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906A -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 Google Patents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906A
KR20190027906A KR1020197004349A KR20197004349A KR20190027906A KR 20190027906 A KR20190027906 A KR 20190027906A KR 1020197004349 A KR1020197004349 A KR 1020197004349A KR 20197004349 A KR20197004349 A KR 20197004349A KR 20190027906 A KR20190027906 A KR 2019002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ypotenuse
rotation
magne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945B1 (ko
Inventor
나오키 가나야마
도루 다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2019002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49/005Magnetic gearings with physical contact between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06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synchronous type
    • H02K49/065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synchronous type hysteresi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2Magnetic gearings, i.e. assembly of gears, linear or rotary, by which motion is magnetically transferred without physical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4Magnetic couplings consisting of only two coaxial rotary elements, i.e.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Abstract

자기식 회전전달기구(1)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회전판(2)과, 회전판(2)과의 사이의 자기결합을 통하여, 회전판(2)의 회전운동이 전달되는 마그넷(3)을 갖고 있다. 회전판(2)이 회전하면,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빗변부분(4(1), 4(2))이 순차적으로 마그넷 대향위치(6)을 경유해서 회전한다. 각 빗변부분(4(1), 4(2))은, 마그넷(3)의 중심축선(3a)에 직교하는 회전판(2)의 회전중심선(2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그넷(3)은, 마그넷 대향위치(6)을 통과하는 빗변부분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중심축선(3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소형이고 콤팩트한 회전출력용의 기구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본 발명은, 모터축(motor軸) 등의 회전축의 회전을, 자기결합(磁氣結合)을 통하여 회전축의 외주측에 배치한 마그넷(magnet)으로 출력시키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磁氣式 回轉傳達機構)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회전각도를 계측하는 장치에서는, 모터축의 회전을 장치측으로 기계적으로 출력시킬 필요가 있다. 모터축이 중공축(中空軸)이며, 그 중공부에 다른 부품이나 케이블을 통과시킬 경우 등에 있어서는, 모터축에 커플링(coupling)을 통하여 동축(同軸)으로 연결된 축으로부터 회전을 출력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모터축에 기어(gear)를 동축으로 부착하고, 이 기어에 맞물리는 전달용 기어(傳達用 gear)를 배치하여, 전달용 기어로부터 회전을 출력시키도록 하면, 모터축의 회전을 그 회전중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로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공 모터축의 외주측에 회전을 출력시키기 위한 전달용 기어로서 소경기어(小徑gear)를 배치하면, 모터 회전이 가속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면 매분 수천회전(數千回轉)으로 회전하는 서보모터에서는, 소경의 전달용 기어가 매분 수만회전(數萬回轉)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실용적이지 않다.
회전축의 회전을 출력시키는 기구로서, 자기결합을 이용한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에는, 모터축의 회전을, 자기기어(磁氣gear)를 사용하여 출력시키는 구성의 인코더장치(encoder裝置)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자기식의 웜기어(worm gear)를 사용하여 회전을 출력시키는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평기어 혹은 웜기어의 각 톱니에 대응하도록 착자(着磁)된 구성의 자기기어가 사용되고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116057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7658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모터축 등의 회전축으로부터 그 외주측에 회전을 출력시킬 경우 등에 있어서, 회전축의 외주측에 큰 설치 스페이스(設置 space)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원반모양 혹은 원환모양의 회전판과, 회전판과의 사이의 자기결합을 통하여, 회전판의 회전운동이 전달되는 마그넷을 갖고 있다. 회전판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원주방향에 있어서 1곳에서 분리되어 있는 빗변부분,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 개의 빗변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마그넷은, 회전판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의 통과경로 상에 있어서, 빗변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갭으로 대향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의 빗변부분은,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제1단부터 타방의 제2단까지 회전판의 회전중심선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회전중심선에 직교하고, 당해 회전중심선의 방향에 있어서 빗변부분의 제1단부터 제2단까지의 사이의 중앙위치를 지나는 평면을 직교평면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마그넷은, 이 직교평면 상에 위치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은,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는 마그넷 및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는 마그넷 중 어느 일방이다.
회전판이 회전하면,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빗변부분이 순차적으로 마그넷에 대향하는 위치(마그넷 대향위치)을 경유해서 회전한다. 마그넷은, 마그넷 대향위치를 경유해서 회전하는 회전판의 빗변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갭으로 대향하고 있다. 마그넷 대향위치에 있어서, 회전판과 마그넷은 자기결합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빗변부분이 마그넷 대향위치에 있어서 마그넷의 중심축선의 일방측에서 타방측을 향해서, 동일방향으로 동일거리만큼 반복하여 이동한다. 빗변부분의 이동거리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둠으로써 마그넷은, 마그넷 대향위치를 통과하는 빗변부분의 부위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마그넷으로서는,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마그넷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그넷 중심축선(직교평면)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의 빗변부분의 이동에 따라 원통 마그넷은,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자극의 경계선이 소정의 갭으로 통과하는 회전판의 빗변부분에 가장 근접하도록,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여기에서, 마그넷 대향위치를 통과하는 빗변부분의 부위와 원통 마그넷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판의 빗변부분의 형상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는, 마그넷 대향위치를 통과하는 빗변부분의 부위가,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회전중심선의 방향을 향해서, 원통 마그넷의 외주면을 따른 곡선모양의 이동궤적을 그리면 좋다. 이러한 이동궤적을 그리도록, 빗변부분에 있어서의 회전중심선의 방향의 경사형상, 및 당해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을 설정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빗변부분의 경사형상을 곡선에 의해 규정한다. 또한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을, 그 회전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이 제1단부터 직교평면 상에 위치하는 중간점까지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중간점부터 제2단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곡선에 의해 규정한다.
