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016A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016A
KR20180123016A KR1020187023994A KR20187023994A KR20180123016A KR 20180123016 A KR20180123016 A KR 20180123016A KR 1020187023994 A KR1020187023994 A KR 1020187023994A KR 20187023994 A KR20187023994 A KR 20187023994A KR 20180123016 A KR20180123016 A KR 20180123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display
display device
ligh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464B1 (ko
Inventor
다이스케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3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4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과제]
시야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출사부와, 상기 광출사부의 상층에,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본 개시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에서,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복수의 단색(적색, 녹색 및 청색)의 자발광 소자의 혼색에 의해 백색 또는 중간색을 표현하는 표시 장치에서, 발광 영역의 단(端)부터, 당해 발광 영역의 상층에 마련되는 차광층의 개구부의 단까지의 거리가, 적색의 발광 영역, 녹색의 발광 영역 및 청색의 발광 영역의 각각에 관해 다른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차광층의 개구부의 면적을 궁리함에 의해 당해 차광층의 차광에 의한 휘도 저하의 비율을 각 색에서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색의 시야각 특성의 차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백색 또는 중간색의 시야각에 의한 색도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 문헌 1 : 특개2011-40352호 공보
여기서, 근래, 예를 들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나 디지털 카메라의 전자 뷰 파인더(EVF : Electronic View Finder) 등, 비교적 소면적의 표시면을 갖는 표시 장치(이하, 간단함을 위해, 단지 소형의 표시 장치라고도 한다)가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서는, 당해 표시 장치의 표시면부터의 광선이, 렌즈, 미러 및 회절 격자 등의 광학계를 통하여 유저의 안구에 결상되는데, 당해 전자 기기의 더한층의 경량화, 소형화의 요청 때문에, 당해 광학계도 축소하는 경향에 있다. 광학계가 축소되면, 보다 간이한 구성의 광학계에 의해 유저의 안구에 광선을 적절하게 결상시킬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당해 광학계의 구성을 궁리함에 의해 당해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보충하기가 어렵고,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이, 직접, 유저에 의해 시인되는 표시의 품질에 이어져 버린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는, 그 용도에 따라서는, 보다 더한층의 시야각 특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시야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 개량된 표시 장치, 및 당해 표시 장치가 탑재된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출사부와, 상기 광출사부의 상층에,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출사부와, 상기 광출사부의 상층에,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배치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광출사부(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라면 발광 소자)의 발광면의 중심과 당해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당해 광출사부 및 당해 컬러 필터가 배치된다. 따라서, 당해 광출사부 및 당해 컬러 필터로 이루어지는 화소에 관해, 당해 광출사부의 발광면에 대한 당해 컬러 필터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있어서, 보다 넓은 시야각 특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시야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이 아니고, 상기한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한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난 어느 하나의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이루어져도 좋다.
도 1은 광학계가 축소된 경우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내에서의 소형의 표시 장치로부터 유저의 안구에의 광선의 궤적을 모의적(模擬的)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킴에 의해 이루는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 내에서의 CF의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의 분포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CF의 위치 어긋남량(L) 및/또는 위치 어긋남 방향이 변화하는 천이 영역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CF의 위치 어긋남량(L) 및/또는 위치 어긋남 방향이 변화하는 천이 영역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CF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CF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CF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CF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생기게 하는 다른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리플렉터가 마련되지 않은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발광부로부터의 출사광이 CF의 측면에 입사하는 경우도 고려한 CF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한 예인, 스마트 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다른 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다른 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다른 예인, HMD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알맞은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본 개시에 상도(想到)한 배경
2. 표시 장치의 구성
3. CF의 위치 어긋남량에 관해
4. 변형례
4-1.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발생 방법
4-2. 리플렉터가 마련되지 않은 구성
4-3. 위치 어긋남량(L)의 다른 설정 방법
5. 적용례
6. 보충
(1. 본 개시에 상도한 배경)
본 개시의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는데 앞서서, 본 개시를 보다 명확한 것으로 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본 개시에 상도한 배경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MD나 디지털 카메라의 EVF 등의 용도에서는, 소형의 표시 장치가 전자 기기에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서는, 당해 표시 장치의 표시면부터의 광선이, 렌즈, 미러 및 회절 격자 등의 광학계를 통하여 유저의 안구에 결상된다. 한편, 근래, 유저의 부담 경감을 위해, 전자 기기의 더한층의 경량화, 소형화에 대한 요청이 크다. 전자 기기의 경량화,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해, 탑재되는 광학계에도 보다 더한층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광학계가 축소된 경우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내에서의 소형의 표시 장치로부터 유저의 안구에의 광선의 궤적을 모의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경량화,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광학계(105)를 축소함과 함께, 광학계(105)와 표시 장치(1) 사이의 거리를 보다 좁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광학계(105)를 복잡한 구성에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광학계(105)의 구성을 궁리함에 의해, 표시 장치(1)의 시야각 특성을 보충하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표시 장치(1)의 표시면(101)부터 출사되는 광선 중 보다 넓은 각도의 광선(즉, 보다 광시야각의 광선)은, 거의 표시 장치(1)의 표시면(101)부터 출사된 특성 그대로, 유저의 안구(103)에 유도되게 된다. 이상의 이유 때문에, 소형의 표시 장치(1)가 사용된 전자 기기에서 광학계(105)를 축소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유저에 대해 고품질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 장치(1)에 관해, 보다 넓은 시야각에서도 소망하는 특성을 갖는 광선이 출사될 수 있을 것, 즉, 보다 우수한 광시야각 특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게 된다.
여기서, 백색 발광 소자의 상층에 컬러 필터(CF)를 마련함에 의해 화소를 형성하고, 화소마다 당해 CF에 의한 색 변환을 행함에 의해 컬러 표시를 행하는 방식의 표시 장치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표시 장치에서 광시야각을 실현하려고 하면, 하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인접 화소의 CF에 입사하여 버려, 소망하는 색의 발광이 실현되지 않는, 이른바 혼색의 발생이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해, 지금까지, 혼색을 억제하기 위한 각종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소자와 CF 사이의 거리(대향 Gap)를 화소 사이즈에 비하여 작게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는, 발광 소자의 발광면의 면적을, CF의 면적(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면적)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게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들의 방법에는 이하의 결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표시 장치(즉, 유기 EL 디스플레이(OELD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인 경우에, 협 대향 Gap의 구조를 실현하려고 하면, 전극층, 보호층 및 CF 접착층을 박막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OLED의 발광 특성이나 보호성이 대폭적으로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발광 소자의 발광면의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은, 개구율을 작게 하는 것에 이어지기 때문에, 휘도가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소형의 표시 장치에 관해서는 보다 더한층의 광시야각 특성의 향상이 요망되지만,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제안되어 있는 혼색을 억제하면서 광시야각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다른 특성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표시 장치에서, 혼색의 발생을 억제함과 함께, 휘도의 저하 등이 상술한 바와 같았던 다른 특성의 저하를 야기하는 일 없이, 광시야각 특성을 보다 향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개시에 상도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상도한, 본 개시의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한 예로서, 표시 장치가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단, 본 개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대상이 되는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전자 페이퍼 등, CF를 이용하여 컬러 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라면, 각종의 표시 장치라고 좋다.
(2. 표시 장치의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알맞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1)상에, OLED로 이루어지는 백색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10)와, 당해 발광 소자(10)의 상층에 마련되고, 당해 발광 소자(10)의 각각에 대응하여 각 색의 CF가 형성된 CF층(33)을 구비한다. 또한, CF층(33)의 상층에는, 발광 소자(10)로부터의 광에 대해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제2 기판(34)이 배치된다. 또한, 제1 기판(11)에는, 발광 소자(10)의 각각에 대응하여, 당해 발광 소자(10)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15)가 마련된다. TFT(15)에 의해 임의의 발광 소자(1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구동되는 당해 발광 소자(10)로부터의 광이 대응하는 CF를 통과하여 그 색이 적절히 변환되어, 제2 기판(34)을 통하여 상방부터 출사됨에 의해, 소망하는 화상, 문자 등이 표시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 장치(1)에서의 각 층의 적층 방향을 상방향이라고도 호칭한다. 그때, 제1 기판(11)이 배치된 방향을 하방향으로 하고, 제2 기판(34)이 배치된 방향을 상방향으로 한다. 또한, 상방향에 수직한 면인 것을 수평면이라고도 호칭한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는, 컬러 표시 가능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면 발광형의 표시 장치이다. 단,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 등 다른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 장치라도 좋고, 제1 기판(11)을 통하여 광이 출사되는 하면 발광형의 표시 장치라도 좋다.
