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246A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긴 물체의 안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7246A KR20190037246A KR1020197003116A KR20197003116A KR20190037246A KR 20190037246 A KR20190037246 A KR 20190037246A KR 1020197003116 A KR1020197003116 A KR 1020197003116A KR 20197003116 A KR20197003116 A KR 20197003116A KR 20190037246 A KR20190037246 A KR 201900372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long object
- guide member
- pair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왕복 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부(15)와, 고정부(13)와, 가요성을 가진 한 쌍의 시트(16)와, 가이드 부재(14)를 구비한다. 고정부(13)는 왕복 방향(X)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해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시트(16)는 길이 방향의 중도에 만곡 부분(16a)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동부(15)와 고정부(13)를 연결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14)는 이동부(15)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한 쌍의 시트(16)가 만곡 부분(16a)을 변위시키면서 왕복 방향(X)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이동부(15) 및 한 쌍의 시트(16)를 가이드하면서 왕복 방향(X)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가이드 부재(14)는 한 쌍의 시트(16)로 긴 물체(K)를 수용 가능한 수용실(S)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작 기계 등이 갖는 이동체에 급전이나 급액 등을 행하는 가요성의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긴 물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체의 이동에 맞추어 보호하면서 안내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직렬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직렬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있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일단부가 직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고정부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그 수용 공간에 수용된 긴 물체를 이동체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보호하면서 안내한다. 이 경우,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그 중간부에 만곡 부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그 만곡 부분은 이동체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직렬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상술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직렬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사용 시에 인접하는 링크끼리가 회동하여 맞스침으로써 링크가 마모되기 쉽다. 그리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각 링크가 마모되어 만곡 부분보다도 이동체측의 직선 부분이 자중에 의해 늘어지면, 그 사용에 견디는 기간에 한계가 생긴다. 즉,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그 수명이 링크의 마모 상태에서 정해지기 때문에, 비교적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왕복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왕복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해지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와, 길이 방향의 중도에 만곡 부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결부와, 상기 이동부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만곡 부분을 변위시키면서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연결부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함께, 상기 연결부로 긴 물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 및 연결부가 가이드 부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부가 마모되어도 연결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보다도 이동부측의 직선 부분이 거의 늘어지는 일이 없다. 즉, 연결부의 마모가 장치의 수명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링크를 가진 종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비해,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수용실은 한 쌍의 상기 시트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에 의해 수용실을 확보하면서 이동부와 고정부를 밸런스 좋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회전 가능한 제1 회전체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회전 가능한 제2 회전체를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 및 가이드 부재를 왕복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긴 물체를 고정 가능한 긴 물체 고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긴 물체를 긴 물체 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긴 물체를 수용실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왕복 이동하는 이동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를 왕복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가 전진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가이드 측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 4는 도 1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고정부 및 이동부의 사시도.
도 6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가 후진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변경예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가 전진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가이드 측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 4는 도 1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고정부 및 이동부의 사시도.
도 6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가 후진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변경예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측면도.
