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474B1 -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474B1
KR101959474B1 KR1020120145210A KR20120145210A KR101959474B1 KR 101959474 B1 KR101959474 B1 KR 101959474B1 KR 1020120145210 A KR1020120145210 A KR 1020120145210A KR 20120145210 A KR20120145210 A KR 20120145210A KR 101959474 B1 KR101959474 B1 KR 10195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organic
hard coat
inorganic hybrid
har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779A (ko
Inventor
임거산
김희봉
안명용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74B1/ko
Priority to PCT/KR2013/011258 priority patent/WO2014092388A1/ko
Priority to TW102145719A priority patent/TWI643910B/zh
Publication of KR2014007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균 관능기수 5~15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UV 반응성기를 가지는 무기입자 및 광개시제가 함유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기재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3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10중량% 이상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입자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80~1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ORGANIC-INORGANIC HYBRID HARD COA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하드 코팅 필름은 각종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유기전자발광 디스플레이 (OLED), 브라운관(CRT) 등의 패널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리기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내충격성이 약하고 경량화에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대체하거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투명 기재의 표면에 고경도의 하드코팅층을 형성된 필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유기 수지와 함께 무기 입자가 포함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44089호는 분자량이 500~10,000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실리카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경우 연필경도가 2H~3H 수준에 그쳐 하드코팅 필름이 가져야 할 충분한 표면 보호 특성을 갖지 못하고 있어, 광학적 특성이 뛰어나면서도 표면경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경도가 높고 내스크레치성 및 내찰상성이 뛰어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균 관능기수 5~15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UV 반응성기를 가지는 무기입자 및 광개시제가 함유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기재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3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10중량% 이상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입자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80~1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평균 관능기수가 6~14 관능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평균 입경이 1~100㎚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두께가 17~30㎛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표면경도가 7H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은 낮은 헤이즈 및 높은 반사선명도를 가져 광학적 특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우수한 표면경도, 내스크레치성 및 내찰상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은, 평균 관능기수 5~15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UV 반응성기를 가지는 무기 입자 및 광개시제가 함유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기재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3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10중량% 이상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입자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80~1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평균 관능기수가 5~15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UV 반응성기를 가지는 무기 입자 및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평균 관능기수가 5~15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광경화성 수지이며, 광경화형(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등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 기를 분자내 갖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구체적인 예로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예시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평균 관능기 수가 5~15이다. 평균 관능기 수가 5 미만인 경우, 경화밀도가 낮아 충분한 경도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15 초과인 경우, 반응성이 떨어져 경화 물성 불량이 발생하거나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더라도 경화수축이 커서 필름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3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10% 이상 포함한다. 3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전체에 대하여 10%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경화 반응성이 낮아져 충분한 경도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3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UV 반응성기를 가지는 무기입자는 금속산화물 또는 황화물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티탄(루틸, 루틸/아나타제 혼합 결정, 아나타제 비정질 구조), 산화규소,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황화아연일 수 있다. 또한 콜로이드성 무기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콜로이드성 이산화티탄, 콜로이드성 알루미나, 콜로이드성 지르코니아, 콜로이드성 바나디아, 콜로이드성 크로미아, 콜로이드성 산화철, 콜로이드성 산화주석 또는 그 혼합물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1~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경이 1nm 미만인 경우에는 경도가 낮아질 수 있고, 100nm 초과인 경우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무기 입자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80~12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물이 상기의 기준으로 80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도가 떨어질 수 있고, 1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 속도가 떨어지고, 투명성이 저하될수 있다.
광개시제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늦고, 10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과경화로 방현성 하드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용제는 본 기술분야의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제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시킨 다음 경화시켜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구비한다.
상기 투명기재는 투명성이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투명기재는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들,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의 두께는 8~1000㎛ 정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40~100㎛일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스핀코팅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기재 상에 도포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이 형성하는 하드코팅층의 경화 후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7~30㎛일 수 있다.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단계는 광경화일 수 있으며, 이 때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10J/cm2, 바람직하게는 0.1~2J/cm2일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하드코팅층은 7H 이상의 고경도를 가질 수 있고, 이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은 편광판 또는 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은 통상의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1)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표 1의 조성과 함량(중량부)을 갖도록 배합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두께가 80㎛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기재필름)의 상면에 경화 후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나노 실리카졸
( 고형분 4 0 %)


