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928B1 -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928B1
KR101919928B1 KR1020180010618A KR20180010618A KR101919928B1 KR 101919928 B1 KR101919928 B1 KR 101919928B1 KR 1020180010618 A KR1020180010618 A KR 1020180010618A KR 20180010618 A KR20180010618 A KR 20180010618A KR 101919928 B1 KR101919928 B1 KR 10191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otective film
polarizing
kgf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798A (ko
Inventor
박재홍
김태호
정동훈
황민우
박덕우
김정연
조우용
양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1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9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27/3232
    • H01L51/5281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의 양측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의 양측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식정보(IT) 산업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상기 IT 산업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LCD(liquid crystal display) 산업 또한 현대 산업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매체로서 함께 발전하고 있다.
편광판은 LCD나 유기 EL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필름이 접합된 구성을 갖는다. 도 1에는 이러한 편광판의 일반적인 형태가 모식적으로 도식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1)은 중앙의 편광막(6) 및 편광막(6)의 양면에 접착제층(4,5)을 매개로 하여 부착된 보호필름들(2,3)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들(2,3)은 편광막(6)의 상하측에 배치되어 편광막(6)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7-0091994 호
본 명세서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의 양측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막; 상기 편광막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막의 타측에 구비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의 적어도 1 방향의 수축력이 폭 1mm 당 13 kgf 이하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수축력이 낮은 보호필름을 사용함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잔류하는 힘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수축력이 낮은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유리기판과 함께 사용하면 유리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편광판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은 본 명세서에서 수축력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구의 사진이다.
도 3는 본 명세서에서 수축력을 측정하기 위한 연신율-힘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 4 및 5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편광판의 수축력(X축)과 벤딩(Y축)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적어도 1 방향의 수축력이 낮은 편광판용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일련의 공정들을 통해 제조된 편광판은 공정 중 가해진 힘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온이나 고온/고습 조건에서 편광판이 수축되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액정셀에 소자의 박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용되는 유리도 얇아지고 있어 편광판이 수축되는 변형하려는 힘이 액정셀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여 액정셀 뒤틀림에 따른 불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광판이 수축되는 변형하려는 수축력을 감소시켜 액정셀이 휘는 벤딩 형상을 감소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편광판 업체에서는 고온 또는 고온 고습조건에서의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축력을 감소시키려는 연구를 많이 진행하였다. 그러나 고온 또는 고온 고습조건에서 편광판이 가지는 수축력을 정량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본 출원인은 수축력을 대변하는 인자를 찾으려는 노력을 진행하였고 그에 대한 성과로 상온상습 조건에서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단위를 kgf/mm2를 kgf/mm로 환산한 수치가 수축력을 대변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출원인은 유리기판에 부착한 편광판을 80℃ chamber에 24 시간 방치한 후 벤딩(bending) 실험, 즉, 휘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도 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 4를 살펴보면, 편광판의 수축력이 감소할수록 벤딩 현상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편광판 자체의 수축력은 편광판을 구성하는 층들의 개별적인 수축력의 합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편광판용 보호필름의 수축력이 낮으면 낮을수록 벤딩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적어도 1 방향의 수축력이 폭 1mm 당 13 kgf 이하인 편광판용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용 보호필름의 수축력은 낮으면 낮을수록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더 줄일 수 있으므로, 수축력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적어도 1 방향의 수축력이 폭 1mm 당 0 kgf 초과 13 kgf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용 보호필름은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TAC(triacetylcellulose)계 필름, COC(cycloolefin copolymer)계 필름, PNB(polynorbornene)계 필름 및 PET(polyethylene terephtalate)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편광판용 보호필름은 적어도 1 방향의 수축력이 폭 1mm 당 10 kgf 이하인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용 보호필름의 수축력은 낮으면 낮을수록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더 줄일 수 있으므로, 수축력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적어도 1 방향의 수축력이 폭 1mm 당 0 kgf 초과 10 kgf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편광막; 상기 편광막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막의 타측에 구비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수축력이 낮은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흡수축 방향 또는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이 낮은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편광막; 상기 편광막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막의 타측에 구비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의 적어도 1 방향의 수축력이 폭 1mm 당 13 kgf 이하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 경우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적어도 1방향의 수축력이 수축력이 폭 1mm 당 13 kgf 이하이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의 적어도 1방향의 수축력이 수축력이 폭 1mm 당 13 kgf 이하인 평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1 방향”은 모든 방향을 다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적어도 1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보호필름의 제조 시 이동되는 방향인 기계방향 또는 상기 기계방향의 수직인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보호필름의 제조 시 보관용 롤에 감기는 방향인 길이방향 또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인 폭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 방향”은 필요에 따라 온도가 25 ℃이고 상대습도가 50 %인 상태보다 고온 및 고습한 조건에서 상기 편광판이 구부러지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이 구부러지는 방향”은 편광판의 가장자리의 점들 중 기준이 되는 면으로 내린 수직선의 길이가 가장 긴 점을 포함하는 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선의 방향은 기준이 되는 면으로 내린 수직선의 길이가 가장 긴 점을 포함하는 기계방향 또는 상기 기계방향의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온도가 25 ℃이고 상대습도가 50 %인 상태보다 고온 및 고습한 조건”은 온도 및 상대습도가 각각 25 ℃ 및 50 %보다 높으면서 기준이 되는 면에 대하여 편광판이 구부러지는 현상이 일어난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로서 각각 온도가 80 ℃인 조건 또는 온도 및 상대습도가 60 ℃ 및 90 %인 조건에서 벤딩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적어도 1 방향”은 필요에 따라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 및 편광막의 투과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축력은 필름이 변형된 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힘을 의미한다. 실제 수축될 때의 힘은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필름을 강제로 연신(인장)시킬 때 필요한 힘을 측정하여 수축력을 추정한다. 즉, 인장강도로 수축력을 나타내는 것인데, 연구 결과 인장강도는 수축력을 대응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때, 수축력(인장강도)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다.
