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295A - 마이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마이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295A
KR20190022295A KR1020180055880A KR20180055880A KR20190022295A KR 20190022295 A KR20190022295 A KR 20190022295A KR 1020180055880 A KR1020180055880 A KR 1020180055880A KR 20180055880 A KR20180055880 A KR 20180055880A KR 20190022295 A KR20190022295 A KR 2019002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ubstrate
connection
electrode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스케 후카다
마유미 카네코
류우지 아와무라
히데노리 모토나가
켄스케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03Mems transducers or their u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83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component,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마이크 조립체의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그리고 마이크로폰을 주 기판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 및/또는 위치에서 실장할 수 있게 한다.
[구성] 마이크 조립체(A1)는, 주 기판(100)과, 마이크로폰(200)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폰(200)은, 컨덴서(210)와, 컨덴서(210)을 수용한 케이스(240)와, 컨덴서(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마이크 기판(250)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 기판(250)은, 케이스(240)보다도 큰 외형 크기를 지니고 있고, 그리고 고정부(251) 및 접속부(252)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251) 상에 케이스(240)가 고정되어 있다. 접속부(252)는, 마이크 기판(250)의 케이스(240) 이외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주 기판(100)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 조립체{MICROPHONE ASSEMBLY}
본 발명은 마이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이크 조립체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마이크로폰과, 방음부재와, 접속 케이블과, 기판과, 보유 케이스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폰은, 방음부재 내에 보유되어 있다. 보유 케이스에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유 케이스의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 기판 및 방음부재가 이 순서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기판과 마이크로폰은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서 접속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보유 케이스의 끼워맞춤 오목부에서도 위쪽 부분에는, 제1 접속 구멍과, 제2 접속 구멍과, 그 사이의 칸막이 벽을 갖고 있다. 제1 접속 구멍은, 마이크로폰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으로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한쪽으로 뻗고, 동일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제2 접속 구멍은, 상기 직교 방향의 다른 쪽으로 뻗고, 동일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단자는, 칸막이 벽을 상기 직교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제1 접속 구멍 내의 제1 단부와, 제2 접속 구멍 내의 제2 단부를 갖고 있다.
제1 접속 구멍과 단자의 제1 단부가 마이크 조립체의 제1 접속부를 구성하고, 제2 접속 구멍과 단자의 제2 단부가 마이크 조립체의 제2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어느 한쪽에, 차량 측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해지고 있다. 환언하면, 차량 측의 커넥터는, 상기 직교 방향의 한쪽 측에서부터 마이크 조립체의 제1 접속부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직교 방향의 다른 쪽 측에서부터 마이크 조립체의 제2 접속부에 접속 가능하다.
JP 2010-62800 A
마이크로폰과 기판은 접속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 조립체의 부품 점수가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마이크로폰은, 보유 케이스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춤되고,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서 기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폰의 보유 케이스 및 기판에 대한 방향 및 위치는 결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마이크로폰의 보유 케이스 및 기판에 대한 방향 및 위치를 바꿀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그리고 마이크로폰을 주 기판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 및/또는 위치에서 실장할 수 있는 마이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 조립체는 주 기판과,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폰은, 컨덴서 또는 MEMS 칩과, 컨덴서 또는 MEMS 칩을 수용한 케이스와, 컨덴서 또는 MEMS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마이크 기판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 기판은, 케이스보다도 큰 외형크기를 지니고 있고, 또한 고정부 및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 상에 케이스가 고정되어 있다. 접속부는, 마이크 기판의 케이스 밖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마이크로폰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가 주 기판에 직접,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가 주 기판에 직접 접속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마이크로폰이 주 기판으로 접속되는 방향 및/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하게 해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주 기판은, 제1 면과, 그 반대쪽의 제2 면과, 제1 면 또는 제2 면에 형성된 접속 구멍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 구멍은,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어도 되고, 밑바닥을 가진 구멍이어도 된다.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는, 주 기판의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 기판이 주 기판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각 또는 경사지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접속부를 접속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주 기판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므로, 마이크 기판의 주 기판에 대한 기계적인 접속이 간단해진다. 또한, 접속 구멍의 방향 및/또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가 주 기판으로 접속되는 방향 및/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주 기판의 접속 구멍은, 제1 접속 구멍 및 제2 접속 구멍을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폰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는, 제1 접속 단부와, 제2 접속 단부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접속 단부는, 제1 면 및 그 반대쪽의 제2 면을 구비하고 그리고 제1 접속 구멍에 삽입되며, 제2 접속 단부는, 제1 면 및 그 반대쪽의 제2 면을 구비하고 그리고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전극은, 제1 접속 단부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1 접속 단부가 제1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전극은, 제2 접속 단부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2 접속 단부가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제1, 제2 접속 단부가, 주 기판의 제1,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제2 접속 단부의 제1, 제2 전극이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므로, 마이크 기판의 주 기판에 대한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제1 접속 구멍 및 제2 접속 구멍은, 주 기판을 상기 주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주 기판의 제2 면에 걸쳐서 관통하고 있으며, 그리고 제1 개구와 그 반대쪽의 제2 개구를 각각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접속 단부는 제1 접속 구멍을 관통하도록 제1 접속 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제2 접속 단부는 제2 접속 구멍을 관통하도록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전극은, 제1 노출부와, 제2 노출부와, 중간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전극의 제1 노출부는, 제1 접속 구멍의 제1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전극의 제2 노출부는, 제1 접속 구멍의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주 기판의 제2 면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전극의 중간부는, 제1 접속 구멍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제1 노출부와 제2 노출부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전극은, 제1 노출부와, 제2 노출부와, 중간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전극의 제1 노출부는, 제2 접속 구멍의 제1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전극의 제1 노출부는, 제2 접속 구멍의 제2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주 기판의 제2 면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전극의 중간부는, 제2 접속 구멍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제1 노출부와 제2 노출부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제1 접속 단부의 제1 전극의 제1, 제2 노출부 및 제2 접속 단부의 제2 전극의 제1, 제2 노출부가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므로, 마이크 기판의 주 기판에 대한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제1 전극은 제1 접속 단부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설치되고, 제2 전극은 제2 접속 단부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제1 접속 단부의 2개의 제1 전극의 제1, 제2 노출부 및 제2 접속 단부의 2개의 제2 전극의 제1, 제2 노출부가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므로, 마이크 기판의 주 기판에 대한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마이크로폰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는, 제1 접속 단부와 제2 접속 단부 사이의 접촉부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촉부가 주 기판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제1 접속 단부가 제1 접속 구멍에, 제2 접속 단부가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부가 주 기판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맞닿으므로, 마이크 기판이 주 기판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기계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이다.