또한, 표시 장치(1)는, 표시 기능을 갖는 각종의 전자 기기에 탑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는, 텔레비전 장치, 전자 북, 스마트 폰, 휴대 정보 단말(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형 PC(Personal Computer), 비디오 카메라, 또는 게임 기기 등에 조립되는 모니터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의 EVF, 또는 HMD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복잡한 광학계를 마련하지 않아도 우수한 광시야각(廣視野角)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의 전자 기기 중에서도, 경량화, 소형화가 보다 요구되는, 유저가 휴대하여 사용하는 전자 기기(상술한 예 중에서라면, 스마트 폰, PDA, 디지털 카메라, 또는 HMD 등)에 알맞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기판 및 제2 기판)
도시하는 구성례에서는, 제1 기판(11)은 실리콘 기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기판(34)은 석영유리로 구성된다. 단,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34)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재료가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34)은, 고왜점(高歪点) 유리 기판, 소다 유리(Na2O, CaO 및 SiO2의 혼합물) 기판, 붕규산 유리(Na2O, B2O3 및 SiO2의 혼합물) 기판, 포르스테라이트(Mg2SiO4) 기판, 납유리(Na2O, PbO 및 SiO2의 혼합물) 기판, 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된 각종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된 석영 기판, 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또는 유기 폴리머 기판(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타크릴산메틸 : PMMA),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페놀(PVP),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과 제2 기판(34)을 구성하는 재료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상면 발광형이기 때문에, 제2 기판(34)은, 발광 소자(10)로부터의 광을 알맞게 투과할 수 있는, 투과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소자 및 제2 부재)
발광 소자(10)는, 제1 전극(21)과, 제1 전극(21)의 위에 마련된 유기층(23)과, 유기층(23)상에 형성된 제2 전극(22)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21)의 위에, 당해 제1 전극(2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개구부(25)가 마련된 제2 부재(52)가 적층되어 있고, 유기층(23)은, 당해 개구부(25)의 저부에서 노출한 제1 전극(21)의 위에 마련된다. 즉, 발광 소자(10)는, 제2 부재(52)의 개구부(25)에서, 제1 전극(21), 유기층(23) 및 제2 전극(22)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이 적층 구조가 각 화소의 발광부(24)로서 기능한다. 즉, 발광 소자(10)의, 제2 부재(52)의 개구부(25)에 해당하는 부분이 발광면이 된다. 또한, 제2 부재(52)는, 화소 사이에 마련되어 화소의 면적을 확정하는 화소 정의막(定義膜)으로서 기능한다.
유기층(23)은, 유기 발광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구비하고, 백색광을 발광 가능하게 구성된다. 유기층(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공지의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유기층(23)은, 정공 수송층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과의 적층 구조,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겸한 발광층과의 적층 구조, 또는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과 전자 주입층과의 적층 구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적층 구조 등을 「탠덤 유닛」으로 하는 경우, 유기층(23)은, 제1의 탠덤 유닛, 접속층, 및 제2의 탠덤 유닛이 적층된 2단(段)의 탠덤 구조를 가져도 좋다. 또는, 유기층(23)은, 3개 이상의 탠덤 유닛이 적층된 3단 이상의 탠덤 구조를 가져도 좋다. 유기층(23)이 복수의 탠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발광층의 발광색을 적색, 녹색, 청색과 각 탠덤 유닛으로 바꿈으로써, 전체로서 백색을 발광하는 유기층(23)을 얻을 수 있다.
도시하는 구성례에서는, 유기층(23)은, 유기 재료를 진공 증착함에 의해 형성된다. 단,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유기층(23)은 각종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유기층(23)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진공 증착법 등의 물리적 기상 성장법(PVD법), 스크린 인쇄법이나 잉크젯 인쇄법이라는 인쇄법, 전사용 기판상에 형성된 레이저 흡수층과 유기층의 적층 구조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레이저 흡수층상의 유기층을 분리하여 당해 유기층을 전사하는 레이저 전사법, 또는 각종의 도포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극(21)은, 애노드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상면 발광형이기 때문에, 제1 전극(21)은, 유기층(23)부터의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하는 구성례에서는, 제1 전극(21)은 알루미늄과 네오디뮴과의 합금(Al-Nd합금)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1 전극(21)의 막두께는, 예를 들면 0.1㎛∼1㎛ 정도이다. 단,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21)은, 일반적인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애노드로서 기능하는 광반사측의 전극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1)의 막두께도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21)은, 일반적으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채용되고 있는 막두께의 범위에서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21)은, 백금(Pt), 금(Au), 은(Ag), 크롬(Cr), 텅스텐(W), 니켈(Ni), 구리(Cu), 철(Fe), 코발트(Co), 또는 탄탈(Ta)이라는 일 함수가 높은 금속, 또는 합금(예를 들면, 은을 주성분으로 하여, 0.3질량%∼1질량%의 팔라듐(Pd)과, 0.3질량%∼1질량%의 구리를 포함한 Ag-Pd-Cu 합금, 또는 Al-Nd 합금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21)으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일 함수의 값이 작고, 또한 광반사율이 높은 도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전극(21)상에 적절한 정공 주입층을 마련하는 등으로 정공 주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 전극(21)은, 유전체 다층막이나 알루미늄이라는 광반사성이 높은 반사막상에, 인듐과 주석의 산화물(ITO)이나 인듐과 아연의 산화물(IZO) 등의 정공 주입 특성에 우수한 투명 도전 재료를 적층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제2 전극(22)은, 캐소드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상면 발광형이기 때문에, 제2 전극(22)은, 유기층(23)부터의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하는 구성례에서는, 제2 전극(22)은 마그네슘과 은과의 합금(Mg-Ag 합금)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2 전극(22)의 막두께는, 예를 들면(10)㎚ 정도이다. 단,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2 전극(22)은, 일반적인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캐소드로서 기능하는 광투과측의 전극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22)의 막두께도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2 전극(22)은, 일반적으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채용되고 있는 막두께의 범위에서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22)은, 알루미늄, 은, 마그네슘, 칼슘(Ca), 나트륨(Na), 스트론튬(Sr), 알칼리 금속과 은과의 합금, 알칼리토류 금속과 은과의 합금(예를 들면, 마그네슘과 은과의 합금(Mg-Ag 합금)), 마그네슘과 칼슘과의 합금(Mg-Ca 합금), 알루미늄과 리튬과의 합금(Al-Li 합금)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를 단층(單層)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전극(22)의 막두께는, 예를 들면 4㎚∼50㎚ 정도이다. 또는, 제2 전극(22)은, 유기층(23)측부터, 상술한 재료층과, 예를 들면 ITO나 IZO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예를 들면, 두께 30㎚∼1㎛ 정도)이 적층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적층 구조로 한 경우에는, 상술한 재료층의 두께를 예를 들면 1㎚∼4㎚ 정도로 얇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전극(22)은, 투명 전극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제2 전극(22)에 대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은 합금, 구리, 구리 합금, 금, 금 합금 등의 저저항 재료로 이루어지는 버스 전극(보조 전극)을 마련하여, 제2 전극(22) 전체로서 저저항화를 도모하여도 좋다.
도시하는 구성례에서는,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은, 진공 증착법에 의해 소정의 두께만큼 재료를 성막한 후에, 당해 막을 에칭법에 의해 패터닝함에 의해 형성된다. 단,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은, 각종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빔 증착법, 열 필라멘트 증착법, 진공 증착법을 포함하는 증착법, 스퍼터링법, 화학적 기상 성장법(CVD법), 유기 금속 화학 기상 증착법(MOCVD법), 이온 플레이팅법과 에칭법과의 조합, 각종의 인쇄법(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또는 메탈 마스크 인쇄법 등), 도금법(전기 도금법, 또는 무전해 도금법 등), 리프트 오프법, 레이저 어브레이전법, 또는 졸겔법 등을 들 수 있다.
제2 부재(52)는, SiO2를 CVD법에 의해 소정의 막두께만큼 성막하고, 그 후 당해 SiO2막을 포토 리소그래피 기술 및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패터닝함에 의해 형성된다. 단, 제2 부재(52)의 재료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2 부재(52)의 재료로서는, 절연성을 갖는 각종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5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SiO2, MgF, LiF,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계 폴리머, 또는 실리콘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부재(52)는, 제1 부재(51)의 재료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발광 소자보다도 하층의 구성)
제1 기판(11)에서, 발광 소자(10)를 구성하는 제1 전극(21)은, SiON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층(16)상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층간 절연층(16)은, 제1 기판(11)상에 형성된 발광 소자 구동부를 덮고 있다.
