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907A -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 Google Patents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907A
KR20180133907A KR1020187032914A KR20187032914A KR20180133907A KR 20180133907 A KR20180133907 A KR 20180133907A KR 1020187032914 A KR1020187032914 A KR 1020187032914A KR 20187032914 A KR20187032914 A KR 20187032914A KR 20180133907 A KR20180133907 A KR 2018013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il
frame
vehicle
load devic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924B1 (ko
Inventor
푸치앙 웨이
지엔리 양
지앙타오 쩡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셔우강 인터내셔널 엔지니어링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셔우강 인터내셔널 엔지니어링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셔우강 인터내셔널 엔지니어링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6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carrying very heavy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 B61F3/04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with driven axle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16Centre bearings or other swivel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lsters or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일종의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에 있어서, 하중 장치; 운송차의 가동 방향을 따라 앞뒤로 배치되며,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에 장착되는 두개의 보기(1); 및 상기 보기(1)의 하측에 장착되는 바퀴(2), 각각의 상기 보기(1)의 하면에 네 개의 상기 바퀴(2)를 설치하고; 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 장치와 두 개의 상기 보기(1)는 각각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운송 노선이 원활하고 직선, 곡선 주행이 모두 가능한 동시에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적응성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본 발명은 물류 운송 설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야금 공장에서 냉연 또는 열연 생산 라인 후반 공정간 스틸 코일 운송은 주로 워킹 빔, 체인식 운송, 팔레트 운송 , 자동차 운송 , 열차 운송 등 방식을 사용하는데 워킹 빔 및 체인식 운송은 가동 템포가 느리고 설비 유지량이 크므로 현재 신설 제철소에서는 이미 적용하지 않는다.
팔레트 운송의 가동 템포는 비록 높은 템포 생산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나 롤러 운송에 속하기 때문에 실외 도로를 통과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실제로 야금 기업 내부에서 띠강 생산 라인과 스틸 코일 창고 사이, 스틸 코일 창고와 부두 사이 스틸 코일 운송은 모두 도로를 통과해야 하는데 팔레트 운송 방식을 적용하면 도로를 폐쇄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경우, 제조업체는 자동차 운송 방식을 적용하여 스틸 코일을 운송한다. 한편, 팔레트 운송은 노선 변경 시 턴테이블을 사용해야 하므로 운송 노선이 원활하지 못하다. 자동차 운송은 도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고 직선, 곡선 가동이 가능하며 도로를 통과할 수 있어 현재 스틸 코일 창고 사이 및 스틸 코일 창고와 부두 사이 스틸 코일 운송에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송 방식은 고무 타이어 운송에 속하므로 가동 저항이 크다. 스틸 코일과 같이 적재량이 큰 운송은 운송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 비용이 매우 높은 동시에 대기 환경을 오염시켜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에 모두 불리하다. 열차 운송은 궤도 운송에 속하는데 운송 능력이 크고 환경 적응성이 강하며 야외 가동이 가능하고 도로를 통과할 수 있으나 기기가 방대하므로 매우 큰 선회 반경을 요구하여 띠강 작업장 생산 원료의 대량 수입 및 완제품의 대량 수출에만 적용될 뿐 야금 공장 내에서 선회할 수 없으므로 생산 라인 공정 사이의 스틸 코일 운송에 적합하지 않다.
본 출원은 2017년 1월 5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201710008532.3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인 중국 특허와 2017년 12월 26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201711433032.0이고 발명의 명칭이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인 중국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운송 노선이 원활하고 직선, 곡선 주행이 모두 가능한 동시에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적응성이 크게 향상된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에 있어서, 하중 장치;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에 장착되는 보기(bogie); 및 상기 보기의 하측에 장착되는 바퀴를 포함하되, 상기 보기는 두 개이고 운송차의 가동 방향을 따라 앞뒤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보기의 하면에 네 개의 상기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하중 장치와 두 개의 상기 보기는 각각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기는, 두 개씩 상기 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는 네 개의 바퀴 장착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바퀴 장착부에는 하나의 상기 바퀴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에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수평 단차면이 설치되는 베어링 장착홀; 상기 베어링 장착홀에 접합되고 그 하부 저면은 상기 수평 단차면과 합착되는 조인트 베어링; 및 하부는 축단이고, 상기 축단은 상기 조인트 베어링의 내부링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조인트 베어링에 접합되는 조인트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홀더 상부는 연결부이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인트 홀더를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에 고정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보기는, 상기 축단의 단부에 장착되고 일측면은 상기 조인트 베어링의 내부링과 밀착되는 배플(baffle)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기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 홀더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홈 내에 끼움 설치되는 걸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기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 