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092A - 자동 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092A
KR20190008092A KR1020180075184A KR20180075184A KR20190008092A KR 20190008092 A KR20190008092 A KR 20190008092A KR 1020180075184 A KR1020180075184 A KR 1020180075184A KR 20180075184 A KR20180075184 A KR 20180075184A KR 20190008092 A KR20190008092 A KR 20190008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ransmission
oil pump
primary pulley
electr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히사 유카와
가츠노리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2Cleaning of lubricants, e.g. filters or magnets
    • F16H57/0404Lubrican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3Controlled cooling or heating of lubricant; Temperature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6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과제] 음진 성능의 악화를 억제한다.
[해결 수단] 자동 변속기(1)는, 오일 쿨러(20)와, 전동 오일 펌프(21)와, 배리에이터(2)를 갖는다. 배리에이터(2)는, 프라이머리 풀리(3)와, 세컨더리 풀리(4)와, 프라이머리 풀리(3) 및 세컨더리 풀리(4)에 감아 걸린 동력 전달 부재(5)를 갖는다. 회전축 X1 방향으로부터 보아,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인 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은, 세컨더리 풀리(4)의 축 중심인 회전축 X2를 통과하는 연직선 V2와, 오일 쿨러(20) 사이에 위치한다.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은, 세컨더리 풀리(4)의 축 중심 회전축 X2를 통과하는 연직선 V2와, 전동 오일 펌프(21) 사이에 위치한다. 전동 오일 펌프(21)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1a)는, 오일 쿨러(20)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0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전동 오일 펌프를, 변속기 케이스의 외주에 부설한 자동 변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98338호 공보
차량용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CVT)에서는, 구동원과 CVT의 공진(파워 플랜트 공진)이 발생하고 있다. 공진의 정도는,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로부터 이격될수록 커진다. CVT에서는,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는, 프라이머리 풀리축이다.
그 때문에, CVT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일수록, 공진에 의한 진동이 커져,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정도(음향 파워 레벨)가 커진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에 부설된 전동 오일 펌프(21)가,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프라이머리 풀리축(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파워 플랜트 공진으로 진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21)의 진폭이 커진다.
그렇게 하면, 전동 오일 펌프(21)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정도(음향 파워 레벨)는, 전동 오일 펌프(21)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축(31)측에 배치된 오일 쿨러(20)보다도 큰 것이 된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동 오일 펌프(21)는, 오일 쿨러(20)보다도 높은 음향 파워 레벨을 갖고 있다.
전동 오일 펌프(21)의 음향 파워 레벨은, 전동 오일 펌프(21)가 대형화되어 중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변속기 케이스의 외주에 전동 오일 펌프를 부설하면,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로부터의 거리와, 전동 오일 펌프 자신의 중량에 따라, 음진 성능이 악화된다.
그래서, 음진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오일 쿨러와,
전동 오일 펌프와,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와,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 및 상기 세컨더리 풀리에 감아 걸린 동력 전달 부재를 갖는 배리에이터를 갖고,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은, 상기 세컨더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상기 오일 쿨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은, 상기 세컨더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상기 전동 오일 펌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동 오일 펌프의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측의 단부는, 상기 오일 쿨러의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자동 변속기로 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진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단 변속기의 각 구성 요소의 변속기 케이스 내에서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전동 오일 펌프와 변속기 컨트롤러와 오일 쿨러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전동 오일 펌프와 변속기 컨트롤러의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배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전동 오일 펌프와 변속기 컨트롤러의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배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전동 오일 펌프와 변속기 컨트롤러의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배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변속기 컨트롤러와 오일 쿨러의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배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종래예에 관한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전동 오일 펌프와 변속기 컨트롤러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이하, 자동 변속기라고 표기한다)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자동 변속기(1)의 각 구성 요소의 변속기 케이스(10) 내에서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변속기 케이스(10) 내에 배치된 배리에이터(2)와, 기어열(6)과, 파이널 기어(7)와, 차동 장치(8)를, 간략적으로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변속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ATCU)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변속기 케이스(10)의 전동 오일 펌프(21) 주위의 확대도이다. 도 2의 (b)는, 변속기 케이스(10)를, 도 2의 (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덮개부(126)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의 벨트식의 자동 변속기(1)(CVT)의 배리에이터(2)는, 프라이머리 풀리(3)와, 세컨더리 풀리(4)와, 동력 전달 부재(5)(벨트)를 갖고 있다.
동력 전달 부재(5)는, 양측에 슬릿을 갖는 판형 엘리먼트를 적층하여 환형으로 배치하고, 엘리먼트의 각각을, 슬릿을 삽입 관통시킨 환형 링으로 결속하여 구성된 벨트이다.
프라이머리 풀리(3)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의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어 회전축 X1(프라이머리 풀리의 축 중심) 주위로 회전한다.
세컨더리 풀리(4)는, 회전축 X1에 평행한 회전축 X2(세컨더리 풀리의 축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5)는, 프라이머리 풀리(3)의 외주와 세컨더리 풀리(4)의 외주에 감아 걸려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3)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동력 전달 부재(5)를 통하여 세컨더리 풀리(4)로 전달된다.
배리에이터(2)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3)로부터 세컨더리 풀리(4)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때에 프라이머리 풀리(3)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부재(5)의 감아 걸기 반경과, 세컨더리 풀리(4)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부재(5)의 감아 걸기 반경이 변경된다.
이에 의해, 프라이머리 풀리(3)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이, 원하는 변속비로 변속되어, 세컨더리 풀리(4)로 전달된다.
여기서, 변속비는, 프라이머리 풀리(3)와 세컨더리 풀리(4)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부재(5)의 감아 걸기 반경에 따라 결정된다. 감아 걸기 반경은, 자동 변속기(1)를 탑재한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기초하여, 자동 변속기(1)의 변속기 컨트롤러(9)(ATCU)가 결정한다.
