파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행파 발생 수단이 발생시킨 진행파에 의하여, 워크 도입부로부터 도입한 워크를 상기 반송 트랙을 따라 반송하는 것이며, 이 리니어 피더의 워크 도입부가 상기 볼 피더의 외주연에 있어서 상기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리니어 피더의 워크 도입부를, 볼 피더를 구성하는 볼 본체의 외주연에서 워크 배출부에 근접시키는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리니어 피더의 반송 트랙은, 배출 방향의 메인 트랙과, 워크를 볼 피더로 귀환시키기 위한 리턴 트랙을, 미리 설정한 기준선의 양측에 걸쳐 배치하고, 이 기준선을 연장한 끝은 상기 볼 피더의 중심 또는 그 근방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준선 상에 있어서는, 볼 피더의 진행파와 리니어 피더의 진행파는 거의 교차하고 있지 않아, 서로 상대방의 피더를 향하는 수평 진동 분은 거의 0으로 된다. 이 때문에, 리니어 피더와 볼 피더의 접속부의 갭을 거의 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니어 피더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메인 트랙의 시단이 트랙상의 진행파의 궤적 중 U자부와 직선부의 교점으로부터 직선부를 연장시킨 위치에 워크 도입부를 개구시키고 있고, 이 위치에 있어서 볼 피더의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장 영역은 진행파의 궤도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리니어 피더로부터 볼 피더에의 수평 진동 분의 영향이 적어진다. 그리고 이 영역에서는, 볼 피더로부터 도입한 워크의 초속도나, 리니어 피더의 메인 트랙의 직선부의 진동에 의하여 워크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니어 피더는 장원상을 이루고, 메인 트랙의 시단이 U자부를 따라 상기 기준선측으로 만곡되면서 외주연에 워크 도입부를 개구시키고, 이 위치에 있어서 볼 피더의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리니어 피더의 워크 도입부가 기준선에 근접할수록 볼 피더의 워크 배출부도 기준선에 근접하여, 볼 피더의 진행파와 리니어 피더의 진행파의 교차가 적어진다. 그리고 리니어 피더의 메인 트랙에 도입된 워크는, U자부에 있어서도 진행파에 의하여 유효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피더의 볼 피더와의 대향면이 작아지기 때문에, 더 간섭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 피더를 또한 하류 공정에 구비하고, 이 배출 피더는 진행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구조이며 배출 방향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하여 마련되고, 워크 도입부가 상기 상류 공정의 피더 중 말단에 위치하는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배출 피더는 진행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점에서 상류 공정의 피더 배출부에 극히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어, 경사와 관성을 이용하여 워크를 단차 없이 원활히 다음 공정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 피더에 인접시켜 리니어 피더 등의 요소 부품을 배치한 경우에, 리니어 피더로부터 리니어 피더 등에 워크를 원활히 수수하는 것이 가능한 워크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파트 피더를 구성하는 볼 피더에 진행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반송부에 진행파가 발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반송부에 진행파가 발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동 파트 피더를 구성하는 리니어 피더에 진행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7은 동 접속부에 있어서의 진행파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도 6에 대응한 평면도.
도 8은 동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리니어 피더와 배출 피더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도.
도 15는 동 배출 피더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동 배출 피더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동 배출 피더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동 배출 피더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파트 피더를 구성하는 볼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다른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종래의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 22는 동 파트 피더를 구성하는 리니어 피더의 워크 배출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 PF를 도시하고 있다. 이 파트 피더 PF는 볼 피더(1)와 리니어 피더(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볼 피더(1)에 공급된 워크 W를 나선상으로 등판시켜 반송한 후, 인접 배치한 리니어 피더(2)에 수수하고 또한 반송시키는 것이다.
볼 피더(1)는, 워크 W를 수용 가능한 볼 본체(10)와, 이 볼 본체(10)의 반송부(10a)에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도 2에 도시하는 진행파 발생 수단(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송부(10a)는, 휨 진행파를 생성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행파 발생 수단(3)은, 압전 소자를 사용한 구동 수단(31)에 의하여 반송부(10a)에 휨 변형을 야기한다.
