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50A -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 Google Patents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50A
KR20130123950A KR1020120047496A KR20120047496A KR20130123950A KR 20130123950 A KR20130123950 A KR 20130123950A KR 1020120047496 A KR1020120047496 A KR 1020120047496A KR 20120047496 A KR20120047496 A KR 20120047496A KR 20130123950 A KR20130123950 A KR 20130123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gel polymer
group
acrylate
electroly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376B1 (ko
Inventor
양진석
김상태
성시진
이경호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37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10Esters
    • C08F1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1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1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온성 액체, 광중합 개시제 및 금속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도 및 이온 전도도가 개선되어 우수한 전기 변색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화도 및 이온 전도도가 개선되어 우수한 전기 변색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 변색 소자(Elctrochromic devices)는 전기장의 인가에 따라 전기적인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되어 전기 변색 물질의 색상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광투과 특성을 변경하는 소자이다. 이는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등의 표시 소자는 물론 자동차용 룸미러, 창호용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등에도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변색 소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1, 21) 상에 투명 도전층(12, 22)이 형성되어 전기장이 인가되는 제1 및 제2전극(10, 20)과 투명 도전층(12, 22) 상에 적층되고 인가된 전류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전기 변색 물질층(31, 32)을 포함하고, 이온 전도를 위한 전해질(50)과 이를 봉합하기 위한 봉합재(40)로 구성된다.
전해질(50)로는 전기 변색 물질층(31, 32) 상에 적층되는 고체 전해질 또는 분산되는 액체 전해질을 들 수 있다.
고체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과는 달리 액체의 누액과 같은 문제점이 없어 환경 친화적이고 전기 변색 소자의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며 박막화 및 필름 형태의 가공이 가능하여 원하는 모든 형태로 소자의 구조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양성자 또는 리튬 이온의 이온 확산반응이 느려 이온 전도도가 낮아 전기 변색 반응이 지연되고 성능이 낮아 상업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액체 전해질은 유기 용매가 휘발하여 고갈되고 소자 제작 시 액체의 누액 문제가 있으며, 소색의 속도가 느리고 발색-소색을 반복하면 유기물이 쉽게 분해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자 구성물질과의 부반응 또는 중합에 의한 부피 변화로 제품의 안정성 유지가 어렵고, 박막화 및 필름 형태의 가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6,667,825호에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여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시킨 액체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온성 액체를 액체 형태의 전해질로 사용하고 있어 전해질의 누액, 소자의 박막화 및 필름 형태의 가공 등에는 여전히 적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미국특허 제5,872,602호에는 AlCl3-EMICl(aluminum chloride-1-eth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여 전해질의 고갈, 분해 문제를 해결한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이온성 액체의 경우 소량의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유독한 가스를 방출하며 전해질 내에 소량 첨가되는 유기-무기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매우 크고, 특히 150℃ 이상에서는 쉽게 분해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액체 전해질은 소자 구성물질과의 부반응 또는 중합에 의한 부피 변화로 제품 안정성의 유지가 어렵고, 박막화 및 필름 형태의 가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6,667,825호(2003.12.23). 특허문헌 2: 미국특허 제5,872,602호(1999.02.16).
본 발명은 중합 시 반응속도 및 경화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화도와 이온 전도도가 모두 우수하고 투과도가 향상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포함하여 성능이 향상된 전기 변색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온성 액체, 광중합 개시제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Figure pat00001
(식 중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칸테트라일기이고 히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R1, R2, R3,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소를 포함하거나 비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R5, R6, R7, R8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임),
Figure pat00002
(식 중에서, R11은 산소를 포함하거나 비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R12, R13, R14, R15, R16, R17 중 넷은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이고 나머지 둘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m, n, o, p, q, r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임).
