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275A -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 Google Patents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275A
KR20180058275A KR1020160156746A KR20160156746A KR20180058275A KR 20180058275 A KR20180058275 A KR 20180058275A KR 1020160156746 A KR1020160156746 A KR 1020160156746A KR 20160156746 A KR20160156746 A KR 20160156746A KR 20180058275 A KR20180058275 A KR 2018005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chromic
reflective layer
electrode structure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279B1 (ko
Inventor
조성목
김용진
주용태
최현태
김태엽
류호준
송주희
아칠성
전상훈
김주연
김용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영도유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영도유리산업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2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16Materials and properties condu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1Function characteristic transmis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전기 변색 거울은 환원 전극 구조체, 및 환원 전극 구조체와 대향하는 산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되, 환원 전극 구조체는 기판, 기판 상의 반사층, 반사층 상의 전기 변색층, 및 반사층과 전기 변색층 사이에 제공되는 투명 전도성 막을 포함하고, 반사층은 전기 변색층으로부터 이격된다.

Description

전기 변색 거울{ELECTROCHROMIC MIRROR}
본 발명은 전기 변색 거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반사 성능이 향상된 전기 변색 거울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 물질은 재료의 산화/환원에 의해 색상 및 투과도가 변화하는 물질이다. 재료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전기장의 인가에 의해 빛의 반사율을 제어할 수 있는 전기 변색 거울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변색 거울은 자동차 등에 적용되어 운전자의 눈부심을 줄여줄 수 있다. 전기 변색 거울에는 액상 전기변색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과 박막 형태의 고상 전기변색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액상 전기변색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전기변색 물질들이 용해된 전해질 양단에 거울 반사를 하는 Ag 등의 금속전극과 투명 전극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박막 형태의 고상 전기변색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산화물 전기변색 물질을 한쪽 전극에 배치하고 반대 특성을 가지는 전기변색 물질은 전해질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반사율이 최대화된 전기 변색 거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상기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변색 거울은 환원 전극 구조체; 및 상기 환원 전극 구조체와 대향하는 산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환원 전극 구조체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전기 변색층; 및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전기 변색층 사이에 제공되는 투명 전도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전기 변색층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사층 상에 보호층이 제공되어, 반사층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변색 거울의 반사 성능이 최대화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변색 거울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환원 전극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환원 전극 구조체의 파장별 반사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개념도 및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변색 거울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원 전극 구조체(100)가 제공될 수 있다. 환원 전극 구조체(100)는 제1 기판(110), 제1 기판(110) 상의 반사층(120), 반사층(120) 상의 보호층(130) 및 보호층(130) 상의 전기 변색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반사층(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기판(110)은 글래스(glass)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반사층(120)은 빛을 반사하는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120)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120)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120)은 전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반사층(1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보호층(130)은 제1 기판(110)의 상면(110u)에 수직한 방향을 따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130)의 두께는 약 100 나노미터(nm) 이하일 수 있다. 보호층(130)은 투명 전도성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층(130)으로 입사되는 빛이 보호층(130)을 투과하여 반사층(120)에 도달할 수 있다. 보호층(13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130)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또는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130)은 반사층(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전기 변색층(140)은 반사층(1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변색층(140)은 보호층(130)을 사이에 두고 반사층(1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기 변색층(140)은 보호층(130)의 상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즉, 전기 변색층(140)은 보호층(130)의 상면의 전부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변색층(140)은 보호층(130)의 상면의 중심 영역을 덮고, 보호층(130)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은 덮지 않을 수 있다. 전기 변색층(140)은 보호층(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변색층(140)은 환원될 때 착색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변색층(140)은 삼산화 텅스텐(WO3)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변색층(140)에 전자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전기 변색층(140)은 투명한 상태일 수 있다. 전기 변색층(140)은 전자를 받으면(또는 전기 변색층(140)이 환원되면), 전기 변색층(140)은 투명한 상태에서 색을 갖는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반대로, 전기 변색층(140)은 전자를 뺏기면(또는 전기 변색층(140)이 산화되면), 전기 변색층(140)은 다시 투명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환원 전극 구조체(100)와 대향하는 산화 전극 구조체(200)가 제공될 수 있다. 산화 전극 구조체(200)는 제2 기판(210) 및 제2 기판(210) 상의 투명 전극(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10)은 투명 전극(2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기판(210)은 투명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210)은 글래스(glass) 또는 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22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전극(220)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또는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220)은 전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환원 전극 구조체(100)와 산화 전극 구조체(200) 사이에 전해질(300)이 제공될 수 있다. 