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653A -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 Google Patents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653A
KR20180133653A KR1020170070750A KR20170070750A KR20180133653A KR 20180133653 A KR20180133653 A KR 20180133653A KR 1020170070750 A KR1020170070750 A KR 1020170070750A KR 20170070750 A KR20170070750 A KR 20170070750A KR 20180133653 A KR20180133653 A KR 2018013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right frames
frame
frame fix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349B1 (ko
Inventor
한원성
배정영
손철호
Original Assignee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림조합중앙회 filed Critical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102017007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3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60P3/4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for log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표고자목)의 적재 운반과 하역 및 저장이 용이한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Structure for Openable Carrier rack of Lentinula timbers}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표고자목)의 적재 운반과 하역 및 저장이 용이한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운반차량은 적재부에 원목을 적재할 때 다수개의 부목과 로프를 사용하게 된다. 즉, 부목을 차량의 적재부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세운 후 부목의 하단부를 로프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게 묶고, 그 부목 사이의 로프 상에 원목을 탑재시켜 제 1원목층을 형성시킨 후 제 1원목층 상에 로프를 사용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부목을 재차 서로 연결되게 묶는다.
상기와 같이 로프에 의해 재차 부목이 묶이면 묶인 로프 상에 제 2원목층을 적재한 후 다시 제 2원목층 상에 로프를 사용하여 부목을 묶고, 또 그 로프 상에 제 3원목층을 적재하고, 다시 로프로 부목을 묶은 후 그 로프 상에 제 4원목층을 적재하는 방식으로 원목층과 로프를 교대로 적층 시켜 원목을 고정하는데, 최상의 원목층이 적층 되면 최상의 원목층 상에 로프로 부목을 묶음으로써 최상의 원목층까지 로프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원목운반차량의 적재부에 원목의 적재가 완료되면, 원목운반차량은 원목의 하역장소로 이동하고, 하역장소에 도착하면, 하역을 시작하게 되는데 하역시에는 먼저 톱을 사용하여 최상의 원목층의 하단부에 부목의 소정위치를 수평으로 절단한 후 최상의 원목층을 절단된 부목 쪽으로 밀어내어 하역한 후 재차 그 아래 원목층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부목의 소정위치를 절단한 후 해당 원목층을 절단된 부목 쪽으로 밀어내어 하역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하층 원목층을 차례로 하역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목적재 및 하역작업은 많은 수의 작업자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적재 및 하역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적재에 사용되었던 부목 및 로프는 재차 사용할 수 없어 원목의 적재 시마다 새로운 부목과 로프를 구입하여야 함으로 인건비 및 자재구입비용이 비싸면서도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원목적재에 소요되는 많은 수의 부목을 확보하기 위하여 산악지대에서 대규모 벌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림훼손이 극심함은 물론 원목운반차량의 이동시 부목이 부러지는 일이 종종 있어 이로 인한 대형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314246호(등록일자 2003. 5. 12)의 원목 운반차량용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가 제안되어 왔었다.
동 공보의 원목운반차량용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목운반차량용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10)는 원목운반차량(30)의 적재부 상에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져서 고정 설치된 다수개의 받침대(11)의 각각의 작동부(12)(13)에 상기 측방지지대(22)가 구비한 상기 조립체(20)를 대향하게 조립한 후 상기 걸림해제방지구(19)를 상방으로 회동시킨 다음 상기 받침대(11)의 양 측면에 각기 반대방향으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 1작동로드(17)의 해제레버(17a)를 당긴 후 하방으로 회동시켜 걸림요부(12e)(13e)에 각각의 걸림돌부(17b)를 걸고, 상기 걸림해제방지구(19)를 놓으면 걸림해제방지구(19)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 되어 상기 제 1작동로드(17)의 걸림돌부(17b)측 끝 부분이 상방으로 들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제 1작동로드(17)를 잡아당기면 제 2작동로드(18)도 연동하여 길이방향으로 당겨짐으로 작동판(16)은 시계방향(이하, 우측 작동부(130)기준)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축(1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체결축(15)의 체결홈(15a) 저면이 상기 조립체(20)의 체결돌부(20a)의 상면(20b)과 맞닿게 되어 조립체(20)는 작동부(12)(13)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원목(31)을 적재부에 적재시킨 후 적재가 완료되면 연결수단(21)을 상기 측방지지대(22)의 상단부에 체결시킴으로써 원목(31)의 적재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원목(31)의 적재가 완료된 원목운반차량(30)은 하역장소로 이동한 후 원목(31)을 하역하게 되는데 원목(31)의 하역시에는 먼저 원목을 어느 쪽으로 하역시킬 것인가를 결정한 후 원목(31)의 하역방향의 반대편에 있는 걸림해제방지구(19)를 상방으로 회동시킨 후 제 1작동로드(17)의 해제레버(17a)를 잡고 상방으로 회동시켜 걸림돌부(17b)가 걸림요부(12e)(13e)로부터 탈거 되도록 한 후 상기 해제레버(17b)를 밀면,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로드(17)(18)가 함께 밀리면서 상기 작동판(1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축(1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체결홈(15a)의 저면이 상기 조립체(20)의 체결돌부(20a)의 상면(20b)과 떨어지면서 조립체(2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게 되는데 고정상태가 해제된 조립체(20)는 적재된 원목(31)의 하중이 측방지지대(22)에 작용함으로 원목(31)의 하중에 의해 조립체(20)는 작동부(13)로부터 탈거 되게 되고, 조립체(20)의 탈거로 인해 상기 측방지지대(22)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밀리면서 더는 원목(31)을 지지하지 못함으로 적재된 원목(31)은 하중에 의해 외향으로 밀려난 측방지지대(22) 쪽으로 쏟아져 하역되고, 외향으로 밀려난 측방지지대(22)는 연결수단(21)에 의해 반대편 측방지지대(22)에 매달려지기 때문에 하역된 원목(31) 밑에 깔리지 않고 하역된 원목(31)의 상부에 배치됨으로 재차 조립체(20)를 상술한 방법으로 작동부(13)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것만으로 