1. 상온(25 ℃) 상습(50 %)의 환경에서 시료의 폭을 10mm, 길이를 150mm로 재단한 후에 도 2와 같은 측정 장비에 시료를 그림과 같이 세로로 설치했다.
2. 시료의 아래쪽은 고정시키고, 반대쪽을 위로 잡아 당겼다.
3. 시료를 강제로 연신시키면서 연신율(percentage strain)과 필름에 걸리는 힘(load)을 동시에 측정하여 도 3과 같이 연신율-힘 그래프를 얻어냈다.
4. 상기 연신율-힘 그래프에서 접선의 기울기 중 가장 가파른 기울기로 수축력을 구했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축력이 낮은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보호필름에 남겨진 잔여 힘으로 인해 편광판의 수축 및 유리의 벤딩현상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상기 편광막의 재료 및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재료 및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막일 수 있다.
상기 편광막의 수축력이 적을수록 편광판의 수축력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편광막의 수축력이 적을수록 편광판의 수축 및 유리의 벤딩현상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낮으면 낮을수록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더 줄일 수 있으므로, 수축력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수축력이 폭 1mm 당 0 kgf 초과 70 kgf이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25 내지 45 kgf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의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낮으면 낮을수록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더 줄일 수 있으므로, 수축력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수축력이 폭 1mm 당 0 kgf 초과 40 kgf이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광막의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5 내지 15 kgf일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두께에 따른 수축력 실험을 통해 필름의 두께가 얇으면 얇을수록 수축력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편광막의 두께는 얇으면 얇을수록 수축력이 줄어들고,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더 줄일 수 있으므로, 편광막의 두께의 수치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편광막의 두께는 0 μm 초과 내지 50 μm 미만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편광막의 두께는 5 내지 40 μm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10 내지 30 μm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필름은 보호필름이 본 명세서의 범위를 만족하는 수축력을 가진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재료 및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은 1 이상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TAC(triacetylcellulose)계 필름, COC(cycloolefin copolymer)계 필름, PNB(polynorbornene)계 필름 및 PET(polyethylene terephtalate)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은 1 이상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축력이 폭 1mm 당 10 kgf 이하인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위치된 감압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호필름 상”이라는 의미는 제1 보호필름을 기준으로 편광막이 구비된 측의 반대편을 의미한다.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감압접착제층이 구비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감압접착제층이 구비된 면을 액정 표시 소자의 액정셀에 접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액정셀에 접착된 제1 보호필름은 시야각 보상을 위해 특정 위상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호필름은 필요에 따라 UV 흡수제, 안티블로킹제(anti-blocking agent),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및 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필름 상면 또는 하면에는 필요에 따라 반사방지층, 저반사 코팅층, UV 흡수층, 휘도향상층, 정전기 방지 코팅층, 안티글레어(Anti glare)층, 액정코팅층 및 하드코팅층 중에서 1 이상의 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필름과 편광막은 수계 접착제 또는 비수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필름은 1 이상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TAC(triacetylcellulose)계 필름, COC(cycloolefin copolymer)계 필름, PNB(polynorbornene)계 필름 및 PET(polyethylene terephtalate)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필름은 1 이상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축력이 폭 1mm 당 10 kgf 이하인 COP(cycloolefin polym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필름은 필요에 따라 UV 흡수제, 안티블로킹제(anti-blocking agent),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및 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필름 상면 또는 하면에는 필요에 따라 반사방지층, 저반사 코팅층, UV 흡수층, 휘도향상층, 정전기 방지 코팅층, 안티글레어(Anti glare)층, 액정코팅층 및 하드코팅층 중에서 1 이상의 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필름과 편광막은 수계 접착제 또는 비수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감압접착제층에 의하여 액정셀에 접착하는 경우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 보호필름은 UV 흡수제를 포함하거나 제2 보호필름의 상면 또는 하면에 UV 흡수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셀의 양측에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경우, 액정셀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먼 상부 편광판의 제2 보호필름(최외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하드코팅층, 저반사코팅층 및 안티글레어(Anti glare)층 중에서 1 이상의 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액정셀의 양측에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경우, 액정셀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지면으로부터 가까운 하부 편광판의 제2 보호필름(최외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휘도향상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두께에 따른 수축력 실험을 통해 필름의 두께가 얇으면 얇을수록 수축력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얇으면 얇을수록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더 줄일 수 있으므로, 보호필름의 두께의 수치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0 μm 초과 내지 60 μm 미만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15 내지 45 μm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20 내지 30 μm일 수 있다.
