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255A -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255A
KR20180128255A KR1020170063586A KR20170063586A KR20180128255A KR 20180128255 A KR20180128255 A KR 20180128255A KR 1020170063586 A KR1020170063586 A KR 1020170063586A KR 20170063586 A KR20170063586 A KR 20170063586A KR 20180128255 A KR20180128255 A KR 2018012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bstacle
parking
automatic park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344B1 (ko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6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344B1/ko
Priority to DE102018207860.2A priority patent/DE102018207860A1/de
Priority to US15/985,665 priority patent/US10919521B2/en
Priority to CN201810499882.9A priority patent/CN108928341B/zh
Publication of KR2018012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66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6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park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위치하며 차량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차량이 장애물을 지나가도록 제어하거나 차량의 자동 주차 종료 조건을 변경하고 자동 주차를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해당 장애물을 감지하고 자동 주차를 안정적으로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MART PARK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본 실시예들은 차량의 주차를 보조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과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동안 일정한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하며 주차시 차량의 조향 휠을 제어하면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이동하여 주차를 완료한다.
통상의 운전자는 차량을 주행할 때보다 주차할 때 운전의 어려움을 더 느끼며, 주차 공간이 협소한 경우,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야간과 같이 주변 사물을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더 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운전자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운전자의 주차를 보조하기 위하여 차량이 주차 공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의 주차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 Smart Parking Assist System)이 연구,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은,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주차 공간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이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조향, 가속, 감속 등을 제어하며 자동 주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은, 주차 공간을 설정하고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때 센서, 일 예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다.
그러나, 초음파 센서와 같은 센서는 주차 공간 내에 또는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낮은 장애물(예: 스토퍼, 연석, 도로턱 등)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센서가 낮은 장애물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자동 주차를 제어하게 되면 감지되지 않은 낮은 장애물로 인해 자동 주차가 완전하게 제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직각 주차의 경우 자동 주차의 종료 조건에 깊이 조건이 설계되어 있어 차량이 스토퍼 등에 걸려 그 깊이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면 자동 주차가 종료되지 않고 그 정보도 운전자에게 제공되지 않아 운전자는 큰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평행 주차의 경우 연석이나 도로턱을 감지하지 못하고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하면 도로턱에 휠이 손상되거나 차량의 바퀴가 도로턱을 밟고 넘어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서, 주차 공간 또는 주차 공간으로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낮은 장애물을 감지하고 낮은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 주차 제어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서 설정된 주차 공간 또는 주차 공간으로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며 센서로 감지되지 않는 낮은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과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자동 주차 제어 중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낮은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과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설정하는 주차 공간 설정부와,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자동 주차 제어부와,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동안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를 이용하여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서, 자동 주차 제어부는,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장애물이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초하여 지정된 제1 영역에 위치하면 설정된 주차 공간을 변경하고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며 장애물이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하면 차량의 구동 토크를 증가시키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주차 제어부는, 설정된 주차 공간 중 주차 종료 지점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지정하거나,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자동 주차 제어부는, 차량이 제1 영역에 진입한 상태에서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차량의 기설정된 비율(예: 50%) 이상이 설정된 주차 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자동 주차 제어부는,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을 변경하고 차량의 자동 주차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정지 상태인 차량이 이동할 때까지 차량의 구동 토크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차량이 이동하면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단계와,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동안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를 이용하여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와,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주차 공간으로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며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한 경우 장애물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주차 공간으로의 이동 경로 상에 낮은 장애물이 위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자동 주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직각 주차에서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직각 주차에서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평행 주차에서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평행 주차에서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의 제어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설정하는 주차 공간 설정부(110)와,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120)와, 설정된 주차 공간과 감지되는 장애물에 기초하여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 주차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주차 공간 설정부(110)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이 자동 주차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차량에 장착된 제1 센서(1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1 센서(10)는,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차량과 같은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일 예로,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10)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이 주차 공간을 탐색하는 동안 차량 주변에서 감지되는 장애물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주차 공간 설정부(110)로 전달한다.