또,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는, 전술한 어느 양상의 제1 접속 단부 및 제2 접속 단부 중 어느 한쪽과, 접촉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어느 것인가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는, 홀더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홀더는, 주 기판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마이크로폰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폰 마이크 기판은, 수용 공간 내를 전실(前室)과 후실(後室)로 칸막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수용 공간 내를 전실과 후실로 나누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마이크 조립체의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홀더는 보유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유부는, 마이크 기판이 주 기판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마이크 기판을 보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마이크 기판이 주 기판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안정적이다.
마이크 기판의 고정부는, 제1 면과, 그 반대쪽의 제2 면과, 삽입 구멍을 지닌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 구멍은, 고정부를 고정부의 제1 면으로부터 마이크 기판의 제2 면에 걸쳐서 관통한 비도전성의 구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폰의 케이스는, 다리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리부는, 삽입 구멍을 마이크 기판의 제1면 측으로부터 관통하고, 마이크 기판의 제2 면에 땜납에 의해서 고정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케이스 내에 땜납 및 플럭스가 유입되기 어렵다.
마이크 기판은, 환상의 접지 도체와, 환상의 도전 접착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지 도체는, 마이크 기판 상의 케이스의 주변에 케이스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전 접착부는, 마이크 기판 상의 케이스와 접지 도체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마이크 조립체에 의한 경우, 케이스와 접지 도체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케이스와 접지 도체 사이에 유도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마이크 조립체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조립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 주 기판 및 외부 접속부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 주 기판 및 외부 접속부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c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 및 주 기판의 도 2a 중의 2C-2C 단면도이다.
도 2d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 및 주 기판의 도 2a 중의 20-20 단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의 확대 배면도이다.
도 3c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의 도 3a 중의 3C-3C 단면도이다.
도 3d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의 도 3a 중의 3D-3D 단면도이다.
도 3e는 상기 조립체의 마이크로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마이크 조립체의 마이크로폰의 도 3d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포함하는 각종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조립체(A1)(이하, 단지 "조립체(A1)"라고도 칭함)에 대해서 도 1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1a 내지 도 3e에는, 실시예 1에 따른 조립체(A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20에 나타낸 Z-Z' 방향은, 조립체(A1)의 주 기판(100)의 두께 방향으로서, Z 방향 및 Z' 방향을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2d에 내보이는 Y-Y'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고, 도 1a 및 도 2a 내지 도 2b에 나타낸 X-X' 방향은, Z―Z' 방향 및 Y-Y'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조립체(A1)는 주 기판(100)을 포함하고 있다. 주 기판(100)은, Z 방향 쪽의 제1 면(101)과, Z' 방향 쪽의 제2 면(102)을 지니고 있다.
조립체(A1)는 마이크로폰(20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폰(200)은, 진동판(211)과, 고정 전극(212)과, 링(220)과, 스페이서(230)와, 도전성을 지니는 케이스(240)와, 마이크 기판(250)을 구비하고 있다(도 3e 참조).
케이스(240)는, 도 3a 내지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241) 및 이 통부(241)의 한쪽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판(242)을 구비하는 구성, 또는 통부(241)를 구비하고, 폐쇄판(242)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도, 케이스(240)는, 진동판(211), 고정 전극(212), 링(220) 및 스페이서(230)를 수용하고 있다(도 3c 및 도 3d 참조). 진동판(211)은 링(220)에 부착되어 있다. 이 링(220)이 케이스(240)의 폐쇄판(242)에 접촉하고, 링(220)을 개재해서 진동판(211)이 케이스(2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폐쇄판(2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공(音孔)(242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전극(212)은, 진동판(211)에 대하여 간극을 지니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진동판(211) 및 고정 전극(212)이, 컨덴서(210)를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대로 진동판(211) 및 고정 전극(212)은 케이스(240)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컨덴서(210)도 당연히 케이스(24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페이서(230)는, 링 형상으로서, 진동판(211)과 고정 전극(212)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또, 링(220) 및 고정 전극(212)이, 진동판(211)과 고정 전극(212)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케이스(240) 내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스페이서(230)는 생략 가능하다.