세컨더리 풀리(4)로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기어열(6)과, 파이널 기어(7)와, 차동 장치(8)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구동륜(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리에이터(2)와, 기어열(6)과, 파이널 기어(7)로, 변속 기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수평선 H1은, 세컨더리 풀리(4)의 회전축 X2를 통과하는 수평선 H2보다도,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과, 세컨더리 풀리(4)의 회전축 X2는, 연직선 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3)가, 세컨더리 풀리(4)보다도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연직선」은, 중력 방향과 평행한 선을 의미하고, 용어 「수평선」은, 중력 방향과 수직인 선을 의미한다.
기어열(6) 및 파이널 기어(7)와, 세컨더리 풀리(4)는, 세컨더리 풀리(4)의 회전축 X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기어열(6)과 파이널 기어(7)는, 세컨더리 풀리(4)보다도 지면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의 경우, 변속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3)와 세컨더리 풀리(4)가 지면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기어열(6)과 파이널 기어(7)가 지면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변속기 케이스(10)는, 지면 앞쪽과 안쪽에 깊이를 갖고 있고, 변속기 케이스(10)보다도 지면 앞쪽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이 위치하고 있다.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에는, 오일 팬(15)이 설치되어 있다. 오일 팬(15)은,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측의 개구(16)를 막아,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에 오일 OL의 저류 공간이 되는 제3실(S3)을 형성한다.
제3실(S3) 내에는, 컨트롤 밸브 유닛(17)이 위치하고 있다. 컨트롤 밸브 유닛(17)도 또한,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부설된 오일 스트레이너(18)는, 오일 팬(15) 내에 저류시킨 오일 OL 내에 위치하고 있다.
변속기 케이스(10)의 주위벽(11)은, 변속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변속 기구부의 수용 공간이 되는 제1실(S1)을 형성한다.
이 제1실(S1)에는, 배리에이터(2)의 수용 공간이나, 기어열(6)과 파이널 기어(7)의 수용 공간이 포함된다.
변속기 케이스(10) 내의 공간은, 주위벽(11)의 하부에 형성한 구획벽(111)에 의해, 오일 팬(15)측의 제3실(S3)과, 변속 기구부(배리에이터(2))측의 제1실(S1)로 구획되어 있다.
주위벽(11)은, 프라이머리 풀리(3)의 근방을 연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벽부(12)를 갖고 있다. 이 구획벽부(12)는, 자동 변속기(1)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라디에이터 RAD)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획벽부(12)의 외주에는, 오일 쿨러(20)와 전동 오일 펌프(21)가 부설되어 있다. 구획벽부(12)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21)는, 오일 쿨러(20)보다도 오일 팬측(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 방향으로부터 보아,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은, 세컨더리 풀리(4)의 회전축 X2를 통과하는 연직선 V2와, 오일 쿨러(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 방향으로부터 보아,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의 위치는, 세컨더리 풀리(4)의 회전축 X2를 통과하는 연직선 V2와, 전동 오일 펌프(21) 사이여도 된다.
구획벽부(12)는, 오일 쿨러(20)가 부설된 제1벽(121)과, 전동 오일 펌프(21)가 부설된 제2벽(122)을 갖고 있다. 제2벽(122)은,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1벽(12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수평선 H1 방향에 있어서의 제1벽(121)의 두께 W1은, 수평선 H1 방향에 있어서의 제2벽(122)의 두께 W2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제2벽(122)의 전동 오일 펌프(21)측의 표면(122a)은, 제1벽(121)의 오일 쿨러(20)측의 표면(121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축(3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평선 H1 방향에 있어서의 전동 오일 펌프(21)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도면 중 좌측)의 단부(21a)는, 수평선 H1 방향에 있어서의 오일 쿨러(20)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도면 중 좌측)의 단부(20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동 오일 펌프(21)의 단부(21a)와, 오일 쿨러(20)의 단부(20a)는, 수평선 H1 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전동 오일 펌프(21)의 무게 중심 쪽이, 오일 쿨러(20)의 무게 중심보다도, 회전축 X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벽(121)에는, 오일 필터(201)의 수용부(121b)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21b)는 연직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설치되어 있다. 오일 필터(201)는,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으로부터, 수용부(121b)에 대하여 착탈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쿨러(20)에서 냉각된 오일 OL이, 오일 필터(201)를 통하여, 제1실(S1)측으로 되돌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의 구획벽(111)은, 변속기 케이스(10) 내의 공간을, 오일 팬(15)측의 제3실(S3)과 변속 기구부(배리에이터(2))측의 제1실(S1)로 구획한다.
회전축 X1 방향으로부터 보아 구획벽(111)은, 구획벽부(12)의 제1벽(121)의 표면(121a)(외주면)보다도 외측(라디에이터 RAD측)까지 미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111)에서는, 제1벽(121)의 표면(121a)(외주면)보다도 외측(라디에이터 RAD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팽출 영역(111a)으로 되어 있다.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 영역(111a)의 상측에는, 벽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123)는, 제1벽(121)과 제2벽(122)의 경계부로부터, 변속기 케이스(10)의 외측(라디에이터 RAD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벽부(123)는, 수평선 H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10)에서는, 연직선 V1 방향에 있어서의 벽부(123)와 팽출 영역(111a) 사이에, 전동 오일 펌프(21)를 수용하는 제2실(S2)(전동 오일 펌프실)이 형성되어 있다.
제2실(S2) 내에서는, 전동 오일 펌프(21)가, 제2벽(122)의 표면(122a)(외주)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21)는, 구획벽(111)의 팽출 영역(111a)과 벽부(123)로,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제2실(S2)은, 변속기 케이스(10)의 외측(회전축 X1의 직경 방향 외측)에 개구되어 있으며, 이 제2실(S2)의 개구는, 라디에이터 RAD에 대향하고 있다.
제2실(S2)의 개구는, 수평선 H1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제2실(S2)의 개구는, 벽부(123)와 팽출 영역(111a)에 걸쳐 고정된 덮개부(126)로 밀봉되어 있다.
