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611A -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611A
KR20190020611A KR1020180071933A KR20180071933A KR20190020611A KR 20190020611 A KR20190020611 A KR 20190020611A KR 1020180071933 A KR1020180071933 A KR 1020180071933A KR 20180071933 A KR20180071933 A KR 20180071933A KR 20190020611 A KR20190020611 A KR 2019002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inflated
air ba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226B1 (ko
Inventor
오사무 후카와타세
히로에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2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7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foo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는, 차량의 프런트 헤더(20F)에 탑재되고, 상기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 윈드실드(18)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상방 에어백(42)과, 상기 상방 에어백(42)과는 별개로 마련되고, 상기 윈드실드(18)의 차량 상하 방향 하방측에서 차실의 전단부에 탑재되고,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을 포함한 대시보드(24)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하방 에어백(5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FRONT PASSENGER SEAT}
본 발명은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022416에 기재된 차량의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백 부재(조수석용 에어백)가 수납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후방 하부에 니(knee) 에어백재(니 에어백)가 수납되어 있다. 조수석용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시에,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측 또한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윈드실드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반력을 받으면서 탑승자의 상반신을 구속한다. 니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시에,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반력을 받으면서 탑승자의 하반신을 구속한다.
하기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335694에 기재된 자동차용 오버헤드·에어백에서는, 차량 루프의 전단부(前端部)(프런트 헤더)에 에어백이 수납되어 있다. 이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시에, 프런트 헤더로부터 하방측 또한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상반신과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사이에 개재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반력을 받으면서 탑승자의 상반신을 구속한다.
상기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022416,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335694에 기재된 선행 기술에서는, 에어백의 반력면(지지면)으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장래의 자동 운전 차량에서는, 캐빈의 넓은 느낌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소형화(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치수의 축소)가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형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는, 에어백의 반력면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자동 운전 차량에서는, 윈드실드의 기울기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윈드실드의 기울기가 큰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의 반력면을, 윈드실드에 의해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백의 반력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에어백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윈드실드의 기울기가 크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소형인 경우라도, 에어백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확보하기 쉬운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는, 차량의 프런트 헤더에 탑재되고, 상기 차량의 전면(前面) 충돌 시에 윈드실드에 의해 차량 전방측(前方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상방 에어백과, 상기 상방 에어백과는 별개로 마련되고, 상기 윈드실드의 차량 상하 방향 하방측에서 차실의 전단부에 탑재되고,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포함한 대시보드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하방 에어백을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상방 에어백은,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하방 에어백은,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下腿部)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의 「대시보드」는, 윈드실드의 차량 하방에서 차실의 전벽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대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는, 프런트 헤더에 탑재된 상방 에어백이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윈드실드의 차량 하방에서 차실의 전단부에 탑재된 하방 에어백이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된다.
여기서, 상기의 하방 에어백은, 조수석 탑승자의 신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대시보드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좌우의 하퇴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어, 대시보드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이 하방 에어백에 의해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를 조기에 또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상방 에어백은,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의 가까이에 배치되는 프런트 헤더로부터 팽창 전개되고, 윈드실드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윈드실드는, 상단부가 프런트 헤더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프런트 헤더로부터 팽창 전개되는 상방 에어백은, 윈드실드에 있어서의 상하의 넓은 범위를 지지면(반력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윈드실드의 기울기가 크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소형인 경우라도, 상방 에어백의 반력면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방 에어백에 의해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를 조기에 또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양태에서는, 하방 에어백에 의해 좌우의 하퇴부를 조기에 구속하여 조수석 탑승자의 관성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프런트 헤더로부터 팽창 전개되어 윈드실드에 지지되는 상방 에어백에 의해 헤드부를 충분한 반력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윈드실드의 기울기가 크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소형인 경우라도, 에어백(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상기 양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는 추가로, 상기 차량의 조수석 또는 조수석용 안전 벨트에 탑재되고,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상기 상방 에어백 및 상기 하방 에어백의 적어도 일방과 조수석의 사이에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전면 충돌용 에어백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돌용 에어백은,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상기 상방 에어백 및 상기 하방 에어백의 적어도 일방과, 조수석 탑승자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는, 프런트 헤더에 탑재된 상방 에어백이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윈드실드의 차량 하방에서 차실의 전단부에 탑재된 하방 에어백이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된다. 또한 이 때에는, 조수석 또는 조수석용 안전 벨트에 탑재된 전면 충돌용 에어백이,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적어도 일방과 조수석 탑승자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팽창 전개된다. 이에 의해,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적어도 일방이 전면 충돌용 에어백의 반력면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적어도 일방과 전면 충돌용 에어백에 의해 조수석 탑승자가 구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에 대하여 조수석 탑승자가 차량 후방으로 떨어져 착좌하고 있는 경우라도, 조수석 탑승자의 구속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상방 에어백 및 상기 하방 에어백의 각각은,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骨組)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상방 에어백은, 상기 상방 에어백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와,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방 에어백의 제 1 벽부를 형성하는 제 1 복수의 기포(基布)를 가져도 되며, 상기 하방 에어백은, 상기 하방 에어백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와,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방 에어백의 제 2 벽부를 형성하는 제 2 복수의 기포를 가져도 된다.
상기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각각은, 그 골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 팽창부가,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 형상으로 팽창 전개된다. 그리고, 이 프레임 형상 팽창부에 장착된 복수의 기포가, 상기 각각의 벽부를 형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골조 형상의 프레임 형상 팽창부에만 공급하면 되기 때문에,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크기를 확보하면서, 인플레이터를 저출력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의 저비용화나 인플레이터의 탑재 스페이스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의 기포는, 상기 상방 에어백의 후벽부를 형성하는 제 1 후기포(後基布), 상기 상방 에어백의 저벽부를 형성하는 제 1 저기포(底基布), 상기 상방 에어백의 좌벽부를 형성하는 제 1 좌기포, 및 상기 상방 에어백의 우벽부를 형성하는 제 1 우기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는, 상기 제 1 후기포 및 상기 제 1 저기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도 되며, 상기 제 1 좌기포 및 상기 제 1 우기포는, 3변 중 2변이 나머지 1변보다 짧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상기 2변을 구성하는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의 좌우의 측부에 결합되어도 되고, 팽창 전개된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를,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도록 굴곡시켜도 되며, 상기 제 2 복수의 기포는, 상기 하방 에어백의 후벽부를 형성하는 제 2 후기포, 상기 하방 에어백의 저벽부를 형성하는 제 2 저기포, 상기 하방 에어백의 좌벽부를 형성하는 제 2 좌기포, 및 상기 하방 에어백의 우벽부를 형성하는 제 2 우기포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는, 상기 제 2 후기포 및 상기 제 2 저기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도 되며, 상기 제 2 좌기포 및 상기 제 2 우기포는, 3변 중 2변이 나머지 1변보다 짧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상기 2변을 구성하는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의 좌우의 측부에 결합되고, 팽창 전개된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를,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도록 굴곡시켜도 된다.