원통 마그넷으로서, 마그넷 대향위치를 통과하는 빗변부분의 제1단 및 제2단의 이동경로 사이에 배치 가능한 치수의 마그넷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원통 마그넷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판의 외경치수 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판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원통 마그넷의 설치 스페이스가 적다.
다음에 마그넷으로서, 그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는 판 마그넷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빗변부분과 판 마그넷과의 사이의 갭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회전판의 빗변부분의 형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을, 그 제1단부터 제2단까지 회전중심선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진원에 의해 규정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의 회전판과 원통 마그넷의 회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는, 회전판의 회전에 따르는 마그넷 대향위치를 통과하는 빗변부분의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설명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2의 회전판과 원통 마그넷의 회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7은, 실시형태3의 회전판과 원통 마그넷의 회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4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9는, 실시형태4의 회전판과 원통 마그넷의 회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11은, 실시형태5의 회전판과 마그넷의 회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6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회전판과 마그넷의 회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자기식 회전전달기구(磁氣式 回轉傳達機構)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각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1]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자기식 회전전달기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1)는, 자성재료(磁性材料)로 이루어지는 원환상(圓環狀)의 회전판(回轉板)(2)과, 원통 마그넷(圓筒 magnet)(3)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판(2)은, 예를 들면 중공 모터축(8)에 일체(一體)로 회전하도록 동축(同軸)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판(2)은, 그 중심축선인 회전중심선(回轉中心線)(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원통 마그넷(3)에는, 회전판(2)의 회전운동이 1:1의 관계로 자기결합(磁氣結合)을 통하여 전달된다.
회전판(2)은 예를 들면 판금제품(板金製品)으로서,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等角度)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 개의 빗변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판(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일정한 폭으로 파여 있는 2개의 분리홈(2b)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180°의 각도를 갖는 2개의 빗변부분(4(1), 4(2))이 형성되어 있다. 빗변부분(4(1), 4(2))은, 회전중심선(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대칭(回轉對稱)의 형상을 하고 있다.
회전판(2)에 있어서의 회전중심선(2a)의 방향의 중심위치(회전판(2)의 두께방향의 중심위치)을 지나고, 또한 회전중심선(2a)에 직교하는 평면을 직교평면(直交平面)(5)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본 예에서는, 빗변부분(4(1), 4(2))의 각각은, 직교평면(5)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곡선모양(曲線狀)으로 경사진 형상을 하고 있다. 빗변부분(4(1), 4(2))을 직선모양(直線狀)으로 경사진 형상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빗변부분(4(1), 4(2))의 일방(一方)의 제1단(第1端)(4a)은, 직교평면(5)의 일방측(一方側)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타방(他方)의 제2단(第2端)(4c)은, 직교평면(5)의 타방측(他方側)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제1, 제2단(4a, 4c)의 사이의 중간점 부위(中間点 部位)(4b)는, 직교평면(5) 상에 위치한다.
빗변부분(4(1), 4(2))의 외주면(4d)의 윤곽형상은, 회전중심선(2a)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회전중심선(2a)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圓弧)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원통 마그넷(3)은, 그 중심축선(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원통 마그넷(3)의 베어링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원통 마그넷(3)에는, 그 중심축선(3a)을 중심으로 등각도로 복수의 자극(磁極)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80°의 각도로 1쌍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1에 있어서 원통 마그넷(3)의 외주면(3b) 및 양단면에 그려진 실선으로 나타내는 경계선은, 착자(着磁)된 N극과 S극의 경계선을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나타나지 않는 선이다. 이 점은 도2부터 도9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원통 마그넷(3)은, 회전판(2)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4(1), 4(2))의 통과경로(通過經路) 상에 있어서, 빗변부분(4(1), 4(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갭(gap)으로 대향(對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 마그넷(3)의 중심축선(3a)은, 직교평면(5) 상에 위치하고 또한 빗변부분의 외주면(4d)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모터축(8)이 회전하면, 회전판(2)도 모터축(8)과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판(2)이 회전하면,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빗변부분(4(1), 4(2))이 순차적으로 원통 마그넷(3)과 소정의 갭으로 대향하는 마그넷 대향위치(6)를 경유해서 회전한다.
