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489A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489A
KR20180127489A KR1020187032084A KR20187032084A KR20180127489A KR 20180127489 A KR20180127489 A KR 20180127489A KR 1020187032084 A KR1020187032084 A KR 1020187032084A KR 20187032084 A KR20187032084 A KR 20187032084A KR 20180127489 A KR20180127489 A KR 2018012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content
steel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992B1 (ko
Inventor
마사히로 세토
마사유키 사가라
겐타 야마다
다카히로 오스키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23K35/308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containing Ni or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B23K2103/05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6Cast-iron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화학 조성이, 질량%로, C:0.015% 이하, Si:1.00% 이하, Mn:2.00% 이하, P:0.05% 이하, S:0.030% 이하, Cr:16.0% 이상 22.0% 미만, Ni:11.0~16.0%, Mo:2.5~5.0%, N:0.07% 이상 0.15% 미만, Nb:0.20~0.50%, Al:0.005~0.040%, Sn:0~0.080%, Zn:0~0.0060%, Pb:0~0.030%, 잔부:Fe 및 불순물이며,[MoSS/Mo≥0.98](MoSS:강 중에 고용되어 있는 Mo량)을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escription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耐)나프텐산 부식성이 뛰어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에너지 수요의 핍박으로부터 화력 발전 보일러, 석유 정제 플랜트 및 석유 화학 공업용 플랜트의 신설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그 가열로관 등에 사용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는, 뛰어난 내식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신흥국의 경제 성장에 의해 원유 가격이 점점 더 상승되고 있고, 지금까지 이용되어 오지 않았던 염가이고 열질(劣質)인 원유의 사용이 검토되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아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내식성이 뛰어난 연돌, 연도 및 탈황 장치용 고합금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중유 전소 보일러의 열교환기, 연도, 연돌 등의 황산 산성액에 의한 부식이 문제가 되는 부분에 이용하기 위한 뛰어난 내황산 노점 부식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화력 발전이나 산업용 보일러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 연도, 연돌 등에서 문제가 되는 황산 부식에 대해 뛰어난 저항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4에서는, 높은 내식성, 그 중에서도, 폴리티온산 응력 부식 균열에 대해서 높은 저항력을 갖는, C 고정화 원소 함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2-17094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4-34663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0-1755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9/044802호
열질인 원유를 사용한 경우, 석유 정제 플랜트의 증류탑 주변 설비에 있어서, 나프텐산 부식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향후, 열질인 원유의 사용 비율을 올려 정제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이 부식의 문제가 표면화되어 오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4에서는 상기와 같은 나프텐산 부식의 문제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고, 뛰어난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갖는 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나프텐산 부식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전산가(Total Acid Number:TAN) 및 유속이 지배적이라고 되어 왔다. 그러나, TAN과 부식 속도에는 반드시 상관이 보이는 것은 아니며, 산의 종류나 구조, 함유량 등에 의해 변화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식 환경의 해석에 따른 부식 속도의 예측은 매우 곤란한 것이 현상황이다. 그 때문에, 재료면에서의 재검토를 도모하고, 내나프텐산 부식성이 뛰어난 재료의 성분 설계를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뛰어난 내나프텐산 부식성과 경제성을 겸비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나프텐산 부식에 대해서 뛰어난 내성을 갖는 재료의 성분 설계에 대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이하의 지견을 얻기에 이르렀다.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방법으로서, Mo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Mo를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예를 들면, 인성 및 용접성 등의 내식성 이외의 성능이 악화되고 문제가 된다. 또, 고가의 Mo를 함부로 함유시키는 것은 경제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도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Mo가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하게 검토하기 위해, 나프텐산 부식 시험 후의 시험편의 표층에 대해서 조사를 행했다. 그 결과, 시험편 표층에 Mo의 황화물인 MoS의 피막이 형성되어 있고, 이 피막이 내나프텐산 부식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단, Mo의 대부분이 석출물로서 존재하고 있으면, 피막의 재료로서의 역할은 완수되지 않고, 오히려 피막의 생성을 방해하는 것을 알았다. 즉, Mo의 전량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고, Mo를 강 중에 고용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하기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그것을 이용한 강재, 강관, 강판, 봉강, 선재, 단강, 밸브, 조인트 및 용재,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을 요지로 한다.