상기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프레임 형상 팽창부 및 복수의 기포로 형성된 상방 에어백은, 프레임 형상 팽창부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룬다. 이에 의해, 윈드실드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상방 에어백을 지지하기 쉬워진다.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이 프레임 형상 팽창부 및 복수의 기포로 형성된 하방 에어백은, 프레임 형상 팽창부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룬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소형화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있어서,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와 대향하는 면의 후경(後傾)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당해 면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하방 에어백을 지지하기 쉬워진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팽창 전개된 상기 상방 에어백 및 상기 하방 에어백은, 상기 상방 에어백 및 상기 하방 에어백이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비구속 상태에서 서로 상하에서 맞닿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은, 조수석 탑승자의 비구속 상태(구속 전의 상태)에서 서로 상하에서 맞닿는다. 여기서,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는, 조수석용 안전 벨트를 장착한 조수석 탑승자의 상반신이 전경(前傾) 자세가 되므로,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가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상방 에어백에 맞닿는다. 이 때, 상방 에어백과 하방 에어백이 서로 상하에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헤드부가 상방 에어백을 개재하여 하방 에어백에 의해서도 구속된다. 이 결과, 헤드부의 구속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하방 에어백의 내압은,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상방 에어백의 내압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내압이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방 에어백에 의해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를 효과적으로(즉 높은 반력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가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상방 에어백에 맞닿은 경우, 헤드부가 상방 에어백에 의해 소프트하게 구속됨과 함께, 상방 에어백을 개재하여 하방 에어백에 의해서도 구속된다. 이에 의해, 헤드부에 직접 입력되는 반력을 낮추면서, 상방 에어백이 내압이 높은 하방 에어백에 지지됨으로써, 상방 에어백의 차량 하방으로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헤드부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하방 에어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상방 에어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보다 커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방 에어백에 맞닿는 상방 에어백이, 하방 에어백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의 전면 충돌의 형태가 사선 충돌이나 스몰랩 충돌 등의 비대칭 충돌이고,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가 비스듬히 전방 또한 비스듬히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방 에어백에 맞닿은 경우라도, 상방 에어백이 헤드부의 이동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하방 에어백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비대칭 충돌 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속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된 상기 하방 에어백은,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이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과 맞닿아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이,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과 맞닿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의 전면 충돌의 형태가 사선 충돌이나 스몰랩 충돌 등의 비대칭 충돌이고,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가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비스듬히 이동하여 하방 에어백에 맞닿은 경우라도, 하방 에어백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비대칭 충돌 시에 있어서의 좌우의 하퇴부의 구속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에서는, 윈드실드의 기울기가 크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소형인 경우라도, 에어백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확보하기 쉽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특징, 장점, 기술적 및 산업적 특성은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며, 도면 내에 동일 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차실 전부(前部)를 차량 후방 비스듬히 좌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며,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구성을 차량 좌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하방 에어백)의 제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윈드실드의 기울기가 크게 설정되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소형화된 차량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 2에 대응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에 대응한 단면도이며, 윈드실드의 기울기와 조수석용 에어백의 반력면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에 대응한 단면도이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소형화와 니 에어백의 반력면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차실 전부를 차량 후방 비스듬히 우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며,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어지는 구성을 차량 우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방 에어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방 에어백을 포함하는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LH는, 차량의 앞쪽 방향(진행 방향), 위쪽 방향, 왼쪽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간단히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차량 폭 방향)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는, 차량(12)의 조수석(16)에 착좌한 탑승자(P)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방 에어백(42)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40)와, 하방 에어백(52)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수석용 니 에어백 장치(50)와, 이러한 에어백 장치(40, 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탑승자(P)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수석 탑승자」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의 차량(12)은, 예를 들면 세단 타입으로 되어 있고, 상기의 조수석(16)은, 예를 들면 차실(14)의 전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수석(16)은 등받이(16A)와 시트부(16B)를 구비한다. 이 조수석(16)에는, 탑승자(P)를 구속하는 3점식의 조수석용 안전 벨트(17)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차실(14)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후에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40), 조수석용 니 에어백 장치(50) 및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차실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실(14)의 전단부에는 윈드실드(프런트 윈드실드 글래스)(18)가 배치되어 있다. 윈드실드(18)는, 차실(14)의 루프(천장)(20)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윈드실드(18)의 기울기(후경 각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세단 타입의 차량에 있어서의 윈드실드의 기울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윈드실드(18)의 전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카울에 지지되어 있고, 윈드실드(18)의 좌우 양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좌우의 프런트 필러에 지지되어 있다. 윈드실드(18)의 후단부는, 루프(20)의 전단부에 마련된 프런트 헤더(20F)에 지지되어 있다. 이 프런트 헤더(20F)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루프(20)는, 루프 헤드 라이닝(22)에 의해 차량 하방측(차실 내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차실(14)의 전단부에는 대시보드(대시보드부; 격벽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대시보드(24)는, 윈드실드(18)의 차량 하방에서 차실(14)의 전벽부를 구성하고 있고, 인스트루먼트 패널(26)과, 대시 패널(30)과, 도시하지 않는 대시보드 사일런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은, 예를 들면 수지제로 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차량 전방측이 개방된 단면 대략 U자 형상(단면 대략 V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스트루먼트 패널보다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치수가 축소되어 소형화(박형화(薄型化))되어 있다. 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상면(26A)은, 차량 후방측을 향해 내리막 구배로 경사(만곡)져 있고, 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하면(26B)은, 차량 전방측을 향해 내리막 구배로 경사(만곡)져 있다. 이 하면(26B)은,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대향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기 위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가 배치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차실(14)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좌우의 프런트 필러(도시 생략)에 결합되어 있다.
