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506B1 -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 Google Patents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06B1
KR102343506B1 KR1020187031017A KR20187031017A KR102343506B1 KR 102343506 B1 KR102343506 B1 KR 102343506B1 KR 1020187031017 A KR1020187031017 A KR 1020187031017A KR 20187031017 A KR20187031017 A KR 20187031017A KR 102343506 B1 KR102343506 B1 KR 10234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
storage
warehouse
telescoping
stored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524A (ko
Inventor
카르스텐 하이데
폴커 브뤽
Original Assignee
아모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모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모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08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42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물품(5)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7)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1)에 관한 것이며, 보관물품은 코일들(coils)로 권취된 스트립들, 특히 금속 스트립들 또는 와이어 코일들로 구성되고, 고층 입체 창고(1)는 이 고층 입체 창고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수직 방향에서는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랙 구획(4)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보관 모듈(3)로 구성되고, 이들 보관 모듈은 랙 구획(4)들 또는 보관 모듈(3)들의 입고 및 출고 측면들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2a, 2b)들을 통해 서로 분리되며, 각각의 통로(2a, 2b)에는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장치(7)가 제공되며, 입출고 장치(7)들은 프레임(8)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의 수직 지주(8a, 8b)들 상에서는 통로(2a, 2b)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입 및 이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13; 13a, 13b)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리프팅 브리지(14)가 안내된다. 보관물품(5)의 최적화된 환적은, 입출고 장치(7)가, 자신의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13; 13a, 13b) 상에, 신축식 홀더의 하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보관물품(5)의 코일 중심 개구(22) 내로 인입될 수 있는 맨드릴(21)을 구비한 C-형 캐리어 수단(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통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본 발명은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high-bay warehouse)에 관한 것이며, 보관물품은 코일들(coils)로 권취된 스트립들, 특히 금속 스트립들 또는 와이어 코일들로 구성되고, 고층 입체 창고는 이 고층 입체 창고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수직 방향에서는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랙 구획(rack bay)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보관 모듈(storage module)로 구성되고, 이들 보관 모듈은 랙 구획들 또는 보관 모듈들의 입고 및 출고 측면들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들을 통해 서로 분리되며, 각각의 통로에는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장치가 제공되며, 입출고 장치들은, 수직 지주들(vertical post); 및 이 수직 지주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크로스바들(head crossbar) 및 베이스바들(base bar);로 구성되고 적어도 다층 보관 모듈들의 높이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이 프레임의 수직 지주들 상에서는 인접한 보관 모듈들의 랙 구획들의 좌측 및 우측 조작을 위해 통로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입(移入) 및 이출(移出)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telescopic holder)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구동 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리프팅 브리지가 안내된다.
하기에서는 통일하여 금속 보관물품으로 지칭되는 압연기 제품들, 특히 금속 코일들 또는 와이어 코일들을 위한 상기 고층 입체 창고들은, 예컨대 압연기열의 생산 시퀀스 내에 통합되어, 다양한 구성들 및 배치들로 공지되어 있다. CH-PS 554 276호를 통해서는, 각각 압연기열의 선단부(start) 및 말단부(end)에, 또는 마무리 작업장(finishing shop)의 선단부 및 말단부에, 또는 길게 뻗어 있는 2개소의 공장 건물 사이의 중계 창고(intermediate store)로서 고층 입체 창고를 제공하는 점은 공지되었다. 압연 공정에 후속하여 생산되는 와이어 코일들; 또는 압연된 금속 스트립, 예컨대 알루미늄을 권취하는 것을 통해 생산되는 예컨대 25t 또는 그 이상 중량의 금속 코일들/코일들;의 이송을 위해, 예컨대 순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팔레트들 및 이 팔레트들을 추가로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들, 코일 대차들, 또는 그와 동일한 이송 장치들이 이용된다. 고층 입체 창고 내에서 공급되는 보관물품의 분배는, 통로들 내에서 이동 가능한 바닥 이동용 스태커(floor-going stacker)를 통해, 경우에 따라서는 고층 입체 창고의 루프 구조들(roof structure) 내에 통합되어 모든 통로에 도달하는 하역 크레인들(loading crane)과 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바닥 이동용 스태커를 통해, 받침대로 지지되는 레일들 상에서 고층 입체 창고의 보관 모듈들에 걸쳐서 이동 가능한 문형 크레인들(portal crane)(DE 297 04 341 U1호)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WO 2015/124342 A1호로부터는, 해항 또는 내항의 환적 설비를 위해, 각각의 통로에 배치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여, 고층 입체 창고의 구조가 협폭인 경우 이용되는 바닥 이동용 스태커들로도 각각의 개별 컨테이너들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된 전자동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full automatic container transport system)이 공지되어 있다.