홀더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돌기를 누르는 걸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플랜지 플레이트이고,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에는 체결홀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홀은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회동에 따라 원형 궤적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는 두 개의 상기 걸림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플레이트는 복수의 걸림 플레이트 볼트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며 복수의 상기 걸림 플레이트 볼트는 일부분 또는 전부가 상기 원형 궤적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상기 프레임 양측의 상기 바퀴 중 각 측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와 동력 전달되게 연결되고, 이와 연결된 상기 바퀴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러닝 모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러닝 모터는 감속 모터이고, 상기 러닝 모터에는 브레이크 및 수동 릴리즈 핸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각각 상기 베어링 장착홀의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마모판이 설치되고;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은 상기 마모판의 위치와 대응되며 상기 마모판과 동일한 수량의 지지휠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상기 하중 장치에 장착되는 전기 제어 캐비닛, 충전식 전원 공급 기기인 차량 탑재 전원 및 상기 차량 탑재 전원을 충전하도록 지면의 고정 충전단과 접할 수 있는 충전 레일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중 장치는, 스틸 코일 새들; 및 상기 스틸 코일 새들의 양단에 설치되는 차량 탑재 전원 브라켓 및 전기 제어 캐비닛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탑재 전원 및 전기 제어 캐비닛은 각각 차량 탑재 전원 브라켓 및 전기 제어 캐비닛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스틸 코일 새들의 중심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 슬롯형 구조가 설치되는 베어링부이고 상기 베어링부는 두 개의 상기 보기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선단 충동방지 바 및 후단 충동방지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는 전면의 상기 보기의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는 후면의 상기 보기의 후단에 장착되고,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와 동일한 레일에서 가동되는 선행 차량의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는 위치가 서로 대응되며,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와 동일한 레일에서 가동되는 후행 차량의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는 위치가 서로 대응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하중 장치와 보기 사이는 조인트 홀더, 조인트 베어링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두 개의 보기는 두 개의 힌지 결합점을 가진다. 또한 조인트 베어링이 구면으로 힌지 결합되므로 매우 큰 압력을 베어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송차가 커브길 운행 시 자유로이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다각도의 미소한 회동에 대해 자기 적응이 가능하므로 운송차가 커브길 주행 시 하중 장치와 바닥 방향조절 시스템이 자유로이 회동하여 바퀴와 레일의 스턱을 방지하고 적재량이 큰 운송차의 코너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송차 선회 시 필요한 기구 자유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내외 레일 바퀴가 별도로 구동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선회 반경에 따라 속도 설정이 가능하여 스틸 코일 운송차가 작은 선회 반경의 레일에서 가동될 경우 턴테이블이 필요 없이 운송차 가동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투자를 절약하고 운송 노선의 원활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운송차는 자체로 동력(슈퍼 커패시터 또는 리튬 배터리 유형의 충전 가능 동력원)을 구비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운송 노선이 원활하고 직선, 곡선 운행이 모두 가능하며 환경에 대한 요구가 까다롭지 않아 실외에서 가동될 수 있고 도로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운송차로 스틸 코일을 운송하면 생산 라인 내부 및 생산 라인 내부로부터 부두까지 원스톱 운송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적응성이 크게 향상된다. 동시에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에서 상기 보기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보기의 바닥 구조도이다.
도 6은 상기 보기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상기 조인트 베어링의 힌지 결합부의 일부 구조도이다.
도 7은 상기 보기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상기 조인트 베어링의 힌지 결합부의 일부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보기의 구조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조인트 홀더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조인트 홀더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고, 실시예를 결부시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 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원리 및 특징을 설명한다. 모순되지 않는 전제하에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상호 조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시한 구현예는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에서 상기 보기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보기의 분해 구조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보기의 바닥 구조도이고; 도 6은 상기 보기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상기 조인트 베어링의 힌지 결합부의 일부 구조도이며; 도 7은 상기 보기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상기 조인트 베어링의 힌지 결합부의 일부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보기의 구조 평면도이며; 도 9는 상기 조인트 홀더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조인트 홀더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형태에 있어서, 하중 장치;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에 장착되는 보기(1); 및 상기 보기(1)의 하측에 장착되는 바퀴(2)를 포함하되, 상기 보기(1)는 두 개이고 운송차의 가동 방향을 따라 앞뒤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보기(1)의 하면에 네 개의 상기 바퀴(2)가 장착되고, 상기 하중 장치와 두 개의 상기 보기(1)는 각각 힌지 결합된다.