도2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1)에 있어서의 회전판(2)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4(1), 4(2))과 원통 마그넷(3)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a1), (a2)에 나타내는 회전판(2)의 회전위치를 회전각이 0°인 위치로 하고, 회전판(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도2(a1), (a2)에 나타내는 회전각이 0°인 위치에서는, 회전판(2)의 빗변부분(4(1))의 제1단(4a)과, 빗변부분(4(2))의 제2단(4c)이 마그넷 대향위치(6)에 위치하고 있다.
각 빗변부분(4(1), 4(2))의 외주면(4d)은, 회전중심선(2a)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이다. 회전중심선(2a)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는, 도2(a1)∼(e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2)이 회전하면, 각 빗변부분(4(1), 4(2))의 각부(各部)는, 원통 마그넷(3)의 외주면(3b)에 대하여 일정한 갭으로 대향한 상태로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한다.
빗변부분(4(1), 4(2))은, 직교평면(5)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는 곡선모양로 경사져 있다. 도2(a2)∼(e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1), 4(2))은, 회전판(2)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2)의 회전중심선(2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빗변부분(4(1), 4(2))은, 원통 마그넷(3)의 외주면(3b)의 접선방향인 회전판(2)의 회전중심선(2a)의 방향을 향하여 직교평면(5)(원통 마그넷(3)의 중심축선(3a))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서 곡선모양으로 이동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2(a1), (a2)의 상태로부터 회전판(2)이 시계방향에 회전하면, 빗변부분(4(1))은 그 제1단(4a)으로부터 제2단(4c)을 향해서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한다. 도2(a1), (a2)의 상태에서는,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1))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은, 직교평면(5)에 대하여 회전중심선(2a)의 방향의 일방측으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다.
회전판(2)의 회전에 따라,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1))의 부위는, 도2(b1), (b2) ∼ 도2(e1), (e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중심선(2a)을 따라 직교평면(5)(중심축선(3a))에 대하여 타방측으로 이동한다. 도2(e1), (e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2)이 90° 회전한 위치에 있어서는, 빗변부분(4(1))의 원주방향의 중간점 부위(4b)가 직교평면(5) 상에 위치한다.
이 다음에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1))의 부위는, 직교평면(5)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서서히 멀어져 간다. 빗변부분(4(1))의 제2단(4c)이 통과하는 상태에서 당해 제2단(4c)은, 직교평면(5)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가장 떨어진 위치가 된다.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1))의 부위와 원통 마그넷(3)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원통 마그넷(3)이 회전한다. 즉 원통 마그넷(3) 외주면(3b)에 나타나 있는 자극(磁極)의 경계선이 회전판(2)의 빗변부분(4(1))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에 가장 근접하도록, 원통 마그넷(3)이 회전한다. 이 결과, 빗변부분(4(1))이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하고 나면, 원통 마그넷(3)은 1자극분(1磁極分)만큼 회전한다. 본 예에서는 원통 마그넷(3)이 반회전한다.
이 다음은, 타방의 빗변부분(4(2))이 도2(a1), (a2)에 나타내는 빗변부분(4(1))과 동일한 위치가 된다. 회전판(2)의 회전에 따라, 마그넷 대향위치(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2))의 부위는, 빗변부분(4(1))과 같이 회전중심선(2a)의 방향(원통 마그넷(3)의 접선방향)을 따라 동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원통 마그넷(3)이 반회전을 더 한다. 이렇게 하여 회전판(2)이 1회전할 때마다, 회전판(2)에 자기결합하고 있는 원통 마그넷(3)도 1회전한다.
[실시형태2]
도3은, 실시형태2에 관한 자기식 회전전달기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21)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1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1)와 동일하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과의 차이점을 주로 하여 설명한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21)에 있어서는, 마그넷 대향위치(2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24(1), 24(2))의 부위가, 회전판(22)의 회전에 따라 회전중심선(22a)의 방향을 향해서, 원통 마그넷(23)의 외주면(23b)을 따른 곡선모양의 이동궤적(移動軌跡)을 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빗변부분(24(1), 24(2))의 회전중심선(22a)의 방향의 경사형상(傾斜形狀) 및 당해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外周面形狀)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빗변부분(24(1), 24(2))은, 도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교평면(25)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제1단(24a)부터 제2단(24c)까지 곡선모양로 경사져 있다. 제1단(24a)은 직교평면(25)의 일방측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2단(24c)은 직교평면(25)의 타방측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1, 제2단(24a, 24c) 사이의 중간점의 부위(24b)는 직교평면(25)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빗변부분(24(1), 24(2))의 외주면형상은, 도3(a),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중심선(22a)으로부터의 반경(半徑)이, 제1단(24a)부터 중간점의 부위(24b)까지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중간점의 부위(24b)부터 제2단(24c)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볼록곡선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원통 마그넷(23)은 2극이 착자되어 있고, 그 외주면(23b)에는 중심축선(23a)을 중심으로 하여 180°의 각도간격으로 자극의 경계선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원통 마그넷(23)은, 마그넷 대향위치(2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24(1), 24(2))의 제1단(24a) 및 제2단(24c)의 이동경로 사이에 배치 가능한 외경치수의 마그넷이다. 도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원통 마그넷(23)의 일부가 빗변부분(24(1), 24(2))의 최대반경(제1, 제2단(24a, 24c)의 부분의 반경)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내는 회전판(22)에 대한 원통 마그넷(23)의 상대적인 배치관계는,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의 배치관계는,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4(a)는, 회전판(22)의 회전에 따르는 마그넷 대향위치(26)를 통과하는 회전판(22)의 외주면위치의 r방향위치 및 z방향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도4(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22)의 회전중심(22a)으로부터 원통 마그넷(23)의 중심축선(23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어진 회전판(22)의 반경선방향을 r방향으로 하고, 회전판(22)의 중심축선(22a)의 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r방향을 나타내는 반경선과 회전판(22)의 중심축선(22a)을 포함하는 평면에 교차하는 회전판(22)의 외주면(24d)의 위치, 구체적으로는 이 외주면(24d)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내측의 가장자리의 위치를, 마그넷 대향위치(26)를 통과하는 회전판(22)의 외주면위치로 한다. 또한 회전판(22)의 외주면위치의 r방향의 위치를 r방향위치라고 부르고, 이 외주면위치의 회전판(22)의 중심축선(22a)의 방향의 위치를 z방향위치로 한다.