대시 패널(30)은, 예를 들면 강판제로 되어 있고, 차량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대시 패널(30)의 하단부는, 토 보드(32)를 개재하여 플로어 패널(34)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이 대시 패널(30)의 차량 후방측(차실 내측)의 면에는, 예를 들면 고무나 섬유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는 대시보드 사일런서가 부착되고, 당해 대시보드 사일런서가 도시하지 않는 카페트에 의해 차량 후방측(차실 내측)으로부터 덮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구성)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40)는, 프런트 헤더(20F)에 탑재된 상방 에어백(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상방 에어백(42)은, 차량(12)의 전면 충돌 시에, 탑승자(P)의 헤드부(H) 및 흉부(C)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윈드실드(18)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탑승자(P)의 복부에 부호 B를 부여하고 있다. 상기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40)는, 상방 에어백(42)에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상방 인플레이터)(44)와, 도시하지 않는 에어백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백 케이스는, 예를 들면 차량 전방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런트 헤더(20F)의 차량 후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볼트 체결 등의 수단으로 프런트 헤더(20F)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에어백 케이스 내에는, 접힌 상방 에어백(42)과 인플레이터(44)가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인플레이터(44)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린더 타입으로 되어 있고, 축선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44)는, 도시하지 않는 브래킷을 개재하여 프런트 헤더(20F)에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44)의 축선 방향 일단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스 분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인플레이터(44)가 작동했을 때에는, 상기의 가스 분출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방 에어백(42)은, 도 1∼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 팽창부로서의 프레임 형상 덕트(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 형상 덕트(60)는, 인플레이터(44)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어, 상방 에어백(42)의 골격부를 형성한다. 이 프레임 형상 덕트(60)에는, 상방 에어백(42)의 벽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포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의 기포는, 상방 에어백(42)의 후벽부(RW)를 형성하는 후기포(62), 상방 에어백(42)의 저벽부(UW)를 형성하는 저기포(64), 상방 에어백(42)의 좌벽부(LSW)를 형성하는 좌기포(66), 및 상방 에어백(42)의 우벽부(RSW)를 형성하는 우기포(68)로 되어 있다. 이러한 후기포(62), 저기포(64),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예를 들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직물 재료가 잘려 형성된 것이다. 후기포(62) 및 저기포(64)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후기포(62) 및 저기포(64)는 대략 직사각 형상(예를 들면 타원 형상)이어도 되고,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대략 삼각 형상(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프레임 형상 덕트(60)는, 예를 들면 대략 B자형(대략 日자형)으로 잘린 2매의 기포가 서로 포개져, 주연부가 서로 봉제됨으로써 대략 B자형(대략 日자형)의 봉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프레임 형상 덕트(60)는, 장척(長尺)의 덕트 형상(튜브 형상; 이하 동일)을 이루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와, 장척의 덕트 형상을 이루고,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의 길이 방향 일단부(상단부)끼리를 연결한 어퍼 덕트부(60U)와, 장척의 덕트 형상을 이루고,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의 길이 방향 타단부(전단부)끼리를 연결한 프런트 덕트부(60F)와, 장척의 덕트 형상을 이루고,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의 길이 방향 중간부끼리를 연결한 센터 덕트부(60S)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레임 형상 덕트의 좌우의 측부」에 상당한다.
어퍼 덕트부(60U), 프런트 덕트부(60F) 및 센터 덕트부(60S)의 길이 치수는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고,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의 길이 치수는, 어퍼 덕트부(60U), 프런트 덕트부(60F) 및 센터 덕트부(60S)의 길이 치수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 내와, 어퍼 덕트부(60U) 내와, 프런트 덕트부(60F) 내와, 센터 덕트부(60S) 내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어퍼 덕트부(60U)의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는, 센터 덕트부(60S)와는 반대측을 향해 덕트 형상의 인플레이터 접속부(60C)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 접속부(60C)의 선단부에는, 전술한 인플레이터(44)의 축선 방향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플레이터(44)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프레임 형상 덕트(60)의 내부에 공급되어, 프레임 형상 덕트(60)가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프레임 형상 덕트(60)는, 후기포(62) 및 저기포(6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기포(62) 및 저기포(64)의 외주연부는,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프레임 형상 덕트(60)에 결합되어 있다. 후기포(62)는, 어퍼 덕트부(60U)와, 센터 덕트부(60S)와,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막고 있고, 저기포(64)는, 프런트 덕트부(60F)와, 센터 덕트부(60S)와,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막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 중, 센터 덕트부(60S)보다 어퍼 덕트부(60U)측의 부위를, 세로 팽창부(60L1, 60R1)라고 하고, 센터 덕트부(60S)보다 프런트 덕트부(60F)측의 부위를, 전후 팽창부(60L2, 60R2)라고 한다.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3변 중 2변이 나머지 1변보다 짧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좌기포(66)의 외주연부는, 장변 가장자리부(66A)와, 당해 장변 가장자리부(66A)보다 짧은 한 쌍의 단변 가장자리부(66B, 6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기포(68)의 외주연부는, 장변 가장자리부(68A)와, 당해 장변 가장자리부(68A)보다 짧은 한 쌍의 단변 가장자리부(68B, 6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변 가장자리부(66A, 68A)는 상기 나머지 1변을 구성하고 있고, 단변 가장자리부(66B, 66C) 및 단변 가장자리부(68B, 68C)는 상기 2변을 구성하고 있다. 좌기포(66) 및 우기포(68)의 단변 가장자리부(66B, 68B)는,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의 세로 팽창부(60L1, 60R1)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좌기포(66) 및 우기포(68)의 단변 가장자리부(66C, 68C)는,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의 전후 팽창부(60L2, 60R2)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팽창 전개된 프레임 형상 덕트(60)를,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팽창 전개된(굴곡진) 프레임 형상 덕트(60)에서는, 어퍼 덕트부(60U)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윈드실드(18)의 상단부에 맞닿고, 프런트 덕트부(60F)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윈드실드의 하단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 형상 덕트(60)의 팽창 전개 상태(즉 상방 에어백(42)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센터 덕트부(60S)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어퍼 덕트부(60U)의 차량 하방 또는 차량 하방 비스듬히 전방에 배치되고, 프런트 덕트부(60F)가 센터 덕트부(60S)의 차량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후기포(62)가 탑승자(P)의 헤드부(H)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부터 대향하고, 저기포(64)가 탑승자(P)의 좌우의 대퇴부(부호 생략)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26)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부터 대향한다. 좌우의 세로 팽창부(60L1, 60R1)는, 후기포(62)의 차량 좌우 방향 양측에서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의 전후 팽창부(60L2, 60R2)는, 저기포(64)의 차량 좌우 방향 양측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삼각 형상의 좌기포(66) 및 우기포(68)가 차량 폭 방향에 대향한다. 이러한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자세가 되고, 좌기포(66) 및 우기포(68)의 장변 가장자리부(66A, 68A)가 윈드실드(18)를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방 에어백(42)은,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체로서,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대략 쐐기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방 에어백(42)이 팽창 전개될 때에는, 루프 헤드 라이닝(22)의 전단부가 상방 에어백(42)의 팽창압을 받아 차량 하방측으로 휘도록 되어 있다.