볼 본체(10)는, 평탄한 중앙부(11)와, 이 중앙부(11)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하향 구배로 경사지는 원추부(12)와, 이 원추부(12)의 외주측보다 외주를 향하여 상향 구배로 경사지는 역원추부(14)와, 원추부(12)에서 역원추부(14)까지의 사이에 형성된 평탄한 워크 저류부(13)와, 역원추부(14)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연부(15)를, 저면(16)의 위치를 정렬시켜 일체로 마련한 것이며, 중앙부(11)가 압박판(17)을 통해 지착구(18)에 의하여 지지 기부인 받침대(19)에 고정되고, 중앙부(11) 이외의 부위가 접지면 F로부터 들뜬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부(10a)에 반송 트랙의 일 형태인 나선 트랙(10x)을 형성하고 있다. 이 나선 트랙(10x)은, 일단(10x1)이 워크 저류부(13)의 외주에 접속되고, 그곳으로부터 나선상으로 1회 이상 주회하여 타단(10x2)에까지 뻗어 있으며, 외연부(15)에 마련한 워크 배출부(10z)로 이어지도록 볼 본체(10)의 표면에 홈을 오목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볼 본체(10)는, 20㎑ 이상의 초음파 진동이며, 중심 m의 주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하 방향의 휨 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파 발생 수단(3)을 구성하는 구동 수단(31)은, 도 1에 도시한 나선 트랙(10x)이 형성된 역원추부(14)로부터 외연부(15)에 걸친 부분의 저면(16)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 수단(31)은 압전 소자를 사용한 것이며, 반송부(10a)를 거의 따르는 형태로 중심 m의 주위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반송부(10a)에 형성된 나선 트랙(10x)에 휨을 발생시킨다. 복수의 구동 수단(압전 소자)(31)은, 진동 모드의 중간 위치에 1/2 파장 간격으로 극성을 교호로 뒤바꾸어 붙여져 있다. 또한 구동 수단(31)은,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면서 공간적으로 파의 위상이 90° 어긋난 2개의 휨 정재파 모드에서 효율적으로 가진하기 위하여, 가진하는 영역 중 볼 본체(10)의 대략 반주를 제1 가진 영역 A, 나머지 대략 반주를 제2 가진 영역 B로 하고, 제1 가진 영역 A와 제2 가진 영역 B에 구동 수단(31)을, 진행파의 파장 λ에 대하여 λ(1+2n)/4(n=0, 1, 2, …)만큼 공간적 위상을 어긋하게 하여 부착함과 함께, 2상 교류 신호 발신부(30)에서 발생시킨 90° 위상이 상이한 교류 신호를 제1 증폭기(32a) 및 제2 증폭기(32b)를 통해 제1 가진 영역 A 및 제2 가진 영역 B의 각 구동 수단(31)에 인가하고 있다.
또한 2상 교류 신호 발신부(30)는, 파형 선택부(30a)에서 선택된 파형의 주파수를 가진 주파수 조정 수단(30b)으로 조정하고, 제1 진폭 조정 수단(30c)으로 진폭 조정한 후에 제1 증폭기(32a)에, 또한 전기적 위상 조정 수단(30d)으로 위상을 조정한 다음에 제2 진폭 조정 수단(30e)으로 진폭 조정한 후에 제2 증폭기(32b)에, 각각 입력하고 있다. 또한 정재파란, 공진하면 그 자리에서 단순히 상하로 진동하는 것이다. 도 8 우측 도면은, 반송부(10a)에 0° 정재파 모드가 발생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도 5로부터 중심선의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90° 어긋난 위치에 산과 골을 갖는 또 하나의 정재파 모드인 90° 정재파 모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동 수단(31)에 의하여, 반송부(10a)에, 주위 방향을 따라 2개소에 시간적으로 위상을 90° 어긋나게 한 초음파의 정현파 진동을 부여하면,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90° 어긋난 2개의 정상파가 중첩되고, 반송부(10a) 자체가 공진하여 탄성 변형되어, 휨 진동이 진행파로 된다. 진행파가 발생한 반송부(10a)의 1점 Z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산점 t=0으로부터 t=3/4T를 거쳐 타원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반송부(10a)에 생성된 진행파에 의하여, 파의 정점의 1점 Z에서 워크 W에 힘이 작용하여, 워크 W와 반송부(10a) 사이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력 e가 발생함으로써, 타원 진동의 수평 성분(수평 진폭)의 추진력에 의하여, 진행파가 나아가는 방향(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d)과 역방향(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c)으로 워크 W가 반송된다. 반송부(10a)에서 이와 같은 휨 파의 진행파가 순환함으로써 워크 W는 나선 트랙(10x)을 등판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10a)의 상부에는,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슬릿 S1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 S1은 직경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중립축 N(반송부가 만곡될 때의 굽힘 중심으로 되는 가상선)이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반송부를 진행파의 진행 방향으로 변형시켜기 쉽게 하여, 타원 운동에 관한 타원을 가로로 긴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워크 W에 작용하는 힘의 수평 성분을 증대시킴과 함께 수직 성분이 저감된다. 