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623A -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9623A KR20140089623A KR1020120149158A KR20120149158A KR20140089623A KR 20140089623 A KR20140089623 A KR 20140089623A KR 1020120149158 A KR1020120149158 A KR 1020120149158A KR 20120149158 A KR20120149158 A KR 20120149158A KR 20140089623 A KR20140089623 A KR 201400896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layer
- hard
- cellulose
- film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2461 cellulos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1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6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1 fatty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127 sapon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TXBCBTDQIULDIA-UHFFFAOYSA-N 2-[[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CC(CO)(CO)CO TXBCBTDQIULD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CFAJYNVAYBARA-UHFFFAOYSA-N 4-hep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CCC HCFAJYNVAYBA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JOBWOGCFQCDNV-UHFFFAOYSA-N 9H-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C3=CC=CC=C3NC2=C1 UJOBWOGCFQCD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647 acryloyl group Chemical group O=C([*])C([H])=C([H])[H] 0.000 description 2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HIVVAPYMSGYDF-UHFFFAOYSA-N cyclohex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1 JHIVVAPYMSGY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IHNNTQXNPWCJQ-UHFFFAOYSA-N fluor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CC=C3C2=C1 NIHNNTQXNPWC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2
- IQPQWNKOIGAROB-UHFFFAOYSA-N 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N-]=C=O IQPQWNKOIGAR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XZMFSXDPGVJKK-UHFFFAOYSA-N penta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 WXZMFSXDPGVJ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DPIMTJIUBPUKL-UHFFFAOYSA-N pentan-3-one Chemical compound CCC(=O)CC FDPIMTJIUBPUK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KRIOVPPHQSLHCZ-UHFFFAOYSA-N propiophenone Chemical compound CCC(=O)C1=CC=CC=C1 KRIOVPPHQSLH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VKJHBMWWAPEIU-UHFFFAOYSA-N toluene 2,4-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C1=CC=C(N=C=O)C=C1N=C=O DVKJHBMWWAPEI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NAZSHAWQACDHT-XIYTZBAFSA-N (2r,3r,4s,5r,6s)-4,5-dimethoxy-2-(methoxymethyl)-3-[(2s,3r,4s,5r,6r)-3,4,5-trimethoxy-6-(methoxymethyl)oxan-2-yl]oxy-6-[(2r,3r,4s,5r,6r)-4,5,6-trimethoxy-2-(methoxymethyl)oxan-3-yl]oxyoxane Chemical compound CO[C@@H]1[C@@H](OC)[C@H](OC)[C@@H](COC)O[C@H]1O[C@H]1[C@H](OC)[C@@H](OC)[C@H](O[C@H]2[C@@H]([C@@H](OC)[C@H](OC)O[C@@H]2COC)OC)O[C@@H]1COC LNAZSHAWQACDHT-XIYTZBAFSA-N 0.000 description 1
- MRIKSZXJKCQQFT-UHFFFAOYSA-N (3-hydroxy-2,2-di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OCC(C)(C)COC(=O)C=C MRIKSZXJKCQQ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FNDFCFPJQPVQL-UHFFFAOYSA-N 1,12-diisocyanatododecane Chemical compound O=C=NCCCCCCCCCCCCN=C=O GFNDFCFPJQPV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VBFMUAFNIIQAL-UHFFFAOYSA-N 1,4-diisocyanatobutane Chemical compound O=C=NCCCCN=C=O OVBFMUAFNIIQ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UPKOUOXSNGVLB-UHFFFAOYSA-N 1,8-diisocyanatooctane Chemical compound O=C=NCCCCCCCCN=C=O QUPKOUOXSNGVL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56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RXJGSRGQADJSQ-UHFFFAOYSA-N 1-methoxypropan-2-ol Chemical compound COCC(C)O ARXJGSRGQADJ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QZOPKMRPOGIEB-UHFFFAOYSA-N 2-Oxo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O QQZOPKMRPOGI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NQDDHNZXOAFFD-UHFFFAOYSA-N 2-[2-(2-prop-2-enoyloxyethoxy)ethoxy]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OCCOCCOC(=O)C=C INQDDHNZXOAF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TJWCLYPVFJWMP-UHFFFAOYSA-N 2-[[3-hydroxy-2-[[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CC(CO)(CO)COCC(CO)(CO)CO PTJWCLYPVFJW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4 2-hydroxy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O[H] 0.000 description 1
- YQLRKXVEALTVCZ-UHFFFAOYSA-N 2-isocyanato-1,3-dim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1N=C=O YQLRKXVEALTV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903 2-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H]C([*])([H])C([H])=C([H])[H] 0.000 description 1