용제


광개 시제


레벨링제
6 관능 9 관능 10 관능 15 관능 3

6

12 nm
제조예 1 - 10 - - 10 - 50 27 2.5 0.5
제조예 2 - - 10 - 10 - 50 27 2.5 0.5
제조예 3 - - - 10 10 - 50 27 2.5 0.5
제조예 4 - - - 18 2 - 50 27 2.5 0.5
제조예 5 - 10 - - 10 - 40 37 2.5 0.5
제조예 6 - 10 - - 10 - 60 17 2.5 0.5
비교제조예 1 - - - - 20 - 50 27 2.5 0.5
비교제조예 2 10 - - - 10 - 50 27 2.5 0.5
비교제조예 3 - - - 10 - 10 50 27 2.5 0.5
비교제조예 4 - 20 - - 20 - - 57 2.5 0.5
비교제조예 5 - 10 - - 10 - 75 2 2.5 0.5
- 우레탄아크릴레이트 6관능: 미원상사, PU610 제품
우레탄아크릴레이트 9관능: 미원상사, SC2100 제품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관능: 미원상사, SC2153 제품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5관능: 미원상사, SC2152 제품
-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미원상사, M340 제품
-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미원상사, M600 제품
- 나노 실리카졸: 촉매화성사, V8802 제품
- 용제: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대정화금사)
- 광개시제: 시바사, I-184 제품
- 레벨링제: BYK케미사, BYK3530 제품
제조예 1 내지 7 6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평균 관능기수, 3관능 이하의 수지 함량 및 아크릴레이크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크계 수지의 함량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UV 반응성기를 가지는 무기입자
평균 관능기 수
(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전체 대비 3관 이하 수지의 비율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중 량부에 대한 함량
( 중량부 )
평균 입경
( nm )
제조예 1 6 50% 100 12
제조예 2 6.5 50% 100 12
제조예 3 9 50% 100 12
제조예 4 13.8 10% 100 12
제조예 5 6 50% 80 12
제조예 6 6 50% 120 12
비교제조예 1 3 100% 100 12
비교제조예 2 4.5 50% 100 12
비교제조예 3 10.5 0% 100 12
비교제조예 4 6 50% 0 12
비교제조예 5 6 50% 150 12
(2)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8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필름 상에 도포한 후, 2분 동안 용제를 건조시키고, 500mJ/cm2의 적산광량으로 UV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이때 사용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경화 후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하기 표 3과 같다.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경화 후 하드코팅층의 두께
실시예 1 제조예 1 20㎛
실시예 2 제조예 2 20㎛
실시예 3 제조예 3 20㎛
실시예 4 제조예 4 20㎛
실시예 5 제조예 5 20㎛
실시예 6 제조예 6 17㎛
실시예 7 제조예 1 30㎛
실시예 8 제조예 1 15㎛
실시예 9 제조예 1 18㎛
실시예 10 제조예 10 제조예1 35㎛
비교예 1 비교제조예 1 20㎛
비교예 2 비교제조예 2 20㎛
비교예 3 비교제조예 3 20㎛
비교예 4 비교제조예 4 20㎛
비교예 5 비교제조예 5 20㎛
실험예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필경도 평가
JIS K5600에 의거, Pencil Hardness Tester(연필경도기, 석보과학)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중 500g, 각도 45로 연필을 고정시킨 후 표면을 연필 경도별로 긁어 육안으로 긁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2) 내스크레치성 평가
마찰시험기(rubbing tester, KPD-301, 기배이엔티사)에 강철솜을 장착한 후 1kg의 하중으로 10회 왕복시켜 발생하는 스크래치 개수를 평가하였다.
(3) 헤이즈 측정
스가사의 HZ-1 Haze Meter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4) 투과선명도 측정
투과선명도 측정기(ICM-1T, 스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선명도는 슬릿간격 0.01mm, 0.5mm, 1.0mm, 2.0mm의 투과선명도 수치의 합산으로 결정하였다.
연필경도 스크레치
(개)
헤이즈
(%)
투과선명도
(/400%)
실시예 1 8H 0 0.2 390
실시예 2 9H 0 0.2 388
실시예 3 9H 0 0.2 389
실시예 4 9H 0 0.2 382
실시예 5 7H 0 0.2 391
실시예 6 8H 0 0.2 382
실시예 7 9H 0 0.2 388
실시예 8 7H 0 0.2 384
실시예 9 8H 0 0.2 386
실시예 10 9H 0 0.2 385
비교예 1 4H 1 0.2 388
비교예 2 5H 0 0.2 389
비교예 3 3H 2 0.2 384
비교예 4 3H 2 0.2 381
비교예 5 3H 3 0.4 370
상기 표 4를 통해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도가 우수하고 헤이즈가 낮을 뿐만 아니라, 연필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평균 관능기수 5~15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UV 반응성기를 가지는 무기입자 및 광개시제가 함유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기재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3관능 이하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10중량% 이상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입자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80~1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평균 관능기수가 6~14관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는 평균 입경이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두께가 17~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표면경도가 7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6.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의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KR1020120145210A 2012-12-13 2012-12-13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5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10A KR101959474B1 (ko) 2012-12-13 2012-12-13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CT/KR2013/011258 WO2014092388A1 (ko) 2012-12-13 2013-12-06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TW102145719A TWI643910B (zh) 2012-12-13 2013-12-11 有機-無機混合硬塗料膜與使用相同材料的偏光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10A KR101959474B1 (ko) 2012-12-13 2012-12-13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779A KR20140076779A (ko) 2014-06-23
KR101959474B1 true KR101959474B1 (ko) 2019-03-18