도4(a)의 그래프에 있어서 그 횡축은, 회전판(22)의 회전위치를 나타낸다. 회전판(22)의 회전각이 0°인 위치는, 도4(b)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서, 빗변부분(24(1), 24(2))을 분리하고 있는 분리홈(22d)의 중심선이 r방향을 나타내는 반경선에 일치하는 위치이다. 회전각도가 180°인 위치는, 도3(b)의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판(22)이 180° 회전한 위치이다.
그래프의 좌측의 종축은 회전판(22)의 r방향위치를 나타낸다. r방향위치에 있어서의 「0」의 위치는, 도4(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22)의 외주면(24d)의 제1단(24a)이 마그넷 통과위치(26)을 통과할 때의 위치로서, 회전판(22)의 중심축선(22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정방향(正方向), 중심축선(22a)에 접근하는 방향을 부방향(負方向)으로 하고 있다.
그래프의 우측의 종축은 회전판(22)의 z방향위치를 나타낸다. z방향위치에 있어서의 「0」의 위치는, 도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22)의 외주면(24d)에 있어서의 제1단(24a)부터 제2단(24c)까지 사이의 중심위치(직교평면(25) 상의 위치)로서, 제1단(24a)을 향하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하고, 역방향을 부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4(a)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곡선(I)은 회전판(22)의 r방향위치의 변화를 나타내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곡선(II)은 회전판(22)의 z방향위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곡선(I)은, 회전중심선(22a)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도3(b)를 참조)에 있어서의 회전판(22)의 빗변부분(24(1), 24(2))의 외주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곡선(II)은, 직교평면(25)에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도3(c)를 참조)에 있어서의, 빗변부분(24(1), 24(2))의 제1단(24a)부터 제2단(24c)까지 사이의 외주면(24d)의 곡선모양의 경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곡선(I, II)은, 모두 사인곡선(sine曲線) 혹은 그것에 유사한 곡선을 하고 있다.
도5(a1), (a2) ∼ 도5(e1), (e2)는, 회전판(22)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24(1), 24(2))의 이동위치 및 원통 마그넷(23)의 회전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넷 대향위치(2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24(1), 24(2))의 부위는, 원통 마그넷(23)의 외주면(23b)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갭을 유지한 상태로, 외주면(23b)을 따른 곡선형상의 궤적을 그린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5(a1), (a2)에 나타내는 회전각이 0°인 때는, 원통 마그넷(23)이 빗변부분(24(1)) 및 빗변부분(24(2))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마그넷 대향위치(2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24(1), 24(2))은, 원통 마그넷(23)의 외주면(23b)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원통 마그넷(23)에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본 예에 의하면, 마그넷 대향위치(2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24(1), 24(2))의 부위가, 거의 일정한 갭을 유지한 상태로 원통 마그넷(23)의 외주면(23b)을 따라 곡선모양으로 이동한다. 또한 갭이 작게 되도록, 회전판(22)의 최대외경의 범위 내에 원통 마그넷(23)의 과반부분(過半部分)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 마그넷(23)에 의한 마그넷 흡인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회전판(22)의 회전을 원통 마그넷(23)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 마그넷(23)의 배치 스페이스(配置 space)가 적게 되므로, 기구의 소형화, 콤팩트화(compact化)에 유리하다.
[실시형태3]
도6은, 실시형태3에 관한 자기식 회전전달기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31)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2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21)와 동일하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31)에 있어서는, 마그넷 대향위치(3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34(1), 34(2))의 부위가, 회전판(32)의 회전에 따라 회전중심선(32a)의 방향을 향해서, 원통 마그넷(33)의 외주면(33b)을 따른 곡선모양의 이동궤적을 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빗변부분(34(1), 34(2))은, 직교평면(35)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제1단(34a)부터 제2단(34c)까지 곡선모양으로 경사져 있다. 제1단(34a)은 직교평면(35)의 일방측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2단(34c)은 직교평면(35)의 타방측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1, 제2단(34a, 34c) 사이의 중간점의 부위(34b)는 직교평면(35) 상에 위치하고 있다.
