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525A -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525A
KR20140083525A KR1020120153402A KR20120153402A KR20140083525A KR 20140083525 A KR20140083525 A KR 20140083525A KR 1020120153402 A KR1020120153402 A KR 1020120153402A KR 20120153402 A KR20120153402 A KR 20120153402A KR 20140083525 A KR20140083525 A KR 20140083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rticles
light transmitting
composition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용
이두봉
임거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525A/ko
Publication of KR2014008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5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투광성 수지보다 밀도가 큰 투광성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투광성 입자가 도포층 표면으로 부유되도록 상기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도포층을 경화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HARD-COATED ANTIGLARE FILM}
본 발명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현필름은 표면 돌출부에 의한 광산란 및 박막 간섭성을 이용하여 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필름이다.
방현필름은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의 표면에 이용되어 외부광의 반사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이미지 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의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다양한 방현처리가 취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편광판에 사용되는 하드코트필름이나 각종 디스플레이 보호용 하드코트필름 등에 대해, 그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현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하드코팅 필름의 방현처리 방법으로는 물리적으로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과 하드코팅층 표면에 미립자나 수지 응집부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후자인 미립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투광성 입자를 첨가하여 투광성 입자에 의해 하드코팅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투광성 입자가 표면에서 요철을 만들도록 하기 한 방법으로 투광성 입자의 함량을 높혀 입자가 표면까지 쌓이도록 하거나 밀도가 작은 투광성 입자를 사용하여 입자가 표면으로 부유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다량의 투광성 입자를 사용하게 되어 광학적 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의 경우 소량의 투광성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대부분의 투광성 입자의 밀도는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의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투광성 입자의 선택에 제약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광성 입자의 선택에 제한이 적고, 투광성 입자를 소량만 사용하여 표면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입자를 제외한 조성물 보다 밀도가 큰 투광성 입자 및 개시제, 용제를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투광성 입자가 도포층 표면으로 부유되도록 상기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도포층을 경화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투광성 입자는 투광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는 평균 직경이 2~7㎛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밀도는 1.0 ~4.1/cm3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밀도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의 밀도차는 0.3/cm3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도포층의 두께는 17~3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도포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광성 입자를 소량만 사용하여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어 방현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광성 입자와 투광성 수지의 선택에 있어서 밀도에 따른 제한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은 (a)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보다 밀도가 큰 투광성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투광성 입자가 도포층 표면으로 부유되도록 상기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도포층을 경화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우선 (a)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보다 밀도가 큰 투광성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기재 필름에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블레이드, 캐스팅 및 그라비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에 의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조성물로써 투광성 수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보다 밀도가 큰 투광성 입자,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한다.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수지로 투광성 입자보다 밀도가 큰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등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 기를 분자내 갖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구체적인 예로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투광성 수지인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현성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1중량부 이하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고 80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컬링이 심해질 수 있다.
투광성 입자는 표면 요철을 형성시켜 방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투광성 수지보다 밀도가 크고, 방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입자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실리카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입자, 아크릴계 수지입자, 스티렌계 수지입자, 아크릴-스티렌계 수지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입자, 염화비닐계 수지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일 수 있다. 투광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2㎛ 보다 작을 경우 방현층 표면에 요철이 작아 방현성이 떨어질 수 있고, 7㎛보다 클 경우에는 방현층의 표면이 거칠어져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투광성 입자는 상기 투광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비 0.1 내지 1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입자가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방현성이 떨어질 수 있고,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방현층의 백화가 심해지는 등 광학적 특성이 떨어질 수 있다.
투광성 입자의 밀도는 1.0~4.1g/cm3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입자의 밀도는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 밀도보다 큰 것을 사용한다. 이 때 투광성 입자의 밀도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 밀도차는 0.3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입자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의 밀도차가 0.3g/cm3 보다 작을 경우 건조 단계에서 투광성 입자가 도포층 표면으로 부유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충분히 부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가 완료되어 표면 요철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광개시제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 속도가 늦어질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방현성 하드코팅층의 과경화로 인하여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용제는 본 기술분야의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제는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기준으로 1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b) 투광성 입자가 도포층 표면으로 부유되도록 상기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투광성 입자는 투광성 수지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투광성 수지 내에서 중력방향으로 가라앉는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대로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도포층을 건조할 경우 투광성 수지는 기재필름 면으로 가라앉게 되어 소량의 투광성 입자만으로는 표면 요철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도포층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건조할 경우, 투광성 입자는 도포층의 표면으로 가라앉게 되어, 소량의 투광성 입자를 사용하더라도 투광성 수지 입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소량의 투광성 입자를 사용할 경우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는 (c) 도포층을 경화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건조단계 후에는 투광성 수지의 점도 때문에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도 투광성 수지 내 투광성 입자가 도포층 표면에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다만 건조 후 수지의 점도가 충분히 높지 않거나 건조단계 직후 경화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라면 도포층이 바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경화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표 1의 조성과 함량(중량%)을 갖도록 배합한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 내지 5을 각각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조성물 6