덮개부(126)에 있어서의 제2실(S2)과의 대향면에는, 오목부(1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26a)에, 자동 변속기(1)의 변속기 컨트롤러(9)(ATCU)가 설치되어 있다. 제2실(S2)의 개구를 덮개부(126)로 밀봉하면, 덮개부(126)에 설치한 변속기 컨트롤러(9)(ATCU)도 또한, 전동 오일 펌프(21)와 함께 제2실(S2) 내에 수용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26)에는, 변속기 컨트롤러(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12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27)는, 덮개부(126)의 표면(외측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덮개부(126)의 지면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는, 커넥터(127)에 접속된 외부 배선을 통하여, 차량에 탑재된 다른 제어 장치(예를 들어, 엔진 컨트롤 유닛)에 접속되어 있다.
제2실(S2)에는, 구획벽(111)의 팽출 영역(111a)에 형성한 연통 구멍(112)이 개구되어 있다. 연통 구멍(112)은, 팽출 영역(111a)을 연직선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연통 구멍(112)은, 제2실(S2)과, 오일 팬(15) 내의 제3실(S3)을, 최단 거리로 연통시키고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ATCU)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하니스(128)는, 연통 구멍(112)을 지나, 오일 팬(15)측으로 인출된 뒤,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접속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ATCU)는, 변속기 컨트롤러(9)(ATCU)가 차량측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예(도 7 참조)의 경우보다도 짧은 길이의 와이어 하니스(128)로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 유닛(17) 내에는, 오일 OL이 통류하는 유로, 오일 OL의 압력(유압)을 조압하는 조압 밸브, 오일 OL의 공급처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는, 조압 밸브나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등에, 와이어 하니스(128)를 통하여, 구동 신호(명령)를 출력한다. 또한, 변속기 케이스(10) 내에 설치한 센서 등의 출력 신호가, 와이어 하니스(128)를 통하여, 변속기 컨트롤러(9)에 입력된다.
전동 오일 펌프(21)가 고정된 제2벽(122)의 내부에는, 전동 오일 펌프(21)와 컨트롤 밸브 유닛(17)을 접속하는 유로(129)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129)는, 연직선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컨트롤 밸브 유닛(17)과 전동 오일 펌프(21)를 최단 거리로 연락시키고 있다.
전동 오일 펌프(21)가 구동되면, 오일 팬(15) 내의 오일 OL이, 오일 스트레이너(18)에 흡인된다. 오일 스트레이너(18)에 흡인된 오일 OL은, 컨트롤 밸브 유닛(17) 내의 유로(도시하지 않음)와 제2벽(122) 내의 유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동 오일 펌프(21)에 공급된다.
전동 오일 펌프(21)는, 흡인한 오일 OL을, 가압한 뒤에, 제2벽(122) 내의 유로(129)를 통하여,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공급한다.
또한, 이 유로(129)는, 제2벽(122)의 내부에서 연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컨트롤 밸브 유닛(17)과 전동 오일 펌프(21)를 최단 거리로 연락시키고 있다.
컨트롤 밸브 유닛(17)은, 변속기 컨트롤러(9)(ATCU)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전환 밸브나 조압 밸브를 구동하여, 자동 변속기(1)(배리에이터(2))의 구동이나 윤활에 필요한 유압을 조압한다.
그리고, 조압된 유압(오일)에 의해, 자동 변속기(1)가 구비하는 유압 구동 장치(예를 들어, 배리에이터(2)나, 도시하지 않은 마찰 체결 장치)가 구동됨과 함께, 윤활이 필요한 부위가 윤활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 변속기(1)에 있어서의, 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의 조립 수순을 설명한다.
변속기 케이스(10)에서는, 주위벽(11)의 외측면(회전축 X1의 직경 방향 외측의 표면)에서, 제2실(S2)가 개구되어 있다.
처음에, 전동 오일 펌프(21)를, 제2실(S2)의 개구로부터, 제2실(S2) 내로 삽입한 뒤, 전동 오일 펌프(21)를, 제2실(S2)의 안에서 노출되는 제2벽(122)의 표면(122a)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오목부(126a)에 변속기 컨트롤러(9)(ATCU)가 설치된 상태의 덮개부(126)를 준비해 두고, 변속기 컨트롤러(9)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하니스(128)의 선단측을 연통 구멍(112)에 삽입한다.
연통 구멍(112)에 삽입한 와이어 하니스(128)를, 제3실(S3)측에 인출한 뒤,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설치한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와이어 하니스(128)가 접속된 컨트롤 밸브 유닛(17)을,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에 볼트로 고정한다.
제2실(S2)의 개구를, 덮개부(126)에 있어서의 변속기 컨트롤러(9)측의 면으로 막아, 덮개부(126)의 주연부를, 변속기 케이스(10)의 팽출 영역(111a)과 벽부(123)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이때에, 와이어 하니스(128)는, 제2실(S2) 내의 간극에 수용한다.
여기서, 제2실(S2)은, 제1실(S1) 및 제3실(S3)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된 공간이다. 제2실(S2)은, 변속기 케이스(10)의 제2벽(122)으로, 제1실(S1)로부터 구획되어 있으며, 구획벽(111)의 팽출 영역(111a)으로, 제3실(S3)으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제2실(S2)은, 변속 기구부(회전체)를 수용하는 제1실(S1)이나, 오일을 저류하는 제3실(S3)으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팽출 영역(111a)에는, 제2실(S2)과 제3실(S3)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연통 구멍(112)은, 이 연통 구멍(112) 내에 설치된 와이어 하니스(128)로, 개구 범위가 좁혀져 있다.
또한, 제3실(S3)에는, 제1실(S1)과는 달리, 오일을 쓸어올리는 회전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2실(S2)은,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3실(S3)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3실(S3) 내의 작동유(오일)는, 제2실(S2) 내로 유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어, 제2실(S2) 내에 설치된 변속기 컨트롤러(9)가, 고온이며 또한 대량의 작동유(오일)에 상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연통 구멍(112)은, 팽출 영역(111a)을 연직선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연통 구멍(112)은, 제2실(S2)과 제3실(S3)을, 최단 거리로 연통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장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기 저항의 저감이 가능해져, 와이어 하니스(128)를 통하여 주고받는 신호(센서 신호, 명령)에 있어서의 에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장이 짧아진 만큼,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속기 컨트롤러(9)가 덮개부(126)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전동 오일 펌프(21)를 제2실(S2) 내에 설치한 후, 제2실(S2)의 개구를 덮개부(126)로 막음으로써, 변속기 컨트롤러(9)의 설치도 동시에 완료된다.
