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026A -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026A
KR20190030026A KR1020170117225A KR20170117225A KR20190030026A KR 20190030026 A KR20190030026 A KR 20190030026A KR 1020170117225 A KR1020170117225 A KR 1020170117225A KR 20170117225 A KR20170117225 A KR 20170117225A KR 20190030026 A KR20190030026 A KR 20190030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polish
composition
gloss
aqueous nail
aqu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640B1 (ko
Inventor
정규식
최석원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40B1/ko
Priority to PCT/KR2018/007938 priority patent/WO2019054614A1/ko
Priority to CN201880059761.0A priority patent/CN111132657A/zh
Publication of KR2019003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광택제로서 다당류를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광택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다당류를 포함함으로써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다양한 첨가제 및 안료를 첨가하더라도 광택이 증진되고, 건조속도가 빠르며, 점도가 낮아 수성 네일 폴리쉬로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Composition for enhancing gloss of an aqueous nail polish}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네일 폴리쉬는 손, 발톱 등의 진성 각질을 아름답게 꾸미는데 사용되거나 손, 발톱의 치료학상의 처리에 사용되는 것으로, 니트로셀룰로스나 비닐계 합성수지에 용제로서 아세톤, 알콜, 가소제로서 장뇌, 벤조산에틸 등을 넣고 색소를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
종래 주로 사용되던 유성 네일 폴리쉬는 아세톤과 같은 유기 용제를 용제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손톱에 발랐을 때 유기 용제 냄새가 많이 나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한, 아세톤을 사용하는 네일 폴리쉬는 폭발의 위험이 있고, 열에 취약하여 사용자가 휴대 시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장소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한편 수성 네일 폴리쉬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수용성 조성물이기 때문에 제거가 용이하며 저자극성이라는 장점이 있어 최근 들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수성 네일 폴리쉬에서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광택과 물성들이 우수한 편이나, 수지 이외에 첨가제나 무기/유기 안료를 첨가하게 되면 광택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수성 네일 폴리쉬에서 수지 외에 다른 첨가제, 무기/유기 안료 등을 사용하였을 때에 광택을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한 광택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6437호.
일 양상은 광택제로서 다당류를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광택제로서 당류, 구체적으로 다당류를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네일 폴리쉬 (nail polish)"는 손톱 또는 발톱에 광택이나 색채를 더하기 위해 칠하는 에나멜 모양의 액체를 의미하며, 수성 네일 폴리쉬와 유성 네일 폴리쉬로 구분될 수 있다. "유성 네일 폴리쉬"는 유기 용매를 베이스로 한 네일 폴리쉬로서 지속력이 비교적 우수한 반면,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독한 향이 나고, 아세톤과 같은 리무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수성 네일 폴리쉬"는 물을 베이스로 한 네일 폴리쉬로서 유성 네일 폴리쉬 특유의 자극적인 향이 없고, 아세톤 등의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종래의 수성 네일 폴리쉬는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수지 외에 다른 첨가제, 안료 등을 첨가하면 광택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광택제로서 당류, 구체적으로 다당류를 사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킨다"란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첨가제, 무기 안료, 유기 안료 등의 첨가에 의해 감소된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감소되기 전의 광택으로 유지하거나 그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당류는 감미료 (sweetener)로 사용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료 (sweetener)"는 단맛을 느끼게 하는 조미료 또는 첨가물을 의미한다. 