투광성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20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20
투광성 입자 평균입경 3.0um 의 실리콘수지 입자
(굴절율 1.43)
0.1 0.2 0.4 0 0 0
평균입경 3.0um 의PMMA-PS공중합수지 입자
(굴절율 1.52)
0 0 0 0.4 0 0
평균입경 6.0um 의Styrene 입자
(굴절율 1.59)
0 0 0 0 0.4 0
평균입경 3.0um 의 실리카 입자
(굴절율 1.46)
0 0 0 0 0 0.4
용제 에틸아세테이트 21 21 21 21 21 21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7.1 37 36.8 36.8 36.8 36.8
개시제 I-907 1.5 1.5 1.5 1.5 1.5 1.5
레벨링제 BYK3570 0.3 0.3 0.3 0.3 0.3 0.3
코팅두께(um) 20 20 20 20 20 20
투광성 입자의 밀도(A) 1.32 1.32 1.32 1.20 1.06 2.15
입자를 제외한 코팅액 조성물 밀도(B) 0.89 0.89 0.89 0.89 0.89 0.89
(A)-(B)=( g/cm3 ) 0.43 0.43 0.43 0.31 0.17 1.26
-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미원상사, SC2153 제품
-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미원상사, M340 제품
- 실리콘수지 입자: 모멘티브사,Tosper
- PMMA-PS 공중합수지 입자:세끼스이테크 폴리머
- 실리카 수지 입자: Fuji silisia 제품
- 에틸아세테이트: 대정화금사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대정화금사
- 광개시제: 시바사, I-907 제품
- 레벨링제 : BYK케미사, BYK3570 제품
실시예 1 ~ 6
상기 준비한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 ~ 6 각각을 두께가 80㎛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기재필름)의 일면에 경화 후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다음 도포층이 바닥을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2분간 7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하고, 도포층이 위를 향하도록 뒤집은 다음, UV적산광량 500mJ/cm2로 도포층을 광경화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 있어서,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건조 단계 및 경화 단계를 수행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 있어서,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건조 단계 및 경화 단계를 수행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방현성 평가
방현 필름을 검은색 아크릴판을 접합한 후, 형광등의 반사되는 상을 시각 관찰하였다. 빛을 방현 필름의 표면에서 반사시켜 스탠드 빛의 형상이 뚜렷이 보이는 정도를 확인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평가방법
방현성 ○: 방현성 양호.
방현성 △: 방현성 보통.
방현성 X : 방현성 불량.
(2) 헤이즈 측정
무라카미 색체 기술 연구소사 HM-150 헤이즈 미터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코팅필름의 헤이즈는 코팅필름의 탁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헤이즈가 높을수록 필름이 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투과율 측정
위의 헤이즈 측정기인 무라카미 색체 기술 연구소사 HM-150 기기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준하여 전광선 투과율(Tt)를 측정하였다. 전광선투과율(Tt) 평행선투과율(TP)과 확산투과율(TD)의 합으로서 반사된 빛을 제외하고 투과한 빛을 의미한다.
(4) 연필경도 평가
JIS K5600에 의거, Pencil Hardness Tester(연필경도기, 석보과학)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중 500g, 각도 45로 연필(미쯔비시사)을 고정시킨 후 표면을 연필 경도별로 5회 긁어 육안으로 긁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기스가 5개의 시험 가운데 2개 이상의 긁힘 발생시 불량으로 판정하였으며, 긁힘이 발생하기 이전의 연필의 경도를 표시하였다.
구분 조성물 코팅층 방향 평가결과
방현성 헤이즈 투과율 연필경도
실시예1 조성물1 아래 15% 91.5 8H
실시예2 조성물 2 아래 16.3% 90.8 8H
실시예3 조성물 3 아래 18% 90.3 8H
실시예4 조성물 4 아래 8% 91.8 8H
실시예5 조성물 5 아래 5.7% 91.5 8H
실시예 6 조성물6 아래 10% 90.4 8H
비교예1 조성물 1 X 3% 91.2 7H
비교예2 조성물 1 32% 86 7H
상기 표 2을 통해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헤이즈는 낮고 투과율은 높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a)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보다 밀도가 큰 투광성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투광성 입자가 도포층 표면으로 부유되도록 상기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도포층을 경화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입자는 투광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입자는 평균 직경이 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입자의 밀도는 1.0~4.1 g/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입자의 밀도와 투광성 입자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의 밀도차는 0.3g/cm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의 두께는 17~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기재필름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20153402A 2012-12-26 2012-12-26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20140083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02A KR20140083525A (ko) 2012-12-26 2012-12-26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02A KR20140083525A (ko) 2012-12-26 2012-12-26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525A true KR20140083525A (ko) 2014-07-04

Family

ID=5173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02A KR20140083525A (ko) 2012-12-26 2012-12-26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5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0810B2 (en) 2015-09-11 2020-06-23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hard coating layer with specified surface roughness and internal haz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0810B2 (en) 2015-09-11 2020-06-23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hard coating layer with specified surface roughness and internal haz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877B2 (en) Antiglare hard coat film
US20080026182A1 (en) Hard-coated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rd-coated film
KR20120091170A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JP5290046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10177110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959474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453762B2 (ja) 防眩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した偏光板
KR20130128466A (ko) 반사 방지 필름 및 편광판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40089623A (ko) 하드코팅된 편광판의 제조방법
JP2020129140A (ja) 防眩フィルム
KR20190035642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JP2013076969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性偏光板及び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
WO2019221000A1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防眩性フィルム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KR20140083525A (ko)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JP5493400B2 (ja) 低屈折率コーティング剤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KR2018008795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40091789A (ko)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및 편광판
KR101959476B1 (ko)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KR101915285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613779B1 (ko) 방현 필름
KR20130010233A (ko)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9475B1 (ko) 확산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KR20120128739A (ko)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