마이크 기판(250)은, 강성 기판(도 1a 내지 도 20 참조), 가요성 기판 또는 강성의 가요성 기판으로서, 마이크 기판(250)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240)의 통부(241)보다도 큰 외형크기를 지니고 있다. 마이크 기판(250)의 두께 치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 기판(250)은 고정부(251)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251) 상에 케이스(240)의 통부(241)가 고정되고, 통부(241)의 다른 쪽의 개구가 획정부(251)에서 폐쇄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251) 상에 케이스(240)가 하기1) 내지 4)와 같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고정부(251)는, 제1 면(251a)과, 그 반대쪽의 제2 면(251b)과, 적어도 하나의 삽입 구멍(251c)과, 제2 면(251b) 위의 접속 도체(251d)를 구비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삽입 구멍(251c)은, 고정부(251)의 제l면(251a)으로부터 제2 면(251b)에 걸쳐서 관통하고 있다. 케이스(240)의 통부(241)는 고정부(251)의 제1 면(251a)에 맞닿아 있다. 케이스(240)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243)를 더 갖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243)는, 통부(241)로부터 뻗어 있고 그리고 고정부(251)의 제l면(251a)으로부터 삽입 구멍(251c)을 관통하고 있다. 다리부(243)가 고정부(251)의 제2 면(251b)의 접속 도체(251d)에 땜납,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3c 및 도 3d 참조). 다리부(243)가 접속 도체(251d)에 땜납 접속되어 있을 경우, 케이스(240) 내에 땜납 및 플럭스가 유입되기 어렵다. 또, 통부(241)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243)는, 고정부(251)의 삽입 구멍(251c)에 끼워맞춤(fit in)하고 있어도 된다.
2) 고정부(251)의 삽입 구멍(251c)이 밑바닥이 있는 구멍이며, 다리부(243)가 고정부(251)의 삽입 구멍(251c)에 삽입 또는 끼워맞춤(fit in)하고 있다. 이 경우, 접속 도체(251d)는, 제2 면(251b)이 아니라, 제1 면(251a)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240)의 통부(2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3) 케이스(240)의 통부(241)가 고정부(251)의 제1 면(251a)에 맞닿고 그리고 제1 면(251a)에 설치된 접속 도체(251d)에 땜납, 용접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다리부(243) 및 삽입 구멍(251c)은 생략된다.
또, 상기 삽입 구멍(251c)은 바이어 홀(via hole) 전극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이크로폰(200)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재는, 고정부(251)의 제1 면(251a)와 고정 전극(212) 사이에 개재하고 또한 고정부(251)의 접속 도체(251e)와 고정 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도 3c 및 도 3d 참조). 접속 도체(251e)는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상에 설치되어 있다(도 3e 참조).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재는, 예를 들면, 게이트 링(261), 음향저항 링(262)이나 음향저항 플레이트(263) 등이다. 도 3c 내지 도 3e에서는, 게이트 링(261), 음향저항 링(262) 및 음향저항 플레이트(263)가, 고정부(251)의 제1 면(251a)과 고정 전극(212) 사이에 개재하고 그리고 고정부(251)의 접속 도체(251e)와 고정 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링(261)이 접속 도체(251e)에 접촉하고, 음향저항 링(262)이 고정 전극(212)에 접촉하고, 음향저항 플레이트(263)가 게이트 링(261)과 음향저항 링(262)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마이크로폰(200)은 도 3c 내지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부(270)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절연부(270)는, 케이스(240)와 게이트 링(261) 사이에 개재하고, 양자의 접촉을 방지하는 환상체이다. 이 절연부(270)는, 고정 전극(212)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240)의 폐쇄판(242)과 고정부(251) 사이에, 링(220), 진동판(211), 스페이서(230), 고정 전극(212),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재가 개재함으로써, 이들이 케이스(240) 내에서 보유될 경우, 절연부(270)는 생략 가능하다.
케이스(240)가 폐쇄판(242)을 구비할 경우, 폐쇄판(242)이 고정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된다. 고정 전극(212)은 생략되는 진동판(211) 및 링(220)이, 진동판(211)이 폐쇄판(242)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진동판(211)과 폐쇄판(242)(고정 전극)에 의해서 컨덴서(210)가 구성된다. 이 경우, 고정 전극은, 케이스(2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재가 링(220)과 고정부(251) 사이에 개재해서 그리고 고정부(251)의 접속 도체(251e)와 진동판(21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케이스(240)가 통부(241)를 구비하고, 폐쇄판(242)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고정 전극(212)이 통부(241)의 한쪽의 개구를 폐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고정 전극(212)은, 케이스(240)의 통부(241)에 접촉하고, 케이스(2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진동판(211) 및 링(220)이, 진동판(211)이 폐쇄판(242)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재가 링(220)과 고정부(251) 사이에 개재해서 그리고 고정부(251)의 접속 도체(251e)와 진동판(21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240)의 폐쇄판(242)이 고정 전극으로서 기능할 경우 및 고정 전극(212)이 통부(241)의 한쪽 개구를 폐쇄할 경우의 어느 것이어도, 컨덴서(210)가 케이스(24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어느 양상의 마이크로폰(200)의 케이스(240) 및 그 수용물을, 설명의 편의상, 마이크로폰 본체라고도 칭한다.
마이크 기판(250)의 고정부(251)는, 환상의 접지 도체(251f)와, 환상의 도전 접착부(251g)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접지 도체(251f)는,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상의 케이스(240)의 주변에, 케이스(240)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도전 접착부(251g)는,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위의 케이스(240)와 접지 도체(251f)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240)와 접지 도체(251f)를 접속하고 있다. 또, 접지 도체(251f) 및/또는 도전 접착부(251g)는 생략 가능하다.
