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154A -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154A
KR20190008154A KR1020180081996A KR20180081996A KR20190008154A KR 20190008154 A KR20190008154 A KR 20190008154A KR 1020180081996 A KR1020180081996 A KR 1020180081996A KR 20180081996 A KR20180081996 A KR 20180081996A KR 20190008154 A KR20190008154 A KR 2019000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266B1 (ko
Inventor
김계성
이응기
김영곤
이현수
김유빈
김건우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050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0526798A/ja
Priority to US16/630,804 priority patent/US20200142256A1/en
Priority to PCT/KR2018/008021 priority patent/WO2019013604A1/ko
Publication of KR2019000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02F2001/13353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1Blocking layers, e.g. against migration of 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4Arrangements for reducing warping-twis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액정 셀, 제1 면에 마련된 제1 편광판 및 제2 면에 마련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편광판은 편광자 층 및 편광자 층에 결합된 저투습 기재층을 각각 포함하고,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의 수축력 조정을 통해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의 휨 밸런스(balance)가 조절된 액정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스위칭 효과에 의한 편광을 가시화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컴퓨터, 노트북, 전자 시계, 휴대용 단말기 등의 중소형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대형 TV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용으로 양산 실용화되고 있는 편광판의 상당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고, 붕소 화합물로 가교시킨 후, 연신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편광자)의 양면 혹은 편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보호필름을 접합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고온 고습과 같은 내구 조건(durability condition)하에서 수축 변형이 쉽게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편광자가 변형되면, 그 응력이 보호필름 및 액정 셀에 영향을 주어 휘어짐이 발생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물성 변화, 액정표시장치에서의 빛샘 현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편광판의 수축력 조정을 통해 상/하 편광판의 휨 밸런스(balance)를 맞출 수 있는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액정 셀; 제1 면에 마련된 제1 편광판; 및 제2 면에 마련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며,제1 및 제2 편광판은, 각각 편광자 층 및 편광자 층에 결합된 저투습 기재층을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액정 패널이 제공된다.
[일반식 1]
│αMD - αTD│ ≤ 1
일반식 1에서, MD 는 일반식 2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고, TD는 일반식 3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다:
[일반식 2]
αM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3]
αT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2 및 3에서,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되고,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편광판의 수축력 조정을 통해 상/하 편광판의 휨 밸런스(balance)를 맞출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액정 패널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편광판 굽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일반식 1과 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액정 패널(10)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편광판 굽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도 3은 일반식 1과 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액정 패널(10)은, 제1 면(101) 및 제1 면(101)의 반대방향의 제2 면(102)을 갖는 액정 셀(100), 제1 면(101)에 마련된 제1 편광판(200) 및 제2 면(102)에 마련된 제2 편광판(30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편광판(200, 300)은 각각, 편광자 층(210, 310) 및 편광자 층(210, 310)에 결합된 저투습 기재층(220, 32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편광판(200, 300)에서, 편광자 층(210, 310)과 저투습 기재 층(220, 320)은 UV 접착층(230, 330)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액정 셀(100)에 제1 및 제2 편광판(200, 300)이 결합될 때, 제1 및 제2 편광판(200, 300)은 각각 편광자 층(210, 310)이 저투습 기재 층(220, 320) 보다 액정 셀(100)에 인접하도록 액정 셀(100)에 결합된다.
본 문서에서, MD 방향은 흡수축 방향을 나타내고, TD 방향은 투과축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제1 및 제2 편광판(200, 300)은 보호층(240, 340) 및 점착층(250, 35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편광판(200, 300)은 점착층(250, 350)을 매개로 액정 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10)에서, 저투습 기재층(220, 320)은 외곽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편광판(200, 300)은 각각, 그 두께가 20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편광자 층(210, 310)은 제1 면과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은 액정 셀(100)과 마주하는 면을 나타낸다. 편광자 층(210, 310)의 제2 면에는 UV 접착층(230, 330)이 마련되고, UV 접착층(230, 330) 상에 저투습 기재 층(220, 320)이 마련된다. 또한, 편광자 층(210, 310)의 제1 면에는 보호층(240, 340)이 마련되고, 보호층(240, 340) 상에 점착층(250, 350)이 마련된다.