(1) 화학 조성이, 질량%로,
C:0.015% 이하,
Si:1.00% 이하,
Mn:2.00% 이하,
P:0.05% 이하,
S:0.030% 이하,
Cr:16.0% 이상 22.0% 미만,
Ni:11.0~16.0%,
Mo:2.5~5.0%,
N:0.07% 이상 0.15% 미만,
Nb:0.20~0.50%,
Al:0.005~0.040%,
Sn:0~0.080%,
Zn:0~0.0060%,
Pb:0~0.030%,
잔부:Fe 및 불순물이며,
하기 (i)식을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MoSS/Mo≥0.98 ...(i)
단, 식 중의 Mo는, 강 중에 포함되는 Mo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MoSS는 강 중에 고용되어 있는 Mo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2) 상기 화학 조성이,
또한 하기 (ii)식으로 정의되는 R1값이 하기 (iii)식을 만족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R1=0.25Ni+0.2Cr+(Mo×(MoSS/Mo))1.45 ...(ii)
R1≥10.2 ...(iii)
단, (ii)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MoSS는 강 중에 고용되어 있는 Mo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3)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Sn:0.002~0.080%,
Zn:0.0002~0.0060%, 및
Pb:0.0005~0.030%
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하기 (iv)식으로 정의되는 L값이 하기 (v)식을 만족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L=7.6Sn0.18+9.5Pb0.18+12.8Zn0.2 ...(iv)
1.8≤L≤13.9 ...(v)
단, (iv)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4)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Sn:0.002~0.080%,
Zn:0.0002~0.0060%, 및
Pb:0.0005~0.030%
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하기 (iv)식으로 정의되는 L값이 하기 (v)식을 만족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L=7.6Sn0.18+9.5Pb0.18+12.8Zn0.2 ...(iv)
1.8≤L≤13.9 ...(v)
단, (iv)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5) 상기 화학 조성이,
또한 하기 (vi)식으로 정의되는 R2값이 하기 (vii)식을 만족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R2=R1+(L-5.1)/3 ...(vi)
R2≥12.0 ...(vii)
단, (vi)식 중의 R1은 상기 (ii)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며, L은 상기 (iv)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6) 강 내부에 있어서의 평균 결정 입도 번호가 7.0 이상인 금속 조직을 갖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
(8)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9)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10)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봉강.
(11) 상기 (1) 내지 상기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선재.
(12)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단강.
(13)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밸브.
(14)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조인트.
(15)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용재.
(1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학 조성을 갖는 강을, 1260℃ 초과 1370℃ 이하의 온도역에서 8h 이상 가열하는 열처리 공정과,
마무리 온도가 960~1150℃의 범위가 되도록 열간 가공을 실시하는 열간 가공 공정과,
1000~110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3min 이상 가열하는 마무리 열처리 공정을 구비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17) 단면 감소율이 30% 이상이 되는 조건으로 냉간 가공을 실시하는 냉간 가공 공정을 더 구비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강질을 악화시키지 않고, 뛰어난 내나프텐산 부식성과 경제성을 양립시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예를 들면, 석유 정제 플랜트의 배관, 가열로, 증류탑, 탑내부품, 펌프, 열교환기 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로서 이용하는데 적합이다.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는 강관, 강판, 봉강, 선재, 단강, 밸브, 조인트, 용재 등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요건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A)화학 조성
각 원소의 한정 이유는 하기와 같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함유량에 대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C:0.015% 이하
C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하는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미세한 입자 내 탄화물을 형성하여, 고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이 때문에, 고온 강도의 확보라는 관점에서는 탄화물 형성 원소의 양에 알맞은 양의 C를 함유시키는 것이, 입자 내 탄화물의 석출에 의한 강화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C는, 내식성, 그 중에서도, 내나프텐산 부식성의 확보라는 관점에서는, Cr과 결합한 Cr 탄화물의 석출에 의한 예민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그 함유량은 최대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의 함유량이 과잉이 되고, 특히 0.015%를 초과하면, 내식성의 현저한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15% 이하로 한다. C 함유량은 0.0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효과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C 함유량은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1.00% 이하