이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우측을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상을 이루고 있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가 사용되는 설비(도시 생략)가 갖는 수평면인 설치면(12) 상에 설치된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고정부(13)와, 가이드 부재(14)와, 이동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3)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왕복 방향 X로의 이동이 불가능해지도록 설치면(12)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4)는 고정부(13)에 의해 왕복 방향 X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동부(15)는 가이드 부재(14)에 의해 왕복 방향 X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동부(15)는, 예를 들어 설비(도시 생략)에 구비되어 왕복 방향 X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또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연결부로서의 한 쌍의 띠상의 시트(16)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시트(16)는 길이 방향의 중도에 반원호상의 만곡 부분(16a)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동부(15)와 고정부(13)를 연결함과 함께, 가요성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시트(16)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시트(16)에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것이나 금속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14)는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 쌍의 직사각 형상의 주측판(17)과, 양 주측판(17)끼리를 그것들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연결하는 직사각 형상의 연결판(18)과, 좌우 한 쌍의 주측판(17)의 후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조립 장착된 좌우 한 쌍의 반원상의 부측판(19)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부측판(19)이 조립 장착된 상태의 주측판(17)은 가이드 측판(20)을 구성하고 있다. 즉, 주측판(17)과 부측판(19)에 의해 가이드 측판(20)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주측판(17)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는 왕복 방향 X에 있어서의 주측판(17)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상하 한 쌍의 내측 직선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주측판(17)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양단부에는, 왕복 방향 X에 있어서의 주측판(17)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상하 한 쌍의 외측 직선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주측판(17)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측의 내측 직선 홈(21)과 상측의 외측 직선 홈(22) 사이와, 각 주측판(17)의 내면에 있어서의 하측의 내측 직선 홈(21)과 하측의 외측 직선 홈(22) 사이에는, 왕복 방향 X에 있어서의 주측판(17)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중간 직선 홈(23)이 상하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직선 홈(21)과 외측 직선 홈(22)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홈 폭을 갖고 있다. 중간 직선 홈(23)은 내측 직선 홈(21) 및 외측 직선 홈(22)에 비해 각별히 큰 홈 폭을 갖고 있다.
각 부측판(19)의 내면에 있어서의 반원호상의 외주연부에는, 당해 외주연부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는 반원호상의 외주측 원호 홈(24)이 형성되어 있다. 각 부측판(19)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의 전단부[주측판(17)측의 단부]에는, 외주측 원호 홈(24)보다도 각별히 작은 반경을 갖는 반원호상의 내주측 원호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측 원호 홈(24) 및 내주측 원호 홈(25)의 홈 폭은, 내측 직선 홈(21) 및 외측 직선 홈(22)의 홈 폭과 각각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외주측 원호 홈(24), 내주측 원호 홈(25), 내측 직선 홈(21) 및 외측 직선 홈(22)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홈 폭을 갖고 있다.
외주측 원호 홈(24)은 상하 한 쌍의 외측 직선 홈(22)의 후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내주측 원호 홈(25)은 상하 한 쌍의 내측 직선 홈(21)의 후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이드 측판(20)에 있어서의 외주측 원호 홈(24) 및 상하 한 쌍의 외측 직선 홈(22)에 의해 U자상의 외측 가이드 홈(26)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측판(20)에 있어서의 내주측 원호 홈(25) 및 상하 한 쌍의 내측 직선 홈(21)에 의해 U자상의 내측 가이드 홈(27)이 구성되어 있다.
각 부측판(19)의 내면에 있어서의 전단부[주측판(17)측의 단부]에는, 한 쌍의 중간 직선 홈(23)과 왕복 방향 X에서 대응하도록, 반원상의 한 쌍의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28)의 직경은 중간 직선 홈(23)의 홈 폭과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각 오목부(28)의 깊이는 중간 직선 홈(23)의 깊이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28)는 한 쌍의 중간 직선 홈(23)의 후단과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이드 측판(20)에 있어서의 상측의 오목부(28) 및 상측의 중간 직선 홈(23)에 의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이드 홈(29)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측판(20)에 있어서의 하측의 오목부(28) 및 하측의 중간 직선 홈(23)에 의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이드 홈(30)이 구성되어 있다. 즉, 각 가이드 측판(20)의 내면에는 외측 가이드 홈(26), 내측 가이드 홈(27), 상측 가이드 홈(29) 및 하측 가이드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각 부측판(19)에 있어서의 상측의 오목부(28)의 원호상을 이루는 내측면, 즉 상측 가이드 홈(29)의 후단면은 상측 맞닿음면(31)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부측판(19)에 있어서의 하측의 오목부(28)의 원호상을 이루는 내측면, 즉 하측 가이드 홈(30)의 후단면은 하측 맞닿음면(32)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측 가이드 홈(29)에 있어서의 하측의 측면은 제1 접촉면(33)을 구성하고 있다. 