또한, 저투습 기재 층(220, 320)은 투과율 90% 이상의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두께가 100um이하일 수 있으며, 투습도가 50g/m2 day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습도는 일정한 외부 환경에서 단위 시간, 단위 면적 당 수분이 통과하는 양을 의미하며, 통상 40℃에서, 필름의 내부와 외부의 습도차이가 90%인 환경에서 측정될 수 있고, 본 문서에 기재된 투습도는 Labthink사의 WVTR 장비(장비명: WVTR TSY-T3)로 측정된 결과이다. 상기 장비는 밀폐된 챔버 내에 저울이 있는 구조이며, 챔버 내 환경은 40℃, 습도 10%로 유지된다. 또한, 투습컵에 물을 부은 후, 그 위에, 저투습 기재 필름을 덮고 고정시킨다. 투습컵 내부의 습도는 물이 가득차 있어 100%이므로, 투습컵 내부와 외부의 습도 차이는 90%가 된다. 24시간 경과 후, 투습컵의 무게를 측정하여 초기 무게와의 차이를 통해 증발한 물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저투습 기재층(220, 320)은 폴리에스테르(PET)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투습 기재층(220, 320)은 TD 방향 수축력이 3N 내지 10N일 수 있고, TD 방향 수축력이 3N 초과이고, 10N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축력은 TA 사의 DMA 측정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측정기는 온도 가속 조건은 없으며, 25℃에서 시작하여, 3분 후 75℃에 도달하고, 7분 후 80℃로 안정화된다. 측정 시간은 2시간(120분)이며, 80℃ 안정화 이후 120분이 지난 후의 값을 측정한다. 측정 방법은, 샘플을 클램프에 체결하고 예압(preload) 0.01N 상태에서, 스트레인(strain) 0.1% 를 유지하도록 샘플을 당겨 고정시킨 후 고온에서 스트레인 0.1% 를 유지할 때 걸리는 수축력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샘플은, 폭이 약 5.3 mm이고, 길이가 약 15 mm가 되도록 제작하고, 상기 샘플의 길이 방향의 양 말단을 측정 장비의 클램프에 고정한 후에 수축력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샘플의 길이 15 mm는 클램프에 고정되는 부위를 제외한 길이이다.
도 2,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기재 A 내지 C는 저투습 기재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TD 열수축 물성만 다르고, 기타 물성은 동일한 저투습 기재들이다. 이때, 수축력은 TA 사의 DMA 측정기를 사용하여 80℃, 2시간 측정 데이터들이다.
표 2 및 도 2에 구분 1 내지 5에 사용된 편광자층 및 저투습 기재층은 다음과 같다. 구분 1 내지 5에서, 편광자층은 모두 동일하고, 저투습 기재층에서 TD방향 수축력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편광판(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과 관련하여, 편광자 층인 PVA 편광 필름(MD 수축력: 8N, 두께: 17㎛)의 일면에 에폭시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두께: 2㎛ 내지 3㎛)를 사용하여 저투습 기재층인 PET 필름(MD 수축력: 0 내지 1N, TD 수축력: 4 내지 12N(구분 1 내지 5), 두께: 80㎛)을 부착하였다. 상기 부착 시에는 PET 필름의 TD 방향과 PVA 편광 필름의 MD 방향(흡수축 방향)이 대략 수직하도록 부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PVA 편광 필름의 PET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에폭시 화합물과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하드코팅층을 약 5 내지 7㎛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그 후, 하드코팅층의 하부에 약 25㎛ 정도의 두께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일반 32인치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액정 셀, 두께: 약 400㎛)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 편광판을 점착제층을 통해 부착하고,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 편광판을 점착제층을 통해 부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LCD 패널을 60°C의 온도의 챔버 내에 72 시간 동안 투입한 후에 꺼내어 2 시간 경과 시점과 24 시간 경과 시점에 있어서의 패널 변화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정리하였고, 그 결과는 도 1에 기재하였다(24시간 경과 후 평면도). 하기 표 3에서 용어 평면도는, 액정 패널에서 상부 편광판(예를 들어, 제1 편광판)쪽으로 가장 많이 휜 부분과 하부 편광판(예를 들어, 제2 편광판)쪽으로 가장 많이 휜 부분의 차이이고, 이러한 평면도는 공지의 3차원 측정기(㈜덕인)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서, 건조 조건 중 α는 건조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β는 Tg+20℃의 온도로 건조가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며, γ는 Tg+30℃의 온도로 건조가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즉, 저투습 기재층이 설비 내에 주행될 때, 상기의 온도로 건조를 시켜 TD 방향 수축력(투과축 방향 수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저투습 기재층의 TD 열수축 물성이 다른 기재에 따라 평면도의 형상이 바뀌게 되며, 건도 온도 조건을 변경하여 TD 열수축 물성을 추가 조절 시 평면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 층(210, 220)은 두께가 25um 미만이고, 편광도가 99%이상일 수 있으며 투과율이 40%이상일 수 있고, PV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편광자 층(210, 220)은 MD 방향 수축력이 5N 내지 9N일 수 있다. 또한, 또한, 편광자 층(210, 220)은 MD 방향 수축력이 5N 초과이고, 9N 미만일 수 있다. 편광자 층(210, 220)은 MD 방향으로 연신되어 마련되며, MD 방향 수축력이 상기 범위 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 내열 크랙(crack)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진다.
