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643B1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긴 물체의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643B1
KR101945643B1 KR1020177007360A KR20177007360A KR101945643B1 KR 101945643 B1 KR101945643 B1 KR 101945643B1 KR 1020177007360 A KR1020177007360 A KR 1020177007360A KR 20177007360 A KR20177007360 A KR 20177007360A KR 101945643 B1 KR101945643 B1 KR 101945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ortions
pair
convex portion
opposing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605A (ko
Inventor
쇼이치로 고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7004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복수의 링크(13)를 구비한다. 각 링크(13)는 제1 방향(Y)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12)를 갖는다. 복수의 링크(13)는 제2 방향(X)을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쌍의 링크부(12)는 각 링크(13)의 제3 방향(Z)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각 쌍의 아암(14, 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 쌍의 링크부(12) 및 각 쌍의 아암(14, 15)으로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수용 공간(SK)에, 긴 물체(TK)가 수용되어 있다. 제2 방향(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는 연결부(R)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R)는 각 링크부(12)를 구성하는 제1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R)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2개의 링크부(12)의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긴 물체의 안내 장치{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S}
본 발명은 공작 기계 등의 이동부에 급전이나 급액 등을 행하는 가요성의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긴 물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부의 이동에 맞춰서 안내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긴 물체 안내 장치는,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링크부)를 갖는 복수의 링크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각 쌍의 링크 플레이트는, 제1 아암과, 제1 아암과 대향하는 제2 아암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각 쌍의 링크 플레이트와, 각 제1 아암과, 각 제2 아암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긴 물체가 수용된다.
각 링크 플레이트의 전방 측면 부위에는 연결 핀 구멍(피삽입 끼움부)이 설치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 부위에는 연결 핀(볼록부)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로 인접하는 2개의 링크 플레이트 중 한쪽 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연결 핀 구멍에, 다른 쪽 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연결 핀을 감입함으로써 이들 2개의 링크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4163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서는, 사용 시에 있어서 전후로 인접하는 2개의 링크 플레이트가 회동할 때에 이들 링크 플레이트 중 한쪽 링크 플레이트의 연결 핀 구멍과, 다른 쪽 링크 플레이트의 연결 핀이 서로 마찰된다. 또한, 이들 링크 플레이트의 측면끼리가 서로 마찰된다. 이 때문에, 각 링크 플레이트가 마모되어 마모분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 시의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그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복수의 링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긴 물체를 수용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 링크는 제1 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링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각 쌍의 링크부는, 상기 각 링크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있어서 각 쌍의 아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각 쌍의 링크부와 상기 각 쌍의 아암에 의해 둘러싸여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긴 물체가 수용되고, 각 링크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 재료이며,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당해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링크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가 회동하는 때에는, 적어도 일부가 링크부를 구성하는 제1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된 연결부가 서로 마찰되는 한편, 링크부끼리는 서로 마찰되지않는다. 이 때문에, 연결부의 마모는 억제되고, 또한 링크부의 마모가 방지된다. 따라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 사용 시에 있어서의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증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에서의 거리에 관계없이 간극의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링크부끼리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링크부는, 상기 연결부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향면은 평면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은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링크부에 있어서의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의 양쪽을, 연결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의 사이의 간극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한 경사면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링크부끼리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2개의 링크부 중 한쪽 링크부를 제1 링크부라 하고, 다른 쪽 링크부를 제2 링크부라 한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제1 단부에 설치되는 볼록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볼록부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끼움되는 피삽입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피삽입 끼움부는 상기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재료는 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와 피삽입 끼움부가 서로 마찰되면서 상대적으로 회동(미끄럼 이동)할 때에 미끄럼 이동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피삽입 끼움부는, 각 링크부에 대하여 2색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링크는, 한 쌍의 링크부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또한 볼록부 및 피삽입 끼움부가 대응하는 링크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색 성형에 의해 각 링크부와, 볼록부 및 피삽입 끼움부가 융착되지 않아도, 각 링크부로부터 볼록부 및 피삽입 끼움부가 탈락되는 것을 규제부에 의해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상기 피삽입 끼움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제2 링크부에 대응하는 규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볼록부가 당해 제2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제1 링크부에 대응하는 규제부는, 상기 제1 링크부의 상기 피삽입 끼움부가 당해 제1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부에 의해 볼록부 및 피삽입 끼움부가 대응하는 링크부에 대한 회동이 규제된다. 볼록부 및 피삽입 끼움부가 대응하는 링크부와 서로 마찰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시의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링크부끼리의 연결 부분의 평단면도.