따라서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반송부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면 상에서의 워크 W를 최대한 튀게 하지 않고 반송 속도를 향상시켜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리니어 피더(2)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트랙(2x)과 병행으로 리턴 트랙(20x)의 일부인 병주부(20x1)가 뻗어 있으며, 이 리턴 트랙(20x)의 병주부(20x1)는 U자부(20x2)을 통해 되돌아오고, 귀환부(20x3)를 통하여 볼 피더(1)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트랙(20x1, 20x2, 20x3)도 워크 반송부(20a)에 홈을 오목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메인 트랙(2x)에는, 그곳을 주행하는 워크 W가 적정 자세인지의 여부를 선별하는 자세 판별부(21), 및 불량 자세인 워크를 배출하는 배출부(22)가 마련되어 있으며, 불량으로 판정된 워크 W가 메인 트랙(2x)으로부터 리턴 트랙(20x)의 병주부(20x1)로 튕겨나 U자부(20x2) 및 귀환부(20x3)를 거쳐 볼 피더(1)로 귀환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리니어 피더(2)에도 장원상의 궤도를 따라 진행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도 1,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를 이용한 구동 수단(41)이 저면의 받침대(19)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저면(26)에 배치되며, 그 내측이 지착구(28)로 받침대(19)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 수단(41)도, 0° 정재파 모드와 90° 정재파 모드가 발생하도록 제1 가진 영역 A'과 제2 가진 영역 B'의 각각에 1/2 파장 간격으로 극성을 상이하게 하여 압전 소자를 배치하고, 제1 가진 영역 A'과 제2 가진 영역 B'의 사이에는 진행파의 파장 λ에 대하여 λ(1+2n)/4(n=0, 1, 2, …)의 간격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볼 피더(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상 교류 신호 발생부(40)에서 발생시킨 소정 위상차의 구동 신호를 증폭기(42a, 42b)에서 증폭하여 각 압전 소자(41)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2상 교류 신호 발신부(40)도 상기 2상 교류 신호 발신부(30)과 마찬가지로 파형 선택부(40a), 가진 주파수 조정 수단(40b), 전기적 위상 조정 수단(40d), 제1 진폭 조정 수단(40c), 제2 진폭 조정 수단(40e)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리니어 피더(2)의 메인 트랙(2x) 및 리턴 트랙(20x)에도, 소정 간격을 두고 반송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릿 S2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 S2의 구조 및 기능은 상기 볼 피더(1)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이다. 볼 피더(1)와 리니어 피더(2)의 구동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 PF는,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를,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을 배출 방향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반송 트랙(10x)은, 규칙적으로 개방되는 나선을 그린 후, 그 나선의 규칙성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 근처에서 무너져, 본래이면 화살표 E 방향으로 나선이 계속되는 바, 이것이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궤도를 변경하고, R상으로 만곡되어 외주연(15)에 개구되어 있다.
그 종단의 배출 방향 F0은, 볼 피더(1)의 직경 방향 R와 진행파의 진행 방향(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선 방향 T에 근사하고 있음) 사이의 각도로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선 방향 T로부터 30° 이상의 각도 방향,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으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약 60°로 설정되어 있다. 반송부(20a)의 표면은 진행파의 진행 방향으로 수평 진동하기 때문에, 접선 방향 T와 교차하는 각도가 90°에 근접할수록 진행파에 의한 수평 진폭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볼 피더(1)의 외주연(15)은, 리니어 피더(2)가 접속되는 개소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의 폭 치수 W만큼 본래의 외주연(15')의 영역이 직선상으로 절제되고, 그 절취부(15t)가 리니어 피더(3)의 단면(25t)과 면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리니어 피더(2)는, 메인 트랙(20x1)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W 방향)의 거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기준선 M으로 한 경우에, 이 기준선 M의 양측에 걸쳐 메인 트랙(20x1)과 리턴 트랙(20x)을 배치하고, 그 기준선 M을 연장한 끝이 볼 피더(1)의 중심 m 또는 그 근방을 통과하도록, 리니어 피더(2)를 볼 피더(1)의 접선 방향 T'과 대략 직각으로 맞닿게 하거나 또는 극접근시켜 배치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연(15')을 절제하는 것에 의한 볼 피더(1)의 단면(15t)에 리니어 피더(2)의 단면(25t)를 가볍게 접촉시켜 배치하고,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와 리니어 피더(2)의 워크 도입부(20ent)를 합치시키고 있다. 이 워크 도입부(20ent)는, 메인 트랙(2x)의 시단이 트랙상의 진행파의 궤적 중 U자부와 직선부의 교점 CR로부터 직선부를 연장시킨 부위에 위치한다. 이때, 상류측의 나선 트랙(1x)의 워크 접촉면은 하류측의 메인 트랙(20x1)의 워크 접촉면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로 설정된다.
또한 기준선 M을 사이에 두고 메인 트랙(20x1)의 워크 도입부(20ent)와 리턴 트랙 귀환부(20x3)의 출구부(20exi)는 대략 대칭의 위치 관계에 있으며, 볼 피더(2)의 워크 배출부(10z)는, 도 21에 도시하는, 종래의 접선 방향으로 설정되는 워크 배출부(10p)로부터 비교하면, 워크 W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 가까이 위상이 나아간 위치에 워크 배출부(10z)가 설정되어 있다.