- SXIFAEWFOJETOA-UHFFFAOYSA-N 4-hydroxy-butyl Chemical group [CH2]CCCO SXIFAEWFOJETO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SSSPWUEQFSQQG-UHFFFAOYSA-N 4-methyl-1-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C WSSSPWUEQFSQ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KNUVOHOMFOKHQ-UHFFFAOYSA-N C(C)(=O)C1=CC=CC=C1.N1=CCC(C2=CC=CC=C12)=O Chemical compound C(C)(=O)C1=CC=CC=C1.N1=CCC(C2=CC=CC=C12)=O BKNUVOHOMFOKH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7 Cellulose d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58 Isophorone di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JCCRDAZUWHFQH-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Chemical compound CCC(CO)(CO)CO ZJCCRDAZUWHF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VVWZTWDBSEWIH-UHFFFAOYSA-N [2-(hydroxymethyl)-3-prop-2-enoyloxy-2-(prop-2-enoyloxy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O)(COC(=O)C=C)COC(=O)C=C HVVWZTWDBSEW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5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YKYMHQGRFAEBM-UHFFFAOYSA-N anthraquinone Natural products CCC(=O)c1c(O)c2C(=O)C3C(C=CC=C3O)C(=O)c2cc1CC(=O)OC PYKYMHQGRFAE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056 anthraquin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67 anti-refl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9 antifou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555 benz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SMCQSGRWNEGX-UHFFFAOYSA-N bis(4-amino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N)=CC=C1C(=O)C1=CC=C(N)C=C1 ZLSMCQSGRWNE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QDJYUACMFCOFT-UHFFFAOYSA-N bis[2-(1-hydroxycyclohex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O)C=2C(=CC=CC=2)C2(O)CCCCC2)C=1C1(O)CCCCC1 MQDJYUACMFCO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58 cryst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KQWGXHWJMSMDJJ-UHFFFAOYSA-N cyclohexyl isocyanate Chemical compound O=C=NC1CCCCC1 KQWGXHWJMSMD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SACPWSIIRFHHR-UHFFFAOYSA-N dimethylphenyl isocyanide Natural products CC1=CC=CC(C)=C1C#N QSACPWSIIRFH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HESRSKEBRADOO-UHFFFAOYSA-N ethyl carbam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C(N)=O UHESRSKEBRAD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RAMGCGOFNQTLD-UHFFFAOYSA-N hexamethyle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O=C=NCCCCCCN=C=O RRAMGCGOFNQT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XMIOPMDWAUFGU-UHFFFAOYSA-N hexane-1,6-diol Chemical compound OCCCCCCO XXMIOPMDWAUF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9 iso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 0.000 description 1
- DUDXQIXWPJMPRQ-UHFFFAOYSA-N isocyanatomethyl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O=C=NCC1CCCCC1 DUDXQIXWPJMP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72 iso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C([H])([H])* 0.000 description 1
- NIMLQBUJDJZYEJ-UHFFFAOYSA-N isophoro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C1(C)CC(N=C=O)CC(C)(CN=C=O)C1 NIMLQBUJDJZY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16 methylsulfanyl group Chemical group [H]C([H])([H])S[*] 0.000 description 1
- TVMXDCGIABBOFY-UHFFFAOYSA-N oc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89 polycarbonate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67 polyest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063 prop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72 propylene glyc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12 semi-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MAQACBXLXPBSY-UHFFFAOYSA-N silicic acid Chemical compound O[Si](O)(O)O RMAQACBXLXPB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79 stear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04 sty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35 surface treatment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698 tetra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RUELTTOHQODFPA-UHFFFAOYSA-N toluene 2,6-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C1=C(N=C=O)C=CC=C1N=C=O RUELTTOHQOD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XJQHYBHAIHNGG-UHFFFAOYSA-N trimethylolethane Chemical compound OCC(C)(CO)CO QXJQHYBHAIHN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DHXBMXNKOYIBV-UHFFFAOYSA-N triphenyl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C1=CC=CC=C1 ODHXBMXNKOYI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APBSGBWRJIAAV-UHFFFAOYSA-N ε-Caprolactone Chemical group O=C1CCCCCO1 PAPBSGBWRJI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G02B1/105—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도포층 상에 이형필름을 접합하는 단계; (c) 상기 이형필름을 접합된 도포층을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하드코팅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검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검화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다른 일면에 편광자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에는 편광자과 같은 고가의 광학필름이 적층되어 있는데 편광자는 액정셀과의 조립, 접합공정, 또는 운반, 유통 과정에서 손상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편광자의 미세한 손상과 결함은 액정표시장치의 불량을 야기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광자의 표면에 편광자 보호필름을 적층하여 사용된다. 