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074A -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074A
KR20180124074A KR1020187029553A KR20187029553A KR20180124074A KR 20180124074 A KR20180124074 A KR 20180124074A KR 1020187029553 A KR1020187029553 A KR 1020187029553A KR 20187029553 A KR20187029553 A KR 20187029553A KR 20180124074 A KR20180124074 A KR 20180124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storage
transport
input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698B1 (ko
Inventor
카르슈텐 하이데
볼커 브뤽
Original Assignee
아모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모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모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입체 창고(2)에서, 특히 표준 컨테이너들의 보관을 위한 해항 또는 내항의 환적 설비에서 보관품목(1)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입체 창고(2)는 이 고층 입체 창고(2)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수직 방향에서는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랙 구획(12)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보관 모듈(10)로 구성되고, 이들 보관 모듈은 랙 구획(12)들 또는 보관 모듈(10)들의 입고 및 출고 측면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11)들을 통해 서로 분리되며, 각각의 통로(11)에는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장치(19)가 보관품목(1)을 이송할 뿐만 아니라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것인, 상기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19);에 관한 것이다. 소수의 강재 구조물을 이용한 신속한 환적은, 고층 입체 창고(2)가, 적어도 몇몇 통로(11)를 횡단하면서 공급되는 보관품목(1)을 고층 입체 창고(2) 내로 인입 이송하고, 및/또는 그로부터 인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송 장치(13; 11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통해 달성된다. 이동 레일(20)들의 층위의 하부에서부터 공급되는 보관품목(1)의 취급을 위해, 입출고 장치(19)의 베이스바는 보관품목(1)을 들어올리기 위해 통과 개구부를 구비하여 프레임 유형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본 발명은, 고층 입체 창고(high-bay warehouse)에서, 특히 표준 컨테이너들의 보관을 위한 해항 또는 내항의 환적 설비(transshipment facility)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transport and transfer system)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입체 창고는 이 고층 입체 창고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랙 구획(rack bay)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보관 모듈(storage module)로 구성되고, 이들 보관 모듈은 랙 구획들 또는 보관 모듈들의 입고 및 출고 측면들(storing and retrieving sides)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들을 통해 서로 분리되며, 각각의 통로에는 왕복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장치(storage retrieval apparatus)가 보관품목을 이송할 뿐만 아니라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인, 상기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WO 2015/124342 A1호로부터는, 해항 또는 내항의 환적 설비를 위해, 각각의 통로에 배치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통합된 전자동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full automatic container transport system)이 공지되어 있다.
자체의 치수들과 관련하여 협폭으로 형성되어 자신들의 종측면들(longitudinal side)로는 컨테이너들을 미리 랙 구획들 내로 입고시키거나 그로부터 출고시키는 입출고 장치들은 바닥에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통로들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입출고 장치들에 화물 수용 수단들(load receiving means)을 구비하여 제공되는 호이스트 플랫폼(hoist platform)의 상승 및 하강은, 케이블; 케이블 드럼들; 편향 롤러들; 모터들; 및 변속기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견인 장치(cable traction device) 또는 호이스트(hoist)를 통해 수행된다. 호이스트 플랫폼 상에는 컨테이너들을 현수 이송(suspension transport)하기 위해 화물 수용 수단들이 제공되며, 이 화물 수용 수단들은, 특히 공간을 절약하면서, 현수된 컨테이너와 함께 점진적으로 수평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신축식 포크들 또는 신축식 테이블들로서 형성된다.
대개 선박으로 향해 있는 고층 입체 창고의 측이 되는 인도 측(delivery side)으로 운반되거나, 또는 창고의 다른 끝에서 다른 곳으로 운반될 컨테이너의 환적을 위해, 각각의 통로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적합한 준비 스테이션들(preparation station)을 제공해야 하며, 이 준비 스테이션들로부터 입출고 장치들은 입고를 위한 컨테이너들을 인수하거나, 또는 출고 시에는 컨테이너들이 상기 준비 스테이션들 내로 옮겨질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코일들(coil)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스트립들, 특히 압연된 금속 스트립들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한 고층 입체 창고의 경우에서도 동일하며, 코일들은 받침대들에서 인수되어 랙 구획들 내의 받침대들 또는 하부 구조물들(substructure) 상에 내려놓여진다.
