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539A -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539A
KR20190039539A KR1020197005803A KR20197005803A KR20190039539A KR 20190039539 A KR20190039539 A KR 20190039539A KR 1020197005803 A KR1020197005803 A KR 1020197005803A KR 20197005803 A KR20197005803 A KR 20197005803A KR 20190039539 A KR20190039539 A KR 2019003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fc
conductor
circuit
flexible flat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773B1 (ko
Inventor
겐디 호드리고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 커넥터 장치 (1) 는, 스테이터 (11) 와, 그 스테이터 (11)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 (12) 와, 스테이터 (11) 및 로테이터 (12) 사이에 형성되는 축선 (x) 둘레의 환상 공간 (S1) 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 (13) 을 구비한다. FFC 군 (13) 은, 환상 공간 (S1) 의 내주측으로 감긴 제 1 FFC (41) 와, 제 1 FFC (41)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1 FFC (41) 보다 긴 제 2 FFC (42) 를 갖는다. 제 2 FFC (42)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의 쌍방을 갖는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
본 발명은,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회로 구조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조타용의 스테어링 휠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부에, 에어백 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커넥터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둘러싸여 장착되어 있고, 또, 이 회전 커넥터 장치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 (端部) 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칼럼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또, 스테어링 휠측에는, 그 스테어링 휠의 보스부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로어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테이터와, 그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와 로테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 공간에 감겨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을 구비하고 있다. FFC 는, 금속제의 복수의 도체부를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장의 절연 필름 사이에 끼워 넣은 라미네이트 구조를 갖고 있다. FFC 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체는, 각각 차량에 탑재되는 에어백 등의 각종 장치에 대응하는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회전 커넥터 장치는, 고정측 하우징과, 그 고정측 하우징에 대해 동심상으로 또한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도록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과, 상기 양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의 케이블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된 2 개의 가요성 케이블과, 케이블 수납 공간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납된 이동체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이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2 개의 가요성 케이블 중 제 1 가요성 케이블에, 선폭이 큰 2 개의 에어백 회로용 도체와, 그보다 선폭이 작은 4 개의 혼 회로용 및 스위치 회로용 도체가 담지되고, 제 2 가요성 케이블에는, 선폭이 작은 8 개의 혼 회로용 및 스위치 회로용 도체가 담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240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에어백 회로용 도체가 제 1 FFC 에만 형성되어 있고, 에어백 회로가 1 경로이기 때문에, 조타에 의한 경년 열화 등에 의해 당해 에어백 회로용 도체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에어백이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접속 신뢰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에어백은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 장치의 하나이기 위해, 사고 등의 긴급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동작의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바, 에어백 회로에 단선이 발생하여 에어백이 동작하지 않는 것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문제이다.
또, 혼 회로용 도체에 문제가 발생하여 혼 회로가 단선된 경우에는, 법규 상, 차량은 주행할 수 없다. 즉, 혼 회로의 접속 상태 (닫힘 상태) 가 차량 주행에 불가결하기 때문에, 조타에 의해 회전 커넥터 장치 내에서 FFC 가 받는 외력 등을 고려하여, 혼 회로용 도체의 배치 혹은 구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2 개의 FFC 에, 그 밖의 스위치 회로용 도체와 공용의 혼 회로용 도체를 각각 형성하거나, 혹은 혼 회로용 도체의 선폭을, 에어백 회로용 도체의 선폭보다 작게 또한 그 밖의 스위치 회로용 도체의 선폭보다 크게 하는 정도에 그쳐, 혼 회로가 단선되기 어려운 것을 충분히 고려한 구성이나 배치로 되어 있지 않아, 혼 회로의 접속 신뢰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통상적인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의 각종 장치의 전기 회로에 대응하는 도체가 어느 FFC 의 어느 부분에 배치될지의 규정, 기준이 없어, 각 전기 회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체의 배치 위치나 도체 폭이 결정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에어백 회로용 도체와 대전류 회로용 도체의 배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배색 (配索) 하여 싱글 혹은 듀얼 에어백 회로를 형성한 경우, 절연 불량이나 노이즈에 의해 혼선이 발생하여, 에어백의 오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로테이터 사이의 환상 공간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을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은, 상기 환상 공간의 내주측으로 감긴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가 상기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긴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갖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제 1 도체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제 2 도체의 쌍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도체와, 상기 혼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도체를 갖고, 상기 제 1 도체와 상기 제 2 도체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는,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의 폭 방향 양측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적어도 1 개의 다른 도체를 가져도 된다.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는,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용장화를 위한 예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예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제 1 도체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제 2 도체의 쌍방을 가져도 된다.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는,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가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긴 제 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에어백 회로보다 대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도체를 갖고 있다.