주차 공간 설정부(110)는, 제1 센서(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자동 주차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탐색하고,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공간이 탐색되면 탐색된 공간을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주차 공간에 관한 정보를 자동 주차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주차 공간 설정부(110)로부터 주차 공간 탐색 완료와 설정된 주차 공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의 주차를 제어한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자동 주차 제어를 위한 시작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는 차량에 의한 주행 제어 또는 운전자에 의한 수동 제어를 통해 차량이 시작 지점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차량이 자동 주차 제어를 위한 시작 지점에 위치하면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차량의 조향, 가속, 감속 등을 제어한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의 차량 제어를 통해 차량이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시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주차 제어 과정에서 설정된 주차 공간 내 또는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예: 스토퍼, 연석, 도로턱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해당 장애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여 자동 주차를 안정적으로 완료하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1 센서(1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통해 자동 주차 제어시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하고 자동 주차 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장애물 감지부(120)는, 자동 주차 제어부(130)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 제2 센서(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2 센서(20)는,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가 아닌 차량 자체의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로서, 일 예로, 차속 센서, 휠 방향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차량 자체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센서(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장애물 감지부(120)는, 자동 주차 제어부(130)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 자동 주차를 위한 목표 속도와 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이동 속도를 비교하고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목표 속도와 이동 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시간(예: 2초) 이상 존재하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목표 속도와 이동 속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그 차이로 인한 구동 토크가 발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 상태가 유지되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목표 속도와 이동 속도의 차이로 인한 구동 토크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생성된 상태에서 차량의 휠 방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움직임이 주행 방향과 반대 반향이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장애물 감지부(120)가 제2 센서(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위치하며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초음파 센서와 같은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스토퍼, 연석, 도로턱 등과 같은 낮은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 주차 제어시 경로 상에 낮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자동 주차 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장애물 감지부(120)에 의해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감지되면,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장애물이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장애물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한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장애물 감지부(120)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동 주차 제어 방식을 조정한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감지된 장애물이 주차 공간 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초하여 지정된 제1 영역 또는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 주차 제어 방식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초하여 지정되는 영역으로서, 일 예로,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설정된 주차 공간에서 주차 종료 지점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주차 제어부(130)가 차량의 직각 주차를 수행하는 경우 자동 주차의 종료 조건에 깊이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깊이 조건을 기준으로 일정 깊이(예: 50%) 이상인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깊이는 자동 주차를 수행하는 차량의 전장 길이를 토대로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초하여 지정된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지정하고,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차량이 제1 영역에 진입한 상태에서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제1 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이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설정된 비율 이상 진입한 상태에서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설정된 비율 이상 진입하기 이전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장애물은 주차 공간에 위치하는 스토퍼나 연석 등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주차 종료 조건을 변경하여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이 감지되는 지점을 주차 종료 지점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주차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차량을 제어하여 자동 주차를 완료할 수 있다.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감지된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장애물은 주차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도로 상의 장애물 또는 도로턱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감지된 장애물을 지나서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해야 하므로, 감지된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제2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로 인해 정지 상태인 차량의 구동 토크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차량의 구동 토크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차량이 장애물을 지나서 이동하기 시작하면, 자동 주차 제어부(130)는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의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주차 공간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감지된 장애물을 지나서 차량이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주차 공간으로의 이동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자동 주차를 안정적으로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들은,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제1 센서(1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차속 센서, 휠 방향 센서 등과 같은 제2 센서(2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장애물이 감지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자동 주차 제어 방식을 조정하여 수행함으로써,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주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이 직각 주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차량을 제어하는 방식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주차 공간의 탐색을 통해 주차 공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차 공간의 초기 종료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을 제어하며 자동 주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설정된 주차 공간의 초기 종료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지정하고,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은 제2 영역으로 지정한다.