빗변부분(34(1), 34(2))의 외주면형상은, 회전중심선(32a)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이, 제1단(34a)부터 중간점의 부위(34b)까지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중간점의 부위(34b)부터 제2단(34c)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곡선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실시형태3에서는, 원통 마그넷(33)은 4극자석(4極磁石)으로서, 그 중심축선(33a)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로 2쌍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주면(33b)에는, 중심축선(33a)을 중심으로 하여 90°의 각도간격으로 자극의 경계선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응시켜서, 마그넷 대향위치(3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34(1), 34(2))의 회전중심선(32a)을 따른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설정되어 있다.
도7(a1), (a2) ∼ 도7(e1), (e2)는, 회전판(32)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34(1), 34(2))의 이동위치 및 원통 마그넷(33)의 회전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넷 대향위치(3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34(1), 34(2))의 부위는, 원통 마그넷(33)의 외주면(33b)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갭을 유지한 상태로, 외주면(33b)을 따른 곡선형상의 궤적을 그린다.
원통 마그넷(33)은 중심축선(33a)을 중심으로 하여 4극이 착자되어 있기 때문에, 빗변부분(34(1), 34(2))이 마그넷 대향위치(36)를 통과할 때마다, 원통 마그넷(33)이 1자극분, 즉 1/4씩 회전한다. 회전판(32)이 1회전하면, 원통 마그넷(33)은 1/2회전한다. 따라서 회전판(32)의 회전이, 1/2로 감속되어서 원통 마그넷(33)으로부터 출력된다.
[실시형태4]
도8은, 실시형태4에 관한 자기식 회전전달기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41)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3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31)와 동일하다. 차이점은, 회전판(42)에 4개의 빗변부분(44(1)∼4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41)에 있어서는, 마그넷 대향위치(4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4(1)∼44(4))의 부위가, 회전판(42)의 회전에 따라 회전중심선(42a)의 방향을 향해서, 원통 마그넷(43)의 외주면(43b)을 따라 곡선모양의 이동궤적을 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빗변부분(44(1)∼44(4))은, 직교평면(45)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제1단(44a)부터 제2단(44c)까지 곡선모양으로 경사져 있다. 제1단(44a)은 직교평면(45)의 일방측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2단(44c)은 직교평면(45)의 타방측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1, 제2단(44a, 44c)의 사이의 중간점의 부위(44b)는 직교평면(45)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빗변부분(44(1)∼44(4))의 외주면형상은, 회전중심선(42a)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이, 제1단(44a)부터 중간점의 부위(44b)까지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중간점의 부위(44b)부터 제2단(44c)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하는 곡선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원통 마그넷(43)은 4극자석으로서, 중심축선(43a)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로 2쌍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시켜서, 마그넷 대향위치(4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4(1)∼44(4))의 회전중심선(42a)을 따른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설정되어 있다.
도9(a1), (a2) ∼ 도9(e1), (e2)는, 회전판(42)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44(1)∼44(4))의 이동위치 및 원통 마그넷(43)의 회전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넷 대향위치(4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44(1)∼44(4))의 부위는, 원통 마그넷(43)의 외주면(43b)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갭을 유지한 상태로, 외주면(43b)을 따른 곡선형상의 궤적을 그린다.
회전판(42)에는 4개의 빗변부분(44(1)∼44(4))이 형성되고, 원통 마그넷(43)은 4극이 착자되어 있다. 빗변부분(44(1)∼44(4))이 마그넷 대향위치(46)를 통과할 때마다, 원통 마그넷(43)이 1/4씩 회전한다. 회전판(42)이 1회전하면, 원통 마그넷(43)은 1회전한다. 따라서 회전판(42)의 회전이, 1:1의 관계로 원통 마그넷(43)으로부터 출력된다.
[실시형태5]
도10은, 실시형태5에 관한 자기식 회전전달기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51)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환상의 회전판(52)과, 편평한 일정 길이의 판 마그넷(板 magnet)(53)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판(52)은,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중공 모터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판(52)은, 그 중심축선인 회전중심선(5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판 마그넷(53)에는, 회전판(52)의 회전운동이, 1:1/2의 관계로 자기결합을 통하여 전달된다.
회전판(52)은, 예를 들면 판금제품으로서,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치는 1개의 빗변부분(5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판(5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일정한 폭으로 파여 있는 1개의 분리홈(52b)에 의하여, 빗변부분(54)이 원주방향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다.
회전판(52)에 있어서의 회전중심선(52a)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위치(회전판(52)의 두께방향의 중심위치)을 지나고, 또한 회전중심선(52a)에 직교하는 평면을 직교평면(55)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빗변부분(54)은, 직교평면(55)에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예를 들면 곡선모양으로 경사진 형상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0(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빗변부분(54)은, 분리홈(52b)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일방의 제1단(54a)이 직교평면(55)의 일방측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타방의 제2단(54c)이 직교평면(55)의 타방측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이들의 사이의 중간점의 부위(54b)가 직교평면(55) 상에 위치한다.