상기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 3 도체의 폭은, 상기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제 1 도체의 폭보다 크다.
상기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당해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제 4 도체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환상 공간 내에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 (c) 는, 도 2 에 있어서의 제 1 ∼ 제 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 (d) 는, 도 4 에 있어서의 제 1 ∼ 제 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 의 회전 커넥터 장치는, 그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구성은, 도 1 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 (1) 는, 스테이터 (11) 와, 그 스테이터 (11)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 (12) 와, 스테이터 (11) 및 로테이터 (12) 사이에 형성되는 축선 (x) 둘레의 환상 공간 (S1) 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 (13) (이하, FFC 군이라고 한다) 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에 있어서, 스테이터 (11) 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어 있고, 로테이터 (12) 는 스테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터 (11) 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하지 않는 원형의 걸어맞춤공을 갖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 또는 대략 원환상의 스테이터 본체 (21) 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 본체 (21) 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공은, 로테이터 (12) 의 후술하는 원통부 (31b) 의 하측 (도 1 의 화살표 A 방향) 의 단부를 수용하여 이 단부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터 (12) 는, 원통부 (31b) 의 하측의 단부에 있어서, 스테이터 (11) 의 스테이터 본체 (21) 의 걸어맞춤공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고, 이로써 스테이터 (11) 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로테이터 (12) 는, 축선 (x) 둘레 (도 1 의 화살표 C 방향 및 화살표 D 방향) 에 형성된 환상의 로테이터 본체 (31) 와, 환상 공간 (S1) 과 외부를 연통하고 또한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을 획정하는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를 갖고 있다.
로테이터 본체 (31) 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중공 원반상 또는 대략 중공 원반상의 천판부 (31a) 와, 천판부 (31a) 의 내주측의 단부로부터 축선 (x) 을 따라 환상 공간 (S1) 측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부 (31b) 를 갖고 있다. 천판부 (31a) 는, 회전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 상측 (도 1 의 화살표 B 방향) 에 면하는 부분을 획성하고 있다. 원통부 (31b) 는, 스테이터 (11) 의 대응하는 부분에 축선 (x)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로테이터 (12) 가 스테이터 (11) 에 장착됨으로써, 로테이터 (12) 의 천판부 (31a) 및 원통부 (31b) 그리고 스테이터 (11) 의 스테이터 본체 (21) 에 의해, 환상 공간 (S1) 이 획정된다.
이 환상 공간 (S1) 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 장의 FFC 로 이루어지는 FFC 군 (13) 은, 적절한 길이의 느슨함을 갖도록 감겨 있고, 이 느슨함의 길이는, 로테이터 (12) 가 스테이터 (11) 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변화한다. 이 느슨함 길이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FFC 군 (13) 의 각 FFC 를 환상 공간 (S1) 내에서 항상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는,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인출된 FFC 군 (13) 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 이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에는, 차체측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 하니즈에 접속된 소정 형상의 단자를 삽입 가능한 도시하지 않는 고정측 단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와 FFC (13) 의 도체부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 배치된 FFC 접속 구조구 (40)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의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는, 상기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과 동일하게,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인출된 FFC 군 (13) 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에는, 스테어링 휠이 구비하는 전기 부품 (예를 들어, 혼 스위치, 에어백 모듈 등) 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의 단자를 삽입 가능한 회전측 단자 삽입공 (3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의 단자와 FFC 군 (13) 의 도체부가,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의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FFC 접속 구조구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스테어링 휠측의 에어백 모듈 등의 전기 부품과, 차체측의 전기 회로가, FFC 군 (13)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 는, 도 1 의 환상 공간 (S1) 내에 수용된 FFC 군 (13) 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군 (13) 은, 환상 공간 (S1) 의 내주측으로 감긴 제 1 FFC (41) 와, 제 1 FFC (41)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1 FFC (41) 보다 긴 제 2 FFC (42) 와, 제 2 FFC (42)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2 FFC (42) 보다 긴 제 3 FFC (43) 와, 제 3 FFC (43)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3 FFC (43) 보다 긴 더미 케이블 (44) 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상 공간 (S1) 내에, 4 개의 케이블이 대략 90 도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FFC (41) 는, 상기 4 개의 케이블 중에서 가장 짧고, 이어서, 제 2 FFC (42), 제 3 FFC (43), 더미 케이블 (44) 의 순으로, 짧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FFC (41) ∼ 제 3 FFC (43) 가 겹쳐진 부분에 있어서, 제 2 FFC (42) 는, 제 1 FFC (41) 와 제 3 FFC (4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순으로 배치된 3 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는, 연통부 (23) 를 개재하여,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으로 도출된다. 연통부 (23) 는, 예를 들어 스테이터 본체 (21) 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환상 공간 (S1) 과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사이에 형성된 절결이다.
