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117A -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117A
KR20140041117A KR1020120108097A KR20120108097A KR20140041117A KR 20140041117 A KR20140041117 A KR 20140041117A KR 1020120108097 A KR1020120108097 A KR 1020120108097A KR 20120108097 A KR20120108097 A KR 20120108097A KR 20140041117 A KR20140041117 A KR 2014004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layer
transparent
transparent substrat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117A/ko
Priority to EP13185688.2A priority patent/EP2713203A1/en
Priority to US14/035,981 priority patent/US9494840B2/en
Publication of KR2014004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 G02F1/15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using a solid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2F1/15165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사이에 개재된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필름인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기변색미러 전체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뿐 아니라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코팅 방식으로 형성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ELECTROCHROMIC MIRR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이란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방향에 의해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서 재료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는 물질을 전기변색물질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기변색물질은 외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지 않고 있다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다가 신호가 인가되면 색이 소멸하는 특성을 갖는다.
전기변색소자는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변색물질의 광투과도가 변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서, 건축용 창유리나 자동차 미러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색변화 뿐만 아니라 적외선 차단효과까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에너지 절약형 제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전기변색미러(Electrochromic Mirror:ECM)는 주간이나 야간에 자동차 미러에 비추어지는 자동차의 강한 불빛을 자동으로 감지함과 동시에 미러의 변색에 의한 반사율의 변화를 통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미러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변색미러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변색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10, 20)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기판(10, 20)의 대향하는 면 각각에 투명전극(30)과 전도 반사층(40)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전극(30)과 전도 반사층(40) 사이에 실란트(Sealant)(50)를 이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공간에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주입하여 전기변색층(60)을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변색소자, 특히 전기변색미러는 전기변색물질을 적용하여 빛의 반사율을 줄여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한다.
하지만, 종래 전기변색미러에 있어서 전기변색층(60)을 형성할 때에 전기변색 기능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의 공기, 수분과 차단을 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10, 20)을 합착하여 진공상태에서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주입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변색미러는 이러한 진공 합착 공정에 따라 고비용이 발생하고, 유리기판과 같은 두 개의 투명기판(10, 20)을 사용함에 따라 무게가 증가할 뿐 아니라 이를 감안한 하우징 설계가 필요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9236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변색미러에서의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렉서블한 투명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전기변색미러의 전체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두께 및 무게 감소를 통해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뿐 아니라, 종래의 진공 주입 공정을 대체하는 코팅 방식의 적용으로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사이에 개재된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미러는,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형성된 제 1 투명전극;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 2 투명기재 사이에 형성된 전도 반사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미러는,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형성된 제 1 투명전극;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 2 투명기재의 일면 사이에 형성된 제 2 투명전극; 상기 제 2 투명기재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 COC), TAC(Triacetylcellulose)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 P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전도 반사층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기변색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기변색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Cu, Au, Ag, Ni, Al, Cr, Ru, Re, Pb, Sn, In, Zn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사이에,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로 이루어진 전기변색층을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을 코팅하기 이전에, 제 1 투명기재 상에 제 1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제 2 투명기재 상에 전도 반사층 또는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미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기재 상에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투명기재의 일면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변색미러에서의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플렉서블한 투명필름으로 대체함으로써 전기변색미러 전체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전기변색미러의 두께 및 무게의 감소에 따라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의 진공 주입 공정과는 달리 코팅(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전기변색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을 효율화시킬 뿐 아니라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변색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미러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미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에서의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렉서블한 투명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전기변색미러의 전체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두께 및 무게 감소를 통해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뿐 아니라, 코팅방식으로 전기변색층을 형성하여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미러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미러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는 제 1 투명기재(110) 및 제 2 투명기재(120),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기재(110, 120)의 대향하는 면 각각에 형성된 제 1 투명전극(130)과 전도 반사층(140), 상기 제 1 투명전극(130)과 전도 반사층(140) 사이에 형성된 전기변색층(17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되, 상기 제 1 투명기재(110)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전기변색미러에서의 제 1 및 제 2 투명기재는 유리기판 등과 같은 투명기판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투명기재(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렉서블한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도 2 에서는 제 1 투명기재(110)만이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투명기재(120)만이 투명필름이거나, 제 1 및 제 2 투명기재(110, 120) 모두가 투명필름인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투명기재(110)로 이용되는 투명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 COC), TAC(Triacetylcellulose)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 P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전기변색미러에서의 제 1 및 제 2 투명기재는 모두 유리기판 등과 같은 투명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주입할 