자체의 치수들과 관련하여 협폭으로 형성되어 자신들의 종측면들(longitudinal side)로는 컨테이너들을 미리 랙 구획들 내로 입고시키거나 그로부터 출고시키는 입출고 장치들은 바닥에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팅 브리지(lifting bridge)의 상승 및 하강은, 케이블; 케이블 드럼들; 편향 롤러들; 모터들; 및 변속기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견인 장치(cable traction device) 또는 호이스트(hoist)를 통해 수행된다. 리프팅 브리지 또는 리프팅 플랫폼 상에는 컨테이너들을 현수 이송(suspension transport)하기 위해 화물 수용 수단들(load receiving means)이 제공되며, 이 화물 수용 수단들은, 특히 공간을 절약하면서, 현수된 컨테이너와 함께 점진적으로 수평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신축식 홀더들로서 형성된다.
신축식 홀더(들)는 리프팅 브리지 상에 고정되는 기본 하우징 또는 상부 프로파일;과 이 내에 중앙 프로파일 및 하부 프로파일로서 배치되는 2개의 신축식 푸시 암(telescopic push arm);으로 구성된다. 중앙 프로파일 또는 외부 신축식 푸지 암은 양측의 외부 가이드 프로파일들로 기본 하우징/상부 프로파일의 가이드 롤러들 상에서 이동하고 하부 프로파일 또는 내부 신축식 푸시 암은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들로 외부 신축식 푸시 암/중앙 프로파일의 내부 가이드 프로파일들 내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고층 입체 창고에서, 최적화된 이송 및 인도 수단들(transport and transfer means)을 통해 감소된 비용으로 코일들 및 와이어 코일들의 신속한 환적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입출고 장치가, 자신의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 상에, 신축식 홀더의 하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보관물품의 코일 중심 개구 내로 인입될 수 있는 맨드릴(mandrel)을 구비한 C-형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코일들 또는 와이어 코일들의 중심 개구에서, 인입 이송되어 통로들 내에 포지셔닝된 보관물품을 인수하기 위해, (최대, 예컨대 2400㎜의 취급 대상 코일 지름에 따라서) 충분한 이격 간격으로 신축식 홀더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맨드릴, 웨브 등이, 코일이 완전하게 입출고 장치의 맨드릴 상에서 현수될 때까지, 오직 코일 중심 개구 내로 인입되기만 하면 되며, 그 다음 입출고 장치는 중간에 연결되는 추가 이송 및 운반 수단 없이 랙 구획들 내로의 입고, 또는 그 반대되는 이동 시퀀스들로 랙 구획들로부터의 출고를 담당 수행한다.
C-형 캐리어 수단은 리프팅 브리지 상에 장착된 신축식 홀더의 하부 프로파일 또는 신축식 푸시 암 상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입출고 장치 내로 후퇴된 위치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랙 구획 내의 단부 위치까지 인입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인출될 수 있다.