제 1 FFC (41) 는,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 이루어지는 내주부 (41a) 와, 제 1 FFC (41)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꺾임부 (41b) 와, 되접어 꺾임부 (41b) 에서의 되접어 꺾임에 의해 내주부 (41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1c)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FFC (41) 는,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되접어 꺾임부 (41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거나 또는 되감긴다.
제 2 FFC (42) 는, 제 1 FFC (41) 와 동일하게,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 이루어지는 내주부 (42a) 와, 제 2 FFC (42)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꺾임부 (42b) 와, 되접어 꺾임부 (42b) 에서의 되접어 꺾임에 의해 내주부 (42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2c) 를 갖고 있다. 제 2 FFC (42) 는,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되접어 꺾임부 (42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거나 또는 되감긴다.
제 3 FFC (43) 도, 제 1 FFC (41) 와 동일하게,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 이루어지는 내주부 (43a) 와, 제 3 FFC (43)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꺾임부 (43b) 와, 되접어 꺾임부 (43b) 에서의 되접어 꺾임에 의해 내주부 (43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3c) 를 갖고 있다. 제 3 FFC (43) 는,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되접어 꺾임부 (43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거나 또는 되감긴다.
또, 더미 케이블 (44) 도, 제 1 FFC (41) 와 동일하게,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 이루어지는 내주부 (44a) 와, 더미 케이블 (44)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꺾임부 (44b) 와, 되접어 꺾임부 (44b) 에서의 되접어 꺾임에 의해 내주부 (44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4c) 를 갖고 있다. 더미 케이블 (44) 은,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되접어 꺾임부 (44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거나 또는 되감긴다.
제 1 FFC (41), 제 2 FFC (42), 제 3 FFC (43) 는, 각각 복수의 도체를 갖고 있고, 각 도체가 각종 장치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더미 케이블 (44) 은, 도체를 갖지 않는 가요성의 장척상 박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FFC (41), 제 2 FFC (42) 및 제 3 FFC (43) 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척상 박판 부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FFC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 배치된 FFC 접속 구조구 (40) 내의 스테이터측 1 차 몰드 (도시하지 않음) 의 용접부로부터,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FFC 접속 구조구 내의 로테이터측 1 차 몰드 (도시하지 않음) 의 용접부까지의 길이를 말하고, 이들 용접부간에 있어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의 각각의 길이가 상이하다. 바꾸어 말하면, FFC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는, 실질적으로,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FFC 의 여장 (餘長) 에 대응하고,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FFC 의 여장은,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FFC 의 되접어 꺾임부 및 외주부의 합계 길이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측으로부터 스테이터 (11) 측을 향해 환상 공간 (S1) 을 시계 방향 (도 2 의 화살표 E 방향) 에서 보았을 때, 연통부 (23) 의 배치 위치로부터 되접어 꺾임부의 배치 위치까지의 거리가 외주부 길이에 상당하고, 휨 반경이 거의 일정하고 상기 되접어 꺾임부의 길이가 거의 동등하다고 했을 경우, FFC 의 되접어 꺾임부 및 외주부의 합계 길이는, 제 1 FFC (41), 제 2 FFC (42), 제 3 FFC (43) 의 순으로 짧다. 따라서, 3 개의 FFC 의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여장은, 제 1 FFC (41), 제 2 FFC (42), 제 3 FFC (43) 의 순으로 짧고, 3 개의 FFC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도, 이 순으로 짧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FFC (42) 의 여장은, 제 1 FFC (41) 의 여장보다 길고, 제 3 FFC (43) 의 여장은, 3 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중에서 가장 길다.
도 3(a) ∼ (c) 는, 도 2 에 있어서의 각 FFC 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FFC (41) 는, 도체 (41-1a, 41-1b 및 41-1c) (제 4 도체) 로 구성되는 도체군 (41-1) 과, 그 도체군 (41-1) 을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끼워 넣도록 배치된 2 장의 절연 필름 (41-2) 을 갖는다. 도체 (41-1a ∼ 41-1c) 는, 예를 들어 구리 혹은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이거나,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도금층을 갖는 복층으로 구성되고, 압연면의 면내 방향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체 (41-1a ∼ 41-1c) 는, 예를 들어, 폭 0.8 ㎜ ∼ 1 ㎜, 두께 0.02 ㎜ ∼ 0.05 ㎜ 이다.
절연 필름 (41-2) 은,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 및/또는 도체군 (41-1) 과의 양호한 밀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한 예로서, 절연 필름 (41-2) 은, 접착제층이 융착될 때에 녹지 않는, 융점이 200 ℃ 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최외층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접착제층의 2 층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절연 필름 (41-2) 은, 예를 들어 폭 6 ㎜ ∼ 15 ㎜, 두께 0.01 ㎜ ∼ 0.05 ㎜ 이다.