차량이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차량이 201과 같은 장애물로 인해 정지 상태가 될 수 있다.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위한 목표 속도와 실제 이동 속도, 그리고 목표 속도와 이동 속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된 구동 토크에 기초하여 장애물을 감지한다.
감지된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정지 상태인 차량의 구동 토크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차량이 감지된 장애물을 지나갈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한다.
차량이 감지된 장애물을 지나가게 되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여 자동 주차를 계속해서 진행한다.
도 3a와 도 3b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동안에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 등을 이용하여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한다.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차량이 제1 영역에 진입한 상태에서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차량의 일정 비율 이상이 주차 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장애물은 도 3a에 도시된 301과 같이 주차 공간 내에 위치하며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스토퍼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을 초기 종료 위치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를 기준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변경된 종료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여 주차 공간 내에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스토퍼 등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자동 주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이 평행 주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차량을 제어하는 방식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의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401과 같이 과속방지턱 등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동안 장애물이 감지되고 감지된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는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과속방지턱과 같은 장애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차량의 구동 토크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차량이 감지된 장애물을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도 5a와 도 5b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이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에 차량이 제1 영역에 진입한 상태에서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차량의 평행 주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은 연석이나 다른 장애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초기 종료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할 경우에 차량이 연석 등을 넘어가게 되어 차량의 휠 등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평행 주차를 위한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이 감지되면 초기 종료 위치를 변경하고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경된 종료 위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초기 종료 위치로 진행하는 차량이 초기 종료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보다 앞선 지점을 종료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변경된 종료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이 감지된 장애물을 넘어가지 않고 주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자동 주차 명령을 입력받으면 차량의 주변을 탐색하여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설정한다(S600).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며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한다(S610).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를 이용하여 차량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을 감지한다(S620).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한다(S630).
여기서, 장애물이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지정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640).
제1 영역은 설정된 주차 공간에서 주차 종료 지점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일 수도 있고,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일 수도 있다.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감지된 장애물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주차 공간 내 위치하는 스토퍼나 연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차 종료 지점을 변경하고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한다(S650).
감지된 장애물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도로턱 등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구동 토크를 증가시켜 차량이 장애물을 지나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S660).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100)은 차량의 위치가 자동 주차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670), 자동 주차 종료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 주차 제어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장애물 감지를 계속 수행하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 주차 제어 중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와 같은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초음파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되지 않고 차량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자동 주차 종료 조건을 변경하고 자동 주차를 완료하거나 차량이 장애물을 지나가도록 제어함으로써,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으로의 경로 상에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자동 주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110: 주차 공간 설정부
120: 장애물 감지부 130: 자동 주차 제어부
10: 제1 센서 20: 제2 센서

Claims (12)