(조수석용 니 에어백 장치의 구성)
조수석용 니 에어백 장치(50)는, 윈드실드(18)의 차량 하방측에서 차실(14)의 전단부에 탑재된 하방 에어백(니 에어백)(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방 에어백(5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에 탑재되어 있고, 상방 에어백(42)과는 별개 독립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하방 에어백(52)은, 상방 에어백(42)과 일체화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하방 에어백(52)은, 차량(12)의 전면 충돌 시에,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26)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조수석용 니 에어백 장치(50)는, 하방 에어백(52)에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하방 인플레이터)(54)와, 에어백 케이스(56)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백 케이스(56)는, 예를 들면 차량 후방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26) 내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는 브래킷을 개재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에어백 케이스(56) 내에는, 접힌 하방 에어백(52)과 인플레이터(54)가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4)는, 실린더 타입으로 되어 있고, 축선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54)는, 볼트 체결 등의 수단으로 에어백 케이스(56)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4)의 축선 방향 일단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스 분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인플레이터(54)가 작동했을 때에는, 상기의 가스 분출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방 에어백(52)은, 인플레이터(54)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하방 에어백(52)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 팽창부로서의 프레임 형상 덕트(60)와, 프레임 형상 덕트(60)에 장착되고, 하방 에어백(52)의 벽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3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하방 에어백(52)은, 전술한 상방 에어백(42)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대략 B자 형상의 프레임 형상 덕트(60)에, 후기포(62), 저기포(64), 좌기포(66) 및 우기포(68)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이 하방 에어백(52)은, 상방 에어백(4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하방 에어백(52)의 프레임 형상 덕트(60)에 마련된 인플레이터 접속부(60C)에는, 상기 인플레이터(54)의 축선 방향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플레이터(54)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하방 에어백(52)의 프레임 형상 덕트(60)가 팽창 전개된다.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어퍼 덕트부(60U)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하면(26B)의 상단측에 맞닿고, 프런트 덕트부(60F)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하면(26B)의 하단측에 맞닿는다. 또한,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센터 덕트부(60S)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어퍼 덕트부(60U)의 차량 하방 비스듬히 전방에 배치되고, 프런트 덕트부(60F)가 센터 덕트부(60S)의 차량 전방 또는 차량 전방 비스듬히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후기포(62)가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대향하고, 저기포(64)가 탑승자(P)의 좌우의 발(부호 생략)에 대하여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대향한다. 좌우의 세로 팽창부(60L1, 60R1)는, 후기포(62)의 차량 좌우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차량 상하 방향에 대하여 약간 후경한 자세가 된다. 또한, 좌우의 전후 팽창부(60L2, 60R2)는, 저기포(64)의 차량 좌우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하여 약간 앞쪽이 상승하는 경사진 자세가 된다.
또한, 상기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삼각 형상의 좌기포(66) 및 우기포(68)가 차량 폭 방향에 대향한다. 이러한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자세가 되고, 좌기포(66) 및 우기포(68)의 장변 가장자리부(66A, 68A)가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하면(26B)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방 에어백(52)은,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체로서,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대략 쐐기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방 에어백(52)이 팽창 전개될 때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6)에 마련된 에어백 도어(도시 생략)가 하방 에어백(52)의 팽창압을 받아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의 구성)
제어 장치는, 도시하지 않는 에어백 ECU와, 당해 에어백 ECU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충돌 센서(또는 센서군)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백 ECU에는, 전술한 인플레이터(44, 5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에어백 ECU는, 충돌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2)의 전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예측)했을 때에, 인플레이터(44, 54)를 동시 또는 대략 동시에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전면 충돌에는, 대칭 충돌(정면 충돌; 풀랩 전면 충돌) 외에, 사선 충돌이나 스몰랩 충돌 등의 비대칭 충돌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사선 충돌(오블리크 충돌, MDB 사선 충돌)은, 예를 들면 NHTSA에서 규정되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의 충돌(일례로서, 충돌 상대방과의 상대각 15°, 차폭 방향의 랩량 35% 정도의 충돌)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상대 속도 90km/hr에서의 사선 충돌이 상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스몰랩 충돌은, 예를 들면 IIHS에서 규정되는 충돌 상대방과의 차폭 방향의 랩량이 25% 이하의 전면 충돌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상대 속도 64km/hr에서의 스몰랩 충돌이 상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가 적용된 차량(12)은, 전면 충돌 시에 조수석(16), 조수석용 안전 벨트(17)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6)로부터 팽창 전개되는 전면 충돌용 에어백(조수석용 에어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에서는, 에어백 ECU가 충돌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2)의 전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40)의 인플레이터(44) 및 조수석용 니 에어백 장치(50)의 인플레이터(54)가 작동된다. 이에 의해, 프런트 헤더(20F)에 탑재된 상방 에어백(42)이 탑승자(P)의 헤드부(H)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에 탑재된 하방 에어백(52)이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된다.