또한 빗변부분(54)의 외주면(54d)의 윤곽형상은, 회전중심선(52a)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회전중심선(52a)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眞圓)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판 마그넷(53)은, 그 중심축선(5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판 마그넷(53)의 베어링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판 마그넷(53)은, 그 중심축선(53a)의 방향에 있어서 1쌍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4개의 외주측면(53(1)∼53(4))에는, 중심축선(53a)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위치에 자극의 경계선이 나타난다. 도10에 있어서 판 마그넷(53)의 외주측면(53(1)∼53(4))에 그린 실선으로 나타내는 경계선은, 착자된 N극과 S극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계선은 실제로는 나타나지 않는 선이다.
판 마그넷(53)은, 회전판(52)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54)의 통과경로에 대하여 빗변부분(54)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의 갭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판 마그넷(53)은, 회전판(52)의 반경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그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그 중심축선(53a)는 직교평면(55) 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판(52)의 빗변부분(54)은, 회전판(52)의 회전에 따라 판 마그넷(53)에 대하여 소정의 갭으로 대향하는 마그넷 대향위치(56)를 경유해서 이동한다.
도11은, 회전판(52)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54)과 판 마그넷(53)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a1), (a2)에 나타내는 회전판(52)의 회전위치를 회전각이 0°인 위치로 하고, 회전판(5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회전각이 0°인 위치에서는, 회전판(52)의 빗변부분(54)의 제1, 제2단(54a, 54c)이 마그넷 대향위치(56)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판 마그넷(53)은, 그 광폭(廣幅)의 외주측면(53(1))이 회전판(52)에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는 것으로 한다.
빗변부분(54)은, 그 외주면(54d)이 회전중심선(52a)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이다. 도11(b1), (b2), 도11(c1), (c2) 및 도11(d1), (d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52)이 회전하면, 그 빗변부분(54)은 판 마그넷(53)에 대하여 소정의 갭으로 대향한 상태로 마그넷 대향위치(56)를 통과한다.
판 마그넷(53)의 중심축선(53a)에 대하여 회전판(52)의 빗변부분(54)은, 그 회전중심선(52a)의 방향에 대하여 곡선모양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넷 대향위치(5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54)의 부위는, 회전판(52)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52)의 회전중심선(52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빗변부분(54)의 제1단(54a)은 판 마그넷(53)의 중심축선(53a)에 대하여 도면 상측인 제1측에 위치하고, 제2단(54c)은 중심축선(53a)의 하측인 제2측에 위치한다. 도11(a1), (a2)에 나타내는 회전각이 0°인 위치에서는, 회전판(52)에 대하여 판 마그넷(53)의 광폭의 외주측면(53(1))이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다.
회전판(5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에 따라 빗변부분(54)에 있어서의 마그넷 대향위치(56)를 통과하는 부위가 제1측으로부터 제2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회전판(52)과 판 마그넷(53)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결합력의 중심도, 제1측으로부터 제2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판 마그넷(53)은, 중심축선(53a)을 중심으로 하여 외주측면(53(1))이 제2측으로 향하는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11(b1), (b2), 도11(c1), (c2) 및 도11(d1), (d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 마그넷(53)이 중심축선(5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회전판(52)이 180° 회전한 상태에서는, 마그넷 대향위치(5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54)의 부위가 정확히 직교평면(55) 상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판 마그넷(53)이 90° 회전하여 도11(d1), (d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폭의 외주측면(53(1))에 인접하는 좁은 폭의 외주측면(53(2))이 회전판(52)에 정면으로 마주 보는 상태가 된다.
이 다음은, 회전판(52)의 회전에 따라 마그넷 대향위치(56)를 통과하는 빗변부분(54)의 부위는, 직교평면(55)에 대하여 제2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에 따라 판 마그넷(53)은 중심축선(53a)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회전판(52)이 1회전하면, 판 마그넷(53)이 180° 회전 하여 좁은 폭의 외주측면(53(2))에 인접하는 광폭의 외주단면(53(3))이 회전판(52)에 정면으로 마주 보는 상태가 된다.
회전판(52)이 2회전하면 판 마그넷(53)은 1회전하여, 다시 도11(a1), (a2)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전판(52)의 회전이, 속도비 1/2로 감속되어서 판 마그넷(53)으로부터 출력된다.
[실시형태6]
도12(a1), (a2), 도12(b1), (b2), 도12(c1), (c2) 및 도12(d1), (d2)는, 실시형태6에 관한 자기식 회전전달기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회전판의 회전에 따르는 빗변부분과 판 마그넷의 회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자기식 회전전달기구(61)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5의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51)와 동일하다. 본 예에서는, 회전판(62)의 외주면(62d)의 형상이, 예를 들면 회전중심선(62a)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진원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12(a1), (a2)에 나타내는 회전판(62)의 회전위치를 회전각이 0°인 위치로 하고, 회전판(6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회전각이 0°인 위치에서는, 회전판(62)의 빗변부분(64)의 제1, 제2단(64a, 64c)이, 직교평면(65)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판 마그넷(63)은, 그 광폭의 외주측면(63(1))이 회전판(62)에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다. 실시형태5의 경우와 동일하게, 회전판(62)이 2회전하면, 판 마그넷(63)은 1회전하여 다시 도12(a1), (a2)의 상태가 된다. 회전판(62)의 회전이, 속도비 1/2로 감속되어서 판 마그넷(63)으로부터 출력된다.