감미료는 식품에 첨가하여 단맛을 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수성 네일 폴리쉬에 첨가할 경우 광택제로서 역할을 한다는 신규한 용도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당류 (saccharide)"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 설탕유도체, 당알콜 (sugar alcohol)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당류를 의미한다. 상기 당류는 탄수화물계 당류와 비탄수화물계 당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계 당류는 최근 전분을 원료로 하는 효소생산 기술이 진보하여 새로운 종류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상기 비탄수화물계 당류는 당 (sugar)이 비탄수화물성분과 결합하여 생성되는 글리코시드 (glycoside) 또는 그 효소 처리물, 아미노산계 당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탄수화물계 당류는 천연 유래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당류는 가수분해로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가장 작은 단위의 당으로서, 히드록시기와 카보닐기를 갖는 알데히드기(-CHO)나 케톤(-CO-) 또는 그 유도체를 지니고 있고 대개 고리 배열을 한다. 단당류는 탄소 원자를 3~7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당류는 포도당, 과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당류는 두 개의 단당류를 탈수 반응에 의해 합성한 화합물이다. 상기 이당류는 젖당, 맥아당, 수크로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류는 갈락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시클로덱스트린, 글루코실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탕유도체는 커플링 슈가, 파라티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알콜은 솔비톨 (solbitol), 에리스리톨 (erythritol), 만니톨 (mannitol), 자일리톨 (xylit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 (polysaccharide)"는 단당류 3개 이상이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하여 큰 분자를 만들고 있는 당류의 총칭이다. 상기 다당류는 탄수화물계 다당류, 비탄수화물계 다당류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비탄수화물계 당류는 스테비오시드 (stevioside), 루부소시드 (rubusoside), 커큘린 (curculin), 필로둘신 (phyllodulcin), 글리시레트산 (glycyrrhetic acid), 모넬린 (monellin), 타우마틴 (thaumat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비탄수화물계 당류는 사카린 (saccharin), 수크랄로스 (sucralose), 시클라메이트 (cyclamate), 아스파르탐 (aspartam), 알리탐 (Alitame), 아세설팜 (Acesulf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당류, 구체적으로 다당류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다당류는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말토덱스트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광택도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스테비오시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건조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말토덱스트린 또는 스테비오시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를 동시에 사용할 때 광택 증진 효과 및 건조속도 면에서 더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말토덱스트린 (maltodextrin)"은 녹말을 묽은 산 또는 아밀라제로 분해해서 생기는 덱스트린 중 아크로덱스트린보다 중합도가 작고 맥아당이 되기까지 사이의 저분자 덱스트린의 총칭으로서, 제법에 의해 여러 가지 구조 및 성질을 가지고, 중합도는 대개 3~6 정도이다. 즉, 맥아당, 말토트리오스 및 그들의 중합 동족 계열을 의미할 수 있다. 중합도가 3인 경우 말토트리오스, 4인 경우 말토테트라오스, 5인 경우 말토펜타오스, 6인 경우 말토헥사오스로 부른다.
상기 "스테비오시드 (stevioside)"는 국화가 여러해살이풀 스테비아 (Stevia rebaudiana)의 잎이나 줄기에 함유된 글리코시드로서, 설탕의 약 3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내는 저칼로리 천연감미료이다.