특히 수평 진동이 간섭하기 쉬운 것은 리니어 피더(2)와 볼 피더의 접속 중심부이다. 도 20에 도시한 종래 구조에서는, 볼 피더(1)의 일부를 잘라 내어 진행파의 진행 방향 C'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속 단면(15tp)을 마련하고, 이 접속 단면(15tp)에 리니어 피더(2)의 단면(25tp)를 맞닿게 하거나 근접시켜 배치하고 있으며, 리니어 피더(2)에 있어서의 진행파의 진행 방향 D'에 대하여 볼 피더(1)에 있어서의 진행파의 진행 방향 C'이 거의 90°로 교차하고 있었기 때문에,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p) 부근의 진행파의 수평 진동과 리니어 피더(2)의 워크 도입부(20entp) 부근의 진행파의 수평 진동이 대략 90°로 교차하여, 간섭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한편, 도 6의 구조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피더(1)에 있어서의 진행파의 진행 방향 C와 대략 평행인 상태에서 리니어 피더(2)의 단면이 위치하고, 리니어 피더(2)에 있어서의 진행파의 진행 방향 D에 대하여 볼 피더(1)에 있어서의 진행파의 진행 방향 C가 거의 교차하지 않는 상태에서 양 피더(1, 2)가 접속되기 때문에, 볼 피더(1)의 단면(15t)과 리니어 피더(2)의 단면(25t)의 갭을 거의 0으로 하더라도, 수평 진동 성분에 의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볼 피더(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2)의 리턴 트랙(20x3)의 출구부(20exi)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을 새겨 형성하여 회수부(10z2)가 마련되어 있다. 볼 피더(1)는 유발상이기 때문에, 워크 W의 출구부(20exi)로부터 방출된 워크 W는 종속에 의하여 나선 트랙(10x) 상을 뛰어넘어 워크 저류부(13)로 귀환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가령 등판 도중의 워크 W와 충돌하여 이들이 낙하하더라도, 후속의 등판 중인 워크 W가 사이를 메우기 때문에 워크 공급에 지장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2)를 소정 각도 θ만큼 경사지게 하여 메인 트랙(2x)보다도 리턴 트랙(20x)의 워크 귀환부(20x3) 쪽이 높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볼 피더(1)측의 회수부(10z2)의 홈 가공 깊이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파트 피더 PF는, 접속 방향의 수평 진동의 중첩을 0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 피더(1, 2) 사이의 갭도 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트랙(1x, 2x)의 연속성이 확보됨과 함께,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로부터 배출된 워크 W가 리턴 트로프(2)의 워크 도입부(20ent)로 단차 없이 옮겨 탈 수 있다.
특히 슬릿 S1은 수평 진폭을 크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도 20, 21에 도시하는 종래 구조에서는, 볼 피더(1p)의 워크 배출부(10p)와 리니어 피더(2)의 워크 도입부(20entp)의 간섭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를 이루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진행파의 진행 방향이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가 유효하게 해소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0, 21의 경우에는, 볼 피더(1p)와 리니어 피더(2p)를 접속하기 위하여, 볼 피더(1p)의 워크 배출부(10p) 부근 및 리니어 피더(2)의 리턴 트랙 귀환부(20x3p)의 종단 부근에 있어서 양 피더(1p, 2p)가 잘라 내어지고, 이것에 의하여 대칭성이 무너지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것이었지만, 도 6과 같은 구조로 하면,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 부근 및 리니어 피더(2)의 리턴 트랙 귀환부(20x3)의 종단 부근에 있어서, 양 피더(1, 2)에 그와 같은 가공이 거의 필요하지 않아 양 피더(1, 2)의 대칭성이 유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진행파비가 높은 진행파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워크 반송 장치된 파트 피더 PF는, 반송 트랙인 나선 트랙(10x)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반송부(10a)와, 이 반송부(10a)에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진행파 발생 수단(3)을 구비하고, 진행파 발생 수단(3)이 발생시킨 진행파에 의하여, 나선 트랙(10x)을 따라 반송한 워크 W를 워크 배출부(10z)로부터 배출하는 볼 피더(1)를 구비하고, 이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는, 진행파의 진행 방향(근사적으로 접선 T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배출 방향 F0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워크 배출부(10z)의 배출 방향 F0 중 진행파의 진행 방향 T와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이 커질수록, 워크 배출부(10z)는 진행파에 의한 수평 진동의 영향을 받아 반경 방향으로 수평 진동하는 일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인접 배치되는 요소 부품과의 사이를 더 근접시킨 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볼 피더(1)의 반송부(10a)를 거의 절삭하지 않아도 되고, 워크 배출부(10z)를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접선 방향으로 연장 돌출시킬 필요도 없기 때문에, 볼 피더(1)의 대칭성을 담보하여 진행파비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 형태의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 PF는 리니어 피더(2)를 더 구비하고, 이 리니어 피더(2)는, 직선상의 반송 트랙인 메인 트랙(2x)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반송부(20a)와, 이 반송부(20a)를 포함하여 주회하는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진행파 발생 수단(4)을 구비하고, 이 진행파 발생 수단(4)이 발생시킨 진행파에 의하여, 워크 도입부(20ent)로부터 도입한 워크 W를 반송 트랙인 메인 트랙(2x)을 따라 반송하는 것이며, 이 리니어 피더(2)의 워크 도입부(20ent)가 