발광 소자 구동부는, 복수의 TFT(15)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나의 발광 소자(10)에 관해, 하나의 TFT(15)가 마련되어 있다. TFT(15)는, 제1 기판(11)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2), 제1 기판(11) 및 게이트 전극(12)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3), 및 게이트 절연막(13)상에 형성된 반도체층(14)으로 구성된다. 반도체층(14) 중, 게이트 전극(12)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영역이 채널 영역(14A)으로서 기능하고, 당해 채널 영역(14A)을 끼우도록 위치하는 영역이 소스/드레인 영역(14B)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TFT(15)는 백 게이트형이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TFT(15)는 보텀 게이트형라도 좋다.
반도체층(14)의 상층에, CVD법에 의해 2층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층(16)(하층 층간 절연층(16A) 및 상층 층간 절연층(16B))이 적층된다. 그때, 하층 층간 절연층(16A)이 적층된 후, 당해 하층 층간 절연층(16A)의 소스/드레인 영역(14B)에 해당하는 부분에, 예를 들면 포토 리소그래피 기술 및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당해 소스/드레인 영역(14B)을 노출시키도록 콘택트 홀(17)이 마련되고, 당해 콘택트 홀(17)을 매입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배선(18)이 형성된다. 배선(18)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과 에칭법을 조합시켜서 형성된다. 그 후, 상층 층간 절연층(16B)이 적층된다.
상층 층간 절연층(16B)의 배선(18)이 마련되는 부분에는, 예를 들면 포토 리소그래피 기술 및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당해 배선(18)을 노출시키도록 콘택트 홀(19)이 마련된다. 그리고, 발광 소자(10)의 제1 전극(21)을 형성할 때에는, 당해 제1 전극(21)이 콘택트 홀(19)을 통하여 배선(18)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10)는, 그 제1 전극(21)이, 배선(18)을 통하여 TET(15)의 소스/드레인 영역(14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TFT(15)의 게이트 전극(12)은, 주사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당해 주사 회로로부터 적절한 타이밍에서 각 TFT(15)에 전류가 인가됨에 의해, 각 TFT(15)가 구동되고, 전체로서 소망하는 화상, 문자 등이 표시되도록 각 발광 소자(10)가 발광한다. 적절한 표시를 얻기 위한 TFT(15)의 구동 방법(즉, 표시 장치(1)의 구동 방법)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층간 절연층(16)을 SiON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층간 절연층(16)은, 일반적인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층간 절연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층간 절연층(16)의 구성 재료로서는, SiO2계 재료(예를 들면, SiO2, BPSG, PSG, BSG, AsSG, PbSG, SiON, SOG(스핀 온 글라스), 저융점 유리, 또는 유리 페이스트 등), SiN계 재료, 절연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수지, 노볼락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벤즈옥사졸 등)를,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층(16)의 형성 방법도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층간 절연층(16)의 형성에는, CVD법, 도포법, 스퍼터링법, 또는 각종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배선(18)을,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법 및 에칭법에 의해 성막 및 패터닝함에 의해 형성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배선(18)은, 일반적인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배선으로서 사용되는 각종의 재료를 각종의 방법에 의해 성막 및 패터닝함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발광 소자보다도 상층의 구성)
발광 소자(10)의 제2 부재(52)에 마련된 개구부(25)는, 그 측벽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개구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한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당해 개구부(25)에 제1 부재(51)가 매입된다. 즉, 제1 부재(51)는,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바로 위에 마련되는,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상방을 향하여 전파하는 층이다. 또한, 제2 부재(52)의 개구부(25)를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함에 의해, 제1 부재(51)는, 그 적층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즉, 도시한 단면 형상)이 개략 사다리꼴을 가지며, 상방에 저면을 향한 절두추체(切頭錐體) 형상을 갖는다.
제1 부재(51)는, Si1 - xNx를 진공 증착법에 의해 개구부(25)를 매입하도록 성막하고, 그 후 당해 Si1 - xNx막의 표면을 화학 기계 연마법(CMP법) 등에 의해 평탄화함에 의해 형성된다. 단, 제1 부재(51)의 재료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부재(51)의 재료로서는, 절연성을 갖는 각종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재(5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Si1 - xNx, ITO, IZO, TiO2, Nb2O5, 브롬 함유 폴리머, 유황 함유 폴리머, 티탄 함유 폴리머, 또는 지르코늄 함유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제1 부재(51)의 형성 방법도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부재(51)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방법이 이용되어도 좋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재(51)의 굴절률(n1)과, 제2 부재(52)의 굴절률(n2)이 n1>n2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제1 부재(51) 및 제2 부재(52)의 재료가 선택된다. 굴절률이 상기한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제1 부재(51) 및 제2 부재(52)의 재료를 선택함에 의해, 제1 부재(51)와 대향하는 제2 부재(52)의 표면에서, 제1 부재(51)를 전파한 광이 적어도 일부 반사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51)와 제2 부재(52)와의 사이에는, 발광 소자(10)의 유기층(23) 및 제2 전극(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부재(52)와 유기층(23)의 계면에 있어서, 제1 부재(51)를 전파한 광이 적어도 일부 반사된다. 즉, 제1 부재(51)와 대향하는 제2 부재(52)의 표면은 광 반사부(리플렉터(53))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재(51)는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바로 위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 부재(51)는 상방에 저면을 향한 절두추체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1 부재(51)와 제2 부재(52)와의 계면, 즉 리플렉터(53)에 의해, 광출사 방향인 상방을 향하여 반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리플렉터(53)를 마련함에 의해, 발광 소자(10)로부터의 출사광의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시 장치(1) 전체로서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한 검토의 결과, 발광 소자(10)로부터의 출사광의 취출 효율을 보다 알맞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1 부재(51) 및 제2 부재(52)의 굴절률은, n1-n2≥0.2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부재(51) 및 제2 부재(52)의 굴절률은, n1-n2≥0.3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소자(10)로부터의 출사광의 취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1 부재(51)의 형상이, 0.5≤R1/R2≤0.8, 또한 0.5≤H/R1≤0.8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1은 제1 부재(51)의 광입사면(즉, 적층 방향에서의 하방을 향하는 부위이고, 발광 소자(10)의 발광면과 대향하는 면)의 직경, R2은 제1 부재(51)의 광출사면(즉, 적층 방향에서의 상방을 향하는 면)의 직경, H는 제1 부재(51)를 절두추체로 간주한 경우의 저면과 상면과의 거리(적층 방향에서의 높이)이다.
평탄화된 제1 부재(51)의 상층에는, 보호막(31) 및 평탄화막(32)이 이 순서로 적층된다. 보호막(31)은, 예를 들면, Si1 - yNy을 진공 증착법에 의해 소정의 막두께(3.0㎛ 정도)만큼 적층함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평탄화막(32)은, 예를 들면, SiO2를 CVD법에 의해 소정의 막두께(2.0㎛ 정도)만큼 적층하고, 그 표면을 CMP법 등에 의해 평탄화함에 의해 형성된다.
단, 보호막(31) 및 평탄화막(32)의 재료 및 막두께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보호막(31) 및 평탄화막(32)은, 일반적인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보호막 및 평탄화막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에 의해, 일반적으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채용되고 있는 막두께를 갖도록 적절히 형성되어도 좋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알맞게, 보호막(31)의 굴절률(n3)이, 제1 부재(51)의 굴절률(n1)과 동등 또는 제1 부재(51)의 굴절률(n1)보다도 작아지도록, 보호막(31)의 재료가 선택된다. 또한, 알맞게, 보호막(31)의 굴절률(n3)과, 평탄화막(32)의 굴절률(n4)과의 차분의 절대치가 0.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가 되도록, 보호막(31) 및 평탄화막(32)의 재료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보호막(31) 및 평탄화막(32)의 재료를 선택함에 의해, 발광 소자(10)로부터의 출사광이, 제1 부재(51)와 보호막(31)과의 계면, 및 보호막(31)과 평탄화막(32)과의 계면에 있어서 반사 또는 산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광 취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의 제1 기판(11)부터 보호막(31)까지의 구성, 특히 리플렉터(53)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 출원인, 특개2013-19153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평탄화막(32)의 상층에는, CF층(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는, 발광 소자(10)가 형성된 제1 기판(11)상에 CF층(33)이 형성되는, 이른바 온 칩 컬러 필터(OCCF) 방식의 표시 장치이다. CF층(33)의 상층에,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의 밀봉 수지막(35)을 통하여 제2 기판(34)이 접합됨에 의해, 표시 장치(1)가 제작된다. 또한, 밀봉 수지막(35)의 재료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밀봉 수지막(35)의 재료는, 발광 소자(10)로부터의 출사광에 대한 투과성이 높은 것, 하층에 위치하는 CF층(33) 및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기판(34)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 및 하층에 위치하는 CF층(33)과의 계면 및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기판(34)과의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성이 낮은 것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어도 좋다.