Si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제시에 탈산 작용을 가지며, 또, 내산화성 및 내수증기 산화성 등을 높이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Si는 페라이트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그 함유량이 과잉이 되고, 특히, 1.00%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1.00% 이하로 한다. Si 함유량은 0.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효과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Si 함유량은 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n:2.00% 이하
Mn은,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임과 더불어, S에 의한 열간 가공 취성의 억제 외에, 용제시의 탈산에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2.00%를 초과하면, σ상 등의 금속간 화합물상의 석출을 조장하고,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고온에 있어서의 조직 안정성의 열화에 기인한 인성 및 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2.00% 이하로 한다. Mn 함유량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효과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Mn 함유량은 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0.05% 이하
P는, 입계 부식을 촉진하고, 또한 입계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05% 이하로 한다. P 함유량은 0.0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0.030% 이하
S도, P와 같이, 입계 부식을 촉진하고, 또한 입계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030% 이하로 한다. S 함유량은 0.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r:16.0% 이상 22.0% 미만
Cr은, 고온에서의 내산화성 및 내식성의 확보를 위해 필수의 원소이며,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6.0%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과잉이 되고, 특히, 22.0% 이상인 경우, 고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성을 저하시켜, 크리프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Cr의 함유량은 16.0% 이상 22.0% 미만으로 한다. Cr 함유량은 1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Cr 함유량은 2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i:11.0~16.0%
Ni는, 안정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의 원소이며, 장시간 사용시의 조직 안정성을 확보하여, 원하는 크리프 강도를 얻기 위해 필수의 원소이다. 그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상기한 Cr 함유량과의 밸런스가 중요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Cr 함유량의 하한치를 고려하면, Ni 함유량은 11.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고가의 원소인 Ni를, 16.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Ni의 함유량은 11.0~16.0%로 한다. Ni 함유량은 11.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o:2.5~5.0%
Mo는, 매트릭스에 고용되어 고온 강도의 향상, 그 중에서도 고온에서의 크리프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 Mo는, Cr 탄화물의 입계 석출을 억제하는 작용도 갖는다. 또한, Mo는 사용 환경 내의 S와 결합하여 황화물 피막을 형성하고, 내나프텐산 부식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그들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Mo를 2.5%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M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오히려 크리프 강도를 저하시킨다. 특히, Mo 함유량이 5.0%를 초과하면, 크리프 강도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Mo 함유량은 2.5~5.0%로 한다. Mo 함유량은 2.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나프텐산 부식성의 향상에 직접 관여하고 있는 것은, 고용되어 있는 Mo이다. 석출물로서 존재하는 Mo량이 과잉이면, 황화물 피막의 재료가 되는 고용 Mo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피막의 형성을 방해한다. 따라서, Mo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인 것에 더하여, Mo의 전량에 대한 고용량의 비율이, 하기 (i)식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MoSS/Mo≥0.98 ...(i)
단, 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MoSS는 강 중에 고용되어 있는 Mo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 Mo의 전량에 대한 고용량의 비율에 더하여, Ni 및 Cr의 함유량을 균형있게 함유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Mo의 전량에 대한 고용량이 Ni 및 Cr의 함유량과의 관계에 있어서, 또한 하기 (ii)식으로 정의되는 R1값이 하기 (iii)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0.25Ni+0.2Cr+(Mo×(MoSS/Mo))1.45 ...(ii)
R1≥10.2 ...(iii)
단, (ii)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MoSS는 강 중에 고용되어 있는 Mo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N:0.07% 이상 0.15% 미만
N은,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이며, 매트릭스에 고용됨과 더불어 입자 내에 미세한 탄질화물로서 석출되고,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들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N 함유량을 0.07%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0.15% 이상의 과잉인 N를 함유한 경우, 입계에 Cr 질화물이 형성되기 때문에 예민화에 의해 내나프텐산 부식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N의 함유량은 0.07~0.15% 미만으로 한다. N 함유량은 0.0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Nb:0.20~0.50%
