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580A - 전기변색소자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580A
KR20180120580A KR1020180045414A KR20180045414A KR20180120580A KR 20180120580 A KR20180120580 A KR 20180120580A KR 1020180045414 A KR1020180045414 A KR 1020180045414A KR 20180045414 A KR20180045414 A KR 20180045414A KR 20180120580 A KR20180120580 A KR 2018012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ive layer
electrochromic device
electrochromic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403B1 (ko
Inventor
김용찬
김기환
조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955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58410B2/ja
Priority to PCT/KR2018/004667 priority patent/WO2018199567A1/ko
Priority to CN201880026885.9A priority patent/CN110573955B/zh
Priority to US16/604,496 priority patent/US11835833B2/en
Priority to EP18790856.1A priority patent/EP3617791A4/en
Publication of KR2018012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5Counter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반사성과 흡광성을 동시에 갖는 도전층을 갖는다. 본 출원의 소자는 다양한 미감, 색감 또는 입체 색상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An electrochromic device}
관련 출원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7.04.27 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054316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이란 전기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변색물질의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상기 현상을 이용한 소자를 전기변색소자라 한다. 전기변색소자는 일반적으로 작업전극, 상대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며,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각 전극의 광학적 성질이 가역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전극 또는 상대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과 전기변색물질을 각각 소자형태로 포함할 수 있는데, 소자에 전위가 인가될 경우 전해질 이온이 전기변색물질 함유 소자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탈리되고, 동시에 외부 회로를 통해 전자가 이동하게 되면서 전기변색물질의 광학적 성질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경우, 소자가 구현하는 색이 오로지 전기변색물질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이나 우수한 미감에 대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다양한 색감 또는 입체 색상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한 반사형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소위 「반사형」 전기변색소자로서, 소자의 양쪽 외측면 모두에 투광성 전극 재료와 투광성 기재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투과형 전기변색소자와는 그 구성을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출원은 투광성 대신, 흡광성과 반사성을 동시에 갖는 도전층을 사용할 수 있다. 흡광성을 갖는 도전층은 우수한 미감과 색상 구현 특성을 전기변색소자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에 상응하는 구성만을 포함하는 종래 변색소자의 경우에는, 소자의 광학 특성 변화가 전기변색물질이 발현하는 고유한 색 자체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기변색층 외에, 광에 대한 반사성과 흡수성을 동시에 갖는 도전층을 포함하는 본 출원의 소자는, 전기변색층에 의한 색상 변화 외에 추가적인 광학 특성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반사형 전기변색소자는 도전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투광성 상대 전극층을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투광성 보다는 광 흡수성이 우수한 흡광층임과 동시에, 금속보다는 반사성이 낮지만 적절한 반사성을 갖는 반사층의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착색 또는 탈색된 전기변색층이 보여주는 색 또는 색감을 변경, 조절 또는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경, 조절 또는 변화는 도전층에 의한 광학 간섭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도전층은 그 흡광성으로 인해 광의 입사 경로와 반사 경로 모두에서 광을 흡수한다. 또한, 도전층은 적절한 반사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도전층의 표면 및 인접 층과의 계면 모두에서는 반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반사광 사이에 일어나는 보강 간섭과 상쇄 간섭에 의해 추가적인 색상 변화 또는 미감이 부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출원의 전기변색소자는, 전기변색층에서 발현되는 색과는 상이한 색상, 색감 또는 색 패턴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전층은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산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도전층은 적절한 흡광성과 반사성을 가질 수 있다. 