볼 피더(2)의 외주연(15)에 있어서 워크 배출부(10z)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리니어 피더(2)와 볼 피더(1)의 구동 주파수가 상이하더라도 리니어 피더(2)의 워크 도입부(20ent)를, 볼 피더(1)를 구성하는 볼 본체(10)의 외주연(15)에 있어서 워크 배출부(10z)에 가볍게 접촉시키거나 또는 극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어, 볼 피더(1)와 리니어 피더(2)의 접속부의 갭을 거의 0으로 하는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리니어 피더(2)의 반송 트랙(20x)은, 배출 방향의 메인 트랙(2x)과, 워크를 볼 피더(1)에 귀환시키기 위한 리턴 트랙(20x)을, 미리 설정한 기준선 M의 양측에 걸쳐 배치하고, 이 기준선 M을 연장한 끝은 볼 피더(1)의 중심 m 또는 그 근방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 기준선 M 상에 있어서는, 볼 피더(1)의 진행파와 리니어 피더(2)의 진행파는 거의 교차하고 있지 않아, 서로 상대방의 피더(2, 1)를 향하는 수평 진동 분은 거의 0으로 된다. 이 때문에, 리니어 피더(2)와 볼 피더(1)의 접속부의 갭을 거의 0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 형태의 리니어 피더(2)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메인 트랙(2x)의 시단이 트랙상의 진행파의 궤적 중 U자부와 직선부의 교점 CR로부터 직선부를 연장시킨 위치에 워크 도입부(20ent)를 개구시키고 있고, 이 위치에 있어서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연장 영역 EA는 진행파의 궤도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리니어 피더(2)가 볼 피더(1)에 미치는 수평 진동 분이 적어진다. 그리고 볼 피더(1)로부터 이 연장 영역 EA에 들어간 워크 W는, 그 초속도나 리니어 피더(2)의 진동에 의하여 본래의 메인 트랙(2x)에까지 유효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각 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 형태>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 PF1은, 볼 피더(101)에 리니어 피더(102)가 접속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볼 피더(101)의 워크 배출부(110z)에 대하여,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배출 방향이 설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리니어 피더(102)를 구성하는 메인 트랙(102x)의 워크 도입부(120ent)에 대해서도, 진행파의 진행 방향 T10'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도입 방향 F10'이 설정되어 있다.
즉, 메인 트랙(102x)의 워크 도입부(120ent)는, 본래이면 직선상을 이루는 곳에 압전 소자가 붙여져 진행파가 발생하고, U자부는 진행파를 주회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며, 도 6의 구성에 있어서는 U자부와 메인 트랙의 교점 CR보다도 볼 피더(1)측으로 뻗어 있는 직선상의 연장 영역 EA에서는, 워크 W는 주로 볼 피더(1)로부터 배출된 때의 속도로 주행한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메인 트랙(102x)은, 워크 도입부(120ent)가 직선부뿐 아니라 U자부의 진행파도 이용하기 때문에 중심선 M측에 R부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도중에서 그 U자부를 따른 진행파의 궤적을 벗어나 외측으로 만곡되면서 단면에 개구되어 있다(F101의 방향).
여기서도, 진행파의 진행 방향을 근사적으로 U자부의 트랙의 방향과 동일시하면,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란, U자 궤도로부터 일탈하는 방향, 즉, U자 궤도의 R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되는 방향을 말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 엄밀하게는 리니어 피더(2)의 기준선 M 상에서는, 볼 피더(1)의 진행파와 리니어 피더(2)의 진행파는 교차하지 않지만, 그곳으로부터 리니어 피더(2)의 폭 방향으로 접속 위치가 변위됨에 따라 볼 피더(1)의 진행파에는 리니어 피더(2)의 방향을 향하는 진동 성분이 발생하고, 리니어 피더(2)의 진행파에는 볼 피더(1)의 방향을 향하는 진동 성분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접속 위치는 최대한 중심선 M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도 9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볼 피더(101)의 워크 배출부(110zx)와 리니어 피더(102)의 워크 도입부(120ent)의 접속 위치가 더 기준선 M에 근접되므로, 리니어 피더(102) 및 볼 피더(101)의 접속 단면(125t, 115t)의 폭 치수가 작아지고, 이것에 의하여 진행파끼리의 교차에 의한 간섭이 더 억제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는, 리니어 피더(102)의 리턴 트로프(120x)측의 워크 귀환부(120x3)와 볼 피더(101)측의 워크 회수부(110z2)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와 같이 리니어 피더(102)가 장원상인 점에서 직선부와 U자부의 강성이 동등해져, 전체에 걸쳐 높은 진행파비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0에 도시하는 워크 반송 장치된 파트 피더 PF2는, 볼 피더(201)에 리니어 피더(202)가 접속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볼 피더(201)의 워크 배출부(210z)에 대하여,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배출 방향 F201이 설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리니어 피더(202)를 구성하는 메인 트랙(202x)의 워크 도입부(220ent)에 대해서도,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도입 방향 F202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트랙(202x)의 워크 도입부(220ent)와 볼 피더(201)의 워크 배출부(210z) 사이에 진행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접속 트랙을 갖는 접속 부재(200)를 배치하고, 이 접속 트랙을 통해 워크 도입부(220ent)가 볼 피더(201)의 워크 배출부(210z)에 접속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리니어 피더(2)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메인 