Nb는, C 고정화 원소이다. Nb와 C가 결합한 탄화물이 입자 내에 석출됨으로써, 입계에서의 Cr 탄화물의 석출이 억제되어 예민화가 억제되고, 높은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자 내에 미세 석출된 Nb 탄화물은, 크리프 강도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뛰어난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Nb 함유량은 0.20%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Nb의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탄화물이 과잉으로 입자 내에 석출되게 되어, 입자 내의 변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불순물 원소의 편석에 의해 취화되어 있는 입계면에 대한 한층 더한 응력 집중을 초래한다. 특히, Nb 함유량이 0.5%를 초과하면, 상술한 폐해가 커진다. 따라서, 높은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Nb 함유량은 0.20~0.50%로 한다. Nb 함유량은 0.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l:0.005~0.040%
Al은,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원소이며, 0.005%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0.040%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이 촉진되고, 장시간 사용되는 동안에 인성 및 내폴리티온산 SCC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005~0.040%로 한다. Al 함유량은 0.00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n:0~0.080%
Zn:0~0.0060%
Pb:0~0.030%
Sn, Zn 및 Pb는, 통상, 강질에 악영향을 주는 원소로서 불순물 원소로서 취급되지만, 이들 원소는 S와의 친화성이 높은 원소이며, 내나프텐산 부식성의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함유시켜도 된다. 그러나, 이들 원소를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입계 부식을 촉진하고, 또한 입계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오히려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n, Zn 및 Pb의 함유량은, 각각, 0.080% 이하, 0.0060% 이하 및 0.030%로 한다. Sn 함유량은 0.0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Zn 함유량은 0.00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Pb 함유량은 0.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효과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Sn 함유량은 0.0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Zn 함유량은 0.00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Pb 함유량은 0.0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n, Zn 및 Pb의 각각의 S와의 친화성 정도를 고려하여, 강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또한 하기 (iv)식으로 정의되는 L값이 하기 (v)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7.6Sn0 .18+9.5Pb0 .18+12.8Zn0 . 2 ...(iv)
1.8≤L≤13.9 ...(v)
단, (iv)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Mo의 전량에 대한 고용량의 비율, 및 Ni 및 Cr의 함유량에 더하여, Sn, Zn 및 Pb의 함유량이 강의 내나프텐산 부식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들 밸런스를 고려한 성분 설계가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이들 원소의 함유량의 관계에 있어서, 하기 (vi)식으로 정의되는 R2값이 하기 (vii)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2=R1+(L-5.1)/3 ...(vi)
R2≥12.0 ...(vii)
단, (vi)식 중의 R1은 상기 (ii)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며, L은 상기 (iv)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B)금속 조직
결정 입도 번호:7.0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금속 조직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두지 않는다. 그러나, 결정립이 조대하면, 용접 시공시의 HAZ 균열 감수성이 증대하기 때문에, ASTM E112로 규정되는 강 내부에 있어서의 평균 결정 입도 번호는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정 입도 번호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두지 않지만, 결정립이 너무 미세하면 크리프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강 내부에 있어서의 결정 입도 번호는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제조 방법
본 발명에 관련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조건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술의 화학 조성을 갖는 강을 노에서 용제한 후, 용강으로부터 잉곳을 제작한다. 잉곳을 가열한 직후에 단조하여 빌릿으로 한다. 이때, Mo의 편석이 발생해 버리기 때문에, Mo를 확산시켜 편석을 해소하기 위해서 가열 처리를 실시한다. 이때의 가열 온도는, 1260℃ 초과 137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1260℃ 이하에서는, 편석되어 있는 Mo를 충분히 고용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고, 한편, 1370℃를 초과하면, 입계 용융이 발생하여 그 후의 가공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 가열 시간은 8h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시간이 8h 미만에서는, 126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했다고 해도 Mo 편석이 잔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열 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너무 길면 경제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20h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Mo의 고용비율을 증가시켜 상기 (i)식을 만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가열 처리를 실시한 빌릿에 대해서, 열간 가공을 실시한다. 가열 처리 후는 그대로 열간 가공을 실시해도 되지만, Ni 함유량이 낮은 경우, 일부의 δ-페라이트가 잔존하고, 열간 가공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한 번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냉각 속도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경제성의 관점에서 방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번 고용된 Mo는 상기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서랭했다고 해도 다시 편석되는 일은 없다.