도 4는 링크로부터 볼록부와 피삽입 끼움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링크부끼리의 연결 부분의 연직 단면도.
도 6은 링크부끼리가 회동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복수의 링크(1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링크(13)는 제1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12)를 갖고 있다. 복수의 링크(13)는 제1 방향 Y와 직교하는 제2 방향 X를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방향 Y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폭 방향에 대응하고, 제2 방향 X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직렬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각 쌍의 링크부(12)끼리는, 각 링크(13)의 제3 방향 Z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있어서, 각 쌍의 제1 아암(14) 및 제2 아암(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 아암(14) 및 제2 아암(15)은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의 형상을 각각 갖고 있다. 제3 방향 Z는, 제1 방향 Y 및 제2 방향 X의 양 방향과 직교하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두께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각 제1 아암(14)은 각 쌍의 링크부(12)에 대하여 착탈 가능 또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아암(15)은 각 쌍의 링크부(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아암(14) 및 복수의 제2 아암(15)은 제3 방향 Z에 있어서 각각 서로 대향하고 있다.
복수의 링크(13) 중, 제2 방향 X의 시단부에 위치하는 링크(13)에는, 제2 방향 X를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도시 생략)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브래킷(16)이 연결되어 있다. 제2 방향 X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링크(13)에는, 고정부(도시 생략)에 고정하기 위한 제2 브래킷(17)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13)에 있어서의 각 쌍의 링크부(12)와, 각 쌍의 제1 아암(14) 및 제2 아암(15)에 의해 둘러싸여서 제2 방향 X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공간은, 수용 공간 SK를 구성하고 있다. 수용 공간 SK에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긴 물체 TK가 수용되어 있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수용 공간 SK에 수용된 긴 물체 TK를 보호하면서, 제1 브래킷(16)에 연결된 이동체(도시 생략)의 왕복 이동에 맞춰서, 그 긴 물체 TK를 안내한다.
이 경우,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그 중간부에 만곡 부분 W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만곡 부분 W는, 제1 브래킷(16)에 연결된 이동체(도시 생략)의 제2 방향 X를 따른 왕복 이동에 맞춰서 이동한다.
긴 물체 TK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체(도시 생략)에 급전이나 신호 전송을 행하는 전기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 이동체(도시 생략)에 기체(예를 들어, 공기 등)나 액체(예를 들어, 물이나 기름 등) 등을 공급하는 호스, 플렉시블하게 굴곡 가능한 긴 형상의 다관절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링크부(12)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링크부(12)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제2 방향 X의 양단부가 둥그스름해진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합성 수지 재료로서 폴리아미드(6)가 사용되고 있다. 각 링크부(12)의 제2 방향 X에 있어서의 제1 단부의 외측면에는 원환 형상의 볼록부(20)가 설치되고, 제2 단부의 내측면에는 원형 오목 형상의 피삽입 끼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피삽입 끼움부(21)에는,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링크부(12)의 볼록부(20)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끼움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20)는 제1 형성 부재(22)에 의해 구성되고, 피삽입 끼움부(21)는 제2 형성 부재(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형성 부재(22) 및 제2 형성 부재(23)는 링크부(12)(링크(13))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부(12)에 대하여 2색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는 링크부(12)에 대하여 2색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제1 형성 부재(22)는 볼록부(20)와, 원판 형상의 접합부(24)를 갖고 있다. 접합부(24)의 일 측면에는 볼록부(20)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접합부(24)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 볼록부(24a)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걸림 볼록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부(12)의 외측면에는, 제1 형성 부재(22)의 접합부(24)가 수용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원형의 외측 수용 오목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수용 오목부(25)의 내주면에는, 제1 형성 부재(22)의 접합부(24)의 걸림 볼록부(24a)에 대응하여 형성된 걸림 오목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형성 부재(22)의 걸림 볼록부(24a)가 링크부(12)의 걸림 오목부(25a)에 감합된다.