한편, UV 접착층(230, 330)은 두께가 1um 내지 4 um일 수 있고, 보호층(240, 340)은 두께가 3um 내지 9um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MD 방향(흡수축 방향)은 machine direction을 나타내고, TD 방향(투과축 방향)은 Traverse direction을 나타내며, MD 방향과 TD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또한,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이 액정 셀(100)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제1 편광판(200)의 MD 방향은 제2 편광판의 TD 방향과 동일하고, 제1 편광판(200)의 TD 방향은 제2 편광판의 MD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제1 편광판(200) 및 2 편광판(300)을 각각 구성하는 층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은 동일한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을 각각 구성하는 층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은 상이한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 패널(10)은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
[일반식 1]
│αMD - αTD│ ≤ 1
일반식 1에서, αMD 는 일반식 2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고, αTD는 일반식 3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다:
[일반식 2]
αM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3]
αT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2 및 3에서,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단위: ㎛)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수축력(단위: N)의 곱으로 결정된다.
또한,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단위: ㎛)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수축력(단위: N)의 곱으로 결정된다.
본 문서에서 액정 패널의 중심은, 액정 셀(100),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의 전체 두께의 중심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이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중심은 액정 셀의 중심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경우, 액정 패널의 중심은 액정 셀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반식 2 및 3으로 정의되는 αMD 및 αTD가 각각 0.8 내지 0.12 이다.
즉, 직교하는 각 방향(MD, TD)에 대하여, 제2 편광판(300)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한 제1 편광판(200)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비율은 각각 0.8 내지 1.2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정 패널(10)의 휨 밸런스(balance)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αMD 및 αTD가 각각 0.85 내지 1.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αMD 및 αTD가 각각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일반식 1에서, 바람직하게 │αMD - αTD│의 값은 0.4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αMD - αTD│의 값은 0.3이하일 수 있다.
또한, αMD 및 αTD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3은, 60℃ 72시간 후 상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되었으며, 편광자 층의 굽힘 모멘트가 일정한 경우, 저투습 기재층(기재 1 내지 4)의 TD 방향 굽힘 모멘트를 조절함으로써, αMD 및 αTD가 각각 1에 근접하도록 조정된 결과(기재 3 및 4 참조)를 나타낸다. 특히, 해당 데이터는 80℃ 2시간 실험 결과와 유사하여 해당 결과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은 하기 일반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4]
MD - 1)(αTD - 1) ≤ 0
상기 일반식 4을 만족시킴으로써, 트위스트(twist)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에 작용하는 MD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각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z1 내지 z4, 단위: ㎛)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MD 방향 수축력(단위: N)의 곱으로 결정되고, 각 층에 작용하는 TD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각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z1 내지 z4, 단위: ㎛)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TD 방향 수축력(단위: N)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αMD 및 αTD 는 다음과 같이 일반식 5 및 6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5]
αMD = (제1 편광판의 편광자층의 MD 방향 수축력*z1 + 제1 편광판의 저투습 기재층의 MD 방향 수축력*z2) / (제2 편광판의 편광자층의 TD 방향 수축력 * z3 + 제2 편광판의 저투습 기재층의 TD 방향 수축력* z4)
[일반식 6]
αTD = (제1 편광판의 편광자층의 TD 방향 수축력*z1 + 제1 편광판의 저투습 기재층의 TD 방향 수축력*z2) / (제2 편광판의 편광자층의 MD 방향 수축력 * z3 + 제2 편광판의 저투습 기재층의 MD 방향 수축력* z4)
z1은 액정 패널(10)의 중심부터 제1 편광판(200)의 편광자 층(210)의 중심까지의 거리일 수 있고, z2는 액정 패널(10)의 중심부터 제1 편광판(200)의 저투습 기재층(220)의 중심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z3는 액정 패널(10)의 중심부터 제2 편광판(300)의 편광자 층(310)의 중심까지의 거리일 수 있고, z4는 액정 패널(10)의 중심부터 제2 편광판의 저투습 기재층(320)의 중심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중심이라 함은, 두께 방향의 중심을 의미한다. 따라서, 거리 z1 내지 z4는 각 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즉, 해당 층의 두께가 증가하면, 액정 패널 중심과의 간격은 증가할 수 있고, 해당 층의 두께가 감소하면, 액정 패널 중심과의 간격은 감소할 수 있다.