또한 편광자 보호필름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호필름의 일면 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36,735호는 편광자 보호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시킨 후, 도포층을 광경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하드코팅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이렇게 제조된 편광자 보호필름은 검화처리 후 편광자에 접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통상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하드코팅 필름의 끝부분이 말아오르는 컬(curl) 현상이 일어난다. 특히 경도 향상을 위하여 하드코팅층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경우 컬 현상은 심화된다. 이는 경화단계에서 경화 수축 및 열습 수축이 증가하기 때문인데, 컬이 발생하면 보호필름과 편광자와 접합이 어려워지고 심한 경우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광자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필름 표면에 검화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하드코팅층 표면까지 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하드코팅층의 손상은 하드코팅층의 접촉각을 떨어뜨리고, 내찰상성을 떨어뜨려 편광판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형성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에 컬 발생을 현저히 줄여 편광자와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검화 처리 용액에 의한 하드코팅층 표면 손상이 감소되어 우수한 내찰상성 및 표면경도를 갖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도포층 상에 이형필름을 접합하는 단계; (c) 상기 이형필름을 접합된 도포층을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하드코팅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검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검화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다른 일면에 편광자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e) 단계 전 또는 후에, (f) 상기 하드코팅층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투광성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고, 용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방오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층의 두께는 10~40㎛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표면경도는 4H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형성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에 컬 발생이 감소하여 편광자와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접합이 용이하고,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표면을 검화처리할 때 하드코팅층 표면에 손상이 없어 표면 경도가 우수한 하드코팅된 편광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a)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도포층 상에 이형필름을 접합하는 단계; (c) 상기 이형필름을 접합된 도포층을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하드코팅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검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검화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다른 일면에 편광자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우선 a)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접합성이 뛰어난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수지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30~10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일 수 있다.
도포층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고,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상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투광성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분자내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분자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광경화형 관능기로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 속도가 늦어질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방현성 하드코팅층의 과경화로 인하여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투광성 수지 및 개시제 외에 추가로 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용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제는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기준으로 1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블레이드, 캐스팅 및 그라비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포 후 필요에 따라 건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데, 건조 방법으로는 자연 건조, 에어 건조, 가열 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열 건조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20 내지 80?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가열 건조될 수 있다.
도포층의 두께는 통상 50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40㎛인 것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경도가 떨어질 수 있고, 40㎛ 초과인 경우 이형필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층이 경화되면서 컬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컬 발생은 편광자 접합을 어렵게 하고, 편광판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b)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도포층 상에 이형필름을 접합한다.
이형필름은 경화 단계 및 검화 단계에서 하드코팅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형필름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스티렌계 필름; 나일론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과 같은 이형제로 적절히 이형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c) 상기 이형필름을 접합된 도포층을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고, (d) 상기 하드코팅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검화한다.