마이크 기판(250)은 접속부(252)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252)는, 마이크 기판(250)의 케이스(240) 이외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접속부(252)는, 마이크 기판(25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지도록, 주 기판(100)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주 기판(100)은, 그의 제1 면(101)으로부터 제2 면(102)에 걸쳐서 주 기판(100)을 관통한 바이어 홀 전극인 제1 접속 구멍(110a) 및 제2 접속 구멍(1lOb)을 더 구비하고 있다(도 2c 및 도 2d 참조). 제1 접속 구멍(110a)과 제2 접속 구멍(110b)은, X-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도 2a 및 도 2b 참조), Y-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X-X' 방향 및 Y-Y'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접속 구멍(110a)은, Z 방향 쪽의 개구(111a)와, 그 반대쪽(Z' 방향 쪽)의 개구(112a)를 갖고, 제2 접속 구멍(110b)은, Z 방향 쪽의 개구(111b)와, 그 반대쪽(Z' 방향 쪽)의 개구(112b)를 갖고 있다.
접속부(252)는, 제1 접속 단부(252a)와, 제2 접속 단부(252b)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단부(252a) 및 제2 접속 단부(252b)는, 제1 면 및 그의 절반 반대쪽의 제2 면을 각각 지니고 있다. 제1 접속 단부(252a), 제2 접속 단부(252b)는, 개구(111a), 개구(111b)로부터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에 각각 삽입, 또는 개구(112a), 개구(112b)로부터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은,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 접속 단부(252a)가 제1 접속 구멍(11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접속 구멍(110a)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은, 마이크 기판(250)의 제1전기 전도 라인을 개재해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고정부(251)의 접속 도체(251e)에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은,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2 접속 단부(252b)가 제2 접속 구멍(11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접속 구멍(110b)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은, 마이크 기판(250)의 제2전기 전도 라인을 개재해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고정부(251)의 접속 도체(251d) 및 접지 도체(251f)의 적어도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3e에서는, 제1 전극(253a)은, 복수이며,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전극(253b)은, 복수이며,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상의 제1 전극(253a)은 전기적으로 부유하고 있고,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2 면 상의 제1 전극(253a)은 제1전기 전도 라인을 개재해서 고정부(251)의 제2 면(251b) 위의 접속 도체(251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상의 제2 전극(253b)은, 제2전기 전도 라인을 개재해서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상의 접지 도체(251f)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2 면 상의 제2 전극(253b)은, 제2전기 전도 라인을 개재해서 고정부(251)의 제2 면(251b) 상의 접속 도체(251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 단부(252a)가 제1 접속 구멍(110a)을 관통하고, 제2 접속 단부(252b)가 제2 접속 구멍(110b)을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도 3a 내지 도 3d 참조).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은, 제1 노출부(253a1)와, 제2 노출부(253a2)와, 중간부(253a3)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은, 제1 노출부(253b1)와, 제2 노출부(253b2)와, 중간부(253b3)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제1 접속 단부(252a)가 개구(111a) 측에서부터 제1 접속 구멍(110a)를 관통하고, 또한 제2 접속 단부(252b)가 개구(111b) 측에서부터 제2 접속 구멍(110b)을 관통하고 있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는, 제1 접속 구멍(110a)의 개구(111a)(청구범위의 제1 접속 구멍의 제1 개구에 상당함) 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1 접속 구멍(110a)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는, 제1 접속 구멍(110a)의 개구(112a)(청구범상의 제1 접속 구멍의 제2 개구에 상당함)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1 접속 구멍(110a)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는, 제2 접속 구멍(110b)의 개구(111b)(청구범위의 제2 접속 구멍의 제1개구에 상당함)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2 접속 구멍(110b)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는, 제2 접속 구멍(110b)의 개구(112b)(청구범위의 제2 접속 구멍의 제2 개구에 상당함)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2 접속 구멍11b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 단부(252a)가 개구(112a) 측에서부터 제1 접속 구멍(110a)을 관통하고, 그리고 제2 접속 단부(252b)가 개구(112b) 측에서부터 제2 접속 구멍(110b)을 관통하고 있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는, 제1 접속 구멍(110a)의 개구(112a)(청구범위의 제1 접속 구멍의 제 1개구에 상당함)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1 접속 구멍(110a)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는, 제1 접속 구멍(110a)의 개구(111a)(청구범위의 제1 접속 구멍의 제2 개구에 상당함)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1 접속 구멍(110a)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는, 제2 접속 구멍(110b)의 개구(112b)(청구범위의 제2 접속 구멍의 제1 개구에 상당함)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2 접속 구멍(110b)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는, 제2 접속 구멍(110b)의 개구(111b)(청구범위의 제2 접속 구멍의 제2 개구에 상당함)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제2 접속 구멍(110b)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어느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의 중간부(253a3)는, 제1 접속 구멍(110a)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제1 노출부(253a1)와 제2 노출부(253a2)와 연결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의 중간부(253a3)는, 제1 접속 구멍(110a)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제1 노출부(253a1)와 제2 노출부(253a2)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전극(253a)이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전극(253b)이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 및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의 4군데에서, 주 기판(10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1 전극(253a)이 복수이며,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2 전극(253b)이 복수이며,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2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2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l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2 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 및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2 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의 8군데에서, 주 기판(10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속되게 된다(도 2a 내지 도 3e 참조).
