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776B1 - 중량물 이송대차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송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776B1
KR101927776B1 KR1020180084882A KR20180084882A KR101927776B1 KR 101927776 B1 KR101927776 B1 KR 101927776B1 KR 1020180084882 A KR1020180084882 A KR 1020180084882A KR 20180084882 A KR20180084882 A KR 20180084882A KR 101927776 B1 KR101927776 B1 KR 10192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art
loading
heavy
angle
heav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나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목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목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목손
Priority to KR102018008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plates, doors, pan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0Heavy object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3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adjustment or convers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드슬랩과 같은 크기가 크고 고중량인 판상체와 같은 물품을 보다 쉽게 안전하게 이동시키거나 배달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량물 이송대차에 관한 기술로서, 다수의 메인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파트; 상기 베이스 파트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하단측에 중량물을 올려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가 연결되는 로딩 파트; 상기 로딩 파트의 상단 부근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서포팅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 파트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로딩 파트의 경사각을 조절하되, 상기 보조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서포팅 파트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로딩 파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물 이송대차{Moving cart for heavy weight material}
본 발명은 우드슬랩과 같은 크기가 크고 고중량인 판상체와 같은 물품을 보다 쉽게 안전하게 이동시키거나 배달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량물 이송대차에 관한 기술이다.
판상이면서 사이즈가 크고 무거운 물체의 운반에는 항상 어려움이 따르게 마련이며, 최소 2명 이상의 인원이 요구된다. 대략 200kg 이상의 중량이 나가는 물체라면 성인 2명으로도 무리가 따르므로 안전한 운반을 위해서는 최소 4명 정도의 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대면적이면서 고중량의 판상 물체로는 유리,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테이블 상판 등이 있다. 특히 근래에 테이블 상판으로 원목이나 집성을 통해 상당히 두껍고 폭과 길이가 긴 우드슬랩이라 불리는 제품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드슬랩은 나무의 종류, 두께, 폭과 길이 등에 따라 그 중량이 수십 내지 수백kg에 달하기도 하는데, 취급이 어려워 판매가 이루어져도 배송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고품질의 우드슬랩은 그 가격 또한 수백만원을 호가하기 때문에 운반 중 손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게 되고, 고중량인 관계로 자칫 실수하게 되면 운반하는 작업자들도 심각한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다는 불안함이 있었다.
특히, 아파트에 거주하는 구매자의 경우 제한된 엘리베이터의 규격 때문에 원하는 우드슬랩을 구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4828호의 "판상물용 이송로봇시스템"이 알려져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판상물용 이송로봇시스템에 대한 외형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판상물용 이송로봇시스템은, 지지체(2)에 설치된 X축 이동용 직선로봇(3) 및 X축 이동용 LM가이드(4)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재(5)와; 상기 이동부재(5)에 일체 형성되어 지지체(2) 전방에 위치하는 수직판(5a)과 Y축 이동용 LM가이드(7) 및 정역회전하는 모터(8)에 의해 구동하는 볼스크루(9)를 매개로 승강하는 승강브래킷(6)과; 승강브래킷(6)의 하측으로 결합되며, 판상물(100)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패드(40)가 장착된 흡착부(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부(30)는 승강브래킷(6)에 결합된 흡착부 설치판(31)과; X축 이동용 직선로봇(3)과 평형하도록 흡착부 설치판(31)에 고정되는 좌우신축용 양방향 직선로봇(32)과; 상기 좌우신축용 양방향 직선로봇(32)의 테이블에 결합되어 신축되는 좌우신축용 가변부재(32a)와; X축 이동용 직선로봇(3)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좌우신축용 가변부재(32a)의 선단에 고정되는 흡착패드 고정프레임(34)과; X축 이동용 직선로봇(3)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흡착부 설치판(31)에 고정되는 전후신축용 양방향 직선로봇(35)과; 전후신축용 양방향 직선로봇(35)의 테이블에 결합되어 신축되는 전후신축용 가변부재(36)와; 상기 전후신축용 가변부재(36)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결합된 신축봉(38)이 흡착패드 고정프레임(34)과 신축용 LM가이드(39)로 연결 구성되는 신축봉지지용 하우징(37)과; 상기 흡착패드 고정프레임(34)의 바깥쪽과 안쪽에 설치한 복수의 흡착패드(40)와; 상기 신축봉(38)의 선단에 결합되는 흡착패드(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은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자동화라인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설비가 갖추어진 자동화 공장내에서만 사용되는 것인 바, 일상 생활에서 범용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48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우드슬랩과 같은 대형 중량의 판상체를 근거리 이동시키거나 배송을 위해 차량에 싣고 내릴 때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한 중량물 이동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을 적재한 후 필요한 각도로 눕히거나 세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 중량물을 싣거나 내릴 때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중량물 이동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중량물 이동대차는, 다수의 메인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파트; 상기 베이스 파트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하단측에 중량물을 올려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가 연결되는 로딩 파트; 상기 로딩 파트의 상단 부근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서포팅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 파트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로딩 파트의 경사각을 조절하되, 상기 보조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서포팅 