해당 일반식 2와 3의 예시로서, 편광자층 및 저투습 기재층의 굽힘 모멘트(수축력) 만이 고려되었으나, 일반식 2와 3에는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이 모두 또는 택일적으로 포함 가능하다.
또한, 수축력은 수축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수축력 기반의 일반식은 수축률 기반의 일반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편광판(상부 편광판)과 제2 편광판(하부 편광판)이 각각 부착된 액정 패널(10)에서, 제1 편광판(200)과 제2 편광판(300)의 특정 층의 굽힘 모멘트를 조절함에 따라, 휨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으며, 크랙을 방지하고,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굽힘 모멘트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제1 및 제2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의 수축력을 조절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편광판의 저투습 기재층의 굽힘 모멘트만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휨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저투습 기재층의 굽힘 모멘트의 조절은 TD 방향(투과축 방향) 수축력을 조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액정 패널(100)의 제조방법은 액정 셀(100)의 양 면에 제1 편광판(200) 및 제2 편광판(300)을 각각 부착하여 액정 패널(100)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편광판(200, 300)은 편광자 층(210, 310) 및 편광자 층에 결합된 저투습 기재층(220, 320)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도록 제1 및 제2 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식 1]
│αMD - αTD│ ≤ 1
일반식 1에서, MD 는 일반식 2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고, TD는 일반식 3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다:
[일반식 2]
αM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3]
αT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2 및 3에서,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되고,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된다.
또한, 하기 일반식 2 및 3으로 정의되는 MD TD가 각각 0.8 내지 1.2 이 되도록 제1 및 제2 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αMD 및 αTD가 각각 0.85 내지 1.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αMD 및 αTD가 각각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하기 일반식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4]
MD - 1)(αTD - 1)≤0
또한, 제1 및 제2 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일반식 2 및 3을 만족시키도록, 편광자 층의 MD 방향(흡수축 방향) 수축력을 조절하며, MD 방향 수축력이 5N 내지 9N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MD 방향 수축력이 5N 초과이고, 9N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일반식 2 및 3을 만족시키도록, 저투습 기재 층의 TD 방향(투과축 방향) 수축력을 조절하며, TD 방향 수축력이 3N 내지 10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TD 방향 수축력이 3N 초과이고, 10N 미만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액정 패널
100: 액정 셀
200: 제1 편광판
300: 제2 편광판

Claims (19)

  1.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액정 셀; 제1 면에 마련된 제1 편광판; 및 제2 면에 마련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각각 편광자 층 및 편광자 층에 결합된 저투습 기재층을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액정 패널:
    [일반식 1]
    │αMD - αTD│ ≤ 1
    일반식 1에서, MD 는 일반식 2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고, TD는 일반식 3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다:
    [일반식 2]
    αM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3]
    αT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2 및 3에서,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되고,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αMD 및 αTD가 각각 0.8 내지 1.2 인 액정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αMD 및 αTD가 각각 0.85 내지 1.15 인 액정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αMD 및 αTD가 각각 1인 액정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αMD 및 αTD는 동일한 값을 갖는 액정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4를 만족하는 액정 패널:
    [일반식 4]
    MD - 1)(αTD - 1) ≤ 0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력은 수축률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액정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편광자 층은 80℃에서 2시간 유지했을 때의 흡수축 방향 수축력이 5N 내지 9N인 액정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저투습 기재 층은 80℃에서 2시간 유지했을 때의 투과축 방향 수축력이 3N 내지 10N인 액정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편광자 층과 저투습 기재 층은 UV 접착층을 매개로 결합되는 액정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편광판 및 2 편광판을 각각 구성하는 층의 개수는 동일한 액정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편광판 및 2 편광판을 각각 구성하는 층의 개수는 상이한 액정 패널.
