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725A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725A
KR20190004725A KR1020187033855A KR20187033855A KR20190004725A KR 20190004725 A KR20190004725 A KR 20190004725A KR 1020187033855 A KR1020187033855 A KR 1020187033855A KR 20187033855 A KR20187033855 A KR 20187033855A KR 20190004725 A KR20190004725 A KR 20190004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flexible flat
ffc
pair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히로키
겐디 호드리고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를 제공한다.
FFC 접속구 (40) 는, 단면 대략 L 자 형상의 부재이고, 복수 개의 금속제의 버스 바 (41) 와, 복수의 버스 바 (41) 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버스 바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버스 바 케이스 (42) 를 구비한다. 버스 바 케이스 (42) 는, FFC (14) 의 단부 (14b) 를 수용하는 오목부 (44) 와, 그 오목부 (44) 에 형성된 바닥벽 (45) 과, FFC (14) 의 폭 방향에 관해서 오목부 (44) 의 양단에 대향 배치된 1 쌍의 측벽 (46, 46) 과, 바닥벽 (45) 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 (47A, 47A,…) 와, 1 쌍의 측벽 (46, 46) 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바닥벽 (45) 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 1 쌍의 볼록부 (48, 48)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커넥터 장치에 내포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 (端部) 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부에, 에어백 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커넥터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둘러싸여져 장착되어 있고, 또, 이 회전 커넥터 장치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칼럼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또, 스티어링 휠측에는, 그 스티어링 휠의 보스부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로어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테이터와, 그 스테이터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와 로테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내부 공간에 감겨져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을 구비하고 있고, FFC 의 단부에는, 당해 FFC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 구조체로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금속제의 버스 바와, 그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버스 바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버스 바 케이스를 구비하고,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자부가, FFC 의 도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이 접속 구조체의 버스 바 케이스에는, FFC 와 거의 동일 폭의 얕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의 내벽면에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단자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오목부에 있어서, FFC 의 폭 방향으로 1 쌍의 내벽이 대향 배치되어 있고, 당해 1 쌍의 내벽 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몰드 커버가 배치된다. FFC 를 접속 구조체에 접속할 때에는, FFC 의 길이 방향 단부를 버스 바 케이스의 오목부에 삽입하고, FFC 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몰드 커버를 버스 바 케이스에 장착한다. 이로써, FFC 가 오목부의 내벽과 몰드 커버 사이에서 끼워 넣어져, 이후의 용접 공정 등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이나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566831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1 차 몰드재인 버스 바 케이스 상에 FFC 를 재치 (載置) 하고, 그 위에 몰드 커버가 되는 몰드 커버를 장착하고, 그 FFC 를 버스 바 케이스와 몰드 커버로 사이에 끼움으로써 FFC 를 고정시키므로, FFC 의 고정을 위해서 2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또, 접속 공정으로서, FFC 를 버스 바 케이스에 세트하고, 추가로, 몰드 커버를 버스 바 케이스에 장착하는 것과 같은 2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이 번잡하다. 특히 최근, 자동차의 고성능화·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있어, 각종 장치, 기기의 배치 형성 수가 증가함과 함께, 이들 장치등에 사용되는 전기 배선체의 배선 수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 그 한편으로, 환경 대응을 위해서 자동차 등의 이동체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장치등의 경량화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공간 절약, 경량화의 관점에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추가적인 소형화가 진행된 경우에도, FFC 의 용이한 접속을 실현함과 함께, 신뢰성이 높은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접속 구조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로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오목부의 양단에 대향 배치된 1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벽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1 쌍의 측벽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 1 쌍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는, 상기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면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관해서 상기 1 쌍의 볼록부의 하방에 배치된 1 쌍의 절결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는, 상기 1 쌍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모서리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1 쌍의 단 (段) 형성부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로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오목부의 양단에 대향 배치된 1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1 쌍의 측벽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 1 쌍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바닥벽을 접속하는 용접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상기 1 쌍의 볼록부보다 상기 용접부측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된다.
또,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바닥벽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으로 팽출하는 편평 팽출부를 갖는다.
또,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바닥벽에 형성되고, 1 쌍의 볼록부가, 상기 1 쌍의 측벽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바닥벽과 상기 1 쌍의 볼록부 사이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양 단부가 장착된다. 이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이동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규제되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횡 방향의 이동이 주로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규제되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두께 방향의 이동이 주로 상기 1 쌍의 볼록부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는, 2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 삭감을 실현할 수 있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의 1 부재만으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 2 부재 구성에 수반되는 복수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련의 간단한 공정으로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 도 2(b) 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b) 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는 평면도, 도 3(b) 는 바닥면도이다.