여기서, 하방 에어백(52)은, 탑승자(P)의 신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대시보드(24)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좌우의 하퇴부(LL, RL)의 전방에 팽창 전개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26)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이 하방 에어백(52)에 의해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를 조기에 또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방 에어백(42)은, 탑승자(P)의 헤드부(H)의 가까이에 배치되는 프런트 헤더(20F)로부터 팽창 전개되고, 윈드실드(18)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윈드실드(18)는, 상단부가 프런트 헤더(20F)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프런트 헤더(20F)로부터 팽창 전개되는 상방 에어백(42)은, 윈드실드(18)에 있어서의 상하의 넓은 범위를 지지면(반력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윈드실드(18)의 기울기가 크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이 소형인 경우라도, 상방 에어백(42)의 반력면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방 에어백(42)에 의해 탑승자(P)의 헤드부(H) 및 흉부(C)를 조기에 또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 에어백(52)에 의해 좌우의 하퇴부(LL, RL)를 조기에 구속하여 탑승자(P)의 관성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프런트 헤더(20F)로부터 팽창 전개되어 윈드실드(18)에 지지되는 상방 에어백(42)에 의해 헤드부(H) 및 흉부(C)를 충분한 반력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윈드실드(18)의 기울기가 크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이 소형인 경우라도, 에어백(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의 각각은, 인플레이터(44, 54)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상기 각각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 덕트(60)와, 프레임 형상 덕트(60)에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벽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포(후기포(62), 저기포(64), 좌기포(66) 및 우기포(68))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에서는, 인플레이터(44, 54)로부터의 가스를 골조 형상의 프레임 형상 덕트(60)에만 공급하면 되기 때문에,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크기를 확보하면서, 인플레이터(44, 54)를 저출력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44, 54)의 저비용화나 인플레이터(44, 54)의 탑재 스페이스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의 프레임 형상 덕트(60)는, 후기포(62) 및 저기포(6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3변 중 2변이 나머지 1변보다 짧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변을 구성하는 단변 가장자리부(66B, 66C) 및 단변 가장자리부(68B, 68C)가 프레임 형상 덕트(60)의 좌우의 측부(사이드 덕트부(60L, 60R))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좌기포(66) 및 우기포(68)는, 팽창 전개된 프레임 형상 덕트(60)를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도록 굴곡시킨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형상 덕트(60) 및 복수의 기포로 형성된 상방 에어백(42)은, 프레임 형상 덕트(6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룬다. 이에 의해, 윈드실드(18)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상방 에어백(42)을 지지하기 쉬워진다.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이 프레임 형상 덕트(60) 및 복수의 기포로 형성된 하방 에어백(52)은, 프레임 형상 덕트(6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룬다. 이에 의해, 소형화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6)에 있어서,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와 대향하는 하면(26B)의 후경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당해 하면(26B)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하방 에어백(52)을 지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에서는, 좌기포(66) 및 우기포(68)의 삼각 형상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프레임 형상 덕트(60)의 굴곡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윈드실드(18)의 후경 각도가 상이한 차량끼리 프레임 형상 덕트(60)를 부품 공용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에 대하여, 도 4∼도 6을 이용하여 보충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실(14)의 전부와 동일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윈드실드(18) 및 루프(20)는 종래의 윈드실드 및 루프의 일례이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은 종래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례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실선 및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에어백(8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26)로부터 팽창 전개되는 전면 충돌용 에어백의 일례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MH1, MC1은, 탑승자(P)가 조수석용 안전 벨트(17)를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12)이 전면 충돌한 경우에 있어서의 헤드부(H) 및 흉부(C)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MH2, MC2는, 탑승자(P)가 조수석용 안전 벨트(17)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12)의 전면 충돌한 경우에 있어서의 헤드부(H) 및 흉부(C)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윈드실드(18)의 기울기가 종래보다 크게 설정된 구성에 있어서, 탑승자(P)가 조수석용 안전 벨트(17)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26)로부터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80)(도 5 참조)의 반력면을, 윈드실드(18)에 의해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즉, 탑승자(P)가 전면 충돌 시에 조수석용 안전 벨트(17)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에어백(80)에 의해 흡수하지 않으면 안 되는 헤드부(H) 및 흉부(C)의 관성 에너지가 커진다. 게다가, 윈드실드(18)의 기울기가 큰 경우(도 4 및 도 5의 실선 참조), 윈드실드(18)의 기울기가 작은 경우(도 4 및 도 5의 2점 쇄선 참조)와 비교하여, 윈드실드(18)에 있어서의 에어백(80)의 반력면의 상하폭(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이 작아진다(도 5에 있어서 H1>H2). 이 때문에, 에어백(80)의 반력면을 윈드실드(18)에 의해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방 에어백(42)이 프런트 헤더(20F)로부터 팽창 전개되므로, 윈드실드(18)에 있어서의 상방 에어백(42)의 반력면의 상하폭을 차량 상방측으로 확대하기 쉬워, 윈드실드(18)에 의해 상방 에어백(42)의 반력면을 확보하기 쉽다. 따라서, 전면 충돌 시에 탑승자(P)가 조수석용 안전 벨트(17)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방 에어백(42)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소형화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6)(도 4 및 도 6의 실선 참조)에서는, 종래의 대형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6)(도 4 및 도 6의 2점 쇄선 참조)과 비교하여, 니 에어백(도 4 및 도 6에서는 도시 생략)의 반력면의 상하폭(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이 작아진다(도 6에 있어서 H3>H4).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52)이,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형화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6)에 있어서,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와 대향하는 하면(26B)의 후경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당해 하면(26B)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하방 에어백(52)을 지지하기 쉬워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0)가 적용된 차량(12)의 차실(14)의 전부가 차량 후방 비스듬히 우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구성이 차량 우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구성)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12)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12)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6)보다 차량 전후 방향의 치수가 소형화(박형화)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와 마찬가지로, 프런트 헤더(20F)에 탑재된 상방 에어백(102)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에 탑재된 하방 에어백(104)을 구비하고 있다. 단,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과는 구성이 상이하다.
상방 에어백(102)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42)과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상방 에어백(102)은,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44)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상방 에어백(102)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 팽창부로서의 프레임 형상 덕트(60)와, 프레임 형상 덕트(60)에 장착되고, 상방 에어백(102)의 벽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포(후기포(62), 저기포(64), 좌기포(66) 및 우기포(6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방 에어백(102)의 프레임 형상 덕트(6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프레임 형상 덕트(60)와 마찬가지로,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와, 어퍼 덕트부(60U)와, 프런트 덕트부(60F)와, 센터 덕트부(60S)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프레임 형상 덕트(60)는,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의 길이 방향 양단부끼리를 각각 연결한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60LU, 60RU)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60LU, 60RU) 내와,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60L, 60R) 내와, 어퍼 덕트부(60U) 내와, 프런트 덕트부(60F) 내와, 센터 덕트부(60S) 내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60LU, 60RU)에는, 좌기포(66) 및 우기포(68)의 장변 가장자리부(66A, 68A)가 봉제 등의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어퍼 사이드 덕트부(60LU, 60RU)는, 프레임 형상 덕트(6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윈드실드(18)에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방 에어백(104)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54)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하방 에어백(104)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 팽창부로서의 프레임 형상 덕트(106)와, 프레임 형상 덕트(106)에 장착되고, 하방 에어백(104)의 벽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포(후기포(108), 천기포(天基布)(110), 좌기포(112) 및 우기포(114))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형상 덕트(106)는, 각각이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부채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차량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좌우의 덕트 형상의 사이드 덕트부(106L, 106R)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106L, 106R)는,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106L1, 106R1)와,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106L1, 106R1)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프런트 사이드 덕트부(106L2, 106R2)와,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106L1, 106R1)의 후단부와 좌우의 프런트 사이드 덕트부(106L2, 106R2)의 하단부와를 각각 연결한 좌우의 리어 사이드 덕트부(106L3, 106R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 형상 덕트(106)는,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106L1, 106R1)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한 덕트 형상의 리어 덕트부(106RE)와,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106L1, 106R1)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한 덕트 형상의 프런트 어퍼 덕트부(106FU)와, 좌우의 프런트 사이드 덕트부(106L2, 106R2)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한 덕트 형상의 프런트 로어 덕트부(106FL)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106L, 106R) 내와, 리어 덕트부(106RE) 내와, 프런트 어퍼 덕트부(106FU) 내와, 프런트 로어 덕트부(106FL) 내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프런트 어퍼 덕트부(106FU)로부터는, 덕트 형상의 인플레이터 접속부(106C)가 연장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 접속부(106C)의 선단부에는, 인플레이터(54)의 축선 방향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플레이터(54)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프레임 형상 덕트(106)의 내부에 공급되어, 프레임 형상 덕트(106)가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기포(108)는, 하방 에어백(104)의 후벽부(RW)를 형성하는 것이고, 장척 직사각 형상 또는 대략 장척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후기포(108)는, 좌우의 리어 사이드 덕트부(106L3, 106R3)와, 리어 덕트부(106RE)와, 프런트 로어 덕트부(106FL)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막고 있고, 외주연부가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이들 덕트부(106L3, 106R3, 106RE, 106FL)에 결합되어 있다. 천기포(110)는, 하방 에어백(104)의 천벽부(HW)를 형성하는 것이고, 직사각 형상 또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천기포(110)는, 좌우의 어퍼 사이드 덕트부(106L1, 106R1)와, 프런트 어퍼 덕트부(106FU)와, 리어 덕트부(106RE)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막고 있고, 외주연부가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이들 덕트부(106L1, 106R1, 106FU, 106RE)에 결합되어 있다.