2. 위 1에 있어서, 4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이온 결합된 화합물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는 암모늄, 이미다졸륨, 옥사졸륨, 피페리디늄, 피라지늄, 피라졸륨, 피리다지늄, 피리디늄, 피리미디늄, 피롤리디늄, 피롤리늄, 피롤륨, 티아졸륨 및 트리아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양이온과, F-, Cl-, Br-, I-, NO3 -, (CN)2N-, BF4 -, ClO4 -, RSO3 -(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RCOO-(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2, (C2F5SO2)2N-, (CF3SO3)2N-, (CF3SO2)(CF3CO)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O-, C3F7COO-, CF3SO3 - 및 C4F9SO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금속염은 알칼리금속염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7. 위 1에 있어서, 금속염은 Li+, Na+, K+및 C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과, F-, Cl-, Br-, I-, NO3 -, (CN)2N-, BF4 -, ClO4 -, RSO3 -(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RCOO-(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PF6 -, AsF6 -, Sb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2, (C2F5SO2)2N-, (CF3SO3)2N-, (CF3SO2)(CF3CO)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O-, C3F7COO-, CF3SO3 - 및 C4F9SO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8. 위 1에 있어서, 금속염은 LiPF6, LiClO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금속염은 상기 금속염 중 양이온의 농도가 0.5 내지 1.5mol/L가 되도록 포함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10. 제1전극, 제2전극, 전기 변색 물질 및 위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광경화로 형성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11. 위 10에 있어서, 전해질은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인-시츄(in-situ) 중합된 것인 전기 변색 소자.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이온 전도도가 향상되어 전기 변색 소자에 적용 시 응답속도가 좋아 우수한 전기 변색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중합 반응 속도가 빠르고 경화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경화도가 우수하면서도 이온 전도도 역시 우수하여 기계적 강도와 전기 변색 특성을 모두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과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착색/소색의 사이클이 반복되어도 그 유지 성능이 우수하므로 제품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전해질의 고갈 및 누액과 소자 구성물질과의 부반응 문제가 없고, 각종 기재 상에 소자를 제작할 수 있어 박막화 및 필름 형태 등으로 소자의 구조 변형이 용이하며 공정을 간편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변색 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온성 액체, 광중합 개시제 및 금속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도 및 이온 전도도가 개선되어 우수한 전기 변색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온성 액체, 광중합 개시제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합개시제와 함께 광경화에 의한 중합반응에 참여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중합성기가 2-3개인 경우에는 경화도가 저하되며, 중합성기가 5개 이상인 경우에는 경화도는 우수하나 이온 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특히 말단에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4개 포함하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이온 전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중합 시 반응 속도가 빠르고 부피의 수축 및 팽창이 적을 뿐만 아니라 경화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절한 기계적 강도가 부여된 겔 폴리머 전해질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식 중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칸테트라일기이고 히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R1, R2, R3,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소를 포함하거나 비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R5, R6, R7, R8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식 중에서, R11은 산소를 포함하거나 비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R12, R13, R14, R15, R16, R17 중 넷은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이고 나머지 둘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m, n, o, p, q, r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는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이 미약하고 적절한 기계적 강도 부여가 어려울 수 있고, 30중량% 초과이면 이온 전도도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전기 변색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위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과 함께 광경화에 의해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비닐계 화합물을 소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닐계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에스테르 화합물,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아크릴아미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메틸비닐케톤, 에틸렌, 스티렌, 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p-시아노스티렌,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닐계 화합물은 중합개시제에 의한 황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소량 사용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이온성 화합물로서, 100℃ 이하의 온도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특성을 갖는 이온성 염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온성 액체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가 생성한 자유 라디칼에 의해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을 위한 중합 반응의 속도를 촉진시켜 수축 및 팽창을 억제하고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비휘발성, 비인화성, 높은 열안정성과 이온 전도도를 가지며 극성이 커서 무기 및 유기 금속을 잘 용해시키고 광범위한 온도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유기 용매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환경친화성 용매로서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다.