CF층(33)은, 발광 소자(10)의 각각에 대해 소정의 면적을 갖는 각 색의 CF가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CF층(33)은, 예를 들면 레지스트재를 포토 리소그래피 기술로 소정의 형상으로 노광, 현상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CF층(33)의 막두께는, 예를 들면 2㎛ 정도이다. 단, CF층(33)의 재료, 형성 방법 및 막두께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CF층(33)은, 일반적인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CF층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 및 각종 공지의 방법에 의해, 일반적으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 채용되고 있는 막두께를 갖도록 적절히 형성되어도 좋다.
도시한 예에서는, CF층(33)은, 각각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적색의 CF(33R), 녹색의 CF(33G), 및 청색의 CF(33B)가 연속적으로 수평면 내에 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CF(33R), CF(33G) 및 CF(33B)를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 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지칭하여, 단지 CF(33a)로 기재하기로 한다.
하나의 발광 소자(10)와 하나의 CF(33a)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화소가 형성된다. 또한, 실제로는, 표시 장치(1)에서는, CF(33R)가 마련되는 화소(즉, 적색의 화소), CF(33G)가 마련되는 화소(즉, 녹색의 화소), CF(33B)가 마련되는 화소(즉, 청색의 화소), 및 CF(33a)가 마련되지 않은 화소(즉, 백색의 화소)의 4색의 부화소에 의해, 하나의 화소가 형성될 수 있다. 단,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위해, 편의적으로, 하나의 발광 소자(10)와 하나의 CF(33a)의 조합인 것도, 단지 화소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또한, 표시 장치(1)에서는, 4색의 부화소가 이른바 델타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후술하는 도 6도 참조).
여기서,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서는, 어느 발광 소자, 및 당해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CF는, 수평면 내에서의 당해 발광 소자의 발광면의 중심과 당해 CF의 중심이 개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에서는,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어느 발광 소자(10), 및 당해 발광 소자(10)에 대응하는 CF(33a)가, 수평면 내에서, 당해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중심과, 당해 CF(33a)의 중심과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소정의 거리(L)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중심에 대해, 당해 발광 소자(10)에 대응하는 CF(33a)의 중심이, 지면(紙面) 우방향(右方向)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평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중심과, 당해 발광 소자(10)에 대응하는 CF(33a)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인 것을, 단지,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라고도 호칭한다. 또한, 당해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서의, 수평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중심에 대한 CF(33a)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인 것을, 단지,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이라고도 호칭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에서,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킴에 의해 이루는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의 단면(斷面)을 간략화하여, 제1 기판(11), 발광 소자(10), 제2 부재(52), 및 CF층(33)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비교를 위한 도면이고, 일반적인 표시 장치(6)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6)는,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은(즉, 수평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의 발광면의 중심과, 당해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CF의 중심이 개략 일치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어느 발광 소자(10)로부터 어느 각도로 출사된 광의 진행 방향을, 모의적(模擬的)으로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지금, 주목하고 있는 발광 소자(10)가 속하는 화소로부터의 광으로서, 청색의 광을 얻고 싶다고 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발광 소자(10)에 대한 CF(33a)의 상대적인 위치가 수평면 내에서 위치 어긋남량(L)만큼 어긋나 있음에 의해, 당해 발광 소자(10)로부터 당해 각도로 출사된 광이, CF(33B)를 통과하여 표시 장치(1)로부터 출사된다. 따라서, 소망하는 청색의 광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성에서는, 당해 발광 소자(10)로부터 당해 각도로 출사된 광은, 본래 통과하고 싶은 청색의 CF(33B)가 아니라, 인접하는 화소의 녹색의 CF(33G)를 통과하여 버린다. 따라서, 혼색이 발생하여 버려, 소망하는 청색의 광을 얻을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 의하면, 당해 발광 소자(10)로 이루어지는 청색의 화소는, CF(33B)의 위치 어긋남 방향인 지면 우방향에서, 보다 넓은 시야각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화소에 관해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킴에 의해, 그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서의 당해 화소의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표시 장치(1)의 표시면 내의 위치에 응하여, 각 화소에서 요구되는 시야각 특성은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10)의 위치(즉, 화소의 위치)에 응하여, 당해 화소에서 소망하는 시야각을 얻을 수 있도록, 각 화소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을 설정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면 내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이 분포(分布)를 갖는다.
도 5는, 표시 장치(1)의 표시면 내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의 분포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에 탑재된 때에, 표시 장치(1)가, 그 표시면(101)이 비교적 좁은 거리를 두고 광학계(105)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표시면(101) 내에서, 개략 중앙 부근의 영역(107)에 배치된 화소로부터의 출사광에 관해서는,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에 개략 수직한 방향으로의 출사광이 광학계(105)에 입사하면 좋기 때문에, 당해 영역(107)에 배치된 화소로부터의 출사광에는, 그다지 넓은 시야각 특성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영역(107)에 배치된 화소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6)과 마찬가지로,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즉, 위치 어긋남량(L)=0으로서), 당해 발광 소자(10) 및 당해 CF(33a)를 배치한다.
한편, 표시 장치(1)의 표시면(101) 내에서, 외주 부근의 영역(109)에 배치된 화소로부터의 출사광에 관해서는, 당해 표시면(101)의 외연(外緣)을 향하여 출사된 광이 광학계(105)에 입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영역(109)에 배치된 화소로부터의 출사광에는, 표시면(101)의 외연 방향(도시한 예이라면 지면 우방향)에 관해 보다 넓은 시야각 특성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영역(109)에 배치된 화소에 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같이, 소정의 위치 어긋남량(L)(L>0)만큼,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도록, 발광 소자(10) 및 CF(33a)를 배치한다. 또한, 이때,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이, 표시면(101)의 중심으로부터 당해 화소가 위치하는 방향이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영역(109)에 배치된 화소에 관해서는, 표시면(101)의 외연 방향에 관해 보다 넓은 시야각 특성이 실현되게 된다.