도전층의 반사 특성과 그에 따른 간섭효과를 고려하여, 도전층 재료로서 순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순수 금속 재료는 전해질 이온에 의한 열화 정도가 크기 때문에, 소자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니켈(Ni), 크롬(Cr), 철(Fe), 코발트(Co), 티타늄(Ti), 바나듐(V), 알루미늄(Al), 금(Au), 구리(Cu), 은(Ag),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 중에서 1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층은 몰리브덴(Mo), 티타늄(Ti), 알루미늄(Al), 및 구리(Cu)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전층은 CuOxNy(0 ≤ x ≤ 1, 0 ≤ y ≤ 1, x+y > 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x 및 y는 구리(Cu) 1 원자에 대한 산소(O) 및 질소(N) 각각의 원자 수의 비를 의미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몰리브덴과 티타늄을 모두 함유하는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전층은 MoTiaOxNy(0 < a ≤ 2, 0 ≤ x ≤ 3, 0 ≤ y ≤ 2, x+y > 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 x 및 y는, 몰리브덴(Mo) 1원자에 대한 티타늄(Ti), 산소(O) 및 질소(N) 각각의 원자 수의 비를 의미한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알루미늄(Al)의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층은 하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AlOxNy (0 ≤ x ≤ 1.5, 0 ≤ y ≤ 1, x+y > 0)을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Figure pat00001
단, AlOxNy에서, x 및 y는 Al 1 원자에 대한 각각의 O 및 N의 원자 수의 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관계식에서 AlOxNy에 포함되는 모든 원소의 함량 100%를 기준으로 (알루미늄 원소 함량)은 Al의 원소함량(atomic%)을 나타내고, (산소 원소 함량)은 O의 원소함량(atomic%)을 나타내고, (질소원소 함량)은 N의 원소함량(atomic%)을 나타낸다.
상기 관계식은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로 측정한 원소함량(atomic%)과 화학적 가수를 고려한 식이다. Al의 화학적 가수는 3이고, O의 화학적 가수는 2이며, N의 화학적 가수는 3이다. 상기 관계식의 값이 1보다 크면 Al, O 및 N 중에서 Al이 풍부한 것을 의미하며, 1 이하이면 Al, O 및 N 중에서 Al이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학양론적으로 Al2O3 또는 AlN의 경우는 비교적 투명한 상을 나타내며, 관계식의 값은 1이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언급된 도전층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 관계식에서 얻어진 값이 2 보다 크면 Al의 함량이 더욱 높아져서 금속 특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반사성이 높아지고 상기 언급된 도전층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도전층의 두께는 5 nm 내지 500 nm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두께」란, 지면으로부터 소자를 향하여 가상의 법선을 그은 경우, “법선과 만나는 층의 어느 지점과 해당 층의 반대 일면 지점 간의 법선 거리”, 또는 “측정 대상 층의 일 면과 그에 대향하는 다른 일 면 사이의 평균 법선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굴곡 또는 요철을 가질 수 있다. 굴곡 또는 요철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의 일부, 삼각형 또는 사변형의 일부일 수 있다. 굴곡 또는 요철이 반복될 경우, 다양한 경로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전층은 전기변색소자에 다양한 색상의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의 일면은 규칙 또는 불규칙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패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규칙 또는 불규칙 패턴에 의해, 상기 도전층에서는 다양한 경로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도전층은 전기변색소자에 다양한 색상의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0 내지 3 범위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의 소멸계수(extinctin coefficient) 값 k는 0.2 내지 2.5 범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전층은 0.2 내지 1.5 또는 0.2 내지 0.8 범위의 소멸계수(extinctin coefficient)를 가질 수 있다. 소멸계수 k는 흡수 계수(absorption coefficient)라고도 불리며, 구조체가 특정 파장에서 광 또는 빛을 얼마나 흡수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척도이다. 예를 들어 k가 0.2 미만일 경우에는 투명하기 때문에, 광을 흡수하는 정도가 미미하다. 반대로, 도전층의 금속 성분 함량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반사 특성이 우세해지고, k값은 2.5를 초과하게 된다. 상기 범위의 소멸 계수를 갖는 경우, 상기 도전층은 적절한 흡광성과 반사성을 갖기 때문에, 본 출원에서 의도하는 간섭 효과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의 비저항은 5 × 10-4 Ω·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비저항을 갖는 경우, 전기변색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저항, 비저항 또는 면저항은 4-point probe 방식에 따라 공지의 면 저항기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면저항은 4개의 탐침으로 전류(I)와 전압(V)을 측정하여 저항값(V/I)을 측정한 후, 여기에 샘플의 면적(단면적, W)과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 간의 거리(L)을 이용하여 면저항을 구하고(V/I x W/L), 면저항 단위인 오옴/스퀘어로 계산하기 위하여 저항보정계수(RCF)를 곱한다. 