C-형 캐리어 수단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가 그 상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 링(rotary ring)을 통해 리프팅 브리지와 연결된다면, C-형 캐리어 수단을 간단하게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통로의 좌측 및 우측 옆에 배치되는 보관 모듈들의 랙 구획들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회전 링 상에는, 보관물품의 수직 중심축과 일치하는 입출고 장치의 수직 중심축과 관련하여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하나의 신축식 홀더가 제공되며, C-형 캐리어 수단은 각각의 신축식 홀더로부터 굴절되어 수직 중심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곳에서 종결되는 앵글 암(angle arm)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두 앵글 암의 교차점에는 맨드릴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리프팅 브리지/회전 링 상에서 중앙에 제공되는 신축식 홀더와 비교하여, 랙 구획들 및 그에 따른 보관 모듈들, 그리고 결과적으로 고층 입체 창고 전체의 구조 높이는 현저하게 감소된다. 왜냐하면, 대칭으로 펼쳐진 C-형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여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신축식 홀더를 통해 획득되는 자유 공간 내에는, 트러프(trough) 유형으로, 코일 지름에 매칭되는, 다시 말하면 최소 코일 지름뿐만 아니라 최대 코일 지름에도 충분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함몰부(depression)를 포함하는 랙 구획 수용부(rack bay receiver)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구조 높이 감소량은 각각 랙 구획 층위마다 500㎜ 이상일 수 있으며, 이는 강재 구조의 현저한 절약을 수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안에 따라서, 입출고 장치는 보관물품의 취급을 위해 자신의 이동 층위(travel level)의 하부에 베이스바 내의 프레임형 통과 개구부(passage opening)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입출고 장치가 적어도 몇몇 통로를 횡단하는 횡방향 이송 장치의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통로들이 긴 측면들(고층 입체 창고의 종측면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는 점을 기반으로, 횡방향 이송 장치, 또는 서로 이격되어 종측면들에 분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횡방향 이송 장치는, 바닥 측에서, 다시 말하면 창고 바닥부 또는 기초부 상에서, 또는 기초부의 피트(pit) 유형의 함몰부 내에서 고층 입체 창고의 전체 깊이/폭에 걸쳐서 연장된다. 횡방향 이송 장치는 예컨대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roller-conveyor roll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 중 적어도 일부만 구동되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 롤러들 상에서는 팔레트들에 내려놓여진 보관물품이 직접적으로 이송 방향으로 이동되어 통로들 내에서 포지셔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컨대 이송 대차들 또는 그와 동일한 이송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
바닥 측 또는 함입(recess)된 횡방향 이송 장치를 통해 고층 입체 창고의 개별 통로들로 공급된 보관물품의 취급을 위해, 최하단 랙 구획들 또는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직상부에서 이동 가능한 입출고 장치의 리프팅 브리지는, 신축식 홀더의 맨드릴이 코일 중심 개구와 동일 평면에 놓이고 그 다음 점진적인 신축을 통해 중심 개구 내로 인입될 수 있을 때까지 하강된다. 그런 후에, 보관물품은 리프팅 브리지의 상승을 통해 맨드릴에 의해 인수되며, 그리고 상기 맨드릴에 현수된 상태로 신축식 홀더의 점진적인 신축을 통해 입출고 장치 내로 인입 이송된다. 그에 후속하여, 보관물품은 통로에서 입출고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인접한 보관 모듈들의 임의의 랙 구획 전방으로 이동되며, 그리고 90° 회전 후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점진적인 신축을 통해 원하는 랙 구획 내로 입고될 수 있으며, 그에 이어 맨드릴은 자신의 출발 위치로 다시 신축되며, 그럼으로써 입출고 장치는 새로운 입고 및/또는 출고 과정을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베이스바 또는 이동 프레임(travel frame)의 프레임형 통과 개구부는, 회전 링 및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를 포함하는 리프팅 브리지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이동 층위의 하부에서 인수되어 그 위에 위치하는 랙 구획 층위들 내로 이동되는 보관물품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횡방향 이송 장치는 순환 시스템으로 향하는 복귀 경로와 조합되며, 그럼으로써 빈 팔레트들 또는 이송 대차들이 하나의 회로 내에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입출고 장치들의 이동 층위 하부에서 보관물품의 취급은, 장치 프레임의 수직 지주들이 약간 이동 층위의 아래에서 종료될 때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통해 수월해지며, 이는, 동시에, 상기 하향 연장된 경로를 통해, 예컨대 연장부들 상에서 지지되는 롤러들을 이용하여, 하강되거나 상승되는 리프팅 브리지의 센터링된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각각의 통로에서 입출고 장치에는, 창고 바닥 상에서, 또는 최하단 랙 구획 층위 상에서 일렬의 연속되는 보관 모듈들에 의해 형성되어 공급되는 보관물품을 일렬로 인수하는 횡방향 이송 장치의 상부의 높이로 상승되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2개의 레일이 할당된다.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상부에 레일들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종래의 고층 입체 창고는, 보관물품을 인입 이송하도록 횡방향 이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개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상세내용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리고 코일들의 2통로형 보관부를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의 예시에 대한 개략적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기 기재내용에서; 분명하게 제시된다.