상기 다당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 1 내지 45 중량%, 1 내지 40 중량%, 1 내지 35 중량%, 1 내지 30 중량%, 1 내지 25 중량%, 1 내지 20 중량%, 5 내지 50 중량%, 5 내지 45 중량%, 5 내지 40 중량%, 5 내지 35 중량%, 5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5 내지 2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5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5 중량%, 10 내지 20 중량%, 15 내지 50 중량%, 15 내지 45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15 내지 30 중량%, 15 내지 25 중량%, 15 내지 20 중량%, 20 내지 50 중량%, 20 내지 45 중량%, 20 내지 40 중량%, 20 내지 35 중량%, 20 내지 30 중량%, 20 내지 25 중량%, 25 내지 50 중량%, 25 내지 45 중량%, 25 내지 40 중량%, 25 내지 35 중량%, 25 내지 30 중량%, 30 내지 50 중량%, 30 내지 45 중량%, 30 내지 40 중량%, 30 내지 35 중량%, 35 내지 50 중량%, 35 내지 45 중량%, 35 내지 40 중량%, 또는 약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당류의 함량이 10 내지 20 중량%인 경우 건조속도와 광택 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보이지만 그 수치가 다당류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경우의 수치에 못 미치는 수준일 수 있다. 다당류의 함량이 20 내지 35 중량%인 경우 낮은 수치의 광택 및 건조속도가 나타나며, 45 중량% 이상인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사용감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다당류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경우 광택 및 건조속도가 우수하면서,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는 1:10 내지 10:1의 중량비, 1:5 내지 5:1의 중량비, 또는 1:4 내지 4:1의 중량비, 구체적으로 약 1:10, 약 1:9, 약 1:8, 약 1:7, 약 1:6, 약 1:5, 약 1:4, 약 1:3, 약 1:2, 약 1:1, 약 2:1, 약 3:1, 약 4:1, 약 5:1, 약 6:1, 약 7:1, 약 8:1, 약 9:1, 또는 약 10: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는 약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를 약 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광택이 우수하고, 건조속도는 빠르며, 점도가 적절하여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수성 네일 폴리쉬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10 중량%,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5 중량%, 2 내지 10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0 중량%, 또는 약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지나치게 적은 경우 광택 증진 효과가 적을 수 있고, 지나치게 많은 경우 건조속도가 느리고 점도가 높아 네일 폴리쉬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70 이상 광택 단위(gloss unit), 70 내지 99 광택 단위, 70 내지 90 광택 단위, 75 내지 90 광택 단위, 또는 80 내지 90 광택 단위의 광택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택도는 BYK 가드너 광택계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건조속도가 10분 이하, 수초 이상 내지 10분 이하, 1분 내지 10분, 1분 내지 8분, 5분 내지 10분, 또는 5분 내지 8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조속도"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한 시점을 기준으로 완전히 건조되어 묻어 나오지 않을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점도가 4000 cps 이하, 2000 내지 4000 cps, 또는 2000 내지 3500 cps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도는 브룩필드 (Brookfiled) 점도계로 회전속도 60 rpm에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용성 수지, 수용성 필름형성제, 정제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수지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수용성 수지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ammonium acrylate 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필름형성제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수용성 필름형성제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스, 셀룰로스 검, 폴리쿼터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11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분산제 및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분산제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소르베이트-85, PEG-7 올리베이트, PEG-8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올레쓰-10, 올레쓰-10/폴리옥실 10 올레일에스터, PEG-8 라우레이트, 이소스테아레쓰-20, PEG-60 아몬드 글리세리드, PEG-20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쓰-20, 올레쓰-20, 스테아레쓰-20, 스테아레쓰-21, 세레쓰-20, 이소세테쓰-20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6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소포제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시메치콘 (Simethicone), 디메치콘 (Dimethicone), 옥톡시놀 (Octoxynol), 폴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플루오르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메치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필터 또는 증류를 통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물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제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주된 용매로서, 점도 및 건조성을 조절할 수 있다. 