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48Y1 - 화물운반용 손수레 - Google Patents

화물운반용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648Y1
KR200295648Y1 KR2020020026114U KR20020026114U KR200295648Y1 KR 200295648 Y1 KR200295648 Y1 KR 200295648Y1 KR 2020020026114 U KR2020020026114 U KR 2020020026114U KR 20020026114 U KR20020026114 U KR 20020026114U KR 200295648 Y1 KR200295648 Y1 KR 200295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vertical frame
cargo
fixed vertical
loa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경
Original Assignee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경 filed Critical 김민경
Priority to KR2020020026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648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포나 시장 등에서 박스나 상품 등의 각종 화물을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화물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판에 다단으로 적재하고 운반을 하는 경우에 깨지거나 부서지기 쉬운 화물을 나누어 적재할 수 있어 한번에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화물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고정 수직프레임과,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에 부착된 한쌍의 바퀴와,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 적재판과,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화물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적재판 상부에 가이드 수단에 의해 일정공간을 상하로 승강하고 일정 높이에 위치하면 고정되는 이동 적재판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화물운반용 손수레 {Handcart for goods transport}
본 고안은 점포나 시장 등에서 박스나 상품 등의 각종 화물을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화물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판에 다단으로 적재하고 운반을 하는 경우에 깨지거나 부서지기 쉬운 화물을 나누어 적재할 수 있어 한번에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화물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화물을 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한 쌍의 바퀴를 설치하고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프레임이 결합되며 수직 프레임에 적재판이 수평으로 고정되어 적재판에 쌓여진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손수레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손수레는 적재판에 박스나 상품 등의 화물을 올려놓고 끌거나 밀어서 하역장소로 이동하여 화물을 하역하게 되어 이동이 편리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한번에 많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적재판에 화물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화물은 그 종류에 따라 깨지거나 부서지기 쉬운 것이 있어서 다단으로 적재하는 경우 하부의 화물은 상부 화물의 무게에 의해 파손되거나 부서져 화물은 그 종류에 따라 한번에 많은 화물을 운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판을 2개 형성하되 하나는 고정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파손이 용이한 화물은 상하 적재판에 나누어 적재하고 일반 화물은 하나의 적재판에 다단으로 적재함으로써 화물을 파손시키지 않고 한번에 많은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화물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고정 수직프레임과,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에 부착된 한쌍의 바퀴와,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 적재판과,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화물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적재판 상부에서 가이드 수단에 의해 일정공간을 상하로 승강하고 일정 높이에 위치하면 고정되는 이동 적재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 수직프레임 12 : 이동 수직프레임
20 : 고정 적재판 22 : 이동 적재판
30 : 바퀴 40 : 손잡이
50,52 : 결합공 60 : 걸림구
70 : 보강살 80 : 화물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고정 수직프레임(10)에 한쌍의 바퀴(30)가 부착되고, 고정 수직프레임(10)의 일측 하부에는 고정 적재판(20)이, 타측 상부에는 손잡이(40)가 형성된다.
이는 종래 손수레의 구조로서 본 고안은 상기 구조에 이동 적재판(22)을 고정 적재판(20) 상부에 더 형성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이동 적재판(22)은 가이드 수단에 의해 일정공간을 상하로 승강하고 일정높이에 위치하면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동 적재판(22)이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10)을 외삽하여 고정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이동 수직프레임(12)이다.
상기 이동 수직프레임(12)이 일정높이에 위치하면 이동 적재판(22)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은 고정 수직프레임(10)에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 결합공(50)과, 상기 결합공(50)에 일치되게 이동 수직프레임(12)에 형성된결합공(52)과, 상기 결합공(50,52)에 끼워져 관통되는 걸림구(6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구(60)는 분실될 염려가 있으므로 손수레의 일부에 연결시킴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동 수직프레임(12)에 연결시킴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70은 고정 수직프레임을 튼튼하게 보강하는 보강살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이동 적재판(22)이 고정 적재판(20) 상부에서 고정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일정높이에 위치하면 걸림구(60)를 결합공에 (50,52)끼워 고정시키면 된다.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박스나 상품의 화물(80)이 잘 파손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단으로 적재하여도 무방하므로, 도 2a에서와 같이 화물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이동 적재판(22)을 제일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 적재판(20)에 올려 놓고 걸림구(60)를 결합공(50,52)에 끼워 이동 적재판(2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 적재판(22)의 상부에 화물(80)을 다단으로 적재하면 된다.
이 경우에 이동 적재판922)이 고정 적재판(20)에 올려진 상태이므로 걸림구(60)로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박스나 상품의 화물(80)이 잘 파손되는 경우에는 다단으로 적재하면 상부의 화물 무게에 의해 하부의 화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르 다단으로 적재할 수 없다
이 경우에 도 2b에서와 같이 고정 적재판(20) 상부에 화물(80)이 들어갈 만큼 이동 적재판(22)을 충분히 이격시켜 걸림구(60)를 결합공(50,52)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 적재판(20)과 이동 적재판(22)에 화물(80)을 분리하여 올려놓으면 된다.
이렇게 하면 상부 이동 적재판(22)에 올려진 화물(80)의 무게가 하부 고정 적재판(20)에 올려진 화물(8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파손될 염려가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적재판을 2개 형성하되 하나는 고정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파손이 용이한 화물은 상하 적재판에 나누어 적재하고 일반 화물은 하나의 적재판에 다단으로 적재함으로써 화물을 파손시키지 않고 한번에 많은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어 능률적이다.