좌기포(112)는, 하방 에어백(104)의 좌벽부(LSW)를 형성하는 것이고, 우기포(114)는, 하방 에어백(104)의 우벽부(RSW)를 형성하는 것이다. 좌기포(112) 및 우기포(114)는, 부채 형상 또는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좌기포(112) 및 우기포(114)는,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106L, 106R)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각각 막고 있고, 외주연부가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좌우의 사이드 덕트부(106L, 106R)에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 형상 덕트(106)의 팽창 전개 상태(즉 하방 에어백(104)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좌우의 리어 사이드 덕트부(106L3, 106R3) 및 후기포(108)가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어 만곡하고, 하방 에어백(104)이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부채형이 된다.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좌우의 프런트 사이드 덕트부(106L2, 106R2), 프런트 어퍼 덕트부(106FU) 및 프런트 로어 덕트부(106FL)가, 인스트루먼트 패널(26) 및 대시 패널(30)(즉 대시보드(24))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는, 상방 에어백(102)의 차량 폭 방향 중앙과, 하방 에어백(104)의 차량 폭 방향 중앙과, 조수석(16)의 차량 폭 방향 중앙이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102)과 하방 에어백(104)이, 탑승자(P)의 비구속 상태에서 서로 상하에서 맞닿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상태의 하방 에어백(10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W1)(도 9 참조)가, 팽창 전개 상태의 상방 에어백(10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W2)(도 10 참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 에어백(104)의 프레임 형상 덕트(106)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내압(최대 내압)이, 상방 에어백(102)의 프레임 형상 덕트(60)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내압(최대 내압)보다 높아지도록, 인플레이터(44, 54)의 출력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104)은,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면(여기서는 사이드 덕트부(106R))이 차량(12)의 사이드 도어(15)의 도어 트림(15A)과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0)는, 조수석용 안전 벨트(17)에 탑재된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을 구비하고 있다.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은, 에어 벨트 장치(116)의 구성 부재이고, 접힌 상태로 조수석용 안전 벨트(17)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에는, 도시하지 않는 튜브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당해 튜브의 타단부는, 조수석(16) 내 등에 탑재된 도시하지 않는 인플레이터와 접속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는, 에어백 ECU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에어백 ECU가 전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작동된다. 이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면, 상기의 튜브를 개재하여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 내에 가스가 공급되어,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이 탑승자(P)의 상반신(헤드부(H), 흉부(C) 및 복부(B)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 때에는,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도 팽창 전개되고, 팽창 전개된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이,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과 탑승자(P)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팽창 전개 시에는,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은,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과 조수석(16)의 등받이(16A)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된다. 또한,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은, 조수석용 안전 벨트(17)에 탑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수석(16)에 탑재된 것이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0)에서는, 에어백 ECU가 충돌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2)의 전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40)의 인플레이터(44), 조수석용 니 에어백 장치(50)의 인플레이터(54), 및 에어 벨트 장치(116)의 인플레이터가 작동된다. 그 결과, 프런트 헤더(20F)에 탑재된 상방 에어백(42)이 탑승자(P)의 헤드부(H)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에 탑재된 하방 에어백(104)이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며,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이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과 탑승자(P)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팽창 전개된다.