따라서, 제1 형성 부재(22)가 2색 성형에 의해 링크부(12)와 일체 성형된 상태에서는, 제1 형성 부재(22)의 접합부(24)의 각 걸림 볼록부(24a)가 링크부(12)의 외측 수용 오목부(25)의 각 걸림 오목부(25a)에 감합된다.
제2 형성 부재(23)는 바닥이 있는 원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부가 피삽입 끼움부(21)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형성 부재(2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 볼록부(23a)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걸림 볼록부(23a)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부(12)의 내측면에는, 제2 형성 부재(23)가 수용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원형의 내측 수용 오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수용 오목부(26)의 내주면에는, 제2 형성 부재(23)의 걸림 볼록부(23a)에 대응하여 형성된 걸림 오목부(26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형성 부재(23)의 걸림 볼록부(23a)가 링크부(12)의 걸림 오목부(26a)에 감합된다.
따라서, 제2 형성 부재(23)가 2색 성형에 의해 링크부(12)와 일체 성형된 상태에서는, 제2 형성 부재(23)의 각 걸림 볼록부(23a)가 링크부(12)의 내측 수용 오목부(26)의 각 걸림 오목부(26a)에 감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20)와 피삽입 끼움부(21)에 의해,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가 연결되는 연결부 R(도 3 참조)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볼록부(23a), 걸림 볼록부(24a), 걸림 오목부(25a), 및 걸림 오목부(26a)에 의해, 링크부(12)로부터 제1 형성 부재(22) 및 제2 형성 부재(23)가 탈락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다. 즉, 각 링크(13)는 링크부(12)로부터 제1 형성 부재(22) 및 제2 형성 부재(23)가 탈락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링크부(12)의 제2 방향 X에 있어서의 제2 단부에는, 상기 피삽입 끼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각 링크부의 제2 단부의 내측면에는, 부채 형상의 내측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내측면에 있어서, 피삽입 끼움부(21)를 내측 오목부(30)와 제2 방향 X에 있어서 끼우는 위치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내측 볼록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제2 방향 X에 있어서의 제1 단부에는, 상기 볼록부(20)가 설치되어 있다. 각 링크부의 제1 단부의 외측면에는, 부채 형상의 외측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외측면에 있어서, 볼록부(20)를 외측 오목부(32)와 제2 방향 X에 있어서 끼우는 위치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측 볼록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13) 중 한쪽 링크(13)의 피삽입 끼움부(21)와, 다른 쪽 링크(13)의 볼록부(20)를 감합한 상태에서는, 내측 오목부(30) 내에 외측 볼록부(33)가 수용됨과 함께 외측 오목부(32) 내에 내측 볼록부(31)가 수용된다. 내측 볼록부(31)는 외측 오목부(32) 내를 피삽입 끼움부(21)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50도분)만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측 볼록부(33)는 내측 오목부(30) 내를 피삽입 끼움부(21)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50도분)만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는,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13)(링크부(12))끼리의 회동 범위(회동 가능한 각도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내측 오목부(30)의 내측면에 외측 볼록부(33)의 외측면이 걸림 결합되고, 또한 외측 오목부(32)의 내측면에 내측 볼록부(31)의 외측면이 걸림 결합됨으로써,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13)(링크부(12))끼리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링크(13))는 제1 방향 Y에 있어서 일부가 서로 중첩된다.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는 이들 2개의 링크부(12)의 길이 축선이 일치하는 직선 자세(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자세)와, 이들 2개의 링크부(12)의 길이 축선이 소정의 각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50도)로 교차하는 굴곡 자세(도 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자세) 사이에서 회동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향 X를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13)에 있어서, 제2 방향 X를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는 이들 링크부(12)를 결합하는 연결부 R(피삽입 끼움부(21) 및 볼록부(20))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대향면을 포함한다. 2개의 대향면 중, 제2 형성 부재(23)가 설치되는 대향면은 원환 형상의 제1 대향면(41)을 구성하고, 제1 형성 부재(22)가 설치되는 대향면은 원환 형상의 제2 대향면(42)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대향면(41)은 평면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대향면(42)은 제1 대향면(41)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대향면(42)은 연결부 R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제1 방향 Y에 있어서의 제1 대향면(41)과의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13) 중 한쪽 링크(13)의 피삽입 끼움부(21)와, 다른 쪽 링크(13)의 볼록부(20)가 감합(연결)된 상태에서는, 연결부 R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링크부(12)끼리 사이, 즉 제1 대향면(41)과 제2 대향면(42) 사이에는 간극 S가 형성된다. 이 간극 S는, 연결부 R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서서히 증대되고 있다.