하측 가이드 홈(30)에 있어서의 상측의 측면은 제2 접촉면(34)을 구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연결판(18)의 상측에는 직사각형 프레임상의 이동부(15)가 양 가이드 측판(20)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연결판(18)의 하측에는 직사각형 프레임상의 고정부(13)가 양 가이드 측판(20)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15)와 고정부(13)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서로 상하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이동부(15) 및 고정부(13)는 왕복 방향 X의 양측이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15)[고정부(13)]는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동부(15)[고정부(13)]는 직사각형 판상의 설치부(40)와, 설치부(40)와 대향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지지부(41)와, 설치부(40)와 지지부(41)의 양 측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연결 측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설치부(40)의 후단부에는 나사(도시 생략) 등에 의해 당해 설치부(40)를 이동체(도시 생략)나 설치면(12)에 설치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설치 구멍(43)이 당해 설치부(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설치부(40)의 전단부에는, 나사(도시 생략) 등에 의해 시트(16)의 단부를 당해 설치부(40)에 설치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시트 설치 구멍(44)이 당해 설치부(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41)의 후단부에는, 나사(도시 생략) 등에 의해 시트(16)의 단부를 당해 지지부(41)에 설치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시트 설치 구멍(44)이 당해 지지부(4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1)의 전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긴 물체 고정부로서의 돌출부(45)가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돌출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45)의 선단부는, 설치부(40)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다.
각 연결측부(42)의 외면에는 한 쌍의 축(46)이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왕복 방향 X로 배열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축(46)에는 제1 회전체(제2 회전체)로서의 롤러(4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각 롤러(47)는 각 축(46)에 의해 한 쌍의 연결 측부(42)가 대향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롤러(47)의 외경은 상측 가이드 홈(29)의 홈 폭 및 하측 가이드 홈(30)의 홈 폭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3)는 이동부(1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이동부(15)에 있어서의 제1 회전체를 구성하는 롤러(47)는 이동부(15)를 반대로 하여 고정부(13)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2 회전체를 구성한다. 즉, 이동부(15) 및 고정부(13)는 회전 가능한 2쌍의 롤러(47)를 각각 갖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15)에 있어서의 우측의 한 쌍의 롤러(47)는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우측의 가이드 측판(20)의 상측 가이드 홈(29)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15)에 있어서의 좌측의 한 쌍의 롤러(47)는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좌측의 가이드 측판(20)의 상측 가이드 홈(29)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이동부(15)의 각 롤러(47)는 제1 접촉면(33)에 접촉하고 있다. 이동부(15)는 롤러(47)에 있어서 제1 접촉면(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13)에 있어서의 우측의 한 쌍의 롤러(47)는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우측의 가이드 측판(20)의 하측 가이드 홈(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3)에 있어서의 좌측의 한 쌍의 롤러(47)는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좌측의 가이드 측판(20)의 하측 가이드 홈(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부(13)의 각 롤러(47)는 제2 접촉면(34)에 접촉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4)는 제2 접촉면(34)에 있어서 고정부(13)에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시트(16) 중 외측에 위치하는 쪽은 외부 시트(48)를 구성하고 있다. 외부 시트(48)의 일단은 이동부(15)에 있어서의 설치부(40)의 내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고정부(13)에 있어서의 설치부(4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 시트(48)의 폭 방향은 왕복 방향 X와 직교하고,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부 시트(48)의 양단부는,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양 가이드 측판(20)의 외측 가이드 홈(26) 내에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시트(16) 중 내측에 위치하는 쪽은 내부 시트(49)를 구성하고 있다. 내부 시트(49)의 일단은 이동부(15)에 있어서의 지지부(41)의 내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고정부(13)에 있어서의 지지부(41)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내부 시트(49)의 폭 방향은 왕복 방향 X와 직교하고,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시트(49)의 양단부는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양 가이드 측판(20)의 내측 가이드 홈(27) 내에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4)의 양 가이드 측판(20)과 한 쌍의 시트(16)[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의해, 긴 물체(K)를 수용 가능한 수용실(S)이 구성된다. 즉, 가이드 부재(14)의 양 가이드 측판(20)은 한 쌍의 시트(16)로 수용실(S)을 형성하고 있다. 즉, 수용실(S)은 한 쌍의 시트(16)끼리의 사이, 즉 외부 시트(48)와 내부 시트(49)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긴 물체(K)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부(15)가 접속되는 이동체(도시 생략)로 급전이나 신호 전송을 행하는 전기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 이동체(도시 생략)에 기체(예를 들어, 공기 등)나 액체(예를 들어, 물이나 오일 등) 등을 공급하는 호스, 유연하게 굴곡 가능한 긴 형상의 다관절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실(S)에 수용된 긴 물체(K)의 일단은 이동부(15)에 있어서의 지지부(41)의 돌출부(45)에 결속 밴드(50)에 의해 묶여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13)에 있어서의 지지부(41)의 돌출부(45)에 결속 밴드(50)에 의해 묶여 고정된다.