상기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은, 개구(111a)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 또는 개구(112a)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단부(252a)는 제1 접속 구멍(110a) 내에 삽입되어 있고,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이 제1 접속 구멍(110a)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 기판(100)의 제2 접속 구멍(110b)은, 개구(111b)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 또는 개구(112b)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2 접속 단부(252b)는 제2 접속 구멍(110b) 내에 삽입되어 있고,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이, 제2 접속 구멍(110b)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구멍(110a)은, 바이어 홀 전극은 아닌, 단순한 관통 구멍, 개구(111a)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 또는 개구(112a)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의 적어도 한쪽의 면 상의 제1 접속 구멍(110a)의 근방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단부(252a)가 제1 접속 구멍(110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이, 전기 적어도 한쪽의 면 상의 전극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2 접속 구멍(110b)은, 바이어 홀 전극은 아닌, 단순한 관통 구멍, 개구(111b)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 또는 개구(112b)를 지니는 밑바닥이 있는 구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의 적어도 한쪽의 면 상의 제2 접속 구멍(110b)의 근방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2 접속 단부(252b)가 제2 접속 구멍(110b)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이, 전기 적어도 한쪽의 면 상의 전극에 땜납 접속,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접속 구멍(110a)에 대한 삽입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접속 구멍(110a)에 대한 끼워맞춤(fit in)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2 접속 구멍(110b)에 대한 삽입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2 접속 구멍(110b)에 대한 끼워맞춤(fit in)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에서 제1 접속 단부(252a), 제2 접속 단부(252b)가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에 각각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는(이하, 접속 상태라 칭함) 것에 의해,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마이크 기판(250)이 강성 기판일 경우, 접속 상태에서,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로 기립하고 있다(도 1a 내지 도 2d 참조). 제1 접속 구멍(110a)과 제2 접속 구멍(110b)이 X-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을 경우(도 2a 및 도 2b참조), 마이크 기판(250)이 전술한 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240)가 Y방향 또는 Y' 방향을 향한다. 제1 접속 구멍(110a)과 제2 접속 구멍(110b)이 Y-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을 경우, 마이크 기판(250)이 전술한 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240)가 X 방향 또는 X' 방향을 향한다. 제1 접속 구멍(110a)과 제2 접속 구멍(110b)이 X-X' 방향 및 Y-Y'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을 경우, 마이크 기판(250)이 전술한 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240)가 상기 경사 방향의 한쪽 또는 상기 경사 방향의 다른 쪽을 향한다.
또, 마이크 기판(250)이 가요성 기판일 경우, 접속 상태에서, 마이크 기판(250)의 접속부(252)가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진다. 마이크 기판(250)이 강성의 가요성 기판이며, 마이크 기판(250)의 접속부(252)가 강성의 가요성 기판의 강성인 부분일 경우, 접속부(252)는, 접속 상태에서,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로 기립하고 있다. 마이크 기판(250)이 강성의 가요성 기판이며, 마이크 기판(250)의 접속부(252)가 강성의 가요성 기판의 가요성인 부분일 경우, 접속부(252)는, 접속 상태에서,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진다.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접속부(252)는, 제1 접속 단부(252a)와 제2 접속 단부(252b) 사이의 접촉부(252c)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접촉부(252c)가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있어서의 제1 접속 구멍(110a)과 제2 접속 구멍(110b) 사이의 부분에 맞닿고 있다. 또, 접촉부(252c)는 생략 가능하다.
마이크로폰(200)은, FET 등의 전자회로(도시 생략)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회로는, 마이크 기판(250)의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상에 실장되고, 케이스(24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면 된다. 이 전자회로는, 마이크 기판(250) 상이 아니라, 주 기판(100) 상에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립체(A1)는 외부 접속부(300)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외부 접속부(300)는, 주 기판(100)과 외부의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외부 접속부(300)는, 수지 홀더(310)와, 복수의 단자(320)를 구비하는 구성 또는 가요성 기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수지 홀더(310)가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이 수지 홀더(310)는, 접속 구멍(311)을 지니고 있다. 복수의 단자(320)는, 접속 구멍(311) 내에서 수지 홀더(310)에 보유되는 동시에, 주 기판(100)을 관통하여, 주 기판(100)에 접속되어 있다.
조립체(A1)는, 홀더(400)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에 고정되어 있을 때, 홀더(400)는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상에 고정되어 있고,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2 면(102)에 고정되어 있을 때, 홀더(400)는 주 기판(100)의 제2 면(102) 상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400)는 수용 공간(410)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 공간(410)은 주 기판(100) 측에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부에서부터 마이크로폰(200)이 수용 공간(4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홀더(400)가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상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수용 공간(410)은, X 방향, X' 방향 및 Z 방향 쪽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되고, 홀더(400)가 주 기판(100)의 제2 면(102) 상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수용 공간(410)은, X 방향, X' 방향 및 Z' 방향 쪽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홀더(400)는, 수용 공간(410)의 개구를 가로막는 크로스(413)를 더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이 크로스(413)는 부직포 등의 천이다. 이 수용 공간(410)은, 마이크로폰(200)의 마이크 기판(250)에 의해 Z-Z'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Y' 방향, X-X' 방향, 및 Y-Y' 방향 및 X-X'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 방향)에 있어서 전실(411)과 후실(412)에 칸막이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200) 마이크로폰 본체는 전실(4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도 1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실(411)을 사선으로 명시하고, 후실(412)을 격자선으로 명시하고 있지만, 이들 선이 현실에는 부여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유의해야 한다. 도 1a에서는, 크로스(413)는 도시 생략되어 있다.
전실(411)과 후실(412)은, 하기 ㄱ) 또는 ㄴ)과 같이 간극을 통해서 일부가 통하고 있어도 되고, 하기 ㄷ) 내지 ㅂ)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ㄱ) 수용 공간(410)이 Z 방향(도 1b 참조) 또는 Z'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경우, 마이크 기판(250)의 Z-Z' 방향과 교차(도 1b에서는 직교)하는 양 단부가, 수용 공간(410)의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측벽에 접촉 또는 매립되어 있고, 마이크 기판(250)과 크로스(413) 사이에 Z-Z' 방향에 있어서 간극이 생기고 있다.