이에 의해,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가 하방 에어백(104)에 의해 조기에 또한 효과적으로 구속됨과 함께,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이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의 반력면으로서 기능하여, 이들 에어백(102, 104, 118)에 의해 탑승자(P)의 상반신이 구속된다. 이 때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런트 헤더(20F)로부터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102)이, 윈드실드(18)에 있어서의 상하의 넓은 범위에서 지지된다. 또한 이 때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로부터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104)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6) 및 대시 패널(30)(즉 대시보드(24))에 있어서의 상하의 넓은 범위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윈드실드(18)의 기울기가 크고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이 소형인 경우라도, 에어백(상방 에어백(102), 하방 에어백(104) 및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과 탑승자(P)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이 팽창 전개된다. 이에 의해,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에 대하여 탑승자(P)가 차량 후방으로 떨어져 착좌하고 있는 경우라도, 탑승자(P)의 구속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과 마찬가지로, 프레임 형상 덕트(60, 106)에 복수의 기포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44, 54)의 저비용화나 인플레이터(44, 54)의 탑재 스페이스의 축소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102)과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104)이, 탑승자(P)의 비구속 상태에서 서로 상하에서 맞닿는다. 여기서, 차량(12)의 전면 충돌 시에는, 조수석용 안전 벨트(17)를 장착한 탑승자(P)의 상반신이 전경 자세가 되므로, 탑승자(P)의 헤드부(H)가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상방 에어백(102)에 맞닿는다. 이 때, 상방 에어백(102)과 하방 에어백(104)이 서로 상하에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헤드부(H)가 상방 에어백(102)을 개재하여 하방 에어백(104)에 의해서도 구속된다. 이 결과, 헤드부(H)의 구속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상태의 하방 에어백(104)의 내압이, 팽창 전개 상태의 상방 에어백(102)의 내압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방 에어백(104)에 의해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P)의 헤드부(H)가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상방 에어백(102)에 맞닿은 경우, 헤드부(H)가 상방 에어백(102)에 의해 소프트하게 구속됨과 함께, 상방 에어백(102)을 개재하여 하방 에어백(104)에 의해서도 구속된다. 이에 의해, 헤드부(H)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상태의 하방 에어백(10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W1)가, 팽창 전개 상태의 상방 에어백(10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방 에어백(104)에 맞닿는 상방 에어백(102)이, 하방 에어백(10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12)의 전면 충돌의 형태가 사선 충돌이나 스몰랩 충돌 등의 비대칭 충돌이고, 탑승자(P)의 헤드부(H)가 비스듬히 전방 또한 비스듬히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방 에어백(102)에 맞닿은 경우라도, 상방 에어백(102)이 헤드부(H)의 이동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하방 에어백(104)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비대칭 충돌 시에 있어서의 헤드부(H)의 구속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104)은,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면(여기서는 사이드 덕트부(106R))이 사이드 도어(15)의 도어 트림(15A)과 맞닿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12)의 전면 충돌의 형태가 사선 충돌이나 스몰랩 충돌 등의 비대칭 충돌이고, 탑승자(P)의 좌우의 하퇴부(LL, RL)가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비스듬히 이동하여 하방 에어백(104)에 맞닿은 경우라도, 하방 에어백(104)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비대칭 충돌 시에 있어서의 좌우의 하퇴부(LL, RL)의 구속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10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이 도어 트림(15A)과 맞닿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10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이 도어 트림(15A)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상태의 하방 에어백(10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W1)가, 팽창 전개 상태의 상방 에어백(10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W2)보다 크게 설정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W2가 W1보다 크게 설정된 구성으로 해도 되고, W1과 W2를 동등하게 설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상태의 하방 에어백(104)의 내압이, 팽창 전개 상태의 상방 에어백(102)의 내압보다 높게 설정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팽창 전개 상태의 상방 에어백(102)의 내압이, 팽창 전개 상태의 하방 에어백(104)의 내압보다 높게 설정된 구성으로 해도 되고, 팽창 전개 상태의 상방 에어백(102)의 내압과, 팽창 전개 상태의 하방 에어백(104)의 내압이 동등하게 설정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이, 탑승자(P)의 비구속 상태에서 서로 상하에서 맞닿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102)과,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104)이, 탑승자(P)의 비구속 상태에서 서로 상하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이 상방 에어백(102) 및 하방 에어백(104)과 탑승자(P)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면 충돌용 에어백은, 상방 에어백 및 하방 에어백의 적어도 일방과 탑승자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팽창 전개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이, 프레임 형상 덕트(60)와, 복수의 기포(후기포(62), 저기포(64), 좌기포(66) 및 우기포(68))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의 적어도 일방이, 단순한 봉지체로 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그 경우에서도,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의 팽창 전개 형상을,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축소되는 대략 삼각 형상(대략 쐐기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형상 설정은, 예를 들면 상기 봉지체의 내부에 테더나 스트랩을 장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점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방 에어백(10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52)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하면(26B)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대시 패널(30)에 의해서는 지지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팽창 전개된 하방 에어백(52)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의 하면(26B)뿐만 아니라, 대시 패널(30)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팽창 전개된 상방 에어백(42) 및 하방 에어백(52)이, 탑승자(P)의 비구속 상태에서 서로 상하에서 맞닿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하방 에어백(52, 104)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8)에 탑재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멤버(골격 부재)가 대시보드(24)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당해 크로스 멤버에 하방 에어백을 탑재해도 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로서,
    차량의 프런트 헤더(20F)에 탑재되고, 상기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 윈드실드(18)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상방 에어백(42)과,
    상기 상방 에어백(42)과는 별개로 마련되고, 상기 윈드실드(18)의 차량 상하 방향 하방측에서 차실의 전단부에 탑재되고,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인스트루먼트 패널(26)을 포함한 대시보드(24)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하방 에어백(52)을 포함하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에어백(42)은,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방 에어백(52)은,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좌우의 하퇴부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조수석 또는 조수석용 안전 벨트에 탑재되고,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상기 상방 에어백(42) 및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적어도 일방과 조수석(16)의 사이에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을 더 포함하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돌용 에어백(118)은, 상기 전면 충돌 시에, 상기 상방 에어백(42) 및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적어도 일방과, 조수석 탑승자의 상반신과의 사이에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에어백(42) 및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각각은, 인플레이터(44, 54)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골조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방 에어백(42)은, 상기 상방 에어백(42)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와,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방 에어백(42)의 제 1 벽부를 형성하는 제 1 복수의 기포를 가지며,
    상기 하방 에어백(52)은,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와,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제 2 벽부를 형성하는 제 2 복수의 기포를 가지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의 기포는, 상기 상방 에어백(42)의 후벽부를 형성하는 제 1 후기포, 상기 상방 에어백(42)의 저벽부를 형성하는 제 1 저기포, 상기 상방 에어백(42)의 좌벽부를 형성하는 제 1 좌기포, 및 상기 상방 에어백(42)의 우벽부를 형성하는 제 1 우기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는, 상기 제 1 후기포 및 상기 제 1 저기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좌기포 및 상기 제 1 우기포는,
    3변 중 2변이 나머지 1변보다 짧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변을 구성하는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의 좌우의 측부에 결합되고, 팽창 전개된 상기 제 1 프레임 형상 팽창부를,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도록 굴곡시키며,
    상기 제 2 복수의 기포는,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후벽부를 형성하는 제 2 후기포,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저벽부를 형성하는 제 2 저기포,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좌벽부를 형성하는 제 2 좌기포, 및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우벽부를 형성하는 제 2 우기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는, 상기 제 2 후기포 및 상기 제 2 저기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좌기포 및 상기 제 2 우기포는,
    3변 중 2변이 나머지 1변보다 짧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변을 구성하는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의 좌우의 측부에 결합되고, 팽창 전개된 상기 제 2 프레임 형상 팽창부를,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도록 굴곡시키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전개된 상기 상방 에어백(42) 및 상기 하방 에어백(52)은, 상기 상방 에어백 및 상기 하방 에어백이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비구속 상태에서 서로 상하에서 맞닿도록 구성되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하방 에어백(52)의 내압은,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상방 에어백(42)의 내압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9.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하방 에어백(5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상방 에어백(4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큰,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된 상기 하방 에어백(52)은,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이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15)의 도어 트림(15A)과 맞닿는,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10).