상기 하중 장치는 운송되는 자재에 따라 설계될 수 있는데 야금 생산의 스틸 코일 운송 시스템에서, 하중 장치는 하기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틸 코일 새들(8)에서, 상기 스틸 코일 새들(8)의 중심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 슬롯형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부(81)이고, 스틸 코일(100)이 베어링부(81)에 안착되며, 베어링부(81)의 상부는 V자 형상을 가지는데 이러한 설계의 스틸 코일 새들(8)은 롤 업 및 스틸 코일 발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틸 코일(100)의 방열에도 유리하고, V형 역시 스틸 코일(100)을 보다 안정되게 상면에 안착시켜 쉽게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점은, 적재량이 큰 물류 분야에 있어서, 상이한 스틸 또는 다른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하중 장치는 다른 형태, 예를 들어 평판, 버킷을 구비한 바스켓 등일 수 있다. 이 밖에, 하중 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하나의 스틸 부재거나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별도로 구비된 차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차체 프레임과 보기(1)가 연결되고 스틸 코일 새들(8)이 다시 차체 프레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틸 코일 새들(8)의 하면은 상기 보기(1)와 직접 연결됨으로써 전체 구성이 더 컴팩트하고 또한 가공 시 부재가 적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기간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중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스틸 코일 운송 분야에서 운송되는 스틸 코일(100)은 일반적으로 무거우므로 받는 하중을 보다 합리화시켜 사용 수명이 향상되도록 상기 베어링부(81)를 두 개의 상기 보기(1)의 중심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스틸 코일 새들(8)과 두 보기(1)가 힌지 결합된 부분의 응력이 거의 일치하게 되어 하나가 과도하게 힘을 받아 전체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보기(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보기(1)는, 두 개씩 상기 프레임(11)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는 네 개의 바퀴 장착부(111)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바퀴 장착부에는 하나의 상기 바퀴(2)가 장착된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보기(1)는 두 개씩 마주보도록 네 개의 바퀴를 장착함으로써 앞뒤 줄 바퀴 거리가 비교적 작은 "4륜차"를 형성한 후 두 개의 "4륜차"가 상기 하중 장치를 함께 지지한다. 이로써 운송차가 커브길 주행 시 스턱되지 않고 자유로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선행기술에서 운송차가 코너링을 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프레임(11) 양측의 바퀴 장착부 사이에는 하나의 빔이 설치되고 빔의 중심부에는 상방을 향하는 베어링 장착홀(112)이 구비된다. 베어링 장착홀(112)을 중심부에 설치함으로써 양측 바퀴의 응력이 균일해지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 장착홀(112) 내에는 조인트 베어링(12)을 장착시키기 위한 수평 단차면(113)이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 베어링(12)은 상기 베어링 장착홀(112)과 접합되고 또한 상기 조인트 베어링(12)의 하부 저면은 상기 수평 단차면(113)과 합착된다. 프레임(11)은 조인트 홀더(13)를 더 포함하되, 조인트 홀더(13)의 하부는 축단(131)으로서 상기 축단(131)은 상기 조인트 베어링(12)의 내부링에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 베어링(12)과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홀더(13)의 상부는 연결부로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인트 홀더(13)를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에 연결시킴으로써 하중 장치와 보기(1)를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
조인트 홀더(13)과 조인트 베어링(12) 사이의 밀착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인트 홀더(13)의 축단(131) 단부에는 배플(14)이 더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배플(14)의 일측면과 상기 조인트 베어링(12)의 내부링은 서로 밀착되며 배플(14)과 축단(131) 사이는 3개의 단부에 통공이 구비된 볼트를 통해 연결되고 철사로 상기 3개의 볼트를 통과시켜 체결함으로써 볼트 풀림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조인트 베어링(12) 및 조인트 홀더(13)가 베어링 장착홀(112)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또한 운송차가 전체 스틸 코일을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조인트 홀더(13)의 중심부에 홈(133)이 설치되고, 상기 홈(133)은 베어링 장착홀(112)의 구멍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홈은 환형 홈이거나 부분적 홈일 수 있으나 환형 홈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걸림 플레이트(15)를 통해 상기 홈(133) 내에 끼움 설치된다. 또한, 걸림 플레이트(15)는 상기 프레임(11)의 상측에 장착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조인트 홀더(13)의 중심부에는 돌기(134)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134)는 베어링 장착홀(112)의 구멍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환형 돌기거나 부분적 돌기일 수 있으나 환형 돌기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 프레임(11)에 장착된 걸림 플레이트를 통해 돌기(134)를 누른다.
하중 장치에 장착 및 고정이 용이하고 또한 운송 과정에서 최대한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는 플랜지 형태의 연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플레이트(132)일 수 있고 상응하게 양자 사이의 밀착 연결을 확보하기 위해 하중 장치의 하측에는 플랜지 장착면을 설치해야 한다.
걸림 플레이트(15)를 용이하게 장착시키고 플랜지 플레이트(132)의 과도한 면적으로 인해 걸림 플레이트(15)의 체결 위치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132)에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132)의 회동에 따라 원형 궤적(1322)을 형성하는 체결홀(1321)을 구비할 수 있다.