하역작업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목운반차량용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는 여러 개의 부품으로 연결되어 원목운반차량(30)에 원목(31)들을 적재한 후, 하역시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조립체(20)의 탈거에 따라 적재된 원목(31)들이 자체하중에 의해 외부 측방지지대(22) 쪽으로 밀려 쏟아져 지면으로 낙하 하역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목의 손상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를 구성하는 많은 부품 간의 결합구조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높고 사용 중 원목의 충돌에 의해 쉽게 고장 및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목(표고자목)의 적재 운반과 하역 및 저장이 용이한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마주하면서 동일한 높이로 수직이게 세워진 좌우측프레임;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안쪽 면과 직각으로 맞닿아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되면서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어 운반용 랙을 이동시키도록 수평 되게 눕혀진 바닥측프레임; 상기 바닥측프레임의 상부 면적에 대응되게 포개어지면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다수의 원목을 적재하는 바닥철판;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사각 코너부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쇠줄을 매개로 크레인 후크가 걸려서 운반용 랙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후크고리; 상기 좌우측프레임 중 일측 혹은 양측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프레임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운반용 랙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경첩; 및 상기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기 좌우측프레임이 원목 적재시에는 개방되지 않고 원목의 하역시에는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프레임고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고정기는, 상하 움직임을 통해 상기 좌우측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프레임고정핀; 상기 프레임고정핀이 삽입되어 좌우측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삽입부; 상기 프레임고정핀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고정핀을 상기 좌우측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고정핀하우징; 상기 프레임고정핀을 상기 고정핀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거치시키는 하부고정핀거치대; 및 상기 프레임고정핀을 상기 고정핀삽입부에서 인출된 상태로 거치시키는 상부고정핀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핀하우징은, 상기 프레임고정핀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여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고정시 상기 프레임고정핀이 상기 고정핀삽입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원목을 차곡차곡 쌓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면서 앞쪽과 뒤쪽이 개방된 사각 모양의 운반용 랙으로 이루어져 있고,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의해 원목들이 적재된 운반용 랙을 통째로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운반용 랙의 상면 가장자리에 후크고리와 바닥에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의 손상 없이 적재 운반과 하역 및 저장이 용이함과 동시에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 모양의 운반용 랙의 일측이 고정장치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음으로써 원목 하차시 용이하게 원목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 모양의 운반용 랙의 일측이 고정장치에 의하여 닫혔을 때, 고정장치 내부에 포함된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상기 고정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목의 적재 또는 운반용 랙의 이동시 열리지 않고 고정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원목적재 및 하역장치가 설치된 운반차량의 적재부에 원목을 적재한 상태와 원목을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고정기(54)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하우징(54c)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목을 쌓은 운반용 랙을 크레인에 의해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목을 쌓은 운반용 랙을 지게차에 의해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목을 쌓은 운반용 랙의 좌측프레임을 개방하여 원목을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폐 가능한 원목운반용 랙 구조체는, 좌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마주하면서 동일한 높이로 수직이게 세워진 좌우측프레임(50)(52)과,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안쪽 면과 직각으로 맞닿아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되면서 지게차 포크(60)가 삽입되어 운반용 랙(40)을 이동시키도록 수평 되게 눕혀진 바닥측프레임(70)과, 상기 바닥측프레임(70)의 상부 면적에 대응되게 포개어지면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다수의 원목(42)을 적재하는 바닥철판(80)과,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의 사각 코너부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쇠줄(62)을 매개로 크레인 후크(64)가 걸려서 운반용 랙(40)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후크고리(90)와,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 중 일측 혹은 양측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 중 일측 혹은 양측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운반용 랙(40)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경첩(56)과, 상기 경첩(56)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이 원목(42) 적재시에는 개방되지 않고 원목(42)의 하역시에는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프레임고정기(54)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경첩(56) 및 프레임고정기(54)는 좌우측프레임(50)(52) 중 좌측프레임(50)에만 설치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경첩(56) 및 프레임고정기(54)는 좌측프레임(50)에만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나, 본 발명의 경첩(56) 및 프레임고정기(54)는 우측프레임(5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좌우측프레임(50)(52)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은, 전후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각각 세워지는 좌측 및 우측 