도체 (41-1a ∼ 41-1c) 는, 제 1 FFC (41) 의 단선 등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FFC (41) 는, 당해 제 1 FFC (41) 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3 개의 도체 (41-1a ∼ 41-1c) 를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FFC (41) 의 여장은, 3 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중에서 가장 적다. 따라서, 조타에 의한 로테이터 (12) 의 회전시에, 도체군 (41-1) 이 길이 방향의 장력 (외력) 을 받기 쉬워,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제 1 FFC (41) 에,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1-1a ∼ 41-1c) 가 배치된다.
제 2 FFC (42) 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 (42-1a, 42-1b, 42-1c, 42-1d, 42-1e, 42-1f 및 42-1g) 로 구성되는 도체군 (42-1) 과, 그 도체군 (42-1) 을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끼워 넣도록 배치된 2 장의 절연 필름 (42-2) 을 갖는다. 도체 (42-1a ∼ 42-1g) 는, 예를 들어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압연면의 면내 방향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체 (42-1a ∼ 42-1g) 중, 도체 (42-1b ∼ 42-1e) 는, 예를 들어, 폭 1.5 ㎜ ∼ 2 ㎜, 두께 0.02 ㎜ ∼ 0.05 ㎜ 이고, 다른 도체 (42-1a, 42-1f, 42-1g) 보다 폭이 넓다. 절연 필름 (42-2) 의 구성은, 절연 필름 (41-2) 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체 (42-1a ∼ 42-1g) 중, 4 개의 도체 (42-1b ∼ 42-1e) 는, 에어백 회로에 접속되고, 도체 (42-1f) 는 혼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FFC (42)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제 1 도체)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제 2 도체) 의 쌍방을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FFC (42) 의 여장은 제 1 FFC (41) 보다 길기 때문에, 조타에 의한 로테이터 (12) 의 회전시, 도체군 (42-1) 은, 도체군 (41-1) 보다 길이 방향의 장력 (외력) 을 받기 어렵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제 2 FFC (42) 에,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의 쌍방이 배치된다.
또, 도체 (42-1b ∼ 42-1e) 중, 도체 (42-1b) (AB+) 및 (42-1c) (AB-) 는, 에어백 회로의 1 경로를 구성하고, 도체 (42-1d) (AB+') 및 (42-1e) (AB-') 는, 에어백 회로의 다른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42-1b ∼ 42-1e) 는, 2 단식 가스 발생 장치 (듀얼 인플레이터) 의 점화 출력용 듀얼 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도체 (42-1b ∼ 42-1c) 는 에어백에 형성된 일방의 인플레이터에, 도체 (42-1d ∼ 42-1e) 는 동 에어백에 형성된 타방의 인플레이터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 개의 점화 출력용 듀얼 회로를 사용하여, 차량에 가해진 충격 등의 여러 가지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점화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에어백의 팽창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2 FFC (42) 에서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와,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가 나란히 배치되고, 도체 (42-1b ∼ 42-1e 및 42-1f) 는, 제 2 FFC (42) 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또, 제 2 FFC (42) 는, 도체 (42-1b ∼ 42-1e 및 42-1f) 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도체 (42-1a), 도체 (42-1g) (다른 도체) 를 추가로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도체 (42-1b ∼ 42-1f) 는 모두, 제 2 FFC (42)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최외부에 위치하지 않고, 제 2 FFC (42) 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FFC (42) 는, 도체 (42-1b ∼ 42-1e 및 42-1f) 의 폭 방향 양측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도체 (42-1a) 및/또는 도체 (42-1g) (적어도 1 개의 다른 도체)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 3 FFC (43) 는,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 (43-1a, 43-1b, 43-1c, 43-1d, 43-1e, 43-1f, 43-1g 및 43-1h) (제 3 도체) 로 구성되는 도체군 (43-1) 과, 그 도체군 (43-1) 을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끼워 넣도록 배치된 2 장의 절연 필름 (43-2) 을 갖는다. 도체 (43-1a ∼ 43-1h) 는, 예를 들어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압연면의 면내 방향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체 (43-1a ∼ 43-1h) 중, 도체 (43-1e) 는, 예를 들어, 폭 1.5 ㎜ ∼ 2 ㎜, 두께 0.02 ㎜ ∼ 0.05 ㎜ 이고, 다른 도체 (43-1a ∼ 43-1d, 43-1f ∼ 43-1h) 보다 폭이 넓다. 절연 필름 (43-2) 의 구성은, 절연 필름 (41-2) 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체 (43-1a ∼ 43-1h) 중, 도체 (43-1e) 는, 에어백 회로보다 대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3 FFC (43) 는, 에어백 회로보다 대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3-1e) 를 갖고 있다. 이 대전류 회로는, 예를 들어 일루미네이션 회로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3 FFC (43) 의 여장은 제 1 FFC (41) 보다 길기 때문에, 조타에 의한 로테이터 (12) 의 회전시, 도체군 (43-1) 은, 도체군 (41-1) 보다 길이 방향의 장력 (외력) 을 받기 어렵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제 3 FFC (43) 에,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3-1e) 가 배치된다.