조인트 홀더(13)가 베어링 장착홀(112)에 장착된 후에야 걸림 플레이트(15)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걸림 플레이트(15)는 분리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프레임(11)에 두 개의 상기 걸림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플레이트(15)는 복수의 걸림 플레이트(15) 볼트(151)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의 상면에 설치된다. 복수의 상기 걸림 플레이트 볼트(151) 중 일부분 또는 전부는 상기 원형 궤적(1322)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베어링 장착홀(112)에 근접된 걸림 플레이트 볼트(151)를 체결해야 할 경우, 조인트 홀더(13)를 회동시켜 체결홀(1321)이 체결될 걸림 플레이트 볼트(15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홀(1321)로부터 통과시켜 체결하면 되고 탈착 시, 동일하게 작업하면 된다. 베어링 장착홀(112)로부터 먼 걸림 플레이트 볼트(151)의 탈부착에 있어서, 플랜지 플레이트(132)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역시 상기 홀 설치 방식으로 해결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함몰되는 방식으로 걸림 플레이트 볼트(151)를 회동을 통해 피하도록 하면 된다.
운송차의 주행동력 및 보다 안정적인 선회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러닝 모터(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러닝 모터(3)는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11) 양측의 상기 바퀴(2) 중 각 측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2)와 동력 전달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러닝 모터(3)는 모두 이와 연결된 상기 바퀴(2)를 별도로 제어하고 구동시킨다.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하나의 보기 하측의 양측 바퀴(2)에는 각각 하나의 감속 모터가 장착되고 별도의 제어를 통해 방향조절 시 레일 내측과 외측 두 개의 바퀴(2)를 차동 주행시켜 바퀴가 스턱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다. 직선 주행 시, 두 대의 러닝 모터(3) 속도는 동기화를 유지하고 커브길 주행 시, 선회 시 내외 레일의 반경에 따라 두 대의 러닝 모터(3)에 상이한 가동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선회 시 내외 레일의 속도 차이가 바퀴 트레드 및 림의 마모를 일으키지 않도록 외부 레일 속도는 내부 레일 속도보다 빠르다.
또한, 갑작스런 정전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운송차의 운행을 정지시켜야 한다. 정전 후 운송차량이 관성에 의해 계속 활주하여 제어력을 잃지 않도록, 러닝 모터(3)는 브레이크 및 수동 방식으로 내리는 수동 릴리즈 핸들(31)을 설치할 수 있다. 예기치 않은 상황에 직면한 경우, 브레이크는 자동 제동을 통해 운송차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동 후, 전기가 없는 상황에서 운송차량을 바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러닝 모터(3)에는 수동 릴리즈 핸들(31)이 더 설치된다. 러닝 모터(3)의 제동 상태에 처한 브레이크를 해제시켜야 할 경우, 수동 방식으로 수동 릴리즈 핸들(31)을 내리면 되므로 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안전성도 비교적 높다.
하중 장치와 두 개의 보기(1)가 조인트 베어링 방식으로 2 포인트가 힌지 결합되므로 운송차량은 방향조절 과정에서 관성에 의해 측 방향력이 발생된다. 조인트 베어링이 일부 측 방향력을 견딜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보다 나은 응력을 유지하여 조인트 베어링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중 장치가 다른 위치에서 보기(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중 장치와 보기 사이의 힌지 결합 부분 양측에서 하중 장치가 보기(1)에 의해 지지되어 보조적 지지가 형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틸 코일 새들(8)의 하측에 네 개의 지지휠(4)이 설치되고, 각각 두 개의 힌지 결합점의 양측에 배치된다. 두 개의 지지휠(4)은 각각 하나의 보기(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운송차는 두 개의 보기(1)의 두 개의 조인트 베어링(12) 및 스틸 코일 새들(8)의 보조적 지지휠(4)을 이용하여 부하를 보기(1)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스틸 코일(100), 스틸 코일 새들(8)로부터 형성되는 중량은 주로 두 개 보기(1)의 두 개의 조인트 베어링(12)이 받게 되고, 불균형 중량은 스틸 코일 새들(8)의 네 개의 보조적 지지휠(4) 중 단측 두 개의 지지휠(4)이 받게 되고 불균형 응력을 보기(1)에 전달한다. 구름 마찰이므로 보기(1)와 스틸 코일 새들(8)이 상대적 회동 시 저항이 매우 작아 커브길 주행 시 바퀴(2) 림과 레일 사이가 토크로 인해 발생되는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1)에서 지지휠(8)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모판(114)을 장착할 수 있다. 즉, 각 지지휠(8)의 하면에 하나의 마모판(114)을 장착시킨다. 마모판(114)의 재질로는 다양한 내마모 재료를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편향 적재로 인해 스틸 코일 새들(2)의 일측 지지휠(8)은 보기(1)의 마모판(114)과 접촉되어 두 개의 조인트 베어링(12)과 3 포인트 또는 4 포인트 지지를 형성함으로써 스틸 코일 새들(8)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지지롤러(4)와 마모판(114) 사이에서는 평면 롤링되므로 스틸 코일 새들(8)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작용만 수행하므로 선회 시 스틸 코일 새들(2)이 두 개의 보기(1)에서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자동화 제어 요구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상기 하중 장치에 장착되는 전기 제어 캐비닛(5), 차량 탑재 전원(6) 및 충전 레일(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 탑재 전원(6)은 충전식 전원 공급 기기이고, 상기 충전 레일(7)은 지면의 고정 충전단과 접하여 상기 차량 탑재 전원(6)을 충전시킬 수 있다.