저항보정계수는 샘플의 사이즈, 샘플의 두께 및 측정시 온도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는 포아슨 방정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전체 적층체의 면저항은 적층체 자체에서 측정 및 산출될 수 있고, 각 층의 면저항은 전체 적층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층을 제외한 나머지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거 전에 측정되거나, 전체 적층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층을 제외한 나머지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제거한 후 측정되거나, 대상층의 재료를 분석하여, 대상층과 동일한 조건으로 층을 형성한 후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을 마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지된 습식 또는 건식 방법을 이용하여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퍼터링(sputtering),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전자빔(e-beam)을 이용하여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가역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광학적 특성, 즉 색이 변화하는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변색물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기변색층은, 환원반응이 일어날 경우 착색되는 환원성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환원성 변색 물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환원성 변색물질은 WO3, MoO3, Nb2O5, Ta2O5 또는 TiO2 등과 같이, Ti, Nb, Mo, Ta 또는 W의 산화물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전기변색층은, 환원성 변색물질과는 발색 특성이 상이한 물질, 즉 산화성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성 변색물질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산화성 변색물질은 LiNiOx, IrO2, NiO, V2O5, LixCoO2, Rh2O3 또는 CrO3 등과 같이, Cr, Mn, Fe, Co, Ni, Rh, 또는 Ir 의 산화물; Cr, Mn, Fe, Co, Ni, Rh, 또는 Ir 의 수산화물; 및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습식 또는 건식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전기변색층의 두께는 30 nm 내지 500 nm 범위일 수 있다.
전해질층은 전기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전해질 이온을 전기변색층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해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전해질, 겔 폴리머 전해질 또는 무기 고체 전해질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 또는 하기 설명되는 이온저장층으로 변색에 관여하는 전해질 이온을 제공할 수 있다면, 전해질층에 사용되는 전해질의 구체적인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해질층은 H+, Li+, Na+, K+, Rb+, 또는 Cs+ 와 같은 전해질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해질층은 LiClO4, LiBF4, LiAsF6, 또는 LiPF6 와 같은 리튬염 화합물이나, NaClO4와 같은 나트륨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해질층은, 용매로서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유전율이 높기 때문에, 이온 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또는 EMC(ethylmethyl carbonate) 와 같은 용매가 카보네이트계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전극층은 투광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투광성」이란, 예를 들어,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이 60% 이상,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95% 범위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가시광이란 380 nm 내지 780 nm 파장 범위의 광, 구체적으로는 약 550 nm 파장의 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공지된 방법이나 장치, 예를 들어, 헤이즈 미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전해질층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투광성을 갖는다면, 상대 전극층에 사용 가능한 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대 전극층에는 투광성을 갖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이나, 메탈메쉬 또는 OMO(odxide/metal/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OMO는 ITO로 대표되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 대비 좀 더 낮은 면 저항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자의 변색 속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상대 전극층에 사용 가능한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n2O3(Indium Oxide), IGO(Indium Galium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또는 ZnO(Zink Oxide)이 사용될 수 있다.