아크릴계 필름 또는 TAC계 필름으로 제조된 보호필름의 두께는 15 내지 45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아크릴계 필름 또는 TAC계 필름으로 제조된 보호필름의 수축력이 폭 1mm 당 13 kgf 이하일 수 있으며, 기판을 휘게 만드는 벤딩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LCD-TF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유리기판의 두께는 0.1 mm 내지 0.7 mm일 수 있으며, 적용되는 소자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셀 및 상기 액정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편광판 중 제1 보호필름 상에 구비된 감압접착제층에 의해서 액정셀과 편광판이 접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만으로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하드코팅층
COP
편광막
COP
액정코팅층
감압접착제층(PSA)
제1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23 μm인 COP계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측에 1 μm의 두께인 액정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액정코팅층이 형성된 COP계 필름에 있어서,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6 kgf이고,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7 kgf이다.
상기 액정코팅층 위에 22 μm의 두께의 감압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2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 μm인 COP계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의 일측에 7 μm의 두께인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COP계 필름의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6 kgf 이고,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6 kgf이다.
이후, 상기 표 1과 같은 구조로 두께가 12 μm인 폴리비닐알코올 편광막의 양측에 비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각각 접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드코팅층
아크릴 필름
편광막
COP
액정코팅층
감압접착제층(PSA)
제1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23 μm인 COP계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측에 1 μm의 두께인 액정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액정코팅층이 형성된 COP계 필름에 있어서,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6 kgf이고,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7 kgf이다.
상기 액정코팅층 위에 22 μm의 두께의 감압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2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 μm인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의 일측에 5 μm의 두께인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아크릴계 필름의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20 kgf 이고,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19 kgf이다.
이후, 상기 표 2과 같은 구조로 두께가 12 μm인 폴리비닐알코올 편광막의 양측에 비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각각 접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안티글레어층
아크릴 필름
편광막
아크릴 필름
감압접착제층(PSA)
제1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 μm인 아크릴계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필름에 있어서,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16 kgf이고,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17 kgf이다.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측에 22 μm의 두께의 감압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2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 μm인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의 일측에 5 μm의 두께인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이 형성된 아크릴계 필름의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19 kgf 이고,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폭 1mm 당 21 kgf이다.
이후, 상기 표 3과 같은 구조로 두께가 12 μm인 폴리비닐알코올 편광막의 양측에 비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각각 접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열 조건(80℃, 24 시간)에서의 벤딩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200 mm × 150 mm 사이즈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샘플은 흡수축의 방향의 길이가 길도록, 즉 흡수축의 방향의 길이가 200 mm인 샘플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09899918-pat00001
상기 제조된 200 mm × 150 mm 사이즈의 편광판을 크기가 210 mm × 160 mm인 유리기판(두께 0.4mm)의 중앙에 부착하여 샘플을 제조했다. 이후, 유리기판에 부착한 샘플을 80℃인 chamber에 24 시간 방치했다. Chamber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에 꺼내고, 이후, 상온(25도, 습도 50%)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에 벤딩(bending)을 측정했다.