전해질(300)은 투명 전극(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해질(300)은 산화 변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투명 전극(2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전해질(300)은 투명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투명 전극(220)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해질(300) 내의 산화변색물질이 전자를 투명 전극(220)에 뺏길 경우(또는 전해질(300) 내의 산화변색물질이 산화될 경우), 전해질(300)은 착색될 수 있다. 반대로, 전해질(300) 내의 산화변색물질이 전자를 투명 전극(220)으로부터 공급받을 경우(또는 전해질(300) 내의 산화변색물질이 환원될 경우), 전해질(300)은 다시 투명해질 수 있다. 전해질(300)은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전기 변색층(140) 및 전해질(300)을 밀봉하는 하우징(20)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20)은 보호층(130)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환원 전극 구조체(100)의 일 단부(102)로부터 시프트(shift)될 수 있다. 즉, 환원 전극 구조체(100)의 일 단부(102)는 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환원 전극 구조체(100)의 일 단부(102)는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원 전극 구조체(100)의 일 단부(102)에서 반사층(120)이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산화 전극 구조체(200)의 일 단부(202)로부터 시프트될 수 있다. 즉, 산화 전극 구조체(200)의 일 단부(202)는 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산화 전극 구조체(200)의 일 단부(202)는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전극 구조체(200)의 일 단부(202)에서 투명 전극(220)이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전기 변색층(140)의 측벽을 덮을 수 있다. 하우징(2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은 불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환원 전극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은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챔버(1000) 내에 차례로 적층된 제1 기판(110), 반사층(120) 및 보호층(130)이 준비될 수 있다.(S100) 챔버(1000)의 내부는 실질적으로 진공 상태일 수 있다. 제1 기판(110), 반사층(120) 및 보호층(13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기판(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10), 반사층(120) 및 보호층(130)은 각각 글래스(glass), 은(Ag) 및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130) 상에 전기 변색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변색층(14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전기 변색층(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기 변색층(140)은 반응 스퍼터링(reactive Sputter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S200) 이하에서, 반응 스퍼터링 공정을 통한 전기 변색층(140)의 형성 공정이 설명된다.
챔버(1000) 내부에 스퍼터링 타겟(400)이 준비될 수 있다. 스퍼터링 타겟(400)은 보호층(130)의 상면과 마주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스퍼터링 타겟(400)은 텅스텐(W)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000) 내부에 플라즈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라즈마는 스퍼터링 타겟(400)과 충돌하여, 타겟 물질(미도시)(예를 들어, 텅스텐(W))을 스퍼터링 타겟(4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챔버(1000) 내부에 반응성 가스(500)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성 가스(500)는 산소(O2)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물질(예를 들어, 텅스텐(W))은 반응성 가스(500)(예를 들어, 산소(O2))와 반응하여 전기 변색 물질(142)(예를 들어, 삼산화 텅스텐(WO3))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변색 물질(142)은 보호층(130) 상에 증착되어, 전기 변색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변색층(140)은 삼산화 텅스텐(WO3)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120) 상에 보호층(130)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전기 변색층(140)을 형성하는 공정(예를 들어, 반응 스퍼터링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반사층(120)은 반응성 가스(50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반응성 가스(500)가 산소 가스를 포함하는 경우, 반사층(120)은 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Ag)을 포함하는 반사층(120)은 산소 가스를 포함하는 반응성 가스(500)와 접촉하여 산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은(Ag)을 포함하는 반사층(120)이 산화될 경우, 반사층(120)의 반사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호층(130)이 반사층(120) 상에 제공되어 반응성 가스(500)와 반사층(12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층(120)은 전기 변색층(140)을 형성하는 공정(예를 들어, 반응 스퍼터링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산화되지 않을 수 있다. 반사층(120)의 반사 성능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층(130)이 제공되는 경우 반사층(120)의 반사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환원 전극 구조체의 파장별 반사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개의 환원 전극 구조체의 파장별 반사율이 측정되었다. 1번 그래프는 차례로 적층된 글래스 기판, 15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은(Ag) 반사층, 20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삼산화 텅스텐(WO3) 전기 변색층을 포함하는 환원 전극 구조체의 파장별 반사율이다. 2번 그래프는 차례로 적층된 글래스 기판, 15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은(Ag) 반사층, 7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ITO 보호층, 20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삼산화 텅스텐(WO3) 전기 변색층을 포함하는 환원 전극 구조체의 파장별 반사율이다. 3번 그래프는 차례로 적층된 글래스 기판, 15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은(Ag) 반사층, 14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ITO 보호층, 20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삼산화 텅스텐(WO3) 전기 변색층을 포함하는 환원 전극 구조체의 파장별 반사율이다. 4번 그래프는 차례로 적층된 글래스 기판, 15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은(Ag) 반사층, 21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ITO 보호층, 200 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삼산화 텅스텐(WO3) 전기 변색층을 포함하는 환원 전극 구조체의 파장별 반사율이다.
ITO 보호층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파장별 반사율은 약 30 %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다. ITO 보호층이 제공되는 경우, 파장별 반사율은 약 45 % 내지 약 100 %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ITO 보호층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보다 ITO 보호층이 제공되는 경우 파장별 반사율이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 전원
100: 환원 전극 구조체
110: 제1 기판
120: 반사층
130: 보호층
140: 전기 변색층
142: 전기 변색 물질
200: 산화 전극 구조체
210: 제2 기판
220: 투명 전극
300: 전해질
400: 스퍼터링 타겟
500: 반응성 가스
1000: 챔버