때에는 유리기판을 합착하여 진공 상태에서 주입하게 되어 진공 합착 공정에서의 비용 증가와 유리기판 사용에 따른 무게 및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본원발명과 같이 플렉서블한 투명필름(110)을 사용함으로써,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진공 합착이 아닌 코팅(라미네이팅)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공정의 효율화 및 제조비용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전기변색미러 전체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 1 투명전극(130)은 제 1 투명기재인 상기 투명필름(110) 상에 증착되며, ITO(Indium Tin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Zn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 반사층(140)은 제 2 투명기재(120) 상에 형성되며, 전기변색층(170)을 통과하여 입사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제 1 투명전극(130)의 상대전극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전도 반사층(140)은 Cu, Au, Ag, Ni, Al, Cr, Ru, Re, Pb, Sn, In, Zn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도 반사층(140) 대신 이하의 도 3,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 2 투명전극(1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투명전극(150)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투명기재(120)의 일면에 입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170)은 액상 또는 고상의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투명전극(130)과 전도 반사층(140) 사이에 형성되어 제 1 투명전극(130)과 전도 반사층(140)에서 인가된 전기를 전달받아 산화반응 또는 환원반응을 통해 착색 또는 소색한다. 상기 전기변색층(170)은 종래와 같이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제 1 투명전극(130)과 전도 반사층(140) 사이에 주입하여 진공 합착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투명필름(110)의 적용으로 인하여 코팅 방식으로 전기변색층(170)을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조 공정의 효율화 및 제조 원가의 감소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기변색물질은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광흡수도가 변화하는 전기변색특성을 갖는 물질로, 전압의 인가 여부 및 전압의 세기에 따라서 가역적으로 전기변색물질의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 현상이 일어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기변색물질의 투명도 및 흡광도가 가역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변색물질은 텅스텐, 이리듐, 니켈, 바나듐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전기변색물질, 비올로겐, 퀴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전기변색물질,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을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전기변색물질 및 이들의 유도체가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안트라센(polyanthracene),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 폴리카바졸(polycarbazole), 폴리페닐비닐렌(polyphenylenevinylen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전기변색물질은 액상이거나 고상일 수 있는데, 고상일 경우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변색층(170)은 전해질층(171)과 상기 전해질층(171)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기변색코팅층(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전기변색코팅층(172)은 전해질층(171)과 제 1 투명전극(130) 사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해질층(171)과 전도 반사층(140) 사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9와 같이 전해질층(171)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기변색소자가 액상형태인 경우 균일한 변색이 이루어지지 않고, 변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전압을 인가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컸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고상 형태의 전기변색코팅층(172)을 형성하게 되면, 균일한 변색, 소색이 가능해지고, 전기변색물질은 메모리 효과가 있어 변색, 소색시에만 전압을 걸어 주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적게 되며, 소색시 역전압을 걸어주기 때문에 소색 반응 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코팅공법을 적용하는 전기변색물질은 무기계 또는 유기 고분자이므로 소자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와는 달리 전기변색층(170)과 제 2 투명기재(120) 사이에 제 2 투명전극(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투명전극(150)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투명기재(120)의 일면에 반사층(1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투명전극(150)은 제 1 투명전극(130)의 상대전극으로서, ITO(Indium Tin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Zn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반사층(160)은 전기변색미러에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Cu, Au, Ag, Ni, Al, Cr, Ru, Re, Pb, Sn, In, Zn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의 구조는 상기 도 2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서의 전기변색미러는, 도 2 및 도 3과는 달리, 제 1 투명기재(110)로서 유리기판 등과 같은 종래의 투명기판을, 제 2 투명기재(120)로서 종래의 투명기판이 아닌 투명필름을 이용한 점에 차이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제 2 투명기재로서 적용한 투명필름(12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 COC), TAC(Triacetylcellulose)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 P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투명필름은 제 1 투명기재(110)와 제 2 투명기재(1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의 전기변색미러는, 제 1 및 제 2 투명기재(110, 120) 모두에 대해 종래의 유리기판 등과 같은 투명기판이 아닌 플렉서블한 투명필름을 적용한 것이다. 이외의 구조로서 제 1 및 제 2 투명전극(130, 150), 전기변색층(170), 전도 반사층(140), 반사층(160)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2에서 설명하였듯이, 전기변색물질이 고상인 경우 전기변색층(170)은 전해질층(171)과 상기 전해질층(171)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기변색코팅층(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전기변색코팅층은 전해질층과 제 1 투명전극 사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전해질층과 전도 반사층 사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미도시), 도 9와 같이 전해질층(171)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기변색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변색, 소색이 가능해지고, 전기변색물질은 메모리 효과가 있어 변색, 소색시에만 전압을 걸어 주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적게 되며, 소색시 역전압을 걸어주기 때문에 소색 반응 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코팅공법을 적용하는 전기변색물질은 무기계 또는 유기 고분자이므로 소자의 내구성이 향상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도 8 및 도 9에서의 전기변색코팅층(172)과 전해질층(171)은 도 2를 일례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도 3 내지 도 7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전도 반사층이 아닌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된 도 3, 도 5 및 도 7의 경우에는 전해질층과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전기변색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투명기재(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즉 제 1 투명기재(110)에만 투명필름을 적용하거나, 제 2 투명기재(120)에만 투명필름을 적용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투명기재(110, 120) 모두에 투명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한 필름을 투명기재로서 이용함으로써 코팅(라미네이팅) 공정이 가능해져 종전의 진공 합착 공정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공정의 효율성이 증가될 뿐 아니라 전기변색미러의 전체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미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중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조 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투명기재 상에 제 1 투명전극을 형성하고(S11), 제 2 투명기재 상에 전도 반사층을 형성한다(S21). 이때,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의 경우에는 코팅 공정으로 제 1 투명전극이나 전도 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3,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 2 투명기재 상에 전도 반사층 대신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2 투명기재 상에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하고(S22),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투명기재의 일면에 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S23).