ㄴ) 수용 공간(410)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경우, 마이크 기판(250)의 양 단부 중 한쪽이, 수용 공간(410)의 측벽에 접촉 또는 매립되고, 다른 쪽이 측벽에 상대하는 크로스(413)에 맞닿아 있으며, 마이크 기판(250)과 수용 공간(410)의 Z 방향 또는 Z' 방향 쪽의 천장부 사이에 Z―Z' 방향에 있어서 간극이 생기고 있다.
ㄷ) 수용 공간(410)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경우, 마이크 기판(250)의 양 단부가, 수용 공간(410)의 1쌍의 측벽에 접촉 또는 매립되어 있고 마이크 기판(250)이 크로스(413)에 접촉하고 있다. 이 경우, 마이크 기판(250)과 크로스(413) 사이에 Z-Z' 방향에 있어서 간극이 생기고 있지 않다.
ㄹ) 수용 공간(410)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경우, 마이크 기판(250)의 양 단부 중 한쪽이, 수용 공간(410)의 측벽에 접촉 또는 매립되고, 다른 쪽이 측벽에 대향하는 크로스(413)에 맞닿아 있으며, 마이크 기판(250)이 수용 공간(410)의 천장부에 접촉하고 있다. 이 경우, 마이크 기판(250)과 수용 공간(410)의 천장부 사이에 Z-Z' 방향에 있어서 간극이 생기고 있지 않다.
ㅁ) 상기 ㄱ)의 경우에 있어서, 마이크 기판(250)과 크로스(413) 사이에 중간부재를 개재시킨다. 중간부재에 의해, 마이크 기판(250)과 크로스(413) 사이에 간극이 매립되어 있다. 중간부재는 홀더(400)의 일부이어도 되고, 홀더(400)와는 별도의 부재이어도 된다.
ㅂ) 상기 ㄴ)의 경우에 있어서, 마이크 기판(250)과 수용 공간(410)의 천장부 사이에 중간부재를 개재시킨다. 중간부재에 의해, 마이크 기판(250)과 수용 공간(410)의 천장부 사이의 간극이 매립되어 있다. 중간부재는 홀더(400)의 일부이어도 되고, 홀더(400)와는 별도의 부재이어도 된다.
또, 마이크 기판(250)의 외형, 홀더(400)의 형상 및/또는 중간부재의 형상은, 전실(411)과 후실(412)을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하여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홀더(400)의 수용 공간(410)의 전술한 개구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수용 공간(410)과 홀더(400)의 외부를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도시하지 않은 음공이 홀더(400)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홀더(400)는, 보유부(420)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보유부(420)는,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마이크 기판(250)을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유부(420)는, 수용 공간(410)의 전술한 1쌍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Z-Z' 방향으로 뻗는 1쌍의 슬릿(421)을 지닌다. 이 슬릿(421)은, 주 기판(100) 측이 개방되어 있다. 이 슬릿(421) 내에 마이크 기판(250)의 상기 양 단부가 각각 주 기판(100) 측에서 삽입되어, 보유되어 있다(즉, 측벽에 매립되어 있다). 또, 홀더(400)는 생략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조립체(A1)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1) 조립체(A1)의 저 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왜냐하면, 마이크로폰(200)의 마이크 기판(250)의 제1 접속 단부(252a), 제2 접속 단부(252b)가,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에 직접,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립체(A1)의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1 접속 단부(252a), 제2 접속 단부(252b)가,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에 직접 접속되므로, 해당 접속을 자동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립체(A1)가 홀더(400)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조립체(A1)의 부품 점수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200)의 마이크 기판(250)이 수용 공간(410)을 전실(411)과 후실(412)에 칸막이하고 있으므로, 전실(411)과 후실(412)을 칸막이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2) 전술한 바와 같이,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마이크로폰(20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 상에서 그 방향을 360°의 범위 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주 기판(100)에 있어서의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마이크로폰(200)의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 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화시킬 할 수 있다. 주 기판(100)의 외형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마이크로폰(200)의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 위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들 조합으로, 마이크로폰(200)의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위에 있어서의 방향 및/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폰(200)을 음향적으로 최적인 위치에 배치하기 쉬워진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3) 하기의 경우, 마이크로폰(200)의 마이크 기판(250)의 주 기판(100)에 대한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제1 전극(253a)이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전극(253b)이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제1 전극(253a), 제2 전극(253b)(즉, 2군데)이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 제2 접속 구멍(110b)에 각각 땜납,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극(253a)이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전극(253b)이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전극(253a)이 제1 노출부(253a1) 및 제2 노출부(253a2)를 구비하고, 또한 제2 전극(253b)이 제1 노출부(253b1) 및 제2 노출부(253b2)를 구비할 경우,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 및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가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에 각각 땜납,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 및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가 주 기판(100)의 제2 접속 구멍(110b)에 각각 땜납,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1 노출부(253a1), 제2 노출부(253a2), 제1 노출부(253b1) 및 제2 노출부(253b2)의 합계의 4군데에서, 주 기판(10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극(253a)이 복수로서,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2 전극(253b)이 복수로서,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제1 전극(253a)이 제1 노출부(253a1) 및 제2 노출부(253a2)를 구비하고, 또한 각각 제2 전극(253b)이 제1 노출부(253b1) 및 제2 노출부(253b2)를 구비할 경우,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1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2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1 노출부(253a1), 및 제1 접속 단부(252a)의 제2 면 상의 제1 전극(253a)의 제2 노출부(253a2)가 주 기판(100)의 제1 접속 구멍(110a)에 각각 땜납,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1 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2 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1 노출부(253b1), 및 제2 접속 단부(252b)의 제2 면 상의 제2 전극(253b)의 제2 노출부(253b2)가 주 기판(100)의 제2 접속 구멍(110b)에 각각 땜납,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즉, 2개의 제1 노출부(253a1), 2개의 제2 노출부(253a2), 2개의 제1 노출부(253b1) 및 2개의 제2 노출부(253b2)의 합계의 8군데에서, 주 기판(10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4) 조립체(A1)가 홀더(400)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마이크 기판(250)이 홀더(400)의 보유부(420)에 의해 보유되어 있으므로, 마이크 기판(250)이 주 기판(100)의 제1 면(101) 또는 제2 면(102)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주 기판(100)에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이다. 