  13. 액정 셀의 양면에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을 각각 부착하여 액정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및 제2 편광판은 편광자 층 및 편광자 층에 결합된 저투습 기재층을 각각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도록 제1 및 제2 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일반식 1]
    │αMD - αTD│ ≤ 1
    일반식 1에서, αMD 는 일반식 2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고, αTD는 일반식 3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다:
    [일반식 2]
    αM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3]
    αTD = (제1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 (제2 편광판의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의 합)
    일반식 2 및 3에서, 각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흡수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되고,
    각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굽힘 모멘트는 액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의 해당 층의 중심까지의 거리 및 해당 층에 작용하는 투과축 방향 수축력의 곱으로 결정된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αMD 및 αTD가 각각 0.8 내지 1.2 인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αMD 및 αTD가 각각 0.85 내지 1.15 인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αMD 및 αTD가 각각 1인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4를 만족하는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일반식 4]
    MD - 1)(αTD - 1) ≤ 0
  18. 제 13 항에 있어서,
    편광자 층의 80℃에서 2시간 유지했을 때 흡수축 방향 수축력이 5N 내지 9N인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저투습 기재 층의 80℃에서 2시간 유지했을 때 투과축 방향 수축력이 3N 내지 10N인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80081996A 2017-07-14 2018-07-16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01559A JP2020526798A (ja) 2017-07-14 2018-07-16 液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6/630,804 US20200142256A1 (en) 2017-07-14 2018-07-16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8/008021 WO2019013604A1 (ko) 2017-07-14 2018-07-16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9485 2017-07-14
KR1020170089485 2017-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154A true KR20190008154A (ko) 2019-01-23
KR102017266B1 KR102017266B1 (ko) 2019-09-03

Family

ID=650021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331A KR102024248B1 (ko) 2017-07-14 2018-07-16 편광판
KR1020180081996A KR102017266B1 (ko) 2017-07-14 2018-07-16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331A KR102024248B1 (ko) 2017-07-14 2018-07-16 편광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487148B2 (ko)
EP (2) EP3654090A4 (ko)
JP (2) JP2020526795A (ko)
KR (2) KR102024248B1 (ko)
CN (2) CN110869841A (ko)
TW (2) TWI708977B (ko)
WO (2) WO20190135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164A1 (ja) * 2020-03-18 2021-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11650362B2 (en) 2018-06-29 2023-05-16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077B1 (ko) 2019-01-22 2019-06-26 주식회사 맥파이온 연결수단을 이용한 각재 연장장치
JP7396856B2 (ja) * 2019-10-31 2023-12-12 JDI Design and Development 合同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9438A (ja) * 2013-05-01 2014-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40146898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55013A (ko) * 2012-10-12 2015-05-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13666A (ko) * 2014-03-31 2015-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6640A (ja) 1998-05-19 1999-11-26 Nitto Denko Corp 粘着偏光板
JP2001091736A (ja) * 1999-09-20 2001-04-06 Nitto Denko Corp 偏光フィルム及び偏光板
US20020015807A1 (en) 2000-06-19 2002-02-07 Youichirou Sugino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4121030B2 (ja) * 2004-08-19 2008-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位相差板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光学素材
JP4740184B2 (ja) * 2006-05-16 2011-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039682B2 (ja) * 2006-06-09 2008-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203641A (ja) * 2010-03-26 2011-10-13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
JP5610307B2 (ja) * 2010-09-20 2014-10-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光学素子
EP2735594B1 (en) 2011-08-25 2018-10-03 LG Chem, Ltd. Adhesive
JP5930636B2 (ja) * 2011-09-27 2016-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KR101324401B1 (ko) 2011-12-06 201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의 휨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2014006505A (ja) * 2012-05-10 2014-01-16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KR101628597B1 (ko) * 2012-06-11 2016-06-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6194179B2 (ja) * 2012-10-04 2017-09-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768253B1 (ko) * 2013-05-30 2017-08-14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089623A (ko) * 2012-12-20 2014-07-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40091363A (ko) * 2013-01-11 2014-07-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94092A (ko) * 2013-01-21 2014-07-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의 제조 방법