이온성 액체를 구성하는 양이온으로는 각각 화학식 3의 (a) 내지 (n)으로 표시되는 암모늄(ammonium), 이미다졸륨(imidazolium), 옥사졸륨(oxazolium), 피페리디늄(piperidinium), 피라지늄(pyrazinium), 피라졸륨(pyrazolium), 피리다지늄(pyridazinium), 피리디늄(pyridinium), 피리미디늄(pyrimidinium),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피롤리늄(pyrrolinium), 피롤륨(pyrrolium), 티아졸륨(thiazolium), 트리아졸륨(triazolium)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5
(식 중, R20 내지 R2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임).
이온성 액체를 구성하는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 (CN)2N-, BF4 -, ClO4 -, RSO3 -(여기서, 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RCOO-(여기서, 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2, (C2F5SO2)2N-, (CF3SO3)2N-, (CF3SO2)(CF3CO)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O-, C3F7COO-, CF3SO3 -, C4F9SO3 -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이온 전도도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전기 변색 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폴리머 전해질 형성이 미약하고 적절한 기계적 강도 부여가 어려울 수 있다.
중합개시제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경화 반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광 조사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광 라디칼 발생제와 산을 발생시키는 산 발생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광과 산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화합물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는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합이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뿐, 중합물의 구성성분이 되지는 않는다. 한편, 겔을 형성하도록 하는 성분으로서 겔화제가 당분야에 소개되어 있는데, 겔화제는 그 자체가 겔화되는 물질의 구성성분이 된다. 본 발명에서 중합개시제 대신에 겔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합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전기 변색 소자의 수명이 저하되고 투과도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광 라디칼 발생제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는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2-(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및 이의 올리고머,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화합물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벤조페논, 메틸 o-벤조일벤조에이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는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화합물로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 라디칼 발생제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9,10-페난트렌퀴논, 캄포퀴논,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벤질디메틸케탈, 티타노센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산 발생제로는 4-히드록시페닐디메틸설포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4-히드록시페닐디메틸설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디메틸설포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메틸벤질설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이트, 디페닐요오도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오늄염; 니트로벤질토실레이트, 벤조인토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개시제로는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 오푸토마(아사히 전화공업사), Irgacure, OXE-01(시바사), 씨에이드 SI-60L, UVI-6990(유니온 칼바이드사), BBI-1C3, MPI-103, TPS-103, DTS-103, NAT-103, NDS-103(미도리 화학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 개시제는 본 발명에 따른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 중량부(고형분 기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고형분 기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이 미미하고, 2중량부 초과이면 이온 전도도 향상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금속염은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금속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변색 물질에 삽입 또는 탈리되어 전기 변색 물질에 포함된 전이금속의 산화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전기 변색 물질 자체의 광학적 특성, 예컨대 투과도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금속염으로는 알칼리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i+, Na+, K+ 및 C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과 F-, Cl-, Br-, I-, NO3 -, (CN)2N-, BF4 -, ClO4 -, RSO3 -(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RCOO-(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PF6 -, AsF6 -, Sb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2, (C2F5SO2)2N-, (CF3SO3)2N-, (CF3SO2)(CF3CO)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O-, C3F7COO-, CF3SO3 - 및 C4F9SO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의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알칼리금속염이 바람직하다.
특히, WO3, NiO 등의 무기 금속을 전기 변색 소자의 전기 변색 물질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LiClO4, LiAsF6, LiSbF6, LiPF6 또는 LiBF4 등의 리튬 양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LiPF6, LiClO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좋다.
금속염은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해질 조성물의 조성 및 전기 변색 물질의 종류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속염은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금속염 중 양이온의 농도가 0.5 내지 1.5mol/L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염의 양이온의 농도가 0.5mol/L 미만인 경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대한 용해도는 좋으나 전도될 수 있는 자유 이온의 수가 적어 전기 변색 소자의 전해질로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1.5mol/L 초과인 경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대한 용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이온쌍(ion-paring)을 형성하게 되는데, 즉 이온이 용해된 후 +/-로 분리되어 이온의 이동이 있어야 하나 이온쌍 또는 이온 응집(aggregation) 상태에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자유 이온의 수가 작아지고 전도도가 낮아지게 된다.