DE 44 39 740 C1호로부터 공지된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예컨대 선박에서 다수의 탑승교(loading bridge) 또는 컨테이너 브리지의 이용을 통해 보장되어야 하는 것과 같은 높은 환적 횟수는, 하역 크레인들(loading crane)과 함께, 컨테이너 환적 설비의 내부에 통합되어 있는 전자동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을 통해 달성된다. 이를 위해, 높이가 오프셋된 계단형 지지 구조물 상에 적재 및 하적 위치들을 가지면서 다수의 지지대(support)를 통해 서로 연결된 높이가 오프셋된 트랙 층위들(track level)이 배치되며, 각각의 층위는 선형 모터로 작동되면서 그 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이송 팔레트(transport pallet)를 구비한 트랙 망(track network)을 포함한다. 비접촉식 구동 수단들로서의 선형 모터 드라이브들을 포함하여 특별하게 형성되는 이송 팔레트가 매우 많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도, 트랙 망 구축으로 강재 구조물의 상당한 비용은 피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각각의 층위에는 적재 위치 및/또는 하적 위치 및/또는 분기 위치로 향하는 트랙 망 상에서 이송 팔레트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서로 연결된 다수의 트랙이 구비되기 때문이다. 지지대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상이한 층위들 또는 개별 층위들은 계단형으로 높이가 오프셋된 지지 구조물을 통해 사전 설정된다.
앞서 기재한 것처럼 추가로 상당한 강재 구조물과 관련한 매우 높은 비용은, 높은 레일 트랙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들의 경우, 고층 입체 창고의 최상위 층 상의 환적 스테이션들이 강재 구조 내에 통합되어 있고, 루프(roof) 구조들에 의해 구획되어 통로들에 중첩되면서 모든 연속되는 다층 보관 모듈을 따라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들이 입출고 장치들에 대한 공급되는 컨테이너들의 분배를 담당 수행해야 할 때에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감소된 비용 및 소수의 강재 구조물로 플랫 컨테이너(flat container), 코일 및 특히 표준 컨테이너(20 TEU 및 40 FEU 컨테이너)와 같은 보관품목 또는 기타 현수 인수(suspension take-over)를 위해 적합한 보관품목의 훨씬 더 신속한 환적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이송 및 인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고층 입체 창고가 적어도 몇몇 통로를 횡단하면서 공급되는 보관품목을 고층 입체 창고 내로 인입 이송하고, 및/또는 그로부터 인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송 장치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통로들이 긴 측면들, 다시 말하면 고층 입체 창고의 종측면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는 점을 기반으로, 횡방향 이송 장치, 또는 서로 이격되어 종측면들에 분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횡방향 이송 장치는 고층 입체 창고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고층 입체 창고의 바깥쪽에서 이 고층 입체 창고의 종측면들과 나란히 종결된다. 횡방향 이송 장치는 예컨대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roller-conveyor roll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 중 적어도 일부만 구동되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 상에서는 팔레트들에 내려놓여진 표준 컨테이너들, 그 위에 직접 내려놓여진 컨테이너들, 또는 받침대들 상에 내려놓여진 코일들이 이송 방향으로 이동되어 또 다른 취급을 위해 포지셔닝될 수 있다. 그 다음, 인입 이송된 보관물품은 입출고 장치들에 의해 인수되어 랙 구획들 내로 입고되거나, 또는 그 반대되는 이동 시퀀스들로 출고될 수 있다. 입고 및 출고의 시퀀스는 시간상 대폭 단축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모든 통로, 또는 (횡방향 이송 장치가 분할 구성된 경우에는) 적어도 몇몇 통로,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통로를 횡단하는 횡방향 이송 장치들이 인수되어 고층 입체 창고의 외부에서부터 공급되는 보관 물품을 고층 입체 창고 내에서 목표한 바대로 제공하고 분배하는 단계(이는 고층 입체 창고에서 선택) 및 상기 보관 물품의 인입 및 인출 이송을 담당 수행하므로, 입출고 장치들이 더 이상 큰 이동 경로들을 커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고층 입체 창고를 횡단하는 복수의 섹션으로 제공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이송 장치는, 어느 경우에서든, 입출고 장치들의 이동 층위 또는 이동 레일 층위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보관물품을 고층 입체 창고 내에서 입고 및 출고의 모든 경우에 가변적으로 취급하는 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횡방향 이송 장치는 창고 기초부(warehouse foundation)의 피트부(pit) 내에 형성된다. 횡방향 이송 장치들을 위한 하부 통로들은 기초 공사(foundation work) 시에 그와 함께 동시에 간단한 방식으로 직접 제공되며, 이는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창고 기초부의 피트부 내에서 횡방향 이송 장치의 하부에 빈 팔레트들, 이송 대차들 또는 하부 구조들의 반송을 위한 복귀 경로가 제공되되, 횡방향 이송 장치와 조합된 복귀 경로가 예컨대 마찬가지로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 또는 유사한 컨베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을 때, 보관물품을 수용하는 수단들이 폐회로(closed circuit)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점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약간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횡방향 이송 장치는, 연속되는 보관 모듈들의 적어도 하나의 열의 최하단 랙 구획 층위(lowermost rack bay level)의 창고 기초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횡방향 이송 장치는 최하단 랙 구획들의 기존 기초부 상에 구성되며, 이는 간단한 방식으로 횡방향 컨베이어를 포함한 기존 고층 입체 창고의 개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경우, 보관물품은 고층 입체 창고의 종측면에서부터 인입 및 인출 이송된다. 완전한 보관 용량의 완벽한 활용을 위해, 모든 나머지 랙 구획의 점유 후에도,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랙 구획들 역시도 여전히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의 경우에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안에 따라서, 창고 기초부 내에서 횡방향 이송 장치의 하부에, 빈 팔레트들, 캐리어 받침대들 또는 이송 대차들의 반송을 위한 복귀 경로가 폐회로로 제공된다.