이후, 제 1 투명전극과 전도 반사층 사이 또는 제 1 투명전극과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로 이루어진 전기변색층을 위치시켜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를 이용하여 코팅(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전기변색미러를 제조한다(S31).
종래의 전기변색미러는 하드한 유리기판의 특성상 코팅 공정을 적용할 수 없어 진공 합착 공정에 의해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주입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미러는 플렉서블한 투명필름을 투명기재로서 이용함으로써 코팅 공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전기변색미러의 두께 및 무게의 감소와 이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 1 투명기판
20; 제 2 투명기판
30; 투명전극
40; 전도 반사층
50; 실란트
60; 전기변색층
110: 제 1 투명기재
120: 제 2 투명기재
130: 제 1 투명전극
140: 전도 반사층
150: 제 2 투명전극
160: 반사층
170: 전기변색층
171: 전해질층
172: 전기변색코팅층

Claims (10)

  1. 상호 대향하는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사이에 개재된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필름인 전기변색미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미러는,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형성된 제 1 투명전극;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 2 투명기재 사이에 형성된 전도 반사층;
    을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미러는,
    상기 제 1 투명기재와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형성된 제 1 투명전극;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 2 투명기재의 일면 사이에 형성된 제 2 투명전극;
    상기 제 2 투명기재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된 반사층;
    을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 COC), TAC(Triacetylcellulose)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 PS) 중 어느 하나인 전기변색미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전도 반사층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기변색코팅층;
    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기변색코팅층;
    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Cu, Au, Ag, Ni, Al, Cr, Ru, Re, Pb, Sn, In, Zn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전기변색미러.
  8.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1 투명기재와 제 2 투명기재 사이에,
    전기변색물질과 전해질로 이루어진 전기변색층을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을 코팅하기 이전에,
    제 1 투명기재 상에 제 1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제 2 투명기재 상에 전도 반사층 또는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기재 상에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투명전극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투명기재의 일면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의 제조 방법.
KR1020120108097A 2012-09-27 2012-09-27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1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097A KR20140041117A (ko) 2012-09-27 2012-09-27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EP13185688.2A EP2713203A1 (en) 2012-09-27 2013-09-24 Electrochromic mirror and room mirror module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4/035,981 US9494840B2 (en) 2012-09-27 2013-09-25 Electrochromic mirror and room mirror module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097A KR20140041117A (ko) 2012-09-27 2012-09-27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17A true KR20140041117A (ko) 2014-04-04

Family

ID=4923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097A KR20140041117A (ko) 2012-09-27 2012-09-27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94840B2 (ko)
EP (1) EP2713203A1 (ko)
KR (1) KR20140041117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974B1 (ko) * 2015-02-02 2016-0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변색 기능을 갖는 사각지대 감지 사이드미러
WO2017209350A1 (ko) * 2016-06-03 2017-12-07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전기 변색층과 이온 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58275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KR20180077769A (ko) * 2016-12-29 2018-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직물
WO2018135717A1 (ko) * 2017-01-23 2018-07-26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탄성 투명 이온전도성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유리 및 그 제조방법
WO2018199568A1 (ko) * 2017-04-27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WO2018199567A1 (ko) * 2017-04-27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KR20180123844A (ko) * 2017-05-10 2018-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KR20190009956A (ko) * 2017-07-20 2019-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US11415857B2 (en) 2017-04-27 2022-08-16 Lg Chem, Ltd. Electrochromic film
US11835833B2 (en) 2017-04-27 2023-12-05 Lg Chem, Ltd. Electrochrom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502A (ko) * 2012-06-27 2014-0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4608699B (zh) * 2015-01-09 2017-04-12 威宇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防眩后视镜
CN104932169B (zh) * 2015-07-20 2017-08-2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快速响应的柔性电致变色器件及其应用