이어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고정부(13)는 설치면(12)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동체(도시 생략)에 접속된 이동부(15)가 이동체와 함께 왕복 방향 X로 왕복 이동하면, 한 쌍의 시트(16)는 그 만곡 부분(16a)이 이동체에 추종하여 변위되도록 하여 왕복 방향 X로 왕복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부재(14)는 한 쌍의 시트(16)의 만곡 부분(16a)으로부터의 압박력을 외주측 원호 홈(24) 및 내주측 원호 홈(25)에서 받기 때문에, 왕복 방향 X로 왕복 이동한다.
이 경우,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전진 한계 위치와, 후진 한계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여기서, 전진 한계 위치는 이동부(15)가 가이드 부재(14)의 전단부에 위치함과 함께 고정부(13)가 가이드 부재(14)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도 2에 도시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후진 한계 위치는 이동부(15)가 가이드 부재(14)의 후단부에 위치함과 함께 고정부(13)가 가이드 부재(14)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도 6에 도시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즉,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이동체(도시 생략)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전진 한계 위치로부터 후진 한계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후진 한계 위치로부터 전진 한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해서 행한다.
그러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의해, 수용실(S)에 수용된 긴 물체(K)가 이동체(도시 생략)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보호되면서 안내된다. 또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가 왕복 이동할 때, 즉 이동부(15) 및 가이드 부재(14)가 왕복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는, 이동부(15)의 각 롤러(47)가 상측 가이드 홈(29)의 제1 접촉면(33)에 접촉하면서 전동(회전)함과 함께, 고정부(13)의 각 롤러(47)가 하측 가이드 홈(30)의 제2 접촉면(34)에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가 전진 한계 위치로부터 후진 한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부(15)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외주측 원호 홈(24) 내 및 내주측 원호 홈(25) 내에 각각 위치하는 외부 시트(48)의 만곡 부분(48a) 및 내부 시트(49)의 만곡 부분(49a)이 외주측 원호 홈(24) 내의 외주면 및 내주측 원호 홈(25) 내의 외주면을 후방으로 압박한다.
이때의 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의 압박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14)가 후방을 향해 이동된다. 즉, 가이드 부재(14)는 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15)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각 롤러(47)는 상측 가이드 홈(29)의 상측 맞닿음면(31)에 맞닿는다.
한편,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가 후진 한계 위치로부터 전진 한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부(15)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외주측 원호 홈(24) 내 및 내주측 원호 홈(25) 내에 각각 위치하는 외부 시트(48)의 만곡 부분(48a) 및 내부 시트(49)의 만곡 부분(49a)이 외주측 원호 홈(24) 내의 내주면 및 내주측 원호 홈(25) 내의 내주면을 전방으로 압박한다.