JP6096582B2 (ja) 2013-04-19 2017-03-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1850565B1 (ko) * 2013-06-18 2018-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15538A1 (ja) * 2013-07-29 2015-02-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294043B2 (ja) * 2013-10-10 2018-03-1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
JP6262514B2 (ja) * 2013-12-12 2018-01-1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KR101669320B1 (ko) * 2013-12-20 2016-10-25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76564A (ko) * 2013-12-27 2015-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38411B1 (ko) * 2014-01-13 2019-01-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JP6803131B2 (ja) * 2014-02-18 202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999883B1 (ko) 2014-03-04 2019-07-12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867347B1 (ko) * 2014-04-07 2018-06-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6219781B2 (ja) * 2014-05-23 2017-10-2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パネル
JP2016062027A (ja) * 2014-09-19 2016-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WO2016052109A1 (ja) * 2014-09-30 2017-07-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47899A (ko) * 2014-10-23 2016-05-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TWI534507B (zh) * 2015-05-18 2016-05-2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2016224182A (ja) * 2015-05-28 2016-12-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525401B1 (ko) 2015-06-30 2023-04-2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7047408A1 (ja) * 2015-09-18 2017-03-23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JPWO2017047406A1 (ja) * 2015-09-18 2018-07-05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KR101832148B1 (ko) 2016-01-27 2018-02-26 (주)파트론 밀봉 패키지의 실장 구조 및 실장 방법
JP6181804B2 (ja) * 2016-04-25 2017-08-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KR102258818B1 (ko) 2017-01-09 2021-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간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팩
KR101919928B1 (ko) * 2018-01-29 2018-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7435A (ko) *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013A (ko) * 2012-10-12 2015-05-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2014219438A (ja) * 2013-05-01 2014-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40146898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13666A (ko) * 2014-03-31 2015-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0362B2 (en) 2018-06-29 2023-05-16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21187164A1 (ja) * 2020-03-18 2021-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8782A (zh) 2019-03-01
US11487148B2 (en) 2022-11-01
US20200166682A1 (en) 2020-05-28
KR20190008158A (ko) 2019-01-23
JP2020526795A (ja) 2020-08-31
JP2020526798A (ja) 2020-08-31
CN110869840B (zh) 2023-01-06
TW201908828A (zh) 2019-03-01
TWI708977B (zh) 2020-11-01
WO2019013604A1 (ko) 2019-01-17
EP3654089A1 (en) 2020-05-20
CN110869840A (zh) 2020-03-06
CN110869841A (zh) 2020-03-06
KR102024248B1 (ko) 2019-09-23
EP3654089A4 (en) 2020-07-08
US20200142256A1 (en) 2020-05-07
EP3654090A1 (en) 2020-05-20
KR102017266B1 (ko) 2019-09-03
WO2019013599A1 (ko) 2019-01-17
TWI683143B (zh) 2020-01-21
EP3654090A4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8154A (ko)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916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53388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02179A (ja) 高耐久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N208283681U (zh) 光学膜
JP2014164052A (ja) 粘着層付き位相差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
TWI612346B (zh) 偏振板和包括該偏振板的液晶顯示器
KR20140146911A (ko)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598645B (zh) 偏光板和包含其的顯示裝置
EP3233745B1 (en) Photo-elastic compensation of thin glass sheets
JP2020024422A5 (ko)
CN111239883B (zh) 偏光片、lcd屏幕和oled屏幕
KR20180014798A (ko)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587685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290865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447274B1 (ko) Oled용 접이식 편광 필름
TWI681222B (zh) 偏光板及包括該偏光板的液晶顯示裝置
JP2009122151A (ja) 画像表示装置
JP2008139625A (ja) 楕円偏光板
KR102531339B1 (ko) 편광판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60017023A (ko)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73317Y1 (ko) 위상차 필름 및 상기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210053291A (ko) 광학 필름 세트 및 광학 적층체
JP2011033564A (ja) 光学フィルムの検査方法
KR20150111490A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