Claims (3)

  1. 상하로 길게 형성된 고정 수직프레임과,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에 부착된 한쌍의 바퀴와,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 적재판과,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화물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적재판 상부에 가이드 수단에 의해 일정공간을 상하로 승강하고 일정 높이에 위치하면 고정되는 이동 적재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손수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동 적재판이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을 외삽하여 고정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이동 수직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손수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적재판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에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일치되게 이동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2개의 결합공에 끼워져 관통되는 걸림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손수레.
KR2020020026114U 2002-08-31 2002-08-31 화물운반용 손수레 KR200295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114U KR200295648Y1 (ko) 2002-08-31 2002-08-31 화물운반용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114U KR200295648Y1 (ko) 2002-08-31 2002-08-31 화물운반용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648Y1 true KR200295648Y1 (ko) 2002-11-18

Family

ID=7305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114U KR200295648Y1 (ko) 2002-08-31 2002-08-31 화물운반용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6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776B1 (ko) * 2018-07-20 2018-12-11 주식회사 이목손 중량물 이송대차
KR102259524B1 (ko) * 2020-11-06 2021-06-02 양서영 멀티 핸드 카
KR102661945B1 (ko)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이동 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776B1 (ko) * 2018-07-20 2018-12-11 주식회사 이목손 중량물 이송대차
KR102259524B1 (ko) * 2020-11-06 2021-06-02 양서영 멀티 핸드 카
KR102661945B1 (ko)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이동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441436C (sv) Lastberare
EP3305676B1 (en) Logistics system and adaptor pallet
JP2011121633A (ja) 搬送用パレット
US6811163B1 (en) Cabinet transport and storage cart
KR200295648Y1 (ko) 화물운반용 손수레
US9440769B2 (en) Platform for use in a logistic system
KR101165568B1 (ko)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US20230159074A1 (en) Stocking cart and method of transporting items using the same
KR102079642B1 (ko) 적재대
JP2868964B2 (ja) 自動倉庫の入出庫設備及びそれを使っての入出庫方法
KR100205514B1 (ko)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EP3294645B1 (en) Vehicle body carrier and method of loading a vehicle body onto such a carrier
US20240132333A1 (en) Forklift equipment for moving workshop loads
JPS6396038A (ja) 物品運搬方法とこれに使用される運搬具
KR100821067B1 (ko) 주상형 프로파일용 파레트
JP2002067965A (ja) 運搬台車
JP3119119U (ja) 遊技台専用カート
CN211894662U (zh) 一种产品装载装置
KR200204527Y1 (ko) 컨테이너
KR101048642B1 (ko) 운반대차의 적재 지그
KR100390383B1 (ko) 컨테이너
KR101061381B1 (ko) 파레트
JP2002321736A (ja) コンテナ用ラック
KR100811089B1 (ko) 물품 운반용 파렛트
JP5843347B2 (ja) パレットとカゴ車との組み合わせ、パレット、そのパレットにカゴ車を乗降させるための補助装置、及び、そのパレットとカゴ車とを用いる倉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