도체 (43-1e) 의 폭은,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의 폭 중 어느 것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3-1e) 가 끊어지기 어려워지고, 또, 대전류화에 대응할 수 있고,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체 (43-1e) 는, 제 3 FFC (43) 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체 (43-1e) 가 제 3 FFC (43) 의 폭 방향 단면에 가해지는 외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또, 당해 단면으로부터 진행되는 균열이 도달하기 어려워져, 일루미네이션 회로 등의 대전류 회로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FFC (41) 가, 환상 공간 (S1) 의 내주측으로 감기고, 제 2 FFC (42) 가, 제 1 FFC (41)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제 1 FFC (41) 보다 길다. 그리고, 제 2 FFC (42) 가,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의 쌍방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의 쌍방을 1 개의 제 2 FFC (42) 내에 배치하고, 또한, 제 2 FFC (42) 를, 제 1 FFC (41) 의 외주측에 배치함으로써, 도체 (42-1b ∼ 42-1e) 및 도체 (42-1f) 의 쌍방이 조타에 의한 외력을 받기 어렵고, 에어백 회로 및 혼 회로가 단선되기 어려워져, 이들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와,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가 나란히 배치되고, 도체 (42-1b ∼ 42-1e) 및 도체 (42-1f) 는, 제 2 FFC (42) 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로써, 조타 등에 의해 제 2 FFC (42) 의 폭 방향 단부가 외력을 받은 경우에도, 도체 (42-1b ∼ 42-1e) 및 도체 (42-1f) 가 끊어지기 어려워져, 에어백 회로 및 혼 회로의 쌍방의 단선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FFC (41) 는, 당해 제 1 FFC (41) 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1-1a ∼ 41-1c) 를 갖기 때문에,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1-1a ∼ 41-1c) 가, 상대적으로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제 1 FFC (41) 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상 검지 회로가 단선된 경우, 차량의 유저에게 이상을 통지할 수 있어, 제 2 FFC (42) 의 에어백 회로 혹은 혼 회로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반복 운동에 수반되는 금속 피로에 의한 열화 등, 서서히 도체가 끊어지는 고장 모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상 검지 회로에 의해 당해 고장 모드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FFC (43) 는, 일루미네이션 회로 등의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3-1e) 를 갖기 때문에, 대전류 회로가, 에어백 회로가 형성되는 제 2 FFC (42) 와는 다른 제 3 FFC (43) 에 형성된다. 이로써, 에어백 회로와 대전류 회로의 혼선을 억제할 수 있고, 에어백의 오폭의 가능성을 저감시켜 오폭에 의한 2 차 재해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는, 도 2 의 FFC 군 (13)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FFC 군은, 도 2 의 FFC 군과 비교하여, 더미 케이블이 배치되지 않고, 제 2 FFC (42) 에 상당하는 FFC 가 2 개 배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도 2 의 FFC 군 (13) 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을 설명한다.
도 4 에 있어서, FFC 군 (13') 은, 환상 공간 (S1) 의 내주측으로 감긴 제 1 FFC (41) 와, 제 1 FFC (41)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1 FFC (41) 보다 긴 제 2 FFC (42) 와, 제 2 FFC (42)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2 FFC (42) 보다 긴, 제 2 FFC (42) 의 용장화를 위한 예비 FFC (42') 와, 예비 FFC (42') 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예비 FFC (42') 보다 긴 제 3 FFC (43) 를 갖는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환상 공간 (S1) 내에, 4 개의 케이블이 대략 90 도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FFC (41) 는, 상기 4 개의 케이블 중에서 가장 짧고, 이어서, 제 2 FFC (42), 예비 FFC (42'), 제 3 FFC (43) 의 순으로, 짧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FFC (41) ∼ 제 3 FFC (43) 가 서로 겹쳐진 부분에 있어서, 제 2 FFC (42) 및 예비 FFC (42') 는, 제 1 FFC (41) 와 제 3 FFC (4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4 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는, 연통부 (23) 를 개재하여,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으로 도출된다.