상기의 열간 가공시는 하기 조건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1100~125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2~10h 유지한 후, 마무리 온도가 960~1150℃의 범위가 되도록 열간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간 가공 온도가 960℃를 밑돌면 재료 연성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Mo 고용량도 불충분해지고,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열간 가공 후에는, 치수 정밀도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냉간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 냉간 가공 전에 필요에 따라서, 연화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강 내부에 있어서의 결정 입도 번호를 7.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단면 감소율이 30% 이상이 되는 조건으로 냉간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가공 또는 냉간 가공을 더 실시한 후에, 가공에 의해 도입된 왜곡을 제거하고, 두께 방향의 강질을 균일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마무리 열처리를 행한다. 강 내부에 있어서의 결정 입도 번호가 7.0 이상이 되는 세립인 금속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1000~110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3min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무리 열처리 후는 수랭 등의 방법에 의해 급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해서, 여러 가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강재, 강관, 강판, 봉강, 선재, 단강, 밸브, 조인트 및 용재 등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가공을 실시할 때에 한 번 고용된 Mo가 다시 편석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내나프텐산 부식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을 갖는 강을, 진공 유도 용해로(VIM)를 이용하여 용제하고, 용강으로부터 잉곳을 제작했다. 그 후, 시험 No.1, 3, 5~10, 13, 14, 16~18, 20~24, 26, 28~34, 37~39에 대해서는, 1200℃로 잉곳을 가열한 직후에 단조하여 폭 100mm, 두께 50㎜의 빌릿으로 했다. 상기의 각 시료 중, 시험 No.1, 3, 5~10, 13, 14, 16~18, 20, 31, 34, 37~39에 대해서는, Mo의 편석을 억제하기 위해,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8h 이상 가열했다. 시험 No.32에 대해서는 1260℃에서 8h 가열하고, 시험 No.33에 대해서는 1265℃에서 7h 가열했다. 그 외의 시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가열 처리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 후, 빌릿을 900~1150℃의 마무리 온도로 열간 압연하여 폭 100㎜, 두께 22㎜의 강판으로 했다. 이들 강판에 대해서 1080±20℃, 20~30min의 조건으로 연화 열처리를 실시한 직후에 수랭하고, 그 후, 냉간압연하고, 폭 100㎜, 두께 15.4㎜의 강판을 제조했다. 상기의 강판에 1080±20℃, 3~10min의 조건으로 마무리 열처리를 한 직후에 수랭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했다.
또, 시험 No.2, 4, 11, 12, 15, 19, 25, 27, 35 및 36에 대해서는, 1200℃로 잉곳을 가열한 직후에 단조했다. 그리고, 시험 No.2, 11, 19, 27 및 36에 대해서는 직경 320㎜의 빌릿으로 하고, 시험 No.4, 12, 15, 25 및 35에 대해서는 직경 287㎜의 빌릿으로 했다. 상기의 각 시료 중, 시험 No.2, 4, 11, 12, 15, 19 및 35에 대해서는, Mo의 편석을 억제하기 위해,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8h 이상 가열했다. 시험 No.36에 대해서는, 1350℃에서 7h 가열했다. 그 외의 시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가열 처리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 후, 빌릿을 시험 No.2, 11, 19, 27 및 36에 대해서는 직경 314㎜, 내경 47㎜의 중공 빌릿으로 성형하고, 시험 No.4, 12, 15, 25 및 35에 대해서는 직경 281㎜, 내경 47㎜의 중공 빌릿으로 성형했다.
성형한 중공 빌릿을 1250~1300℃에서 압출 가공하여, 시험 No.2, 11, 19, 27 및 36에 대해서는 직경 219.5㎜, 두께 18.3㎜의 강관으로 하고, 시험 No.4, 12, 15, 25 및 35에 대해서는 직경 168.7㎜, 두께 7.0㎜의 강관으로 했다. 그리고, 상기의 압출 가공 직후에 수랭을 행했다. 수랭 후, 강관에 1000~1100℃, 3~10min의 조건으로 마무리 열처리를 행했다. 마무리 열처리의 직후에 다시 수랭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했다.
상기의 각 시료에 대해서, 10% 아세틸아세톤-1% 테트라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메탄올로 20mA/㎠의 전류값으로 시료를 약 0.4g 전해했다. 그 후, 그 전해된 시료의 용액을 0.2μm의 필터로 여과한 후, 잔사를 황산+인산+질산+과염소산의 혼산으로 산분해했다. 그리고, ICP 발광 분광 분석 장치로 Mo의 잔사량을 구하고, 용강 중의 Mo량(레이들 성분값)에서, 그 Mo의 잔사량을 뺌으로서 Mo의 고용량을 구했다. 그리고, Mo의 전량에 대한 고용량의 비율(MoSS/Mo)을 산출했다.
또한, 화학 조성과의 관계로부터, 하기 (ii)식으로 정의되는 R1값, 하기 (iv)식으로 정의되는 L값 및 하기 (vi)식으로 정의되는 R2값을 계산했다.