  1.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설정하는 주차 공간 설정부;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자동 주차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동안 상기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주차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장애물이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초하여 지정된 제1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을 변경하고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며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차량의 구동 토크를 증가시키며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차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 중 주차 종료 지점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지정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차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지정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차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차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차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을 변경하고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종료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차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정지 상태인 상기 차량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차량의 구동 토크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이 이동하면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목표 속도와 이동 속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된 구동 토크가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9.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동안 상기 차량의 목표 속도, 이동 속도 및 구동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장애물이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에 기초하여 지정된 제1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을 변경하고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며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차량의 구동 토크를 증가시키며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설정된 주차 공간의 주차 종료 지점을 변경하고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종료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정지 상태인 상기 차량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차량의 구동 토크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이 이동하면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70063586A 2017-05-23 2017-05-23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86A KR102327344B1 (ko) 2017-05-23 2017-05-23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8207860.2A DE102018207860A1 (de) 2017-05-23 2018-05-18 Intelligentes Einpark-Unterstützungs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US15/985,665 US10919521B2 (en) 2017-05-23 2018-05-21 Smart parking assis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810499882.9A CN108928341B (zh) 2017-05-23 2018-05-23 智能停车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86A KR102327344B1 (ko) 2017-05-23 2017-05-23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55A true KR20180128255A (ko) 2018-12-03
KR102327344B1 KR102327344B1 (ko) 2021-11-17

Family

ID=6410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86A KR102327344B1 (ko) 2017-05-23 2017-05-23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19521B2 (ko)
KR (1) KR102327344B1 (ko)
CN (1) CN108928341B (ko)
DE (1) DE102018207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604A (ko) * 2018-12-12 2020-06-23 주식회사 만도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3619A1 (de) * 2015-02-28 2016-09-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assistenzsystem mit Erkennung einer Universalparklücke
JP7230492B2 (ja) * 2018-12-21 2023-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支援装置
JP7157686B2 (ja) * 2019-03-15 2022-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103951A (zh) * 2019-05-23 2019-08-09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自动泊车方法、电子设备及汽车
CN110281917A (zh) * 2019-05-31 2019-09-27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主泊车控制方法
US11511733B2 (en) 2019-11-20 2022-1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parking system
KR20210077067A (ko) * 2019-12-16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모터를 구비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차 제어 방법
DE102020100166B4 (de) * 2020-01-07 2022-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inparken eines Kraftfahrzeugs in eine durch ein überfahrbares Hindernis begrenzte Querparklücke, Parkassistenzsystem und Kraftfahrzeug
CN111516676B (zh) * 2020-04-30 2022-06-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泊车方法、系统、汽车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731271B (zh) * 2020-06-10 2023-09-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自动泊车过程中应对低矮障碍物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2141087A (zh) * 2020-06-24 2020-12-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自动泊车过程的安全防护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812657B (zh) * 2020-07-10 2024-04-16 广州小鹏自动驾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辆的泊车空间确定方法和装置
CN112172799B (zh) * 2020-10-15 2021-09-24 吉林大学 一种狭小垂直泊车路径规划方法
CN112455429B (zh) * 2020-11-30 2022-05-13 广州小鹏自动驾驶科技有限公司 一种泊车控制方法、装置、车辆和可读存储介质
CN113147744B (zh) * 2021-05-13 2022-10-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泊车控制方法及其装置
CN113619570A (zh) * 2021-08-27 2021-11-09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车位定位器的判定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831A (ja) * 2003-06-24 2005-01-20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段差通過時駆動力制御装置
JP2006273122A (ja) * 2005-03-29 2006-10-12 Aisin Seiki Co Ltd 駐車制動アシスト装置
JP2008174102A (ja) * 2007-01-18 2008-07-31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
