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684U -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684U
KR20230000684U KR2020210002945U KR20210002945U KR20230000684U KR 20230000684 U KR20230000684 U KR 20230000684U KR 2020210002945 U KR2020210002945 U KR 2020210002945U KR 20210002945 U KR20210002945 U KR 20210002945U KR 20230000684 U KR20230000684 U KR 202300006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rehabilitation
kiosk
rehabilitation training
present
type cogn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인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더텍 filed Critical (주)인더텍
Priority to KR2020210002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684U/ko
Publication of KR20230000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는, 하면에 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를 따라 리프트 업/다운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의 상단에서 힌지를 통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Kiosk typ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본 고안은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고령화 사회를 넘어선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비용과 인지재활 분야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치매는 완치 불가능한 진행성 질환으로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발병되기 전 조기 예방이 선행될 때는 치매의 진행을 늦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00명 중 5~10명의 경우 회복이 가능해진다.
고령화 시대 진입에 따른 인지재활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 출시된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UI/UX 디자인을 적용하여 고령자 및 인지재활이 필요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흔히 사용되는 태블릿 PC에 탑재된 인지재활 솔루션의 경우 가볍고 이동성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집중력이 부족한 ADHD 환자나 사지 장애가 있는 중증환자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사용할 때 주변으로 시선을 빼앗겨 훈련효율이 떨어지므로, 사용자를 위한 범용 인지재활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4074호 (2018.10.17. 공개) - 인지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고안은 고령자, 장애인, 비장애인 등 모든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사용자 관점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되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변으로의 시선 이탈을 방지하여 훈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로서, 하면에 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를 따라 리프트 업/다운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의 상단에서 힌지를 통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령자, 장애인, 비장애인 등 모든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사용자 관점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되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변으로의 시선 이탈을 방지하여 훈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리프트 기능 및 틸트 기능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의 리프트 기능 및 틸트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100)는 고령자, 뇌졸중, 치매, ADHD, 발달장애 등 뇌 손상성 인지장애 환자들의 인지기능 저하를 지연하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인지기능을 강화하여 질환을 예방 도는 개선하고, 초고령화 사회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100)는 하면에 바퀴(115)가 설치된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바디부(120)와, 바디부(120) 내부에서 바디부(120)를 따라 리프트 업/다운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부(130)와, 리프트부(130)의 상단에는 힌지를 통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니터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니터부(140)는 터치 방식의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모니터부(14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기 위한 아이트래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로폰, 모니터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상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모니터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 모듈부(14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100)는 리프트부(130)가 가장 낮게 위치하는 기본 자세(리프트 다운)에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모니터부(140)가 위치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에서 아이트래커 높이까지는 75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서 힌지까지의 높이를 약 910mm로 설정하고, 리프트 길이를 포함하여 약 1,100mm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들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디부(120)는 일정 경사각(예를 들어, 10°)을 가지도록 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니터부(140)에 접근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경사진 바디부(120)에 대해 전도를 방지하여, 최소한의 부피로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부(140)는 힌지에 의해 다양한 틸트값(예를 들어, -10°~ +60°)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예를 들어,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가 모니터부(140)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부(140)는 리프트부(130)가 바디부(120)를 따라 경사진 상하 방향으로 리프트 업/다운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 혹은 선 자세 등 다양한 자세에서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베이스부(110)의 하면에는 바퀴(115)가 설치되어 있어 이동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퀴(115)는 높낮이 조절 및 이동/고정이 가능한 캐스터일 수 있다. 캐스터를 활용함으로써 본 장치는 이동의 편의성이 확보되고, 자세 고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전방에는 휠체어의 시트너비를 고려하여 휠체어가 진입 가능하도록 하는 진입 공간(111)이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120)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장치(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25)가 설치될 수 있다. 수납부(125)를 통해 적재 및 이동 시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100)는 각 구성이 모듈화로 제작되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고, 장소 구분 없이 편리한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 바디부(120), 리프트부(130) 등의 주요 구성은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여 우수한 내구성 및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100)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 형태의 디자인을 가짐으로써 안전성이 강화되고,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100)는 모니터부(140)를 통해 다양한 전산화 인지재활 콘텐츠를 출력하여 인지재활 훈련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인지재활 콘텐츠는 작업치료학과, 재활의학과 등 재활전문가의 의학적 조언을 통해 기획된 인지재활 솔루션 콘텐츠일 수 있다. 콘텐츠별 세부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칙과 기준이 수립될 수 있다. 인지재활 훈련 과정에서 사용자의 인지 반응 요소를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100)를 통해 비대면 원격 모니터링 인지재활 솔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비대면 원격 훈련의 경우,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지도학습이 가능하다. 훈련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작업치료사가 직접 환자의 훈련을 지정하여 추가 개입 없이 훈련이 가능하다. 콘텐츠 시작시 콘텐츠 설명 방법이 애니메이션으로 제공되어 작업치료사의 의존도를 낮출 수 있어 비대면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비대면 멀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지재활 솔루션(예컨대, EYAS) 훈련 프로그램이 설치된 PC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1:N의 훈련자 컨트롤이 가능하다.
또한, 훈련자 화면을 모니터링하여 진행도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110: 베이스부 115: 바퀴
120: 바디부 125: 수납부
130: 리프트부 140: 모니터부
145: 부가 모듈부