지주(50a)(52a)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주(50a)(52a)의 상단 좌측 및 우측 바깥 면에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측면바(50b)(52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주(50a)(52a)의 하단 좌측 및 우측 바깥 면에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제1측면바(50c)(52c)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주(50a)(52a)의 하단 좌측 및 우측 바깥 면에 대하여 상기 하부제1측면바(50c)(52c)로부터 상향된 일정한 거리에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제2측면바(50d)(52d)와, 상기 상부측면바(50b)(52b)와 하부제1측면바(50c)(52c) 및 하부제2측면바(50d)(52d)의 중앙측 안쪽 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각각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중앙측 지주(50e)(52e)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주(50a)(52a)와 중앙측 지주(50e)(52e)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측프레임(70)은,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의 사이 측 하단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양끝 단이 각각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전후측연결대(70a)(70b) 및 상부중앙측연결대(70c)와,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의 사이 측 하단에 상기 상부전후측연결대(70a)(70b)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양끝 단이 각각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전후측연결대(70d)(70e)와, 상기 상부전후측연결대(70a)의 길이단 중앙과 하부전후측연결대(70d)(70e)의 길이단 중앙측 사이에 수직으로 각각 세워져 양끝 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전후측간격유지대(70f)(70g)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전후측연결대(70a)(70b), 상부중앙측연결대(70c), 하부전후측연결대(70d)(70e), 전후측간격유지대(70f)(70g)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40)은 도 3과 같이 좌우측프레임(50)(52)과 바닥측프레임(70) 및 바닥철판(80)의 용접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면서 앞쪽과 뒤쪽이 개방된 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닥철판(80) 위에 다수의 원목(42)들을 차곡차곡 쌓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기(54)는, 상하 움직임을 통해 상기 경첩(56)이 설치된 좌측프레임(5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프레임고정핀(54a)과,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삽입되어 좌측프레임(5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삽입부(54b)와,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고정핀을 상기 좌측프레임(50)에 결합시키는 고정핀하우징(54c)과,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상기 고정핀삽입부(54b)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하부고정핀거치대(54d)와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상기 고정핀삽입부(54b)에서 인출된 상태로 거치시키는 상부고정핀거치대(54e)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고정기(54)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프레임(50)에 경첩(56) 및 프레임고정기(5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측프레임(50)은 경첩에 의해 좌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고정기(54)의 프레임고정핀(54a)은 고정핀하우징(54c)에 의해 좌측프레임(50)에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은 고정핀삽입부(54b)에 삽입되어 상기 좌측프레임(5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고정핀삽입부(54b)에 삽입된 경우,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은 하부고정핀거치대(54d)에 거치 되어 고정된다. 이처럼 하부고정핀거치대(54d)에 거치 됨으로써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은 원목(42)의 적재시 혹은 이동시에도 좌측프레임(50)이 개방되지 않고 고정되어 원목(4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상기 고정핀삽입부(54b)에서 인출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회전하여 하부고정핀거치대(54d)로부터 탈거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탈거 된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핀삽입부(54b)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삽입부(54b)로부터 인출한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도 4의 (B)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고정핀거치대(54e)에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을 상부고정핀거치대(54e)에 거치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이동하여 고정핀삽입부(54b)에 다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좌측프레임(50)을 원활히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의 (E)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고정핀삽입부(54b)로부터 인출된 경우, 경첩(56)에 의하여 상기 좌측프레임(50)을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프레임(50)을 개방함으로써 운반용 랙에 적재된 원목(42)을 쉽게 하역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하역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하우징(54c)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하우징(54c)은, 프레임고정핀(54a)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여 좌우측프레임(50)(52)의 고정시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상기 고정핀삽입부(54b)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장치(54f)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하우징(54c)은 내부에 프레임고정핀(54a)이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스프링장치(54f)를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장치(54f)가 프레임고정핀(54a)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은 상기 스프링장치(54f)로부터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전달받기 위하여 스토퍼(54g)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장치(54f)가 프레임고정핀(54a)에 부착된 스토퍼(54g)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스토퍼(54g)가 프레임고정핀(54a)을 하방으로 눌러, 프레임고정핀(54a)을 하방으로 이동한 채로 유지하게 한다.