이때의 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의 압박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14)가 전방을 향해 이동된다. 즉, 가이드 부재(14)는 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부재(14)의 하측 가이드 홈(30)의 하측 맞닿음면(32)은 고정부(13)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각 롤러(47)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14)는 이동부(15)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가 각각 만곡 부분(48a) 및 만곡 부분(49a)을 변위시키면서 왕복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이동부(15), 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를 가이드하면서 왕복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경우, 이동부(15)는 상측 가이드 홈(29)으로 가이드되고, 외부 시트(48)는 외측 가이드 홈(26)으로 가이드되고, 내부 시트(49)는 내측 가이드 홈(27)으로 가이드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14)와, 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는 연동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이동부(15) 및 한 쌍의 시트(16)(연결부)는 가이드 부재(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에 의해 한 쌍의 시트(16)가 마모되어도 한 쌍의 시트(16)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16a)보다도 이동부(15)측의 직선 부분이 거의 늘어지는 일이 없다. 즉, 한 쌍의 시트(16)의 마모가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수명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링크를 가진 종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비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2)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긴 물체(K)를 수용 가능한 수용실(S)은 연결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시트(16)끼리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시트(16)에 의해 수용실(S)을 확보하면서 이동부(15)와 고정부(13)를 밸런스 좋게 연결할 수 있다.
(3)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4)는 제1 접촉면(33) 및 제2 접촉면(34)을 갖고 있다. 이동부(15)의 각 롤러(47)는 이동부(15) 및 가이드 부재(14)가 왕복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제1 접촉면(33)에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고정부(13)의 각 롤러(47)는 이동부(15) 및 가이드 부재(14)가 왕복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제2 접촉면(34)에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이동부(15) 및 가이드 부재(14)를 왕복 방향 X를 따라 원활하게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4)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고정부(13) 및 이동부(15)는 수용실(S)에 수용된 긴 물체(K)를 고정 가능한 돌출부(45)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긴 물체(K)를 결속 밴드(50)에 의해 돌출부(45)에 묶어 고정함으로써, 긴 물체(K)를 수용실(S)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5)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이동부(15) 및 한 쌍의 시트(16)(연결부)는 가이드 부재(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시트(16)(연결부)가 늘어지는 일이 거의 없으므로, 가이드 부재(14) 및 이동부(15)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6)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이동부(15) 및 한 쌍의 시트(16)(연결부)는 가이드 부재(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시트(16)가 왕복 이동 중에 외측으로 팽창되는 일이 없고, 가이드 부재(14)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도 필요 없으므로, 공간 절약화에 공헌할 수 있다.
(7)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한 쌍의 시트(16)(연결부)는 사용 시에 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링크를 가진 종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비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링크를 가진 종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서는, 링크끼리의 굴곡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끼리의 충돌음이 발생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서는, 이와 같은 충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8)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한 쌍의 시트(16)(연결부)는 사용 시에 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링크를 가진 종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비해, 마모분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링크를 가진 종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서는, 링크끼리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마모분이 발생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서는, 링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링크끼리의 미끄럼 이동에 기인하는 마모분의 발생이 없다. 이 때문에, 저발진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4)는 왕복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가이드 부재(14)가 왕복 이동하는 이동면인 설치면(12)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의 주행 롤러(60)를 구비해도 된다. 즉,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의 왕복 방향 X의 양단부에 주행 롤러(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롤러 지지부(61)를 각각 설치하고, 각 롤러 지지부(61)에 주행 롤러(60)를 지지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 부재(14)를 왕복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각 주행 롤러(60)가 설치면(12) 상을 전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14)를 왕복 방향 X를 따라 원활하게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 부재로서는, 주행 롤러(60) 대신에 구체나 롤러를 사용해도 된다.
· 한 쌍의 시트(16)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용실(S)에 수용하는 긴 물체(K)의 수를 줄일 수 있다.
· 이동부(15) 및 고정부(13)의 각 롤러(47)는 상측 가이드 홈(29) 내 및 하측 가이드 홈(30) 내를 회전하지 않고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부재로 변경해도 된다.