상대 전극층에 사용 가능한 메탈메쉬는 Ag, Cu, Al, Mg, Au, Pt, W, Mo,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메탈메쉬에 사용가능한 재료가 상기 나열된 금속 재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대 전극층에 사용 가능한 OMO는 상부층, 하부층, 및 이들 사이에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부층 및 하부층은 Sb, Ba, Ga, Ge, Hf, In, La, Se, Si, Ta, Se, Ti, V, Y, Zn 및 Z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MO의 금속층은 Ag, Cu, Zn, Au, 또는 Pd와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상대 전극층은 50 nm 내지 400 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전기변색소자는 전해질층과 상대 전극층 사이에 이온저장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온저장층은, 전기변색을 위한 산화 및 환원 반응시, 전기변색층과의 전하 균형(charge balance)을 맞추기 위해 형성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은, 상기 전기변색층에 사용되는 전기변색물질과는 발색 특성이 상이한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이 환원성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이온저장층은 산화성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전기변색소자는 부동화층(passiva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동화층은, 전해질 이온과 도전층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 간의 부반응으로 인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동화층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는 상기 언급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동화층은 도전층의 외측면, 예를 들어 하기 설명되는 투광성 기재와 도전층 사이에 위치하거나, 전기변색층과 도전층 사이, 또는 전기변색층과 전해질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소자의 가장 외측에 투광성 기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광성 기재는 도전층 및/또는 상대 전극층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기재의 투과율은, 상기 설명된 상대 전극층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투광성 기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C(Polycarbon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필름,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와 같은 폴리올레핀 필름 등이 투광성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을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상기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 기기 또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 또는 기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컴퓨터나 휴대폰의 외피,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의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또는 창문과 같은 건축용 자재일 수 있다. 상기 소자는, 이들 장치, 기기 또는 기구에서, 장식용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다양한 미감, 색감 또는 입체 색상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한 전기변색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구동 특성을 기록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례 1: 도전층의 색상 발현 확인
제조예 1
스퍼터링 증착을 이용하여, 54.6 nm 두께를 갖는 AlOxNy층이 투명 PET와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적층체가 갖는 비저항과 시인되는 색은 표 1과 같다.
제조예 2 내지 3
AlOxNy층의 두께를 하기 표 1과 같이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실험례 2: 소자의 구동 특성 확인
실험과 관련된 수치는 다음의 방법 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하량 측정>
구동 사이클을 증가시키면서, 포텐쇼스탯(potentiostat) 장치를 이용한 전위 스텝 시간대 전류법(potential step chrono amperometry, PSCA)을 이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 각 소자의 전하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3의 도전층 상에, 250 nm 두께의 WO3층이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전해액(LiClO4(1M) +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및 포텐셔스탯(potentiostat) 장치를 준비하고, - 1V의 전압을 50 초간 인가하여, WO3를 착색시켰다.
겔 폴리머 전해질(GPE)을 매개로, 상기 필름을 프러시안 블루(PB)/ITO 적층체와 합착하여, AlOxNy/WO3/GPE/PB/ITO의 적층구조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 탈색(bleaching) 전압과 착색(coloration) 전압을 일정 주기로 반복 인가하면서, 변색 속도를 측정하였다. 1 주기(cycle)당 탈색 전압과 착색 전압은 각각 (±) 1.2 V 크기로 50 초간 인가되었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도전층 대신 두께가 동일한 Al(금속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과 구성으로 전기변색소자를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구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도 1로부터, 금속 전극을 사용하는 비교예 1의 전기변색소자는, 금속 산질화물을 사용하는 실시예 소자 대비 구동 가능 사이클 수가 현저히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본 출원은 순수 금속층 사용시 발생하는 전극 재료의 열화를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적절한 반사성과 흡광성을 동시에 갖는 도전층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특유의 미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산질화물을 포함하는 도전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투광성 상대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산질화물의 단일층인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몰리브덴(Mo), 티타늄(Ti), 알루미늄(Al), 및 구리(Cu)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하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CuOxNy(0 ≤ x ≤ 1, 0 ≤ y ≤ 1, x+y > 0); MoTiaOxNy(0 < a ≤ 2, 0 ≤ x ≤ 3, 0 ≤ y ≤ 2, x+y > 0); 또는 하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AlOxNy(0 ≤ x ≤ 1.5, 0 ≤ y ≤ 1, x+y > 0)을 포함하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관계식]