트랙(202x)의 워크 도입부(220ent)는 직선상으로 뻗어 있고 볼 피더(201)와의 접속부측의 단면에 개구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진행파의 궤도를 따라 리니어 피더(202)를 장원상으로 형성하고, 리니어 피더(202)와 볼 피더(201) 사이에 발생하는 쐐기상의 간극에 접속 부재(200)를 배치한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 엄밀하게는 리니어 피더(2)의 폭 방향 중심선 M 상으로부터 리니어 피더(2)의 워크 도입부(20ent)가 폭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 볼 피더(1)의 진행파에는, 리니어 피더(2)의 방향을 향하는 진동 성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진행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접속 부재(200)로 접속함으로써, 진행파끼리의 중첩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턴 트로프(202)의 워크 귀환부(220x3)와 볼 피더(201)의 워크 회수부(210z2) 사이에도 동등한 취지, 동등한 양태로 접속 부재(200')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접속 부재(200, 200')는, 압전 소자 등에 의하여 가진시켜 정재파로 진동시켜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1에 도시하는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 PF3은, 볼 피더(301)에 리니어 피더(302)가 접속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볼 피더(301)의 워크 배출부(310z)에 대하여,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배출 방향 F301이 설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리니어 피더(302)를 구성하는 메인 트랙(302x)의 워크 도입부(320ent)에 대해서도,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도입 방향 F302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볼 피더(301)의 워크 배출부(310z)는, 리니어 피더(302)의 기준선 M을 넘어 당해 리니어 피더(302)를 구성하는 메인 트랙(302x)의 워크 도입부(320ent)에 접속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구성이면, 접속부 부근에서의 R가 작아 워크 W가 급격히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트랙(301x, 302x)으로부터 튀어나오거나 할 우려가 있지만, 도 11과 같이 구성하면, R를 크게 취할 수 있고, 또한 트랙(301x, 302x)끼리의 접속부를 거의 기준선 M 상에 위치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 진동 대책으로서도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단, 이 경우에는, 리턴 트랙(320x)의 워크 귀환부(320x3)를 넘은 곳에 볼 피더(301)의 나선 트랙(301x)이 위치하며, 이 위치는 등판이 거의 끝난 높이 위치에 있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워크 W가 나선 트랙(1x) 상을 뛰어넘을 것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도 11의 구성에서는, 볼 피더(301)의 볼 본체(310)에, 나선 트랙(301x) 아래를 통과하여 볼 피더(301)의 중심측으로 나오는 터널부(300t)를 형성하고 있다.
단, 이와 같은 가공을 최대한 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리니어 피더(301)를 소정 각도 θ만큼 경사지게 하여 메인 트랙(301x)보다도 리턴 트랙(320x)의 워크 귀환부(320x3) 쪽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유효해진다.
<제5 실시 형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워크 반송 장치인 파트 피더 PF4는, 직선상의 배출 트랙(405a)을 구비한 배출 피더(405)를 또한 하류 공정에 구비하고, 이 배출 피더(405)는 진행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구조이며 배출 방향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하여 마련되고, 워크 도입부(405ent)가 상류 공정의 피더 중 말단에 위치하는 리니어 피더(402)의 메인 트랙(402x)의 종단에 위치하는 워크 배출부(420z)에 접속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리니어 피더(402)의 단부 형상을 진행파의 궤도를 따라 U자형으로 함과 함께, 그 U자부에 대응하는 U자형의 접속단 형상을 갖는 배출 피더(405)를 리니어 피더(402)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배출 피더(405)의 배출 트랙(405a)은, 리니어 피더(402)의 메인 트랙(402x)에 연속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 피더(405)는, 리니어 피더(402) 중 진행파가 발생하는 반송부(402a)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으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402)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설치판(402T)에 접속부(405s, 402s)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배출 피더(402)의 경사 각도 φ는, 워크 W가 중력으로 미끄러져 떨어질 정도이고, 게다가 워크 W의 자세를 무너뜨리지 않기 위한 각도로서 가능한 한 작은 각도로 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2° 내지 2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중력으로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더라도 경사가 있으면 진동에 의하여 낙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메인 트랙(402x)의 워크 접촉면의 위치는, 배출 트랙(405)의 워크 접촉면의 위치보다도 약간 위(100㎛ 정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배출 피더(405)와 리니어 피더(402)의 U자형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10㎛ 정도)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가볍게 접촉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배출 피더(405)의 워크 배출부의 워크 접촉면과 다음 공정 설비 EQ의 워크 접촉면의 낙차 h'은 가능한 한 작게 설정된다(50㎛ 정도).