스틸 코일 새들(8)의 양단은 볼트를 통해 차량 탑재 전원 브라켓(9) 및 전기 제어 캐비닛 브라켓(10)을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재 전원(6) 및 상기 전기 제어 캐비닛(5)은 각각 차량 탑재 전원 브라켓(9) 및 전기 제어 캐비닛 브라켓(10)에 장착된다.
운송차는 차량 탑재 전원(6)으로부터 자기 주행 동력을 전달받는다. 차량 탑재 전원(6)은 슈퍼 커패시터, 리튬 배터리 등 쾌속 충전이 가능한 전원 공급 기기일 수 있고 이로써 야금 작업장의 운송 시스템에 적응할 수 있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른 유형의 동력 배터리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차량 탑재 전원(6)의 전기는 전기 제어 캐비닛(5)의 전원 공급 시스템을 거쳐 380V의 산업용 전기와 24V의 제어 전기인 두 가지 상이한 성질의 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380V의 교류전원은 러닝 모터(4)를 구동시키고, 24V의 직류전원은 운송차의 자동차 소자의 전원 공급 또는 제어에 사용된다. 스틸 코일 새들(8)의 측방(다른 적합한 위치일 수도 있음)에 충전 레일(7)을 설치하고 운송 노선의 적당한 위치에 충전용 파일을 설치하여 충전 레일(7)을 통해 운송차량의 차량 탑재 전원(6)에 자동으로 충전시킴으로써 운송차량의 전자동 주행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선단 충동방지 바(115) 및 후단 충동방지 바(1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115)는 전면의 상기 보기(1)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116)는 후면의 상기 보기(1) 후단에 장착되며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115)는 동일한 레일에서 가동되는 선행 차량의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116)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116)는 동일한 레일에서 가동되는 후행 차량의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115)의 위치에 대응된다. 선단 충동방지 바(115) 및 후단 충동방지 바(116)에는 스프링 등 쿠션 장치가 더 구비되거나 충돌로 발생하는 진동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쿠션 패드 등 쿠션 재료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를 통해 운송차 선회 시 필요한 기구 자유도를 확보하고 또한 내외 레일 바퀴가 별도로 구동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선회 반경에 따라 속도 설정이 가능하여 스틸 코일 운송차가 작은 선회 반경 레일에서 가동되는 경우, 턴테이블이 필요 없이 운송차 가동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스틸 코일 운송차가 직선, 곡선 레일에서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자기 주행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 노선의 원활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운송차는 구조가 합리적이고 컴팩트하며 투자 비용이 저렴하여 실용적인 의미가 강하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천장", "바닥", "내", "외", "주향" 등 용어가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해야 하고,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간략화하였을 뿐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구비하고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다르게 규정되거나 한정되지 않은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결 또는 두 개 소자의 상호적 작용 관계일 수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기술되고 정의되지 않은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상" 또는 "하"에 구비된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서로 접촉하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체를 통해 서로 접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상측" 및 "상부"에 구비된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측 또는 경사진 상측에 구비되거나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하". "하측" 및 "하부"에 구비된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측 또는 경사진 하측에 구비되거나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작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참조 술어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에 설명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거나 예시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임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밖에, 상호 모순되지 않는 전제하에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하거나 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술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변경, 수정,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보기 2: 바퀴 3: 러닝 모터 4: 지지휠
5: 전기 제어 캐비닛 6: 차량 탑재 전원 7: 충전 레일
8: 스틸 코일 새들 9: 차량 탑재 전원 브라켓
10: 전기 제어 캐비닛 브라켓 11: 프레임 12: 조인트 베어링
13: 조인트 홀더 14: 배플 15: 걸림 플레이트
31: 수동 릴리즈 핸들 81: 베어링부 100: 스틸 코일
111: 바퀴 장착부 112: 베어링 장착홀 113: 수평 단차면
114: 마모판 115: 선단 충동방지 바 116: 후단 충동방지 바
131: 축단 132: 플랜지 플레이트 133: 홈
134: 돌기 151: 걸림 플레이트 볼트
1321: 체결홀 1322: 원형 궤적

Claims (12)

  1. 하중 장치;
    운송차의 가동 방향을 따라 앞뒤로 배치되며,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에 장착되는 두개의 보기(1); 및