회전판(62)은 편심 회전판이다. 회전각이 0°인 회전위치에서는, 마그넷 대향위치(66)에 위치하고 있는 빗변부분(64)의 외주면의 부위는 제1, 제2단(64a, 64c)으로서, 판 마그넷(63)의 중심축선(63a)에 가장 접근한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판 마그넷(63)에 있어서의 회전판(62)에 정면으로 마주 보는 광폭의 외주측면(63(1))은, 회전판(62)의 회전중심선(62a)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상태가 된다.
회전각이 90°인 회전위치에서는, 마그넷 대향위치(66)에 위치하고 있는 빗변부분(64)의 부위는 중간점의 부위(64b)로서, 판 마그넷(63)의 중심축선(63a)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판 마그넷(63)에 있어서의 회전판(62)에 정면으로 마주 보는 좁은 폭의 외주측면(63(2))은 회전판(62)의 회전중심(62a)에 가장 접근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마그넷 대향위치(66)에 있어서, 회전판(62)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62)이 판 마그넷(63)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판 마그넷(63)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회전판(62)이 판 마그넷(6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는, 판 마그넷(63)은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판 마그넷(63)의 각 외주측면의 폭치수에 의거하여 회전판(62)의 외주면의 편심량을 적절하게 설정해 둠으로서, 마그넷 대향위치(66)에 있어서 회전판(62)의 빗변부분(64)과 이에 대향하는 판 마그넷(63)의 각 외주측면(63(1)∼63(4)) 사이의 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자성재료(磁性材料)로 이루어지는 원반모양(圓盤狀) 혹은 원환모양(圓環狀)의 회전판(回轉板)과,
    상기 회전판과의 사이의 자기결합(磁氣結合)을 통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이 전달되는 마그넷(magnet)을
    갖고 있고,
    상기 회전판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원주방향에 있어서 1곳에서 분리되어 있는 빗변부분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等角度)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 개의 빗변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르는 상기 빗변부분의 통과경로 상에 있어서, 상기 빗변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갭(gap)으로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빗변부분은,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일방(一方)의 제1단(第1端)부터 타방(他方)의 제2단(第2端)까지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선(回轉中心線)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회전중심선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회전중심선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빗변부분의 상기 제1단부터 상기 제2단까지의 사이의 중심위치를 지나는 평면을 직교평면(直交平面)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면,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직교평면 상에 위치하는 중심축선(中心軸線)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자극(磁極)이 형성되어 있는 마그넷 및 상기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자극이 형성되어 있는 마그넷 중 어느 일방인
    자기식 회전전달기구(磁氣式 回轉傳達機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부분은, 상기 직교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1단부터 상기 제2단까지 직선모양(直線狀) 또는 곡선모양(曲線狀)으로 경사져 있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外周面形狀)은, 상기 제1단부터 상기 제2단까지 상기 회전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圓弧)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등각도로 복수의 자극(磁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마그넷이고,
    상기 빗변부분의 상기 회전중심선의 방향의 경사형상(傾斜形狀) 및 상기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은, 상기 마그넷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는 상기 빗변부분의 부위가,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중심선의 방향을 향해서, 상기 원통 마그넷의 외주면을 따른 곡선모양의 이동궤적(移動軌跡)을 그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부분은, 상기 직교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1단부터 상기 제2단까지 곡선모양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은, 상기 회전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半徑)이, 상기 제1단부터 상기 직교평면상에 위치하는 중간점(中間点)까지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중간점부터 상기 제2단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곡선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마그넷은, 상기 회전중심선의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빗변부분의 제1단 및 제2단 사이에 배치 가능한 외경치수의 마그넷이고,
    상기 원통 마그넷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판의 최대 외경치수 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1쌍의 자극이 형성되어 있는 판 마그넷(板 magnet)이고,
    상기 빗변부분의 외주면형상은, 상기 제1단부터 상기 제2단까지 상기 회전중심선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진원(眞圓)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KR1020197004349A 2016-09-30 2016-09-30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KR102089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9060 WO2018061190A1 (ja) 2016-09-30 2016-09-30 磁気式回転伝達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906A true KR20190027906A (ko) 2019-03-15