JP2016060241A (ja) * 2014-09-12 2016-04-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2016084094A (ja) * 2014-10-28 2016-05-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2503A1 (en) * 2004-03-05 2007-12-06 Continental Teves Ag & Co.Ohg Parking Assistance
DE102005061909A1 (de) * 2005-12-23 2007-07-05 Volkswagen Ag Parklenkassistenz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arklenkassistenzsystems
DE102008050685A1 (de) 2008-10-07 2010-04-0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llisionserkennung beim Öffnen einer Fahrzeugtür eines geparkten Fahrzeugs
DE102010031038A1 (de) * 2010-07-07 2012-01-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1116169A1 (de) * 2011-10-14 2013-04-1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beim Fahren eines Fahrzeugs oder zum autonomen Fahren eines Fahrzeugs
JP6119172B2 (ja) * 2012-10-09 2017-04-26 株式会社Ihi 非接触給電装置
JP6231345B2 (ja) * 2013-10-18 2017-11-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用発進支援装置
JP6120371B2 (ja) * 2013-10-23 2017-04-2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自動駐車制御装置および駐車支援装置
DE102013114563A1 (de) * 2013-12-19 2015-06-2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s Einparkvorgangs eines Kraftfahrzeugs in eine Querparklücke, Parkassistenzsystem und Kraftfahrzeug
JP6096156B2 (ja) 2014-09-12 2017-03-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WO2016051476A1 (ja) 2014-09-29 2016-04-07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移動制御装置、移動体、移動体システム、移動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42612A (ja) * 2015-02-02 2016-08-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距離算出装置および距離算出方法
DE102015211754A1 (de) * 2015-06-24 2016-12-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assistenzsystem zum automatisierten Durchführen eines Einparkmanövers in eine Querparklücke mit Erkennung eines die Querparklücke nach hinten begrenzenden Bodenhindernisses
JP6544121B2 (ja) * 2015-07-31 2019-07-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6623602B2 (ja) * 2015-07-31 2019-12-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WO2017022413A1 (ja) * 2015-07-31 2017-02-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駐車支援装置
DE102015215918A1 (de) * 2015-08-20 2017-02-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inparksystem mit interaktiver Trajektorienoptimierung
DE102015118578A1 (de) * 2015-10-30 2017-05-04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Manövrieren eines Kraftfahrzeugs mit Bewegen des Kraftfahrzeugs in eine Erfassungsposition, Fahrerassistenzsystem sowie Kraftfahrzeug
DE102016100993A1 (de) * 2016-01-21 2017-07-2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Ausparken eines Kraftfahrzeugs aus einer Parklücke mit zumindest semiautonomen Manövrieren des Kraftfahrzeugs bis zu einer Endposition, Fahrerassistenzsystem sowie Kraftfahrzeug
JP6773540B2 (ja) * 2016-12-07 2020-10-2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用画像処理装置
DE102017208383B4 (de) * 2017-05-18 2022-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ynamisches Einparken mittels Parkassistenzsystem
JP6859906B2 (ja) * 2017-09-06 2021-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831A (ja) * 2003-06-24 2005-01-20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段差通過時駆動力制御装置
JP2006273122A (ja) * 2005-03-29 2006-10-12 Aisin Seiki Co Ltd 駐車制動アシスト装置
JP2008174102A (ja) * 2007-01-18 2008-07-31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
JP2016060241A (ja) * 2014-09-12 2016-04-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2016084094A (ja) * 2014-10-28 2016-05-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604A (ko) * 2018-12-12 2020-06-23 주식회사 만도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928341A (zh) 2018-12-04
DE102018207860A1 (de) 2018-11-29
CN108928341B (zh) 2021-05-28
US10919521B2 (en) 2021-02-16
US20180339702A1 (en) 2018-11-29
KR102327344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8255A (ko)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7985305B (zh) 自动停车系统及方法
KR101957071B1 (ko) 자동차의 적어도 반자율적 조종 방법,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KR102108056B1 (ko) 주차 제어 장치 및 주차 제어 방법
EP2990273A1 (en) Parking assist device
US20180072326A1 (en)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1412401A (zh) 用于泊车支持的控制装置和方法
CN107031618B (zh) 车辆的控制
US20180273089A1 (en) Lane keeping control device
KR101514928B1 (ko) 자동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6940A (ko) 차량의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70429A1 (en) Deviation avoidance apparatus
US11332128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JP2017503701A (ja) 横向き駐車スペース内への自動車両の駐車手順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駐車支援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両
KR102507937B1 (ko) 차량 제동 보조 장치 및 방법
JP6819056B2 (ja) 自動運転車両
JP2005313775A (ja) 自動操舵駐車支援装置
JP4185957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CN111655559A (zh) 用于控制机动车辆以越过低障碍物的系统和方法
US11453388B2 (en) Parking alignmen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JP5440292B2 (ja) 車両制御装置
JP6819054B2 (ja) 自動運転車両
KR20150130056A (ko) 운전자 편의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H07160994A (ja) 車両用自動操舵装置
KR102510592B1 (ko) 횡방향제어장치 및 횡방향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