도 5에서는, 표시면(101) 내의 개략 중앙 부근의 영역(107) 및 외주 부근의 영역(109)에서의 화소의 구성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면(101) 내의 위치에 응하여 단계적으로, 즉, 표시면(101)의 중심부터 외연을 향할수록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이 커지도록, 각 화소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표시면(101) 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표시면(101) 내의 위치에 응하여, 당해 영역마다 위치 어긋남량(L)을 설정한다. 또한,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도, 당해 영역마다 설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이적으로,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은, 표시면(101)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어느 일방만으로 하고 있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표시면(101)면 내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의 분포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가 복잡화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 장치(1) 및 광학계(105)의 배치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면(101)의 중심으로부터 외연을 향할수록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이 커지도록 각 화소를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영역의 분할의 방법이나, 각 영역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즉, 표시면(101) 내의 위치에 응한 각 화소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의 분포)는, 전자 기기 내에서의 표시 장치(1) 및 광학계(105)의 위치 관계에 응하여, 표시면(101) 내의 각 화소에 관해 소망하는 시야각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관해서는, 수평면 내에서 시야각을 얻고 싶은 방향(즉, 발광면에 수직한 방향부터 소망하는 시야각의 방향으로의 기우는 방향)으로 설정하면 좋다.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의 구체적인 설정 방법에 관해서는, 하기 (3. CF의 위치 어긋남량에 관해)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영역마다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또는 위치 어긋남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당해 영역 사이에,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또는 위치 어긋남 방향이 변화하는 천이 영역을 마련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천이 영역은, CF(33a)의 면적이, 통상의 화소에 마련되는 다른 CF(33a)의 면적과 다른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은,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또는 위치 어긋남 방향이 변화하는 천이 영역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표시 장치(1) 중,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이 다른 2개의 영역의 경계 부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상면도이고, CF(33a)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측단면도(側斷面圖)이고, 도 6에 도시하는 A-A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서 해칭을 붙이지 않은 영역은, CF(33a)가 마련되지 않은 백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또한, 도 7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제1 기판(11), 발광 소자(10), 제2 부재(52), 및 CF층(33)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한 예로서,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0인 영역(203)과, 당해 영역(203)에 인접하는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이 제로가 아닌 소정의 값인 영역(205)과, 이들의 영역(203) 및 영역(205)의 사이에 마련된 천이 영역(201)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이 영역(201)은, CF(33a)의 면적이, 다른 영역에서의 통상의 CF(33a)의 면적보다도 넓은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천이 영역(201)에 위치하는 CF(33a)는, 위치 어긋남 방향을 향하여 그 면적이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영역(205)에서는, 수평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중심보다도, CF(33a)의 중심이, 천이 영역(201)에 위치하는 CF(33a)의 면적을 확대시킨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량(L)>0만큼 어긋나 배치되게 된다. 도시하지 않는 다른 영역 사이에서도, 같은 천이 영역(201)을 마련함에 의해, 영역마다 위치 어긋남량(L) 및/또는 위치 어긋남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표시면(101) 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표시면(101) 내의 위치에 응하여, 당해 영역마다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이 설정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역마다 화소마다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이 설정되고, 당해 화소의 표시면(101) 내의 위치에 응하여, 당해 화소마다 연속적으로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을 변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도, 각 화소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은, 전자 기기 내에서의 표시 장치(1) 및 광학계(105)의 위치 관계에 응하여, 표시면(101) 내의 각 화소에 관해 소망하는 시야각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1)가, 그 표시면(101) 내의 화소의 위치 및 당해 화소에 요구되는 시야각에 응하여, 당해 화소마다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긴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혼색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보다 시야각 특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의해 시야각 특성의 향상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1. 본 개시에 상도한 배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시야각 특성 향상을 위해 지금까지 제안되어 온 구성(예를 들면, 대향 Gap의 협화(挾化)나, 발광면의 면적의 축소)을 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발광 소자(10)(OLED)의 발광 특성이나 보호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또한,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 없이,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은, CF층(33)을 형성할 때에 각 CF(33a)의 구성을 변경할 뿐으로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는, 제조 공정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제작 가능하다. 따라서,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소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색 어긋남이나 혼색이 생긴 경우에는, 구동 회로에 의해 색 보정 처리가 행하여지는 일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색 어긋남이나 혼색의 발생을 알맞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색 보정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구동 회로를 보다 간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구동 회로의 회로 규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을, 표시면(101)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어느 일방만으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은, 수평면 내에서 2차원적인 임의의 방향이라도 좋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화소마다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을 보다 상세히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화소마다의 시야각의 조정을 보다 엄밀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1)상에 CF층(33)이 형성된 OCCF 방식의 표시 장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는, 제2 기판(34)상에 CF층(33)이 형성되고, 당해 CF층(33)이 발광 소자(10)와 대향하도록, 제1 기판(11)과 제2 기판(34)이 접합되고 제작되는, 이른바 대향 CF 방식의 표시 장치라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는, 적색의 화소, 녹색의 화소, 청색의 화소, 및 백색의 화소의 4색의 부화소에 의해 하나의 화소가 형성되는 구성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화소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라도,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킴에 의해, 마찬가지로,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에서의 화소의 배열 방법도, 상술한 델타 배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 배열, 다이아고날 배열, 또는 렉탱글 배열 등, 다른 화소 배열이라도,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3. CF의 위치 어긋남량에 관해)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화소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을, 당해 화소에 요구되는 시야각에 응하여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8-도 11을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화소에 주목하여, 당해 화소에 요구되는 시야각이 θ0인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화소에서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8-도 11은,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도 11에서는, 모두, 하나의 발광 소자(10)의 발광부(24), 당해 발광 소자(10)에 대응하여 마련된 하나의 CF(33a)(도시한 예에서는 CF(33R)), 및 표시 장치(1)의 표시면(101)을 모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목하고 있는 화소의 시야각이 θ0인 경우란,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및 그 밖의 매질층(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부재(51)나 보호막(31), 평탄화막(32) 등)를 통과하여, 표시면(101)으로부터 출사된 때에, 당해 표시면(101)에 수직한 방향부터 각도(θ0)의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지금, 간단함을 위해, CF(33R) 이외의 매질층이 균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고 하고, 그 굴절률을 n1, CF(33R)의 굴절률을 n2, 표시면(101)보다도 외측의 공기층의 굴절률을 n0라고 하면, 표시면(101)부터의 출사광이 각도(θ0)를 갖는 때의, 발광부(24)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출사각(발광부(24)의 발광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출사광의 각도)(θ1)는, 굴절의 법칙으로부터, 하기 수식(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ct00001
환언하면, 발광부(24)으로부터 출사각(θ1)으로 출사된 광이, CF(33R)및 그 밖의 매질층을 통과하고 진행되면, 시야각(θ0)의 광이 표시면(101)으로부터 출사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면(101)에서 시야각(θ0)의 광을 얻기 위한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은, 발광부(24)로부터 출사각(θ1)으로 출사된 광이, CF(33R) 및 그 밖의 매질층을 통과하는 값으로서 설정되면 좋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부재(51)나 보호막(31) 등의 매질층은 발광부(24)의 바로 위에 존재하고 있고, 구조상,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은 이들의 매질층을 반드시 통과하기 때문에,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당해 매질층을 통과하기 위한 조건에 관해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결국, 표시면(101)에서의 시야각(θ0)의 광을 얻기 위한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은,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각(θ1)의 출사광이 CF(33R)를 통과하는 값으로서 설정되면 좋은 것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각(θ1)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에 입사하는 값으로서,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간단함을 위해,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의 1점부터 광이 출사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의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의 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의 값이 가장 커지는 것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에 가까운 측의 단(端)에 입사하는 경우이다. 도 8에는, 이와 같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에 가까운 측의 단(도시한 예에서는 좌단)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부(24) 및 CF(33R)의 위치 관계, 및 광선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발광부(24) 및 CF(33R)가 도 8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에 있을 때, 기하학적인 고찰으로부터,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은, 하기 수식(2)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pct00002
여기서, CF(33R)의 폭을 w2, 발광부(24) 표면부터 CF(33R) 하면까지의 적층 방향에서의 거리를 g1, 발광부(24)에서의 발광 위치부터 출사광이 CF(33R)에 입사한 위치까지의 수평면 내에서의 거리를 d로 하고 있다.
한편,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의 1점부터 광이 출사되고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의 값이 가장 작아지는 것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로부터 먼 측의 단에 입사하는 경우이다. 도 9에는, 이와 같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로부터 먼 측의 단(도시한 예에서는 우단(右端))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부(24) 및 CF(33R)의 위치 관계, 및 광선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발광부(24) 및 CF(33R)가 도 9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에 있을 때, 기하학적인 고찰로부터,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은, 하기 수식(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식 3]
Figure pct00003
이상의 고찰로부터,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의 1점부터 광이 출사되고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는,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이 하기 수식(4)을 충족시키도록 당해 위치 어긋남량(L)을 설정하면, 표시면(101)부터의 출사광에 관해 시야각(θ0)을 실현할 수 있다.
[수식 4]
Figure pct00004
단, 실제로는, 발광부(24)로부터는, 그 발광면의 중심 이외로부터도 광이 출사될 수 있다. 그래서, 다음에, 발광부(24)의 발광면 내에서의 발광 위치도 또한 고려하여,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의 범위를 더욱 상세히 설정한다. 발광부(24)의 발광면 내에서의 발광 위치를 고려한 경우에,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의 값이 가장 커지는 것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CF(33R)에 가장 가까운 발광 위치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에 입사하는 경우이다. 도 10에는, 이와 같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CF(33R)에 가장 가까운 발광 위치(도시한 예에서는 우단)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부(24) 및 CF(33R)의 위치 관계, 및 광선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한 예로서, 도 8에 도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에 가까운 측의 단(도시한 예에서는 좌단)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부(24) 및 CF(33R)의 위치 관계, 및 광선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발광부(24) 및 CF(33R)가 도 10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에 있을 때, 기하학적인 고찰으로부터,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은, 하기 수식(5)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4)의 폭을 w1로 하고 있다.