따라서, 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의 설치를, 거의 동시기에 행할 수 있으므로, 이들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를 따로따로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필요한 부품 개수가 적어지므로, 부품 개수의 삭감에 수반하는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적어지므로, 공간 절약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 변속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원의 회전 구동력이 자동 변속기(1)에 입력되면, 프라이머리 풀리(3)가 회전축 X1 주위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자동 변속기(1)에서는, 구동원의 진동과, 자동 변속기(1) 자신의 진동에 기인하는 공진(파워 플랜트 공진)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변속기 케이스(10)의 표면(외주)에 부설된 전동 오일 펌프(21)는, 파워 플랜트 공진의 영향으로,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시킨다.
전동 오일 펌프(21)는, 자동 변속기(1)의 구성 요소 중에서 비교적 중량이 크다. 그 때문에, 파워 플랜트 공진으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기여가 크다.
본원 발명자는,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진폭이 작은 곳)에 가까울수록, 공진에 의해 진동할 때의 진폭이 작아지는 것, 이에 의해,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음진)의 정도(음향 파워 레벨)가 작아져, 음진의 저감에 유효한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주위벽(11)의 외주에 부설된 전동 오일 펌프(21)가,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인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에 근접하도록, 주위벽(11)에 있어서의 전동 오일 펌프(21)가 부설된 영역에서의, 전동 오일 펌프(21)의 배치를 연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오일 펌프(21)가 고정된 제2벽(122)의 두께를, 오일 쿨러(20)가 고정된 제1벽(121)보다도 얇게 했다.
이에 의해, 제2벽(122)의 전동 오일 펌프(21)측의 표면(122a)이, 제1벽(121)의 오일 쿨러(20)측의 표면(121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축(31)의 근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동 오일 펌프(21)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1a)가, 오일 쿨러(20)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0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의 회전축 X1의 근처에 배치된다.
즉, 전동 오일 펌프(21)가,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프라이머리 풀리축(31))에 보다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했다. 이에 의해, 파워 플랜트 공진에 의해 진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21)의 진폭이 작아진다.
여기서, 파워 플랜트 공진에 기인하는 음향 파워 레벨은, 음원이 되는 것의 진폭이 작아질수록 저하된다.
따라서, 전동 오일 펌프(21)가,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에 보다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파워 플랜트 공진에 의해 진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의 진폭이 작아져, 진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가 발생하는 소음의 음향 파워 레벨이 작아진다.
즉, 음향 파워 레벨이 낮아져, 음진에 유리해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1)는, 이하의 구성을 갖고 있다.
(1) 자동 변속기(1)는, 오일 쿨러(20)와, 전동 오일 펌프(21)와, 배리에이터(2)를 갖는다.
배리에이터(2)는, 프라이머리 풀리(3)와, 세컨더리 풀리(4)와, 프라이머리 풀리(3) 및 세컨더리 풀리(4)에 감아 걸린 동력 전달 부재(5)를 갖는다.
회전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측으로부터 보아,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은, 세컨더리 풀리(4)의 축 중심(회전축 X2)을 통과하는 연직선 V2와, 오일 쿨러(20) 사이에 위치한다.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은, 세컨더리 풀리(4)의 축 중심(회전축 X2)을 통과하는 연직선 V2와, 전동 오일 펌프(21) 사이에 위치한다. 전동 오일 펌프(21)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1a)는, 오일 쿨러(20)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0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자동 변속기(1)(CVT)에서는, 구동원과 CVT의 공진(파워 플랜트 공진)이 발생하고 있다.
본원 발명자는, 이하의 점에 주목했다.
(a) 전동 오일 펌프의 설치 장소가,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진폭이 작은 곳)에 가까울수록, 음향 파워 레벨이 낮아져 음진에 대하여 유리하다.
(b) 전동 오일 펌프의 설치 장소가,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진폭이 작은 곳)로부터 멀어질수록 음진 성능이 악화된다.
(c) CVT에 있어서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는, 프라이머리 풀리축(31)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동 오일 펌프(21)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1a)를, 오일 쿨러(20)의 프라이머리 풀리(3)측의 단부(20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프라이머리 풀리축(31)에 전동 오일 펌프(21)를 접근시켜 배치했다.
이에 의해, 파워 플랜트 공진으로 전동 오일 펌프(21)가 진동할 때의 진폭이, 도 7에 도시하는 종래예에 관한 자동 변속기(1X)의 경우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정도(음향 파워 레벨)가 작아진다.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1)는, 이하의 구성을 더 갖고 있다.
(2)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과, 오일 쿨러(20) 사이에 제1벽(121)을 갖는다.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과, 전동 오일 펌프(21) 사이에 제2벽(122)을 갖는다.
제2벽(122)의 전동 오일 펌프(21)측의 표면(122a)은, 제1벽(121)의 오일 쿨러(20)측의 표면(121a)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변속기 케이스(10)의 주위벽(11)은, 제2벽(122)이, 제1벽(121)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측에 위치한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제2벽(122)이, 제1벽(121)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3)측에 오프셋하도록 변속기 케이스(10)(주위벽(11))를 설계함으로써, 전동 오일 펌프(21)의 단부(21a)를 프라이머리 풀리(3)에 접근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1)는, 이하의 구성을 더 갖고 있다.
(3) 제2벽(122)에 형성된 유로(129)를 통하여, 전동 오일 펌프(21)로부터 컨트롤 밸브 유닛(17)으로 오일 OL을 공급한다.