도 4 는, 도 2(b) 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는 정면도, 도 4(b) 는 배면도이다.
도 5 는, 도 2(b) 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는 좌측면도, 도 5(b) 는 우측면도이다.
도 6(a) 는, 도 2(a) 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의 돌기부와 1 쌍의 볼록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 는, 돌기부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2(a) 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의 돌기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는 사시도, 도 7(b) 는 돌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 도 8(d) 는, 도 2(b) 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 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후에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외력을 받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c) 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굴곡부 형성 행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이하, FFC 접속 구조체라고 한다) 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 의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후술하는 도 2 의 FFC 접속 구조체는, 그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 및 FFC 접속 구조체의 구성은, 도 1 및 도 2 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 (1) 는, 로테이터 (12) 와, 로테이터 (12) 를 축선 (x) 둘레로 회동 (回動) 가능하게 유지하고, 로테이터 (12) 와의 사이에 축선 (x) 둘레로 환상 공간 (S1) 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13) 와, 환상 공간 (S1) 내에 수용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4) (이하, FFC 라고 한다) 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에 있어서, 스테이터 (13) 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어 있고, 로테이터 (12) 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다.
로테이터 (12) 는, 축선 (x) 둘레 (도 1 의 화살표 A 방향 및 화살표 B 방향) 에 형성된 환상의 로테이터 본체 (21) 와, 환상 공간 (S1) 과 외부를 연통하고 또한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을 획정하는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를 갖고 있다.
로테이터 본체 (21) 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중공 원반상 또는 대략 중공 원반상의 천판부 (21a) 와, 천판부 (21a) 의 내주측의 단부로부터 축선 (x) 을 따라 환상 공간 (S1)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통부 (21b) 를 갖고 있다. 천판부 (21a) 는, 회전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 상측 (도 1 의 화살표 C 방향) 에 면하는 부분을 구획하고 있다. 원통부 (21b) 는, 스테이터 (13) 의 대응하는 부분에 축선 (x)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13) 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생략된 원형의 걸어맞춤공을 갖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 또는 대략 원환상의 스테이터 본체 (31) 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 본체 (31) 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공은,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21b) 의 하측 (도 1 의 화살표 D 방향) 의 단부를 수용하여 이 단부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터 (12) 는, 원통부 (21b) 의 하측의 단부에 있어서, 스테이터 (13) 의 스테이터 본체 (31) 의 걸어맞춤공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고 있고, 이로써 스테이터 (13) 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로테이터 (12) 가 스테이터 (13) 에 장착됨으로써, 로테이터 (12) 의 천판부 (21a) 및 원통부 (21b) 그리고 스테이터 (13) 의 스테이터 본체 (31) 에 의해, 환상 공간 (S1) 이 획정된다.
환상 공간 (S1) 의 내부에 있어서, FFC (14) 는 적절한 길이의 늘어짐을 갖도록 감겨져 있고, 이 늘어짐의 길이는, 로테이터 (12) 가 스테이터 (13) 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변화된다. 이 늘어짐 길이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복수 장의 FFC (14) 를 환상 공간 (S1) 내에서 항상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는,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인출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4) 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에는, 스티어링 휠이 구비하는 전기 부품 (예를 들어, 혼 스위치, 에어백 모듈 등) 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의 단자를 삽입 가능한 회전측 단자 삽입공 (2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의 단자와 FFC (14) 의 도체부가,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 배치된 도시 생략된 FFC 접속 구조체에 의해 접속된다.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는, 상기의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과 마찬가지로,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인출된 FFC (14) 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 이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에는, 차체측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 하니스에 접속된 소정 형상의 단자를 삽입 가능한 도시 생략된 고정측 단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와 FFC (14) 의 도체부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 배치된 FFC 접속구 (40)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FFC (14) 및 FFC 접속구 (40) 가, 후술하는 FFC 접속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스티어링 휠측의 에어백 모듈 등의 전기 부품과 차체측의 전기 회로가, FFC (14) 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FFC 접속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는, FFC 접속구 (40) 에 FFC (14) 가 접속된 상태, 도 2(b) 는, FFC (14) 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3(a) 는 FFC 접속구 (40) 의 평면도, 도 3(b) 는 바닥면도, 도 4(a) 는 정면도, 도 4(b) 는 배면도, 도 5(a) 는 좌측면도, 도 5(b) 는 우측면도이다.
FFC 접속 구조체 (2) 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14) 와, 그 FFC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FFC 접속구 (40) 를 구비하고 있다.