R1=0.25Ni+0.2Cr+(Mo×(MoSS/Mo))1.45 ...(ii)
L=7.6Sn0 .18+9.5Pb0 .18+12.8Zn0 . 2 ...(iv)
R2=R1+(L-5.1)/3 ...(vi)
다음에, 상기의 각 시료에 대해서, 강 내부로부터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길이 방향의 단면을 에머리 페이퍼와 버프로 연마 후, 혼산으로 부식하여 광학 현미경 관찰을 행했다. 관찰면의 결정 입도 번호는, ASTM E112에 규정되는 결정 입도 표준도 플레이트 I과의 비교법에 따른 판정 방법에 따라 구했다. 또한, 상기의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강의 전체 두께로부터 랜덤하게 10시료 채취한 다음, 10시야에 대해 광학 현미경 관찰을 행하고, 각각에서 얻어진 결정 입도 번호를 평균함으로써, 평균 결정 입도 번호를 산출했다.
또, 하기에 나타내는 나프텐산 부식 시험을 실시하고, 부식 속도(mm/y)를 산출했다. 우선, 각 시료로부터 일부를 채취하여, 그 표면을 600번(#600)의 에머리지로 연마하고, 폭 10㎜, 두께 3㎜, 길이 30㎜의 부식 시험편을 제작했다.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질소(N) 분위기 중에서, 135Pa, 350℃의 열질 원유 중에 부식 시험편을 48시간 침지했다. 열질 원유는, ASTM D664-11a에 규정되는 전산가 6에 상당했다. 48 시간이 경과한 후, 부식 시험편을 취출했다. 또한, 부식 시험이 진행됨과 더불어 열질 원유 중의 산이 소비되어 TAN값이 저하되기 때문에, 부식 시험편을 침지한 24h 후에 오토클레이브의 배수구 및 입수구를 이용하여 열질 원유를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고, 합계 48h의 침지 시험을 행한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부식 시험편을 취출했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취출한 후의 부식 시험편에는, 강고하게 그을음이 부착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알루미나를 이용하여 블러스트 처리를 5s 실시하고 강고한 그을음을 없앤 후, 남은 그을음을 구연산 암모늄 용액으로 100℃, 60min의 조건으로 산세하여 없앴다. 그 후, 아세톤을 이용하여 초음파 세정을 3min 행했다. 그리고, 시험 전의 부식 시험편의 중량과 상술의 초음파 세정 후의 부식 시험편의 중량을 각각 측정하고, 그 차를 부식 감량으로서 산출했다. 그리고, 부식 시험편의 표면적 및 비중 및 시험 시간으로부터 부식 속도를 구했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식 속도가 1.50㎜/y 이하인 경우를 내나프텐산 부식성이 뛰어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했다.
Figure pct00002
표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화학 조성 및 MoSS/Mo≥0.98을 만족하는 시험 No.1~20에서는, 부식 속도가 1.50mm/y 이하가 되고, 원하는 내나프텐산 부식성을 얻는 것이 가능했다.
그 중에서도, R1값, L값 및 R2값 중 1종 이상이,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시험 No.14~20의 부식 속도는 큰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R1값, L값 및 R2값이 모두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시험 No.14의 부식 속도는 1.50㎜/y로 본 발명 중에서 가장 부식 속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R1값은 Cr 및 Mo 등 내나프텐산 부식에 대한 영향력이 큰 원소로 구성되는 식이므로, R1값이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부식 속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 L값은 상한을 초과하면 과잉 성분이 오히려 입계 부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부식 속도를 크게 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본 발명의 규정을 만족하지 않는 시험 No.21~39에서는, 부식 속도가 1.50mm/y를 초과하고, 내나프텐산 부식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특히, Mo 함유량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하한치 미만인 경우, 또는, Mo의 확산에 관련된 가열 온도가 낮은 경우, 혹은, 가열 시간이 짧은 경우에서는, 시험 No.21~33 및 36과 같이 부식 속도가 1.70㎜/y 이상이 되고, 내식성이 열화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것은, Mo가 내나프텐산 부식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강질을 악화시키지 않고, 뛰어난 내나프텐산 부식성과 경제성을 양립시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예를 들면, 석유 정제 플랜트의 배관, 가열로, 증류탑, 탑내부품, 펌프, 열교환기 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로서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는 강관, 강판, 봉강, 선재, 단강, 밸브, 조인트, 용재 등이다.