전동 오일 펌프가 변속기 케이스의 외주에 부설되어 있는 경우,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컨트롤 밸브 유닛으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변속기 케이스와는 별개의 부재로 설치한 전용 배관 튜브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의 제2벽(122)에 유로(129)를 설치함으로써, 변속기 케이스와는 별개의 부재로 설치한 전용 배관 튜브를 사용하지 않고, 제2벽(122)의 유로(129)를 사용하여, 전동 오일 펌프(21)로부터 컨트롤 밸브 유닛(17)으로 작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2벽(122)을 이용하여 유로(129)를 설치함으로써, 변속기 케이스와는 별개의 부재로 설치한 전용 배관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오일 펌프(21)와 컨트롤 밸브 유닛(17)을 연결하는 유로의 전장을 짧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1)(무단 변속기)는, 이하의 구성을 더 갖고 있다. (4) 변속 기구가 배치된 제1실(S1)(변속 기구실)과,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된 제2실(S2)(전동 오일 펌프실)과,
제2실(S2) 내에 배치된 변속기 컨트롤러(9)를 갖는다.
제1실(S1)과 제2실(S2)은, 구획벽부(12)에 의해 구획(분리)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1실(S1)(변속 기구실)과 분리된 제2실(S2)(전동 오일 펌프실) 내에 변속기 컨트롤러(9)를 배치함으로써, 변속기 컨트롤러(9)가 다량의 고온의 작동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 변속기(1)는, 이하의 구성을 더 갖고 있다.
(5) 컨트롤 밸브 유닛(17)이 배치된 제3실(S3)(컨트롤 밸브 유닛실)을 갖는다.
제2실(S2)과 제3실(S3)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112)(구멍)을 갖는다.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2실(S2)의 바로 아래에 제3실(S3)이 위치하고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와 컨트롤 밸브 유닛(17)은, 연통 구멍(112)을 삽입 관통된 와이어 하니스(12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연통 구멍(112)이, 제2실(S2)과 제3실(S3)을 최단 거리로 연통시키고 있으므로, 변속기 컨트롤러(9)와 컨트롤 밸브 유닛(17)을 연결하는 와이어 하니스(128)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와이어 하니스(128)의 길이가 짧아지면,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기 저항의 저하, 및/또는 비용의 저하를 기대할 수 있다.
자동 변속기(1)(무단 변속기)는, 이하의 구성을 더 갖고 있다.
(6) 변속 기구가 배치된 제1실(S1)과,
변속기 컨트롤러(9)가 배치되는 제2실(S2)과,
제2실(S2)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덮개부(126)를 갖고,
변속기 컨트롤러(9)는 덮개부(126)에 탑재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를 덮개부(126)에 탑재해 두면, 덮개부(126)를 변속기 케이스(10)에 설치하여 제2실(S2)을 형성했을 때에, 변속기 컨트롤러(9)도 또한, 제2실(S2) 내에 동시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변속기 컨트롤러(9)가 덮개부(126)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변속기 컨트롤러(9)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변속기 컨트롤러(9)가 덮개부(126)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 부품 등이 별도로 필요하다. 변속기 컨트롤러(9)가 덮개부(126)에 탑재되어 있음으로써,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오일 펌프(21)를 수용하는 제2실(S2) 내의 공간을 이용하여,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므로, 제2실(S2)의 외부에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간 절약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부(126)에 있어서의 제2실(S2)과의 대향면에 오목부(1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26a) 내에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다.
덮개부(126)에 오목부(126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덮개부(126)에 있어서의 제2실(S2)과의 대향면에, 변속기 컨트롤러(9)를 고정함으로써, 덮개부(126)와 변속기 컨트롤러(9)를 조립하도록 해도 된다.
자동 변속기(1)(무단 변속기)는, 이하의 구성을 더 갖고 있다.
(7) 변속기 컨트롤러(9)와 접속되는 커넥터(127)를 갖고 있다.
커넥터(127)는 덮개부(126)에 탑재되고, 변속기 케이스(1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커넥터(127)를 덮개부(126)에 탑재해 둠으로써, 덮개부(126)의 변속기 케이스(10)측으로의 설치를 완료한 시점에서, 변속기 컨트롤러(9)와 커넥터(127)의 조립도 완료된다.
따라서, 커넥터(127)가 덮개부(126)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127)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 부품 등이 별도로 필요하다. 커넥터(127)가 덮개부(126)에 탑재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127)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27)가 덮개부(12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 케이스(10)의 다른 부위에 커넥터(127)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절약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27)가 덮개부(126)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다. 커넥터(127)는, 덮개부(126)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덮개부(126)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자동 변속기(1)(무단 변속기)의 제조 방법으로서도 특정할 수 있다.
즉,
(8) 변속 기구가 배치된 제1실(S1)과,
변속기 컨트롤러(9) 및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되는 제2실(S2)과,
제2실(S2)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덮개부(126)를 갖는 자동 변속기의 제조 방법이며,
전동 오일 펌프(21)를 제2실(S2) 내에 배치한 후, 변속기 컨트롤러(9)가 탑재된 덮개부(12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1)의 제조 방법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를 대략 동시기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수순으로 설치 작업을 행함으로써, 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a) 전동 오일 펌프(21)의 제2실(S2) 내에의 설치를 먼저 행한다.
(b) 변속기 컨트롤러(9)가 탑재된 덮개부(126)를, 변속기 케이스(10)측에 설치하여 제2실(S2)의 개구를 폐쇄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특징을, 필요에 따라 효과와 함께 열거한다.
(9)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수평선 H1은, 세컨더리 풀리(4)의 축 중심(회전축 X2)을 통과하는 수평선 H2보다도,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동 오일 펌프(21)는,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오일 쿨러(20)의 하방에 위치한다.
2개의 풀리(프라이머리 풀리(3), 세컨더리 풀리(4))의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하 관계에 따라, 전동 오일 펌프(21)와 오일 쿨러(20)의 상하 관계를 정함으로써, 전동 오일 펌프(21)를 프라이머리 풀리(3)에 접근할 수 있다.
(10) 회전축 X1 방향으로부터 보아, 오일 쿨러(20)와 컨트롤 밸브 유닛(17) 사이에, 전동 오일 펌프(21)가 위치한다.