금속염은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첨가된다. 유기용매로는 당분야에 사용되는 유기용매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부티로락톤(γ-부티로락톤)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염이 용해된 유기용매는 전해질 조성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술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성분들의 함량에 대해 잔량으로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이용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극 내부에서 광경화에 의한 인-시츄(In-Situ)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인-시츄 중합은 두 전극 사이에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한 후 중합하는 방법으로, 중합된 전해질을 제어하는 것에 비하여 취급이 용이하여 전기 변색 소자의 제조 시 유용하다. 또한, 겔 폴리머 전해질과 전극 사이의 젖음성(wetting) 및 접촉 상태가 좋은 이점이 있다.
광경화에 의한 겔 폴리머 전해질의 중합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광 조사량으로 예컨대 10분 이내의 중합 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변색 소자는 제1전극, 제2전극, 전기 변색 물질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광경화로 형성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기재 상에 투명 도전층이 형성된 구조의 것일 수 있다.
기재 및 투명 도전층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로는 유리, 투명 플라스틱(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물질로는 ITO(indium doped tin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FTO(fluorine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ZnO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상에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 전자빔 증착, 화학기상증착, 졸-겔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증착하여 투명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변색 물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WO3, Ir(OH)x, MoO3, V2O5, TiO2, NiO 등의 무기 금속 산화물;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아줄렌, 폴리피리딘, 폴리인돌, 폴리카바졸, 폴리아진, 폴리티오펜 등의 전도성 고분자; 비올로겐, 안트라퀴논, 페노사이아진 등의 유기 변색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전기 변색 물질을 전극 상에 적층하는 방법은 표면 프로파일을 따라 기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스퍼터링 등의 진공증착 방법을 들 수 있다.
전기 변색 물질 중에서 WO3는 환원반응에 의해 착색되는 물질이고, NiO는 산화반응에 의해 착색되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무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에서 전기 변색이 일어나는 전기화학적 메커니즘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변색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해질 내에 포함되어 있는 양성자(H+) 또는 리튬 이온(Li+)이 전류의 극성에 따라 전기 변색 물질로 삽입 또는 탈리되며, 이때 화합물 내의 전하 중성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기 변색 물질에 포함된 전이금속의 산화수가 변화함으로써 전기 변색 물질 자체의 광학적 특성, 예컨대 투과도(색상)가 변화하게 된다.
[반응식 1]
WO3(투명) + xe + xM ↔ MxWO3(진한 청색)
(식 중, M은 양성자 또는 알칼리금속 양이온, 예컨대 Li+이고; x는 임의의 정수임).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변색 소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a)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제1전극 및 제2전극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한 후 봉합하는 단계; 및 (c) 주입된 전해질 조성물을 중합시켜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7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온성 액체 광중합 개시제 겔화제 액체전해질
A-1 A-2 A-3 A-4 A-5 B-1 B-2 C-1 D-1
실시예1 10 3 0.5 86.5
실시예2 10 5 0.5 84.5
실시예3 10 1 0.5 88.5
실시예4 10 3 0.5 86.5
실시예5 10 3 0.5 86.5
실시예6 20 3 0.5 76.5
실시예7 4 3 0.5 92.5
실시예8 10 0.5 0.5 89.0