· 이동부(15)가 갖는 롤러(47)의 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고정부(13)가 갖는 롤러(47)의 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 한 쌍의 시트(16)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진 사다리상의 것이어도 되고, 망상의 것이어도 된다.
· 연결부는 시트(16)에 한정되지 않고,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 막대상의 부재나 두께가 있는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 고정부(13) 및 이동부(15)는 반드시 돌출부(45)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 고정부(13)의 구성과 이동부(15)의 구성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 수용실(S)은 반드시 연결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시트(16)끼리의 사이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한 쌍의 시트(16)[외부 시트(48) 및 내부 시트(49)]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 설치면(12)은 반드시 수평면에 의해 구성될 필요는 없다. 설치면(12)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11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12 : 이동면을 구성하는 설치면
13 : 고정부
14 : 가이드 부재
15 : 이동부
16 : 연결부로서의 시트
16a, 48a, 49a : 만곡 부분
33 : 제1 접촉면
34 : 제2 접촉면
45 : 긴 물체 고정부로서의 돌출부
47 :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로서의 롤러
60 : 회전 부재로서의 주행 롤러
K : 긴 물체
S : 수용실
X : 왕복 방향
12 : 이동면을 구성하는 설치면
13 : 고정부
14 : 가이드 부재
15 : 이동부
16 : 연결부로서의 시트
16a, 48a, 49a : 만곡 부분
33 : 제1 접촉면
34 : 제2 접촉면
45 : 긴 물체 고정부로서의 돌출부
47 :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로서의 롤러
60 : 회전 부재로서의 주행 롤러
K : 긴 물체
S : 수용실
X : 왕복 방향
Claims (5)
- 왕복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왕복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해지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와,
길이 방향의 중도에 만곡 부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결부와,
상기 이동부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만곡 부분을 변위시키면서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연결부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함께, 상기 연결부로 긴 물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수용실은 한 쌍의 상기 시트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회전 가능한 제1 회전체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회전 가능한 제2 회전체를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긴 물체를 고정 가능한 긴 물체 고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왕복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왕복 이동하는 이동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55774A JP6378266B2 (ja) | 2016-08-08 | 2016-08-08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
JPJP-P-2016-155774 | 2016-08-08 | ||
PCT/JP2017/027535 WO2018030188A1 (ja) | 2016-08-08 | 2017-07-28 | 長尺物の案内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246A true KR20190037246A (ko) | 2019-04-05 |
KR102206207B1 KR102206207B1 (ko) | 2021-01-22 |
Family
ID=6116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3116A KR102206207B1 (ko) | 2016-08-08 | 2017-07-28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710837B2 (ko) |
JP (1) | JP6378266B2 (ko) |
KR (1) | KR102206207B1 (ko) |
CN (1) | CN109476438B (ko) |
DE (1) | DE112017003962B4 (ko) |
TW (1) | TWI682109B (ko) |
WO (1) | WO201803018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21109B2 (ja) * | 2015-11-16 | 2018-11-07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 |
DE202018102144U1 (de) * | 2018-04-18 | 2019-05-27 | Igus Gmbh | Energieführungskette mit Dämpfungselementen sowie Seitenteil dafür |
JP6897817B1 (ja) * | 2020-02-28 | 2021-07-07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92662A1 (en) * | 2001-01-15 | 2002-07-18 | Grant James H. | Electrical equipment and cable support assembly |
US20030192982A1 (en) * | 2002-04-10 | 2003-10-16 | Mcmurtry George W. | Servo-controlled traverse mechanism for winder |
JP2006074980A (ja) * | 2004-08-06 | 2006-03-16 | Yazaki Corp | スライド用給電装置 |
JP2015117759A (ja) | 2013-12-18 | 2015-06-25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7396U (ko) * | 1973-07-04 | 1975-03-29 | ||