예비 FFC (42') 는, 제 2 FFC (42) 와 동일하게,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 이루어지는 내주부 (42a') 와, 제 2 FFC (42)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꺾임부 (42b') 와, 되접어 꺾임부 (42b') 에서의 되접어 꺾임에 의해 내주부 (42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2c') 를 갖고 있다. 예비 FFC (42') 는,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되접어 꺾임부 (42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거나 또는 되감긴다.
도 5(a) ∼ (d) 는, 도 4 에 있어서의 각 FFC 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FC 군 (13') 에 있어서, 도 5(a) 의 제 1 FFC (41) 의 구성은, 도 3(a) 의 제 1 FFC (41) 와 동일하고, 도 5(b) 의 제 2 FFC (42) 의 구성은, 도 3(b) 의 제 2 FFC (42) 와 동일하므로,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예비 FFC (42') 는,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 (42-1a', 42-1b', 42-1c', 42-1d', 42-1e', 42-1f' 및 42-1g') 로 구성되는 도체군 (42-1') 과, 그 도체군 (42-1') 을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끼워 넣도록 배치된 2 장의 절연 필름 (42-2') 을 갖는다. 도체 (42-1a' ∼ 42-1g') 는, 예를 들어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압연면의 면내 방향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체 (42-1a' ∼ 42-1g') 중, 도체 (42-1b' ∼ 42-1e') 는, 예를 들어, 폭 1.5 ㎜ ∼ 2 ㎜, 두께 0.02 ㎜ ∼ 0.05 ㎜ 이고, 다른 도체 (42-1a', 42-1f', 42-1g') 보다 폭이 넓다. 절연 필름 (42-2') 의 구성은, 절연 필름 (42-2) 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체 (42-1a' ∼ 42-1g') 중, 4 개의 도체 (42-1b' ∼ 42-1e') 는, 에어백 회로에 접속되고, 도체 (42-1f') 는 혼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예비 FFC (42')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다른 제 1 도체)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다른 제 2 도체) 의 쌍방을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예비 FFC (42') 의 여장은 제 1 FFC (41) 보다 길기 때문에, 조타에 의한 로테이터 (12) 의 회전시, 도체군 (42-1') 은, 도체군 (41-1) 보다 길이 방향의 장력 (외력) 을 받기 어렵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예비 FFC (42') 에,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의 쌍방이 배치된다.
또, 도체 (42-1b' ∼ 42-1e') 중, 도체 (42-1b') (AB+) 및 (42-1c') (AB-) 는, 에어백 회로의 1 경로를 구성하고, 도체 (42-1d') (AB+') 및 (42-1e') (AB-') 는, 에어백 회로의 다른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42-1b' ∼ 42-1e') 는, 2 단식 가스 발생 장치 (듀얼 인플레이터) 의 점화 출력용 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도체 (42-1b' ∼ 42-1c') 는 에어백에 형성된 하나의 인플레이터에, 도체 (42-1d' ∼ 42-1e') 는 동 에어백에 형성된 다른 인플레이터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 개의 점화 출력 회로를 사용하여, 차량에 가해진 충격 등의 여러 가지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점화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에어백의 팽창량을 제어한다.
이 예비 FFC (42') 에서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와,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가 나란히 배치되고, 도체 (42-1b' ∼ 42-1e' 및 42-1f') 는, 예비 FFC (42') 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다. 또, 예비 FFC (42') 는, 도체 (42-1b' ∼ 42-1e' 및 42-1f') 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도체 (42-1a'), 도체 (42-1g') (다른 도체) 를 추가로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도체 (42-1b' ∼ 42-1f') 는 모두, 예비 FFC (42') 의 폭 방향에 관하여 최외부에 위치하지 않고, 예비 FFC (42') 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예비 FFC (42') 는, 도체 (42-1b' ∼ 42-1e' 및 42-1f') 의 폭 방향 양측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도체 (42-1a') 및/또는 도체 (42-1g') (적어도 1 개의 다른 도체) 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5(d) 의 제 3 FFC (43) 의 구성은, 도 3(c) 의 제 3 FFC (43) 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d) 의 도체 (43-1e) 는, 도 3(c) 의 도체 (43-1e) 와 동일하게, 제 3 FFC (43) 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3 FFC (43) 의 폭 방향 단부에 가해지는 외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또, 당해 단면으로부터 진행하는 균열이 도달하기 어려워져, 도체 (43-1e) 가 끊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일루미네이션 회로 등의 대전류 회로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제 2 FFC (42) 내에서 점화 출력용 듀얼 회로가 형성되고, 또한, 예비 FFC (42') 내에서도 점화 출력용 듀얼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FFC (42) 내에서 1 개의 혼 회로가 형성되고, 또한, 예비 FFC (42') 내에서도 1 개의 혼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회전 커넥터 장치 (1) 가, 제 2 FFC (42) 의 용장화를 위한 예비 FFC (42') (예비 FFC) 를 추가로 구비하고, 예비 FFC (42') 가,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b' ∼ 42-1e')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2-1f') 의 쌍방을 갖기 때문에, 에어백 회로 및 혼 회로의 쌍방이 별체로 2 경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FFC (42) 의 에어백 회로가 단선된 경우라도, 예비 FFC (42') 로 용장화시킨 에어백 회로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 동작의 높은 신뢰성을 실현할 수 있어,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동일하게, 제 2 FFC (42) 의 혼 회로가 단선된 경우라도, 예비 FFC (42') 로 용장화시킨 혼 회로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혼 회로의 높은 신뢰성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기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FFC 에 있어서,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의 폭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의 폭 중 어느 것 또는 쌍방을, 다른 도체보다 크게 해도 된다. 