    Figure pat00003

    단, AlOxNy에서, x 및 y는 Al 1 원자에 대한 각각의 O 및 N의 원자 수의 비를 의미하고, AlOxNy에 포함되는 모든 원소의 함량 100%를 기준으로 상기 관계식에서 (알루미늄 원소 함량)은 Al의 원소함량(atomic%)을 나타내고, (산소 원소 함량)은 O의 원소함량(atomic%)을 나타내고, (질소원소 함량)은 N의 원소함량(atomic%)을 나타낸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두께는 5 nm 내지 500 nm 범위인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두께 구배(gradient)를 갖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요철을 갖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패턴을 갖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소멸계수는 0.2 내지 2.5인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비저항은 5 × 10-4 Ω·cm 이하인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환원성 변색물질 또는 산화성 변색물질을 포함하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성 변색물질은 Ti, Nb, Mo, Ta 또는 W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성 변색물질은 Cr, Mn, Fe, Co, Ni, Rh, 또는 Ir의 산화물; Cr, Mn, Fe, Co, Ni, Rh, 또는 Ir의 수산화물; 및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과 투광성 상대 전극층 사이에 이온저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저장층은 전기변색층에 포함되는 변색물질과는 발색 특성이 상이한 변색물질을 포함하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전기변색층 사이에 부동화층(passivation layer)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동화층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사형 전기변색소자.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80045414A 2017-04-27 2018-04-19 전기변색소자 KR10207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58519A JP7158410B2 (ja) 2017-04-27 2018-04-23 電気変色素子
PCT/KR2018/004667 WO2018199567A1 (ko) 2017-04-27 2018-04-23 전기변색소자
CN201880026885.9A CN110573955B (zh) 2017-04-27 2018-04-23 电致变色装置
US16/604,496 US11835833B2 (en) 2017-04-27 2018-04-23 Electrochromic device
EP18790856.1A EP3617791A4 (en) 2017-04-27 2018-04-23 ELECTROCHROM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316 2017-04-27
KR20170054316 2017-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80A true KR20180120580A (ko) 2018-11-06
KR102078403B1 KR102078403B1 (ko) 2020-04-07

Family

ID=6432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414A KR102078403B1 (ko) 2017-04-27 2018-04-19 전기변색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35833B2 (ko)
EP (1) EP3617791A4 (ko)
JP (1) JP7158410B2 (ko)
KR (1) KR102078403B1 (ko)
CN (1) CN1105739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922A (ko) * 2020-03-03 2021-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전기 변색 선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6466A (zh) * 2020-07-02 2020-10-20 深圳市诚德利科技有限公司 一种稀土金属质电致变色薄膜电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26302B (zh) * 2021-12-07 2024-0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178A (ko) * 2003-01-31 2005-11-03 엔테라 리미티드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2362A (ko) * 2005-02-17 2006-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6327A (ko) * 2012-12-28 2014-07-08 전자부품연구원 그래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20150067311A (ko) * 2012-11-08 2015-06-17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스위칭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글레이징
KR20160115064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065A (ja) * 1974-07-02 1976-01-19 Seiko Instr & Electronics Tokeiyogarasu
JPS6082659A (ja) * 1983-10-06 1985-05-10 Toyota Motor Corp 装飾基体
JPH0652354B2 (ja) * 1984-05-22 1994-07-06 旭硝子株式会社 調光ミラー
US5452374A (en) 1992-04-06 1995-09-19 Ricoh Corporation Skew detection and correction of a document image representation
FR2689983B1 (fr) * 1992-04-10 1994-05-27 Innocation Dev Cie Gle Dispositif electrochromiques pour la modulation de la lumiere, notamment de type ecrans et afficheurs.