실시예9 10 3 0.5 86.5
비교예1 10 3 0.5 86.5
비교예2 10 3 0.5 86.5
비교예3 10 3 0.5 86.5
비교예4 10 3 0.5 86.5
비교예5 10 3 0.5 86.5
비교예6 10 0.5 89.5
비교예7 10 0.5 89.5
A-1: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4관능)
A-2: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4관능)
A-3: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4관능)
A-4: 헥실아크릴레이트(1관능)
A-5: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5관능)
B-1: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MI-TFSI]
B-2: 알루미늄클로라이드-1-에틸-2-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AlCl3-EMIC]
C-1: OXE-01(1,2-Octanedione, 1-[4-(phenylthio) phenyl]-,2-(O-benzoyloxime), ciba사)
D-1: 1-부틸피리듐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PyBF4 )
액체전해질: 1M LiPF6 in EC(3)/PC(2)/DEC(5)
<전기 변색 소자>
유리 기판 위에 ITO 투명 도전층을 150㎚ 두께로 증착하고, 그 위에 스퍼터링 방법으로 200㎚ 두께의 WO3 전기 변색 물질 박막을 형성하여 작업 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작업 전극과 동일한 방법으로 300㎚ 두께의 NiO 박막을 가진 상대 전극을 제조하였다. 작업 전극과 상대 전극의 테두리 일부(전해질 주입구)를 제외하고는 UV 봉합재(sealant)로 합착하여 전해질이 없는 상태의 전기 변색 소자 중간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간체에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고 UV 봉합재로 주입구를 봉합한 후 자외선(UV) 노광기에서 1분 동안 광 조사하여 인-시츄 중합으로 전기 변색 소자를 제작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과 전기 변색 소자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폴리머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이온 전도도를 전도도 측정기(Inolab multi 74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
○: 이온 전도도 > 10-4S/㎝
△: 10-5S/㎝ ≤ 이온 전도도 ≤ 10-4S/㎝
×: 10-5S/㎝ > 이온 전도도
2. 중합 시간
적외선 분광 분석기(FT-IR 스펙트럼)를 이용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경화가 완료되는 시간, 예컨대 중합에 따라 이중결합이 소거됨과 폴리머 전해질의 투과도(T) 변화를 측정하고,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중합 시간 ≤ 60초
○: 60초 < 중합 시간 ≤ 120초
△: 120초 < 중합 시간 ≤ 180초
×: 180초 < 중합 시간
3. 제품 안정성
응답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전기 변색 소자의 전기 변색(착색 3V 20초/소색 -3V 20초)의 주기(cycle)를 측정하여 전기 변색이 유지되는 횟수를 평가하여 제품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
◎: 1000회 ≤ 전기 변색이 유지되는 횟수(매우 좋음).
○: 500외 ≤ 전기 변색이 유지되는 횟수 < 1000회(좋음).
△: 전기 변색이 유지되는 횟수 < 500회(보통).
×: 전기 변색이 되지 않음(불량).
4. 전기 변색(착색/ 소색 ) 시 투과도(%)
전기 변색 소자의 전기 변색(착색/소색) 시험을 2시간 이상 진행한 후 400㎚에서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착색 시 투과도가 37% 이하이고, 착색/소색 시 투과도 값의 차이가 클수록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온 전도도 중합시간 제품 안정성 투과도(착색/소색)
실시예1 30/71
실시예2 31/70
실시예3 30/69
실시예4 34/69
실시예5 31/71
실시예6 33/72
실시예7 32/69
실시예8 31/71
실시예9 35/65
비교예1 46/62
비교예2 × 45/64
비교예3 44/71
비교예4 × 48/71
비교예5 × 46/71
비교예6 × 47/71
비교예7 × × 46/68
위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온성 액체, 중합개시제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으며, 광경화에 따른 중합 반응이 촉진되고 경화도의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 변색에 따른 투과도 특성도 우수하였다. 특히,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온성 액체의 함량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온 전도도, 중합시간, 제품 안정성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중합시간 단축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금속염으로는 비알칼리금속염을 사용한 것보다는 알칼리금속염을 사용한 것이 제품안정성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이었다.