이로써, 더욱 회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FFC, 제 2 FFC 및 제 3 FFC 에 있어서, 에어백 회로 및 혼 회로 이외의 각 도체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용도, 사양에 따라 다른 수로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FFC 는, 당해 제 1 FFC 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3 개의 도체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제 1 FFC 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도체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제 1 FFC 는,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이외에, 다른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도체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제 2 FFC (42)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체 (42-1b ∼ 42-1e) 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도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 2 FFC (42) 는, 혼 회로를 구성하는 1 개의 도체 (42-1f) 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혼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도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비 FFC (42')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체 (42-1b' ∼ 42-1e') 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도체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예비 FFC (42') 는, 혼 회로를 구성하는 1 개의 도체 (42-1f') 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혼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도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 3 FFC 는, 에어백 회로보다 대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이외에, 다른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도체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FFC 군이 3 개의 FFC 혹은 4 개의 FFC 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5 개 이상의 FFC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때,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의 쌍방을 갖는 제 2 FFC 를 3 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또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FFC 군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1 : 회전 커넥터 장치
11 : 스테이터
12 : 로테이터
13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 (FFC 군)
13'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 (FFC 군)
21 : 스테이터 본체
22 :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3 : 연통부
31 : 로테이터 본체
31a : 천판부
31b : 원통부
32 :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a : 회전측 단자 삽입공
40 : FFC 접속 구조구
41 : 제 1 FFC
41a : 내주부
41b : 되접어 꺾임부
41c : 외주부
41-1 : 도체군
41-1a, 41-1b, 41-1c : 도체
41-2 : 절연 필름
42 : 제 2 FFC
42' : 제 2 FFC
42a : 내주부
42b : 되접어 꺾임부
42c : 외주부
42a' : 내주부
42b' : 되접어 꺾임부
42c' : 외주부
42-1 : 도체군
42-1a, 42-1b, 42-1c, 42-1d : 도체
42-1e, 42-1f, 42-1g : 도체
42-2 : 절연 필름
42-1' : 도체군
42-1a', 42-1b', 42-1c', 42-1d' : 도체
42-1e', 42-1f', 42-1g' : 도체
42-2' : 절연 필름
43 : 제 3 FFC
43a : 내주부
43b : 되접어 꺾임부
43c : 외주부
43-1 : 도체군
43-1a, 43-1b, 43-1c, 43-1d : 도체
43-1e, 43-1f, 43-1g, 43-1h : 도체
43-2 : 절연 필름
44 : 더미 케이블
44a : 내주부
44b : 되접어 꺾임부
44c : 외주부
S1 : 환상 공간
S2 :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x : 축선

Claims (7)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로테이터 사이의 환상 공간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을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은,
    상기 환상 공간의 내주측으로 감긴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긴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갖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제 1 도체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제 2 도체의 쌍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도체와, 상기 혼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도체를 갖고, 상기 제 1 도체와 상기 제 2 도체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는,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의 폭 방향 양측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적어도 1 개의 다른 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으로 감기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용장화를 위한 예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예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제 1 도체 및 혼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제 2 도체의 쌍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에 감기고,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긴 제 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에어백 회로보다 대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 3 도체의 폭이, 상기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제 1 도체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당해 제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 개의 제 4 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97005803A 2016-08-30 2017-08-10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169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7454 2016-08-30
JP2016167454A JP6782125B2 (ja) 2016-08-30 2016-08-30 回転コネクタ装置
PCT/JP2017/029112 WO2018043093A1 (ja) 2016-08-30 2017-08-10 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539A true KR20190039539A (ko) 2019-04-12
KR102169773B1 KR102169773B1 (ko) 2020-10-26

Family

ID=6130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803A KR102169773B1 (ko) 2016-08-30 2017-08-10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33466B2 (ko)
EP (1) EP3509168B1 (ko)
JP (1) JP6782125B2 (ko)
KR (1) KR102169773B1 (ko)
CN (1) CN109643875B (ko)
WO (1) WO20180430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7540B2 (ja) * 2019-08-29 2024-01-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08A (ja) * 1991-07-09 1993-01-2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のワイヤハーネス接続方法