선택에 따라, 복귀 경로는 횡방향 이송 장치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인접한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창고 기초부 상에, 또는 기초부의 피트부의 바닥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복귀 경로가 횡방향 이송 장치에 비해 더 깊게 위치하는 경우 이송 흐름은 2개의 높이에서 수행되되, 보관물품 또는 팔레트들, 이송 대차들 등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높이 차이는 예컨대 리프팅 테이블들을 통해 극복될 수 있는 반면, 횡방향 이송 장치와 복귀 경로가 하나의 높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연장되어 배치되는 경우에는, 선형 변위 수단들(linear displacing means), 예컨대 실린더들이 복귀 경로 상으로 빈 팔레트들, 이송 대차들 등의 전달을 담당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것처럼, 수직 지주들(vertical post); 및 이 수직 지주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크로스바들(head crossbar) 및 베이스바들(base bar);로 구성되고 다층 보관 모듈들의 높이에 상응하는 프레임이면서, 인접한 보관 모듈들의 랙 구획들의 좌측 및 우측 조작을 위해 통로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이입(移入) 및 이출(移出) 가능한 화물 수용 수단들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구동 수단들을 통해 이동되는 호이스트 플랫폼을 구비한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는 입출고 장치들이 이용되되, 본 발명에 따라서 베이스바는 보관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해 통과 개구부(passage opening)를 구비하여 프레임 유형으로 형성된다. 보관물품의 존재하는 최대 치수에 매칭되는 통과 개구부는 기초부 피트부 내에 배치되는 횡방향 이송 장치로부터 상승시키거나, 또는 그 위로 하강시킬 때 보관물품의 자유로운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그와 동일하게 횡방향 이송 장치를 위한 최하단 랙 구획 층위를 이용할 때에도 적용된다. 이런 경우, 입출고 장치들은 본 발명에 따라서 통로들 내에 서로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상부에 배치되는 2개의 레일 상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최하단 랙 구획 층에서부터 바로 그 위에 연속되는 랙 구획 층위로의 전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바 내에 보관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해 통과 개구부를 포함하는 상기 입출고 장치는 그 외에도 이동 레일 층위 하부의 통로들에서 제공되는 보관물품의 취급 역시도 가능하게 한다.
입출고 장치들의 이동 층위 하부에서 보관물품의 취급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프레임들의 수직 지주들이 베이스바를 넘어서 하향 연장되어 약간 최하단 랙 구획 층위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통해 수월해진다. 그에 따라, 하향 연장된 상기 경로를 통해, 예컨대 프레임 연장부들 상에서 지지되는 롤러들에 의해, 입출고 장치의 하강되거나 상승되는 호이스트 플랫폼의 센터링된 안내를 위한 가능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상세내용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리고 도면들에 표준 컨테이너들의 환적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기 기재내용에서 분명하게 제시된다.
도 1은, 컨테이너 환적 설비의 부분도로서, 고층 입체 창고의 상류에 배치되어 미도시한 선박으로부터 공급되는 컨테이너들을 인수하고; 고층 입체 창고의 통로들에서 그곳에 높게 설치된 레일들 상에서 이동 가능한 입출고 장치들을 이용한 입고를 위해 고층 입체 창고의 전방까지 이송하거나; 또는 그 반대되는 이동 시퀀스들로 출고 시에는 다른 곳으로 운반하기; 위한 환적 스테이션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되, 고층 입체 창고는 환적 스테이션에 대해 선형으로 정렬되고 최하단 랙 구획 층위에 형성된 횡방향 이송 장치와 창고 기초부 내에 함입(recess)되거나 더 깊게 배치되는 복귀 경로를 포함한다.
도 2는, 컨테이너 환적 설비의 상세도로서, 고층 입체 창고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되, 도 1과는 다른 할당으로,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환적 스테이션들이 통로들의 개구부들의 상류에 배치되고 횡방향 이송 장치들은 복귀 경로들을 포함하여 창고 기초부의 피트부들 내에 제공되어 (미도시된 사항으로) 고층 입체 창고의 바깥쪽에서 이 고층 입체 창고의 종측면들과 나란히 종결된다.