특히, 마이크 기판(250)이 강성 기판일 경우, 마이크 기판(250)의 양 단부가 보유부(420)의 1쌍의 슬릿(421)에 주 기판(100)으로부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보유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조립체 A 2(이하, "조립체(A2)"라고도 칭함) 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에는, 실시예 2의 조립체(A2)의 마이크로폰(200')만이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외의 부분은 도 1a 내지 도 3e를 이용해서 참조한다. 이 조립체(A2)는, 마이크로폰(200')의 구성이, 조립체(A1) 마이크로폰(200)의 구성과 상위한 이외에, 조립체(A1)와 같은 구성이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조립체(A2)의 설명 중, 조립체(A1)와 중복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마이크로폰(200')은 MEMS 마이크로폰이다. 이 마이크로폰(200')은 MEMS 칩(280)과, 케이스(240')와, 마이크 기판(250')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 기판(250')은, 삽입 구멍(251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조립체(A1)의 마이크 기판(250)과 상위한 이외에, 마이크 기판(250)과 마찬가지 구성이다. 접속 도체(251d)는,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상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240)의 통부(2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240')는, 다리부(24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조립체(A1)의 케이스(240)와 상위한 이외에, 케이스(240)와 마찬가지 구성이다. MEMS 칩(280)은, 마이크 기판(250')의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상에 실장되어 있고, 제1 접속 단부(252a)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 및 제2 접속 단부(252b)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에 마이크 기판(250')을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MEMS 칩(280)은, 진동판과 고정 전극으로 되는 컨덴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200')은, 전자회로(도시 생략)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회로는, 마이크 기판(250')의 고정부(251)의 제1 면(251a) 상에 실장되고, 케이스(24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면 된다. 이 전자회로는, 마이크 기판(250') 상이 아니라, 주 기판(100) 상에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조립체(A2)는, 조립체(A1)와 마찬가지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전술한 마이크 조립체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자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는, 마이크 기판의 케이스 외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마이크 기판의 접속부는, 주 기판 상의 도전부재에 땜납, 용접 또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도, 주 기판 상의 도전부재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마이크로폰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는, 주 기판(100)에, 상기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구멍(110a)(청구범위의 접속 구멍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접속 구멍(110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속부(252)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단부(252a)(청구범위의 접속부에 상당함)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을 구비하는 구성, 또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상의 제1 접속 단부(252a)(청구범위의 접속부에 상당함),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253a) 및 접촉부(252c)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의 구성의 경우, 제2 접속 단부(252b),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 및 접촉부(252c)는 생략된다. 후자의 구성의 경우, 제2 접속 단부(252b)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53b)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홀더의 마이크로폰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은, 홀더를 Z-Z'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용 공간은, 그의 Z' 방향 쪽이 폐쇄되도록 주 기판의 제1 면 상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그의 Z 방향 쪽이 폐쇄되도록 주 기판의 제2 면 상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의 각 양상 및 설계 변형예에 있어서의 마이크 조립체의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의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의 각 양상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Z-Z' 방향은 본 발명의 주 기판의 두께 방향인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Y-Y' 방향은, Z-X' 방향과 교차하는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X-X' 방향은, Z- Z' 방향 및 Y-Y' 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또한 Z-Z' 방향 및 Y-Y' 방향이 위치하는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는 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A1, A2: 마이크 조립체
100:: 주 기판
101: 제1 면
102: 제2 면
110a: 제1 접속 구멍
111a: 개구
112a: 개구
110b: 제2 접속 구멍
111b: 개구
112b: 개구
200, 200': 마이크로폰
210: 컨덴서
211: 진동판
212: 고정 전극
220:링
230: 스페이서
240, 240':케이스
241: 통부
242: 폐쇄판
242a: 음공
243: 다리부
250, 250':마이크 기판
251: 고정부
251a: 제1 면
251b: 제2 면
251c: 삽입 구멍
251d: 접속 도체
251e: 접속 도체
251f: 접지 도체
251g: 도전 접착부
252: 접속부
252a: 제1 접속 단부
252b: 제2 접속 단부
252c: 접촉부
253a: 제1 전극
253a1: 제1 노출부
253a2: 제2 노출부
253a3: 중간부
253b: 제2 전극
253b1: 제1 노출부
253b2: 제2 노출부
253b3: 중간부
261: 게이트 링(도전부재)
262: 음향 저항 링(도전부재)
263: 음향 저항 플레이트(도전부재)
270: 절연부
280: MEMS 칩
300: 외부 접속부
400: 홀더
410: 수용 공간
411: 전실
412: 후실
413: 크로스

Claims (10)

  1. 마이크 조립체로서,
    주 기판과,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폰은,
    컨덴서 또는 MEMS 칩과,
    상기 컨덴서 또는 MEMS 칩을 수용한 케이스와,
    상기 컨덴서 또는 MEMS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마이크 기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 기판은, 상기 케이스보다도 큰 외형 크기를 지니고 있고, 그리고 고정부 및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 상에 상기 케이스가 고정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케이스 밖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마이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판은, 제l 면과, 그 반대쪽의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설치된 접속 구멍을 지니고 있고,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 기판이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l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각 또는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마이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접속 구멍은, 제1 접속 구멍 및 제2 접속 구멍을 지니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의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접속부는, 제1 접속 단부와, 제2 접속 단부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접속 단부는, 제1 면 및 그 반대쪽의 제2 면을 지니고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접속 단부는, 제1 면 및 그 반대쪽의 제2 면을 지니고 그리고 상기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접속 단부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단부가 상기 제1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접속 단부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접속 단부가 상기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마이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구멍 및 상기 제2 접속 구멍은, 상기 주 기판을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2 면에 걸쳐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제1 개구와, 그 반대쪽의 제2 개구를 각각 지니고 있으며,