즉, 도 20에 도시하는 종래의 리니어 피더 반송부에서는, 다음 공정 설비가 리니어 피더(2p)의 선단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2p)의 오버행이 필요해져, 리니어 피더(2p)의 배출부의 워크 설치면과 다음 공정 설비 X의 워크 설치면의 거리 h가 커지는 결과, 낙하 시의 충격으로 워크의 자세가 무너져 버리는 결함이 있었지만, 또한 워크 W를 다음 공정에 공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배출부의 위치를 리니어 피더(2p)의 단부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배출 피더를 직사각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리니어 피더(2p) 중 직선 반송시키는 개소와, 반송 방향이 메인 트랙(2px)으로부터 리턴 트랙(20px)의 귀환부(20px3)로 전환되는 U자부에서 강성이 상이하여, U자부에서 진행파비가 저하되어 워크 W의 속도가 감소하거나 정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구조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배출 피더(405)를 마련하면, 타성과 경사를 이용하여 워크 W를 최종 배출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그때, 이 배출 피더(405)는 진행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점에서, 상류 공정인 리니어 피더(2p)의 워크 배출부(420z)에 극히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어 워크 W의 원활한 옮겨 타기 동작을 담보할 수 있다. 양 피더(402, 405)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도, 접촉 강성에 비하여 반송부의 굽힘 강성이 훨씬 크기 때문에 반송부의 진행파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그리고 리니어 피더(402)의 반송부 전체에 걸쳐 반송 속도를 균일하게 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 때의 워크 충격을 억제하여 자세를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피더(405) 내에서 워크의 반송(낙하)을 촉진하기 위하여, 당해 배출 피더(405)의 굽힘의 고유 진동수와 리니어 피더(402)의 구동 주파수를 일치시키고 배출 피더(405) 그 자체를 정재파로 진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피더(405)의 배면에 압전 소자(405e)를 부착하고 배출 피더(405)를 굽힘 모드에서 가진시켜도 된다. 그 경우, 리니어 피더(402)과 동시(동 주파수, 동 전압)에 가진시켜도 되고, 구동원을 따로 마련하여 다른 주파수, 전압으로 구동시켜도 된다.
여하튼, 이와 같이 배출 피더(405)가 진동함으로써, 워크 W와 반송면의 마찰력의 저하 및 진동 반송에 의하여 워크 W의 반송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 피더(405)는, 리니어 피더(402)를 통하지 않고 볼 피더(401)의 워크 배출부(401z)에 직접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니어 피더(402) 및 배출 피더(405)의 형상은 직사각 형상이어도 상기에 준한 작용 효과가 발휘되며, 배출 피더(405)는 리니어 피더(402)의 폭 방향 전역에 걸쳐 접속할 필요는 없고, 도 18의 배출 피더(405')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402)의 메인 트랙(402x)측의 반폭 분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볼 피더(1)의 워크 배출부(10z)에 리니어 피더(2)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었지만, 볼 피더 및 리니어 피더(2)의 배출 방향을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설정한다는 사고 방식에 기초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피더(501)의 워크 배출부(510z)에, 리니어 피더(502)의 단부 이외의 에지부에 마련한 워크 도입부(520ent)를 접속하고, 여기서부터 리니어 피더(502)의 메인 트랙(502x)으로 워크를 옮겨 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볼 피더
2: 리니어 피더
2x: 메인 트랙
3: 진행파 발생 수단
4: 진행파 발생 수단
10a: 반송부
10x: 나선 트랙(반송 트랙)
10z: 워크 배출부
15: 외주연
20a: 반송부
20ent: 워크 도입부
101: 볼 피더
102: 리니어 피더
102x: 메인 트랙
110z: 워크 배출부
120ent: 워크 도입부
200: 접속 부재
201: 볼 피더
202: 리니어 피더
202x: 메인 트랙
210z: 워크 배출부
220ent: 워크 도입부
301: 볼 피더
302: 리니어 피더
302x: 메인 트랙
310z: 워크 배출부
320ent: 워크 도입부
402: 리니어 피더
402x: 메인 트랙
405: 배출 피더
405a: 배출 트랙
405ent: 워크 도입부
420z: 배출부
T: 진행파의 진행 방향
M: 기준선
m: 볼 피더의 중심
T10': 진행파의 진행 방향
F0: 배출 방향
F10': 도입 방향
F301: 배출 방향
PF: 워크 반송 장치(파트 피더)
PF1: 워크 반송 장치(파트 피더)
PF2: 워크 반송 장치(파트 피더)
PF3: 워크 반송 장치(파트 피더)
PF4: 워크 반송 장치(파트 피더)
W: 워크

Claims (6)

  1. 나선상의 반송 트랙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진행파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행파 발생 수단이 발생시킨 진행파에 의하여, 상기 반송 트랙을 따라 반송한 워크를 워크 배출부로부터 배출하는 볼 피더를 구비하는 워크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피더의 워크 배출부는, 진행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배출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를 더 구비하고, 이 리니어 피더는, 직선상의 반송 트랙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포함하여 주회하는 진행파를 발생시키는 진행파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행파 발생 수단이 발생시킨 진행파에 의하여, 워크 도입부로부터 도입한 워크를 상기 반송 트랙을 따라 반송하는 것이며, 이 리니어 피더의 워크 도입부가 상기 볼 피더의 외주연에 있어서 상기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워크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피더의 반송 트랙은, 배출 방향의 메인 트랙과, 워크를 볼 피더로 귀환시키기 위한 리턴 트랙을, 미리 설정한 기준선의 양측에 걸쳐 배치하고, 이 기준선을 연장한 끝은 상기 볼 피더의 중심 또는 그 근방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워크 반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메인 트랙의 시단이 트랙상의 진행파의 궤적 중 U자부와 직선부의 교점으로부터 직선부를 연장시킨 위치에 워크 도입부를 개구시키고 있고, 이 위치에 있어서 볼 피더의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워크 반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는 장원상을 이루고, 메인 트랙의 시단이 U자부를 따라 상기 기준선측으로 만곡되면서 외주연에 워크 도입부를 개구시키고, 이 위치에 있어서 볼 피더의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워크 반송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피더를 또한 하류 공정에 구비하고, 이 배출 피더는 진행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구조이며 배출 방향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하여 마련되고, 워크 도입부가 상기 상류 공정의 피더 중 말단에 위치하는 워크 배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워크 반송 장치.