FFC 접속구 (40) 는, 도면 중의 Y 방향 및 Z 방향으로 연장된 단면 대략 L 자 형상의 부재이고, 복수 개의 금속제의 버스 바 (41) 와, 복수의 버스 바 (41) 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버스 바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버스 바 케이스 (42) 를 구비하고, 버스 바 (41) 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단자부 (43) 가, FFC (14) 의 도체부 (14a) 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버스 바 케이스 (42) 는, FFC (14) 의 길이 방향의 단부 (14b) 를 수용하는 오목부 (44) 와, 그 오목부 (44) 에 형성된 바닥벽 (45) 과, FFC (14) 의 폭 방향에 관해서 오목부 (44) 의 양단에 대향 배치된 1 쌍의 측벽 (46, 46) 과, 바닥벽 (45) 에 형성되고, FFC (14) 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 (14d, 14d,…) 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돌기부 (47, 47,…) 와, 1 쌍의 측벽 (46, 46) 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바닥벽 (45) 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 1 쌍의 볼록부 (48, 48) 를 구비하고 있다.
FFC 접속 전의 상태에서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접속구 (40) 는, 바닥벽 (45) 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부 (47, 47,…) 와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를 갖고 있다. 이들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는, 예를 들어 기둥상 혹은 뿔상,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고, FFC (14) 를 FFC 접속구 (40) 에 접속할 때, 복수의 돌기부 (47A, 47A,…) 의 상부를 용융, 고화시켜 FFC (14) 에 용착시킴으로써, 복수의 돌기부 (47A, 47A,…) 가 변형되어 복수의 돌기부 (47, 47,…) 가 형성된다. 용착 후의 복수의 돌기부 (47, 47,…) 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FFC 접속 전의 상태에 있어서, FFC 접속구 (40) 의 돌기부 이외의 구성은, FFC 접속 구조체 (2) 에 있어서의 FFC 접속구의 구성과 동일하다.
오목부 (44) 는, 버스 바 케이스 (42) 에 형성된 얕은 패임이고, 바닥벽 (45) 에 복수의 버스 바 (41, 41,…) 의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복수의 단자부 (43, 4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44) 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I 형 형상이고 (도 3(a)), 폭협 (幅狹) 부 (44a) 와, 그 폭협부 (44a) 보다 폭광 (幅廣) 으로서 FFC (14) 의 폭 치수와 거의 동등한 폭 치수인 폭광부 (44b-1, 44b-2) 를 갖고 있다. 폭광부 (44b-1) 는, FFC (14) 의 삽입 방향에 관해서 폭협부 (44a) 의 앞측에, 폭광부 (44b-2) 는, FFC (14) 의 삽입 방향에 관해서 폭협부 (44a) 의 안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 (45) 에는, FFC (14) 의 면내 방향 (X-Y 평면 방향) 에 수직인 Z 방향에 관해서 1 쌍의 볼록부 (48, 48) 의 하방에 배치된 1 쌍의 절결부 (49, 4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 도 4(b)).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절결부 (49, 49) 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이고 (도 3(b)), FFC (14) 의 폭 방향 (X방향) 에 관해서 바닥벽 (45) 의 양단에 형성됨과 함께, FFC (14) 의 길이 방향 (Y 방향) 에 관해서 바닥벽 (45) 의 단면 (端面) (45a) 에 형성되어 있다. 또, 1 쌍의 절결부 (49, 49) 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1 쌍의 볼록부 (48, 48) 의 바로 아래에, 당해 1 쌍의 볼록부 (48, 48) 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4(a)). 이 1 쌍의 절결부 (49, 49) 에 의해, FFC (14) 를 고정시킬 때에, FFC (14) 의 단부 (14b) 를, 바닥벽 (45) 의 하방으로부터 1 쌍의 절결부 (49, 49) 에 통과시켜 바닥벽 (45) 의 상방까지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1 쌍의 측벽 (46, 46) 에는, FFC (14) 의 모서리부 (14c) 의 위치를 규정하는 1 쌍의 단 형성부 (50, 5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b)). 단 형성부 (50) 는, 오목부 (44) 의 폭협부 (44a) 와 폭광부 (44b-1) 의 경계부에 형성된 코너부 (50a) 를 갖고 있고, FFC (14) 를 고정시킬 때에, 이 코너부 (50a) 가 FFC (14) 의 단부 (14b) 에 있어서의 모서리부 (14c) 와 맞닿음으로써, FFC (14) 가 길이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모서리부 (14c) 는, FFC (14) 의 길이 방향 선단 (14e) 의 모서리부와는 상이하여, 후술하는 도체 노출부 (14f) 의 형성에 의해, 당해 도체 노출부 (14f) 보다 길이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부위이다.