[수식 5]
Figure pct00005
한편, 발광부(24)의 발광면 내에서의 발광 위치를 고려한 경우에,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의 값이 가장 작아지는 것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CF(33R)로부터 가장 먼 발광 위치에서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에 입사하는 경우이다. 도 11에는, 이와 같은, 발광부(24)의 발광면의 CF(33R)로부터 가장 먼 발광 위치(도시한 예에서는 좌단)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부(24) 및 CF(33R)의 위치 관계, 및 광선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한 예로서, 도 8에 도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에 가까운 측의 단(도시한 예에서는 좌단)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부(24) 및 CF(33R)의 위치 관계, 및 광선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발광부(24) 및 CF(33R)가 도 11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에 있을 때, 기하학적인 고찰으로부터,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은, 하기 수식(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식 6]
Figure pct00006
상기 도 10 및 도 11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에 가까운 측의 단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을 계산하고 있지만, 도 9에 도시한,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의 당해 발광부(24)로부터 먼 측의 단에 입사하는 경우에서도,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표시면(101)로부터의 출사광에 관해 시야각(θ0)을 실현하기 위해,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이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하기 수식(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환언하면,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을, 하기 수식(7)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하면, 표시면(101)부터의 출사광에 관해 시야각(θ0)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식 7]
Figure pct00007
이상,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간단함을 위해, 매질층을 균일의 재질으로서 취급하고, 그 굴절률을 n2으로 하여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이 취할 수 있는 범위를 계산하고 있지만, 보다 엄밀하게 당해 위치 어긋남량(L)의 범위를 구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실제의 표시 장치(1)의 구조를 상정하고, 각 층의 굴절률을 고려한 다음 같은 계산을 행하면 좋다.
(4. 변형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몇가지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4-1.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발생 방법)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위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CF층(33)에 CF(33a)의 면적이 다른 통상의 CF(33a)의 면적과는 다른 천이 영역(201)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발생 방법은 상기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도 12를 참조하여,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다른 방법에 의해 생기게 하는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생기게 하는 다른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도 3 및 도 7과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1a)의 적층 방향에서의 단면 구조를 간략화하고, 제1 기판(11), 발광 소자(10), 제2 부재(52), 및 CF층(33)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1a)는,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발생 방법이 다른 것 이외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의 본 변형례에 관한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상위한 사항에 관해 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사항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례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1a)의 표시면 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표시면 내의 위치에 응하여, 당해 영역마다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도 7과 마찬가지로, 한 예로서,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0인 영역(203)과, 당해 영역(203)에 인접하는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이 제로가 아닌 소정의 값인 영역(205)과, 이들의 영역(203) 및 영역(205)의 사이에 마련된 천이 영역(207)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천이 영역(207)을, 발광 소자(10)가 배열된 피치(즉, 화소 간격)가 다른 영역의 통상의 피치보다도 좁은 영역으로서 형성한다. 또한, 천이 영역(207)에서는, 위치 어긋남 방향을 향하여 발광 소자(10)의 배열 피치가 축소되도록, 당해 화소 간격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영역(205)에서는, 수평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10)의 배열 피치를 축소시킨 방향으로,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보다도, CF(33a)의 중심이, 위치 어긋남량(L)>0만큼 어긋나게 배치되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영역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의 천이 영역(207)을 마련함에 의해, 영역마다 위치 어긋남량(L) 및/또는 위치 어긋남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도,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영역마다 화소마다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이 설정되고, 당해 화소의 표시면 내의 위치에 응하여, 당해 화소마다 연속적으로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이 변화하여도 좋다. 또한, CF(33a)의 위치 어긋남 방향은, 표시면(101)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어느 일방뿐이라도 좋고, 수평면 내의 2차원적인 임의의 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생기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CF층(33) 내에, CF(33a)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의 표시면 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표시면 내의 위치에 응하여, 당해 영역마다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을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영역 사이의 천이 영역을, CF(33a)가 마련되지 않은 소정의 거리의 영역으로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천이 영역으로서 당해 CF(33a)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을 발광 소자(10)의 배열 피치의 1/3만큼 마련하면, 당해 천이 영역의 전후에서, 수평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10)의 발광면의 중심과 CF(33a)의 중심이, 당해 발광 소자(10)의 배열 피치의 1/3만큼, 당해 CF(33a)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한 방향으로 어긋나게 된다. 즉, 천이 영역의 전후에서 위치 어긋남량(L) 및 위치 어긋남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4-2.리플렉터가 마련되지 않은 구성)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휘도 향상을 위해, 화소 사이에 리플렉터(53)를 마련하고 있다(도 2를 참조). 그렇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시야각 특성 향상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리플렉터(53)는 반드시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도 13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리플렉터(53)가 마련되지 않은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리플렉터(53)가 마련되지 않은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1b)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도 3 및 도 7과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1b)의 적층 방향에서의 단면 구조를 간략화하여, 제1 기판(11), 발광 소자(10), 제2 부재(52a), 및 CF층(33)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1b)는, 리플렉터(53)가 마련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의 본 변형례에 관한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상위한 사항에 관해 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하여,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사항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1b)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의 제2 부재(52) 대신에, 화소 사이에 마련되고, 화소를 규정한 화소 정의막으로서 기능하는 제2 부재(52a)가 마련된다. 제2 부재(52a)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의 제2 부재(52)보다도 막두께가 얇은 층으로서 형성된다. 그때문에, 발광 소자(10)의 발광부의 바로 위의 영역인 제2 부재(52a)의 개구부에 관해, 그 측벽의 면적이 충분 확보되지 않고(즉, 제2 부재(52a)의 개구부에 매입된 제1 부재에 관해, 높이, 및 광의 입사면 및 출사면의 면적에, 상술하는 것 같았던 관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고), 제2 부재(52a)의 표면은 리플렉터로서 기능할 수가 없다. 즉, 표시 장치(1b)는, 리플렉터가 마련되지 않은 표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리플렉터가 마련되지 않은 표시 장치(1b)에서도,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킴에 의해, 그 상대적으로 CF(33a)가 어긋난 방향에서, 당해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화소에 관해 광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3. 위치 어긋남량(L)의 다른 설정 방법)
상기 (3. CF의 위치 어긋남량에 관해)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하면에 입사하는 조건을 규정함에 의해,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을 설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의 특성, 및 CF(33a)의 특성 등에 의해서는,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에 입사하는 경우라도, 색 변환이 적절하게 행하여져서, 소망하는 특성의 광을 표시면(101)로부터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에 입사하는 경우도 고려하여,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을 설정하여도 좋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에 입사하는 경우도 고려하여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을 설정하는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에 입사하는 경우도 고려한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의 설정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도 8-도 11과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 마련되는 하나의 발광 소자(10)의 발광부(24), 당해 발광 소자(10)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하나의 CF(33a)(도시한 예에서는 CF(33R)), 및 당해 표시 장치의 표시면(101)을 모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매질층을 굴절률(n2)의 균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취급하고 있다.
여기서는, 간단함을 위해,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의 1점부터 광이 출사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CF(33R)의 어긋남량(L)의 값이 가장 커지는 것은,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의 단 부근에 입사하는 경우이다. 여기서는, 간단함을 위해,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의 상단에 입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4에는, 이와 같은,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R)의 측면의 상단에 입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부(24) 및 CF(33R)의 위치 관계, 및 광선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발광부(24) 및 CF(33R)가 도 14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에 있을 때, 기하학적인 고찰으로부터,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은, 하기 수식(8)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식 8]
Figure pct00008
여기서, CF(33R)의 두께를 h2, 발광부(24)에서의 발광 위치에서 출사광이 CF(33R)에 입사한 위치까지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 거리(d) 중, 발광부(24) 표면부터 CF(33R) 하면까지의 적층 방향에서의 거리(g1)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를 d1, 당해 거리(d) 중 CF(33R)의 두께(h2)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를 wp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에 입사하는 경우까지 고려함에 의해, CF(33R)의 어긋남량(L)이 취할 수 있는 범위의 상한치는 보다 커진다. 도 14에서는, 발광부(24)의 발광면의 중심의 1점부터 광이 출사되고 있다고 가정하고 있지만, 상기 (3. CF의 위치 어긋남량에 관해)에서의 검토와 마찬가지로, 당해 발광면 내의 다른 부위에서 발광하는 경우도 고려하면, 최종적으로, CF(33R)의 어긋남량(L)이 취할 수 있는 범위는, 하기 수식(9)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변형례에서는, CF(33R)의 위치 어긋남량(L)을, 하기 수식(9)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하면, 표시면(101)부터의 출사광에 관해 시야각(θ0)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제로는,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의 「상단 부근」에 입사하지 않으면, 당해 출사광이 CF(33a)를 통과하지 않고, 색 변환이 적절하게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하기 수식(9)에서는, 발광부(24)로부터의 출사광이 CF(33a)의 측면의 「상단」에 입사하는 경우, 즉 L이 상한치와 동등하게 되는 경우는 제외하고 있다.