이때, 벤딩의 정도의 측정은 평평한 석정반에 시료를 놓고(유리기판이 석정반과 맞닿도록 놓음) 하기 그림과 같이 석정반으로부터 위로 올라온 정도를 하기 1 내지 8의 위치에서 자를 이용해서 측정하거나, 이를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석정반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가장 큰 값을 편광판의 벤딩량으로 정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벤딩방향의 수축력(X축)과 벤딩량(Y축)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그래프는 도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09899918-pat00002
Figure 112018009899918-pat00003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PSA 반대측 필름 6 kgf/mm 20 kgf/mm 19 kgf/mm
편광막 35 kgf/mm 35 kgf/mm 35 kgf/mm
PSA측 필름 6 kgf/mm 6 kgf/mm 16 kgf/mm
합계(편광판) 47 kgf/mm 61 kgf/mm 70 kgf/mm
벤딩량 4.6 mm 5.6 mm 6.5 mm
[실험예 2]
내습열(60℃, 습도 90%, 24 시간) 조건 하에 벤딩실험
유리기판에 부착한 샘플을 60℃, 습도 90%인 chamber에 24 시간 방치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하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벤딩방향의 수축력(X축)과 벤딩(Y축)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그래프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PSA 반대측 필름 6 kgf/mm 20 kgf/mm 19 kgf/mm
편광막 35 kgf/mm 35 kgf/mm 35 kgf/mm
PSA측 필름 6 kgf/mm 6 kgf/mm 16 kgf/mm
합계(편광판) 47 kgf/mm 61 kgf/mm 70 kgf/mm
벤딩량 1.2 mm 2.4 mm 3.0 mm
1: 편광판
2, 3: 보호필름
4, 5: 접착제층
6: 편광막
7: 감압 접착제

Claims (8)

  1. 편광막; 상기 편광막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막의 타측에 구비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의 수축력이 폭 1mm 당 13 kgf 이하이며,
    상기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이 폭 1mm 당 25 내지 45 kgf이고,
    상기 편광막의 두께는 5 내지 40㎛ 이고,
    상기 수축력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인 편광판:
    1. 상온(25℃) 상습(50%)의 환경에서 시료의 폭을 10mm, 길이를 150mm로 재단한 후에 시료를 세로로 설치했고,
    2. 시료의 아래쪽은 고정시키고, 반대쪽을 위로 잡아 당겼으며,
    3. 시료를 강제로 연신시키면서 연신율(percentage strain)과 필름에 걸리는 힘(load)을 동시에 측정하여 연신율-힘 그래프를 얻어냈고,
    4. 상기 연신율-힘 그래프에서 접선의 기울기 중 가장 가파른 기울기로 수축력을 구했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막인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은 각각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TAC(triacetylcellulose)계 필름, COC(cycloolefin copolymer)계 필름, PNB(polynorbornene)계 필름 및 PET(polyethylene terephtalate)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편광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수축력이 폭 1mm 당 10 kgf 이하인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위치된 감압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은 UV 흡수제, 안티블로킹제(anti-blocking agent),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및 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중 적어도 하나 위에 반사방지층, 저반사 코팅층, UV 흡수층, 휘도향상층, 정전기 방지 코팅층, 안티글레어(Anti glare)층, 액정코팅층 및 하드코팅층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층이 추가로 구비된 것인 편광판.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80010618A 2018-01-29 2018-01-29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18A KR101919928B1 (ko) 2018-01-29 2018-01-29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18A KR101919928B1 (ko) 2018-01-29 2018-01-29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682A Division KR20160017023A (ko) 2016-01-29 2016-01-29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798A KR20180014798A (ko) 2018-02-09
KR101919928B1 true KR101919928B1 (ko) 2018-11-20

Family

ID=6119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618A KR101919928B1 (ko) 2018-01-29 2018-01-29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3143B (zh) * 2017-07-14 2020-01-2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偏光板以及顯示裝置
CN111712742B (zh) 2018-06-29 2022-06-28 株式会社Lg化学 偏光板、液晶面板和显示装置
KR20200002427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097A (ja) * 2003-10-21 2005-05-19 Sekisui Chem Co Ltd 偏光板
JP2005148567A (ja) * 2003-11-18 2005-06-09 Sekisui Chem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4546017B2 (ja) * 2002-06-14 2010-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2048046A (ja) * 2010-08-27 2012-03-08 Nitto Denko Corp 光学機能フィルム連続ロ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学機能フィルム貼り合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6017B2 (ja) * 2002-06-14 2010-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5128097A (ja) * 2003-10-21 2005-05-19 Sekisui Chem Co Ltd 偏光板
JP2005148567A (ja) * 2003-11-18 2005-06-09 Sekisui Chem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2012048046A (ja) * 2010-08-27 2012-03-08 Nitto Denko Corp 光学機能フィルム連続ロ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学機能フィルム貼り合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798A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88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50565B1 (ko)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2974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919928B1 (ko)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492848B (zh) 凹凸追隨性積層構件及使用它之附有觸控面板之顯示裝置
CN106054437B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组、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JP200923748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593816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47958A (ko)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이에 이용하는 광학 적층체
KR20230067701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677781B1 (ko)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160017023A (ko)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089093B2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648221B1 (ko) 요철 추종성 적층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터치 패널 부착 표시장치
CN110892317B (zh) 偏光板和包括其的液晶显示装置
JP7526631B2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30088487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30084309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2335859A (zh) 保護薄膜、偏光板、偏光板之製造方法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20230067700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20005619A (ko)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WO2019031060A1 (ja) 入力装置およびプラスチックカバーとフィルムセンサとが積層された入力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