유성 네일 폴리쉬의 경우 에스테르계, 케톤계, 알콜계, 탄화수소계 등의 유기 용매를 주된 용매로 사용하는 것과 달리,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정제수를 주된 용매로 사용하므로 독한 향이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네일 베이스코트, 네일 탑코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방부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의 제조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용어, "약 (about)", 또는 대략 (approximately)" 등의 표현은 언급하는 값이 어느 정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값은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5 (about 5)"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문맥상 지시된 것이 아니라면 단수형은 복수형도 또한 포함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된 것이 아니라면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이 발명이 속한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보통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순이 될 경우, 본 명세서가 조절할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광택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다당류를 포함함으로써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다양한 첨가제 및 안료를 첨가하더라도 광택이 증진되고, 건조속도가 빠르며, 점도가 낮아 수성 네일 폴리쉬로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광택도 (gloss unit)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조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건조속도 (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조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점도 (cp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제조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광택도 (gloss unit)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제조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건조속도 (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점도 (cp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5: 수성 네일 폴리쉬용 광택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같이 비이커에 가장 먼저 정제수 (80~90℃)를 계량 후 아지믹서 (agimixer)를 이용하여 100rpm으로 교반하며, 글루코실 스테비오시드, 스테비오시드 또는 말토덱스트린을 투하 후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 후 점증제를 흩뿌리며 투하한 후에 200~300rpm으로 점도가 올라감에 따라 rpm을 올려주면서 교반하며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에 방부제를 투하 후 5분간 교반하여 광택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의 경우 진한 황색빛을 띠는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연한 노란빛을 띠는 투명한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비교예 4 및 5의 경우 투명한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하기 표 1에 비교예 1~5에 따른 광택제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정제수 59.54 59.10 69.10 59.10 69.10
말토덱스트린 - - - 30.00 20.00
글루코실스테비오시드 29.75 - - - -
스테비오시드 30.00 20.00 - -
점증제 9.83 10.00 10.00 10.00 10.00
방부제 0.79 0.80 0.80 0.80 0.80
시메치콘 - 0.10 0.10 0.10 0.10
비교 제조예 1~5: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5에서 제조한 광택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비교 제조예 1~5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 중량% )
광택제(비교예 1~5) 7
정제수 54.45
수용성 필름형성제 (폴리우레탄-11) 32.2
알코올 4.53
분산제 (폴리소르베이트60) 1
방부제 0.5
수용성 수지 (암모늄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0.27
시메치콘 0.05
실험예 1: 점도, 건조속도 및 광택력 평가
비교 제조예 1~5의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대하여 점도, 건조속도 및 광택력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점도는 브룩필드 (brookfield) 점도계 2번핀들 60rpm으로 측정하였다. 건조속도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손톱에 도포한 후 완전히 마를때까지의 시간 (초)을 측정하였다. 광택도는 BYK 가드너 광택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광택도가 74~78 광택 단위(Gloss unit)의 수치가 나오며, 건조속도는 약 7~8분, 점도는 2500~4000cps 정도로 측정되었다. 이는 기존의 수성 네일 스티커 제형의 물성과 유사하다.
스테비오시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 및 3의 경우, 건조속도가 10분 정도 측정이 되어 기존의 제형보다 건조속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말토덱스트린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4 및 5의 경우, 기존 제형보다 광택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1~9: 수성 네일 폴리쉬용 광택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과 같이 비이커에 가장 먼저 정제수 (80~90℃)를 계량 후 디스퍼 (disper)를 이용하여 100rpm으로 교반하며,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를 순서대로 투하한 후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때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의 중량비는 1:1로 하였다. 그 후 점증제를 흩뿌리며 투하한 후에 200~300rpm으로 점도가 올라감에 따라 rpm을 점점 올려주면서 교반하며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에 시메치콘 및 방부제를 순서대로 투하한 후 지속적으로 디스퍼를 이용하여 5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광택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실시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4의 경우 연한 노란빛을 띠는 투명한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5~9의 경우는 연한 노란빛의 탁한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정제수 79.1 69.1 63.1 59.1 55.1 51.1 49.1 45.1 39.1
말토덱스트린 5.0 10.0 13.0 15.0 17.0 19.0 20.0 22.0 25.0
스테비오시드 5.0 10.0 13.0 15.0 17.0 19.0 20.0 22.0 25.0
점증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시메치콘 0.1 0.1 0.1 0.1 0.1 0.1 0.1 0.1 0.1
방부제 0.8 0.8 0.8 0.8 0.8 0.8 0.8 0.8 0.8
제조예 1~9: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2에서 광택제로서 비교예 1~5를 대신해 상기 실시예 1~9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96 중량% 및 색소 4 중량%를 사용하여 조색을 하였다.