[수식 9]
Figure pct00009
또한, CF(33a)의 위치 어긋남량(L)의 다른 설정 방법으로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해석적으로 당해 위치 어긋남량(L)을 설정하는 것은 아니라, 광학 시뮬레이션, 및 그 결과에 의거하여 제작된 샘플을 이용한 실험을 반복해서 행함에 의해, 시행착오적으로 최적의 CF(33a)의 위치 어긋남량 및 위치 어긋남 방향, 및 그 표시면 내에서의 분포를 구하여도 좋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몇가지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하였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가 있을 수 있는 각 구성,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있을 수 있는 각 구성은, 가능한 범위에서 서로 조합시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광 소자(10)와 CF(3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술한 각 방법이 적절히 조합되어도 좋다.
(5. 적용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적용례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몇가지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한 예인, 스마트 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폰(301)은, 버튼으로 구성되고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303)와,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05)를 갖는다. 당해 표시부(305)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다른 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디지털 카메라(311)를 전방(피사체측)에서 바라본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도 17은, 디지털 카메라(311)를 후방에서 바라본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311)는, 본체부(카메라 바디)(313)와, 교환식의 렌즈 유닛(315)과, 촬영시에 유저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317)와,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319)와, 촬영시에 유저에 의해 관찰되는 스루화(畵)를 표시하는 EVF(321)를 갖는다. 당해 모니터(319) 및 EVF(321)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다른 예인, HMD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MD(331)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안경형의 표시부(333)와, 장착시에 유저의 귀에 괘지된 귀걸이부(335)를 갖는다. 당해 표시부(333)가,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몇가지의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또한,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상기에서 예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당해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 전자 북, PDA, 노트형 PC, 비디오 카메라, HMD, 또는 게임 기기 등,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 또는 내부에서 생성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를 행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례]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에 의한 시야각 특성 향상의 효과에 관해 확인하기 위해,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당해 실험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의 구성과 같은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의 샘플을 작성하고, 실제로 당해 표시 장치를 구동시켜서, 그 표시면부터 출사된 광의 시야각에 응한 색도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발광 화소로서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4색의 부화소를 통합하여 1화소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즉, CF로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을 이용하였다). 4색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화소 사이의 간격은 6.8㎛로 하였다. 또한, CF의 막두께는 2㎛로 하였다.
단, 제작한 표시 장치에서는, 그 표시면 내의 일부에만,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구성과 같은 구성에 의해,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위치 어긋남량(L)만큼 생기게 한 영역을 형성하고, 다른 영역에서는, 일반적인 구성과 마찬가지로,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수평면 내에서의 발광 소자의 발광면의 중심과 CF의 중심을 거의 일치시켰다(즉, 위치 어긋남량(L)=0으로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표시면에서의 소망하는 시야각을 30°로 설정하고, 상기한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킨 영역에서는, 그 CF의 위치 어긋남 방향을, 이 시야각을 얻고 싶은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였다. 또한, 당해 영역에서의 위치 어긋남량(L)은, 제작한 표시 장치의 각 층의 굴절률이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상기 (3. CF의 위치 어긋남량에 관해)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식(7)을 충족시키는 값으로서, L=0.6㎛로 하였다.
이 표시 장치를 실제로 구동시키고, 그 표시면부터의 출사광에 관해, 분광광도계(코니카미노르타사제의 CS-2000)에 의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색의 u'v' 색도점을 측정하였다. u'v' 색도점은,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킨 영역(위치 어긋남 발생 영역)부터의 출사광에 관해 시야각 30°에 상당하는 위치, 발광 소자와 CF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은 영역(위치 어긋남 비발생 영역)부터의 출사광에 관해 시야각 30°에 상당하는 위치, 및 위치 어긋남 비발생 영역에서의 출사광에 관해 시야각 0°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각각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pct00010
상기 표 1에어서, 위치 어긋남 발생 영역에서의 시야각 30°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u'v' 색도점의 측정치에 주목하면, 위치 어긋남 비발생 영역에서의 시야각 0°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u'v' 색도점과 거의 동등한 값이 얻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당해 결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을 적용함에 의해, 소망하는 시야각에서, 정면에서 표시면을 본 경우와 동등한 u'v' 색도점의 값을 얻을 수 있고, 시야각 특성의 향상이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위치 어긋남 비발생 영역에서의 시야각 30°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u'v' 색도점의 측정치와, 위치 어긋남 비발생 영역에서의 시야각 0°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u'v' 색도점을 비교하면, 특히 청색의 v' 색도점의 값이, 0.12로 크게 다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u'v' 색도점이 0.05 이상 변화하면, 인간은 색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고 말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이 결과는, 위치 어긋남 비발생 영역에서의 출사광에 관해서는, 시야각 0°의 경우와 30°의 경우에서, 유저에게 있어서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색이 변화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를 이용함에 의해,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보충)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례 또는 수정례에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한 예로서, 표시 장치가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대상이 된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전자 페이퍼 등, CF를 이용하여 컬러 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라면, 각종의 표시 장치라도 좋다. 이들의 다른 표시 장치에서도,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당해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CF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당해 광출사부 및 당해 CF를 배치함에 의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광출사부란, 표시 장치의 각 화소에서, 외부를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부위인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와 같은 유기 EL 디스플레이라면, 당해 광출사부는 발광 소자에 대응한다. 또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라면, 당해 광출사부는, 액정 패널 중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또한,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라면, 당해 광출사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중 하나의 방전 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한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한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다른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출사부와,
상기 광출사부의 상층에,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2)
복수의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이 상기 표시면 내에서 분포를 가짐에 의해,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표시면 내에 복수의 영역이 설정되고, 이웃하는 상기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이, 다른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과 다름에 의해, 영역마다 상위한 위치 어긋남량으로,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복수의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이 상기 표시면 내에서 서서히 변화함에 의해,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기판상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가 배열되는 피치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피치와 다름에 의해,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상기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위치 어긋남량은, 상기 표시면의 외연을 향함에 따라 커지는, 상기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서의 위치 어긋남량, 및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의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에 대한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의 위치 어긋남 방향은,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에 의해 구성된 화소에 요구되는 시야각에 따라 설정되는, 상기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의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에 대한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의 위치 어긋남 방향은, 상기 표시면의 중심부터, 상기 표시면 내에서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존재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상기 (1)∼(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광출사부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 방향의 단면적이 서서히 커지는 개략 절두추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출사부에서의 출사광을 전파하는 제1 부재와,
이웃하는 상기 광출사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된 제2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굴절률은, 상기 제2 부재의 굴절률보다도 큰, 상기 (1)∼(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광출사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이고,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상기 (1)∼(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출사부와,
상기 광출사부의 상층에,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배치되는, 전자 기기.