이어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체(도시 생략)가 제2 방향 X를 따라서 왕복 이동하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만곡 부분 W가 이동체(도시 생략)에 추종하여 변위하도록 하여 제2 방향 X를 따라서 왕복 이동한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수용 공간 SK에는, 긴 물체 TK가 수용되어 있다. 긴 물체 TK는, 수용 공간 SK내에서 보호되면서, 이동체(도시 생략)의 이동에 맞춰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의해 안내된다. 이때,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서는,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링크(13))가 만곡 부분 W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 사이에서 반복 회동된다.
이때,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 중 한쪽 링크부(12)(제1 링크부)의 피삽입 끼움부(21)와, 다른 쪽 링크부(12)(제2 링크부)의 볼록부(20)가 서로 마찰되면서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그러나, 이들 2개의 링크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 R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당해 링크부(12)끼리의 사이에는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들 링크부(12)끼리가 서로 마찰될 일은 없다.
그리고, 볼록부(20)를 형성하는 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를 형성하는 제2 형성 부재(23)는 링크부(12)(링크(13))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링크부(12)끼리가 서로 마찰되는 것에 의한 링크부(12)의 마모를 피함과 함께, 당해 링크부(12)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R의 마모가 억제된다. 따라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에 있어서의 마모분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에 있어서,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 중 한쪽 링크부(12)(제1 링크부)의 피삽입 끼움부(21)와, 다른 쪽 링크부(12)(제2 링크부)의 볼록부(20)가 서로 마찰될 때에, 이들 피삽입 끼움부(21) 및 볼록부(20)의 사이의 마찰 저항이 큰 경우에는, 제2 형성 부재(23) 및 제1 형성 부재(22)가 각각 대응하는 링크부(12)에 대하여 회동하려고 한다. 즉, 제2 형성 부재(23)가 상기 한쪽 링크부(12)(제1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려고 함과 함께, 제1 형성 부재(22)가 상기 다른 쪽 링크부(12)(제2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형성 부재(23)의 각 걸림 볼록부(23a)는 링크부(12)의 내측 수용 오목부(26)의 각 걸림 오목부(26a)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제1 형성 부재(22)의 접합부(24)의 각 걸림 볼록부(24a)는 링크부(12)의 외측 수용 오목부(25)의 각 걸림 오목부(25a)에 감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형성 부재(23) 및 제1 형성 부재(22)가 각각 대응하는 링크부(12)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2 형성 부재(23) 및 제1 형성 부재(22)가 각각 대응하는 링크부(12)와 서로 마찰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마모분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제2 방향 X를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는 연결부 R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R은, 링크부(12)를 구성하는 제1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 R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링크부(12)끼리의 사이에는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가 회동하는 때에는, 링크부(12)를 구성하는 제1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된 연결부 R이 서로 마찰되는 한편, 링크부(12)끼리는 서로 마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링크부(12)의 마모를 회피하면서, 연결부 R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에 마모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연결부 R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링크부(12)끼리의 사이에는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에 있어서, 제2 방향 X를 따라서 연결된 복수의 링크(13)에 대하여 비틀어지는 힘이 작용해도, 제2 방향 X를 따라서 인접하는 링크부(12)끼리가 서로 마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간극 S는 연결부 R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증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연결부 R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간극 S의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링크부(12)끼리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3)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제2 방향 X를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는 연결부 R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대향면(41) 및 제2 대향면(42)을 포함한다. 