좌우측프레임(50)(52)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고정핀삽입부(54b)에 삽입되므로, 상기 스프링장치(54f)에 의해 상기 프레임고정핀(54a)은 상기 고정핀삽입부(54b)에 삽입된 채로 유지되고, 이를 통해 상기 좌우측프레임(50)(52)이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운반용 랙(40)에 원목(42)의 적재시 혹은 운반용 랙(40)의 이동시에도 좌우측프레임(50)(52)이 개방되지 않고 고정되어 원목(4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목을 쌓은 운반용 랙을 크레인에 의해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운반용 랙(40)의 좌우측프레임(50)(52)의 상부측면바(50b)(52b)의 상면에 후크고리(90)가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후크고리(90)에 쇠줄(62)을 매개로 크레인후크(64)를 걸어서 운반용 랙(40)을 손쉽게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고, 또한 운반용 랙(40)은 원목(42)들이 적재된 상태로 운반차량에 의해 표고재배 임가까지 운반 및 하역된 후 운반용 랙(40)으로부터 원목(42)들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목을 쌓은 운반용 랙을 지게차에 의해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운반용 랙(40)은 바닥측프레임(70)의 상부전후측연결대(70a)(70b) 및 상부중앙측연결대(70c) 와 하부전후측연결대(70d)(70e)의 사이에 지게차 포크(6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지게차에 의해 원목(42)이 적재된 운반용 랙(40)을 통째로 들어서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목을 쌓은 운반용 랙의 좌측프레임을 개방하여 원목을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40)은 좌우측프레임(50)(52)의 일측 혹은 양측을 경첩(56)에 의해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반용 랙(40)에 적재된 원목(42)을 더욱 원활하게 하역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원목을 차곡차곡 쌓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면서 앞쪽과 뒤쪽이 개방된 사각 모양의 운반용 랙으로 이루어져 있고,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의해 원목들이 적재된 운반용 랙을 통째로 운반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운반용 랙의 상면 가장자리에 후크고리와 바닥에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의 손상 없이 적재 운반과 하역 및 저장이 용이함과 동시에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 모양의 운반용 랙의 일측이 고정장치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음으로써 원목 하차시 용이하게 원목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 모양의 운반용 랙의 일측이 고정장치에 의하여 닫혔을 때, 고정장치 내부에 포함된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상기 고정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목의 적재 또는 운반용 랙의 이동시 열리지 않고 고정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40 : 운반용 랙 42 : 원목
50,52 : 좌우측프레임 50a,52a : 좌측 및 우측 지주
50b, 52b : 상부측면바 50c, 52c : 하부제1측면바
50d, 52d : 하부제2측면바 50e, 52e : 중앙측지주
54 : 프레임고정기 54a : 프레임고정핀
54b : 고정핀삽입부 54c : 고정핀하우징
54d : 하부고정핀거치대 54e : 상부고정핀거치대
54f : 스프링장치 54g : 스토퍼
56 : 경첩 60 : 지게차 포크
62 : 쇠줄 64 : 크레인 후크
70 : 바닥측프레임 70a,70b : 상부전후측연결대
70c : 상부중앙측연결대 70d,70e : 하부전후측연결대
70f,70g : 전후측간격유지대 80 : 바닥철판
90 : 후크고리

Claims (3)

  1. 좌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마주하면서 동일한 높이로 수직이게 세워진 좌우측프레임;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안쪽 면과 직각으로 맞닿아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되면서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어 운반용 랙을 이동시키도록 수평 되게 눕혀진 바닥측프레임;
    상기 바닥측프레임의 상부 면적에 대응되게 포개어지면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다수의 원목을 적재하는 바닥철판;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사각 코너부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쇠줄을 매개로 크레인 후크가 걸려서 운반용 랙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후크고리;
    상기 좌우측프레임 중 일측 혹은 양측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프레임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운반용 랙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경첩; 및
    상기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기 좌우측프레임이 원목 적재시에는 개방되지 않고 원목의 하역시에는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프레임고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고정기는,
    상하 움직임을 통해 상기 좌우측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프레임고정핀;