제2벽(122)에 형성된 유로(129)를 통하여 전동 오일 펌프(21)로부터 컨트롤 밸브 유닛(17)으로 오일을 공급한다.
유로(129)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변속기 케이스(10)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11) 자동 변속기(1)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회전축 X1 방향으로부터 보아, 차량에 탑재된 라디에이터 RAD와,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 사이에, 오일 쿨러(20) 및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되어 있다.
오일 쿨러(20) 및 전동 오일 펌프(21)는, 차량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라디에이터 RAD와 변속기 케이스(10) 사이의 간극을 활용하여, 전동 오일 펌프(21)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동 오일 펌프(21)를 변속기 케이스(10)의 외주(표면)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차량측에서의 레이아웃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12) 제2벽(122)을 포함하는 제2실(S2)(전동 오일 펌프실) 내에,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되어 있다.
제2실(S2) 내에, 변속기 컨트롤러(9)(ATCU)가 배치되어 있다.
자동 변속기(1)를 탑재하는 차량이, 엔진과 모터의 양쪽을 구동원으로서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에는, 또한 MCU(모터 컨트롤러)를 제2실(S2) 내에 배치한다.
풀리(프라이머리 풀리(3), 세컨더리 풀리(4))를 수용하는 제1실(S1)은, 다량의 작동유(오일)에 노출되는 환경 하에 있다. 컨트롤러(변속기 컨트롤러(9), 모터 컨트롤러)를, 제1실(S1)로부터 구획된 방인 제2실(S2)에 둠으로써, 컨트롤러(변속기 컨트롤러(9), 모터 컨트롤러)가 다량의 고온의 작동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3) 회전축 X1 방향으로부터 보아, 오일 쿨러(20)와, 프라이머리 풀리(3)의 축 중심(회전축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V1 사이에, 오일 필터(201)가 배치되어 있다.
오일 필터(201)는, 오일 쿨러(20)가 부설된 제1벽(12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오일 쿨러(20)가 부설된 제1벽(121)의 수평선 H1 방향의 두께 W1은, 전동 오일 펌프(21)가 부설된 제2벽(122)의 수평선 H1 방향의 두께 W2보다도 두껍다.
제1벽(121)의 수평선 H1 방향의 두께 W1과, 제2벽(122)의 수평선 H1 방향의 두께 W2를 상이하게 하여, 프라이머리 풀리축(31)부터 오일 쿨러(20)까지의 거리를, 프라이머리 풀리축(31)부터 전동 오일 펌프(21)까지의 거리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즉, 제1벽(121)과 제2벽(122)의 두께를 상이하게 하여, 오일 쿨러(20)를, 전동 오일 펌프보다도 프라이머리 풀리축(31)으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하여 배치한다.
이에 의해, 오일 필터(201)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제1벽(121) 내에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필터(201)를 오일 쿨러(20)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오일 필터(201)와 오일 쿨러(20)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면, 오일 필터(201)와 오일 쿨러(20)를 연통시키는 긴 튜브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오일 필터(201)를 오일 쿨러(20)의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긴 튜브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 쿨러(20)보다도 질량이 큰 전동 오일 펌프(21) 쪽을, 파워 플랜트 공진의 마디(프라이머리 풀리축(31))에 보다 접근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워 플랜트 공진에 의해 진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21)의 진폭이 작아져, 진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21)가 발생하는 소음의 음향 파워 레벨이 작아진다.
(14) 제2실(S2)(전동 오일 펌프(21)와 변속기 컨트롤러(9)가 수용된 방)과, 제3실(S3)(컨트롤 밸브 유닛(17)이 배치된 방) 사이에, 제2실(S2)과 제3실(S3)을 구획하는 구획벽(111)(제3벽)을 갖는다.
구획벽(111)에 있어서의 팽출 영역(111a)에, 제2실(S2)과 제3실(S3)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12)은, 연직선을 따르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실(S2)과 제3실(S3)을 최단 거리로 연통시키고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와 컨트롤 밸브 유닛(17)은, 연통 구멍(112)을 삽입 관통시킨 와이어 하니스(12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와 컨트롤 밸브 유닛(17)을 접속하는 와이어 하니스(128)를 짧게 할 수 있어, 와이어 하니스(128)의 저항 및 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3, 도 4는, 변속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변속기 컨트롤러(9)의 배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벽부(12)의 제2벽(122)과, 벽부(123)와, 팽출 영역(111a)과, 덮개부(126)로, 전동 오일 펌프(21)를 수용하는 제2실(S2)(전동 오일 펌프실)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자동 변속기(1A)와 같이, 수평선 H1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26a)의 깊이를 깊게 한 덮개부(126A)를 채용함으로써, 제2벽(122)의 외주에 부설한 덮개부(126A)만으로 제2실(S2)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실(S2) 내에 있어서 변속기 컨트롤러(9)가, 덮개부(126)의 오목부(126a) 내에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다.
도 4에 도시하는 자동 변속기(1B)와 같이, 변속기 컨트롤러(9)를,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 영역(111a)의 상측면(111b)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변속기 컨트롤러(9)가 덮개부(126)의 오목부(126a)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변속기 컨트롤러(9)를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장을 더욱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하니스(128)를 통하여 주고받는 신호(센서 신호, 명령)에 있어서의 에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실(S2)이, 전동 오일 펌프(21)를 수용하는 전동 오일 펌프실이며, 변속기 컨트롤러(9)(ATCU)를 이 전동 오일 펌프실에 수용한 경우를 예시했다.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는 장소는, 제2실(S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밸브 유닛(17)이나 오일 필터(201) 등의 자동 변속기가 구비하는 다른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실이어도 된다.
도 5는 변속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변속기 컨트롤러(9)의 배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변속기 컨트롤러(9)를, 제3실(S3)(컨트롤 밸브 유닛실)에 배치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자동 변속기(1C)에서는, 변속기 컨트롤러(9)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51)가, 오일 팬(15)에 설치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는, 오목부(15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3실(S3)(컨트롤 밸브 유닛실)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는, 오목부(151)에 수용된 상태에서, 오일 팬(15)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어 있다.