Claims (17)

  1. 화학 조성이, 질량%로,
    C:0.015% 이하,
    Si:1.00% 이하,
    Mn:2.00% 이하,
    P:0.05% 이하,
    S:0.030% 이하,
    Cr:16.0% 이상 22.0% 미만,
    Ni:11.0~16.0%,
    Mo:2.5~5.0%,
    N:0.07% 이상 0.15% 미만,
    Nb:0.20~0.50%,
    Al:0.005~0.040%,
    Sn:0~0.080%,
    Zn:0~0.0060%,
    Pb:0~0.030%,
    잔부:Fe 및 불순물이며,
    하기 (i)식을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MoSS/Mo≥0.98 ...(i)
    단, 식 중의 Mo는, 강 중에 포함되는 Mo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MoSS는 강 중에 고용되어 있는 Mo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또한 하기 (ii)식으로 정의되는 R1값이 하기 (iii)식을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R1=0.25Ni+0.2Cr+(Mo×(MoSS/Mo))1.45 ...(ii)
    R1≥10.2 ...(iii)
    단, (ii)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MoSS는 강 중에 고용되어 있는 Mo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Sn:0.002~0.080%,
    Zn:0.0002~0.0060%, 및
    Pb:0.0005~0.030%
    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하기 (iv)식으로 정의되는 L값이 하기 (v)식을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L=7.6Sn0 .18+9.5Pb0 .18+12.8Zn0 . 2 ...(iv)
    1.8≤L≤13.9 ...(v)
    단, (iv)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Sn:0.002~0.080%,
    Zn:0.0002~0.0060%, 및
    Pb:0.0005~0.030%
    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하기 (iv)식으로 정의되는 L값이 하기 (v)식을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L=7.6Sn0 .18+9.5Pb0 .18+12.8Zn0 . 2 ...(iv)
    1.8≤L≤13.9 ...(v)
    단, (iv)식 중의 각 원소 기호는, 강 중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또한 하기 (vi)식으로 정의되는 R2값이 하기 (vii)식을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R2=R1+(L-5.1)/3 ...(vi)
    R2≥12.0 ...(vii)
    단, (vi)식 중의 R1은 상기 (ii)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며, L은 상기 (iv)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 내부에 있어서의 결정 입도 번호가 7.0 이상인 금속 조직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봉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선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단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밸브.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조인트.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용재.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학 조성을 갖는 강을, 1260℃ 초과 1370℃ 이하의 온도역에서 8h 이상 가열하는 열처리 공정과,
    마무리 온도가 960~1150℃의 범위가 되도록 열간 가공을 실시하는 열간 가공 공정과,
    1000~110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3min 이상 가열하는 마무리 열처리 공정을 구비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단면 감소율이 30% 이상이 되는 조건으로 냉간 가공을 실시하는 냉간 가공 공정을 더 구비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KR1020187032084A 2016-04-06 2017-04-06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7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6401 2016-04-06
JPJP-P-2016-076401 2016-04-06
PCT/JP2017/014414 WO2017175839A1 (ja) 2016-04-06 2017-04-06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489A true KR20180127489A (ko) 2018-11-28
KR102127992B1 KR102127992B1 (ko) 2020-06-30

Family

ID=6000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084A KR102127992B1 (ko) 2016-04-06 2017-04-06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041232B2 (ko)
EP (1) EP3441496B1 (ko)
JP (1) JP6729682B2 (ko)
KR (1) KR102127992B1 (ko)
CN (1) CN108884540B (ko)
CA (1) CA3020258C (ko)
DK (1) DK3441496T3 (ko)
ES (1) ES2798429T3 (ko)
PL (1) PL3441496T3 (ko)
SG (1) SG11201808778XA (ko)
WO (1) WO2017175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1007A (zh) * 2018-02-28 2020-10-13 日本制铁株式会社 奥氏体系不锈钢焊接接头
WO2021015283A1 (ja) * 2019-07-25 2021-01-28 日本製鉄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及び溶接継手
US11618930B2 (en) * 2019-12-26 2023-04-04 Seiko Watch Kabushiki Kaisha Personal orna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personal ornament
CN111363986A (zh) * 2020-04-22 2020-07-03 河南金亿冠热能设备材料有限公司 一种cfb锅炉水冷壁防磨用导流板及其生产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0946A (ja) 1988-12-23 1990-07-02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の優れた煙突・煙道および脱硫装置用高合金ステンレス鋼