볼록부 (48) 는, 측벽 (46) 의 내측면으로부터 내방을 향하여 돌출된 대략 직방체의 부위이고,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정방형상이다 (도 5(a), 도 5(b)). 그리고, 볼록부 (48) 는, Y 방향에 관해서 측벽 (46) 의 단부에 형성됨과 함께, Z 방향에 관해서 절결부 (49) 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다. FFC (14) 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바닥벽 (45) 과 볼록부 (48) 사이에 FFC (14) 가 배치되고, 1 쌍의 볼록부 (48, 48) 의 1 쌍의 하면 (48a, 48a) 은, FFC (14) 의 Z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으로서 기능한다.
도 6(a) 는, 도 2(a) 의 FFC 접속 구조체 (2) 에 있어서의 돌기부 (47) 와 1 쌍의 볼록부 (48, 48) 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 는, 돌기부 (47) 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접속 구조체 (2) 는, FFC (14)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FFC (14) 의 단부와 바닥벽 (45) 을 접속하는 용접부 (51) 를 갖고 있다. 용접부 (51) 는, FFC 의 도체부 (14a) 와 단자부 (43) 와의 중첩부에 초음파, 레이저 광 등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 부위이다.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FFC (14) 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1 쌍의 볼록부 (48, 48) 보다 용접부 (5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FFC 접속 구조체 (2) 에 있어서, FFC (14) 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용접부 (51) 의 배치 위치와 돌기부 (47) 의 배치 위치의 거리를 L1, 용접부 (51) 의 배치 위치와 볼록부 (48) 의 배치 위치의 거리를 L2 로 했을 때, L1 ≤ L2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용접부 (51), 돌기부 (47) 및 볼록부 (48) 가 배치된다.
또,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14) 의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 중심선 (E) 의 일방의 측에 2 개, 타방의 측에 1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FFC (14) 가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대칭인 형상인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부 (47, 47,…) 가 FFC (14) 의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구체적으로는,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45) 과 일체로 형성된 기부 (基部) (47a) 와, 기부의 상부에 당해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FFC (14) 의 폭 방향으로 팽출하는 편평 팽출부 (47b) 를 각각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FFC (14) 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히 형성된 3 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화살촉 형상이다. 또, 복수의 돌기부 (47, 47,…) 에 있어서의 복수의 편평 팽출부 (47b, 47b,…) 는, 바닥벽 (45) 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동일한 사각형 형상이다.
FFC (14) 는, 동박, 혹은 동박과 도금층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도체부 (14a) 를,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PET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장의 절연 필름으로 사이에 끼운 라미네이트 구조를 갖고 있다 (도 2(b) 참조). 이 FFC (14) 에는, FFC 접속 전의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돌기부 (47A, 47A,…) 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 즉 FFC (14) 의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복수의 구멍 (14d, 14d,…)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 (14d, 14d,…) 은, 도체부 (14a)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적층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해, FFC (14) 를 FFC 접속구 (40) 에 고정시킬 때의 FFC (14) 의 표리가 규정된다. 그리고, FFC 접속 후의 상태에서는,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이들 복수의 구멍 (14d, 14d,…) 에 각각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FFC (14) 에 용착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45) 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부 (47, 47', 47") 에 있어서, 편평 팽출부 (47b, 47b', 47b"…) 는, 바닥벽 (45) 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각각 사각형 형상, 삼각 형상 및 마름모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14) 의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어도 되고, 혹은,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즉,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FFC (14) 의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어도 되고, 바닥벽 (45) 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져도 되며,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FFC 접속구 (40) 에 FFC (14) 를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FFC (14) 의 단부 (14b) 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FFC (14) 의 라미네이트 구조를 구성하는 수지층을 달구어서 절단하여, 동 라미네이트 구조의 도체부 (14a) 가 노출된 도체 노출부 (14f) 를 형성한다 (도 2(b)). 그리고, 도 8(a)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14) 의 폭 방향 양단을 가압하여 당해 FFC (14) 를 만곡시키고, FFC (14) 의 단부 (14b) 를, 바닥벽 (45) 의 단면 (45a) 측으로부터 오목부 (44) 의 폭광부 (44b-1) 에 삽입한다. 이 때, FFC (14) 가 1 쌍의 볼록부 (48, 48) 의 하방으로서 또한 복수의 돌기부 (47A, 47A,…) 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FFC (14) 의 단부 (14b) 를 바닥벽 (45) 의 면내 방향 (X-Y 평면 방향) 에 대해 비스듬히 삽입한다. 이 삽입시에, 만곡된 FFC (14) 의 폭 방향 양 단부를, 각각 1 쌍의 측벽 (46, 46) 의 1 쌍의 절결부 (49, 49) 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FFC (14) 를 만곡시킨 상태를 유지한 채로, FFC (14) 의 단부 (14b) 를 오목부 (44) 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FFC (14) 의 모서리부 (14c) 가 단 형성부 (50) 의 코너부 (50a) 에 맞닿는 위치에서, FFC (14) 의 면내 방향이 바닥벽 (45) 의 면내 방향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FFC (14) 를 이동시켜, FFC (14) 의 단부 (14b) 를 오목부 (44) 에 수용한다. 이 때, FFC (14) 의 길이 방향 선단 (14e) 이 폭광부 (44b-2) 에 수용된다. 또, FFC (14) 의 복수의 구멍 (14d, 14d,…) 에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를 삽입 통과시키고, FFC (14) 의 단부 (14b) 와 바닥벽 (45) 을 맞닿게 한다. 이 결과, 바닥벽 (45) 과 1 쌍의 볼록부 (48, 48) 사이에 FFC (14) 의 폭 방향 양 단부가 장착된다.