    상기 보기(1)의 하측에 장착되는 바퀴(2), 각각의 상기 보기(1)의 하면에 네 개의 상기 바퀴(2)를 설치하고;
    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 장치와 두 개의 상기 보기(1)는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1)는,
    두 개씩 상기 프레임(11)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는 네 개의 바퀴 장착부(111)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바퀴 장착부(111)에는 하나의 상기 바퀴(2)가 장착되는 프레임(11);
    상기 프레임(11)의 중심부에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수평 단차면(113)이 설치되는 베어링 장착홀(112);
    상기 베어링 장착홀(112)에 접합되고, 하부 저면은 상기 수평 단차면(113)과 합착되는 조인트 베어링(12); 및
    하부는 축단(131)이고, 상기 축단(131)은 상기 조인트 베어링(12)의 내부링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조인트 베어링(12)에 접합되는 조인트 홀더(13);
    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홀더(13) 상부는 연결부이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인트 홀더(13)를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에 고정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1)는,
    상기 축단(131)의 단부에 장착되고, 일측면은 상기 조인트 베어링(12)의 내부링과 밀착되는 배플(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1)는,
    상기 프레임(11)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 홀더(13)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홈(133) 내에 끼움 설치되는 걸림 플레이트(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1)는,
    상기 프레임(11)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 홀더(13)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돌기(134)를 누르는 걸림 플레이트(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플랜지 플레이트(132)이고,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132)에는 체결홀(1321)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홀(1321)은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132)의 회동에 따라 원형 궤적(1322)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프레임(11)에는 두 개의 상기 걸림 플레이트(15)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플레이트(15)는 복수의 걸림 플레이트 볼트(151)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의 상면에 장착되며, 복수의 상기 걸림 플레이트 볼트(151)는 일부분 또는 전부가 상기 원형 궤적(1322)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7.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상기 프레임(11) 양측의 상기 바퀴(2) 중 각 측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2)와 동력 전달되게 연결되고, 이와 연결된 상기 바퀴(2)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러닝 모터(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러닝 모터(3)는 감속 모터이고, 상기 러닝 모터(3)에는 브레이크 및 수동 릴리즈 핸들(3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9.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의 상측에는,
    각각 상기 베어링 장착홀(112)의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마모판(114)이 설치되고;
    상기 하중 장치의 하측은 상기 마모판(114)의 위치와 대응되며 상기 마모판(114)과 동일한 수량의 지지휠(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상기 하중 장치에 장착되는 전기 제어 캐비닛(5), 충전식 전원 공급 기기인 차량 탑재 전원(6) 및 상기 차량 탑재 전원(6)을 충전하도록 지면의 고정 충전단과 접할 수 있는 충전 레일(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장치는,
    스틸 코일 새들(8); 및
    상기 스틸 코일 새들(8)의 양단에 설치되는 차량 탑재 전원 브라켓(9) 및 전기 제어 캐비닛 브라켓(10)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제어 캐비닛(5) 및 상기 차량 탑재 전원(6)은 각각 전기 제어 캐비닛 브라켓(10) 및 차량 탑재 전원 브라켓(9)에 장착되며;
    상기 스틸 코일 새들(8)의 중심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 슬롯형 구조가 설치되는 베어링부(81)이고;
    상기 베어링부(81)는 두 개의 상기 보기(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12. 제1항 내지 제5항, 제10항,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코일 운송차는,
    선단 충동방지 바(115) 및 후단 충동방지 바(1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115)는 전면의 상기 보기(1)의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116)는 후면의 상기 보기(1)의 후단에 장착되고,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115)와 동일한 레일에서 가동되는 선행 차량의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116)는 위치가 서로 대응되며, 상기 후단 충동방지 바(116)와 동일한 레일에서 가동되는 후행 차량의 상기 선단 충동방지 바(115)는 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KR1020187032914A 2017-01-05 2018-01-02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KR10209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08532.3A CN106740916A (zh) 2017-01-05 2017-01-05 一种可主动转向的自行驶钢卷运输车