도 1은 2통로형 고층 입체 창고를 폭 또는 깊이 측에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창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에서 이동 가능한 입출고 장치에 대한 도면과 함께 고층 입체 창고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상부에서부터, 또는 이동 가능한 입출고 장치들의 하부에서부터 고층 입체 창고를 보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입출고 장치의 상세도로서, 자신 상에 고정되는 신축식 홀더 및 이 신축식 홀더 상에 배치되는 C-형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는 리프팅 브리지 또는 호이스트 플랫폼을, 상기 캐리어 수단의 수평 웨브/맨드릴이 코일을 수용한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세도로서, 신축식 홀더 및 C-형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는 리프팅 브리지를 도시한 측면도이되, 이미지의 오른쪽 반쪽에는 후퇴된 단부 위치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미지의 왼쪽 반쪽에는 신축식 푸시 암들이 인출되어 있고 코일은 C-형 캐리어 수단의 맨드릴에 의해 수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신축식 홀더 상에 도 5에 따른 구조 형태로 형성되어 코일의 입고를 위해 포지셔닝된 C-형 캐리어 수단을 랙 구획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도면이되, 이미지의 오른쪽 반쪽에는 코일/보관물품이 중심 개구 안쪽으로 삽입된 맨드릴 상에 현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미지의 왼쪽 반쪽에는 랙 구획 지지대의 트러프 유형의 함몰부 상에 코일이 내려놓여진 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도시된 고층 입체 창고(1)는 폭 방향으로 제1 및 제2 통로(2a, 2b)를 통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3개의 보관 모듈(3)로 구성되며, 이들 보관 모듈은, 고층 입체 창고(1)의 폭/깊이 및 높이에 걸쳐서, 그리고 그 길이에 걸쳐서 통로(2a, 2b)들에 대해 평행하게 보관물품(5), 여기서는 코일들을 위한 다수의 랙 구획(4)을 포함한다(도 2 참조). 코일(5)들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해, 각각의 통로(2a, 2b)에서, 최하단 랙 구획 층위의 상부에, 선택에 따라서는 창고 기초부 상에 제공되는 상승된 레일(6)들 상에서 입출고 장치(7)가 이동될 수 있다(도 1 참조).
입출고 장치(7)들은 수직 지주(8a, 8b)들 및 이 수직 지주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크로스바 및 베이스바(9 및 10)들로 구성되어 다층 보관 모듈(3)들의 높이를 넘어 연장되는 프레임(8)을 포함하며, 이 프레임의 수직 지주(8a, 8b)들 상에서는, 인접한 보관 모듈(3)들의 랙 구획(4)들의 좌측 및 우측 조작을 위해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회전 링(12)을 통해 회전될 수 있으면서 통로(2a, 2b)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입(移入) 및 이출(移出)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13(도 4 참조) 또는 13a, 13b(도 6 참조]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구동 수단(11)들(롤러들을 통해 가동되는 작동 케이블들)을 통해 이동되는 리프팅 브리지(또는 호이스트 플랫폼)(14)가 안내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처럼, 일렬로 연속되는 보관 모듈(3)들의 최하단 랙 구획 층위(I)는, 고층 입체 창고(1)의 종측면 상의 공급부(15)(도 3 참조)에서 출발하여, 기초부(16) 상에 제공되고 이송 롤러(17)들로 구성되어 통로(2a, 2b)들을 횡단하거나 이 통로들 내로 통해 있는 횡방향 이송 장치(1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압연기열(미도시)의 권취기 위치에서 인수된 코일(5)들은 이송 수단에 의해 예컨대 팔레트(19)들을 통해 고층 입체 창고(1)의 종측면 상의 공급부(15)까지 이동되어 횡방향 이송 장치(18) 상으로 내려놓인다. 적재된 팔레트(19)들은 횡방향 이송 장치(18)의 이송 롤러(17)들 상에서 최하단 랙 구획 층위(I)의 랙 구획(4)들을 통과하면서 제1 통로까지, 또는 제2 통로(2b)까지 이동하며, 그리고 이 통로에서 팔레트들은 보관 모듈(3)들의 랙 구획(4)들 내로의 분배를 위해 입출고 장치(7)를 통해 인수된다.