상기와 같이 도포층 표면에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경화 후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체적 수축에도 불구하고 하드코팅층이 부착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컬 발생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검화시에도 하드코팅층 상에 이형필름이 적층되어 있어서 하드코팅층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e) 상기 검화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다른 일면에 편광자를 접합한다. 또한 상기 (e) 단계 전 또는 후에, (g) 상기 하드코팅층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한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편광자의 한 면에는 상기 하드코팅된 보호필름이 적층되고, 다른 한 면에는 필요한 광학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광학층이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의 한 면에는 상기 보호필름이 적층되고, 편광자의 다른 한 면 또는 통상의 보호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이외에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눈부심방지층 등의 표면처리층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 또는 보호필름 상에 시야각을 보상하는 배향액정층 또는 또 다른 기능성 막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편광자의 양 면에 모두 적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우레탄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MU9500 제품) 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M340 제품) 10중량부, 나노 실리카 졸(촉매화성사, V8802(12nm, 고형분 40%)) 50중량부,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사), 2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대정화금사) 7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제품) 2.5중량부, 레벨링제(BYK케미사, BYK3570 제품) 0.5중량부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두께가 80㎛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고 70℃에서 2분간 건조였다. 이 때 건조후 도포층의 두께는 10㎛가 되도록 하였다.
(b)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도포층 상에 실리콘 이형필름 린텍,상품명 PET3811)을 접합시키고, (c) 이형필름이 접합된 도포층을 적산광량이 500mJ/cm2이 되도록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d) 하드코팅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을 5N농도의 KOH수용액에 30초간 침지하여 검화 실시 후, 80도 오븐에서 2분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e) 검화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다른 일면에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PVA 편광자를 접합하였다. 그 후에 (f) 도포층에 접합시킨 이형필름을 하드코팅층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층의 두께가 4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층의 두께가 4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두께가 4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e)단계 전에 (f)단계를 수행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에 있어서, (b)단계 및 (f)단계를 실시하지 않는 것(이형필름이 도포층에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화 및 검화 단계 실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f)단계를 (c) 단계 다음으로 실시(이형필름이 도포층에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화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필경도 평가
JIS K5600에 의거, Pencil Hardness Tester(연필경도기, 석보과학)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중 500g, 45 °의 각도로 연필을 고정시킨 후 표면을 연필 경도별로 긁어 육안으로 긁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2) 컬 발생 정도 평가
A4 사이즈(29.7 X 21.0cm)의 정방형 형상으로 절단한 시료를 평탄한 글라스 판 위에, 필름의 도포된 면을 위로해서 두고, 4각의 유리판으로부터의 떨어진 거리를 25℃, 50%RH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 평가방법 -
매우 양호: 0~15mm
양호: 15~30mm
불량: 30~50mm
매우 불량: 50mm를 이상
(3)
내찰상성
평가
마찰시험기(rubbing tester, KPD-301, 기배이엔티사)에 강철솜을 장착한 후 1kg의 하중으로 10회 왕복시켜 발생하는 스크래치 개수를 평가하였다.
- 평가방법 -
A: 0~10개
B: 11~20개
C: 20개 이상
연필경도 | 컬 발생 정도 | 내찰상성 평가 | |
실시예 1 | 5H | 매우 양호 | A |
실시예 2 | 9H | 양호 | A |
실시예 3 | 9H | 양호 | A |
실시예 4 | 4H | 매우 양호 | A |
실시예 5 | 5H | 매우 양호 | A |
비교예 1 | 9H | 매우 불량 | C |
비교예 2 | 9H | 양호 | C |
상기 표 1을 통해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경화 후 컬 발생 정도가 감소하였고, 검화 후 하드코팅층 표면의 손상 정도도 감소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 (a)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도포층 상에 이형필름을 접합하는 단계;
(c) 상기 이형필름을 접합된 도포층을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하드코팅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검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검화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다른 일면에 편광자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단계 전 또는 후에, (f)상기 하드코팅층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투광성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방오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의 두께는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표면경도는 4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9158A KR20140089623A (ko) | 2012-12-20 | 2012-12-20 |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JP2015549247A JP2016503189A (ja) | 2012-12-20 | 2013-12-13 | ハードコーティングされた偏光板の製造方法 |
CN201380066369.6A CN104919343B (zh) | 2012-12-20 | 2013-12-13 | 硬涂层偏光板的制造方法 |
PCT/KR2013/011599 WO2014098420A1 (ko) | 2012-12-20 | 2013-12-13 |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TW102146938A TW201428332A (zh) | 2012-12-20 | 2013-12-18 | 硬塗層偏光板的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9158A KR20140089623A (ko) | 2012-12-20 | 2012-12-20 |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9623A true KR20140089623A (ko) | 2014-07-16 |
Family
ID=5097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9158A Withdrawn KR20140089623A (ko) | 2012-12-20 | 2012-12-20 |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2016503189A (ko) |
KR (1) | KR20140089623A (ko) |
CN (1) | CN104919343B (ko) |