KR1020180071933A 2017-08-21 2018-06-22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 KR102069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8941 2017-08-21
JP2017158941A JP6801609B2 (ja) 2017-08-21 2017-08-21 助手席用乗員保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611A true KR20190020611A (ko) 2019-03-04
KR102069226B1 KR102069226B1 (ko) 2020-01-22

Family

ID=6281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33A KR102069226B1 (ko) 2017-08-21 2018-06-22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001220B2 (ko)
EP (1) EP3446931B1 (ko)
JP (1) JP6801609B2 (ko)
KR (1) KR102069226B1 (ko)
CN (1) CN109435889A (ko)
BR (1) BR102018013634A2 (ko)
RU (1) RU269501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1126B1 (en) * 2017-06-30 2021-06-01 Apple Inc. Windshield area intrusion control
US10407018B2 (en) * 2017-10-10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of mounted airbag
US11203321B2 (en) * 2018-03-29 2021-12-21 Toyoda Gosei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WO2019209378A1 (en) * 2018-04-24 2019-10-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0583799B2 (en) * 2018-05-02 2020-03-10 Autoliv Asp, Inc. Overhead inflatable airbag assembly
JP7087814B2 (ja) * 2018-08-10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前部構造
JP7040403B2 (ja) 2018-10-29 2022-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2623126B1 (ko) * 2019-01-15 2024-0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탑 에어백 장치
JP7098548B2 (ja) * 2019-01-29 2022-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210083515A (ko) * 2019-12-27 2021-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CN113060090B (zh) * 2019-12-31 2023-11-28 奥托立夫开发公司 汽车前排座椅头顶安全气囊和汽车
JP7276224B2 (ja) 2020-03-31 2023-05-18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11325556B2 (en) 2020-09-15 2022-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US11420583B1 (en) * 2021-02-04 2022-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supported by roof mounted pivotable base
US11623603B2 (en) * 2021-04-26 2023-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airbag assembly with multiple chambers
DE102021119336A1 (de) * 2021-07-26 2023-01-26 Zf Automotive Germany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11718263B2 (en) * 2021-09-02 2023-08-08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Fill tube adaptor for inflator
DE102022114931A1 (de) 2022-06-14 2023-12-1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9181A1 (en) * 1999-09-20 2002-10-1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JP2006076418A (ja) * 2004-09-09 2006-03-23 Nissan Motor Co Ltd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KR20160028861A (ko) * 2014-09-04 2016-03-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무릎 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4606A (en) * 1955-10-05 1958-05-13 Harry A Bertrand Safety device for passengers
DE2131896A1 (de) 1970-06-29 1972-01-05 Eaton Corp Sicherheitseinrichtung zum Schutz eines Fahrzeuginsassen bei einem Fahrzeugzusammenstoss
JPS4992729A (ko) * 1973-01-08 1974-09-04
SE397312B (sv) * 1973-02-12 1977-10-31 Inventing Ab Sett att tillverka for fordonspassagerare avsedda stotupptagande skydd
JPH07117605A (ja) 1993-10-27 1995-05-09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US7744122B2 (en) 1995-12-12 2010-06-2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river side aspirated airbags
US6588793B2 (en) * 2001-09-19 2003-07-08 Autoliv Asp, Inc. Thin airbag module design for overhead applications
US7185913B2 (en) * 2002-11-22 2007-03-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windshield curtain
JP4367120B2 (ja) 2003-01-23 2009-11-18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
US7152873B2 (en) * 2004-05-25 2006-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verhead automotive airbag design
JP2007008219A (ja) 2005-06-28 2007-01-18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JP2007022416A (ja) * 2005-07-20 2007-02-01 Mazda Motor Corp 車両の助手席用乗員保護装置
JP4161997B2 (ja) 2005-10-17 2008-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758069B2 (en) 2006-05-18 2010-07-20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nd restraint system for suppressing deployment of head/torso airbag
JP2008149965A (ja) * 2006-12-19 2008-07-03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5155592B2 (ja) * 2007-04-24 2013-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DE102007052246B4 (de) 2007-11-02 2020-06-04 Daimler Ag Airba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DE102008037810B4 (de) * 2007-11-02 2020-03-26 Daimler Ag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mit energieabsorbierenden Elementen und Verfahren zum Abstützen eines Insassen
US8511710B2 (en) 2010-02-15 2013-08-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device
JP5582292B2 (ja) * 2010-03-31 2014-09-0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01316389B1 (ko) * 2011-10-05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JP5816662B2 (ja) 2013-08-29 2015-11-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CN106494345B (zh) 2016-10-27 2019-04-30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顶棚式安全气囊
CN106740645B (zh) * 2016-12-15 2018-10-12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安装于汽车顶棚的框状结构安全气囊气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9181A1 (en) * 1999-09-20 2002-10-1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JP2006076418A (ja) * 2004-09-09 2006-03-23 Nissan Motor Co Ltd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KR20160028861A (ko) * 2014-09-04 2016-03-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무릎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95014C1 (ru) 2019-07-18
JP2019034698A (ja) 2019-03-07
CN109435889A (zh) 2019-03-08
US11001221B2 (en) 2021-05-11
US11001220B2 (en) 2021-05-11
BR102018013634A2 (pt) 2019-06-04
US20190054888A1 (en) 2019-02-21
KR102069226B1 (ko) 2020-01-22
EP3446931B1 (en) 2020-02-26
JP6801609B2 (ja) 2020-12-16
EP3446931A1 (en) 2019-02-27
US20200238943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611A (ko) 조수석용 탑승자 보호 장치
KR102069188B1 (ko) 커튼 에어백 장치의 탑재 구조 및 커튼 에어백의 전개 방법
JP6426590B2 (ja) 乗員保護装置
JP442006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CN110431052B (zh) 乘员保护装置
CN111886160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JP64141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102625278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CN110893831B (zh) 车辆用气囊装置
JP6940627B2 (ja) 乗員保護装置
JP6848839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1267433B2 (en)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JP7312669B2 (ja) エアバッグ
US11358555B2 (en) Vehicle seat
JP382107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ク装置
JP5954273B2 (ja) 車両用ルーフ付けエアバッグ装置
JP6872373B2 (ja) エアバッグ
JP2023093101A (ja) エアバッグ
JP2014218161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