코일(5)들의 인수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리프팅 브리지(14) 상의 중앙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13)로 수행되되, 이 신축식 홀더는 이를 위해 C-형 캐리어 수단(20)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 캐리어 수단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맨드릴(21)은 코일의 중심 개구(22) 안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통해 코일(5)을 포착한다. 신축식 홀더(13)는, 도 5에서 더 상세하게 추론되는 것처럼, 리프팅 브리지(14) 상에 고정되는 하나의 기본 하우징 또는 상부 프로파일(23);과 이 상부 프로파일 내부에 중앙 프로파일(24) 및 하부 프로파일(25)로서 배치되어 롤러들을 통해 연속해서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신축식 푸시 암;으로 구성된다. C-형 캐리어 수단(20)은 자신의 수직 웨브(26)를 통해 하부 프로파일 또는 내부 신축식 푸시 암(25) 상에 고정된다. 신축식 홀더(13)는, 후퇴된 출발 위치(도 4 참조)에서, 특히 공간을 절약하는 운반 및 그에 상응하게 최적으로 협폭인 통로(2a, 2b)들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신축식 푸시 암들의 각각의 설계에 따라서 요구되는 방식으로 큰 입고 및 출고 행정(storage and retrieval stroke), 예컨대 3000㎜의 입고 및 출고 행정 역시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는, 2개의 신축식 홀더(13a, 13b)를 포함하는 입출고 장치(7)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신축식 홀더들은 입출고 장치(7)의 수직 중심축(27) 또는 이와 일치하는 코일(5)의 수직 중심축의 좌측 및 우측 옆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C-형 캐리어 수단(20)은 2개의 앵글 암(28a, 28b)으로 구성되며, 이들 앵글 암 중 각각 하나는 자신의 수직 웨브(26)로 일측 및 타측 신축식 홀더(13a 및 13b)의 하부 프로파일(25) 또는 내부 신축식 푸시 암 상에 각각 고정된다. 두 앵글 암(28a, 28b)의 굴절부들(kiinked portion)은 서로 향해 가면서 수직 중심축(27) 내의 교차점에서 만난다. 상기 교차점에는 수평 맨드릴(21)이 배치된다. 이로써 달성되는 C-형 캐리어 수단(20)의 펼쳐진 상태(spreading)는, 보관 모듈들의 랙 구획(4)들 내에서 코일 받침대(30)의 트러프 유형의 함몰부(29)의 형성을 위해 자유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보관 용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고층 입체 창고(1)의 구조 높이는 평면 코일 받침대를 포함한 랙 구획들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는, 2개의 신축식 홀더(13a, 13b)에 연결된 상기 C-형 캐리어 수단(20)들이 도시되어 있다.
코일(5)들은, 팔레트(19)들 상에 놓여 중심 개구(22)가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횡방향 이송 장치(18)에 의해 통로(2a 또는 2b) 내에까지 이동되어, 중심 개구(22)가 이송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랙 구획(4)들 내로 입고되되, 이는 회전 링(12)을 통해 개시되는 C-형 캐리어 수단(20)의 90° 회전을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도 1의 통로(2a)의 예시에서, 리프팅 브리지(14)는 후퇴된 신축식 홀더(13a, 13b)들 및 C-형 캐리어 수단(20)과 함께, 입출고 장치(7)의 베이스바(10) 내의 통과 개구부(31)를 통과하여 최하단 랙 구획 층위(I) 내로 하강되며, 그리고 C-형 캐리어 수단(20)의 맨드릴(21)은 신축식 푸시 암(24, 25)들을 이출시키는 것을 통해 코일(5)의 중심 개구(22) 안쪽으로 인입된다. 그 다음 신축식 푸시 암(24, 25)들이 다시 자신들의 후퇴된 출발 위치로 복귀 이동되면(도 5 참조), 그 즉시 구동 수단(11)들은 맨드릴(21) 상에 현수된 코일(5)과 함께 리프팅 브리지(14)를 통과 개구부(31)를 통과하여 상향으로 비어 있는 랙 구획(4) 전방에까지,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통로(2a)에서 입출고 장치(7)를 사전에 이동시킨 후에 상승시키며, 그에 이어서 C-형 캐리어 수단(20)은, 도 1에서 실선들로 예시한 것처럼, 90°만큼 회전된다. 그 다음, 점진적인 신축을 통해 코일(5)은 랙 구획(4) 내로 입고될 수 있다. 출고는 그 반대되는 순서로 수행된다.