JP2001015240A (ja) 1999-06-30 2001-01-19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001102144A (ja) * 1999-09-29 2001-04-1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回転接続装置
JP2001213249A (ja) * 1999-12-29 2001-08-07 Methode Electronics Inc かじ取ハンドル加熱用配線にリセット可能なヒューズを使用した時計ばね
JP2013191437A (ja) * 2012-03-14 2013-09-26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US20160006203A1 (en) * 2014-07-04 2016-01-07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JP2016058354A (ja) * 2014-09-12 2016-04-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接続具及びそれ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24Y2 (ja) * 1990-10-05 1995-03-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540938Y2 (ja) * 1992-09-04 1997-07-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体と固定体間の伝送装置
DE19533439C1 (de) 1995-09-11 1997-02-13 Kostal Leopold Gmbh & Co Kg Verbindungsvorrichtung
JP3408949B2 (ja) * 1997-06-09 2003-05-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WO1999029004A1 (fr) * 1997-11-28 1999-06-10 Furukawa Electric Co., Ltd. Connecteur rotatif
DE19926278C1 (de) 1999-06-09 2001-02-15 Kostal Leopold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nergie
DE20003965U1 (de) * 2000-02-24 2000-07-13 Petri Ag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elektrischen Stroms zwischen zwei zueinander verdrehbaren Bauelementen einer Lenk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EP1235313B1 (en) * 2001-02-21 2010-08-25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using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US7232312B2 (en) * 2003-04-16 2007-06-19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having an integral fuse
KR101033901B1 (ko) * 2004-12-23 2011-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롤 커넥터의 중립 확인 구조
JP2008221974A (ja) * 2007-03-12 2008-09-25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ールコネクタ
EP1981131A1 (de) * 2007-04-14 2008-10-15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JP2009170174A (ja) 2008-01-11 2009-07-30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EP2642616A4 (en) 2010-11-19 2014-04-09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TABLE CONNECTOR
JP5886148B2 (ja) 2012-06-21 2016-03-16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30447B2 (ja) * 2012-08-20 2015-12-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5833510B2 (ja) 2012-08-23 2015-1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6293088B2 (ja) * 2015-05-11 2018-03-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04947295U (zh) * 2015-08-13 2016-01-06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08A (ja) * 1991-07-09 1993-01-2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のワイヤハーネス接続方法
US5246377A (en) * 1991-07-09 1993-09-21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rotary connector and a wiring harness
JP2001015240A (ja) 1999-06-30 2001-01-19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001102144A (ja) * 1999-09-29 2001-04-1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回転接続装置
JP2001213249A (ja) * 1999-12-29 2001-08-07 Methode Electronics Inc かじ取ハンドル加熱用配線にリセット可能なヒューズを使用した時計ばね
US6299466B1 (en) * 1999-12-29 2001-10-09 Methode Electronics, Inc. Clockspring using resettable fuse for heated steering wheel
JP2013191437A (ja) * 2012-03-14 2013-09-26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US20160006203A1 (en) * 2014-07-04 2016-01-07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JP2016018591A (ja) * 2014-07-04 2016-0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16058354A (ja) * 2014-09-12 2016-04-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接続具及びそれ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82125B2 (ja) 2020-11-11
EP3509168B1 (en) 2024-06-26
EP3509168A1 (en) 2019-07-10
EP3509168A4 (en) 2020-05-20
JP2018037174A (ja) 2018-03-08
CN109643875A (zh) 2019-04-16
CN109643875B (zh) 2021-01-29
WO2018043093A1 (ja) 2018-03-08
US10833466B2 (en) 2020-11-10
US20190280443A1 (en) 2019-09-12
KR102169773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466A (en) Rotary connector
US7775800B2 (en) Device for electronically interconnecting two relatively rotating members
JP200113515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5833522B2 (ja) 回転コネクタ
JPH0725447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接続器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90039539A (ko) 회전 커넥터 장치
JP5802156B2 (ja) 回転コネクタ
EP3540874B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rotary connector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ion structure
JP2002042924A (ja) 電気接続構造
JP2000323254A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5833523B2 (ja) 回転コネクタ
US6663404B2 (en) Device for transmitting current between two terminals
JP3556135B2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5557677B2 (ja) ロールコネクタ断線検知装置
JP5630905B2 (ja) ロールコネクタ装置及びロールコネクタ断線検知装置
JP2001015240A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999604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5872933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0294358A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H11176549A (ja) ステアリング接続ケーブルユニット
JPH07320835A (ja) 回転コネクタ
JPH09167647A (ja) ケーブル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