CN201710008532.3 2017-01-05
CN201711433032.0 2017-12-26
CN201711433032.0A CN108069218B (zh) 2017-01-05 2017-12-26 一种可主动转向的自行驶钢卷运输车
PCT/CN2018/070055 WO2018127040A1 (zh) 2017-01-05 2018-01-02 一种可主动转向的自行驶钢卷运输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907A true KR20180133907A (ko) 2018-12-17
KR102095924B1 KR102095924B1 (ko) 2020-04-01

Family

ID=5894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914A KR102095924B1 (ko) 2017-01-05 2018-01-02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05790B2 (ko)
EP (1) EP3453586B1 (ko)
KR (1) KR102095924B1 (ko)
CN (2) CN106740916A (ko)
WO (1) WO2018127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0916A (zh) 2017-01-05 2017-05-31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主动转向的自行驶钢卷运输车
CN107879042A (zh) * 2017-11-24 2018-04-06 鹤山市华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转向的钢卷转运车
CN109484990B (zh) * 2018-12-26 2023-08-18 江苏江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化钢模运送固定装备
CN110588674A (zh) * 2019-09-20 2019-12-20 江苏兴达钢帘线股份有限公司 一种盘条轨道运输的装置
CN111439542A (zh) * 2020-05-09 2020-07-24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横移装置及托盘车钢卷运输系统
CN111605888A (zh) * 2020-05-30 2020-09-01 徐州易尚饰家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卷钢安全底座的v型挡板结构
CN112456331B (zh) * 2020-11-06 2022-11-15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实现库区无人化人工打包区自动化控制的方法
CN113879345B (zh) * 2021-10-29 2023-08-25 大连华锐重工焦炉车辆设备有限公司 一种自行式无人废钢倾翻车
CN114701422A (zh) * 2022-02-11 2022-07-05 江苏博壹重工有限公司 一种钢卷托盘车及其运行方法
DE102022206359A1 (de) 2022-06-24 2024-01-04 Siemens Mobility GmbH Drehgestell für ein Schienenfahrzeug
CN115159061B (zh) * 2022-07-01 2024-04-26 广东诺巴特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钢卷的上料及储料装置
CN115742778B (zh) * 2022-11-16 2023-10-27 无锡巨力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新能源电池组供电的冶金车辆
CN116177127A (zh) * 2023-04-24 2023-05-30 中节能西安启源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多自由度卷材转运智能上料系统及其上料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836Y1 (ko) * 2004-02-24 2004-05-08 추성실 단전시 수동열림이 가능한 전동도어
JP2005335558A (ja) * 2004-05-27 2005-12-08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牽引装置
CN2780684Y (zh) * 2005-04-30 2006-05-17 赵凤林 无转盘手动卷筒纸输送系统
KR101002784B1 (ko) * 2010-09-08 2010-12-21 세종기술주식회사 자기부상열차의 전원공급시스템
CN203142672U (zh) * 2012-12-06 2013-08-21 广西水工机械厂 回转平板车
CN204264146U (zh) * 2014-11-26 2015-04-15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采用超级电容供电的钢卷运输车
KR101576116B1 (ko) * 2015-07-10 2015-12-10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이송효율을 향상한 부자재 이송장비
KR20160052915A (ko) * 2014-10-29 2016-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모노레일 차량 센터피봇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9709A (en) * 1929-12-26 1930-07-01 Miner Inc W H Car construction
US2070437A (en) * 1935-08-27 1937-02-09 Gen Electric Center bearing
US3147715A (en) * 1961-05-26 1964-09-08 Newport News S & D Co Transport vehicle construction
US3658011A (en) * 1969-11-06 1972-04-25 Planet Corp Coil car
DE2159118A1 (de) * 1969-11-06 1973-06-14 Planet Corp Transportfahrzeug fuer gerolltes, gestapeltes oder dergleichen material
GB1386912A (en) * 1973-05-04 1975-03-12 Wean United Inc Track system for wheeled cars
SE407526B (sv) 1976-06-09 1979-04-02 Asea Ab Hydraulisk press med ett fast presstativ och av den typ som innehaller en tryckcell med ett seckliknande membran som via en pressdyna formar platar eller andra material mot ett verktyg i ett rum under pressdynan
US4222694A (en) * 1978-08-14 1980-09-16 Wean United, Inc. Industrial workpiece transporting car system
US4398330A (en) * 1981-05-06 1983-08-16 Dayco Corporation Center plate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JPS60108583U (ja) * 1983-12-28 1985-07-23 川崎製鉄株式会社 コイル運搬台車