도 3은, 도 2의 상세도로서, 내부에 기초부 상에서 이동 가능한 입출고 장치를 포함하는 통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보관 모듈들 또는 랙 구획들로 향해 있는 종측면으로부터 입출고 장치를 바라보고 도시한 전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입출고 장치의 상세도로서, 실질적으로, 현수된 컨테이너와 함께 이미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상부, 또는 기초부의 피트부(도 2 참조) 내에 배치된 횡방향 이송 장치의 상부로까지 하강된 호이스트 플랫폼을 포함하는 베이스바 또는 이동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면도이다.
선박에서 컨테이너(1)들을 하적하여 고층 입체 창고(2) 내로 입고하기 위해, 또는 그 반대로 출고하여 선박 또는 다른 곳으로 운반하는 차량에 적재하기 위해, 도 1에 따르면, 부두(3)로 향해 있는 측에서 고층 입체 창고(2)의 상류에는 적어도 하나의 환적 스테이션(4)이 배치된다. 상기 환적 스테이션은, 부두 상에 바깥쪽에서부터 고층 입체 창고(2) 쪽으로 향하는 이송 방향(화살표)(5)으로, 선형으로 연속해서, 인수 대차(6)(take-over carriage); 라인에서부터 고층 입체 창고(2)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는 분배 차량(7)(distributor vehicle); 고정식 창고(8)(stationary deposit); 및 리프팅 테이블(9);를 포함한다. 환적 스테이션(4)은, 고층 입체 창고(2) 내에서, 내부에 전체 높이에 걸쳐 제공되는 랙 구획(12)들을 포함하여 폭에 걸쳐서 서로 이격되어 연속되는 보관 모듈(10)들 사이에서, 고층 입체 창고의 종측면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모든 통로(11)를 횡단하는 횡방향 이송 장치(13)에 일렬로 이어진다. 횡방향 이송 장치(13)는, 창고 기초부(15) 상의 최하단 랙 구획 층위(14)에 배치된다. 횡방향 이송 장치의 하부에서 창고 기초부(15) 내에는 복귀 경로(16)가 형성된다.
환적 스테이션(4)은 2-층위 구조로 제공되며, 다시 말하면 인수 대차(6), 분배 차량(7), 고정식 창고(8) 및 리프팅 테이블(9)은 상부 층위(I) 및 하부 층위(II)를 갖되, 리프팅 테이블(9)은, 일측인 환적 스테이션(4) 및 횡방향 이송 장치(13)의 상부 층위(I)와 타측인 복귀 경로(16)의 하부 층위(II) 간의 높이 차이를 극복하여 각각의 선형 경로를 보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 이유는, 미도시한 탑승교의 화물 수용 수단(17)에 의해 선박에서 들어내진 컨테이너(1)가 [경우에 따라서는 화물 수용 수단(17)에 의해 바로 2개의 컨테이너(1)가 동시에 들어내어져 인수 대차(6)들 상에 내려놓여질 수 있음] 자신의 종측면이 이송 방향(5)으로 인수 대차(6)의 상부 층위(I)로 향하는 방식으로, 그곳에 마련된 팔레트(18) 상에 내려놓여지고, 분배 차량(7)의 최상부 층위(I)로 전달되며, 그리고 고층 입체 창고(2)에 대해 평행하게 분배 차량(7)의 이동을 통해 다수의 환적 스테이션(4) 중 하나의 비어 있는 고정식 창고(8) 전방까지 운반되며, 그리고 이로부터 리프팅 테이블(9)의 최상위 층위(I)로 이송되기 때문이다.
리프팅 테이블(9)은 횡방향 이송 장치(13)와 동일 평면에 놓이는 위치까지 컨테이너(1)와 함께 팔레트(18)를 하강시키며, 그 다음 횡방향 이송 장치는, 컨테이너(1)와 함께 앞서 인수된 팔레트(18)를, 각각의 통로(11)에 배치된 입출고 장치(19)를 통한 인수를 위해 통로(11)들 중 하나에 포지셔닝한다. 입출고 장치(19)들을 통한 컨테이너(1)들의 인수 후에 비워진 팔레트(18)들은 횡방향 이송 장치(13)의 끝에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 예컨대 마찬가지로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면서 창고 기초부(15) 내에 함입되어 배치되고 더 깊게 위치하는 복귀 경로(16) 상으로 하강되며, 그리고 이송 방향(5)의 반대 방향으로 우선 자신의 하부 층위(II)가 복귀 경로(13)와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조정된, 환적 스테이션(4)의 리프팅 테이블(9)로 이송된다. 그런 후에, 리프팅 테이블(9)은, 자신의 하부 층위(II)가 고정식 창고(8), 분배 차량(7) 및 인수 대차(6)의 하부 층위(II)와 동일 평면에 놓일 때까지 상승되며, 그럼으로써 팔레트(18)들은 전술한 환적 스테이션 유닛들의 이송 수단들에 의해 재사용을 위해 자신들의 출발 위치로 복귀된다. 인수 대차(6)는, 마찬가지로 팔레트(18)들을 하부 층위(II)에서 상부 층위(I)로 상승시키는 리프팅 수단을 구비한다.