Claims (1)

  1. 환원 전극 구조체; 및
    상기 환원 전극 구조체와 대향하는 산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환원 전극 구조체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전기 변색층; 및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전기 변색층 사이에 제공되는 투명 전도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전기 변색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전기 변색 거울.
KR1020160156746A 2016-11-23 2016-11-23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KR10204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46A KR102048279B1 (ko) 2016-11-23 2016-11-23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46A KR102048279B1 (ko) 2016-11-23 2016-11-23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275A true KR20180058275A (ko) 2018-06-01
KR102048279B1 KR102048279B1 (ko) 2019-11-26

Family

ID=6263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746A KR102048279B1 (ko) 2016-11-23 2016-11-23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27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902A (ja) * 1998-12-15 2000-06-30 Murakami Corp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JP2002082360A (ja) * 2000-09-11 2002-03-22 Fuji Photo Film Co Ltd 光書き込み型記録材料
KR20070091765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JP2009008747A (ja) * 2007-06-26 2009-01-15 Tokai Rika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KR20120080454A (ko) *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변색 소자
JP2012150184A (ja) * 2011-01-17 2012-08-09 Tokai Rika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JP2012155099A (ja) * 2011-01-25 2012-08-16 Tokai Rika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KR20130112693A (ko) * 2010-04-30 2013-10-14 뷰, 인크. 전기변색 디바이스
KR20130123950A (ko) * 2012-05-04 2013-1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40041117A (ko) * 2012-09-27 2014-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96879A (ja) * 2013-11-15 2015-05-21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902A (ja) * 1998-12-15 2000-06-30 Murakami Corp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JP2002082360A (ja) * 2000-09-11 2002-03-22 Fuji Photo Film Co Ltd 光書き込み型記録材料
KR20070091765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JP2009008747A (ja) * 2007-06-26 2009-01-15 Tokai Rika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KR20130112693A (ko) * 2010-04-30 2013-10-14 뷰, 인크. 전기변색 디바이스
KR20120080454A (ko) *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변색 소자
JP2012150184A (ja) * 2011-01-17 2012-08-09 Tokai Rika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JP2012155099A (ja) * 2011-01-25 2012-08-16 Tokai Rika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KR20130123950A (ko) * 2012-05-04 2013-1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40041117A (ko) * 2012-09-27 2014-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미러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96879A (ja) * 2013-11-15 2015-05-21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279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094B1 (ko) 전기변색장치
EP1382994B1 (en) Electrochromic devices
US7265890B1 (en) Electrochromic infrared tunable filter and emissivity modulator
US5202787A (en) Electro-optic device
KR20180078295A (ko) 전기 광학 가스 배리어
JPH01161224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積層体
KR102217923B1 (ko) 전기변색소자
US6742902B2 (en) Composite material
KR102035385B1 (ko) 전기변색소자
US20210255518A1 (en) Multi-layer optical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R2575303A1 (fr) Dispositif a l'etat solide electrochromique a coloration laterale a faible tension
US10996535B1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buffer layer(s)
KR102048279B1 (ko)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US20050141074A1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JP4363939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US4390246A (en) Electrochromic device by oblique evaporation to improve the response of coloration and bleaching
US6753995B2 (en) Electrochromic mirror and reflective layer thereof
KR20180101702A (ko) 전기변색장치
JP2005309307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KR102335565B1 (ko) 전기 변색 소자
JPH0682840A (ja) 防眩ミラー
US20020067905A1 (en) Electrochromic optical attenuator
KR102150492B1 (ko) 전기 변색 거울
KR20150050295A (ko) 전기 변색 소자
KR20180040930A (ko) 일렉트로 크로믹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