도 1에는, 후방 통로(2b)의 예시로, 고층 입체 창고(1)의 최하단 층위(I)에서 그곳에 제공되는 횡방향 이송 장치(18)를 포함하는 최하단 랙 구획 층위(I)에 인접하여 위치하는(도 2 역시 참조) 랙 구획(4) 내로 코일(5)을 입고(또는 그 외로 출고)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코일(5)은, 통로(2a)에 대해서도 앞서 기재한 것처럼, 리프팅 브리지(14)가 하강된 경우, C-형 캐리어 수단(20)에 의해 인수되며, 그리고 그 즉시, C-형 캐리어 수단(20)의 실선들로 예시된 것처럼, 상기 최하단 층위에서 90°만큼 회전된다. 이처럼 코일(5)의 회전된 위치에서, 입출고 장치(7)는, 상승된 레일(6)들 상에서, 고층 입체 창고(1)의 최하단 층위의 비어 있는 랙 구획(4) 전방까지 이동한다.
도 3과 함께 도 2에서 추론되는 것처럼, 팔레트(19)들을 위해, 횡방향 이송 장치(18)에 대해 평행하게 복귀 경로(32)가 연장되고, 이 복귀 경로 상에서 빈 팔레트(19)들이 횡방향 이송 장치(18)에서 외부로 이동된 후에 재사용을 위해 다시 공급부(15) 쪽으로 운반될 수 있게 됨으로써, 순환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바(10)를 통과하여 하강될 수 있는 리프팅 브리지(14); 및 회전 가능한 C-형 캐리어 수단(20);을 포함하는 입출고 장치는, 이동 층위의 하부에, 여기서는 고층 입체 창고(1)의 최하단 랙 구획 층위(I)의 라인에 형성된 횡방향 이송 장치(18)와 상호작용하면서, 비용이 감소되고 고층 입체 창고(1)가 조밀하게 구성된 조건에서도, 높은 처리량(throughput)을 허용한다.
1: 고층 입체 창고
2a, 2b: 통로
3: 보관 모듈
4: 랙 구획
5: 보관물품(코일, 와이어 코일)
6: 레일
7: 입출고 장치
8: 프레임
8a, 8b: 수직 지주
9: 헤드 크로스바
10: 베이스바
11: 구동 수단(작동 케이블)
12: 회전 링
13; 13a, 13b: 신축식 홀더
14: 리프팅 브리지/호이스트 플랫폼
15: 공급부
16: 기초부
17: 이송 롤러
18: 횡방향 이송 장치
19: 팔레트
20: C-형 캐리어 수단
21: 맨드릴
22: 중심 개구
23: 기본 하우징/상부 프로파일
24: 중앙 프로파일(신축식 푸시 암)
25: 하부 프로파일(신축식 푸시 암)
26: 수직 웨브
27: 수직 중심축
28a, 28b; 앵글 암
29: 트러프 유형의 함몰부
30: 코일 받침대
31: 통과 개구부
32: 복귀 경로

Claims (6)

  1. 보관물품(5)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7)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1)로서, 보관물품은 코일들로 권취된 스트립들, 금속 스트립들 또는 와이어 코일들로 구성되고, 고층 입체 창고(1)는 이 고층 입체 창고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수직 방향에서는 적층 배치되는 복수의 랙 구획(4)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보관 모듈(3)로 구성되고, 상기 보관 모듈들은 랙 구획(4)들 또는 보관 모듈(3)들의 입고 및 출고 측면들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2a, 2b)들을 통해 서로 분리되며, 각각의 통로(2a, 2b)에는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장치(7)가 제공되며, 입출고 장치(7)들은, 수직 지주(8a, 8b)들; 및 이 수직 지주들을 서로 연결하는 헤드 크로스바 및 베이스바(9; 10)들;로 구성되고 적어도 다층 보관 모듈(3)들의 높이에 상응하는 프레임(8)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 지주들 상에서는 인접한 보관 모듈(3)들의 랙 구획(4)들의 좌측 및 우측 조작을 위해 통로(2a, 2b)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입 및 이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13; 13a, 13b)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구동 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리프팅 브리지(14)가 안내되는 것인, 상기 고층 입체 창고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7)는, 자신의 적어도 하나의 신축식 홀더(13; 13a, 13b) 상에, 상기 신축식 홀더(13; 13a, 13b)의 하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관물품(5)의 코일 중심 개구 내로 인입될 수 있는 맨드릴(21)을 구비한 C-형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입출고 장치(7)는 상기 보관물품(5)의 취급을 위해 자신의 이동 층위의 하부에 베이스바(10) 내의 프레임형 통과 개구부(3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형 캐리어 수단(20)은 상기 리프팅 브리지(14)의 회전 링(12)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12) 상에는, 상기 보관물품(5)의 수직 중심축과 일치하는 상기 입출고 장치(7)의 수직 중심축(27)과 관련하여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하나의 신축식 홀더(13a, 