입출고 장치(19)들은, 보관 모듈(10)들의 랙 구획(12)들 내로 또는 그들 외로 컨테이너(1)들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을 실행하며, 그리고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최하단 (제1) 랙 구획 층위(14)와 그 위에 연속되는 (제2) 랙 구획 층위 사이에서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통로(11)들에 배치되는 2개의 레일(2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입고를 위해, 일측 통로(11)에 포지셔닝된 컨테이너(1)는 자신의 팔레트(18)로부터 들어내어져 (이 때문에 호이스트 플랫폼(21)(도 4 참조)은, WO 2015/123342 A1호에서 공지된 것처럼, 점진적으로 신축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화물 수용 수단(22)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화물 수용 수단들은 컨테이너(1)들의 상이한 길이들에 대한 매칭을 위해 서로 향해, 또는 서로 이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신축식 화물 수용 수단(22)들이 잠금 고정을 위한 자신들의 잠금 고정 수단들로 컨테이너(1)의 현수지점들(suspension point) 위쪽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된다. 잠금 고정되어 현수된 컨테이너(1)는 그 후에 호이스트 플랫폼(21)의 상승 및 입출고 장치(19)의 이동을 통해 인접한 보관 모듈(10)들의 임의의 랙 구획(12) 전방으로 옮겨지며, 그리고 화물 수용 수단(22)들(신축식 포크들 또는 테이블들)의 점진적인 신축 작동을 통해 원하는 랙 구획(12) 내로 입고될 수 있다. 출고는 위와 반대되는 이동 시퀀스들로 수행된다.
최하단 랙 구획 층위(14)로부터 인수된 컨테이너(1)들이 그 위에 연속되는 랙 구획 층위들 내로 입고될 때 상기 컨테이너들의 자유로운 통과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입출고 장치(19)들의 베이스바(23)가 통과 개구부(24)를 구비하여 프레임 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통해 가능해진다.
신축식 화물 수용 수단(22)들을 통해 매우 협폭이면서 컨테이너들의 폭 치수에 상응하는 공간 절약형 통로(11)들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고 장치(19)들은, 특히 현수된 컨테이너(1)와 함께 호이스트 플랫폼(21)을 최상위 위치 및 하향 하강된 위치(도 5 참조)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수직 지주(25)들; 및 이 수직 지주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크로스바(26);뿐만 아니라 컨테이너(1)들/보관물품을 위한 통과 개구부(24)를 구비하여 형성된 연결용 베이스바(23);로 구성되고 다층 보관 모듈(10)들의 높이에 상응하는 프레임(27)을 포함한다. 호이스트 플랫폼(21)의 상승 및 하강은, 베이스바(23) 상에 제공된 호이스트(28)들; 및 헤드 크로스바(26)에서 롤러들을 통해 편향되는 케이블(29)들;을 통해 수행된다. 특히 도 1에 따른 횡방향 이송 장치(13)의 구조에서 이용할 때, 수직 지주(25)들은 짧은 이동 경로에 걸쳐서 베이스바(23)를 넘어서 하향 돌출된 연장부(3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도 4 참조).
도 2 및 도 3의 환적 설비의 경우, 횡방향 이송 장치(113)들 및 이와 조합되어 더 깊게 위치하는 복귀 경로(116)들은, 고층 입체 창고(2)의 아래를 통과하는, 창고 기초부(16)의 피트부(31)들 내에 완전하게 함입되어 제공된다. 그에 따라, 입출고 장치(19)들은 지면과 같은 높이에서, 다시 말하면 바로 창고 기초부(15)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도 3 참조). 앞서 기재한 환적 스테이션(4)들은 여기서는 부두 측에서 통로(11)들과 동일 평면에 놓이는 위치에 제공된다. 탑승교들의 화물 수용 수단(17)들에 의해 선박에서 공급되는 컨테이너(1)들은 다시금 인수 대차(6) 상에서 팔레트(18)들 내에 내려놓여져 분배 차량(7)으로 전달되며, 그리고 분배 차량에서부터 고정식 창고(8)들로 전달된다. 컨테이너(1)들이 자신들의 협폭 단부면들이 아니라 자신들의 광폭 측면들이 통로 방향으로 향하면서 탑승교들의 화물 수용 수단(17)들로부터 공급되는 경우라면, 환적 스테이션 내의 고정식 창고(8)들의 상류에는 컨테이너(1)들을 배향시키는 회전 테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통로들 전방에서 포지셔닝되어 제공되는 컨테이너(1)들은 그곳에서부터 보관 모듈(10)들의 랙 구획(12)들 내로의 입고를 위해 입출고 장치(19)들에 의해 인수되며, 그리고 빈 팔레트(19)들은 리프팅 테이블(9)에 의해 반송을 위해 하부 층위(II)로 하강된다.