제1 대향면(41)은 평면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대향면(42)은 제1 대향면(41)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대향면(41) 및 제2 대향면(42)의 사이에는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대향면(41) 및 제2 대향면(42) 각각을, 연결부 R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간극 S가 증대하도록 경사지게 한 경사면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링크부(12)끼리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대향면(42)이 제1 대향면(41)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13)끼리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4)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각 링크부(12)는 제2 방향 X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12) 중 한쪽 링크부(12)를 제1 링크부라 하고, 다른 쪽 링크부(12)를 제2 링크부라 한 때, 연결부 R은, 제2 링크부의 제1 단부에 설치된 볼록부(20)와, 제1 링크부의 제2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2 링크부의 볼록부(20)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끼움되는 피삽입 끼움부(21)를 포함한다.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는 제2 재료에 대응하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에 의해 볼록부(20)와 피삽입 끼움부(21)가 서로 마찰되면서 상대적으로 회동(미끄럼 이동)할 때에 미끄럼 이동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5)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는 각 링크부(12)에 대하여 2색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각 링크(13)는 한 쌍의 링크부(12)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또한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가 대응하는 링크부(12)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2색 성형에 의해 각 링크부(12)와,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가 융착되지 않아도, 각 링크부(12)로부터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가 탈락되는 것을 규제부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6)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제2 링크부의 볼록부(20)와, 제1 링크부의 피삽입 끼움부(21)가 상대적으로 회동할 때에 제2 링크부에 대응하는 규제부는, 제2 링크부의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가 당해 제2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함과 함께, 제1 링크부에 대응하는 규제부는, 제1 링크부의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가 당해 제1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규제부에 의해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가 대응하는 링크부(12)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 규제되어서, 볼록부(20) 및 피삽입 끼움부(21)가 대응하는 링크부(12)와 서로 마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규제부(걸림 볼록부(23a), 걸림 볼록부(24a), 걸림 오목부(25a), 및 걸림 오목부(26a))는 볼록부(20)와 피삽입 끼움부(21)가 상대적으로 회동할 때에 반드시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가 대응하는 링크부(12)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할 필요는 없다. 즉, 4개의 걸림 오목부(25a)는 연속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어도 되고, 4개의 걸림 오목부(26a)는 연속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4개의 걸림 볼록부(23a)는 연속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4개의 걸림 볼록부(24a)는 연속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는 반드시 각 링크부(12)에 대하여 2색 성형에 의해 설치할 필요는 없고, 각 링크부(12)에 대하여 조립하거나 접착하거나 하여 설치해도 된다.
·각 링크부(12)로부터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가 탈락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걸림 볼록부(23a), 걸림 볼록부(24a), 걸림 오목부(25a), 및 걸림 오목부(26a))는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링크부(12)에 대하여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를 2색 성형에 의해 설치하는 때에는, 각 링크부(12)를 구성하는 재료와,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를 구성하는 재료가 상용성을 갖도록, 이들 재료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는 반드시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할 필요는 없다.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 중 어느 한쪽은, 링크부(12)에 대하여 링크부(12)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연결부 R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링크부(12)끼리의 대향하는 2개의 대향면 중 한쪽 대향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대향면(42)을 평면에 의해 형성하고, 다른 쪽 대향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대향면(41)을 제2 대향면(42)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하고, 평면인 제2 대향면(42)과, 경사면인 제1 대향면에 의해 간극 S를 형성해도 된다. 또는, 제1 대향면(41) 및 제2 대향면(42) 각각을, 제1 방향 Y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하고, 각각이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제1 대향면(41) 및 제2 대향면(42)에 의해 간극 S를 형성해도 된다.
·간극 S는, 반드시 연결부 R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증대하도록 형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간극 S의 제1 방향 Y에 있어서의 크기를 일정하게 해도 된다.
·볼록부(20)(제1 형성 부재(22)) 및 피삽입 끼움부(21)(제2 형성 부재(23))는 서로 상이한 재료(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볼록부(20)와 피삽입 끼움부(21)를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들이 마모되기 어려워진다.