13b)가 제공되며, 상기 C-형 캐리어 수단(20)은 각각의 신축식 홀더(13a, 13b)로부터 굴절되어 상기 수직 중심축(27)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곳에서 종결되는 앵글 암(28a, 28b)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두 앵글 암(28a, 28b)의 교차점에는 상기 맨드릴(2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7)는 적어도 몇몇 통로(2a, 2b)를 횡단하는 횡방향 이송 장치(18)의 상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통로(2a, 2b)에서 상기 입출고 장치(7)에는, 창고 바닥 상에서, 또는 최하단 랙 구획 층위(I) 상에서 일렬의 연속되는 보관 모듈(3)들에 의해 형성되어 공급되는 보관물품(5)을 일렬로 인수하는 횡방향 이송 장치(18)의 상부의 높이로 상승되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2개의 레일(6)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
KR1020187031017A 2016-06-23 2017-05-29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KR102343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1301.1 2016-06-23
DE102016211301 2016-06-23
PCT/EP2017/062831 WO2017220285A1 (de) 2016-06-23 2017-05-29 Hochregallager mit darin zum ein- und auslagern oder umlagern von lagergut vorgesehenen regalbediengerä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524A KR20190008524A (ko) 2019-01-24
KR102343506B1 true KR102343506B1 (ko) 2021-12-27

Family

ID=5899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017A KR102343506B1 (ko) 2016-06-23 2017-05-29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882693B2 (ko)
EP (1) EP3475212B1 (ko)
JP (1) JP2019520284A (ko)
KR (1) KR102343506B1 (ko)
CN (2) CN109071192B (ko)
AU (1) AU2017283014B2 (ko)
BR (1) BR112018072077A2 (ko)
CA (1) CA3020063A1 (ko)
CR (1) CR20180616A (ko)
CU (1) CU20180157A7 (ko)
IL (1) IL263736A (ko)
MX (1) MX2018016252A (ko)
NI (1) NI201800140A (ko)
NZ (1) NZ747317A (ko)
SG (1) SG11201810520QA (ko)
TW (1) TWI656080B (ko)
WO (1) WO2017220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1222A1 (en) 2017-06-14 2018-12-20 Lydle Richard C Shipping container handling systems and methods
EP4098589A4 (en) * 2020-01-29 2023-07-26 JFE Stee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CARGO HANDLING JOB
CN111714212B (zh) * 2020-06-16 2021-06-01 曲阜市人民医院 一种妇科手术器具用具有存放和消毒结构的一体化装置
DE102020207826A1 (de) * 2020-06-24 2022-02-10 FB Industry Automation GmbH Rollenshuttle und Hängerollen Shuttle
DE102021117938A1 (de) * 2021-07-12 2023-01-12 Amova Gmbh Regalbediengerät für ein Hochregallager
KR102561333B1 (ko) * 2022-12-23 2023-07-31 주식회사 원정이엔지 Ro 멤브레인 필터교체장치
CN117864653B (zh) * 2024-03-12 2024-05-31 泰州市中盛机电有限公司 基于铰接式可进行调节的薄膜放置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08A (ja) 1999-03-12 2000-09-19 Sumitomo Heavy Ind Ltd ツインフォーク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1225748A (ja) 2000-02-18 2001-08-21 Sumitomo Heavy Ind Ltd コイル搬送設備
JP2003002405A (ja) 2001-06-18 2003-01-08 Nippon Yusoki Co Ltd 自動倉庫
JP2007062973A (ja) * 2005-09-01 2007-03-15 Sumikin Recotech Co Ltd 立体倉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4276A (de) 1972-09-06 1974-09-30 Wyhlen Ag Eisenbau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und lagern von schweren guetern.