이 때, FFC (14) 의 단부 (14b) 는,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및 단 형성부 (50) 에 의해 FFC (14) 의 길이 방향 (Y 방향) 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 복수의 돌기부 (47, 47,…) 및 1 쌍의 측벽 (46, 46) 에 의해 폭 방향 (X 방향) 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FFC (14) 의 단부 (14b) 는, 복수의 돌기부 (47, 47) 및 1 쌍의 볼록부 (48, 48) 에 의해 두께 방향 (Z 방향) 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써, FFC (14) 의 단부 (14b) 가 FFC 접속구 (40) 에 고정되어, FFC (14) 의 FFC 접속구 (40) 로부터의 탈리가 방지된다. 또, FFC (14) 의 단부 (14b) 가 바닥벽 (45) 에 대해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FFC (14) 의 도체부 (14a) 와 바닥벽 (45) 의 단자부 (43) 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FFC (14) 의 복수의 구멍 (14d, 14d,…) 에 복수의 돌기부 (47A, 47A,…) 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돌기부 (47A) 를 용착기 (W) 에 의해 용융시켜 (도 8(b)), 편평 팽출부 (47b) 를 갖는 돌기부 (47) 를 형성함과 함께, 돌기부 (47) 와 FFC (14) 의 절연 필름을 용착시킨다 (도 8(c)).
그 후, 도 8(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14) 의 도체 노출부 (14f) 와 버스 바 (41) 의 단자부 (43) 의 중첩부에 도체 노출부 (14f) 측으로부터 공구 (S) 를 가압하고, 공구 (S) 에 초음파를 부여하여, 도체 노출부 (14f) 와 단자부 (43) 를 용접시켜 용접부 (51) 를 형성하여, 도체부 (14a) 와 단자부 (43) 를 접속한다. 초음파 용접 이외에, 도체부 (14a) 와 단자부 (43) 를 저항 용접, 혹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속해도 된다. 이로써, FFC (14) 가 FFC 접속구 (40) 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FFC 접속 구조체 (2) 에서는, 도 9(a) 혹은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14) 가 화살표 방향 (주로 Z 방향) 의 외력을 받으면, FFC (14) 가 Z 방향, 즉 바닥벽 (45) 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복수의 돌기부 (47, 47,…) 및 1 쌍의 볼록부 (48, 48) 에 의해 Z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FFC (14) 의 FFC 접속구 (40) 로부터의 탈리가 방지되어, FFC (14) 와 FFC 접속구 (40) 의 접속이 유지된다.
또, 도 9(a) 혹은 도 9(b) 에 있어서, 돌기부 (47) 가 FFC (14) 로부터 응력을 받았을 때, 돌기부 (47) 의 기부 (47a) 와 편평 팽출부 (47b) 의 경계부 (넥부) 에 응력 집중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평 팽출부 (47b) 가 FFC (14) 의 길이 방향 (Y 방향) 으로 팽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부 (47a) 와 편평 팽출부 (47b) 의 경계부에 발생하는 Z 방향의 인장 응력 혹은 압축 응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돌기부 (47) 의 파괴가 억제된다.