    상기 제1 접속 단부는, 상기 제1 접속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 접속 구멍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2 접속 단부는, 상기 제2 접속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접속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접속 구멍의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1 노출부와,
    상기 제1 접속 구멍의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2 면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2 노출부와,
    상기 제1 접속 구멍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제1 노출부와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제2 노출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접속 구멍의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주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1 노출부와,
    상기 제2 접속 구멍의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2 면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2 노출부와,
    상기 제2 접속 구멍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제1 노출부와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제2 노출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구비하고 있는, 마이크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접속 단부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접속 단부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 조립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접속 단부와 상기 제2 접속 단부 사이의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맞닿고 있는, 마이크 조립체.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의 상기 마이크 기판이 상기 수용 공간 내를 전실과 후실에 칸막이하고 있는, 마이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보유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유부는, 상기 마이크 기판이 상기 주 기판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 기판을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고정부는, 제1 면과, 그 반대쪽의 제2 면과, 상기 고정부를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제2 면에 걸쳐서 관통한 비도전성의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의 상기 케이스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되, 상기 다리부는, 상기 삽입 구멍을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제1 면 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마이크 기판의 상기 제2 면에 땜납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는, 마이크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상기 마이크 기판은, 상기 마이크 기판 상의 상기 케이스의 주변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환상의 접지 도체와,
    상기 마이크 기판 상의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접지 도체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 환상의 도전 접착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마이크 조립체.
KR1020180055880A 2017-08-25 2018-05-16 마이크 조립체 KR201900222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2257A JP6945390B2 (ja) 2017-08-25 2017-08-25 マイクアッセンブリ
JPJP-P-2017-162257 2017-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295A true KR20190022295A (ko) 2019-03-06

Family

ID=6325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880A KR20190022295A (ko) 2017-08-25 2018-05-16 마이크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9163B2 (ko)
EP (1) EP3448055A1 (ko)
JP (1) JP6945390B2 (ko)
KR (1) KR20190022295A (ko)
CN (1) CN109429121A (ko)
TW (1) TW2019143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800A (ja) 2008-09-03 2010-03-18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載用マイクロホ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538A (ja) * 2002-05-31 2004-01-08 Toshiba Corp コネクタの固定構造、印刷配線板およびコネクタ固定方法
TW200708166A (en) * 2005-03-02 2007-02-16 Hosiden Corp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holder
SG130158A1 (en) * 2005-08-20 2007-03-20 Bse Co Ltd Silicon based condenser microphone and packaging method for the same
JP4657974B2 (ja) * 2006-05-09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ード型memsマイクロホン
US8325951B2 (en) * 2009-01-20 2012-12-04 General Mems Corporation Miniature MEMS condenser microphone packag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10187076A (ja) * 2009-02-10 2010-08-26 Funai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JP2011129708A (ja) * 2009-12-17 2011-06-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JP5613434B2 (ja) * 2010-04-06 2014-10-22 ホシデン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
JP6636460B2 (ja) * 2014-05-22 2020-01-29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Signify Holding B.V. プリント回路基板アレンジメント及び主プリント回路基板に製品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DE102017202568A1 (de) * 2017-02-17 2017-06-14 Sivantos Pte. Ltd. MEMS-Mikrophon mit integriertem Schallka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800A (ja) 2008-09-03 2010-03-18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載用マイクロホ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4313A (zh) 2019-04-01
CN109429121A (zh) 2019-03-05
US10499163B2 (en) 2019-12-03
JP6945390B2 (ja) 2021-10-06
US20190069095A1 (en) 2019-02-28
EP3448055A1 (en) 2019-02-27
JP2019041258A (ja)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6545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と金属筐体との接続構造
JP2013062194A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6100190A (ja) 同軸コネクタ組立て
KR20100049613A (ko) 컨덴서 마이크로폰
KR20190022295A (ko) 마이크 조립체
JP2008091164A (ja) 回路基板相互接続用コネクタ装置
JP2591562B2 (ja) コネクタ
CN115732961A (zh) 电子部件
WO2020255648A1 (ja) コネクタ
JP3748810B2 (ja) マイクロホン
CN113140406B (zh) 电子部件
CN219395428U (zh) 模块
JP7486891B2 (ja) 電子機器筐体、電子機器及び電子装置
CN220455683U (zh) 智能手表
JP6792889B2 (ja) コンセント装置
JP2008219437A (ja) チップアンテナの装着具及び電子部品実装基板
JP6260643B2 (ja) 同軸コネクタ
JP3285071B2 (ja) フロントエレクトレット型マイクロフォン
JP2017199471A (ja) プラグ
JP202403856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893934B2 (ja) 分配ブースタ
JP2006060373A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3110396A (ja) 振動素子ユニット
JPH07320819A (ja) ノイズ対策型コネクタ
JP3100059U (ja) 高周波ユニ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