KR1020180092285A 2017-10-06 2018-08-08 워크 반송 장치 KR20190039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5664A JP7125585B2 (ja) 2017-10-06 2017-10-06 ワーク搬送装置
JPJP-P-2017-195664 2017-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849A true KR20190039849A (ko) 2019-04-16

Family

ID=6606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85A KR20190039849A (ko) 2017-10-06 2018-08-08 워크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25585B2 (ko)
KR (1) KR20190039849A (ko)
CN (1) CN109625857B (ko)
TW (1) TWI794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9327A (zh) * 2019-12-02 2020-05-05 深圳市宏普欣电子科技有限公司 上料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826A (ja) 1999-12-22 2001-06-26 Shinko Electric Co Ltd 微小部品供給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6605A (en) * 1970-06-05 1972-04-18 Larry C Gess Apparatus for orienting and feeding caps
SU818989A1 (ru) * 1979-03-11 1981-04-07 Каунас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им. Ahtahaca Снечкуса Вибрационный конвейер
JPH0221458Y2 (ko) * 1985-10-30 1990-06-11
JPS62157116A (ja) * 1985-12-28 1987-07-13 Olympus Optical Co Ltd パ−ツフイ−ダ
JPS6371121U (ko) * 1986-10-28 1988-05-13
JPH0665567B2 (ja) * 1988-06-13 1994-08-24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複数列部品供給機
JPH0286915U (ko) * 1988-12-22 1990-07-10
JP2894128B2 (ja) * 1992-12-10 1999-05-24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部品整列装置
JPH06286852A (ja) * 1993-03-31 1994-10-11 Toyo Denji Kikai Seisakusho:Yugen ゴムキャップ部品の整送装置
JP2002284336A (ja) * 2001-03-23 2002-10-03 Daishin:Kk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4005530B2 (ja) * 2003-04-07 2007-11-07 株式会社小寺電子製作所 パーツフィーダ及び端子圧着装置
JP2006232493A (ja) * 2005-02-25 2006-09-07 Shin Meiwa Ind Co Ltd 振動ボウルおよび振動ボウルフィーダ並びに真空蒸着装置
JP2010183826A (ja) * 2009-01-08 2010-08-19 Hoya Corp 超音波モータ
AT508862A1 (de) * 2009-09-15 2011-04-15 Heitec Systemtechnik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gerichtigen bereitstellen von kleinteilen
JP5859720B2 (ja) * 2010-02-18 2016-02-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
CN102424245A (zh) * 2011-08-29 2012-04-2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自动送料装置的料盘
US8733539B2 (en) * 2012-04-17 2014-05-27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Vibratory feeder for conveying components
JP6136122B2 (ja) * 2012-06-08 2017-05-3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ワーク分別システム
JP6706745B2 (ja) * 2015-02-06 2020-06-10 伊東電機株式会社 移載装置
CN105129377A (zh) * 2015-06-24 2015-12-09 中山市兴全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耳塞送料的自动排序振动盘
JP6817513B2 (ja) * 2015-08-24 2021-01-20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
CN105523366B (zh) * 2016-01-14 2018-04-24 南通大学 一种球面滚子自动上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826A (ja) 1999-12-22 2001-06-26 Shinko Electric Co Ltd 微小部品供給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25857A (zh) 2019-04-16
CN109625857B (zh) 2022-10-25
JP2019069827A (ja) 2019-05-09
JP7125585B2 (ja) 2022-08-25
TW201914933A (zh) 2019-04-16
TWI794250B (zh)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7513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6820474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190039849A (ko) 워크 반송 장치
TW202146310A (zh) 滑槽、振動搬運裝置
CN109928150B (zh) 工件输送装置
JP7004914B2 (ja) ボウルフィーダ
JP2018100139A (ja) らせん型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パーツフィーダ
JP7274698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6777857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6659952B2 (ja) 進行波搬送装置
JP6931165B2 (ja) ワーク搬送装置
TW201912542A (zh) 工件搬送裝置及工件搬送裝置之製造方法
TW202421550A (zh) 滑槽、振動輸送裝置
JP5206299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装置の部品再選別方法
JP2018108870A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18104189A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ワーク搬送装置における調整方法
CN118083466A (zh) 滑槽、振动输送装置
JP7299481B2 (ja) パーツフィーダ
KR20200115041A (ko) 보울 피더
JPS59158719A (ja) 振動部品供給装置
JP2002265033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