입출고 장치(19)들의 베이스바(23)들의 통과 개구부(24)를 통해 피트부(31) 내로 하강된 후 컨테이너(1)들의 출고는 횡방향 이송 장치(113)를 통해 수행되고 빈 팔레트(18)들의 반송은 복귀 경로(116)를 통해 수행되되, 횡방향 이송 장치(113)들 및 복귀 경로(116)들은 고층 입체 창고(1)의 바깥쪽에서 이 고층 입체 창고의 종측 외벽부들과 나란히 종결되며, 그리고 여기에는 컨테이너(1)들 및 타측의 빈 팔레트(18)들을 위한 리프팅 테이블들이 제공된다. 상승된 컨테이너(1)들은, 예컨대 트럭 또는 선박으로의 적재를 위해 크레인들에 의해 인수될 수 있다. 하강된 빈 팔레트(18)들은, 복귀 경로(116) 또는 그 이송 수단으로부터 상승을 위해 횡방향 이송 장치(113)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층위로 이송되며, 그리고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에 의해 출고 대상 컨테이너(1)의 재적재를 위해 통로 아래에 포지셔닝된다.
1: 컨테이너/보관품목 2: 고층 입체 창고
3: 부두 4: 환적 스테이션
5: 이송 방향(화살표) 6: 인수 대차
7: 분배 차량 8: 고정식 창고
9: 리프팅 테이블 10: 보관 모듈
11: 통로 12: 랙 구획
13; 113: 횡방향 이송 장치 14: 최하단 랙 구획 층위
15: 창고 기초부 16; 116: 복귀 경로
17: (탑승교의) 화물 수용 수단 18: 팔레트
19: 입출고 장치 20: 입출고 장치의 레일들
21: 호이스트 플랫폼 22: 화물 수용 수단
23: 베이스바/이동 프레임 24: 통과 개구부
25: 수직 지주들 26: 헤드 크로스바
27: 프레임 28: 호이스트
29: 케이블 30: (수직 지주들의) 연장부
31: 피트부 I: 상부 층위
II: 하부 층위

Claims (9)

  1. 고층 입체 창고(2)에서, 특히 표준 컨테이너들의 보관을 위한 해항 또는 내항의 환적 설비에서 보관품목(1)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으로서, 고층 입체 창고(2)는 이 고층 입체 창고(2)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수직 방향에서는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랙 구획(12)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보관 모듈(10)로 구성되고, 상기 보관 모듈들은 랙 구획(12)들 또는 보관 모듈(10)들의 입고 및 출고 측면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11)들을 통해 서로 분리되며, 각각의 통로(11)에는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장치(19)가 보관품목(1)을 이송할 뿐만 아니라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것인, 상기 이송 및 인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층 입체 창고(2)가, 적어도 몇몇 통로(11)를 횡단하면서 상기 공급되는 보관품목(1)을 상기 고층 입체 창고(2) 내로 인입 이송하고, 및/또는 그로부터 인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송 장치(13; 11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113)는 상기 창고 기초부(15)의 피트부(31)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13)는 연속되는 보관 모듈(10)들의 적어도 하나의 열의 최하단 랙 구획 층위(14)의 창고 기초부(15)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완전히 차 있거나 빈 팔레트(18)들 또는 이송 대차들의 반송을 위해 상기 창고 기초부(15) 내에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13)의 하부에 제공되는 복귀 경로(16)를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부(31) 내에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113)의 하부에 빈 팔레트(18)들 또는 이송 대차들의 반송을 위한 복귀 경로(1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113)는 상기 피트부(31)의 바닥부 상에, 그리고 완전히 차 있거나 빈 팔레트(18)들 또는 이송 대차들의 복귀 경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7. 특히 제1 항에 따른 이송 및 인도 시스템을 위한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9)는, 수직 지주(25)들; 및 이 수직 지주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크로스바(26)들 및 베이스바(23)들;로 구성되고 적어도 다층 보관 모듈(10)들의 높이에 상응하는 프레임(27)이면서, 인접한 보관 모듈(10)들의 랙 구획(12)들의 좌측 및 우측 조작을 위해 통로(11)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이입 및 이출 가능한 화물 수용 수단(22)들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구동 수단들을 통해 이동되는 호이스트 플랫폼(21)을 구비한 상기 프레임(27)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바(23)는 상기 보관물품(1)을 들어올리기 위해 통과 개구부(24)를 구비하여 프레임 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용 입출고 장치.
  8. 제3 항, 제4 항 및 제7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9)들은 상기 통로(11)들 내에 서로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최하단 랙 구획 층위(14)의 상부에 배치되는 2개의 레일(2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9)들의 프레임(27)들의 수직 지주(25)들은 상기 베이스바(23)를 넘어서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인도 시스템.