US4841872A (en) * 1985-06-03 1989-06-27 Railmaster System, Inc. Railway train of highway vehicles, and components therefor
DE8700774U1 (ko) * 1987-01-17 1987-03-26 Reederei Und Spedition "Braunkohle" Gmbh, 5000 Koeln, De
JPH06144219A (ja) * 1992-11-11 1994-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コライザー付き親子台車
DE9304617U1 (de) * 1993-03-26 1994-04-28 Plasser Bahnbaumasch Franz Weichentransportwagen
JP3575925B2 (ja) * 1996-10-04 2004-10-13 アシスト シンコー株式会社 分岐軌道を備えた搬送設備
US6286435B1 (en) * 1998-02-23 2001-09-11 Kasgro Rail Corp. Apparatus for lifting and shifting a long load
GB2380233B (en) * 2001-09-28 2004-01-07 Minebea Co Ltd A thrust bearing
KR100660773B1 (ko) * 2006-01-09 2006-12-22 에스지서보(주) 볼트랜스퍼 장치
CN101475007B (zh) * 2008-12-16 2010-12-08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发电机定子自承载运输装置
FR2970442B1 (fr) * 2011-01-13 2014-08-22 Sncf Regulation de tension dans un engin ferroviaire hybride
US8729856B2 (en) * 2011-02-23 2014-05-20 Lear Corporation Thermal wall plug sensing and control
CN104044599B (zh) * 2013-03-11 2016-08-31 秦皇岛秦冶重工有限公司 自驱型轨道车辆
CN104386070A (zh) * 2014-11-26 2015-03-04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采用超级电容供电的钢卷运输车
CN204399170U (zh) 2014-12-24 2015-06-17 石家庄煤矿机械有限责任公司 矿用低底盘八轮平板车
CN205589226U (zh) 2016-02-25 2016-09-21 湖南三一快而居住宅工业有限公司 自适应转弯的电动平车
KR101678562B1 (ko) 2016-03-23 2016-11-22 포스마텍 주식회사 곡선구간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일대차
CN105857323B (zh) 2016-03-31 2018-03-16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双向无级调节对接车
CN206374745U (zh) 2017-01-05 2017-08-04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主动转向的自行驶钢卷运输车
CN106740916A (zh) 2017-01-05 2017-05-31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主动转向的自行驶钢卷运输车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836Y1 (ko) * 2004-02-24 2004-05-08 추성실 단전시 수동열림이 가능한 전동도어
JP2005335558A (ja) * 2004-05-27 2005-12-08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牽引装置
CN2780684Y (zh) * 2005-04-30 2006-05-17 赵凤林 无转盘手动卷筒纸输送系统
KR101002784B1 (ko) * 2010-09-08 2010-12-21 세종기술주식회사 자기부상열차의 전원공급시스템
CN203142672U (zh) * 2012-12-06 2013-08-21 广西水工机械厂 回转平板车
KR20160052915A (ko) * 2014-10-29 2016-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모노레일 차량 센터피봇 구조
CN204264146U (zh) * 2014-11-26 2015-04-15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采用超级电容供电的钢卷运输车
KR101576116B1 (ko) * 2015-07-10 2015-12-10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이송효율을 향상한 부자재 이송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40916A (zh) 2017-05-31
KR102095924B1 (ko) 2020-04-01
US20190300024A1 (en) 2019-10-03
EP3453586B1 (en) 2021-09-01
WO2018127040A1 (zh) 2018-07-12
US11305790B2 (en) 2022-04-19
CN108069218B (zh) 2020-01-17
CN108069218A (zh) 2018-05-25
EP3453586A4 (en) 2019-08-14
EP3453586A1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907A (ko)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JP6955550B2 (ja) 鉄道輸送システム、鉄道輸送シャトル、および荷下ろし設備
CN110001670B (zh) 快装快卸式吊装轨道机器人及其行走装置、装卸方法
CA2668966C (en) Railway truck
CN206124756U (zh) Agv主动轮的避震悬挂机构
CN112519827B (zh) 转向架横梁、转向架及轨道车辆
CN209904755U (zh) 吊装轨道机器人及其快装快卸式承重导向机构
CN203864838U (zh) 一种自运行手动与机动多功能承载挂车
KR20170117716A (ko) 바이크 운반전용 접이식 트레일러 및 주차방법
KR101328422B1 (ko) 전기 운반차
CN216102073U (zh) 一种自行式无人废钢运输车
CN210310425U (zh) 一种重载蓄电池推车
CN218198253U (zh) 轨道行走机构
CN107878415B (zh) 一种电动式跨座单轨转向架支架
CN205032895U (zh) 铁路货车用卷钢座架的翻转装置
CN112172433A (zh) 一种舵轮及平移车
JP7333571B1 (ja) 輸送システム
KR20230174383A (ko)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CN220053802U (zh) 一种轨道用轻型运料车
CN217755939U (zh) 一种用于装车机的四驱移动装置
CN112441045A (zh) 电机车及其转向架结构
KR102346746B1 (ko) 높이조절 지그를 구비한 자동화 운반대차
CZ2017848A3 (cs) Multifunkční transportní platforma se zaměnitelnými a rekonfigurovatelnými kolovými jednotkami
CN202727862U (zh) 一种电动运输车车轮结构
CN113879345B (zh) 一种自行式无人废钢倾翻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