KR102089945B1 KR102089945B1 (ko) 2020-03-17

Family

ID=6175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349A KR102089945B1 (ko) 2016-09-30 2016-09-30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53450B2 (ko)
EP (1) EP3521660B1 (ko)
JP (1) JP6587755B2 (ko)
KR (1) KR102089945B1 (ko)
CN (1) CN109790910B (ko)
TW (1) TW201825809A (ko)
WO (1) WO201806119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487A (ja) * 1992-02-14 1993-09-07 Jishaku Yuso Syst Kaihatsu Kk 磁気摩擦ローラ式動力伝達機構
JP2002116057A (ja) 2000-10-06 2002-04-19 Yaskawa Electric Corp 多回転式絶対値エンコーダ装置
JP2005315370A (ja) * 2004-04-30 2005-1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動力伝達装置
WO2007010780A1 (ja) * 2005-07-20 2007-01-25 Shoei Engineering L.T.D 動力伝達機構
JP2009030729A (ja) * 2007-07-27 2009-02-12 Shoei Koki:Kk 動力伝達装置
KR20100017658A (ko) 2007-05-07 2010-02-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향상된 방열 및 제조성을 갖는 표면 조명을 위한 led 기반 조명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564C (ko) * 1910-07-15 1911-06-14
BE791979A (fr) * 1971-12-02 1973-03-16 Baermann Max Engrenage a vis sans fin a aimantation permanente
JPH04105544A (ja) 1990-08-23 1992-04-07 Mitsubishi Materials Corp 回転伝達装置
JPH05161341A (ja) * 1991-11-08 1993-06-25 Mitsubishi Materials Corp 超小型回転駆動装置およびその磁気ギヤの製造方法
JP3678796B2 (ja) 1995-06-09 2005-08-03 慎一 秋山 磁気回転伝達装置、撹拌子、撹拌装置および磁気軸受
DE10206544B4 (de) * 2002-02-16 2017-11-30 Dr. Johannes Heidenhain Gmbh Getriebe sowie mit diesem Getriebe ausgestatteter Drehgeber
CN102739013A (zh) * 2005-04-08 2012-10-17 安德鲁·博伊德·弗伦奇 磁性驱动装置
JP2007127214A (ja) * 2005-11-04 2007-05-24 Ebatekku:Kk 磁気車の製造方法及び磁気カップリングの製造方法
US20070120432A1 (en) * 2005-11-25 2007-05-31 Vaden David R Axial magnetic cam
JP2010017658A (ja) 2008-07-10 2010-01-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端面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5259492B2 (ja) 2009-05-22 2013-08-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磁気式動力伝達手段
KR20110063015A (ko) * 2009-12-04 2011-06-10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JP5826275B2 (ja) * 2011-08-17 2015-12-02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波動歯車装置の可撓性外歯歯車
US20130099615A1 (en) * 2011-10-25 2013-04-25 Lynwood A. Stewart Magnetic torque systems
JP6645891B2 (ja) * 2016-03-31 2020-02-14 Ntn株式会社 磁気歯車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487A (ja) * 1992-02-14 1993-09-07 Jishaku Yuso Syst Kaihatsu Kk 磁気摩擦ローラ式動力伝達機構
JP2002116057A (ja) 2000-10-06 2002-04-19 Yaskawa Electric Corp 多回転式絶対値エンコーダ装置
JP2005315370A (ja) * 2004-04-30 2005-1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動力伝達装置
WO2007010780A1 (ja) * 2005-07-20 2007-01-25 Shoei Engineering L.T.D 動力伝達機構
KR20100017658A (ko) 2007-05-07 2010-02-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향상된 방열 및 제조성을 갖는 표면 조명을 위한 led 기반 조명 설비
JP2009030729A (ja) * 2007-07-27 2009-02-12 Shoei Koki:Kk 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1660B1 (en) 2022-07-13
WO2018061190A1 (ja) 2018-04-05
TW201825809A (zh) 2018-07-16
CN109790910B (zh) 2021-12-14
KR102089945B1 (ko) 2020-03-17
CN109790910A (zh) 2019-05-21
JP6587755B2 (ja) 2019-10-09
EP3521660A4 (en) 2020-05-20
EP3521660A1 (en) 2019-08-07
JPWO2018061190A1 (ja) 2019-06-24
US10753450B2 (en) 2020-08-25
US20190234504A1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1362B2 (ja) 磁気変速機
EP1143220B1 (en) Angular position detection device having linear output characteristics
KR20040058208A (ko) 다회전식 인코더
US6879150B2 (en) Magnetic position sensor
US20070080597A1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69961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
WO2018024126A1 (zh) 非接触式扭矩传感器
US4920294A (en) Synchronous or stepping motor with simplified tooth alignment
KR20190027906A (ko) 자기식 회전전달기구
JP2016151539A (ja) 磁気式回転検出装置およびモータ
CN113494877A (zh) 旋转位置检测装置
JP3758174B2 (ja) 非接触型位置センサ
JPH06101745A (ja) 物品駆動装置
JP7086318B1 (ja) 界磁子および電動機
JP2006207803A (ja) 等速ジョイント
JPH02228241A (ja) ステップモータ
JPH04271287A (ja) 磁気浮上アクチュエータ
JP2002205282A (ja) トルクドライバー
WO2021024390A1 (ja) 変位センサ、モータ、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4891855B2 (ja) 非接触角度センサ
JP4775758B2 (ja) 磁気式エンコーダ装置
JP3106369B2 (ja) 磁気浮上アクチュエータ
CN116412750A (zh) 旋转角度检测装置
KR20230001271A (ko) 다층 영구자석 회전장치
CN114111848A (zh) 磁编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