JP6213802B2 (ja) * 2015-07-24 2017-10-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電気化学セル
TWI559191B (zh) * 2015-07-31 2016-11-21 明興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CN105948531A (zh) * 2016-04-27 2016-09-21 深圳力合光电传感股份有限公司 车载后视镜及其制造方法、车载后视系统、车辆
CN106634940B (zh) * 2016-08-25 2019-04-19 北京工业大学 一种非晶态-纳米晶复合结构的铟锡铌镓氧化物电致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CN110622062A (zh) * 2017-05-10 2019-12-27 Lg伊诺特有限公司 电致变色器件
US11300845B2 (en) * 2019-10-29 2022-04-12 Furcifer Inc. Applications of electrochromic devices with reflective structure
CN114859613A (zh) * 2022-01-25 2022-08-05 吉林大学 液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0982A (en) * 1981-11-09 1985-11-05 Nippon Electric Co., Ltd. All-solid-state display including an organic electrochromic layer with ion donor/acceptor
US4752119A (en) * 1984-08-14 1988-06-21 Toshihiko Ueno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s
US4938571A (en) * 1987-06-18 1990-07-03 Cogan Stuart F Solid state electrochromic light modulator
US5668663A (en) *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WO1997038350A1 (en) * 1996-04-10 1997-10-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devices
US5825526A (en) * 1996-04-24 1998-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pe for use in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s
US6285486B1 (en) * 1997-07-15 2001-09-04 Nippon Oil Co., Ltd. Electrochromic mirror and electrochromic devices
JP3425693B2 (ja) * 2000-05-22 2003-07-1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Ecミラーの電極構造
EP1608719A2 (en) * 2003-03-05 2005-12-28 Electrochromix, Inc Electrochromic mirrors and other electrooptic devices
US7586663B1 (en) * 2005-03-01 2009-09-08 Triton Systems, Inc. Gel polymer electrolytes
TWI320507B (en) * 2006-03-24 2010-02-11 Daxon Technology Inc Pressure sensitive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58207B1 (ko) * 2007-11-20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변색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변색 소자
DE102009026148A1 (de) * 2009-07-10 2011-01-1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Elektrochrome Schichtstruktu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11119664A2 (en) * 2010-03-25 2011-09-29 University Of Connecticut Formation of conjugated polymers for solid-state device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974B1 (ko) * 2015-02-02 2016-0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변색 기능을 갖는 사각지대 감지 사이드미러
WO2017209350A1 (ko) * 2016-06-03 2017-12-07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전기 변색층과 이온 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58275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KR20180077769A (ko) * 2016-12-29 2018-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직물
WO2018135717A1 (ko) * 2017-01-23 2018-07-26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탄성 투명 이온전도성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유리 및 그 제조방법
WO2018199568A1 (ko) * 2017-04-27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WO2018199567A1 (ko) * 2017-04-27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US11415857B2 (en) 2017-04-27 2022-08-16 Lg Chem, Ltd. Electrochromic film
US11835833B2 (en) 2017-04-27 2023-12-05 Lg Chem, Ltd. Electrochromic device
KR20180123844A (ko) * 2017-05-10 2018-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KR20190009956A (ko) * 2017-07-20 2019-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4840B2 (en) 2016-11-15
EP2713203A1 (en) 2014-04-02
US20140085700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1117A (ko)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US9052561B2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175577B1 (ko) 전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US10035461B2 (en) Electronic device
US7532383B2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US9499103B2 (en) Display room mirror
US20220342268A1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low-resistance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US20180284521A1 (en) Smart window having dimming function
CN205644479U (zh) 触控装置
CN104122730A (zh) 一种反射型电致变色器件
EP403022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KR102063776B1 (ko)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8002B1 (ko) 전기변색모듈 및 전기변색소자의 반사율 제어 방법
KR102108828B1 (ko) 전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WO2022012502A1 (zh) 一种可调反射率的电致变色器件及包含其的电子终端
KR102370223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351850B1 (ko) 전기변색소자
US9778795B2 (en) Touch apparatus
TW201426149A (zh) 薄型電致變色結構
JP2003149686A (ja) 半透鏡性透過率可変素子
KR102358895B1 (ko) 전기변색소자
CN210691004U (zh) 具有两个功能膜层的电致变色器件
CN211236527U (zh) 具有三个功能膜层的电致变色器件
CN112859471A (zh) 具有两个功能膜层的电致变色器件
CN112859472A (zh) 具有三个功能膜层的电致变色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