반면,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착색/소색 시의 투과도 차이가 실시예들보다 모두 현저하게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2는 중합 시간이 오래 걸리고 중합 반응의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합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여 제품안정성도 저하되었다. 5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에는 경화성능은 우수하였으나 이온전도도가 낮아 투과도가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6은 중합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여 제품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중합개시제 대신에 겔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5 및 7은 중합시간이 매우 길고, 경화도가 저하되어 투과도 성능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으며, 더욱이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 비교예 7은 제품안정성이 더욱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10: 제1전극 11: 제1전극용 기재
12: 제2전극용 도전층 20: 제2전극
21: 제2전극용 기재 22: 제2전극용 도전층
31: 제1전극의 전기 변색 물질층
32: 제2전극의 전기 변색 물질층
40: 봉합재 50: 전해질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온성 액체, 광중합 개시제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식 중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칸테트라일기이고 히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R1, R2, R3,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소를 포함하거나 비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R5, R6, R7, R8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임),
    [화학식 2]
    Figure pat00007

    (식 중에서, R11은 산소를 포함하거나 비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R12, R13, R14, R15, R16, R17 중 넷은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이고 나머지 둘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m, n, o, p, q, r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4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4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이온 결합된 화합물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는 암모늄, 이미다졸륨, 옥사졸륨, 피페리디늄, 피라지늄, 피라졸륨, 피리다지늄, 피리디늄, 피리미디늄, 피롤리디늄, 피롤리늄, 피롤륨, 티아졸륨 및 트리아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양이온과, F-, Cl-, Br-, I-, NO3 -, (CN)2N-, BF4 -, ClO4 -, RSO3 -(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RCOO-(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2, (C2F5SO2)2N-, (CF3SO3)2N-, (CF3SO2)(CF3CO)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O-, C3F7COO-, CF3SO3 - 및 C4F9SO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염은 알칼리금속염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염은 Li+, Na+, K+및 C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과,
    F-, Cl-, Br-, I-, NO3 -, (CN)2N-, BF4 -, ClO4 -, RSO3 -(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RCOO-(R은 탄소수 1-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PF6 -, AsF6 -, Sb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2, (C2F5SO2)2N-, (CF3SO3)2N-, (CF3SO2)(CF3CO)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O-, C3F7COO-, CF3SO3 - 및 C4F9SO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염은 LiPF6, LiClO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염은 상기 금속염 중 양이온의 농도가 0.5 내지 1.5mol/L가 되도록 포함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10. 제1전극, 제2전극, 전기 변색 물질 및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광경화로 형성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해질은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서 인-시츄(in-situ) 중합된 것인 전기 변색 소자.
KR1020120047496A 2012-05-04 2012-05-04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10191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96A KR101911376B1 (ko) 2012-05-04 2012-05-04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96A KR101911376B1 (ko) 2012-05-04 2012-05-04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50A true KR20130123950A (ko) 2013-11-13
KR101911376B1 KR101911376B1 (ko) 2018-10-25

Family

ID=4985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96A KR101911376B1 (ko) 2012-05-04 2012-05-04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3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2434A (zh) * 2014-04-23 2014-08-20 宁波祢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固化电解质凝胶及其在电致变色器件中的应用
KR20180058275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KR102101866B1 (ko) * 2019-09-11 2020-04-20 주식회사 스위스 플랙서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2434A (zh) * 2014-04-23 2014-08-20 宁波祢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固化电解质凝胶及其在电致变色器件中的应用
KR20180058275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KR102101866B1 (ko) * 2019-09-11 2020-04-20 주식회사 스위스 플랙서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WO2021049773A1 (ko) * 2019-09-11 2021-03-18 주식회사 스위스 플랙서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376B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6144B2 (ja) 共融混合物を含む電解質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US20060072182A1 (en) Electrolyte compris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00116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JP2007529781A (ja) イオン性液体を用いたゲルポリマー電解質及びこ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DE10200902420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fester Polymerelektrolyte unter Verwendung ionischer Flüssigkeiten
KR20150053204A (ko)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KR101911376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101716799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101780704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100718444B1 (ko)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30013991A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102052440B1 (ko) 전기 변색성 슈퍼 커패시터
KR101781144B1 (ko) 고체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30013976A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JP2017111380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464607C2 (ru) Однослойное секционное электрохр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электрохромный материал полимерного типа
KR20140037989A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101673452B1 (ko) 열경화성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KR20130013939A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40039378A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30013964A (ko) 고체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30013957A (ko) 고체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20032825A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40037432A (ko) 고체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KR20130013949A (ko) 고체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