JPH1138454A (ja) 1997-07-15 1999-02-12 Nippon Oil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US6317248B1 (en) * 1998-07-02 2001-11-13 Donnelly Corporation Busbars for electrically powered cells
JP2000235198A (ja) * 1998-12-14 2000-08-29 Nippon Mitsubishi Oil Corp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FR2811778B1 (fr) * 2000-07-13 2003-06-20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himique du type electrochrome ou dispositif photovoltaique et ses moyens de connexion electrique
JP4105537B2 (ja) * 2002-12-24 2008-06-2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WO2004085567A2 (en) 2003-03-05 2004-10-07 Electrochromix, Inc Electrochromic mirrors and other electrooptic devices
JP4370561B2 (ja) 2003-08-27 2009-11-2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素子
EP2426552A1 (en) * 2006-03-03 2012-03-07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elements incorporating improved thin-film coatings
US8368992B2 (en) * 2006-03-03 2013-02-05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al element including IMI coatings
KR20080040439A (ko)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99160A (ja) * 2008-06-16 2009-12-24 Kobe Steel Ltd 導電性アルミニウム薄膜
WO2010003138A1 (en) * 2008-07-03 2010-01-07 Ajjer Llc Novel electrochromic materials, devices and applications of the same
JP5197418B2 (ja) 2008-08-26 2013-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反射防止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WO2011048923A1 (en) * 2009-10-21 2011-04-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book reader
US8964278B2 (en) * 2010-08-09 2015-02-24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system configured to reduce a perceived color change
KR101224282B1 (ko) * 2011-03-04 2013-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8254013B2 (en) * 2011-03-16 2012-08-28 Soladigm, Inc. Controlling transitions in optically switchable devices
WO2013157858A2 (ko) * 2012-04-18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3817B1 (ko) 2012-08-08 2017-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거울 전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소자
US9091895B2 (en) * 2012-08-08 2015-07-28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omposite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s
US9903989B2 (en) 2012-08-31 2018-02-27 Lg Chem, Ltd. Metal structure for decorative bez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40041117A (ko) 2012-09-27 2014-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TW201426149A (zh) * 2012-12-28 2014-07-01 Leader Optronics Technology Co Ltd 薄型電致變色結構
KR102175577B1 (ko) 2014-01-29 2020-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US20160147125A1 (en) 2014-11-24 2016-05-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devices wth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101977852B1 (ko) 2015-06-03 2019-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9838A (ko) * 2015-09-08 2017-03-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도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US20190137841A1 (en) * 2016-04-08 2019-05-09 Lg Electronics Inc. Electrochromic device and electrochormic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178A (ko) * 2003-01-31 2005-11-03 엔테라 리미티드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2362A (ko) * 2005-02-17 2006-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7311A (ko) * 2012-11-08 2015-06-17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스위칭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글레이징
KR20140086327A (ko) * 2012-12-28 2014-07-08 전자부품연구원 그래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20160115064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922A (ko) * 2020-03-03 2021-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전기 변색 선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7791A1 (en) 2020-03-04
CN110573955B (zh) 2022-07-08
JP2020518025A (ja) 2020-06-18
JP7158410B2 (ja) 2022-10-21
US20200159080A1 (en) 2020-05-21
CN110573955A (zh) 2019-12-13
EP3617791A4 (en) 2020-03-04
US11835833B2 (en) 2023-12-05
KR102078403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755B1 (ko) 전기변색소자,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투과율 제어방법
KR102118361B1 (ko) 전기변색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102201549B1 (ko)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8403B1 (ko) 전기변색소자
EP3617789B1 (en) Electrochromic device
KR20170094627A (ko) 전기변색소자
KR102126688B1 (ko) 전기변색필름
KR20180119120A (ko) 도전성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102202928B1 (ko) 투광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102126683B1 (ko)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
WO2018199567A1 (ko) 전기변색소자
KR20210051216A (ko) 전기변색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
KR20190118121A (ko) 전기변색필름
KR20190118120A (ko) 전기변색필름
KR102113478B1 (ko) 전기변색필름,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6896304B2 (ja) 電気変色素子
KR20180036052A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