즉, 자동 변속기(1C)는, 이하의 구성을 갖고 있다.
(15) 변속 기구가 배치된 제1실(S1)과,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되는 제2실(S2)과,
컨트롤 밸브 유닛(17)이 배치되는 제3실(S3)을 갖는다.
제3실(S3)은,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일 팬(15)(덮개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는, 오일 팬(15)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기존의 오일 팬(15)에 변속기 컨트롤러(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기 위하여, 오일 팬(15) 주위의 큰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오일 팬(15)에 형성한 오목부(151)에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변속기 컨트롤러(9)를 기존의 오일 팬(15)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증가에 의한 제작 비용의 상승을 적합하게 방지하면서, 변속기 컨트롤러(9)와 컨트롤 밸브 유닛(17)을 짧은 거리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변속기 컨트롤러(9)가,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더욱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장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기 저항의 저감이 가능해져, 와이어 하니스(128)를 통하여 주고받는 신호(센서 신호, 명령)에 있어서의 에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하니스(128)의 전장이 짧아진 만큼,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의 자동 변속기(1C)의 경우에는, 상기한 자동 변속기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이 특정할 수 있다.
(16) 자동 변속기는, 변속 기구가 배치된 제1실(S1)(변속 기구실)과,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되는 제2실(S2)과,
컨트롤 밸브 유닛(17)이 배치되는 제3실(S3)을 갖는다.
제3실(S3)은,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에 고정한 오일 팬(15)의 내측에 형성된다. 변속기 컨트롤러(9)는, 오일 팬(15)에 설치되어 있다.
자동 변속기(1C)는, 변속기 컨트롤러(9)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하니스(128)를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접속한 후, 컨트롤 밸브 유닛(17)을 제3실(S3)에서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에 고정하고, 변속기 컨트롤러(9)가 설치된 오일 팬(15)을 변속기 케이스(10)에 설치하고, 변속기 케이스(10)의 하부의 개구(16)를 오일 팬(15)으로 막아 제3실(S3)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컨트롤 밸브 유닛(17)(다른 부재)과 변속기 컨트롤러(9)를 동시에 설치할 때는, 오일 팬(15)(덮개부)을 나중에 설치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해진다.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으므로, 제작 비용의 상승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변속기 컨트롤러(9)의 변속기 케이스(10)에 있어서의 배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구획벽부(12)의 상부에 오일 쿨러(20)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 변속기(1D)의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자동 변속기(1D)의 변속기 케이스(10)의 구획벽부(12)에서는,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1벽(121)의 상부에, 오일 쿨러(20)가 설치되어 있다.
제1벽(121)은, 오일 팬(15)측의 제2벽(122)보다도 수평선 H2 방향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제1벽(121)에는, 오일 필터(201)의 수용부(121c)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21c)는 수평선 H2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설치되어 있다. 오일 필터(201)는, 수평선 H2 방향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수용부(121c)에 대하여 착탈된다.
자동 변속기(1D)의 경우에도, 오일 쿨러(20)에서 냉각된 오일 OL이, 오일 필터(201)를 통하여, 제1실(S1)측으로 되돌려진다.
구획벽부(12)에서는, 차량 전방측의 표면에, 수용부(121c)의 개구를 막기 위한 덮개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126)는, 구획벽부(12)와의 대향면에 오목부(126a)를 갖고 있으며, 이 오목부(126a) 내에 변속기 컨트롤러(9)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126)의 표면에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변속기 컨트롤러(9)는, 커넥터(127)에 접속된 외부 배선을 통하여, 차량에 탑재된 다른 제어 장치(예를 들어, 엔진 컨트롤 유닛)에 접속되어 있다.
덮개부(126)는, 제1벽(121)과 제2벽(12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벽부(12)와 덮개부(126)의 오목부(126a) 사이의 영역이, 오일 필터(201)를 외부로부터 구획하기 위한 필터실(제4실(S4))로 되어 있다.
제2벽(122)에 있어서의 덮개부(126)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제4실(필터실)(S4)과 제3실(S3)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130)이 개구되어 있다.
변속기 컨트롤러(9)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하니스(128)는, 연통 구멍(130)을 통하여, 제3실(S3) 내로 인출되어 있으며, 제3실(S3) 내에서 컨트롤 밸브 유닛(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자동 변속기(1D)에서는, 오일 필터(201)는 제4실(S4)에 배치되어 있고, 오일 쿨러(20)에 관계된 부재인 덮개부(126)를 제4실(S4)의 덮개로서 사용하고 있다.
오일 쿨러(20)를 전동 오일 펌프(21)보다도 약간 떨어지게 함으로써, 오일 필터(201)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필터(201)를 오일 쿨러(20)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필터(201)와 오일 쿨러(20)를 연통시키는 긴 튜브가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자동 변속기(1D)는, 이하의 구성을 갖고 있다.
(17) 변속 기구가 배치된 제1실(S1)과,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되는 제2실(S2)과,
오일 쿨러(20)의 오일 필터(201)의 필터실이 되는 제4실(S4)과,
제4실(S4)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덮개부(126)를 갖고,
변속기 컨트롤러(9)는 덮개부(126)에 탑재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오일 필터(201)의 기존의 필터실(수용실)을 구획 형성하는 덮개부(126)에, 변속기 컨트롤러(9)를 설치했으므로, 변속기 컨트롤러(9)를 오일 필터(201)의 수용실인 제4실(S4)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변속기 컨트롤러(9)의 설치를 위한 비용 상승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자동 변속기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이 특정할 수 있다.
(16) 자동 변속기는, 변속 기구가 배치된 제1실(S1)(변속 기구실)과,
전동 오일 펌프(21)가 배치되는 제2실(S2)과,
오일 필터(201)의 수용실인 제4실(S4)과,
제4실(S4)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덮개부(126)를 갖는다.
변속기 컨트롤러(9)는 덮개부(126)에 탑재되어 있다.