또, 상기 접속 방법에 있어서, 도 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14) 와 FFC 접속구 (40) 의 장착 공정 후 혹은 용접 공정 후에, FFC (14) 에 굴곡부 (14g) 를 형성하는 굴곡부 형성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굴곡부 (14g) 는, FFC (14) 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1 쌍의 볼록부 (48, 48) 의 돌기부 (47) 와는 반대측에 형성된다. 이로써, 외력이 용접부 (51) 측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FFC (14) 와 돌기부 (47) 의 용착부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굴곡부 형성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당해 FFC (14) 를 바닥벽 (45) 의 단면 (45a) 에 압접시키면서 하방으로 절곡한다 (도 9(c)). 단면 (45a) 은, 바람직하게는 바닥벽 (45) 의 면내 방향 (X-Y 평면 방향) 에 대해 수직인 면이고, 동 형상을 갖는 단면 (45a) 에 FFC (14) 를 압접함으로써, 단면 대략 L 자 형상의 굴곡부 (14g) 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벽의 단면 (45a) 을, 굴곡부 형성 행정에 있어서의 FFC (14) 의 지지면으로서 사용함으로써, FFC (14) 에 굽힘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FFC (14) 에 바닥벽 (45) 으로부터의 박리 방향에 대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별도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박리를 일으키지 않고 FFC (14) 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FFC 접속구 (40) 에 있어서(도 2(b)), 복수의 돌기부 (47A, 47A,…) 가 오목부 (44) 의 바닥벽 (45) 에 형성되고, 1 쌍의 볼록부 (48, 48) 가, 1 쌍의 측벽 (46, 46) 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바닥벽 (45) 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므로, 복수의 돌기부 (47A, 47A,…) 가, FFC (14) 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 (14d, 14d,…) 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바닥벽 (45) 과 1 쌍의 볼록부 (48, 48) 사이에 FFC (14) 의 폭 방향 양 단부가 장착된다. 이로써, 당해 FFC (14) 의 길이 방향의 이동이 복수의 돌기부 (47A, 47A,…) 에 의해 규제되고, FFC (14) 의 횡 방향의 이동이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및 1 쌍의 측벽 (46, 46) 에 의해 규제되고, FFC (14) 의 두께 방향의 이동이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및 1 쌍의 볼록부 (48, 48,…) 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FFC 접속구 (40) 의 구성에서는, 2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FFC 접속구 (40) 의 1 부재만으로 FFC (14) 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2 부재 구성에 수반하는 복수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련의 간단한 공정으로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FFC (14) 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1 쌍의 절결부 (49, 49) 가, 바닥벽 (45) 에 형성되고, 또한 FFC (14) 의 면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관해서 1 쌍의 볼록부 (48, 48)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FFC (14) 를 접속할 때에, FFC (14) 의 폭 방향 단부를 1 쌍의 절결부 (49, 49) 에 통과시킴으로써 당해 FFC (14) 의 단부를 오목부 (44) 의 폭광부 (44b) 에 수용하기 쉬워져, FFC (14) 를 폭광부 (44b) 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1 쌍의 단 형성부 (50, 50) 가, 1 쌍의 측벽 (46, 46) 에 형성되고, 또한 FFC (14) 의 모서리부 (14c) 의 위치를 규정하므로, FFC (14) 의 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을 양호한 정밀도로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어,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를, FFC (14) 의 복수의 구멍 (14d, 14d,…) 에 용이하게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 (47A, 47A,…) 는, FFC (14) 의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므로, FFC (14) 에, 복수의 돌기부 (47A, 47A,…) 의 위치 또는 그것들의 형상에 1 대 1 로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 (14d, 14d,…) 을 형성함으로써, FFC (14) 가 표리가 잘못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FFC 접속 구조체 (2) 에 있어서 (도 2(a)), 용접부 (51) 는, FFC (14)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FFC (14) 의 단부 (14b) 와 바닥벽 (45) 을 접속하고,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FFC (14) 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1 쌍의 볼록부 (48, 48) 보다 용접부 (51) 측에 배치되므로, 용접부 (51) 를 형성할 때에 FFC (14) 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 (47, 47,…) 는, FFC (14) 의 폭 방향 중심선 (E) 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므로, FFC (14) 에, 복수의 돌기부 (47, 47,…) 의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 (14d, 14d,…) 을 형성함으로써, FFC (14) 가 표리가 잘못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 (47) 는, FFC (14) 의 폭 방향으로 팽출하는 편평 팽출부 (47b) 를 가지므로, FFC (14) 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어 바닥벽 (45) 과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FFC (14) 가 편평 팽출부 (47b) 와 압접하여, 편평 팽출부 (47b) 에 의해 당해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편평 팽출부 (47b) 는, FFC (14) 의 길이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FFC (14) 로부터 받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돌기부 (47) 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FFC (14) 의 확실한 고정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추가적인 소형화를 실현할 때에, 1 차 몰드재에 미소한 몰드 커버를 장착하는 번잡한 장착 공정이 불필요해져, FFC 의 용이한 접속을 실현함과 함께, 신뢰성이 높은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FFC 접속구, FFC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에 대해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에 수용되는 FFC 접속구 (40) 에 대해 서술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에 수용되는 FFC 접속구가, FFC 접속구 (40)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FFC 접속구 (40) 는, 단면 대략 L 자 형상의 부재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레이트 형상의 부재여도 된다.