Claims (1)

  1.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로서,
    하면에 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를 따라 리프트 업/다운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의 상단에서 힌지를 통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KR2020210002945U 2021-09-28 2021-09-28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KR202300006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45U KR20230000684U (ko) 2021-09-28 2021-09-28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45U KR20230000684U (ko) 2021-09-28 2021-09-28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84U true KR20230000684U (ko) 2023-04-04

Family

ID=8588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945U KR20230000684U (ko) 2021-09-28 2021-09-28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68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074A (ko) 2016-03-15 2018-11-20 아모바 게엠베하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074A (ko) 2016-03-15 2018-11-20 아모바 게엠베하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766B2 (en) Intelligent apparatus for patient guidance and data capture during physical therapy and wheelchair usage
Baccini et al. Effectiveness of fingertip light contact in reducing postural sway in older people
Pinto et al. New technologies an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which step forward rushed by the COVID-19 pandemic?
US11033238B2 (en) Intelligent apparatus for guidance and data capture during physical repositioning of a patient on a sleep platform
Mostajeran et al. Welcoming a holographic virtual coach for balance training at home: two focus groups with older adults
KR101740472B1 (ko) 유산소 운동 중 통증감소를 위한 3차원 체형 맞춤형 리컴번트 사이클 플랫폼 장치
Jang et al. Cardiopulmonary function after robotic exoskeleton-assisted over-ground walking training of a patient with an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Case report
Llorens et al. BioTrak: a comprehensive overview
KR20230000684U (ko) 키오스크형 인지재활 훈련장치
Hsu et al. Seat adjustment design of an intelligent robotic wheelchair based on the Stewart platform
Williams et al. Training conditions influence walking kinematics and self-selected walking speed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Mirolsky-Scala et al. Fall management in Alzheimer-related dementia: A case study
Moustris et al. The i-walk lightweight assistive rollator: First evaluation study
Bhidayasiri Assistive technologies in Parkinson's disease
Lin et al. Mobility-assistive technology in progressive neuromuscular disease
US20220062708A1 (en) Training system, training method, and program
Ripat et al. Essential EADL for persons with high level tetraplegia: A case series
Syed Designing for Disability: Mak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more Manageable through 3D Printing
Daniel et al. User experience study of an affordable manual standing wheelchair
Saitou et al. Semi-automatic retractable handrail utilising opening/closing movement of sliding door supporting elderly people to walk independently: proposed and satisfied design specifications for elderly people
Kopecek et al. Eye-tracking control of an adjustable electric bed: construction and validation by immobile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Najafi et al. Two case studies describing assessment and provision of eye gaze technology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Jain et al. Occupational therapy for people with progressive neurological disorders: unpacking the black box
Wong et al. Multi-control and function design of ergonomic electric wheelchair for reducing pressure ulcer problem
Elmamoun et al. Walking sticks and frames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