실시예 10~17: 수성 네일 폴리쉬용 광택제 조성물의 제조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의 중량비를 4:1, 3:1, 2:1, 1.5:1, 1:1.5, 1:2, 1:3, 1:4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택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0~17의 경우 실시예 1~9와 동일한 약한 노란빛을 띠는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성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정제수 49.1 49.1 49.1 49.1 49.1 49.1 49.1 49.1
말토덱스트린 32.0 30.0 27.0 24.0 16.0 13.0 10.0 8.0
스테비오시드 8.0 10.0 13.0 16.0 24.0 27.0 30.0 32.0
점증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시메치콘 0.1 0.1 0.1 0.1 0.1 0.1 0.1 0.1
방부제 0.8 0.8 0.8 0.8 0.8 0.8 0.8 0.8
제조예 10~17: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2에서 광택제로서 비교예 1~5를 대신해 상기 실시예 10~17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96 중량% 및 색소 4 중량%를 사용하여 조색을 하였다.
실험예 2: 다당류의 양에 따른 광택, 건조속도 및 점도 평가
상기 제조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대하여 광택, 건조속도 및 점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수성 네일 폴리쉬의 경우, 광택은 높을수록, 건조속도는 낮을수록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며, 점도는 2000~3500 cps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점도는 브룩필드 (brookfield) 점도계 2번핀들 60rpm으로 측정하였다. 건조속도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을 손톱에 도포한 후 완전히 마를때까지의 시간 (초)을 측정하였다. 광택도는 BYK 가드너 광택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은 제조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광택도 (gloss unit)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조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건조속도 (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조예 1~9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점도 (cp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9의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은 80~90 광택 단위의 광택도를 나타내었으며, 건조속도는 약 5분~8분이었고, 점도는 2000~4000 cps로 측정되었다. 특히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의 함량을 40 중량%로 포함하는 실시예 7의 광택제를 사용한 제조예 7의 경우, 광택도가 우수하고, 건조속도는 낮으면서, 점도가 적정 범위에 있어 물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3: 다당류의 중량비에 따른 광택, 건조속도 및 점도 평가
상기 제조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에 대하여 광택, 건조속도 및 점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였다.
도 4는 제조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광택도 (gloss unit)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제조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건조속도 (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예 10~17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의 점도 (cp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의 중량비를 다양하게 사용한 제조예 10~17은 약 85 광택 단위의 광택도를 나타내었으며, 건조속도는 약 5분~8분이었고, 점도는 2000~3500 cps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광택 증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건조속도 및 점도가 수성 네일 폴리쉬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광택제로서 다당류를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말토덱스트린, 스테비오시드, 루부소시드, 커큘린, 필로둘신, 글리시레트산, 모넬린, 타우마틴, 사카린, 수크랄로스, 시클라메이트, 아스파르탐, 알리탐 및 아세설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인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비오시드는 1:10 내지 10: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수용성 수지, 수용성 필름형성제, 및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170117225A 2017-09-13 2017-09-13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KR10197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25A KR101978640B1 (ko) 2017-09-13 2017-09-13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PCT/KR2018/007938 WO2019054614A1 (ko) 2017-09-13 2018-07-13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CN201880059761.0A CN111132657A (zh) 2017-09-13 2018-07-13 用于增强水性指甲油光泽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25A KR101978640B1 (ko) 2017-09-13 2017-09-13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26A true KR20190030026A (ko) 2019-03-21
KR101978640B1 KR101978640B1 (ko) 2019-05-15

Family