자동 변속기는, 오일 필터(201)를 제4실(S4) 내에 배치한 후, 변속기 컨트롤러(9)가 설치된 덮개부(126)를 설치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오일 필터(201)(다른 부재)와 변속기 컨트롤러(9)를 동시에 설치할 때는, 덮개부(126)를 나중에 설치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해진다.
오일 쿨러(20)측의 부품에, 변속기 컨트롤러(9) 및/또는 커넥터를 탑재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식의 무단 변속 기구의 경우를 예시했지만, 차량용의 벨트식의 자동 변속기(1)(CVT)의 동력 전달 부재(5)는, 프라이머리 풀리(3)와 세컨더리 풀리(4)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 가능한 것이면 된다.
따라서, 무단 변속기는 체인식의 무단 변속 기구여도 된다.
이상,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나타낸 양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 1A 내지 1D: 자동 변속기
10: 변속기 케이스
11: 주위벽
111: 구획벽
111a: 팽출 영역
111b: 상측면
112: 연통 구멍
112a: 표면
12: 구획벽부
121: 제1벽
121a: 표면
121b: 수용부
121c: 수용부
122: 제2벽
122a: 표면
123: 벽부
126, 126A: 덮개부
126a: 오목부
127: 커넥터
128: 와이어 하니스
129: 유로
130: 연통 구멍
15: 오일 팬
151: 오목부
16: 개구
17: 컨트롤 밸브 유닛
18: 오일 스트레이너
2: 배리에이터
20: 오일 쿨러
20a: 단부
21: 전동 오일 펌프
21a: 단부
201: 오일 필터
3: 프라이머리 풀리
31: 프라이머리 풀리축
4: 세컨더리 풀리
41: 세컨더리 풀리축
5: 동력 전달 부재(벨트)
6: 기어열
7: 파이널 기어
8: 차동 장치
9: 변속기 컨트롤러
H1, H2: 수평선
OL: 오일(작동유)
RAD: 라디에이터
S1: 제1실
S2: 제2실
S3: 제3실
S4: 제4실
V1, V2: 연직선
X1, X2: 회전축

Claims (3)

  1. 오일 쿨러와,
    전동 오일 펌프와,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와,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 및 상기 세컨더리 풀리에 감아 걸린 동력 전달 부재를 갖는 배리에이터를 갖고,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은, 상기 세컨더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상기 오일 쿨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은, 상기 세컨더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상기 전동 오일 펌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동 오일 펌프의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측의 단부는, 상기 오일 쿨러의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상기 오일 쿨러의 사이에 제1벽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축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과, 상기 전동 오일 펌프 사이에 제2벽을 갖고,
    상기 제2벽의 상기 전동 오일 펌프측의 표면은, 상기 제1벽의 상기 오일 쿨러측의 표면보다도,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컨트롤 밸브 유닛으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KR1020180075184A 2017-07-14 2018-06-29 자동 변속기 KR20190008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8492A JP7117831B2 (ja) 2017-07-14 2017-07-14 自動変速機
JPJP-P-2017-138492 2017-07-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38A Division KR102113129B1 (ko) 2017-07-14 2020-03-18 자동 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92A true KR20190008092A (ko) 2019-01-23

Family

ID=650490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184A KR20190008092A (ko) 2017-07-14 2018-06-29 자동 변속기
KR1020200033338A KR102113129B1 (ko) 2017-07-14 2020-03-18 자동 변속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38A KR102113129B1 (ko) 2017-07-14 2020-03-18 자동 변속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17831B2 (ko)
KR (2) KR20190008092A (ko)
CN (1) CN1092532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8845B2 (ja) * 2019-04-11 2023-05-22 ニデック株式会社 駆動装置
JP7120204B2 (ja) * 2019-11-05 2022-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338A (ja) 2003-09-24 2005-04-14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電動ポンプ配設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819B2 (ja) * 1991-07-26 2000-08-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調整装置
JPH0728261U (ja) * 1993-10-29 1995-05-23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オイルの冷却装置
JP3005528B1 (ja) * 1998-07-24 2000-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2006097767A (ja) * 2004-09-29 2006-04-13 Jatco Ltd 自動変速機のオイルポンプ配置構造
JP2007139142A (ja) * 2005-11-22 2007-06-07 Jatco Ltd 自動変速機
JP2007255369A (ja) * 2006-03-24 2007-10-04 Jatco Ltd 変速機のオイルポンプ構造
JP5303004B2 (ja) * 2011-06-07 2013-10-02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
JP5761086B2 (ja) * 2012-03-12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5712156B2 (ja) 2012-03-28 2015-05-07 ジヤトコ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用鋳型構造及び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338A (ja) 2003-09-24 2005-04-14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電動ポンプ配設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53222B (zh) 2022-05-03
JP7117831B2 (ja) 2022-08-15
JP2019019886A (ja) 2019-02-07
CN109253222A (zh) 2019-01-22
KR102113129B1 (ko) 2020-05-20
KR20200034684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7656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6423403B2 (ja) 動力伝達装置の油路構造
JP5041249B2 (ja) 車両用駆動装置
US20080261740A1 (en) Vehicular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KR102113129B1 (ko) 자동 변속기
KR20190008093A (ko) 자동 변속기
US11906035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JP7019251B2 (ja) オイルポンプ構造
KR20190008094A (ko) 자동 변속기 및 자동 변속기의 제조 방법
CN106015525B (zh) 车辆用变速装置的变速器箱
JP4574511B2 (ja) 車両用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7026258B2 (ja) 動力伝達装置のハウジング部材
JP2019124341A (ja) 動力伝達装置
WO2023182455A1 (ja) 動力伝達装置
WO2023182447A1 (ja) 動力伝達装置
WO2023182453A1 (ja) 動力伝達装置
WO2023182456A1 (ja) 動力伝達装置
WO2023182450A1 (ja) 動力伝達装置
WO2023182451A1 (ja) 動力伝達装置
JP2023141341A (ja) 動力伝達装置
KR20140009076A (ko)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윤활유 배출 구조
KR20210103726A (ko) 기어 어셈블리
JP6089720B2 (ja) 油圧制御装置
WO2016152319A1 (ja) オイル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