파트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로딩 파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는,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가지며, 상하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파트와 상기 로딩 파트는 링크암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파트에 액츄에이터가 마련되어 상기 링크암의 하단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로딩 파트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파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봉; 상기 스크류 및 가이드봉에 끼워지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링크암의 하단이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팅 파트는, 상기 로딩 파트의 좌우에 하나씩 고정 설치되는 유도기어; 일단은 상기 유도기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보조바퀴가 연결되는 바아; 상기 유도기어와 치합되게 상기 바아의 일단 근처에 연결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딩 파트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딩 파트의 상단 부근에 복수의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는 베이스 파트, 로딩 파트, 서포팅 파트가 상황에 맞게 각도 조정하여 중량물을 안전하고도 간편하게 이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는 중량물의 배송을 위해 트럭과 같은 차량에 싣거나 내릴 때 중량물 이송대차 자체를 함께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는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다양한 각도 조정을 통해 제한된 공간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싣거나 내릴 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판상물용 이송로봇시스템에 대한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에서 로딩 파트 및 서포팅 파트의 각도 변화 예시도.
도 4는 로딩 파트의 길이가 가변되는 예시도.
도 5는 베이스 파트와 로딩 파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 파트와 로딩 파트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우드슬랩을 트럭에 싣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우드슬랩을 엘리베이터에 싣는 경우의 사용 예시도.
도 9는 유도기어와 구동기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에서 로딩 파트 및 서포팅 파트의 각도 변화 예시도이며, 도 4는 로딩 파트의 길이가 가변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베이스 파트와 로딩 파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 파트와 로딩 파트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우드슬랩을 트럭에 싣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우드슬랩을 엘리베이터에 싣는 경우의 사용 예시도이며, 도 9는 유도기어와 구동기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는 우드슬랩을 비롯한 취급에 어려움이 따르는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물체의 이송, 배송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흔히 원목이나 집성목으로 제작되는 대형 우드슬랩을 적재하여 이송 또는 배달시 활용되는 예를 제시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을 활용한 이송 대상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대차의 주요한 구성요소로 베이스 파트(100), 로딩 파트(200), 서포팅 파트(300)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베이스 파트(100)를 기준으로 로딩 파트(200)가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딩 파트(200)에 서포팅 파트(300)가 또한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상호간의 위치관계를 변화시키면서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중량물(10)을 이송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베이스 파트(100)에 연결된 로딩 파트(200)에 중량물(10)을 적재한 상태에서 로딩 파트(20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로딩 파트(200)에 연결되는 서포팅 파트(300)의 보조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중량물(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서포팅 파트(3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럭에 중량물(10)을 적재할 때에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파트(100)는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10)을 가지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면으로 복수의 메인바퀴(120)들이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지면을 따라 굴러갈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파트(100)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로딩 파트(200)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로딩 파트(200)의 하단측에 중량물(10)을 올려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210)가 연결된다.
그리고 로딩 파트(200)의 상단 부근에 서포팅 파트(30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포팅 파트(300)의 타단에는 보조바퀴가 설치된다.
로딩 파트(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받침대(210)는 중량물(10)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게 하는데, 대략 ㄴ 자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받침대(210)는 상하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로딩 파트(200)의 하단 좌우측 상면에 돌출되게 연장바(212)를 부착시키도록 하며, 연장바(212)의 하단 외측면에 돌출되는 가이드(213)를 두도록 한다. ㄴ자 형상을 이루는 걸림턱(211)이 연장바(212)에 형성되는 가이드(213)에 끼워져 결합이 되는데, 걸림턱(211)의 좌우 양단으로 가이드(213)에 끼워지는 가이드홈(214a)을 갖는 가이드블록(214)이 결합되게 하고, 가이드홈(214a)은 가이드(213) 보다 길게 형성시켜서 걸림턱(211)을 상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걸림턱(211)의 위치 고정은 가이드홈(214a)과 가이드(213) 사이의 틈에 키(key)를 꽂아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211)의 배면에는 소형의 보조바퀴(220)를 설치하여 로딩 파트(200)의 각도 조정시 보조바퀴(220)가 지면과 닿게 하여 자연스럽게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받침대(210)를 이루는 걸림턱(211)이 소정의 범위내에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이 제한이 있는 곳으로 진입하거나 빠져나올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우드슬랩(10)을 엘리베이터로 진입시키고자 할 때 규격화된 엘리베이터의 입구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로딩 파트(200)의 각도를 조정해야 하는데, 이때 우드슬랩(10)의 길이에 따라서는 단 10mm 정도 차이로 인해 진입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걸림턱(211)의 상하 위치를 조금 조정하게 되면 진입이 가능할 수 있다.