ID=6572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225A KR101978640B1 (ko) 2017-09-13 2017-09-13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78640B1 (ko)
CN (1) CN111132657A (ko)
WO (1) WO201905461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561A (ja) * 2002-07-08 2004-02-05 L'oreal Sa ネイルエナメル
JP2006518388A (ja) * 2003-02-20 2006-08-10 ビーピーエスアイ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真珠光沢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剤システム及びそれによりコーティングされた基材
KR20140086437A (ko)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퓨라엠 수성 에나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7043569A (ja) * 2015-08-27 2017-03-02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水性美爪料
KR101770985B1 (ko) * 2016-03-23 2017-08-24 주식회사 티에이치엘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0612B1 (fr) * 1999-11-10 2003-02-28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mprenant un copolymere sur lequel est fixe au moins un azurant optique
US20050255063A1 (en) * 2004-05-14 2005-11-17 Fenwick-Le Vine Jan L Candy cosmetics
JP2012006848A (ja) * 2010-06-23 2012-01-12 Yurika:Kk 歯のマニキュア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CN102669764A (zh) * 2012-05-16 2012-09-19 温书太 一种含有山药的纯天然饮料
CN102763834A (zh) * 2012-06-29 2012-11-07 占协琼 一种酸奶甜味剂
CN105077495A (zh) * 2014-05-13 2015-11-25 天津市食品研究所有限公司 一种菠萝甜菊糖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211397A (zh) * 2014-06-26 2016-01-06 湖南九芝堂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蜂蜜火麻仁固体饮料
CN104336287B (zh) * 2014-09-30 2017-05-17 河南科技大学 一种具有降压作用的巧玲花无糖保健糖果及其制备方法
CN105998306A (zh) * 2016-07-25 2016-10-12 广东温氏大华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兽用解毒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619559A (zh) * 2016-12-19 2017-05-10 沈阳化工大学 一种生姜水提物冻干粉泡腾片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561A (ja) * 2002-07-08 2004-02-05 L'oreal Sa ネイルエナメル
JP2006518388A (ja) * 2003-02-20 2006-08-10 ビーピーエスアイ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真珠光沢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剤システム及びそれによりコーティングされた基材
KR20140086437A (ko)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퓨라엠 수성 에나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7043569A (ja) * 2015-08-27 2017-03-02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水性美爪料
KR101770985B1 (ko) * 2016-03-23 2017-08-24 주식회사 티에이치엘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40B1 (ko) 2019-05-15
CN111132657A (zh) 2020-05-08
WO2019054614A1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4540A1 (en) Steviol Glycoside Compounds, Compositions For Oral Ingestion Or Use, And Method For Enhancing Steviol Glycoside Solubility
JP2001342110A (ja) 皮膚外用剤
JP2006232820A (ja) 毛髪セット力増強剤及び毛髪セット力増強方法並びに毛髪セット用組成物
KR20010031274A (ko) 폴리히드록실화 유기 화합물과 배합된 실질적으로무정형인 셀룰로스 나노피브릴의, 화장용 제제에서의 용도
JP2022529107A (ja) ステビオールグリコシド溶解度向上剤
WO2018045582A1 (zh) 一种含保湿复合剂的护发养发组合物
JP2023536924A (ja) パーソナルケア配合物のための乳化剤組成物
EP2480194A1 (en) Carrageenan mixtures useful as cosmetic ingredients and hair styling gels comprising them
KR101978640B1 (ko) 수성 네일 폴리쉬의 광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JP2022040048A (ja) 冷涼感増強剤
JP4495748B2 (ja)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6−脂肪酸凍結乾燥製剤及び化粧料
EP1799181A1 (en) Natural fast-drying hair fixative compositions
CN107454837B (zh) 一种含头发保湿复合剂的香波组合物
AU2009331496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locust bean gum hydrolysate
JP6010307B2 (ja) 水性化粧料
KR20070072742A (ko) 냉감 효과를 가지는 비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833041B2 (ja) 口腔用組成物
CN102665663A (zh) 用于减轻染料引起的皮肤刺激的组合物
JP2023084941A (ja) 噴霧用組成物
EP4212144A1 (en) Sanitizer composition in emulsion formulation
WO2012137939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2209708B1 (ko) 홍삼 추출물 및 젤란검을 포함하는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5199B1 (ko) 연질 캡슐의 블루밍 방지를 위한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함유한 피막
JP6277312B1 (ja) 皮膚外用剤
JPH10279425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