또, 버스 바 (41) 의 수, 단자부 (43) 의 수, 또는 FFC (14) 의 도체부 (14a) 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용도, 사양에 따라 다른 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굴곡부 (14g) 는, 하나의 산 형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대략 W 형상 등의 복수의 산부나 골짜기부를 갖는 형상이어도 된다. 이로써, FFC (14) 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다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복수의 구멍 (14d, 14d,…) 은, 도체부 (14a)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적층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체부 (14a) 가 배치된 적층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복수의 구멍 중 일부가, 도체부 (14a)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적층부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가, 도체부 (14a) 가 배치된 적층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FFC (14) 의 라미네이트 구조를 구성하는 수지층을 달구어서 절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스 등의 가공에 의해 상기 수지층을 제거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돌기 (47A, 47A,…) 의 상부를 용융, 고화시켜 FFC (14) 에 용착시킴으로써, 복수의 돌기 (47A, 47A,…) 가 변형되어 복수의 돌기부 (47, 47,…) 가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돌기 (47A, 47A,…) 의 상부를 압궤 (押潰) 등의 가압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복수의 돌기부 (47, 47,…) 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FFC 접속 구조체 (2)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1 : 회전 커넥터 장치
2 : FFC 접속 구조체
12 : 로테이터
13 : 스테이터
14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14a : 도체부
14b : 단부
14c : 모서리부
14d : 구멍
14e : 길이 방향 선단
14f : 도체 노출부
14g : 굴곡부
21 : 로테이터 본체
21a : 천판부
21b : 원통부
22 :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1 : 스테이터 본체
32 :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40 : FFC 접속구
41 : 버스 바
42 : 버스 바 케이스
43 : 단자부
44 : 오목부
44a : 폭협부
44b : 폭광부
45 : 바닥벽
45a : 단면
46, 46 : 1 쌍의 측벽
46 : 측벽
47 : 돌기부
47' : 돌기부
47" : 돌기부
47a : 기부
47b : 편평 팽출부
47b' : 편평 팽출부
47b" : 편평 팽출부
48, 48 : 1 쌍의 볼록부
48 : 볼록부
48a, 48a : 1 쌍의 하면
48a : 하면
48b : 측면
49, 49 : 1 쌍의 절결부
49 : 절결부
50, 50 : 1 쌍의 단 형성부
50 : 단 형성부
50a : 코너부
51 : 용접부
E : 폭 방향 중심선
L1 : 거리
L2 : 거리
W : 용착기
S : 공구
S1 : 환상 공간
S2 :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x : 축선

Claims (10)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로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오목부의 양단에 대향 배치된 1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벽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1 쌍의 측벽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 1 쌍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면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관해서 상기 1 쌍의 볼록부의 하방에 배치된 1 쌍의 절결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모서리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1 쌍의 단 형성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5.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로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오목부의 양단에 대향 배치된 1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1 쌍의 측벽으로부터 서로 마주 보고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 1 쌍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와 상기 바닥벽을 접속하는 용접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상기 1 쌍의 볼록부보다 상기 용접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바닥벽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으로 팽출하는 편평 팽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87033855A 2016-05-23 2017-05-18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 KR20190004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2039 2016-05-23
JP2016102039 2016-05-23
PCT/JP2017/018711 WO2017204084A1 (ja) 2016-05-23 2017-05-18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具、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構造体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725A true KR20190004725A (ko) 2019-01-14

Family

ID=6041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855A KR20190004725A (ko) 2016-05-23 2017-05-18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56463B2 (ko)
EP (1) EP3467945B1 (ko)
JP (1) JP6968060B2 (ko)
KR (1) KR20190004725A (ko)
CN (1) CN109155475B (ko)
WO (1) WO2017204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7334B2 (en) 2017-12-05 2020-09-15 Aptiv Technologies Limited Wiring harness assembly having multiple separated conductors embedded within a substrate
KR102152101B1 (ko) 2018-11-02 2020-09-07 진영글로벌 주식회사 차량 전장용 디바이스
US11088475B1 (en) * 2018-11-19 2021-08-10 American Semiconductor, Inc. Self-aligned printed terminals for FFC-style connectors
EP3930117B1 (en) * 2019-02-21 2024-06-05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7247758B2 (ja) * 2019-05-31 2023-03-29 住友電装株式会社 配線部材
KR102503536B1 (ko) * 2019-06-18 2023-0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4258618B (zh) * 2019-09-05 2024-05-28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以及旋转连接器装置用扁平线缆组装体
US20220006222A1 (en) * 2020-07-02 2022-01-06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12015221B2 (en) * 2021-03-16 2024-06-18 GE Precision Healthcare LLC Electrical connectors for medical devices
EP4354676A1 (en) * 2021-06-11 2024-04-17 Furukawa Electric Co., Ltd. Lead block and rotary conne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719A (en) * 1980-01-28 1981-03-03 Methode Electronics, Inc. Electrical edge connector
JPH0532945Y2 (ko) * 1989-03-15 1993-08-23
DE9002181U1 (de) * 1990-02-23 1990-05-03 Du Pont de Nemours (Nederland) B.V., Dordrecht Koppler zur Kontaktierung von auf einer Flexfolie vorgesehenen Leiterbahnen mit entsprechenden leitenden Einsetzstücken
GB2261558B (en) * 1991-10-31 1996-07-10 Sumitomo Wiring Systems A connector assembly
US5924891A (en) * 1997-12-15 1999-07-20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flat circuitry
US6244890B1 (en) * 1998-03-27 2001-06-12 Molex Incorporated Male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ircuit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3561435B2 (ja) * 1999-05-14 2004-09-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回転コネクタ
ES2244131T3 (es) * 1999-09-09 2005-12-01 Molex Incorporated Modulo conector electrico con cable plano.