베이스 파트(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딩 파트(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도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원하는 각도로 유지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 파트(100)와 로딩 파트(200)는 링크암(140)으로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베이스 파트에는 액츄에이터(130)를 설치하도록 하고 링크암(140)의 하단이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로딩 파트(200)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파트(100)에 마련되는 액츄에이터(130)는 모터(131), 스크류(132), 가이드봉(133), 이동블럭(134), 브라켓(135)을 포함하게 된다.
모터(131)는 베이스 파트(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모터(131)의 회전축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스크류(132)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스크류(132)의 좌우로 평행하게 가이드봉(133)이 구비되며, 스크류(132) 및 가이드봉(133)에 이동블럭(134)이 끼워진다. 이동블럭(134)은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32)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력이 전달되어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1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블럭(134)은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된다.
이동블럭(134)의 상면에는 브라켓(135)이 연결되는데, 브라켓(135)에 링크암(140)의 하단이 연결됨으로써 액츄에이터(130)의 구동력이 링크암(140)으로 전달되어 로딩 파트(200)를 회동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34)이 전진하게 되면 로딩 파트(200)의 경사각은 작아지게 되고, 반대로 이동블럭(134)이 후진하게 되면 로딩 파트(200)의 경사각은 90도에 가까워지게 된다.
로딩 파트(2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팅 파트(3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서포팅 파트(300)는 유도기어(310), 바아(320), 구동기어(330) 및 모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기어(310)는 로딩 파트(200)의 좌우에 하나씩 고정 설치되며, 유도기어(310)의 중심에 바아(3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아(320)는 길다란 부재로서, 바아(320)의 상측인 일단은 유도기어(310)에 연결되고, 하측인 타단에는 보조바퀴(350)가 연결 설치된다. 보조바퀴(35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바아(320)의 일단 역시 고정 설치된 유도기어(3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한편, 유도기어(31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30)가 구비되는데, 구동기어(330)는 바아(320)의 일단 근처에 하나씩 마련되고 하나의 연결축(33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된다.
구동기어(330)를 회전되게 하는 모터(340)가 어느 일측 바아(320)의 측면에 마련되며, 모터(340)의 회전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구동기어(330)가 회전되며 연결축(331)에 의해 연결된 다른 하나의 구동기어(330)가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고정된 유도기어(310)를 따라 구동기어(330)가 회전되면서 서포팅 파트(300)가 회동되게 한다.
서포팅 파트(300)의 바아(320)에 연결되는 보조바퀴(350)는 지면과 접촉되는 상태가 되며, 로딩 파트(200)의 회동각도에 대응되게 서포팅 파트(300)도 회동되면서 항상 서포팅 파트(300)의 보조바퀴(350)가 지면과 접촉되게 함으로써 로딩 파트(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정적으로 중량물(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로딩 파트(20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로딩 파트(200)의 상단 부근에는 복수의 보조바퀴(350)가 구비되도록 한다.
로딩 파트(200)는 적재될 중량물(10)의 길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10)의 이송시 보다 안정적으로 중량물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로딩 파트(200)의 상단 부근에 복수의 보조바퀴(220)를 둠으로써 로딩 파트(200)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보조바퀴(220)가 지면에 닿아 하중을 지지하면서 구름운동하여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의 보다 구체적인 사용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에 우드슬랩을 적재하여 차량 배송을 위해 트럭에 싣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우드슬랩을 로딩 파트에 적당한 각도로 로딩한 후 트럭 근처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로딩 파트와 서포팅 파트의 각도를 조정하면서 트럭의 적재함에 우드슬랩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진입되게 한다.
우드슬랩을 트럭의 적재함에 올릴 때에는 서포팅 파트가 직립되게 세워진 상태에서 지면과 접촉되게 한 후 베이스 파트를 들어올리게 되면 적은 힘으로 적재가 가능하고 베이스 파트와 로딩 파트는 서로 수평이 되게 완전히 접히도록 하면 되고, 서포팅 파트 역시 수평으로 접히게 하여 적재함으로 밀어넣으면 적재가 완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대차에 우드슬랩을 적재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안으로 우드슬랩을 진입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로딩 파트 및 서포팅 파트를 소정의 각도로 조정한 상태로 우드슬랩을 로딩 파트에 적재하여 엘리베이터 입구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한다.