1, 1a, 1b : 표시 장치
10 : 발광 소자
11 : 제1 기판
15 : TFT
21 : 제1 전극
22 : 제2 전극
23 : 유기층
24 : 발광부
25 : 개구부
31 : 보호막
32 : 평탄화막
33 : CF층
33R, 33G, 33B : CF
34 : 제2 기판
35 : 밀봉 수지막
51 : 제1 부재
52 : 제2 부재
53 : 리플렉터
101 : 표시면
301 : 스마트 폰(전자 기기)
311 : 디지털 카메라(전자 기기)
331 : HMD(전자 기기)

Claims (11)

  1.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출사부와,
    상기 광출사부의 상층에,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이 상기 표시면 내로 분포를 가짐에 의해,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 내에 복수의 영역이 설정되고, 이웃하는 상기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이, 다른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과 다름에 의해, 영역마다 상위한 위치 어긋남량으로,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컬러 필터의 면적이 상기 표시면 내에서 서서히 변화함에 의해,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가 배열되는 피치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피치와 다름에 의해,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위치 어긋남량은, 상기 표시면의 외연을 향함에 따라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량, 및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의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에 대한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의 위치 어긋남 방향은,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에 의해 구성되는 화소에 요구되는 시야각에 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의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에 대한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의 위치 어긋남 방향은, 상기 표시면의 중심부터, 상기 표시면 내에서의 상기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존재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 방향의 단면적이 서서히 커지는 개략 절두추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출사부에서의 출사광을 전파하는 제1 부재와,
    이웃하는 상기 광출사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된 제2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굴절률은, 상기 제2 부재의 굴절률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이고,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출사부와,
    상기 광출사부의 상층에,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표시면 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적층 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상기 광출사부의 발광면의 중심과 상기 광출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기도록, 상기 광출사부 및 상기 컬러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87023994A 2016-03-31 2017-03-0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318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2807A KR102457437B1 (ko) 2016-03-31 2017-03-0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9879 2016-03-31
JPJP-P-2016-069879 2016-03-31
PCT/JP2017/008961 WO2017169563A1 (ja) 2016-03-31 2017-03-07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807A Division KR102457437B1 (ko) 2016-03-31 2017-03-0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016A true KR20180123016A (ko) 2018-11-14
KR102318464B1 KR102318464B1 (ko) 2021-10-28

Family

ID=599640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994A KR102318464B1 (ko) 2016-03-31 2017-03-0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217032807A KR102457437B1 (ko) 2016-03-31 2017-03-0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807A KR102457437B1 (ko) 2016-03-31 2017-03-0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684401B2 (ko)
JP (2) JP6813022B2 (ko)
KR (2) KR102318464B1 (ko)
CN (4) CN108885848B (ko)
DE (1) DE112017001717B4 (ko)
WO (1) WO2017169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5848B (zh) * 2016-03-31 2021-05-04 索尼公司 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20200127184A (ko) * 2018-03-06 2020-11-10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유닛
TWI679627B (zh) * 2018-06-28 2019-12-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9524442B (zh) * 2018-11-29 2020-06-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20220115629A1 (en) 2018-11-30 2022-04-14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device
JP7353834B2 (ja) * 2019-07-12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CN111025660B (zh) * 2019-12-31 2022-04-19 合肥视涯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近眼显示装置
JP6971438B2 (ja) 2020-01-29 2021-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7486964B2 (ja) 2020-01-31 2024-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観察装置
JP7516071B2 (ja) 2020-02-28 202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移動体
JP7458847B2 (ja) * 2020-03-24 2024-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装置
JP7198250B2 (ja) 2020-10-12 2022-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22080974A (ja) 2020-11-19 2022-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23106082A1 (ja) * 2021-12-10 2023-06-1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素子及び表示装置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131A (ja) * 1996-12-17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表示パネルの欠陥修正方法、及び表示パネルを用いた表示装置
JPH1138426A (ja) * 1997-07-17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50009955A (ko) * 2003-07-18 2005-01-2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 기판, 반투과 반사 기판, 컬러 필터 기판의제조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50068441A (ko) * 2003-12-30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JP2011040352A (ja) 2009-08-18 2011-02-24 Sony Corp 表示装置
KR20130110073A (ko) * 2012-03-28 2013-10-08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 유기 el 표시 소자 및 착색 조성물
JP2014067576A (ja) * 2012-09-26 2014-04-17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4141842A1 (ja) * 2013-03-15 2014-09-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229566A (ja) * 2013-05-24 2014-12-08 ソニー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5002075A (ja) * 2013-06-14 2015-01-05 ソニー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US20150070552A1 (en) * 2013-09-09 2015-03-12 Himax Imaging Limited Image sensor with convex substances and notches which change in accordance with distances to image sensor center
JP2017009625A (ja) * 2015-06-16 2017-01-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US20170309844A1 (en) * 2014-09-30 2017-10-26 Toray Industries, Inc. Substrate for display,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organic el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flexible organic el display (as amende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1292B2 (ja) * 2001-01-15 2007-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JP4182467B2 (ja) * 2001-12-27 2008-1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094919B2 (ja) * 2002-07-18 2008-06-04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発光表示装置
GB2405545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with parallax optic having colour filters.
JP2006019179A (ja) * 2004-07-02 2006-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
US7436113B2 (en) * 2005-04-25 2008-10-14 Eastman Kodak Company Multicolor OLED displays
US8330348B2 (en) * 2005-10-31 2012-12-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uctured luminescence conversion layer
JP4201019B2 (ja) * 2006-05-30 2008-12-24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080137008A1 (en) * 2006-12-06 2008-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tunable oled illuminatio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ed display illumination
US7741770B2 (en) * 2007-10-05 2010-06-22 Global Oled Technology Llc 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FR2925746B1 (fr) * 2007-12-21 2010-01-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affichage comportant des filtres colores et des elements photoemissifs alignes electroniquement
JP5650918B2 (ja) 2010-03-26 2015-0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
JP5459142B2 (ja) * 2010-08-11 2014-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3175433A (ja) * 2012-01-24 2013-09-05 Canon Inc 表示装置
JP6082907B2 (ja) 2012-02-17 2017-02-22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AR091855A1 (es) 2012-07-23 2015-03-04 Dow Agrosciences Llc Contador de granos
KR102014885B1 (ko) * 2012-12-26 2019-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2780B1 (ko) * 2013-01-10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4141842A (ja) * 2013-01-25 2014-08-07 Saicon Industry Co Ltd 太陽電池パネル設置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KR102109741B1 (ko) * 2013-10-02 2020-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9830B1 (ko) * 2013-12-30 2020-09-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소자
JP2015149231A (ja) * 2014-02-07 2015-08-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6269387B2 (ja) 2014-08-21 2018-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9910265B1 (en) * 2015-06-29 2018-03-06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wetting display having misaligned color filters
JP2017057387A (ja) 2015-09-17 2017-03-23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WO2017057387A1 (ja) * 2015-09-30 2017-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8885848B (zh) * 2016-03-31 2021-05-04 索尼公司 显示装置和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131A (ja) * 1996-12-17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表示パネルの欠陥修正方法、及び表示パネルを用いた表示装置
JPH1138426A (ja) * 1997-07-17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50009955A (ko) * 2003-07-18 2005-01-2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 기판, 반투과 반사 기판, 컬러 필터 기판의제조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50068441A (ko) * 2003-12-30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JP2011040352A (ja) 2009-08-18 2011-02-24 Sony Corp 表示装置
KR20130110073A (ko) * 2012-03-28 2013-10-08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 유기 el 표시 소자 및 착색 조성물
JP2014067576A (ja) * 2012-09-26 2014-04-17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4141842A1 (ja) * 2013-03-15 2014-09-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229566A (ja) * 2013-05-24 2014-12-08 ソニー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5002075A (ja) * 2013-06-14 2015-01-05 ソニー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US20150070552A1 (en) * 2013-09-09 2015-03-12 Himax Imaging Limited Image sensor with convex substances and notches which change in accordance with distances to image sensor center
US20170309844A1 (en) * 2014-09-30 2017-10-26 Toray Industries, Inc. Substrate for display,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organic el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flexible organic el display (as amended)
JP2017009625A (ja) * 2015-06-16 2017-01-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3619B2 (en) 2023-07-18
KR102457437B1 (ko) 2022-10-24
CN108885848A (zh) 2018-11-23
US10684401B2 (en) 2020-06-16
US20190056543A1 (en) 2019-02-21
CN113130615B (zh) 2024-05-24
US20210063620A1 (en) 2021-03-04
CN110120405A (zh) 2019-08-13
CN113130615A (zh) 2021-07-16
US11143802B2 (en) 2021-10-12
JPWO2017169563A1 (ja) 2019-02-14
KR20210127800A (ko) 2021-10-22
US20240027664A1 (en) 2024-01-25
DE112017001717T5 (de) 2018-12-20
CN110120405B (zh) 2023-04-11
WO2017169563A1 (ja) 2017-10-05
US20220057554A1 (en) 2022-02-24
DE112017001717B4 (de) 2019-12-24
JP2021056527A (ja) 2021-04-08
JP7047889B2 (ja) 2022-04-05
CN108885848B (zh) 2021-05-04
CN113130614A (zh) 2021-07-16
JP6813022B2 (ja) 2021-01-13
KR102318464B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7889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1545649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relative misalignment between pixel and color filter
JP6919647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199572B (zh) 显示装置、电子设备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102603232B1 (ko) 표시장치
KR20200072745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한 개인 몰입형 표시장치
CN116583895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20210028239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00072740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한 개인 몰입형 표시장치
WO2023195351A1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23068227A1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8383083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和电子设备
JP2022080974A (ja) 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