TW (1) | TW201428332A (ko) |
WO (1) | WO201409842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13599A1 (ko) * | 2017-07-14 | 2019-01-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 |
KR20200088255A (ko) * | 2020-07-13 | 2020-07-2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플렉시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US11618828B2 (en) | 2017-02-22 | 2023-04-04 | Dongwoo Fine-Chem Co., Ltd. | Flexible window stack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253706A1 (en) * | 2016-03-04 | 2017-09-07 | Dongwoo Fine-Chem Co., Ltd. | Hard Coating Film |
WO2022070635A1 (ja) * | 2020-09-29 | 2022-04-0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積層体、採光部材、及び農産用箱体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43865B1 (en) * | 1998-02-17 | 2002-02-05 | Dai Nippon Printing Co., Ltd. | Non-glare film, polariz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
JP4385466B2 (ja) * | 2000-02-01 | 2009-12-16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TW200528267A (en) * | 2003-09-30 | 2005-09-01 | Jujo Paper Co Ltd | Hard coat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07256568A (ja) * | 2006-03-23 | 2007-10-04 | Sumitomo Chemical Co Ltd |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 |
JP2008080651A (ja) * | 2006-09-27 | 2008-04-10 | Fujifilm Corp |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補償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並びに液晶表示装置 |
CN101687403B (zh) * | 2007-06-26 | 2015-04-01 |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 透明硬涂膜,使用其的防反射薄膜,偏光板,及显示装置 |
CN101790695B (zh) * | 2007-08-10 | 2011-12-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硬涂膜 |
JP2011215264A (ja) * | 2010-03-31 | 2011-10-27 | Sumitomo Chemical Co Ltd |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20058887A (ko) * | 2010-11-30 | 2012-06-08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2
- 2012-12-20 KR KR1020120149158A patent/KR20140089623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12-13 JP JP2015549247A patent/JP2016503189A/ja active Pending
- 2013-12-13 CN CN201380066369.6A patent/CN10491934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3 WO PCT/KR2013/011599 patent/WO201409842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18 TW TW102146938A patent/TW201428332A/zh unkno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18828B2 (en) | 2017-02-22 | 2023-04-04 | Dongwoo Fine-Chem Co., Ltd. | Flexible window stack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WO2019013599A1 (ko) * | 2017-07-14 | 2019-01-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 |
KR20190008158A (ko) * | 2017-07-14 | 2019-0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 |
US11487148B2 (en) | 2017-07-14 | 2022-11-01 |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 Polarizing plate having specified ratio of polarizing film shrinkage force to protective film shrinkage force |
KR20200088255A (ko) * | 2020-07-13 | 2020-07-2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플렉시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428332A (zh) | 2014-07-16 |
CN104919343A (zh) | 2015-09-16 |
WO2014098420A1 (ko) | 2014-06-26 |
JP2016503189A (ja) | 2016-02-01 |
CN104919343B (zh) | 2017-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4524B1 (ko) |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
JP5539830B2 (ja)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US20160355704A1 (en)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film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 |
WO2017002347A1 (ja)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ディスプレイ部材及び表示装置 | |
JP6381631B2 (ja) | 光硬化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 |
KR20140089623A (ko) |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
KR101546098B1 (ko) |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KR20140090291A (ko) |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 |
CN108351436B (zh) | 光学薄膜、图像显示装置以及光学薄膜的制造方法 | |
KR20140040382A (ko) |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JP6017762B2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348972B2 (ja) | 光硬化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てなる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偏光板 | |
KR101971871B1 (ko) | 편광판용 표면처리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20140091789A (ko) |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및 편광판 | |
JP2013025310A (ja) | 防眩性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これを備えた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 |
KR20120128739A (ko) |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KR20220153829A (ko) | 방현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 |
KR20120051290A (ko) |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KR101576295B1 (ko) |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JP6181711B2 (ja) |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 |
KR20210112142A (ko) | 방현 필름 | |
KR20240141814A (ko) | 편광판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 |
KR101915285B1 (ko) |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KR20140051592A (ko) |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 |
KR20140083525A (ko) |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