KR1020187029553A 2016-03-15 2017-03-15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KR102226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4246.7 2016-03-15
DE102016204246 2016-03-15
PCT/EP2017/056140 WO2017158034A1 (de) 2016-03-15 2017-03-15 Transport- und übergabesystem zum ein- und auslagern oder umlagern von lagergut in hochregallagern und regalbedien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074A true KR20180124074A (ko) 2018-11-20
KR102226698B1 KR102226698B1 (ko) 2021-03-11

Family

ID=5831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553A KR102226698B1 (ko) 2016-03-15 2017-03-15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20210188572A1 (ko)
EP (1) EP3429947B1 (ko)
JP (1) JP6926107B2 (ko)
KR (1) KR102226698B1 (ko)
CN (2) CN109153517A (ko)
AU (1) AU2017232270B2 (ko)
BR (1) BR112018067859B1 (ko)
CA (1) CA3015504C (ko)
CR (1) CR20180487A (ko)
CU (1) CU24685B1 (ko)
DK (1) DK3429947T3 (ko)
ES (1) ES2932198T3 (ko)
FI (1) FI3429947T3 (ko)
HR (1) HRP20221521T1 (ko)
IL (1) IL261692B1 (ko)
LT (1) LT3429947T (ko)
MX (1) MX2018011041A (ko)
MY (1) MY194971A (ko)
NZ (1) NZ745103A (ko)
PL (1) PL3429947T3 (ko)
PT (1) PT3429947T (ko)
SA (1) SA518400013B1 (ko)
SG (1) SG11201807343TA (ko)
SI (1) SI3429947T1 (ko)
TW (1) TWI777945B (ko)
WO (1) WO20171580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684U (ko) 2021-09-28 2023-04-04 (주)인더텍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2400B (zh) * 2018-07-06 2023-12-01 晋江凯燕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自动存取功能的智能仓库
CN109250406A (zh) * 2018-07-31 2019-01-22 王燏斌 一种铁路集装箱货场及其输送装置
CN109368107A (zh) * 2018-11-09 2019-02-22 上海原能细胞生物低温设备有限公司 一种生物样本储存库及其储存方法
CN111731728A (zh) * 2019-04-30 2020-10-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物品运送系统
ES2962842T3 (es) * 2019-10-30 2024-03-21 Savoye Procedimiento para fusionar, en un almacén logístico, de k flujos de entrada de cargas útiles en un flujo de salida
DE102019134527A1 (de) * 2019-12-16 2021-06-17 Amova Gmbh Vorrichtung zur Lagerung für standardisierte Lagergüter in einem Hochregallager
DE102019134528A1 (de) * 2019-12-16 2021-06-17 Amova Gmbh Verfahren zur dynamischen Verkehrsführung von externen Verkehrsmitteln in einem Hochregallager
IT201900024976A1 (it) * 2019-12-20 2021-06-20 Modula S P A Dispositivo di bloccaggio elevatore per magazzino automatico verticale
CN112960351B (zh) * 2021-03-31 2022-09-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输送装置、存放设备
CN113213036B (zh) * 2021-05-06 2022-11-29 长春工程学院 一种列车轮对装配零部件托盘立体仓库的存取方法
DE102021117938A1 (de) 2021-07-12 2023-01-12 Amova Gmbh Regalbediengerät für ein Hochregallager
DE102021122748A1 (de) 2021-09-02 2023-03-02 Amova Gmbh Regalbediengerät mit Winkelausgleich für ein Hochregallager
CN114750788B (zh) * 2022-05-23 2024-04-09 贵州化工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低空间大尺寸非标设备运输安装装置及使用方法
DE102022129323A1 (de) * 2022-11-07 2024-05-08 Amova Gmbh Integration von Transfervorrichtungen in Hochregallager
CN115652319B (zh) * 2022-11-10 2024-04-26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顶管施工用钢筋存放设备及存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63B1 (ko) * 2004-03-12 2006-08-16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
KR20090053844A (ko) * 2006-09-28 2009-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태커 크레인
JP2010265117A (ja) * 2009-04-15 2010-11-25 Jfe Engineering Corp 移載システム及び該移載システムを備える物品荷役施設並びに、コンテナ移載装置及び該コンテナ移載装置を備える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5009937A (ja) * 2013-06-28 2015-01-19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倉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7380U (ko) * 1974-05-22 1975-12-06
DE4120922A1 (de) * 1991-06-25 1993-01-07 Krupp Industrietech Einrichtung zum umschlagen von stueckgut in form von ladeeinheiten wie containern, wechselbehaeltern, sattelanhaengern o. dgl.