Family

ID=5093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210A KR101959474B1 (ko) 2012-12-13 2012-12-13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59474B1 (ko)
TW (1) TWI643910B (ko)
WO (1) WO2014092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450B1 (ko) * 2014-07-21 2016-08-23 자동차부품연구원 하드코팅 조성물
US10391750B2 (en) 2015-09-03 2019-08-27 Dongwoo Fine-Chem Co., Ltd. Cover window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46796B1 (ko) * 2015-09-03 2022-01-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6783B1 (ko) * 2015-09-03 2022-01-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8561B1 (ko) * 2015-10-02 2019-09-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502398B1 (ko) * 2015-12-14 2023-02-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609848B1 (ko) * 2015-12-23 2023-1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089A (ko) * 2007-10-31 2009-05-0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하드코팅액 조성물
KR20110104662A (ko) * 2010-03-17 2011-09-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150719B1 (ko) * 2010-05-27 2012-06-08 주식회사 대하맨텍 자외선 경화형 기능성 하드코팅제
JP5387534B2 (ja) * 2010-09-08 2014-01-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KR20120051290A (ko) * 2010-11-12 2012-05-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129643A (ko) * 2011-05-20 2012-11-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성 반사방지 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3910B (zh) 2018-12-11
WO2014092388A1 (ko) 2014-06-19
KR20140076779A (ko) 2014-06-23
TW201422730A (zh)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474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7402414B (zh) 硬涂膜及具有硬涂膜的柔性显示器
JP6987574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1801471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20200008007A (ko) 하드코팅필름
US20170253707A1 (en) Hard Coating Film
KR20160100121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JP2018013785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センサーを含む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ウィンドウ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20129140A (ja) 防眩フィルム
KR102031802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502398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8008795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70103646A (ko) 하드코팅필름
CN112292405A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组合物及使用其的膜
JP2013025310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これを備えた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56128A (ko)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KR20120051290A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70103647A (ko) 하드코팅 조성물
KR20120128739A (ko)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915285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40091789A (ko)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및 편광판
KR20210112142A (ko) 방현 필름
KR20140083525A (ko)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20140051592A (ko)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