·외측 수용 오목부(25) 및 내측 수용 오목부(26)는 각 링크부(12)를 제1 방향 Y를 따라서 관통하도록 형성한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제2 아암(15)과 한 쌍의 링크부(12)는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11: 긴 물체의 안내 장치
12: 링크부
13: 링크
14: 제1 아암
15: 제2 아암
20: 볼록부
21: 피삽입 끼움부
23a: 규제부를 구성하는 걸림 볼록부
24a: 규제부를 구성하는 걸림 볼록부
25a: 규제부를 구성하는 걸림 오목부
26a: 규제부를 구성하는 걸림 오목부
41: 제1 대향면
42: 제2 대향면
R: 연결부
S: 간극
SK: 수용 공간
TK: 긴 물체
X: 제2 방향
Y: 제1 방향
Z: 제3 방향

Claims (6)

  1. 복수의 링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긴 물체를 수용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 링크는 제1 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링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각 쌍의 링크부는, 상기 각 링크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있어서 각 쌍의 아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각 쌍의 링크부와 상기 각 쌍의 아암에 의해 둘러싸여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긴 물체가 수용되고,
    각 링크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 재료이며,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부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당해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재료보다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링크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상기 연결부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증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링크부는, 상기 연결부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향면은 평면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은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2개의 링크부 중 한쪽 링크부를 제1 링크부라 하고, 다른 쪽 링크부를 제2 링크부라 한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제1 단부에 설치되는 볼록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볼록부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끼움되는 피삽입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피삽입 끼움부는 상기 제2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재료는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피삽입 끼움부는, 각 링크부에 대하여 2색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링크는, 한 쌍의 링크부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또한 볼록부 및 피삽입 끼움부가 대응하는 링크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상기 피삽입 끼움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제2 링크부에 대응하는 규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의 상기 볼록부가 당해 제2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제1 링크부에 대응하는 규제부는, 상기 제1 링크부의 상기 피삽입 끼움부가 당해 제1 링크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20177007360A 2014-09-24 2015-09-14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1945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3961A JP6262627B2 (ja) 2014-09-24 2014-09-24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JP-P-2014-193961 2014-09-24
PCT/JP2015/076058 WO2016047489A1 (ja) 2014-09-24 2015-09-14 長尺物の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605A KR20170043605A (ko) 2017-04-21
KR101945643B1 true KR101945643B1 (ko) 2019-02-07

Family

ID=5558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60A KR101945643B1 (ko) 2014-09-24 2015-09-14 긴 물체의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47825B2 (ko)
JP (1) JP6262627B2 (ko)
KR (1) KR101945643B1 (ko)
CN (1) CN106795948B (ko)
DE (1) DE112015004347T5 (ko)
TW (1) TWI593896B (ko)
WO (1) WO2016047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4490B2 (ja) * 2018-06-27 2020-12-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該ワイヤハーネスを備えた給電装置
JP7396016B2 (ja) * 2019-12-17 2023-1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WO2023105279A1 (de) 2021-12-10 2023-06-1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gleitlagerrin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77Y1 (ko) * 2001-02-22 2001-07-19 효림산업주식회사 체인용 부시
JP3457663B1 (ja) 2002-05-28 2003-10-20 ジューキ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材
JP7043008B2 (ja) 2018-10-19 2022-03-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4931A1 (de) 1995-12-01 1997-06-05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mit Zusatzkörper
DE19839575A1 (de) 1998-08-31 2000-03-09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kette zum Führen von Leitungen mit räumlich beweglichen Kettengliedern
DE202006006645U1 (de) * 2006-04-21 2006-07-06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4751862B2 (ja) 2007-08-08 2011-08-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658221B1 (ja) 2009-11-26 2011-03-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618933B2 (ja) * 2011-07-25 2014-11-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12003908U1 (de) * 2012-04-19 2012-05-1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Rollen
JP2014027749A (ja) * 2012-07-25 2014-02-06 Disco Abrasive Syst Ltd ケーブルガイ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77Y1 (ko) * 2001-02-22 2001-07-19 효림산업주식회사 체인용 부시
JP3457663B1 (ja) 2002-05-28 2003-10-20 ジューキ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材
JP7043008B2 (ja) 2018-10-19 2022-03-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5948B (zh) 2020-02-07
KR20170043605A (ko) 2017-04-21
JP6262627B2 (ja) 2018-01-17
TWI593896B (zh) 2017-08-01
TW201621185A (zh) 2016-06-16
DE112015004347T5 (de) 2017-06-08
WO2016047489A1 (ja) 2016-03-31
US10047825B2 (en) 2018-08-14
CN106795948A (zh) 2017-05-31
JP2016065580A (ja) 2016-04-28
US20170284506A1 (en)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456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101818081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KR101945643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JP6301775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7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931901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TWI584546B (zh) 纜線類保護引導裝置
JP2008275114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880749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KR20110058724A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2013070552A (ja) 合成樹脂製の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
KR101683951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20130096178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JP3717071B2 (ja) 密閉型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CN109715980B (zh) 长条物的导引装置以及分隔构件
CN112469923B (zh) 长条物的导引装置及辊子附件
JP596115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TWI782427B (zh) 長條物保護導引裝置
KR20180068440A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JP2015218870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923416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KR20180068441A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