JPS63185708A (ja) * 1987-01-23 1988-08-01 Kawasaki Heavy Ind Ltd スタツカ−クレン
JP2528405B2 (ja) 1991-10-07 1996-08-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空心コイルの内周端の異常検出装置
DE29704341U1 (de) 1997-03-11 1997-05-15 Remmert, Friedrich, 32584 Löhne Regalbediengerät zum Ein- und Auslagern von Einzelstäben und Langgutkassetten in einem Regallager
JPH1159812A (ja) 1997-08-26 1999-03-02 Kawaden Co Ltd 立体格納庫
US7448505B2 (en) * 2005-08-22 2008-11-11 Kastalon, Inc. Support cradle for rolled coils and other cylindrical objects
JP5601514B2 (ja) 2010-09-01 2014-10-08 株式会社ダイフク ロール体収納設備
CN102424226A (zh) 2011-08-16 2012-04-25 云南昆船设计研究院 一种滤棒料盘密集式存储方法及系统
US9902289B2 (en) 2013-02-15 2018-02-27 Murata Machinery, Ltd. Transport facility and automated warehouse
TWI625290B (zh) * 2014-02-19 2018-06-01 德商Sms邏輯系統股份有限公司 將高架倉中的貨櫃入倉、出倉或轉倉的方法與裝置
CN204624472U (zh) 2015-05-18 2015-09-09 北京理工大学 药房管理系统
CN205076760U (zh) 2015-11-10 2016-03-09 国网浙江省电力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堆垛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08A (ja) 1999-03-12 2000-09-19 Sumitomo Heavy Ind Ltd ツインフォーク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1225748A (ja) 2000-02-18 2001-08-21 Sumitomo Heavy Ind Ltd コイル搬送設備
JP2003002405A (ja) 2001-06-18 2003-01-08 Nippon Yusoki Co Ltd 自動倉庫
JP2007062973A (ja) * 2005-09-01 2007-03-15 Sumikin Recotech Co Ltd 立体倉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5212B1 (de) 2020-04-29
TW201808752A (zh) 2018-03-16
NZ747317A (en) 2019-12-20
CN109071192B (zh) 2020-11-10
KR20190008524A (ko) 2019-01-24
IL263736A (en) 2019-01-31
CN109071192A (zh) 2018-12-21
WO2017220285A1 (de) 2017-12-28
SG11201810520QA (en) 2019-01-30
CN207890448U (zh) 2018-09-21
JP2019520284A (ja) 2019-07-18
MX2018016252A (es) 2019-08-05
TWI656080B (zh) 2019-04-11
US20190135539A1 (en) 2019-05-09
EP3475212A1 (de) 2019-05-01
AU2017283014A1 (en) 2018-11-15
NI201800140A (es) 2019-10-29
US10882693B2 (en) 2021-01-05
BR112018072077A2 (pt) 2019-02-12
AU2017283014B2 (en) 2019-12-19
CU20180157A7 (es) 2019-09-04
CA3020063A1 (en) 2017-12-28
CR20180616A (es)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506B1 (ko)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KR102226698B1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보관품목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및 인도 시스템, 그리고 입출고 장치
US11492197B2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 relay modul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KR20210088751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PL169097B1 (pl) rolek papieru z ustawionymi w parach szynami do przechowywania rolek papieru i szyna do ustawiania parami w magazynach, zwlaszcza magazynach regalów pietrowych PL PL PL PL
US3608749A (en) Plural depth storage system with a plurality of article handling means
JP2004525838A (ja) オートメ化された倉庫設備
JPS63242809A (ja) 物品収納庫
JP2557467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出庫順位変更設備
JP4310853B2 (ja) 立体自動倉庫用荷受台および荷物の受け渡し方法
CS213318B2 (en) Storing rack
JP2847506B2 (ja) 物品保管装置
JPH0585609A (ja) パレツト台車式立体自動倉庫
JPS63127909A (ja) 立体倉庫用スタツカ−クレ−ン
JP2001010702A (ja) 自動倉庫
JPH07923U (ja) 物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