    상기 프레임고정핀이 삽입되어 좌우측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삽입부;
    상기 프레임고정핀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고정핀을 상기 좌우측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고정핀하우징;
    상기 프레임고정핀을 상기 고정핀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거치시키는 하부고정핀거치대; 및
    상기 프레임고정핀을 상기 고정핀삽입부에서 인출된 상태로 거치시키는 상부고정핀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하우징은,
    상기 프레임고정핀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여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고정시 상기 프레임고정핀이 상기 고정핀삽입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KR1020170070750A 2017-06-07 2017-06-07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KR10198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750A KR101988349B1 (ko) 2017-06-07 2017-06-07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750A KR101988349B1 (ko) 2017-06-07 2017-06-07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653A true KR20180133653A (ko) 2018-12-17
KR101988349B1 KR101988349B1 (ko) 2019-06-12

Family

ID=6500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750A KR101988349B1 (ko) 2017-06-07 2017-06-07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1882A (zh) * 2021-08-25 2021-10-29 许家佳 一种用于提高货车运输钢管安全的钢管固定装置
EP4276043A1 (en) * 2022-05-12 2023-11-15 Marine Group MG AB Safety arrangement for unloading of goods from a vehicle, a method for unloading goods from a vechicle, and use of such safety arran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926A (ja) * 2003-06-24 2005-01-20 Hokuto:Kk パレット
KR20090127164A (ko) * 2007-04-10 2009-12-09 미하마 가부시키가이샤 포스트팔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926A (ja) * 2003-06-24 2005-01-20 Hokuto:Kk パレット
KR20090127164A (ko) * 2007-04-10 2009-12-09 미하마 가부시키가이샤 포스트팔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1882A (zh) * 2021-08-25 2021-10-29 许家佳 一种用于提高货车运输钢管安全的钢管固定装置
CN113561882B (zh) * 2021-08-25 2023-01-31 运易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货车运输钢管安全的钢管固定装置
EP4276043A1 (en) * 2022-05-12 2023-11-15 Marine Group MG AB Safety arrangement for unloading of goods from a vehicle, a method for unloading goods from a vechicle, and use of such safety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349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976B1 (ko)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EP2012616B1 (en) Assembly for and method of housing an object, such as fuel cell balance of plant equipment, for transport to and storage at a user location
KR101988349B1 (ko)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JPH03503151A (ja) シート材のハンドリングフレーム
JP5965029B1 (ja) コンテナ
EP3683173B1 (en) A transportable harp rack for panels
JP4935265B2 (ja) 板状体の輸送用パレット
US20200079583A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Stacker and a Stacking System
KR20170002410U (ko)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JP3999925B2 (ja) 積み重ね構造を有する金属材搬送用コンテナ
EP0860378B1 (en) Container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crush barriers
JP2005289377A (ja) 高重心縦長精密機器の輸送用ボックスパレット
JP4951078B2 (ja) 遊技機運搬用コンテナ
JP2000128171A (ja) コンテナ装置
KR200295648Y1 (ko) 화물운반용 손수레
ITTO20030143U1 (it) Contenitore modificato per spedizione marittima
JP4644454B2 (ja) コンテナ
JP6854070B2 (ja) 荷物載せ替え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荷物載せ替えシステム
JP2007168896A (ja) 梱包方法、および梱包構造
JP4132572B2 (ja) 重心部に吊架台を有するコイルコンテナ
JP4233991B2 (ja) 板状体の輸送用パレット
JP3523532B2 (ja) 繰返し使用可能な梱包枠
JPH09132073A (ja) 建築用資材の輸送用架台
JPH11180383A (ja) コンテナ支持装置
JPH07315380A (ja) ガラス板等の板状物用h型積重ね式物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