JP2000068296A (ja) * | 1998-08-19 | 2000-03-03 | Nichiden Mach Ltd | ダイボンダ |
JP4266745B2 (ja) * | 2003-08-18 | 2009-05-20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
JP2005231783A (ja) * | 2004-02-18 | 2005-09-02 | Japan Automat Mach Co Ltd | 電線測長送給装置 |
JP4564866B2 (ja) * | 2005-03-04 | 2010-10-20 | 株式会社ディスコ | 伝達線固定具 |
DE202005005826U1 (de) * | 2005-04-11 | 2005-06-16 | Igus Gmbh |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System bestehend aus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einer diese aufnehmenden Haltevorrichtung |
TWI427882B (zh) * | 2010-11-30 | 2014-02-21 | Inventec Corp | 計算機裝置 |
FR2975335B1 (fr) * | 2011-05-20 | 2013-05-17 | Coriolis Composites Attn Olivier Bouroullec |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ubes flexibles d'acheminement de fibres munis de lames flexibles |
KR101196888B1 (ko) * | 2012-05-07 | 2012-11-01 | (주)한신체인 |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
JP6411016B2 (ja) | 2013-09-19 | 2018-10-24 |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 卓上ロボット |
JP6175402B2 (ja) * | 2014-04-04 | 2017-08-02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
JP2016131423A (ja) | 2015-01-13 | 2016-07-21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電線保護部材、電線保護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スライド配線装置 |
-
2016
- 2016-08-08 JP JP2016155774A patent/JP6378266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7-28 US US16/318,207 patent/US10710837B2/en active Active
- 2017-07-28 DE DE112017003962.2T patent/DE112017003962B4/de active Active
- 2017-07-28 CN CN201780045681.5A patent/CN109476438B/zh active Active
- 2017-07-28 WO PCT/JP2017/027535 patent/WO201803018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7-28 KR KR1020197003116A patent/KR1022062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8-04 TW TW106126303A patent/TWI682109B/zh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92662A1 (en) * | 2001-01-15 | 2002-07-18 | Grant James H. | Electrical equipment and cable support assembly |
US20030192982A1 (en) * | 2002-04-10 | 2003-10-16 | Mcmurtry George W. | Servo-controlled traverse mechanism for winder |
JP2006074980A (ja) * | 2004-08-06 | 2006-03-16 | Yazaki Corp | スライド用給電装置 |
JP2015117759A (ja) | 2013-12-18 | 2015-06-25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7003962T5 (de) | 2019-05-02 |
US10710837B2 (en) | 2020-07-14 |
TW201809503A (zh) | 2018-03-16 |
CN109476438B (zh) | 2020-12-22 |
WO2018030188A1 (ja) | 2018-02-15 |
US20190284013A1 (en) | 2019-09-19 |
JP2018025214A (ja) | 2018-02-15 |
TWI682109B (zh) | 2020-01-11 |
DE112017003962B4 (de) | 2022-12-15 |
KR102206207B1 (ko) | 2021-01-22 |
CN109476438A (zh) | 2019-03-15 |
JP6378266B2 (ja) | 2018-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21109B2 (ja)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 | |
KR20190037246A (ko)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
TWI495807B (zh) | 纜線類保護導引裝置 | |
CA2699126C (en) | Deflection apparatus for a conveying system | |
KR20120085188A (ko) |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 |
KR100982873B1 (ko) |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용 스케이트 유니트 | |
JP2000161447A (ja) | 長尺体支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産業装置 | |
KR20100096205A (ko) | 크랭크 샤프트 상의 필렛부를 심압연하기 위한 장치 | |
CN103912729A (zh) | 缆线类保护引导装置 | |
CN109715980B (zh) | 长条物的导引装置以及分隔构件 | |
CN112469923B (zh) | 长条物的导引装置及辊子附件 | |
KR101945643B1 (ko)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
JP4963307B2 (ja) |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 |
TWI782427B (zh) | 長條物保護導引裝置 | |
JP2015218870A (ja)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 |
KR101838127B1 (ko) | 산업용 로봇의 튜브 가이드 장치 | |
KR101705000B1 (ko) | 배선 이동 지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