통상 엘리베이터는 사이즈가 정해져 있는데, 입구부의 높이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천장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길이가 긴 우드슬랩을 엘리베이터에 싣기가 쉽지 않은데, 본 발명을 활용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입구로 진입시에는 로딩파트의 각도를 낮추어 우드슬랩 상단이 입구부에 걸리지 않게 하여 진입이 되게 하며, 진입이 이루어지는 정도에 따라 로딩 파트의 각도를 조금씩 높이도록 하면서 진입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이송대차는 특히 판상이면서 사이즈가 큰 중량물을 이송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베이스 파트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메인바퀴
130 : 액츄에이터 131 : 모터
132 : 스크류 133 : 가이드봉
134 : 이동블럭 135 : 브라켓
140 : 링크암
200 : 로딩 파트
210 : 받침대 211 : 걸림턱
212 : 연장바 213 : 가이드
214 : 가이드블록 214a: 가이드홀
220 : 보조바퀴
300 : 서포팅 파트
310 : 유도기어 320 : 바아
330 : 구동기어 331 : 연결축
340 : 모터 350 : 보조바퀴
10 : 중량물(우드슬랩)

Claims (6)

  1. 다수의 메인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파트;
    상기 베이스 파트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하단측에 중량물을 올려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가 연결되는 로딩 파트;
    상기 로딩 파트의 상단 부근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서포팅 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팅 파트는,
    상기 로딩 파트의 좌우에 하나씩 고정 설치되는 유도기어;
    일단은 상기 유도기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보조바퀴가 연결되는 바아;
    상기 유도기어와 치합되게 상기 바아의 일단 근처에 연결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로딩 파트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로딩 파트의 경사각을 조절하되, 상기 보조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서포팅 파트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로딩 파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가지며, 상하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파트와 상기 로딩 파트는 링크암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파트에 액츄에이터가 마련되어 상기 링크암의 하단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로딩 파트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대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파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봉;
    상기 스크류 및 가이드봉에 끼워지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링크암의 하단이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대차.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파트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딩 파트의 상단 부근에 복수의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대차.

KR1020180084882A 2018-07-20 2018-07-20 중량물 이송대차 KR10192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82A KR101927776B1 (ko) 2018-07-20 2018-07-20 중량물 이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82A KR101927776B1 (ko) 2018-07-20 2018-07-20 중량물 이송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776B1 true KR101927776B1 (ko) 2018-12-11

Family

ID=6467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882A KR101927776B1 (ko) 2018-07-20 2018-07-20 중량물 이송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70A3 (ko) * 2019-10-08 2021-06-03 국립암센터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CN114454944A (zh) * 2022-02-16 2022-05-10 河南机电职业学院 一种家居装修用的门板推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48Y1 (ko) * 2002-08-31 2002-11-18 김민경 화물운반용 손수레
US10005483B1 (en) * 2017-01-30 2018-06-26 The Boeing Company Hand truck with stabilizer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48Y1 (ko) * 2002-08-31 2002-11-18 김민경 화물운반용 손수레
US10005483B1 (en) * 2017-01-30 2018-06-26 The Boeing Company Hand truck with stabilizer pl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70A3 (ko) * 2019-10-08 2021-06-03 국립암센터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CN114454944A (zh) * 2022-02-16 2022-05-10 河南机电职业学院 一种家居装修用的门板推车
CN114454944B (zh) * 2022-02-16 2022-10-25 河南机电职业学院 一种家居装修用的门板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56392A1 (zh) 一种搬运机器人
KR101927776B1 (ko) 중량물 이송대차
WO2022134893A1 (zh) 升降装置及搬运机器人
JP2009298223A (ja) 無人搬送車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KR101760623B1 (ko) 전자기기용 액정패널의 외부충격 파손 방지용 액정패널 운반장치
JP2003312665A (ja) 搬送装置
KR20030043650A (ko) 스태커 크레인
JP2007506629A (ja) 物質搬送システム
JP3385187B2 (ja) 物品の積付け装置
US20170022037A1 (en) System for holding cabinets in place during installation
JP2011183252A (ja) ダイコータ用台車
TW201210920A (en) Transportation vehicle and transport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5347526A (ja) 搬送台車
JP2011178546A (ja) 荷受台
EP0248500B1 (en) Mobile device for the transportation of heavy objects, in particular roll of hard floor-covering
CN220053844U (zh) 一种便于装卸的电梯安装移动设备
CN217837463U (zh) 码垛机
CN220182111U (zh) 可移动的玻璃附件粘结固化辅助装置
JPH04266400A (ja) 壁材ハンドリング機
KR102542318B1 (ko) 반도체 부품 핸들링 장치
JP2018202877A (ja) 搬送据付調整装置
KR102233802B1 (ko) 이동 리프트
JP3292327B2 (ja) ボード搬送装置
US20230045842A1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 telescoping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