JPH04346638A (ja) 1991-05-22 1992-12-02 Nippon Yakin Kogyo Co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た耐硫酸露点腐食ステンレス鋼
JPH11256283A (ja) * 1998-03-13 1999-09-21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0001755A (ja) 1998-06-18 2000-01-07 Sumitomo Metal Ind Ltd 耐硫酸露点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44802A1 (ja) 2007-10-04 2009-04-09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15062910A (ja) * 2013-09-24 2015-04-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材料
JP2015526586A (ja) * 2012-04-13 2015-09-10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精製所プロセス炉のためのアルミナ形成バイメタル管、ならびにそ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3356A1 (en) * 2005-02-02 2006-11-02 Yuusuke Oikawa Austenite-type stainless steel hot-rolling steel material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proof-stress,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BR112013031880A2 (pt) * 2011-06-24 2016-12-13 Nippon Steel & Sumito Metal Corp método para produzir aço inoxidável austenítico e material de aço inoxidável
CN102816978A (zh) 2012-06-20 2012-12-12 宝钢不锈钢有限公司 一种表面细腻的高强度奥氏体不锈钢热轧卷板及制造方法
US20190194787A1 (en) * 2016-08-30 2019-06-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0946A (ja) 1988-12-23 1990-07-02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の優れた煙突・煙道および脱硫装置用高合金ステンレス鋼
JPH04346638A (ja) 1991-05-22 1992-12-02 Nippon Yakin Kogyo Co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た耐硫酸露点腐食ステンレス鋼
JPH11256283A (ja) * 1998-03-13 1999-09-21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0001755A (ja) 1998-06-18 2000-01-07 Sumitomo Metal Ind Ltd 耐硫酸露点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44802A1 (ja) 2007-10-04 2009-04-09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15526586A (ja) * 2012-04-13 2015-09-10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精製所プロセス炉のためのアルミナ形成バイメタル管、ならびにそ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JP2015062910A (ja) * 2013-09-24 2015-04-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4981A1 (en) 2019-05-16
WO2017175839A1 (ja) 2017-10-12
ES2798429T3 (es) 2020-12-11
EP3441496B1 (en) 2020-04-29
KR102127992B1 (ko) 2020-06-30
CA3020258C (en) 2021-01-05
EP3441496A4 (en) 2019-02-13
CN108884540A (zh) 2018-11-23
EP3441496A1 (en) 2019-02-13
DK3441496T3 (da) 2020-06-08
JPWO2017175839A1 (ja) 2018-12-27
CA3020258A1 (en) 2017-10-12
CN108884540B (zh) 2020-11-03
PL3441496T3 (pl) 2020-10-19
US11041232B2 (en) 2021-06-22
JP6729682B2 (ja) 2020-07-22
SG11201808778XA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8679B1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CN109536827B (zh) 耐酸露点腐蚀性得到改善的钢板及制造方法以及排气流路构成部件
JP6969666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
CN109642283B (zh) 耐硫酸露点腐蚀钢
JP6904359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RU2553136C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устойчивый к карбюризации
US11655526B2 (e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5341144B (zh) 奥氏体系不锈钢钢材和焊接接头
CN109642287B (zh) 耐硫酸露点腐蚀钢
KR102127992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1932B1 (ko) 원유 탱크용 열간 압연 형강 및 그의 제조 방법
EP2980251A1 (en) Hot-rolled ferritic stainless-steel plate,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steel strip
KR20120034241A (ko) Ni기 합금재
JP2007262441A (ja) 原油タンク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79920A1 (ja) 油井用高強度ステンレス継目無鋼管
JP2012193432A (ja) 線状加熱性に優れたケミカルタンカー用二相ステンレス鋼
KR102018972B1 (ko) 에탄올 저장 및 수송 설비용 강
JP7114998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640777B2 (ja) 溶接熱影響部の耐粒界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Cr含有鋼管
CN114080465B (zh) 耐硫酸露点腐蚀性优异的无缝钢管及其制造方法
JP7226019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RU2447187C1 (ru) Сталь повышенной коррозионной стойкости и хладостойкости
JP2009280850A (ja) 溶接部耐食性に優れた構造用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溶接構造物
JP2021195602A (ja) 低合金耐熱鋼
CN115917028A (zh) 不锈钢无缝钢管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