AU2001236859A1 (en) * 2000-02-15 2001-08-27 Miraco, Inc. Printed circuit connector
JP2002100425A (ja) * 2000-09-25 2002-04-05 Calsonic Kansei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FR2814861B1 (fr) * 2000-10-02 2003-03-14 Fci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retention d'un contact dans un module porte-contacts electriques
US6558186B1 (en) * 2001-10-11 2003-05-06 Molex Incorporated Keyed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ircuitry
JP4408343B2 (ja) * 2003-04-30 2010-02-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JP2005116495A (ja) 2003-09-19 2005-04-28 Sony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KR100562774B1 (ko) * 2004-04-08 2006-03-21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4391336B2 (ja) * 2004-06-29 2009-12-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4516938B2 (ja) 2006-06-16 2010-08-04 Smk株式会社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2009193893A (ja) * 2008-02-15 2009-08-27 Jst Mfg Co Ltd 平形柔軟ケーブルコネクタ
US8579649B2 (en) 2008-08-19 2013-11-12 Yazaki Corporation Flexible wiring member with positioning holes mounted on another member with positioning bosses
JP5436088B2 (ja) * 2008-08-19 2014-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集約配線コネクタ
TW201034310A (en) * 2009-03-03 2010-09-16 Au Op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
CN201430274Y (zh) * 2009-04-23 2010-03-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958476B (zh) 2009-07-13 2012-10-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TWM380605U (en) * 2009-11-12 2010-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566831B2 (ja) * 2010-09-27 2014-08-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具付き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JP5813349B2 (ja)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833510B2 (ja) 2012-08-23 2015-1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CN104253327B (zh) * 2013-06-26 2017-12-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卡连接器及具其电子装置
TWI557752B (zh) * 2015-02-25 2016-1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排線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204084A1 (ja) 2019-03-22
CN109155475B (zh) 2021-10-22
US10756463B2 (en) 2020-08-25
EP3467945A1 (en) 2019-04-10
EP3467945A4 (en) 2020-01-08
US20190165502A1 (en) 2019-05-30
JP6968060B2 (ja) 2021-11-17
CN109155475A (zh) 2019-01-04
EP3467945B1 (en) 2021-06-30
WO2017204084A1 (ja)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4725A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
WO2020218400A1 (ja) コネクタ
JP4052205B2 (ja) 電力変換装置
KR20200022352A (ko) 커넥터
JP2008288077A (ja) 端子の取付構造
US7771212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3251093A (ja) コネクタ
EP2091106B1 (en) Retaining member, electric component and electric device
JP2012049504A (ja) 配線基板
CN114628920B (zh) 连接器及端子配件
JP7011503B2 (ja) 接続補助部材および配線板組立体
EP1168527B1 (en) Rotary connector and connecting structure of flexible cable and lead block used therein
CN114556685B (zh) 布线模块
JP2013171985A (ja) 回路構成部材に用いられる回路基板の製造方法及び回路基板
US9118128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inforcement frame
JPH0575248A (ja) フラツトケーブルの接続方法
JP5019637B2 (ja) 回転コネクタ
WO2023210373A1 (ja) 配線モジュール
JP5616132B2 (ja) ループアンテナ
JP7301194B1 (ja) 電子制御装置
US20240206054A1 (en) Bendable flexible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JP7516890B2 (ja) 配線モジュール
JP5608454B2 (ja) 基板の部品固定構造
WO2018012237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
JP6194849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1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21

Effective date: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