ATE170489T1 (de) * 1993-11-24 1998-09-15 Schenck Handling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ein-oder aus-lagern bzw. umstapeln von trägern für fördergut
DE4439740C1 (de) 1994-10-28 1996-05-09 Noell Gmbh Containerterminal mit integriertem, vollautomatischem Containertransportsystem
US6113336A (en) * 1999-10-05 2000-09-05 Chang; Tien-Sheng Warehousing system having a conveying device for transferring articles between two levels of a multistory building
JP2003002410A (ja) * 2001-06-18 2003-01-08 Nippon Yusoki Co Ltd 自動倉庫
ES2332516T3 (es) * 2003-06-30 2010-02-08 Kyong-Ja Jung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almacenar y transferir contenedores.
WO2007043085A1 (en) * 2005-10-14 2007-04-19 Gilberto Rolla Automatic modular plant for permanently or temporarily loading/unloading and/or storing containers or similar
US7598688B2 (en) * 2006-06-22 2009-10-06 Orbotech Ltd Tilting device
JP5088468B2 (ja) * 2007-03-09 2012-12-05 村田機械株式会社 懸垂式搬送台車を用いた搬送システム
WO2009097342A2 (en) * 2008-01-28 2009-08-06 Gil-Char, Inc. Watercraft dry dock storage system and methods
US20100183407A1 (en) * 2009-01-21 2010-07-22 Tai-Up Kim 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JP2011093709A (ja) * 2009-10-02 2011-05-12 Jfe Engineering Corp コンテナ移載設備、コンテナ移載方法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
US9539457B2 (en) 2014-02-17 2017-01-10 Ucs, Inc. Pole vault landing system configured for receiving a collar
TWI625290B (zh) 2014-02-19 2018-06-01 德商Sms邏輯系統股份有限公司 將高架倉中的貨櫃入倉、出倉或轉倉的方法與裝置
US9505556B2 (en) * 2014-09-03 2016-11-29 Ottos Consultants Ltd. Storage system using lifting mechanism for collecting containers in desired seque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63B1 (ko) * 2004-03-12 2006-08-16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
KR20090053844A (ko) * 2006-09-28 2009-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태커 크레인
JP2010265117A (ja) * 2009-04-15 2010-11-25 Jfe Engineering Corp 移載システム及び該移載システムを備える物品荷役施設並びに、コンテナ移載装置及び該コンテナ移載装置を備える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5009937A (ja) * 2013-06-28 2015-01-19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倉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684U (ko) 2021-09-28 2023-04-04 (주)인더텍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8034A1 (de) 2017-09-21
TWI777945B (zh) 2022-09-21
JP6926107B2 (ja) 2021-08-25
CN109153517A (zh) 2019-01-04
CA3015504A1 (en) 2017-09-21
CN207329425U (zh) 2018-05-08
NZ745103A (en) 2019-04-26
BR112018067859B1 (pt) 2022-10-04
PT3429947T (pt) 2022-12-22
HRP20221521T1 (hr) 2023-02-17
DK3429947T3 (da) 2022-12-12
FI3429947T3 (en) 2023-01-13
EP3429947A1 (de) 2019-01-23
ES2932198T3 (es) 2023-01-16
CU20180107A7 (es) 2019-09-04
TW201739679A (zh) 2017-11-16
EP3429947B1 (de) 2022-10-05
AU2017232270B2 (en) 2018-12-13
SA518400013B1 (ar) 2022-02-02
IL261692B1 (en) 2024-07-01
SI3429947T1 (sl) 2023-01-31
IL261692A (en) 2018-10-31
LT3429947T (lt) 2022-12-27
SG11201807343TA (en) 2018-09-27
BR112018067859A2 (pt) 2019-01-02
CA3015504C (en) 2021-02-02
JP2019508345A (ja) 2019-03-28
AU2017232270A1 (en) 2018-10-11
KR102226698B1 (ko) 2021-03-11
CR20180487A (es) 2019-01-09
US20210188572A1 (en) 2021-06-24
MX2018011041A (es) 2019-01-17
MY194971A (en) 2022-12-28
CU24685B1 (es) 2023-11-07
PL3429947T3 (pl)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4074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TWI601679B (zh) 用於將貨櫃倉庫的貨櫃入倉及出倉的方法及貨櫃-轉運設施
US11167922B2 (en) Robotic container handling device and handling method
US10752440B2 (en) Robotic container handling device and method
US8998554B2 (en) Multilevel vertical conveyor platform guides
KR102343506B1 (ko)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JP7386186B2 (ja) 保管システム
US20180155127A1 (en) Method for placing packets into and/or out of storage into/from a particular storage rack aisle of a storage rack
US20160122139A1 (en) Container terminal
JP6627134B2 (ja) 自動倉庫および台車式搬送装置
US20240124231A1 (en) Storage system with a multi-level storage rack and method of operation for providing transport units from a storage facility on at least one removal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